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419A - Combining structure of pipe, and combin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Combining structure of pipe, and combin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419A
KR20090111419A KR1020080037020A KR20080037020A KR20090111419A KR 20090111419 A KR20090111419 A KR 20090111419A KR 1020080037020 A KR1020080037020 A KR 1020080037020A KR 20080037020 A KR20080037020 A KR 20080037020A KR 20090111419 A KR20090111419 A KR 20090111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main
joint pipe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재
Original Assignee
정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재 filed Critical 정영재
Priority to KR1020080037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1419A/en
Publication of KR2009011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4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0Pipe-lines

Abstract

PURPOSE: A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are provided to reduce the total weight of the structure by wrapping and adhering a synthetic tape on the weld part between a main pipe and a joint pipe and the whole joint pipe. CONSTITUTION: A pipe connection structure comprises a pair of main pipes(100,200) which have a fitting groove on one end and arranged at an interval, a joint pipe(300) interconnected between the ends of the main pipes, and a reinforcing adhesive layer(400) formed by rapping and adhering a synthetic tape on the weld part between the main pipes and the joint pipe and the whole joint pipe to reinforce the connection part and the joint pipe.

Description

파이프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Combining structure of pipe, and combining method of the same}Combining structure of pipe, and combin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파이프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파이프를 안정적이면서 중량이 적게 나가는 상태로 연결할 수 있는 파이프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pipe and a coupl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upling structure and a coupling method of a pipe capable of connecting a pair of pip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ble and low weight state.

일반적으로, 길이가 한정된 파이프나 밸브, 축 등을 상호 연결할 때는 파이프나 밸브, 축의 말단부에 플랜지를 용접 접합한 후,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기재를 사용하여 결합한다.In general, when connecting pipes, valves, and shafts of limited length, the flanges are welded to the ends of the pipes, valves, and shafts, and then joined using fastening materials such as bolts and nuts.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파이프(10)(20)를 상호 연결하여 연장할 경우에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주파이프(10)(20) 말단부 및 상기 주파이프(10)(20) 사이를 연결할 이음파이프(30) 말단부에 플랜지(11)(21)(31)를 각각 결합한 후, 각 상기 주파이프(10)(20) 및 상기 이음파이프(30)의 플랜지(11)(21)(31)를 체결기재(40)로써 결합시켜 파이프를 연결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in the case of extending the pair of mutually spaced pipes 10, 20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a pair of main pipes 10, 20 e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main After coupling the flanges (11) (21) (31) to the distal end of the joint pipe (30) to connect between the pipes (10) and (20), the main pipe (10) and the joint pipe (30) of each The flanges 11, 21, 31 are joined by the fastening base 40 to connect the pipes.

그러나, 종래의 플랜지에 의한 상기 주파이프(10)(20)와 상기 이음파이프(30)를 동일 재질의 파이프로 연결 결합할 경우, 내부로 이송되는 유체나 기체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음파이프(30)의 두께는 상기 주파이프(10)(20)의 두께와 같거나 상기 주파이프(10)(20)의 두께보다 크게 제작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However, when connecting the main pipe 10, 20 and the joint pipe 30 by a conventional flange with a pipe of the same material, so as to stably support the pressure of the fluid or gas transferred to the inside The joint pipe 30 has a thicknes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pipes 10 and 20 or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pipes 10 and 20.

따라서, 종래의 플랜지에 의한 파이프를 연장 결합할 경우, 플랜지(11)(21)(31) 및 체결기재(40)와 이음파이프(30)의 중량에 의한 총 설치 중량이 증대됨과 더불어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extending the pipe by the conventional flange, the total installation weight by the weight of the flange 11, 21, 31 and the fastening base 40 and the joint pipe 30 is increased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There is a lot of problems.

