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702A - u―TSN 망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u―TSN 망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702A
KR20090110702A KR1020080036327A KR20080036327A KR20090110702A KR 20090110702 A KR20090110702 A KR 20090110702A KR 1020080036327 A KR1020080036327 A KR 1020080036327A KR 20080036327 A KR20080036327 A KR 20080036327A KR 20090110702 A KR20090110702 A KR 20090110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r
gateway
vehicle terminal
network
transmiss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기
신경숙
이준희
최훈
김태형
강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어벨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어벨,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어벨
Priority to KR1020080036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0702A/ko
Publication of KR2009011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TSN(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망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단말기(500),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 1 라우터(310) 및 제 2 라우터(320), 상기 제 1 라우터(310) 및 제 2 라우터(320)와 통신 가능한 게이트웨이(210), 및 상기 게이트웨이(21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중앙 관제 서버(100)를 포함하는 u-TSN(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망 내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상기 제 2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할 때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Communication) 기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라우터(32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단말기(500),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 1 라우터(320) 및 제 2 라우터(330), 상기 제 1 라우터(320)와 통신 가능한 제 1 게이트웨이(210), 제 2 라우터(330)와 통신 가능한 제 2 게이트웨이(220), 및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 및 제 2 게이트웨이(22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중앙 관제 서버(100)를 포함하는 u-TSN 망 내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게이트웨 이(210)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웨이(2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할 때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Communication) 기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라우터(33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u-TSN, WAVE, 교통정보, 핸드오버, 인트라 핸드오버, 인터 핸드오버, ITS, UTS, 교통정보수집제공

Description

u―TSN 망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EXECUTING HANDOVER IN 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u-TSN(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망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WAVE 기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도중에 서비스지역 이동에 따른 끊김없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일한 u-TSN망내에서 차량용 단말기들의 액세스 포인트(AP)기능을 수행하는 라우터간의 핸드오버인 인트라핸드오버(Intra Hand-over) 및 u-TSN 간의 핸드오버인 인터핸드오버(Inter Hand-over)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교통량 증가로 인하여 교통 체증이 날로 심각해져감에 따라 실시간 교통정보의 수집과 제공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을 위해서 노변기지국장치와 차량탑재장치간의 단거리전용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하 는 방식, 비콘(Beacon) 통신을 이용하는 방식,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식, 또는 무선랜(LAN; Local Area Network)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이용되었으나 단거리전용통신 방식은 이동 중인 차량간의 끊김없는 통신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핸드오버기능이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통신기술인 CDMA/HSDPA나 WIBRO, TRS, 무선데이터 통신 기술 또한 이동데이터 통신기술을 이용한 음성,데이터 통신서비스에 핸드오버가 지원되고 있기는 하나, 향후 전개될 유비쿼터스 교통한경인 u-TSN에서 차량과 차량간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는 적지 않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 외에도 서비스사업자에 의한 이동통신서비스는 통신망 이용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금부담이  경제적인 문제가 큰 이슈로 대두되어 교통서비스 및 안전을 위한 교통기술로 상용화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무선랜을 이용하는 교통통신방식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무선랜기술을 이용한 무선통신기술에서 핸드오버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기는 하나,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전용망인 u-TSN망에 적용시키기 위한 통신기술로서는 통신자가 간 상호 연결성 문제, 차량간 통신 및 다수 접속 통신에 대한 불안정성 등의 문제점으로 부적합한 기술로 판단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 통신 방식들은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차량용 단말기를 탑재하는 차량의 개인정보 노출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면서, u-TSN 망에서의 효율적인 핸드오버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u-TSN(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망 내에서 빠른 전송속도와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지원하고, 교통이 혼잡하거나 밀집도가 높은 경우에도 정확한 교통정보의 수집 및 제공이 가능하며, 개인 정보의 높은 보안성을 보장하고, 차후 서비스 확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WAVE 기반 통신 방식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서비스 제공 시, 끊김없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량용 단말기(500),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 1 라우터(310) 및 제 2 라우터(320), 상기 제 1 라우터(310) 및 제 2 라우터(320)와 통신 가능한 게이트웨이(210), 및 상기 게이트웨이(21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중앙 관제 서버(100)를 포함하는 u-TSN(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망 내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상기 제 2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할 때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Communication) 기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라우터(32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과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라우터(310)와의 데이터 통신 시 사용했던 호스트 식별자(HID; Host Identification), 상기 제 1 라우터(310)의 주소, 및 상기 게이트웨이(210)의 주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라우터(320)가 