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677A -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 방법, 질의 기능 요소 및 연합 기능 요소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 방법, 질의 기능 요소 및 연합 기능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677A
KR20090112677A KR1020097016010A KR20097016010A KR20090112677A KR 20090112677 A KR20090112677 A KR 20090112677A KR 1020097016010 A KR1020097016010 A KR 1020097016010A KR 20097016010 A KR20097016010 A KR 20097016010A KR 20090112677 A KR20090112677 A KR 20090112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subsystem
cscf
domain
signaling message
function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983B1 (ko
Inventor
프랑소와 레이궤스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090112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은 이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접속된 제 1 통신 클라이언트(T)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통신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시그널링 메시지(m)를 전송하는데 적합한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CSCF)의 세트를 포함하되, 이 제 2 통신 클라이언트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원격일 수 있고 질의 기능 요소(I-CSCF)를 통해 통해 액세스가능하고,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 라우팅 방법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은 라우팅 방법이 분배형 해싱 테이블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 방법, 질의 기능 요소 및 연합 기능 요소{IMS ARCHITECTURE USING A DISTRIBUTED HASH TABLE}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3GPP 및 ETSI TISPAN에 의해 표준화된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에 관한 것이다.
IMS 아키텍쳐는 "IP Multimedia Subsystem (IMS); Stage 2 (Release 7)"라는 제목을 갖는 3GPP™의 문헌 TS 23.228에 기술되어 있다.
IMS 아키텍쳐의 목적은 통신 네트워크의 고정된 및 이동가능한 인프라스트럭쳐 간의 통합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통적인 인프라스트럭쳐는 알려져 있는 원격통신 서비스(호 전달, 빌링(billing), 화상 회의 등) 또는 미래에 다가올 서비스의 전개(deployment)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간단한 IMS 아키텍쳐를 나타낸다. 이 아키텍쳐는 기능적이며, 그에 따라 동일한 기능 소자가 몇몇 네트워크 장치에 걸쳐 분배될 수 있고, 또한 그 반대로도,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가 몇몇 IMS 아키텍쳐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는 주로 세 개의 CSCF(호 세션 제어 기능) 기능으로 구성된다.
- P-CSCF(프록시 CSCF)는 IMS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단말기(또는 클라이언트)의 접촉 지점이다. 그의 역할 중 하나는 단말기(T)를 인증하고, 필요하다면 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 S-CSCF(서빙 CSCF)는 애플리케이션 서버(AS)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IMS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홈 가입자 서버(HSS)와 협동하여, 이 서브 시스템에 접속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또는 그 클라이언트로 제공할 시그널링 메시지를 라우팅하는데 사용된다.
- I-CSCF (질의 CSCF)는 다른 IMS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하고 시그널링 메시지를 하나의 서브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서브시스템으로 라우팅하는데 사용된다.
통신 단말기가 IMS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경우, 이 통신 단말기는 연결된 P-CSCF1 기능 요소를 통해 S-CSCF1 기능 소자로 등록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시그널링 메시지는 S-CSCF1 요소가 단말기(T)의 사용자(즉, IMS 네트워크에 대한 가입자)의 어드레스를 S-CSCF1 요소의 식별자와 연결하는 정보를 HSS1 가입자 서버 내에 추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SLF(Subscription Locator Function) 기능 요소가 또한 작동하고 단말기(T)의 사용자의 논리 어드레스와 그의 정보를 소유하는 HSS1 가입자 서버 간의 연관을 저장한다.
끝으로, S-CSCF1 요소는 단말기(T)의 논리 어드레스와 물리 어드레스 간의 연관을 유지한다.
S-CSCF1 기능 요소는 또한 상이한 원격통신 서비스, 즉 빌링, 호 대기, 호의 리-다이렉팅, 공고, 오디오 및/또는 화상 회의 등을 가입자에게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AS)에 접속된다. 따라서, S-CSCF1 기능 요소는 콘텐츠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AS)에 접촉하기 위해 시그널링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T)에 지정된 착신호에 대해, SLF, HSS1 및 S-CSCF1 요소는 입력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와 클라이언트(T)의 물리 어드레스를 연관시키는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및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표준화 기구에 지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다. 이 프로토콜은 IETE(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RFC 3261에 세부적으로 기재되어 있고 후속 RFC에 의해 확장된다.
따라서, 등록 시그널링 메시지는 대개 SIP "REGISTER" 메시지이고, 초대 시그널링 메시지는 SIP "INVITE" 메시지이다.
IMS 아키텍쳐의 전개로 인해, 본 출원인은 접속될 가능성이 있는 논리 어드레스와 단말기의 폭발을 예상한다. 사실, 동일한 가입자의 다수의 단말기(컴퓨터, 유선 전화기, 이동 전화기, 개인 보조 단말기, 텔레비전 등)를 연결할 수 있다. 새로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현재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대개 접속되지 있지 않은 장치들(가정용 기구 등)을 연결할 수 있다.