그리고, 플랜지(11)(21)(31)에 의한 상기 주파이프(10)(20)와 상기 이음파이프(30)의 결합부위에서 유체나 기체가 누출될 수 있는데 특히 이송되는 유체나 기체가 인화성이 높은 경우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fluid or gas may leak from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pipes 10 and 20 and the joint pipes 30 by the flanges 11, 21, and 31. If this is high, there is a problem inherent in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상호 이격된 주파이프가 이음파이프를 통해 연결시 내부로 이송되는 유체나 기체가 누출되지 않는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설치비용 및 중량이 적게 소요되는 파이프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main pip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rough the joint pipe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does not leak the fluid or gas to be transported to the inside, while the installation cost and weight is low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of a pipe and a coupling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의 결합구조는, 일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주파이프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주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주파이프를 연결하는 이음파이프와; 합성수지테이프를 상기 주파이프와 상기 이음파이프의 결합부분 및 상기 이음파이프를 감싸도록 부착하여 상기 주파이프와 상기 이음파이프의 결합부분 및 상기 이음파이프를 보강하는 보강접착층을 포함한다.Coupling structure of the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engaging groove, a pair of main pipes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spaced apart; A joint pipe having both ends coupled to ends of the main pipe, respectively, for connecting a pair of the main pipes; And a reinforcing adhesive layer that attaches a synthetic resin tape to surround the joint portion of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and the joint pipe to reinforce the joint portion of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and the joint pipe.

여기서, 상기 이음파이프 양단부는 각각 상기 주파이프의 단부에 용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joint pipe are welded to the ends of the main pipe,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주파이프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이음파이프와의 용접에 의한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테이퍼부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form a tapered portion at each end of the main pipe so as to facilitate coupling by welding with the joint pipe.

또한, 상기 이음파이프의 두께는 상기 주파이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joint pipe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pipe.

또한, 상기 합성수지테이프는 카본복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ynthetic resin tape is preferably a carbon composite agent.

더불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격된 한 쌍의 주파이프를 이음파이프로 연결 결합하는 파이프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각 상기 주파이프의 일단부 외주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음파이프의 양단부를 각각 상기 주파이프의 단부에 용접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이프 및 상기 이음파이프를 감싸도록 합성수지테이프를 부착하여 보강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joining method of the pipe for connecting and coupling a pair of spaced main pipe joint, forming a locking groov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each of the main pipe Wow; Welding joints of both ends of the joint pipe to ends of the main pipe, respectively; And attaching a synthetic resin tape to surround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to form a reinforcing adhesive layer.

여기서, 상기 이음파이프는 상기 주파이프에 버트용접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joint pipe is preferably bonded to the main pipe by butt welding.

그리고, 상기 보강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합성수지테이프를 상기 주파이프의 걸림홈, 상기 주파이프와 상기 이음파이프의 결합부분, 상기 이음파이프 전체를 연결상태로 감싸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orming of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may include attaching the synthetic resin tape so as to surround the engaging groove of the main pipe, a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and the entire joint pipe in a connected state.

또한, 상기 합성수지테이프는 카본복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ynthetic resin tape is preferably a carbon composite agent.

또한, 상기 주파이프에 걸림홈을 형성한 후에는, 각각의 상기 주파이프 일단부를 가공하여 테이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fter forming the engaging groove in the main pip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tep of forming a tapered portion by processing one end of each of the main pipe.

또한, 상기 주파이프와 상기 이음파이프를 용접 결합한 후에는, 합성수지테이프가 상기 주파이프 및 상기 이음파이프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도록 표면거칠기를 증대시키는 표면 그라인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fter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are weld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urface grinding step of increasing the surface roughness so that the synthetic resin tape can be stably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본 발명의 파이프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은, 주파이프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이음파이프를 주파이프 양단부에 용접 결합한 후, 주파이프와 이음파이프의 용접 결합부분 및 이음파이프 전체를 가벼우면서 인장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테이프로 감싼 상태로 부착하여 전체 중량 감소 및 이음파이프의 두께 감소에 따른 제조비용을 적게 소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upling method, after joining the joint pip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main pipe to both ends of the main pipe, the tensile strength and lightness of the weld joint and the entire joint pipe of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It is attached to the state wrapped with excellent synthetic tape provide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reduction of the overall weight and the thickness of the joint pip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i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결합구조는, 주파이프(100)(200), 이음파이프(300), 보강접착층(400)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ipe 100, 200, the joint pipe 300,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is provided.