상기 게이트웨이(210)로 상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제 2 라우터(320)로부터 전송된 상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전송될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경로를, 상기 제 1 라우터(310) 및 상기 호스트 식별자(HID)에 해당하는 차량용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경로로부터, 상기 제 2 라우터(320) 및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경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의 상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변경된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 2 라우터(320)를 통해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단말기(500),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 1 라우터(320) 및 제 2 라우터(330), 상기 제 1 라우터(320)와 통신 가능한 제 1 게이트웨이(210), 제 2 라우터(330)와 통신 가능한 제 2 게이트웨이(220), 및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 및 제 2 게이트웨이(22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중앙 관제 서버(100)를 포함하는 u-TSN 망 내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웨이(2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할 때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Communication) 기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라우터(33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라우터(320)와의 데이터 통신 시 사용했던 호스트 식별자(HID; Host Identification), 상기 제 1 라우터(320)의 주소, 및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의 주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라우터(330)가 상기 제 2 게이트웨이(220)로 상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게이트웨이(220)가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로 상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에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전송될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 변경에 대한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전송될 상기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경로를,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 상기 제 1 라우터(320) 및 상기 호스트 식별자(HID)에 해당하는 차량용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경로로부터, 상기 제 2 게이트웨이(220), 상기 제 2 라우터(330) 및 차량용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경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의 상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변경된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 2 게이트웨이(220), 상기 제 2 라우터(330)를 통해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 이동중인 차량이 서비스영역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때 끊김없고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u-TSN 망 내, 또는 u-TSN 망 사이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들에서 WAVE 통신방식 및 호스트 식별자(HID) 주소에 의해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빠른 데이터 접근이 가능하고, 간단한 알고리즘만으로도 높은 유 연성, 높은 보안성, 및 데이터 제공의 정확성을 실현하는 효율적인 핸드오버 지원이 가능하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TSN(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망 내에서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네트워크 통신망, 중앙 관제 서버(100), 게이트웨이(210, 220), 라우터(310, 320, 330), 차량용 단말기(5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네트워크 통신망은 무선 또는 유선의 IP 네트워크 통신망일 수 있다.
중앙 관제 서버(100)는 IP 네트워크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게이트웨이(210, 2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중앙 관제 서버(100)는 본 발명에서 언급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교통정보를 관리하는 지자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다. 중앙 관제 서버(100)는 전체적인 u-TSN 망에서 수집된 교통정보를 가공처리하여 저장하고, 차량용 단말기(5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공처리된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게이트웨이(210, 220)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Communications) 기반 교통정보 수집 전용망인 u-TSN 망과 IP네트워크 통신망 사이에서의 망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u-TSN 망 내의 차량용 단말기(500)의 기능 수행, 즉, 교통정보의 수집 및 제공을 지원하기 위한 라우터(310, 320, 330)와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게이트웨이(210, 220)는 u-TSN 망 내의 어드레스를 관리하고, 차량용 단말기(500)의 핸드오버 및 네트워크 보안기능 등을 지원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210, 220)는 u-TSN 망 내에서 수집되는 전체 교통정보 를 가공처리하여 저장하고, 차량용 단말기(5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공처리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관제 서버(100)와 IP네트워크 통신망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중앙 관제 서버(100)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IP네트워크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및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 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을를 지원해야 한다. 즉, u-TSN 망에서 사용되는 호스트 식별자(HID; Host IDentification)에 의해 식별되는 주소(이하, "호스트 식별자 (HID) 주소" 라 함)를 공인 IP주소와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다수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및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 지원에 의해, 공개된 네트워크 통신망과 u-TSN망 사이에 방화벽(Firewall)이 설치되어 외부 공격으로부터 u-TSN 망 내의 네트워크가 보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게이트웨이(210, 220)가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및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을 지원함으로써, 외부 통신망 즉 네트워크 통신망과 연결하는 장비인 게이트웨이(210, 220)에 할당된 공인 IP주소만 외부로 알려지게 되기 때문에, 외부 침입자가 공격하고자 하는 사설 IP주소를 몰라 공격이 불가능해지며, 이에 의해 u-TSN 망 내의 내부 네트워크가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라우터(310, 320, 330)는 WAVE 기반 통신 방식을 통해,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차량용 단말기(5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차량용 단말기(500)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라우터(310, 320, 330) 또는 게이트웨이(210, 220)로 데이터를 라우팅함으로 써,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의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라우터(310, 320, 330)에 의해 차량용 단말기(500)의 단말접속기능이 실현되는 것이다.
