KR20090113539A - Scroll type document - Google Patents

Scroll type doc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539A
KR20090113539A KR1020080039310A KR20080039310A KR20090113539A KR 20090113539 A KR20090113539 A KR 20090113539A KR 1020080039310 A KR1020080039310 A KR 1020080039310A KR 20080039310 A KR20080039310 A KR 20080039310A KR 20090113539 A KR20090113539 A KR 20090113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transparent film
disposed
base
bas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석태진
Original Assignee
석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태진 filed Critical 석태진
Priority to KR102008003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3539A/en
Publication of KR20090113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5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3Picture frame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8Picture loo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scroll type document is provided to minimize damage or contamination of the document due to dust or foreign materials by arranging a transparent film on the front side of the document, and to prevent the document from being wrinkled when the document is rolled. CONSTITUTION: A scroll type document includes a content document(10), a background part in which the content document is arranged, a transparent film fixed on the background part while covering the content document, a support part(30) generating the load on the background part, and an insertion part(260) inserted into the background part. An insertion hole is formed on the background part. The insertion part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the same with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film.

Description

두루마리형 문서{Scroll type document}Scroll type document}

본 발명은 두루마리형 문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 및 보관이 용이한 두루마리형 문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ed docu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lled document that is easy to decorate and store.

종래 기술에 따른 카드, 문서 또는 편지 등은 작성자가 종이에 내용을 기재하여 작성되고, 작성 후에 별도의 장식 또는 보관을 위해서는 표구 또는 액자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보관과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Cards, documents or lette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reated by the author to write the contents on the paper,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a separate storage process using a mark or picture frame or the like for a separate decoration or storage after creation.

본 발명은 문서의 작성, 보관이 용이하고, 작성된 문서를 통해 실내를 장식하거나 벽에 걸어 놓기에 용이한 두루마리형 문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oll type document which is easy to create and store a document, and which is easy to decorate a room or hang on a wall through the written document.

본 발명의 일측면은 내용문서와, 상기 내용문서가 배치되는 바탕부와, 상기 내용문서를 덮으면서 일단이 상기 바탕부에 고정되는 투명필름과, 상기 투명필름에 배치되어 상기 바탕부에 하중을 발생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투명필름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바탕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문서를 제공한다.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document, a base portion on which the content document is disposed, a transparent film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ase portion while covering the content document, and disposed on the transparent film to load the base portion. It provides a roll-shaped document including a support for generating and the insertion portion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transparent film and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여기서 상기 바탕부는 상기 삽입부가 끼워지는 삽입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투명필름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타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bas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ransparent film and extend to the other end sid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내용문서와, 상기 내용문서가 배치되는 바탕부와, 상기 내용문서를 덮으면서 일단이 상기 바탕부에 고정되는 투명필름과, 상기 투명필름에 배치되어 상기 바탕부에 하중을 발생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투명필름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바탕부에 형성된 삽입홀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삽입끈을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문서를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document, a base portion on which the content document is disposed, a transparent film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ase portion while covering the content document, and disposed on the transparent film to apply a load to the base portion. It provides a roll-shaped document including a support for generating and the insertion string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transparent film and penetra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ase portion.

여기서 상기 삽입끈의 끝단에는 벨크로테이프가 배치될 수 있다. Velcro tape may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string.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탕부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은 내용문서를 작성한 후, 상기 내용문서를 바탕부와 투명필름 사이에 배치시키고, 상기 바탕부의 하단에 배치된 지지부의 하중을 통해 상기 바탕부에 장력이 발생되게 하면서 두루마리형 문서가 설치되기 때문에, 서신을 전하기 위한 수단 및 완성된 두루마리형 문서를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tent document is created, the content document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transparent film, and the scroll type document is installed while the tension is generated in the base part through the load of the support part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base part.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ans for conveying the correspondence and the finished scroll type document can be used for decoration.

또한 본 발명은 투명필름에 배치된 삽입부 또는 삽입끈이 상기 바탕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를 통해 말려지더라도 상기 투명필름 및 상기 바탕부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ertion portion or the insertion string disposed on the transparent film is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rinkles do not occur in the transparent film and the base portion, even if curled through the support.