상기 주파이프(100)(200)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개방된 단부가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관 부재이다.The main pipes 100 and 200 are a pair of pipe members positioned to face open ends facing each other.

이러한,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상호 마주보는 각 단부의 외주면 둘레로는 이후 설명될 상기 보강접착층(400)의 양단부를 삽입 걸림되게 하는 걸림홈(110)(210)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forming the engaging grooves 110 and 210 for inserting and engaging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mutually opposite ends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desirable.

즉, 상기 걸림홈(110)(210)은 이후 상기 주파이프(100)(200) 및 상기 이음파이프(300) 내부로 유체나 기체 이송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음파이프(300) 팽창시 상기 보강접착층(400)을 상기 주파이프(100)(200)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양단부를 걸림 고정되게 하는 바, 상기 이음파이프(300) 강도 보강 및 상기 이음파이프(300)와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결합부위를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locking grooves 110 and 210 are then expanded when the joint pipe 300 is expanded by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fluid or gas transfer into the main pipe 100 and 200 and the joint pipe 300.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are fixed so as not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The strength of the joint pipe 300 and the joint pipe 300 and the main pipe 100 are fixed. ) 200 to stably reinforce the coupling portion.

더불어, 상기 걸림홈(110)(210)은 상기 보강접착층(400)의 양단부를 걸림 고정하는 바, 상기 이음파이프(300)에 가해지는 내부의 팽창력이 전체면적에 대해 골고루 전달되게 하여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팽창에 따른 인장력을 상기 보강접착층(400)이 안정적으로 전달받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ngaging grooves 110 and 210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so that the expansion force applied to the joint pipe 300 is evenly transmit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joint pipe. The reinforcement adhesive layer 400 can be stably received and supported by the tensile force resulting from the expansion of the 300.

그리고,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각 단부는 이후 설명될 상기 이음파이프(300)와의 용접에 의한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테이퍼부(120)(220)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end of the main pipe (100, 200) may be formed in the tapered portion (120, 220) to facilitate the coupling by welding with the joint pipe 300 to be described later.

즉,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단부 두께를 가지도록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단부에 테이퍼부(120)(220)를 형성하여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두께보다 작은 상기 이음파이프(300)와의 용접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at is, the main pipes 100 and 200 are formed by forming taper portions 120 and 220 at the ends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so as to have end thicknesse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joint pipe 300. It facilitates welding with the joint pipe 300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nd maintains a stable coupling state.

상기 이음파이프(300)는 한 쌍의 상기 주파이프(100)(2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주파이프(100)(200)를 연결하는 관 부재이다.The joint pipe 300 is a pipe member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main pipes 100 and 200 and connects the main pipes 100 and 200.

이러한,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단 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oth ends of the joint pipe 300 are preferab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양단부는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단부에 안정적인 결합상태 유지와 더불어 내부의 유체나 기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용접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both ends of the joint pipe 300 is welded to maintain a closed state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fluid or gas in the interior of the main pipe (100, 200) and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It is preferab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양단부는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단부에 버트(Butt)용접 한다.More preferably, both ends of the joint pipe 300 is butt welded to the ends of the main pipe (100) (200).

또한,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두께는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joint pipe 30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pipe (100, 200).

즉, 상기 이음파이프(300)와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재질이 동일할 경우,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두께가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두께보다 작음으로 인해 중량 감소와 더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joint pipe 300 and the main pipe (100, 200) of the same material, the weight of the joint pipe 300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pipe (100, 200) Along with the reduction,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여기서,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두께가 상기 주파이프(100)(200) 두께보다 작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강도 약화는 이후 설명될 상기 보강접착층(400)에 의해 보강된다.Here, the strength weakening caused by the thickness of the joint pipe 300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is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보강접착층(400)은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상기 이음파이프(300)를 감싸도록 합성수지테이프를 부착한 부분이다.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is a portion to which a synthetic resin tape is attached to surround the main pipes 100 and 200 and the joint pipe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접착층(400)은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결합부분 및 상기 이음파이프(300) 전체를 감싸도록 합성수지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synthetic resin tape to surrou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pipe 100, 200 and the joint pipe 300 and the whole of the joint pipe 300. .