차량용 단말기(500)는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과정에서 핸드오버를 위해 WAVE 기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라우터(310, 320, 330)에 접속한다. 이러한 라우터(310, 320, 330)를 통해 차량용 단말기(500)는 다른 차량용 단말기(500)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용 단말기(500)는 수집한 교통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그 내부에 교통정보 응용처리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단말기(500)는 유비쿼터스 차량센서(UVS; Ubiquitous Vehicle Sensor)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밖의 이동 또는 정지 중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다른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핸드오버에 대한 설명에 앞서 도 1에 도시되는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성요소간 통신 방식
1. 게이트웨이와 라우터 간의 통신 방식
먼저, 게이트웨이(210, 220)와 라우터(310, 320, 330) 간 네트워크는 통상의 무선메쉬네트워크(WMN; Wireless Mesh Network)로 이루어진다. 무선메쉬네트워크는 무선인프라 환경에서 고정이나 이동을 가리지 않고 다자간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이다. 이러한, 무선메쉬네트워크는 무선 링크만을 가지는 비 IP 네트워크로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이 다중으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한쪽의 통신망이 끊기는 등 문제가 생겨도 다른 경로로 우회에 데이 터를 보낼 수 있으며, 고속이동 중에도 네트워크의 끊김 없는 통신이 가능하다. 라우터(310, 320, 330)는 방향성 안테나를 구비하여 메쉬네트워크를 구성하며, 라우팅을 위해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접 노드들과의 경로 정보를 얻는 프로토콜인 OLSR(Optimized Link State Routing)을 이용할 수 있다. 
2. 라우터와 차량용 단말기 간의 통신 방식
라우터(310, 320, 330)와 차량용 단말기(500) 간 통신은 WAVE 기반 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진다. WAVE 기반 통신 방식은 802.11x 무선 기술을 이용해 5GHz 대역으로 차량간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교통정보 수집 전용 통신 방식이고, 연결의 지속시간이 짧은 고속 이동체 간의 통신 특성을 감안하여 IP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오버헤드를 사용하지 않는 통신 방식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WAVE 기반 통신을 수행하되 IP 계층 없이 바로 응용 계층에서 상호 연결되는 방식을 사용한다.
u-TSN 망에서 라우터(310, 320, 330)와 차량용 단말기(500) 간 최초의 통신 연결은 WAVE 모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WAVE 모드의 지원을 위해서는 WAVE 모드를 지원하는 제품 또는 칩셋을 이용하여 구현해야 하며, 상용화된 802.11x 장치를 이용하여 WAVE 모드를 에뮬레이션(emulation)할 수도 있다.
한편, 라우터(310, 320, 330)는 802.11x의 채널 중 하나를 제어 채널로 사용하여 WAVE 안내 프레임(WAVE Announcement Frame)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WAVE 안내 프레임은 WAVE 서비스 정보(WSI; WAVE Service Information)라는 필드 형태로 구성되며, 이러한 WAVE 서비스 정보 필드는 제공자 서비스 테이블(PST; Provider Service Table)과 차량용 단말기(500)의 호스트 식별자(HID)를 포함한다. 라우터(310, 320, 330)는 이러한 WAVE 안내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제공자 서비스 테이블(PST)은 서비스 채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호스트 식별자(HID)는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식별자(ID)이다. 즉, WAVE 안내 프레임은 상기 WAVE 안내 프레임을 전송한 라우터(310, 320, 33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서비스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채널은 제공자 서비스 테이블(PST)에서 정의된다. 제공자 서비스 테이블은 WAVE 안내 프레임을 받은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 320, 330)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WAVE 서비스 정보(WSI)는 또한 현재 라우터(310, 320, 330)의 호스트 식별자(H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차량용 단말기(500)는 라우터(310, 320, 330)에서 받은 호스트 식별자(HID)의 프리픽스(prefix)와 차량용 단말기(500)의 호스트 식별자(HID)를 조합하여 스트림에 대한 호스트 식별자(HID)를 생성한다.