또한 본 발명은 바탕부를 관통하게 배치된 삽입끈을 통해 지지부에 말려진 바탕부를 결속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inding the base portion curled to the support through the insertion string disposed to penetrate the bas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문서의 전면에 투명필름이 배치되기 때문에 먼지 또는 기타의 이물질에 의해 상기 내용문서가 손상 또는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damage or contamination of the content document by dust or other foreign matter because the transparent film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content docu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의 사용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의 접는 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의 접힌 상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rolled docu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rolled document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crolled form shown in FIG. 1.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a document, and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rolled document illustrated in FIG. 3.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두루마리형 문서(100)는 내용문서(10)와, 상기 내용문서(10)가 삽입되어 노출되는 액자부(20)와, 상기 액자부(20)에 고정되는 지지부(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scroll type docu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ent document 10, a picture frame part 20 through which the content document 10 is inserted, and the picture frame part ( And a support 30 fixed to 20).

상기 내용문서(10)는 한지 또는 배접된 한지, 일반적인 종이 등으로 형성되고, 작성자가 글 또는 그림 등을 통해 내용을 기재 또는 도시할 수 있고, 상기 배 접(褙接)은 종이나 헝겁을 여러겹 포개어 붙이는 과정으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content document 10 is formed of Korean paper or backed Korean paper, general paper, and the like, and the author may describe or show the contents through an article or a picture. As a process of superimposing a layer, since it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특히, 상기 내용문서(10)의 표면에 아교를 덧바를 경우, 글자나 그림의 번짐을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applying a glue on the surface of the content document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letters or pictures.

상기 액자부(20)는 전면 측으로 개구부(21)가 형성된 표시부(22)와, 상기 표시부(22)의 배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22)와 적어도 일측이 접합 또는 봉제되어 형성된 바탕부(24)를 포함한다. The frame part 20 has a display part 22 having an opening 21 formed at a front side thereof, and a base part 24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display part 22 and formed by bonding or sewing at least one side with the display part 22. ).

상기 표시부(22)에는 상기 내용문서(10)가 삽입되도록 상기 개구부(21)의 상측에 절개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25)를 통해 상기 내용문서(10)가 상기 표시부(22)와 상기 바탕부(24) 사이로 삽입된다. The display unit 22 has a cutout 25 formed above the opening 21 so that the content document 10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content document 1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cutout 25. It is inserted between the 22 and the base 24.

그리고 상기 표시부(22)와 상기 바탕부(24) 사이로 삽입된 내용문서(10)는 상기 개구부(21)를 통해 전면으로 노출된다. The content document 10 inserted between the display unit 22 and the base unit 24 is exposed to the front through the opening 21.

여기서 상기 내용문서(10)는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바, 상기 개구부(21)의 하측에는 상기 내용문서(10)의 이동을 차단하는 지지선(23)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선(23)은 상기 표시부(22)와 상기 바탕부(24)의 접합 또는 봉제 등의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21)의 좌/우측에 더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Here, the content document 10 is inser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the support line 23 is formed below the opening 21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content document 10, the support line 23 is The display unit 22 and the base unit 24 may be formed by bonding or sewing, o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21.

특히, 상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선(23)은 상기 표시부(22)와 상기 바탕부(24)의 접합면이고, 본 실시예와 달리 봉제선 등을 통해 상기 지지선(23)을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line 23 is a bonding surface between the display unit 22 and the base 24, an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line 23 may be formed through a seam or the like.

한편, 상기 액자부(20)는 종이 또는 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rame portion 20 may be formed of a paper or cloth material.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표시부(22)의 개구부(21)에 투명필름(미도시)을 부착하여 액자부(20)를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ransparent film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opening 21 of the display unit 22 to manufacture the frame part 20.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액자부(20)의 상/하측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액자부(20) 및 내용문서(10)가 평평하게 펴질수 있도록 장력을 제공하고, 상측에 배치된 지지부(30)보다 하측에 배치된 지지부(30)의 하중을 더 무겁게 하여 상기 액자부(20) 및 상기 내용문서(10)가 보다 적은 하중으로 보다 용이하게 내용문서(10) 및 액자부(10)를 평탄화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upport part 30 is fixed to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ame part 20 to provide tension so that the frame part 20 and the content document 10 can be flattened, and a support part disposed on the upper side ( The weight of the support part 30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30, so that the frame part 20 and the content document 10 can be easily loaded with less load. Allow flattening.