여기서, 상기 보강접착층(400)은 카본복합제인 합성수지테이프를 부착 형성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is preferably formed by attaching a synthetic resin tape which is a carbon composite.

이러한, 상기 카본복합제인 합성수지테이프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보강접착층(400)은 철판에 비해 4배 이상 가벼운 반면 인장강도는 10배 이상의 고인장, 고탄성을 가지게 되며, 피로 거동에 뛰어난 내성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부착된 대상물의 내부식 성능을 우수하게 한다.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formed by the synthetic resin tape, which is the carbon composite material, is 4 times lighter than steel plates, but has a tensile strength of 10 times or more high tensile strength and high elasticity, and has excellent resistance to fatigue behavior.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attached object.

따라서, 상기 보강접착층(400)은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결합부분에 대한 결합강도 보강 및 부식 방지와 더불어 상기 이음파이프(300)에 대한 인장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Therefore,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reinforce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joint pipe 300 as well as the bond strength reinforcement and corrosion prot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pipe 100, 200 and the joint pipe 300. Don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파이프 결합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결합방법은, 상기 주파이프(100)(200)에 걸림홈(110)(2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상기 이음파이프(300)를 용접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보강접착층(400)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주파이프(100)(200)를 상기 이음파이프(300)로서 연결 결합되게 한다.As such, in the coupling method for forming the pipe coupl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engaging groove (110, 210) in the main pipe (100, 200), the main pipe (100, 200) And a pair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welding the joint pipe 300 and the step of forming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as the joint pipe 300. To b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joining pi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주파이프(100)(200)에 걸림홈(110)(210)을 형성한다.(S1)First, engaging grooves 110 and 210 are formed in the pair of main pipes 100 and 200 spaced apart. (S1)

여기서, 상기 걸림홈(110)(210)은 상기 이음파이프(300)를 결합하고자 하는 각각의 상기 주파이프(100)(200)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ngaging grooves 110 and 210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each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to which the joint pipe 300 is to be coupled.

이러한, 상기 걸림홈(110)(210)은 각 상기 주파이프(100)(200)를 고정한 상태로 홈파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이프(100)(200) 외주면 둘레로 형성한다.The locking grooves 110 and 210 are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by using the grooving device while fixing the main pipes 100 and 200.

이렇게, 상기 주파이프(100)(200)에 걸림홈(110)(210)을 형성한 후에는(S1), 각각의 상기 주파이프(100)(200) 일단부를 가공하여 테이퍼부(120)(220)를 형성할 수도 있다.Thus, after forming the engaging grooves 110 and 210 in the main pipes 100 and 200 (S1), one end of each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is processed to taper portion 120 ( 220 may be formed.

즉, 각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일단부를 그라인더로 가공하면서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단부 두께를 이후 결합될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이후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면서 용접 완료후에는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one end of each of the main pipe (100, 200) with a grinder to form the end thickness of the main pipe (100, 200)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joint pipe (300) to be subsequently coupled, The welding operation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and the joint pipe 300 may be facilitated, and the coupling state may be stably maintained after the welding is completed.

상기 주파이프(100)(200)에 걸림홈(110)(210)을 형성한 후에는(S1),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양단부를 각각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단부에 용접 결합하는 단계(S2)를 수행한다.After the engaging grooves 110 and 210 are formed in the main pipes 100 and 200 (S1), both ends of the joint pipe 300 are welded to ends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respectively. The step of combining (S2) is performed.

이러한, 상기 이음파이프(300)와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용접은 상호 결합된 후 내부의 유체나 기체의 누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버트(Butt) 용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a welding of the joint pipe 300 and the main pipe 100, 200 is preferably a butt (Butt) welding so as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fluid or gas therein after being coupl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주파이프(100)(200)에 용접 결합되는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두께는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결합한다.Here, the thickness of the joint pipe 300 welded to the main pipe 100, 200 is coupled to th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pipe (100, 200).