핸드오버의 형태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되는 전체 시스템에서 핸드오버가 발생되는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란, 이동 단말기가 해당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 인접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할 때 단말기가 인접 서비스 지역의 새로운 통화 채널에 자동 동조되어 지속적으로 통신 상태가 유지되는 기능을 말한다.
u-TSN 망 내에서의 핸드오버는 이동 중인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차량용 단 말기(500)와 중앙 관제 서버(100)간의 교통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에서 심리스(seamless) 핸드오버, 즉, 핸드오버가 이루어지기 직전의 서비스 품질(QoS)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u-TSN 망 내에서 이루어지는 핸드오버 방식은 크게 2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첫번째는, 동일한 서브 네트워크(sub-network) 내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인트라(intra) 핸드오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시스템에서는, 게이트웨이(210)가 커버하는 영역(a) 및 게이트웨이(220)가 커버하는 영역(b) 각각이 서브 네트워크일 수 있다. 즉, u-TSN 망 내에서의 인트라 핸드오버는 차량용 단말기(500)가 단일 게이트웨이(210, 220)가 커버하는 영역(a, b) 내에서 라우터(310, 320, 330)의 커버리지 영역 사이를 이동할 때, 새로운 라우터(310, 320, 330)에 자동 동조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차량용 단말기(500)가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a) 내에서 라우터(310)와 동조하고 있다가, 다른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할 때, 인트라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다른 u-TSN 네트워크 간에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인터(inter) 핸드오버이다. 즉, 차량용 단말기(500)가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a) 내에서 통신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다른 게이트웨이(220)의 커버리지 영역(b)으로 이동할 때, 인터 핸드오버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핸드오버, 즉, 인트라 핸드오버와 인터 핸드오버 각각에 대해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인트라 핸드오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TSN 망 내에서 인트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트라 핸드오버는 동일한 u-TSN 네트워크 내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즉, 차량용 단말기(500)가 최초로 라우터(310)에 접속했다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나, 동일한 커버리지 영역(a) 내에 있는 다른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단말기(500)가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때에는, 정지 또는 이동 중의 차량용 단말기(500)에 의해 수시로 수집되는 교통정보가 소정 데이터의 형태로 라우터(310, 320, 330), 게이트웨이(210, 220)를 통해 중앙 관제 서버(100)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에는,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라우터(310) 및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중앙 관제 서버(100)로 전송된다(S200).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 중앙 관제 서버(100)로의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차량용 단말기(500)에 의해 생성된 교통정보 관련 데이터가 라우터(310)로 전송된다. 이 때, 차량용 단말기(500)는, WAVE 기반 연결시 할당된 호스트 식별자(HID)를 WAVE단 상위에 붙여 전송한다. 이러한 호스트 식별자(HID)는 차량용 단말기(500)가 이동을 하더라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하기 위한 호스트 식별을 위해 필요하며, u-TSN 망 내에서 차량용 단말기(500)를 식별하기 위한 호스트 식별 자(HID) 주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라우터(310)는 이를 이용하여 IP 데이터그램(IP datagram)을 만든다. 즉, 라우터(310)의 IP를 소스 IP(source IP)로 하고, 라우터(310)의 서비스 포트를 소스 포트로 하여 목적지 포트와 IP를 붙여 IP 데이터그램을 형성시킨다. 이 때, 라우터(310)는 테이블을 관리하며, 호스트 식별자(HID)를 기준으로 테이블을 작성한다.