여기서 상기 지지부(30)는 봉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액자부(20)를 감을 경우, 상기 액자부(20) 및 상기 내용문서(10)가 원형으로 감기면서 구김 또는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Here, when the support part 30 is formed in a rod shape to wind the frame part 20, the frame part 20 and the contents document 10 are wound in a circular shape to minimize wrinkles or damage.

더불어, 상기 지지부(3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자부(20)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었으나, 이와 달리 액자부(20)의 하측에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ame part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alternatively, the support part 30 may be disposed only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part 20.

한편, 상측의 지지부(30)에는 벽에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벽걸이 와이어(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wall hanging wire 40 so as to be easily hung on the wall.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의 사용과정을 도 1,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use process of the scroll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먼저, 작성자는 배접된 한지 또는 천 재질의 내용문서(10)에 글 또는 그림 등을 작성하고, 상기 내용문서(10)를 상기 절개부(25)를 통해 삽입하며, 상기 절개부(25)를 통해 삽입된 내용문서(10)는 상기 표시부(22)와 상기 바탕부(24)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22)의 개구부(21)를 통해 작성된 글 또는 그림 등이 노출된다. First, the author writes a text or a picture, etc. in the content paper 10 of the Korean paper or cloth material, and inserts the content document 10 through the cutout 25, and inserts the cutout 25. The inserted content document 10 is inserted between the display unit 22 and the base unit 24, and at the same time, a text or a picture created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display unit 22 is exposed.

여기서 상기 표시부(22) 및 상기 바탕부(24) 사이로 삽입된 내용문서(10)의 하단(13)은 상기 지지선(23)에 지지되어 이동이 억제된다. Here, the lower end 13 of the content document 10 inserted between the display unit 22 and the base unit 2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line 23 to suppress movement.

특히 상기 지지선(23)은 상기 내용문서(10)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서, 수신자가 두루마디형 문서(100)를 펼쳐보았을때 상기 내용문서(10)가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support line 23 blocks the movement of the content document 10 so that the content document 10 is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recipient unfolds the scroll-shaped document 100.

다음으로, 도 3,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는 상/하측에 배치된 지지부(3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감아서 상기 액자부(20) 및 상기 내용문서(10)를 컴팩트화할 수 있고, 상기 내용문서(10) 및 상기 액자부(20)의 감는 과정을 통해 상기 내용문서(10)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복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Next,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the scroll type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wound around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arts 30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ame part 20 and the contents document ( 10) can be made compact, and the damage of the content document 10 can be minimized and the restoration can be facilitated through the process of winding the content document 10 and the frame part 20.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2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200)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1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200)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2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ed document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rolled document 200 shown in FIG. 5, and FIG. 7. FIG. 2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rolled document 200 shown in FIG.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200)는 상기 내용문서(10)가 배치되는 바탕부(224)와, 상기 바탕부(224)에 일단(250a)이 고정되고 상기 내용문서(10)를 덮어 보호하는 투명필름(250)과, 상기 투명필름(250)의 타단(250b)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탕부(224)에 고정되는 삽입부(260)와, 상기 바탕 부(224)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바탕부(224)가 평탄화되도록 하중을 제공하는 지지부(30)(32)와, 상기 바탕부(224)에 배치되는 걸이부(270)를 포함한다. 5 to 7, the scroll docume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ase portion 224 on which the contents document 10 is disposed, and one end 250a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224. And the transparent film 250 which covers and protects the contents document 10, an insertion part 260 which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250b of the transparent film 250 and fixed to the base part 224, and the A support part 30 and 3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art 224 to provide a load so that the base part 224 is flattened, and a hook part 270 disposed on the base part 224. .