상기 이음파이프(300)를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결합한 후에는(S2)에는,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상기 이음파이프(300)를 감싸도록 합성수지테이프를 부착하는 보강접착층(400)을 형성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After combining the joint pipe 300 with the main pipe 100, 200 (S2), reinforcement for attaching the synthetic resin tape to surround the main pipe 100, 200 and the joint pipe 300 A step S3 of forming the adhesive layer 400 is performed.

이러한, 상기 보강접착층(400)을 형성하는 단계(S3)는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강도 보강 및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결합부분을 보강하게 된다.The step (S3) of forming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includes reinforcing strength of the joint pipe 300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and the main pipes 100 and 200. )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joint pipe 300 is reinforced.

즉,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합성수지테이프를 상기 주파이프(100)(200)의 걸림홈(110)(210),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결합부분, 상기 이음파이프(300) 전체를 연결 상태로 감싸도록 부착하게 된다.That is, the synthetic resin tape coated with an adhesive on one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s 110 and 210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pipes 100 and 200 and the joint pipe 300, The joint pipe 300 is attached to surround the entire connection state.

여기서, 상기 보강접착층(400)을 형성하는 합성수지테이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강도 보강 및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결합부분을 보강할 수 있도록 카본복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ynthetic resin tape forming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as described above,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joint pipe 300 and reinforces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pipe 100, 200 and the joint pipe 300. It is preferable to use a carbon composite agent to do this.

더불어, 상기 보강접착층(400)을 형성하기 전, 즉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상기 이음파이프(300)를 용접 결합한 후에는 합성수지테이프가 상기 주파이프(100)(200) 및 상기 이음파이프(300)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도록 표면거칠기를 증대시키는 표면 그라인딩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400 is formed, that is, after the main pipes 100 and 200 and the joint pipe 300 are welded to each other, a synthetic resin tape is used for the main pipes 100 and 200 and the joints. Surface grinding may be performed to increase the surface roughness so that the pipe 300 can be stably bon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주파이프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상기 이음파이프(300)를 상기 주파이프(100)(200) 양단부에 용접 결합한 후, 상기 주파이프(100)(200)와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용접 결합부분 및 상기 이음파이프(300) 전체를 가벼우면서 인장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테이프로서 감싼 상태로 부착하여 전체 중량 감소 및 상기 이음파이프(300)의 두께 감소에 따른 제조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elds the joint pipe 300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main pipe thickness to both ends of the main pipe 100 and 200, and then, the main pipe 100 and 200 and the joint pipe. The welding joint portion of the 300 and the whole of the joint pipe 300 is attached to the synthetic resin tape in a light state while excellent in tensile strength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and less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thickness of the joint pipe 300 is reduc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described by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ipe coupling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joining pi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일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주파이프와;A pair of main pipes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acing each other in a spaced apart state; 양단부가 각각 상기 주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주파이프를 연결하는 이음파이프; 및,A joint pipe having both ends coupled to ends of the main pipe, respectively, for connecting a pair of the main pipes; And, 합성수지테이프를 상기 주파이프와 상기 이음파이프의 결합부분 및 상기 이음파이프를 감싸도록 부착하여 상기 주파이프와 상기 이음파이프의 결합부분 및 상기 이음파이프를 보강하는 보강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파이프의 결합구조.Attaching a synthetic resin tape so as to surround the joint portion of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and the joint pipe, and a reinforcing adhesive layer for reinforcing the joint portion of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and the joint pipe. rescu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음파이프 양단부는 각각 상기 주파이프의 단부에 용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결합구조.Both ends of the pipe joint are welded to each of the ends of the main pipe coupling structur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주파이프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이음파이프와의 용접에 의한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테이퍼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결합구조.Each end of the main pipe i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pipe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ered portion is further formed to facilitate the coupling by welding with the joint pip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이음파이프의 두께는 상기 주파이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결합구조.The joint structure of the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joint pipe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pi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합성수지테이프는 카본복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결합구조.The synthetic resin tape i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composite. 이격된 한 쌍의 주파이프를 이음파이프로 연결 결합하는 파이프의 결합방법에 있어서,In the joining method of the pipe to connect the spaced pair of main pipe to the joint pipe, 각 상기 주파이프의 일단부 외주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 locking groove on one end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main pipes; 상기 이음파이프의 양단부를 각각 상기 주파이프의 단부에 용접 결합하는 단계; 및,Welding joints of both ends of the joint pipe to ends of the main pipe, respectively; And, 상기 주파이프 및 상기 이음파이프를 감싸도록 합성수지테이프를 부착하여 보강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결합방법.And attaching a synthetic resin tape to surround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to form a reinforcing adhesive layer.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이음파이프는 상기 주파이프에 버트용접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결합방법.The joint pipe is coupled to the pipe, characterized in that for butt welding to the main pip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보강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Forming the reinforcing adhesive layer, 상기 합성수지테이프를 상기 주파이프의 걸림홈, 상기 주파이프와 상기 이음파 이프의 결합부분, 상기 이음파이프 전체를 연결상태로 감싸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결합방법.And the synthetic resin tape is attached to surround the engaging groove of the main pipe,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and the entire joint pipe in a connected state.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8, 상기 합성수지테이프는 카본복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결합방법.The synthetic resin tape is a joining method of the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composit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주파이프에 걸림홈을 형성한 후에는, 각각의 상기 주파이프 일단부를 가공하여 테이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결합방법.After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in the main pipe, the pipe coupling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 taper by processing one end of each of the main pip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주파이프와 상기 이음파이프를 용접 결합한 후에는, 합성수지테이프가 상기 주파이프 및 상기 이음파이프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도록 표면거칠기를 증대시키는 표면 그라인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결합방법.After welding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to each other, coupling the pipe further comprising a surface grinding step of increasing the surface roughness so that the synthetic tape can be stably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pipe and the joint pipe. Way.
KR1020080037020A 2008-04-22 2008-04-22 Combining structure of pipe, and combining method of the same KR200901114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020A KR20090111419A (en) 2008-04-22 2008-04-22 Combining structure of pipe, and combin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020A KR20090111419A (en) 2008-04-22 2008-04-22 Combining structure of pipe, and combin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419A true KR20090111419A (en) 2009-10-27