그 후, 라우터(310)는 상기 IP 데이터그램과 함께 차량용 단말기(500)의 호스트 식별자(HID)를 게이트웨이(210)에 전달한다. 이 때의 전송 프로토콜로는 TCP/IP를 사용할 수 있고, 포트로는 사용가능한 포트를 임의로 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10)는 전송받은 IP 데이터그램과 호스트 식별자(HID)에서 호스트 식별자(HID)를 제거하고,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및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을 수행한다. 즉, 게이트웨이(210)의 네트워크 통신망 IP를 소스로 하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및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을 수행한다. 한편, 게이트웨이(210)는 호스트 식별자(HID)도 함께 관리한다. 즉,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및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에 대한 테이블 작성 시, 호스트 식별자(HID)를 기준으로 테이블을 작성하며, 이렇게 변환되고 작성된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중앙 관제 서버(100)에 전송된다.
한편, 중앙 관제 서버(100)는 차량용 단말기(500)의 이러한 데이터 전송에 대해 응답을 하게 된다.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즉, 서비스 요 청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고(S203), 그 결과를 전송하게 되며, 이러한 데이터 처리의 결과가 중앙 관제 서버(100)의 응답이 되는 것이다.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의 응답이 차량용 단말기(500)에 정상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용 단말기(500)를 탑재한 차량 등의 이동에 의해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벗어나, 동일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a) 내에 존재하는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의 응답이 정상적으로 라우터(320)를 통해 차량용 단말기(500)로 전달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라우터(320)와 WAVE 기반 통신 연결을 완료함과 동시에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즉, 라우터(310)와 WAVE 기반 통신 시 사용했던 호스트 식별자(HID), 라우터(310)의 주소, 및 게이트웨이(210)의 주소를 라우터(320)로 전송한다(S210).
상기 호스트 식별자(HID)는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세션(session)을 형성할 때 사용했던 호스트 식별자(HID) 주소를 그대로 이용하게 된다.
한편,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즉,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항상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 중앙 관제 서 버(100)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수행하면 된다. 즉,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중앙 관제 서버(100)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이, 차량용 단말기(500)가 아직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에 존재할 때 전송이 되었다면,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한 후에는,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재전송할 필요가 없다.
만약,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라 한다면, 라우터(320)는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된 호스트 식별자(HID), 라우터(310)의 주소, 및 게이트웨이(210)의 주소를 확인한 후(S220), 이를 게이트웨이(210)로 전송한다(S225).
한편, 라우터(320)의 IP주소 는 라우팅을 위해 필요한 것이므로,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한 후에는, 라우팅이 라우터(320)의 IP주소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는데, 차량용 단말기(500)의 이동에 따라, 라우팅의 IP주소가 달라지게 되면,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의 데이터 처리의 결과, 즉, 응답에 대한 전송 경로가 달라지게 되어, 동일한 차량용 단말기(500)에 대해 연속적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게이트웨이(210)는 라우터(320)로부터 상기 호스트 식별자(HID), 라우터(310)의 주소, 및 게이트웨이(210)의 주소를 전송 받은 후,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의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및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 시에 만들었던 테이블을 수정한다.
즉,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 시 만들었던 테이블은 차량용 단말기(500)의 호스트 식별자(HID) 및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의 데이터를 라우팅했던 라우터(310)의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테이블에서 라우터(310)의 주소를 라우터(320)의 주소로 변경한다(S230). 게이트웨이(210)가 라우터(320)로부터 호스트 식별자(HID) 및 라우터(310)의 주소 등을 전송받았기 때문에, 이를 기초로 하여,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만들었던 테이블을 찾아낼 수 있고, 이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단말기(500)의 호스트 식별자(HID)는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와 동일하므로, 호스트 식별자(HID)를 바꿀 필요는 없다.
이로 인해, 게이트웨이(210)는 추후,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중앙 관제 서버(100)의 응답을 전송받은 경우, 호스트 식별자(HID)를 이용하여 해당 응답을 전송할 차량용 단말기(500)를 식별해낼 수 있고, 그 응답을 라우팅할 라우터(320)의 IP 주소를 알아낼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관제 서버(100)는 단계 S200에서 수행된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고(S203), 그 처리의 결과, 즉, 응답 데이터를 게이트웨이(210)로 전송한다(S240).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게이트웨이(210)로의 데이터 전송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
데이터 전송을 받은 게이트웨이(210)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경로 및 최종적으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차량용 단말기(500)를 확인하고,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및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을 수행한다(S250).