가입자 서버(HSS) 및 전술한 모든 가입자 위치 요소(SLF)는 크기가 상당히 커질 것이다. 이들은 IMS 아키텍쳐 내에서 병목 노드가 될 것이다. 즉, 이들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은 관리하기가 점점 어려워질 것이고 그들의 액세스 시간도 증가할 것이며, 그에 따라 일반적인 시스템 성능을 희생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분배형 아키텍쳐를 제안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분배형 방식은 Kundan Sin호 및 Henning Schullzrinne이 작성한 "Using an External DHT as a SIP Location Service"라는 제목의 문헌, 또는 동일한 저자가 작성한 "Peer-to-peer Internet Telephony using SIP"라는 제목의 문헌에 이미 제시되어 있다.
특허 출원 WO2006/068365는 유사한 방식을 공개하고 있다.
이 방식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단말기(또는 클라이언트)(T1,T2,T3)는 분배형 해싱 테이블(Distributed Hashing Table), 즉 DHT에 접속된다. 이 분배형 해싱 테이블은 전통적인 SIP 아키텍쳐에서 SIP 등록기(registrar)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논리적인 가입자 어드레스와 물리적인 단말기 어드레스 간의 연관이 이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저장된다.
단말기(T1,T2,T3) 각각은 이 해싱 테이블의 일부를 가지고 있다. 분배형 해싱 테이블의 메카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단말기는 호출하려는 가입자의 논리적 어드 레스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물리적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등록기는 다수의 단말기에 걸쳐 분배되기 때문에, IMS 아키텍쳐에서와 같이 중앙 가입자 서버 내에서의 혼잡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방식은 3GPP 및 ETSI TISPAN 표준에 의해 규정된 IMS 아키텍쳐와는 호환되지 않는다.
사실, 단말기는 수정되어야 한다. 즉, 단말기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는 P-CSCF 기능 요소와 상호작용하지 않지만, 분배형 해싱 테이블 DHT을 구현해야 하고 특정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상태는 스카이프 인터넷 전화기 제품에 의해 제공된다. 그 원리는 대부분 동일하지만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독점 프로토콜이며 SIP 프로토콜은 아니다.
이것은 독점 솔루션이기 때문에, 단말기는 스카이프 회사가 제공하는 모듈을 포함해야 하고, 앞서와 같이, 단말기는 IMS 아키텍쳐의 P-CSCF 기능 요소와는 인터페이싱하지 않는다.
단말기의 지능에 기초한 분배형 방식과, 통신 네트워크에서 지능의 위치에 기초한 IMS 방식은 이율 배반적임이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참여식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의 주소, 즉, http://fr.wikipedia,org/wiki/P2P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논리 어드레스와 물리 어드레스 간의 연관을 구현하되 IMS 아키텍쳐와 호환을 유지하도록 하는 분배형 아키텍쳐의 원리를 채택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는 통신 단말기들에 대해 투명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접속된 제 1 통신 클라이언트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통신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적합한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CSCF)의 세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이다. 제 2 통신 클라이언트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접속되거나 또는 원격이고 질의 기능 요소(I-CSCF)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다.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또한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경로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라우팅 방법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이들 라우팅 방법이 분배형 해싱 테이블을 구현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행 방법에 따르면, 라우팅 방법은 논리 어드레스와 연관된 가입자 서버(HSS)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되는 가입자 선택 기능 요소(SLF)를 포함한다.
제 2 실행 방법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은 다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되, 각 도메인은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CSCF)의 세트를 포함한다. 라우팅 방법은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이들 도멘인들 중 하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연합(federating) 기능 요소를 포함하고,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이 실행 방법의 구현에 따르면, 도메인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서빙 기능 요소(S-CSCF)는 분배형 해싱 테이블 노드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은 이 도메인에 접속된 상기 제 1 통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시그널링 메시지가 관련 도메인의 질의 기능 요소(I-CSCF)에 전송되도록 계획될 수 있다. 이 질의 기능 요소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위한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연합 기능 요소에 질의하도록 구성된다.
질의 기능 요소는 예를 들어 THIG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질의 기능 요소(I-CSCF)는 제 1 통신 클라이언트로부터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결정된 수신 통신 클라이언트가 이들 도메인들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연합 기능 요소에 질의하는 일 없이 시그널링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밖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질의 기능 요소(I-CSCF)는 제 1 통신 클라이언트로부터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연합 기능 요소(FF)에 계획적으로 질의하고, 경로를 결정하는 이 요소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시그널링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밖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메인의 질의 기능 요소와 연합 기능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는 직경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Dx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논리 어드레스와 도메인 간의 연관을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초기 기능과, 주어진 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도메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제 2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논리 어드레스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을 위한 연합 기능 요소이다.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다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데, 각 도메인은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CSCF)의 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목적에 따르면, 연합 기능 요소는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는 도메인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들 수단은 분배형 해싱 테이블을 구현한다.
이들 도메인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서빙 기능 요소(S-CSCF)는 분배형 해싱 테이블의 노드를 형성할 수 있다.
