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035A - 비데용 필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 - Google Patents

비데용 필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035A
KR20090112035A KR1020080037705A KR20080037705A KR20090112035A KR 20090112035 A KR20090112035 A KR 20090112035A KR 1020080037705 A KR1020080037705 A KR 1020080037705A KR 20080037705 A KR20080037705 A KR 20080037705A KR 20090112035 A KR20090112035 A KR 20090112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idet
case
generating means
c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선
Original Assignee
조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선 filed Critical 조재선
Priority to KR102008003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035A/ko
Publication of KR2009011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3Filler pipe 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8Antimicrobi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필터 유니트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 1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케이스 부재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저장공간을 가지며 다공성부재로 이루어진 필터본체와, 상기 저장공간에 채워지며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필터 부재를 통하여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후 향이 가미되도록 하는 향발생수단과, 상기 필터본체의 개구 측에 설치되어 물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는 보조필터를 구비한다.
비데, 다공성, 향, 물, 세라믹

Description

비데용 필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filter and filter unit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비데에 공급되는 물을 필터링하여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비데에 공급되는 물에 향기를 가미 할 수 있는 비데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가정에서 사용하도록 공급되는 물은 수돗물, 지하수 또는 오수 등이 이용된다. 이러한 수돗물 또는 지하수는 각 가정으로 연결되는 공급관의 노후나 수질 오염에 의해 중금속과 같은 각종 오염 물질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수돗물의 경우에는 수돗물의 정화 과정 중, 각종 유해균을 살균하기 위해 사용된 염소 성분에 의해 소독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물을 변기에 설치된 비데에 사용하는 경우 이물질로 인하여 정밀한 구조를 가지는 비데구성 부품이 손상되거나 오동작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가정용 변기에는 수돗물을 사용하게 되는데, 배변 후 배출된다 하여도 화장실에 대한 선입관과 화장실 고유의 냄새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인식이 좋지 않으며, 특히 비데를 사용 후 세척 부위로부터 냄새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 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297687호에는 아로마향 비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비데는 하우징의 출수관, 개폐밸브와 노즐 사이의 물공급배관 또는 노즐팁 내부에 고농축 중공원통형의 아로마향이 함침된 아로마 팩이 삽입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아로마향 비데는 물의 공급관로 상에 단순히 아로마 팩이 삽입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된다.
그리고 비대에 공급되는 물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하기 어렵고, 물의 공급관로 상에 아로마 팩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을 필터링 하고, 이를 통과한 물을 살균할 수 있으며, 물에 향기를 제공할 수 있는 비데용 필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며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비데용 필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필터는 규조토가 소결 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측에 개구가 형성된 저장공간을 가지며 다공성 부재로 이루어진 필터본체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에는 질산은(AgNO3)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은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내측 공간으로부터 개구 측으로 확개되는 제1테이퍼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에는 향발생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는 향발생수단이 저장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필터가 더 구비된다.
상기 향 발생수단은 나노기공을 가지고 있는 합성수지볼 또는 세라믹볼에 각종 향이 함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와 아로마 오일 혼합되어 성형되어 지거나 아로 오일과 비타민가 혼합된 겔 타입 또는 아로마 오일이 겔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데용 필터는 규조토에 질산은이 함유되어 성형 및 소결된 것으로 중공부를 가지는 필터본체와, 상기 필터본체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보조 필터들을 구비하여 되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본체와 보조필터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향발생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의 필터 유니트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 1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케이스 부재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개 구가 형성된 저장공간을 가지는 다공성부재로 이루어진 필터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 또는 필터의 외주면과 필터 케이스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향발생수단이 더 구비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의 필터 유니트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 1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케이스 부재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며 적층되는 것으로 규조토와 질산은이 혼합된 단위 필터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 필터들의 사이에 향 발생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필터 유니트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 1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케이스 부재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저장공간을 가지는 다공성부재로 이루어진 필터를 구비하며,
필터케이스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와 결합되어 비데로 공급되는 물에 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향발생 유니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발명은 비데용 필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는 물의 살균 및 향을 제공 하여 비데 사용자에게 향을 제공함으로서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배변 후 비데를 이용한 세정 시 노즐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만을 이용한 세정 시 냄새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불쾌감을 주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필터 유니트는 비데에 사용되는 물을 살균함과 아울러 향을 가미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10)는 후술하는 필터가 설치되는 내부공간부(21)를 가지는 필터 케이스(20)와, 상기 필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저장공간을 가지며 다공성부재로 이루어진 필터본체(33)를 가진 필터(3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필터 유니트(10)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20)는 비데의 원수 공급라인의 공급측과 연결되는 유입구(22)가 형성된 제 1케이스 부재(24)와, 상기 제 1케이스 부재(24)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부(21)를 형성하며 유출구(26)가 형성된 제 2케이스부재(2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내부 공간부(21)를 형성하기 위한 제 1,2케이스 부재(24)(25)의 결합은 나사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 결합수단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특히 상기 케이스(2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필터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부(21)를 구획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 고 설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필터(30)는 다공성 부재, 즉, 다공성 세라믹, 부직포, 압축성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22)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체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유출구(26)와 