게이트웨이(210)는 호스트 식별자(HID)를 이용하여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응답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전송될 차량용 단말기(500)를 식별해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210)는 라우터(320)를 통해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였고, 이를 기초로 하여, 차량용 단말기(500)와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였기 때문에, 즉, 차량용 단말기(500)의 동조 라우터를 라우터(310)에서 라우터(320)로 변경하였기 때문에,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 내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도, 중앙 관제 서버(100)로의 응답 데이터가 라우터(320)를 통해 차량용 단말기(500)로 전송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기초로 하여, 게이트웨이(210)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및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을 수행하고,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응답 데이터와 함께 차량용 단말기(500)의 호스트 식별자(HID)를 라우터(320)로 전송한다(S255).
라우터(320)는 전송받은 호스트 식별자(HID)를 기초로 해당 응답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할 차량용 단말기(500)를 식별해내고(S260), WAVE 기반 통신 방식을 이 용하여 해당 차량용 단말기(500)에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전송한다(S265). 한편, 응답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전송받은 차량용 단말기(500)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270).
따라서, 차량용 단말기(500)가 동일 u-TSN네트워크 내에서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부터 다른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끊김 없이 계속적인 서비스 품질이 유지되는 핸드오버가 가능하다.
인터 핸드오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TSN 망 내에서 인트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 핸드오버는 서로 다른 u-TSN 네트워크 간에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즉, 차량용 단말기(500)가 최초로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a) 내에 있는 라우터(320)에 접속했다가, 다른 게이트웨이(220)의 커버리지 영역(b) 내에 있는 라우터(330)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단말기(500)가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때에는, 정지 또는 이동 중의 차량용 단말기(500)에 의해 수시로 수집되는 교통정보가 소정 데이터의 형태로 라우터(310, 320, 330), 게이트웨이(210, 220)를 통해 중앙 관제 서버(100)로 전송된다.
먼저, 차량용 단말기(500)는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중앙 관제 서버(100)로 서비스 요청과 관련한 데이터를 전송한다(S300).
이는, 상기 인트라 핸드오버에 대한 설명에서 차량용 단말기(500)가 라우 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의 데이터 전송 과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 후, 차량용 단말기(500)가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a)을 벗어나 게이트웨이(220)의 커버리지 영역(b) 내에 있는 라우터(33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한다면, 차량용 단말기(500)는 새로운 라우터(330)와 WAVE 기반 통신 연결을 완료함과 동시에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즉, 라우터(320)와 WAVE 기반 통신 시 사용했던 호스트 식별자(HID), 라우터(320)의 주소, 및 게이트웨이(210)의 주소를 라우터(330)로 전송한다(S310).
이때에도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차량용 단말기(500)의 호스트 식별자(HID)로서는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a) 내에 있을 때 사용했던 호스트 식별자(HID)를 그대로 이용한다.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 라우터(330)로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즉,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었다면, 라우터(330)는 상기 호스트 식별자(HID), 라우터(320)의 주소, 및 게이트웨이(210)의 주소를 확인하고(S320), 이를 게이트웨이(220)로 전송한다(S325).
게이트웨이(220)는 전송받은 상기 정보, 즉, 호스트 식별자(HID), 라우터(320)의 주소, 및 게이트웨이(210)의 주소를 확인한다(S330).
한편, 차량용 단말기(500)가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a) 내에 있 을 때에는,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중앙 관제 서버(100)로 데이터를 전송하였기 때문에, 추후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는 게이트웨이(210)로 전송되게 된다. 그러나, 차량용 단말기(500)는 이미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a)을 벗어나 게이트웨이(220)의 커버리지 영역(b)으로 이동한 뒤이므로, 게이트웨이(210)로 전송된 응답 메시지는 차량용 단말기(500)로 전송될 수 없게 되어, 차량용 단말기(500)가 동일한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지원받을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220)는 게이트웨이(210)로 상기 라우터(33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들, 즉, 호스트 식별자(HID), 라우터(320)의 주소, 게이트웨이(210)의 주소를 기초로 하여 게이트웨이(210)를 찾아내고, 해당 게이트웨이(210)에 추후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차량용 단말기(500)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전송되었을 경우, 그 경로를 변경해 줄 것을 사전 요청한다(S335).