연합 기능 요소는 직경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Dx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논리 어드레스와 도메인 간의 연관을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초기 기능과, 주어진 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도메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제 2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접속된 제 1 통신 클라이언트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접속되거나 또는 원격이고 질의 기능 요소(I-CSCF)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제 2 통신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CSCF)의 세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을 통해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이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이 단계가 분배형 해싱 테이블을 구현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실행 방법에 따르면, 이 방법은 논리 어드레스와 연관된 가입자 서버(HSS)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결정은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되는 가입자 선택 기능 요소(SLF)에 의해 수행된다.
제 2 실행 방법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다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데, 각 도메인은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CSCF)의 세트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이들 다수의 도메인 중에서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 결정은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되는 연합 기능 요소에 의해 수행된다.
이 실행 방법의 구현에 따르면,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의 서빙 기능 요소(S-CSCF)가 분배형 해싱 테이블의 노드를 형성한다.
더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은 이 도메인에 접속된 통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시그널링 메시지가 도메인의 질의 기능 요소(I-CSCF)에 전송되도록 계획될 수 있다. 질의 기능 요소는 이들 시그널링 메시지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연합 기능 요소에 질의하도록 계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 방법은 상이한 가능한 실시예로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메인 이름 서버(DNS)와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따른 연합 기능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목적으로 한다.
끝으로, 본 발명은 다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의 도메인에 대한 질의 기능 요소(I-CSCF)를 목적으로 하는데, 각 도메인은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CSCF)의 세트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이들 도메인 사이에 시그널링 메시지를 라우팅하는데 사용되는 연합 기능 요소를 포함한다.
질의 기능 요소는 이 도메인에 접속된 제 1 클라이언트로부터 제 2 클라이언트용으로 지정된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질의 기능 요소는,
- 제 2 클라이언트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도메인들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연합 기능 요소에 질의하는 일 없이 시그널링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밖으로 전송하며,
- 접속되어 잇는 경우, 이 시그널링 메시지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연합 기능 요소에 질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그의 상이한 실시예 및 그의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전술한 바와 같은 IMS 아키텍쳐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상태에 대한 솔루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분배형 해싱 테이블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가입 위치 기능 요소(SLF)는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된다.
SLF(Subscriber Locator Function 또는 Subscription Locator Function) 기능 요소는 몇몇 가입자 서버(HSS)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내에서 가입자 서버(HSS)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기능 유닛은 예를 들어 "IP Multimedia (IM) Subsystem Cx and Dx Interfaces: Signalling flows and message contents" 및 "Cx and Dx interfaces based n the Diameter protocol; Protocol details"라는 제목을 각각 갖는 문헌 TS 29.228 및 TS 29.229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두 문헌은 3GPP 표준호 기구에 의해 작성되었고 그의 웹 사이트에서 입수가능하다.
SLF 기능 요소는 또한 2006년 4월에 발간된 "Th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P-User-Database Private-Header (P-Header)"라는 제목을 갖는 IETE의 RFC 4457에도 언급되어 있다.
이 가입자 선택 기능 요소(SLF)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의 라우팅 방법, 다시 말해, 시그널링 메시지를 대응하는 수신지로 라우팅하기 위해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의 분해(resolution)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수단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 SLF 요소 이외에, 라우팅 방법은 가입자 서버(HSS), 서빙 기능 요소(S-CSCF) 및 도메인 이름 서버(DNS)를 또한 포함한다.
하나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이 몇몇 가입자 서버(HSS)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서, 세 개의 가입자 서버(HSS1,HSS2,HSS3)가 도시되어 있다.
질의 기능 요소(I-CSCF)가 입력 시그널링 메시지(또는 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 질의 기능 요소(I-CSCF)는 이 메시지를 수신 통신 클라이언트로 라우팅하는 방식을 결정해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호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SIP "Invite" 메시지에 대한 경우이다. SIP 프로토콜에 따른 이들 "Invite"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수신 가입자의 논리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Invite"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 통신 클라이언트(T)로 라우팅하기 위해, 질의 기능 요소(I-CSCF)는 가입자 위치 기능 요소(SLF)에 질의하여, 그의 요청에서, "Invite"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지의 논리 어드레스를 제공한다.
이것은 이 논리 어드레스와 연관된 가입자 서버 식별자를 결정하고 그것을 응답 메시지 내에 포함시켜 질의 기능 요소(I-CSCF)에 전송한다.
이 식별자(예를 들어, 그의 IP 어드레스)를 소유함으로써, 질의 기능 요소(I-CSCF)는 정확한 가입자 서버(HSS1), 다시 말해 통신 클라이언트(T)의 사용자 가입자와 관련되고 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비한 가입자 서버(HSS1)에 질의할 수 있다.
가입자 서버는 서빙 기능 요소(S-CSCF)의 식별자와 논리 어드레스 간의 연관을 포함한다. 논리 어드레스를 그의 요청에 제공함으로써, 질의 기능 요소(I-CSCF)는 수신 통신 클라이언트(T)가 등록되는 서빙 기능 요소(S-CSCF1)의 식별자를 응답에서 수신한다.