연결되는 개구(31)를 가지는 저장공간(32)을 가진 필터 본체(33)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유출구(26)와 개구(31)의 연결은 상기 필터(30)의 가장자리를 상기 유출구(26)의 가장자리와 접합하여 케이스(20)의 내부 공간부(21)와 구획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30)는 다공성 세라믹 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30 내지 250 매쉬의 규조토와, 상기 규조토 100 기준 중량부에 질산은(AgNO3) 0.05 내지 3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 1000~1300℃로 소성하여 제조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필터(30)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상협 하광의 형태(도 1참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37)를 가지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3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하부는 각각 커버부재(35)와 보조 필터(36)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필터(30)가 상협 하광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30)의 저장공간(32)은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확개된 제 1테이퍼부(32a)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30)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부직포는 압축성형되어 실질적인 필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향 발생수단(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32)에 설치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필터(30)의 외주면과 케이스(2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3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향발생수단(40)은 원통형의 중공부(37)에 설치되거나 원통형의 필터 외주면과 케이스(20)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향발생수단(40)은 나노기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볼에 천연성분의 향 즉, 페톤치드, 천연아로마 오일, 아로마 오일과 비타민씨가 함침되거나 혼합되어 제조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향발생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향발생수단은 아로마 오일과 어성초, 인진숙, 산국 등과 같은 한방약재와 비타민 씨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향발생수단은 합성수지와 아로마 오일 비타민 씨가 혼합되어 성형되거나 천연 아로마 오일과 비타민 씨 등이 겔타입으로 이루어지거나 아로마 오일이 겔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케이스(20)의 상하부에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타입의 단위필터(61)(62) 또는 단위 부직포(63)(64)가 설치되고 이들의 사이에 향발생수단(40)이 설치된다. 상기 향발생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필터 유니트(10)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과 연결되어 물을 필터링 함과 아울러 살균하는 제 1케이스 부재(24)와, 상기 제 1케이스 부재(24)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부(21)를 형성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케이스부재(25)를 포함하는 필터 케이스(20)와, 상기 필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출구(26)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저장공간을 가지는 다공성부재로 이루어진 필터(30)를 구비하며, 필터 유니트(10)의 유입구와 연결되어 또는 유출구와 결합되어 비데로 공급되는 물에 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향발생유니트(50)를 구비한다.
상기 향발생유니트(50)는 별도의 향 발생케이스(51)에 상술한 바와 같이 향발생수단 즉,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볼에 향이 함침되어 이루어진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합성수지와 향 발생 재료 혼합되어 겔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니트(10)와 향발생 유니트(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관에 의해 연결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 필터 유니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유니트(10)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과 연결되어 물을 필터링 함과 아울러 살균하는 제 1케이스 부재(24)와, 상기 제 1케이스 부재(24)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부(21)를 형성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케이스부재(25)를 포함하는 필터 케이스(20)와, 상기 필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 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출구(26)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저장공간을 가지는 다공성부재인 세라믹 필터 부직포, 압축 부직포등으로 이루어진 필터(30)를 구비하는데, 필터케이스(20)의 일측에 액상의 향을 공급하기 위한 향공급수단(70)을 더 구비한다. 이 향공급수단(70)은 액상이 저장되는 저장탱크(71)와, 이 저장탱크(71)와 상기 케이스(20)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관(72)과 이 연결관(72)에 설치되는 밸브(73)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유입구와 비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과 나사 결합되거나 원터치 커플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용 필터 유니트는 비데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필터 유니트(10)는 유입구(21)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 필터부재(30)를 통과하면서 이 물이 제거됨과 아울러 살균된다. 특히 비데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향을 함유시킬 수 있으므로 배변 후 비데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진 후 잔류 냄새에 의한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특히, 필터 유니트의 내부에 향발생수단인 향이 함침된 합성수지 볼, 세라믹볼 또는 겔타입의 볼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터 유니트의 교환 시 필터와 향발생수단을 교환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향 발생 유니트와 필터 유니트는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저장탱크(71)와 연결관을 이용하여 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필터와 향 발생수단의 별도 관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필터 유니트 화장실의 비데 외에도 주방, 보일러실, 세면대와 같은 곳에 설치되어 물이 사용자에게 배출되기 전에 정화 및 향을 가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필터유니트를 통해 살균 및 향 발생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다음 실험들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실험 1 - 일반 사용자
본 실험에서는 무작위로 선출된 30명의 사람들에게 본 발명에 따른 필터유니트를 이용하여 살균 및 향이 첨가된 물과, 다공성 필터에 의해 살균 및 정화되지 않은 물의 화되지 않은 물을 각각 10일간 사용하고 난 후, 다음 항목에 대하여 0(불만족)~10(만족)점까지 점수를 부여하게 하고 이를 정리하여 다음 표를 얻었다.
평가항목 정화된 물 정화되지 않은 물 비고
살균효과 8.4 7.5
비대사용후 만족도 8.0 7.2
향발생 10.0 6.2
악취 8.9 7.1
각 사용자들은 화장실에서 세안, 샤워 및 식기 세정 시에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필터에 의해 살균 및 향이 발생된 물을 사용한 후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만족도를 표시하였는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다공성 필터에 의해 살균 및 향이 첨가된 물을 사용하고 난 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필터에 의해 살균 및 향이 첨가된 물을 비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향의 발생이 탁월하여 만족도가 매우 좋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도 11에 도시된 사진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와 기존의 필터를 동일 조건의 수돗물을 사용하는 비대에 장착한 후 1000리터의 물을 필터링 한 후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 중 우축에 위치된 것은 본원 발명의 필터이며 좌측에 위치된 필터는 종래의 필터이다. 사진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필터에 의한 이물의 필터링 능력이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필터는 물에 잔류하는 오염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고, 물을 향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양질의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필터 유니트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데용 필터 유니트의 분리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필터 유니트의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분리 사시도,
도 6은 필터유니트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와 종래의 부직필터의 사용 후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진.