상기 바탕부(224)는 종이 또는 천 재질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바탕부(224)는 상기 내용문서(10)가 배치되는 메인 바탕부(222)와, 상기 메인바탕부(222)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1 보조바탕부(223)와, 상기 메인바탕부(222)의 타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2 보조바탕부(225)로 구성된다. The base portion 224 is formed of a paper or cloth material,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folded to facilitate movement or storage. Thus, the base part 224 may include a main base part 222 on which the content document 10 is disposed, a first auxiliary base part 223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ase part 222, and the It consists of a second auxiliary base portion 225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ase portion 222 is formed.

여기서 상기 바탕부(224)에는 상기 삽입부(260)가 끼워지는 삽입홀(226)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보조바탕부(225)에 슬릿의 형태로 형성된다. Here, the insertion part 260 into which the insertion part 26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base part 224, an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auxiliary bottom part 225 is formed in the form of a slit.

그래서 상기 투명필름(250)은 상기 일단(250a)이 고정되어 상기 바탕부(224)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고, 타단(250b) 측에 형성된 상기 삽입부(260)가 상기 삽입홀(226)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보조바탕부(225)에 끼움고정된다. Thus, the transparent film 250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224 by fixing the one end 250a, and the insertion part 260 formed at the other end 250b may have the insertion hole 226. It is fitted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part 225 is fixed through.

상기 삽입부(26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필름(250)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insertion part 26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transparent film 250 in this embodiment.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필름(250)의 일단(250a)은 접착테이프(290)를 통해 상기 메인바탕부(222)에 고정된다. In this embodiment, one end 250a of the transparent film 250 is fixed to the main base portion 222 through an adhesive tape 290.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200)가 도 4와 같이 말려질 경우, 상기 투명필름(250)과 상기 바탕부(224)는 서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Here, when the scroll type docume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olled as shown in FIG. 4, the transparent film 250 and the base part 224 may b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즉, 도 4와 같이 두루마리형 문서(200)가 말려지면 상기 각 지지부(30)(32)의 외주면에 상기 투명필름(250) 및 상기 바탕부(224)가 함께 말려지고, 이 과정에 서 상기 각 지지부(30)(32)를 중심으로한 반경차이에 의해 상기 투명필름(250)과 상기 바탕부(224)는 상대이동된다. That is, when the scroll type document 200 is rolled as shown in FIG. 4, the transparent film 250 and the base portion 224 are rolled toge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support parts 30 and 32. The transparent film 250 and the base part 224 ar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by a radius difference around each support part 30 and 32.

여기서 상기 투명필름(250)의 양단(250a)(250b)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30)(32)에 말려지면, 상기 바탕부(224)보다 내측에 위치된 투명필름(250)이 주름진 상태로 말려지게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삽입부(260)가 상기 삽입홀(226)에 삽입되는 구조이면 상기와 같이 말려지는 과정에서도 상대이동을 통해 투명필름(250)에 주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When both ends 250a and 250b of the transparent film 250 are fixed to the support parts 30 and 32 in a fixed state, the transparent film 250 located inside the base part 224 is corrugated. Although it is dried in a state,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inserting portion 2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6, the curling is formed in the transparent film 250 through relative movement even in the process of being dried as described above.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접착테이프(290) 역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바탕부(224)와 같은 재질 또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dhesive tape 290 is also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the same material or pattern as the base portion 224.

상기 걸이부(270)는 상기 바탕부(224)의 배면에 배치된 고리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200)를 벽에 걸 때 사용된다. The hook portion 270 is a ring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224, and is used to hang the scroll type docume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 a wall.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2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200)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1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200)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2도이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ed document 2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rolled document 200 shown in FIG. 8, and FIG. 10. FIG. 2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rolled document 200 shown in FIG. 8.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200)는 제 2 실시예의 삽입부(260) 대신 띠 형태의 삽입끈(280)이 배치된다. 8 to 10, in the rolled docume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trip-shaped insertion string 280 is disposed instead of the insertion unit 260 of the second embodiment.

상기 삽입끈(280)은 상기 투명필름(250)에 배치되고, 상기 바탕부(224)에 형성된 삽입홀(226)을 관통시키게 배치된다. The insertion string 280 is disposed on the transparent film 250 and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insertion hole 226 formed in the base 224.