"Invite" 시그널링 메시지를 이 서빙 기능 요소(S-CSCF1)에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통신 클라이언트(T) 및 이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가입자에 관련된 정보를 갖는다.
그것은 특히 가입자의 논리 어드레스와 통신 클라이언트(T)의 물리 어드레스 간의 연관을 갖는다. 그것은 그의 통신 클라이언트(T)의 물리 어드레스(예를 들어, 그의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수신 가입자에게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통신 클라이언트(T)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에 등록되는 경우, 이 통신 클라이언트(T)가 접속되는 서빙 기능 요소(S-CSCF1), 가입자 서버(HSS1) 및 가입자 선택 기능 요소(SLF)에 정보가 저장된다.
가입자 서버(HSS)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이 크기를 제한할 수 있지만, 가입자 위치 기능 요소(SLF)는 중앙 요소(centralized element)로 유지되며, 그의 크기는 가입자의 수(즉, 등록된 논리 어드레스)에 비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가입자 위치 기능 요소(SLF)는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된다. 따라서, 그것은 그들 사이에 상호접속된 노드(N1,N2...Nn)의 세트를 포함한다.
노드들의 이 네트워크의 동작은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인터페이스로서 아래의 기능, 즉,
-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가입자 서버(HSS)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능,
- 통신 클라이언트(T)의 사용자의 논리 어드레스와 그에 할당된 가입자 서버(HSS1) 간의 연관을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제 1 실행 방법은 가입자 위치 기능 요소(SLF)의 구현만을 수정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것은 동일한 인터페이스와 예를 들어 직경 프로토콜와 호환되는 Dx 인터페이스를 유지한다. 이러한 식으로, 그것은 다른 요소의 수정을 요구하는 일 없이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의 다른 기능 요소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서브시 스템(IMS)은 다수의 도메인(IMS1,IMS2,...IMSn)을 포함한다. 각 도메인은 그 자신의 호 세션 제어 기능(CSCF) 요소들, 즉
- 서빙 기능 요소(S-CSCF)(각각, S1,S2...Sn)와,
- 질의 기능 요소(I-CSCF)(각각, I1,I2,...In)와,
- (필요한 경우) 근접 기능 요소(P-CSCF)(미도시)
를 갖는 전체적으로 별개의 IMS 서브시스템으로서 여겨질 수 있다.
라우팅 방법은 이전의 예에서와 같이, 가입자 선택 기능 요소(SLF1, SLF2...SLFn)와, 서빙 기능 요소(S1,S2,...Sn)와, 도메인 이름 서버(DNS)와, 가입자 서버(HSS, 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들은 또한 연합 기능 요소(FF)를 포함한다. 이 새로운 기능 요소는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도메인(IMS1,IMS2,...IMSn) 중 하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연합 기능 요소(FF)는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된다.
분배형 해싱 테이블
분배형 해싱 테이블(DHT)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와 같은 광범위한 분배형 시스템에서 정보를 저장 및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대체로, 해싱 테이블의 콘텐츠는 네트워크의 모든 스테이션 또는 노드에 걸쳐 분배되고 중앙 장치는 존재 하지 않는다.
이러한 분배형 해싱 테이블은 예를 들어 the review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6, no2에서 2003년 2월에 H. Balakrishna, F. Kaasho다, D. Karger, R. Morris 및 I. Stoicad 의해 발간된 "Looking up Data in P2P Systems"라는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출원 WO2006/068365는 종래 기술의 일부 원리를 개시하고 또한 새로운 분배형 해싱 테이블 방식을 제안한다.
분배형 해싱 테이블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이해를 돕기 위한 간단한 예를 나타내고 있을 뿐, 이 특정 실시예에 본 발명이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분배형 해싱 테이블(DHT)의 노드(X1,X2,X3....XN)의 세트는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테이블(또는 네트워크)에 값을 저장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값을 검색하기 위해, 이들 노드들 중 임의의 노드가 참고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질의 기능 요소(I-CSCF)는 노드(X3)에 질의하여 논리 어드레스를 그에 제공한다.
이것은 이 논리 어드레스에 대해 해싱 함수를 계산한다.
해싱 함수는 큰 세트(모든 가능한 논리 어드레스)에 속하는 값을 감축된 세트에 속하는 제 2 값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함수이다. 이 제 2 값은 1과 N 사이의 정수이고, N은 분배형 해싱 테이블(DHT) 내의 노드의 수이다.
해싱 함수(H)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수학적 특성, 즉 H(x)≠H(y)⇒x≠y를 고려한다.
더 나아가, x=y인 경우, 확률은 H(x)=H(y)인 경우보다 더 커야하고/작아야 한다.
해싱 함수에 의해 반환된 값(i)은 노드(Xi)가 수신된 논리 어드레스와 대응하는 도메인 간의 연관을 소유하는 노드일 가능성이 있음을 노드(X3)에 나타낸다. 그것은 요청을 이 노드(Xi)에 전송한다. 이 노드가 실제로 연관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그것은 논리 어드레스와 연관된 도메인에 반환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그것은 연관을 소유할 수 있는 또 다른 노드(이웃)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반복적으로, 알고리즘은 연관을 소유하는 노드에 집중한다.