Claims (11)

  1. 규조토가 소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측에 개구가 형성된 저장공간을 가지며 다공성 부재로 이루어진 필터본체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본체에는 질산은(AgNO3)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내측 공간으로부터 개구 측으로 확개되는 제1테이퍼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에는 향발생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개구는 향발생수단이 저장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필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향 발생수단은 나노기공을 가진 합성수지볼 또는 세라믹볼에 각종 향류가 함침되어 이루어지거나 아로마 오일과 비타민 씨가 혼합된 겔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필터.
  6. 규조토와 질산은이 혼합되어 성형 및 소결되며 중공부를 가지는 필터본체와, 상기 필터본체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보조 필터들을 구비하여 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필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와 보조필터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설치되는 향발생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필터.
  8.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 1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케이스 부재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저장공간을 가지는 다공성부재로 이루어진 필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필터 유니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 또는 필터의 외주면과 필터 케이스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향발생수단이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10.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 1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케이스 부재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며 적층되는 것으로 규조토와 질산은이 혼합된 단위 세라믹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단위 필터들의 사이에 향 발생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11.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 1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 1케이스 부재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필 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저장공간을 가지는 다공성부재로 이루어진 필터를 구비하며,
    필터 케이스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와 결합되어 비데로 공급되는 물에 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향발생 유니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유니트.
KR1020080037705A 2008-04-23 2008-04-23 비데용 필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 KR20090112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705A KR20090112035A (ko) 2008-04-23 2008-04-23 비데용 필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705A KR20090112035A (ko) 2008-04-23 2008-04-23 비데용 필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035A true KR20090112035A (ko) 2009-10-28

Family

ID=4155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705A KR20090112035A (ko) 2008-04-23 2008-04-23 비데용 필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0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7795A (zh) * 2018-08-24 2018-11-23 中山市美图塑料工业有限公司 一种卫生洁净寿命长的座便器
KR20210023714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비안 화장실 비데용 기능성 필터
KR20210029087A (ko) * 2019-09-05 2021-03-15 주식회사 비안 필터 선택 기능을 갖는 비데시스템
WO2024076001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비안 캡슐형 비데용 필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7795A (zh) * 2018-08-24 2018-11-23 中山市美图塑料工业有限公司 一种卫生洁净寿命长的座便器
CN108867795B (zh) * 2018-08-24 2023-07-11 中山市美图塑料工业有限公司 一种卫生洁净寿命长的座便器
KR20210023714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비안 화장실 비데용 기능성 필터
KR20210029087A (ko) * 2019-09-05 2021-03-15 주식회사 비안 필터 선택 기능을 갖는 비데시스템
WO2024076001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비안 캡슐형 비데용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9098A (zh) 滤水壶
KR20090112035A (ko) 비데용 필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 유니트
CN206875624U (zh) 一种公共厕所使用的高效空气净化装置
CN210520885U (zh) 一种杀菌除臭马桶盖组件
CN102018984A (zh) 空气动态净化消毒车
KR101690106B1 (ko) 살균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전
KR102109301B1 (ko) 휴지통과 냄새가 없는 순환수세 이동식 화장실
KR20140058054A (ko) 정수기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N210000215U (zh) 一种房车用节水装置
CN112358099A (zh) 一种组合式家用净水器
JPH0852456A (ja) シャワー用水の芳香付与装置
CN210320404U (zh) 一种空气消毒除味净化器
KR20050108475A (ko) 직관식 염소제거 정수기
KR200363659Y1 (ko) 직관식 염소제거 정수기
CN215161850U (zh) 一种淋浴废水循环利用装置
CN214469192U (zh) 一种空气洁净器
CN211609540U (zh) 过滤杀菌淋浴设备
KR20200124890A (ko) 스크류타입 습식접촉형 공기청정기
CN217325664U (zh) 一种公共厕所异味气体多联式处理装置
CN2655908Y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210801459U (zh) 一种公厕异味净化多媒体设备
JPH0230072Y2 (ko)
KR200348099Y1 (ko) 배수트랩에 부착되는 공기청향제 케이스
CN213965668U (zh) 一种带有空气杀菌功能的净水机
KR0139864Y1 (ko) 살균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