여기서 상기 삽입끈(280)은 상기 투명필름(25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탕부(224)와 동일한 천 재질이 사용되며, 일단이 상기 투명필름(250)의 타단(250b)에 고정된다. Here, the insertion string 28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ransparent film 250,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cloth material as the base part 224 is used, and one end of the transparent film 250 is used. It is fixed to the other end 250b.

그리고 상기 삽입끈(280)의 끝단(282)에는 고정수단으로서 벨크로테이프(284)가 배치되어 지지부(30)(32)에 감겨진 바탕부(224)가 풀리는 것을 억제시킨다. Velcro tape 284 is disposed at the end 282 of the insertion string 280 to prevent loosening of the base portion 224 wound around the support portions 30 and 32.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끈(280)의 사용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use process of the insert string 2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follows.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문서(10)를 바탕부(224)와 투명필름(250) 사이에 배치시킨 후, 상기 투명필름(250)을 상기 내용문서(10) 측에 밀착시킨다. First, as shown in FIG. 8, the content document 10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224 and the transparent film 250, and then the transparent film 25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tent document 10.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삽입끈(280)을 상기 삽입홀(226)에 끼워넣어 상기 투명필름(250)을 고정시킨다. The user inserts the insertion string 280 into the insertion hole 226 to fix the transparent film 250.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2)를 중심으로 상기 바탕부(224)를 말게되면, 상기 투명필름(250)은 상기 바탕부(224)와 함께 말려진다. Next, as shown in FIG. 10, when the base part 224 is rolled around the support part 32, the transparent film 250 is rolled together with the base part 224.

여기서 상기 투명필름(250)은 상기 바탕부(224)와 상대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주름지지 않게 말려질 수 있다. Since the transparent film 250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base part 224, the transparent film 250 may be curled without wrinkles.

한편, 상기 삽입끈(280)은 상기 바탕부(224)를 관통하게 배치된 바, 끝단(282)이 투명필름(250)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상기 삽입끈(280)을 통해 상기 지지부(30)(32)에 말려진 바탕부(224) 및 투명필름(250)을 동시에 결속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string 280 is disposed to penetrate through the base portion 224, the end 282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ransparent film 250, the support portion 30 through the insertion string 280 At the same time, the base 224 and the transparent film 250 rolled up in the 32 can be simultaneously bound.

특히, 상기 삽입끈(280)에 배치된 벨크로테이프(284)를 통해 말려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urled state through the Velcro tape 284 disposed on the insertion string 280.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300)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ed document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300)는 제 2 실시예와 달리 제 1, 2 보조바탕부 없이 메인바탕부만으로 바탕부(224)가 구성되고, 상기 바탕부(224)의 양단 측에 각각 지지부(30)(32)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1,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scroll documen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part 224 having only a main base part without first and second auxiliary part parts, and the base part 224. Support portions 30 and 32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end sides of the back side.

여기서 상기 삽입부(260)는 상기 삽입홀(262)을 관통하여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Here, the insertion portion 260 penetrat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262 and protrudes to the opposite side.

이하 나머지 구성은 제 2 실시예와 유사한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의 두루마리형 문서는 글 또는 그림을 전하는 서신전달의 수단, 글 또는 그림을 보관하기 위한 수단 및 벽 등에 걸어서 장식을 할 수 있는 수단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scroll type docu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s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means for delivering a letter or a picture, a means for storing a word or a picture, and a means for decorating on a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1 is a front view showing a rolled docu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의 사용예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rolled document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의 접는 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the rolled document illustrated in FIG. 1.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의 접힌 상태가 도시된 예시도이고,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rolled document shown in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2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ed document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200)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1도이고,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rolled document 200 shown in FIG. 5.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200)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2도이고, FIG. 7 is an example 2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rolled document 200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2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ed document 2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200)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1도이고,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rolled document 200 shown in FIG. 8.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두루마리형 문서(200)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2도이고, FIG. 10 is an exemplary 2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rolled document 200 shown in FIG. 8.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문서(300)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ed document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내용문서 20 : 액자부10: Content document 20: Frame part