새로운 연관의 저장을 위한 원리는 유사하다. DHT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의 임의의 노드는 저장 요청을 수신하고 해싱 함수 및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값을 계산한다.
이 값은 제 1 노드가 저장 요청을 재전송하는 분배형 해싱 테이블(DHT)의 노드의 세트 중 특정 노드를 결정한다. 이러한 식으로 지정된 노드는 연관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행 방법에 따르면, 이 분배형 해싱 테이블의 노드는 서빙 기능 요소(S1,S2,...Sn)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된다.
이 실행 방법은 전체 아키텍쳐 내에 새로운 요소를 부가하지 않기 위해 또한 이미 정의된 기능 요소를 사용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것은 멀티미디어 서브네트워크(IMS)의 현재 표준화에 대해 보다 나은 관점을 허용한다.
우선적으로, 연합 기능 요소(FF)는 다른 기능 요소(서빙 기능 요소( S-CSCF), 또는 질의 기능 요소(I-CSCF))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Dx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Dx 인터페이스는 전형적으로 IETF에 의해 표준화된 직경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에 대해 두 개의 주요 기능, 즉 새로운 연관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기능, 및 제공된 값과 연관된 값을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기능이 사용된다.
도메인에 대한 새로운 클라이언트의 등록
통신 클라이언트(T)가 IMS 통신 서브시스템의 도메인에 등록하는 경우, 연합 기능 요소(FF)의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정보가 저장된다. 이 정보는 이 통신 클라이언트(T)의 사용자의 논리 어드레스와 이 도메인의 식별자 간의 연관을 포함한다.
도메인 그 자체 내에서, 통신 클라이언트는 공지된 방식으로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등록된다.
착신호(incoming call)
착신호 동안, 시그널링 메시지(m)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으로 전송된다. 이 시그널링 메시지(m)는 전형적으로 SIP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Invite" 메시 지이다. 이 시그널링 메시지는 피호출 가입자의 논리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도 4의 예에 있어서, 이 가입자는 도메인(IMS2)에 접속된 통신 클라이언트(T)의 사용자인 것으로 가정한다.
3GPP 및 ESTI TISPAN의 사양에 따른 이 어드레스는 SIP URI(Universal Resource Identifier)이다.
이 어드레스는 a@x.com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a"는 가입자를 식별하는 한편, "x.com"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을 식별한다.
"x.com"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과의 연관은 도메인 이름 서버(DNS)에 의해 수행된다. 그것은 이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의 물리 어드레스(예를 들어,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IETF의 RFC 2782에 의해 정의된 "SRV 등록"으로서 알려진 서비스 등록을 고려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유일한 엔트리 포인트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질의 기능 요소(I1,I2...In)들 중 전부 또는 일부가 DNS 서버 내의 "x.com"과 연관될 수 있다. 이것은 전송할 어드레스를 랜덤한 방식으로, 또는 상이한 질의 기능 요소의 부하, 우선순위 등과 같은 소정의 기준에 기초한 경험적 방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도메인 이름 서버(DNS)는 질의 기능 요소(I1)를 결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시그널링 메시지(m)는 이 기능 요소로 전송된다.
그런 다음, 이것은 연합 기능 요소(FF)에 질의한다.
그의 요청에서, 그것은 피호출 사용자의 논리 어드레스(여기서는, "a@x.com")를 삽입한다.
응답하여, 그것은 도메인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이 식별자를 통해 피호출자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기가 접속된다. 이 식별자는 예를 들어 해당 도메인의 인터페이스 기능 요소의 물리 어드레스(IP)일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이 식별자는 도메인(IMS2)의 것이고, 전송된 물리 어드레스는 인터페이스 기능 요소(I2)의 것일 수 있다.
질의 기능 요소(I1)는 시그널링 메시지(m)를 질의 기능 요소(I2)에 전송할 수 있다.
질의 기능 요소(I2)는 IMS의 표준화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도메인(IMS2)은 그 자체가 표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시그널링 메시지(m)는 피호출자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기(T)로 라우팅될 수 있다.
단말기(T)가 도메인(IMS1)에 접속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또 다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연합 기능 요소(FF)의 질의 이후 질의 기능 요소(I1)는 시그널링 메시지(m)를 그의 도메인(IMS1)(보다 정확히는 서빙 기능 요소(S1))에 직접 전송한다.
발신호
도 4의 예를 참조하면, 도메인(IMS2)에 접속된 통신 클라이언트(또는 단말기)(T)가 발신호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사실 도메인(IMS2)으로부터의 발신호의 경우에만 적용된다.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2)에 접속되는 상황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동작과 관련한 종래 기술에 대응한다.
발신호의 경우, 시그널링 메시지는 도메인 또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2)을 통해 (필요하다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근접 기능 요소(P-CSCF)를 사용하여) 서빙 기능 요소(S2)로 전송된다.
이 서빙 기능 요소(S2)는 이 시그널링 메시지의 경로(또는 루트)를 결정하기 위해 연합 기능 요소(FF)에 질의하도록 계획될 수 있다.