Family

ID=4153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020A KR20090111419A (en) 2008-04-22 2008-04-22 Combining structure of pipe, and combin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14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861B1 (en) * 2016-06-21 2017-01-17 김승한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mposite material and composite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861B1 (en) * 2016-06-21 2017-01-17 김승한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mposite material and composit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3349C (en) Multiunit tube join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JP5628146B2 (en) Fluid tight end fittings for composite hoses and methods of assembling composite hoses on such end fittings
JP5876245B2 (en) Repair method of flange joint and jig for repair
KR101805117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high pressure natural gas pipe line utilizing flanged pipes
WO2011082478A1 (en) Pipe repair device
CA3013422A1 (en) Composite conical sleeve
KR101146829B1 (en) Loose flange-type flared pipe joint and steel pipe joining method using the same
US9915383B2 (en) Welded connections of lined pipe
CA2654238C (en) Method of joining a pair of tubular ends
JP2009250407A (en) Connection structure of flange pipe
KR20090111419A (en) Combining structure of pipe, and combining method of the same
Ehsani Repair of corroded/damaged metallic pipelines using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JP6044752B2 (en) Pipe fit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91586B1 (en) Non-metallic Expansion Joint Device
JP4109352B2 (en) Multilayer structure connection method
US10563807B2 (en) Composite conical sleeve
CN200993289Y (en) Composite pipe joint
RU2183784C1 (en) Multi-layer pipe line
CN206831017U (en) Non-metal composite pipe pipeline connecting structure
JP6305111B2 (en) Branch construction method and branch joint
RU199972U1 (en) COUPLING FOR PIPELINE
CN216555990U (en) Heat preservation connection structure of no joint coating of hot line way
KR20120127862A (en) Expansion joi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036950A (en) Flange bolt part sealing implement and sealing method of flange coupling part using the same
CN212056247U (en) Split type flange and pipeline connec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