21 : 개구부 22 : 표시부21: opening 22: display

23 : 지지선 24 : 바탕부23: support line 24: base part

25 : 절개부 30 : 지지부25: incision 30: support

40 : 벽걸이 와이어 100 : 두루마리형 문서40: wall-mounted wire 100: reel document

200 : 두루마리형 문서 222 : 메인바탕부200: scroll type document 222: main part

223 : 제 1 보조바탕부 224 : 바탕부223: first sub-base part 224: base part

225 : 제 2 보조바탕부 250 : 투명필름225: second sub-base portion 250: transparent film

260 : 삽입부 262 : 삽입홀260: insertion portion 262: insertion hole

270 : 걸이부 280 : 삽입홀270: hook portion 280: insertion hole

290 : 접착테이프290: Adhesive Tape

Claims (6)

내용문서와,Content document, 상기 내용문서가 배치되는 바탕부와, A base part on which the contents document is arranged; 상기 내용문서를 덮으면서 일단이 상기 바탕부에 고정되는 투명필름과, A transparent film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ase part while covering the contents document; 상기 투명필름에 배치되어 상기 바탕부에 하중을 발생시키는 지지부와, A support part disposed on the transparent film to generate a load on the base part; 상기 투명필름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바탕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문서.A scroll type document including an insertion par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transparent film 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base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바탕부는 상기 삽입부가 끼워지는 삽입홀이 더 형성된 두루마리형 문서. The base part is a scroll type document further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part is inserte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삽입부는 상기 투명필름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타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두루마리형 문서.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ransparent film, the scroll-like document formed to extend to the other end side. 내용문서와,Content document, 상기 내용문서가 배치되는 바탕부와, A base part on which the contents document is arranged; 상기 내용문서를 덮으면서 일단이 상기 바탕부에 고정되는 투명필름과, A transparent film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ase part while covering the contents document; 상기 투명필름에 배치되어 상기 바탕부에 하중을 발생시키는 지지부와, A support part disposed on the transparent film to generate a load on the base part; 상기 투명필름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바탕부에 형성된 삽입홀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삽입끈을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문서.A scroll type document including an insertion string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transparent film and penetrating through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ase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삽입끈의 끝단에는 벨크로테이프가 배치된 두루마리형 문서.A scroll type document having a Velcro tape disposed at the end of the insert string.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탕부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두루마리형 문서.And the support portions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KR1020080039310A 2008-04-28 2008-04-28 Scroll type document KR200901135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310A KR20090113539A (en) 2008-04-28 2008-04-28 Scroll type doc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310A KR20090113539A (en) 2008-04-28 2008-04-28 Scroll type doc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539A true KR20090113539A (en) 2009-11-02

Family

ID=4155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310A KR20090113539A (en) 2008-04-28 2008-04-28 Scroll type doc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353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48Y1 (en) * 2015-07-22 2016-12-12 황덕형 A wall hanging type picture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48Y1 (en) * 2015-07-22 2016-12-12 황덕형 A wall hanging type picture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19492A (en) Combined photograph mount and mailing receptacle
US7946067B2 (en) Picture frame with tilt display and support
US5485694A (en) Door-mounted poster support
KR20090113539A (en) Scroll type document
US20080190996A1 (en) Band Type Transparent Envelope for Files
KR20080090949A (en) Scroll type document
JP3231836U (en) Holding member and scroll using it
US20130079209A1 (en) Method for rolling up a sheet, and holder for a rolled-up sheet
US20060037874A1 (en)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linens and other household goods
KR10252930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orage frame for double sided cultural paper with hard handling
CN209305168U (en) A kind of Novel art homework book
JP3246020U (en) Photo frame
JP3986140B2 (en) Wrapping bags for writing instruments with packaging aids
WO1999056845A1 (en) Holder
CN211222670U (en) Vertical printed publication
JP2573841Y2 (en) Photo mail case
KR200259291Y1 (en) Folder enclosing wrapping paper
Meredith Far Eastern Paper Conservator and Some Aspects of Preventive Conservation in Europe'
JP2016153208A (en) Standing support tool
JP2006337968A (en) Stand type display body used as storage case for itself
JP3036380U (en) Colored paper storage board
KR200222825Y1 (en) The album having memo part
JP2003164675A (en) Sheet for putting into balloon
JP3127627U (en) Wall-mounted desktop display device
US20080173559A1 (en) Creating sleeves from standard p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