두 가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피호출자가 도메인들(IMS1,...IMSn) 중 하나에 접속되거나 또는 다른 네트워크 혹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착신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연합 기능 요소(FF)는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가 접속되는 도메인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능 요소(S2)는 연합 기능 요소(FF)에 계획적으로 질의한다. 피호출자가 다른 도메인들 중 하나에 접속되는 경우, 연합 기능 요소는 이것을 결정하고 결정된 도메인의 식별자를 전송한다. 피호출자가 이들 도메인들(IMS1...IMSn)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연합 기능 요소(FF)는 그의 어드레스를 찾지 않고,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가 도메인(IMS1...IMSn) 밖에 있다는 의미로 서빙 기능 요소(S2)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특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특정 메시지는 에러 메시지일 수 있거나 또는 정보 베이스에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연합 기능 요소(FF)에 질의해야 하는 일 없이, 통신 클라이언트가 도메인들(IMS1...IMSn) 중 하나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서빙 기능 요소가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행 방법에 따르면, 도메인은 모든 발신 시그널링 메시지가 질의 기능 요소(I-CSCF)에 전송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 실행 방법은 예를 들어 THIG(Topology Hiding Internetwork Gateway)의 기능을 질의 기능 요소(I-CSCF)에 부여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이 질의 기능 요소(I-CSCF)는 IMS 서브-시스템과 외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로서만 동작하다. 그것은 또한 이들 외부 네트워크에 대해 IMS의 내부 토폴로지를 엄폐하는데 사용된다.
THIG 게이트웨이의 특징은 3GPP의 문서 TS 24.228 및 TS 23.228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실행 방법에서, 연합 기능 요소에 질의하도록 구성된 것은 인터페이스 기 능 요소이다.
이 질의는 계획적일 수 있다. 즉, 통신 클라이언트(T)로부터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질의 기능 요소(I2)는 연합 기능 요소(FF)에 질의한다. 이것은 피호출 클라이언트가 접속되는 도메인의 식별자 또는 피호출 클라이언트가 임의의 도메인(IMS1,..IMSn)에 접속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값을 통해 응답한다.
앞서 기술한 실행 방법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질의 기능 요소(I2)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면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즉, 시그널링 메시지의 수신자)가 도메인들(IMS1...IMSn)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수단은 연합 기능 요소와는 무관하고 시그널링 메시지의 라우팅에 의해 야기되는 통신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질의 기능 요소(I2)는 도메인들 중 하나에 접속된 모든 통신 클라이언트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결정은 이름 변환에 기초할 수 있다. 통신 클라이언트의 논리 어드레스는 전체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x.com이라는 주소는 단말기 "a"가 도메인 이름 "x"에 의해 결정된 전체 도메인에 접속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환을 이용하면, 질의 기능 요소를 통해 이 이름이 그 자신의 이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쉽게 결정하게 된다.
이름이 대응하지 않는 경우, 그것은 클라이언트가 또 다른 네트워크에 속하 고 시그널링 메시지는 외부로 라우팅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름이 대응하는 경우, 그것은 연합 기능 요소에 질의해야 하고 시그널링 메시지는 이 연합 기능 요소(FF)에 의해 주어진 응답에 대응하는 도메인으로 라우팅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모든 발신 시그널링 메시지가 질의 기능 요소를 통과하는 이 동작 방법("THIG" 방법)은 질의 기능 요소의 변경만을 필요로 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착신호 또는 발신호의 경우, 연합 기능 요소(FF)에 질의하는 것이 이들 요소이며, 따라서 오직 이들은 이 목적을 위해 구성되고 연합 기능 요소(FF)로부터의 응답을 처리할 필요가 있다.
다른 기능 요소, 특히 서빙 기능 요소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의 전체 아키텍쳐에 대한 새로운 특징의 영향, 및 그 추가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모든 경우, 질의 기능 요소("THIG 방법") 또는 서빙 기능 요소(다른 실행 방법)는 수신 통신 클라이언트가 (그 자신의 수단을 통해 또는 연합 기능 요소(FF)의 질의를 통해) 도메인들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것은 시그널링 메시지를 네트워크 밖으로 전송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그것은 시그널링 메시지를 연합 기능 요소(FF)에 의해 전송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메인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도메인)의 보다 작은 세트를 연합하여 보다 큰 하나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전체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은 사실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그의 구현을 엄폐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고 다수의 도메인(IMS1,IMS2...IMSn)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연합 기능 요소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아키텍쳐를 구성하고 다수의 도메인으로의 그의 분류(breakdown)가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자 및 통신 네트워크의 나머지에 대해 투명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그런 다음, (크기가 감소된) 소정의 도메인을 사설 운영자에 의한 관리에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메인은 회사 또는 회사의 자회사를 나타낼 수 있고 그의 관리는 이 회사 또는 이 자회사의 관리자의 책임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도메인을 연합하는 전체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외부 네트워크에 대해 인터페이스를 보증하는 운영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두 가지 구현이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 도메인(IMS1,IMS2...IMSn)에 포함된 가입자 선택 기능 요소(SLF)는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되고 이들 도메인은 연합 기능 요소(FF)에 의해 연합된다.
아키텍쳐의 관점에서, 연합 기능 요소(FF)는 다른 기능 요소와 통합될 수 있다. 특히, 연합 기능 요소(FF)를 포함하는 블록과 도메인 이름 서버(DNS)는 시스템을 형성하는 단일 기능으로 통합될 수 있다.

Claims (31)

  1.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접속된 제 1 통신 클라이언트(T)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통신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시그널링 메시지(m)를 전송하는데 적합한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S-CSCF, I-CSCF)의 세트- 상기 제 2 통신 클라이언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에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원격일 수 있고 질의 기능 요소(I-CSCF)를 통해 액세스가능함 -와,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m)의 전송을 위한 경로를 결정하는 라우팅 방법을 포함하되,
    상기 라우팅 방법은 분배형 해싱 테이블(distributed hasihg table)을 구현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방법은 상기 논리 어드레스와 연관된 가입자 서버(HSS1,HSS2)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되는 가입자 선택 기능 요소(SLF)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되, 각 도메인은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S-CSCF, I-CSCF)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라우팅 방법은 상기 논리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상기 도메인들 중 하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되는 연합 기능 요소(FF)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서빙 기능 요소(S-CSCF)는 상기 분배형 해싱 테이블의 노드를 형성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은 상기 도메인에 접속된 상기 제 1 통신 클라이언트(T)로부터의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가 상기 도메인의 상기 질의 기능 요소(I-CSCF)에 전송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질의 기능 요소 그 자체는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연합 기능 요소(FF)에 질의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기능 요소(I-CSCF)는 THIG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구현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기능 요소(I-CSCF)는 상기 제 1 통신 클라이언트(T)로부터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결정된 수신 통신 클라이언트가 상기 도메인들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연합 기능 요소(FF)에 질의하는 일 없이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밖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기능 요소(I-CSCF)는 상기 제 1 통신 클라이언트(T)로부터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연합 기능 요소(FF)에 계획적으로 질의하고, 경로를 결 정하는 이 요소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밖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의 상기 질의 기능 요소와 상기 연합 기능 요소(FF) 간의 인터페이스는 직경 프로토콜(Diameter protocol)을 구현하는 Dx 인터페이스인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의 상기 질의 기능 요소와 상기 연합 기능 요소(FF) 간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논리 어드레스와 도메인 간의 연관을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제 1 기능과 주어진 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도메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제 2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11.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어드레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13. 다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용 연합 기능 요소(FF)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메인 각각은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S-CSCF, I-CSCF)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합 기능 요소는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도메인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단은 분배형 해싱 테이블을 구현하는
    연합 기능 요소.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서빙 기능 요소(S-CSCF)가 상기 분배형 해 싱 테이블의 노드를 형성하는
    연합 기능 요소.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직경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Dx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연합 기능 요소.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어드레스와 도메인 간의 연관을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제 1 기능과 주어진 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도메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제 2 기능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연합 기능 요소.
  17. 다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의 도메인을 위한 질의 기능 요소(I-CSCF)에 있어서,
    각각의 도메인은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CSCF)의 세트와,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상기 도메인들 사이에서 시그널링 메시지를 라우팅하는데 사용되는 연합 기능 요소(FF)를 포함하고,
    상기 질의 기능 요소는 상기 도메인에 접속된 제 1 클라이언트(T)로부터 제 2 클라이언트용으로 의도된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질의 기능 요소는 또한,
    - 상기 제 2 클라이언트가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의 상기 도메인들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연합 기능 요소(FF)에 질의하는 일 없이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밖으로 전송하며,
    -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연합 기능 요소(FF)에 질의하도록 구성된
    질의 기능 요소(I-CSCF).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합 기능 요소(FF)와의 인터페이스는 직경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Dx 인터페이스인
    질의 기능 요소.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은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질의 기능 요소.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합 기능 요소(FF) 간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논리 어드레스와 도메인 간의 연관을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제 1 기능과 주어진 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도메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제 2 기능을 포함하는
    질의 기능 요소.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어드레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질의 기능 요소.
  22.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접속된 제 1 통신 클라이언트(T)와 제 2 통신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S-CSCF, I-CSCF)의 세트를 포함하는 상 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통해 시그널링 메시지(m)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클라이언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원격일 수 있고 질의 기능 요소(I-CSCF)를 통해 또한 액세스가능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분배형 해싱 테이블을 구현하는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되는 가입자 선택 기능 요소(SLF)를 통해 상기 논리 어드레스와 연관된 가입자 서버(HSS1, HSS2)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다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되, 각 도메인은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S-CSCF, I-CSCF)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분배형 해싱 테이블에 의해 구현되는 연합 기능 요소(FF)를 통해 상기 논리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서빙 기능 요소(S-CSCF)는 상기 분배형 해싱 테이블의 노드를 형성하는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 방법.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은 상기 도메인에 접속된 통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가 상기 도메인의 상기 질의 기능 요소(I-CSCF)에 전송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질의 기능 요소 그 자체는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연합 기능 요소(FF)에 질의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 방법.
  27. 데이터 처리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청구항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제품.
  28. 도메인 이름 서버(DNS)와, 청구항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다른 연합 기능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29. 다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있어서,
    각 도메인은 적어도 하나의 호 세션 제어 기능 요소(S-CSCF, I-CSCF)와, 분배형 해싱 테이블을 구현하고 시그널링 메시지의 발송자에 대해 투명한 방식으로 착신 시그널링 메시지를 적절한 도메인으로 라우팅함으로써 상기 도메인을 연합하는데 사용되는 연합 기능 요소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는 사설 운영자에 의해 관리는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설 운영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의 운영자 및 상기 연합 기능 요소(FF)에 대해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KR1020097016010A 2007-01-29 2007-12-06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 방법, 질의 기능 엘리먼트 및 연합 기능 엘리먼트 KR101375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52924A FR2912023B1 (fr) 2007-01-29 2007-01-29 Architecture ims utilisant une table de hachage distribuee
FR0752924 2007-01-29
PCT/EP2007/063450 WO2008104241A1 (fr) 2007-01-29 2007-12-06 Architecture ims utilisant une table de hachage distribué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677A true KR20090112677A (ko) 2009-10-28
KR101375983B1 KR101375983B1 (ko) 2014-03-18

Family

ID=3847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010A KR101375983B1 (ko) 2007-01-29 2007-12-06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 방법, 질의 기능 엘리먼트 및 연합 기능 엘리먼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83744B2 (ko)
EP (1) EP1950926B1 (ko)
JP (1) JP5444003B2 (ko)
KR (1) KR101375983B1 (ko)
CN (1) CN101247411A (ko)
FR (1) FR2912023B1 (ko)
WO (1) WO2008104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4285A1 (de) * 2009-07-21 2011-02-03 Deutsche Telekom Ag Verteiltes Netzwerkregister
CN102148739B (zh) * 2010-02-05 2014-03-1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ims会话路由控制方法及系统
US9215204B2 (en) * 2011-10-31 2015-12-15 Avaya Inc. Federation route cache based on dynamic domain name system server
CA2943230C (en) * 2014-03-18 2018-07-17 nTrust Technology Solutions Corp. Virtual currency system
US10776761B2 (en) 2014-03-18 2020-09-15 nChain Holdings Limited Virtual currency system
US9398018B2 (en) 2014-03-18 2016-07-19 nTrust Technology Solutions Corp. Virtual currency system
US9830580B2 (en) 2014-03-18 2017-11-28 nChain Holdings Limited Virtual currency system
FR3131153B1 (fr) * 2021-12-17 2024-04-26 Univ Bordeaux Mécanismes de communication avec un service accessible via un réseau de télécommunication prenant en compte la mobilité des services, des utilisateurs et des équipemen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7584A1 (en) * 2001-11-20 2003-05-22 Nokia Corporation SIP-level confidentiality protection
US9451422B2 (en) * 2003-03-17 2016-09-2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system and network device for routing a message to a temporarily unavailable network user
US8817772B2 (en) * 2003-07-02 2014-08-26 Nokia Corporation Function mode routing
WO2006068365A1 (en) * 2004-12-21 2006-06-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2p overlay network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US7711351B2 (en) * 2005-08-17 2010-05-04 Cingular Wireless Ii Llc Advice of charge for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services without utilizing an application server
US7796990B2 (en) * 2006-09-14 2010-09-14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the routing of multimedia communication related signa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04241A1 (fr) 2008-09-04
US9083744B2 (en) 2015-07-14
KR101375983B1 (ko) 2014-03-18
US20080181200A1 (en) 2008-07-31
CN101247411A (zh) 2008-08-20
FR2912023A1 (fr) 2008-08-01
JP5444003B2 (ja) 2014-03-19
FR2912023B1 (fr) 2014-07-04
JP2010517453A (ja) 2010-05-20
EP1950926B1 (fr) 2013-06-05
EP1950926A1 (fr)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00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based services to non-registering endpoints
US8325905B2 (en) Routing calls in a network
US103974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ll to an aggregate endpoint device
US8335852B2 (en) Contact destin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network system, node, and contact destin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gram
KR101375983B1 (ko)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 방법, 질의 기능 엘리먼트 및 연합 기능 엘리먼트
US88675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ll to an aggregate endpoint device
CN101321400B (zh) 通信系统
CN100574474C (zh) 一种通讯系统中建立通讯业务连接的方法
EP2845359B1 (en) Call routing for ip multimedia subsystem users
KR100807863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US20120202494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3094059A1 (en) Routing voice over lte call invites in a terminating ims
US86113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homing to an aggregate endpoint device
KR101360151B1 (ko) Gruu 사용 가입자 간의 ims망에서의 sip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31787A (ko) Ims망의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Avgeropoulos Service Policy Management for User-Centric Services in Heterogeneous Mobil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