즉, 차량용 단말기(500)에 대한 중앙 관제 서버(100)로의 응답 데이터는 게이트웨이(210)로 전송되게 되는데, 차량용 단말기(500)는 이미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a)을 벗어나 게이트웨이(220)의 커버리지 영역(b)으로 이동하였으므로, 게이트웨이(210)를 통해서는 차량용 단말기(500)가 해당 응답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게이트웨이(220)는 게이트웨이(210)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응답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게이트웨이(220), 라우터(330), 호스트 식별자(HID)를 갖는 차량용 단말기(500)를 경유하는 경로로 설정해 줄 것을 요청한다. 한편, 게이트웨이(220)는 라우터(330)로부터 전송된 게이트웨이(210)의 주소, 라우터(320)의 주소를 기초로, 경로 설정 요청을 할 게이트웨이(210)를 찾아 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요청을 받은 게이트웨이(210)는 게이트웨이(220)로부터 전송된 호스트 식별자(HID), 라우터(320)의 주소를 기초로 하여, 경로 설정 요청에 따라, 추후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의 응답 데이터 전송 시 해당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게이트웨이(210), 라우터(320), 호스트 식별자(HID)를 갖는 차량용 단말기(500)를 경유하는 경로에서, 게이트웨이(220), 라우터(330), 호스트 식별자(HID)를 갖는 차량용 단말기(500)를 경유하는 경로로 변경하여 설정한다(S340).
이에 의해, 추후 응답 데이터의 전송시, 게이트웨이(210)가 해당 응답 데이터를 게이트웨이(220)로 전송할 수 있고, 라우터(330)를 통해 차량용 단말기(500)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게이트웨이(210) 및 게이트웨이(220)는 상기 동작들, 즉, 경로 설정 요청 및 요청에 대한 경로 설정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메니저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중앙 관제 서버(100)는 단계 S300 에서 차량용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고(S303), 그 결과를 응답 데이터로서 게이트웨이(210)에 전송한다(S350). 차량용 단말기(500)가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a) 내에 있을 때 게이트웨이(210)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였으므로, 중앙 관제 서버(100)는 이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게이트웨이(21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응답 데이터를 전송받은 게이트웨이(210)는 전송 받은 응답 데이터에 대해 전송할 경로 및 목적지를 파악하고,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및 네트워크 주소 포 트 변환(NAPT)을 수행한다(S360).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210)는 게이트웨이(220)로부터 응답 데이터에 대한 경로 설정 요청을 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응답 데이터에 대한 경로를 변경 설정하는 처리를 행하였기 때문에,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전송 경로 및 목적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및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및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을 수행한 게이트웨이(210)는 응답 데이터를 게이트웨이(220)로 송신한다(S365). 게이트웨이(210)는 응답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게이트웨이 메니저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210)로부터 게이트웨이(220)로의 응답 데이터 전송은 터널링(tunneling)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웨이(210)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전송받은 게이트웨이(220)는 해당 응답 데이터를 전송할 경로 및 최종 목적지, 즉, 라우터(330)와 호스트 식별자(HID)를 경유하는 경로 및 최종 목적지를 확인한 후(S370), 응답 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 및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라우터(330)로 전송한다(S375).
라우터(330)는 전송받은 호스트 식별자(HID)를 기초로 해당 응답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할 차량용 단말기(500)를 식별해내고(S380), WAVE 기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용 단말기(500)에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전송한다(S385). 한편, 응답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전송받은 차량용 단말기(500)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390).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용 단말기(500)가 다른 서브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한다 할지라도,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의 서비스를 품질 저하 없이 계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TSN(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망 내에서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u-TSN 망 내에서 인트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u-TSN 망 내에서 인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중앙 관제 서버
210, 220: u-TSN 게이트웨이
310, 320, 330: 라우터
500: 차량용 단말기

Claims (10)

  1. 차량용 단말기(500),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 1 라우터(310) 및 제 2 라우터(320), 상기 제 1 라우터(310) 및 제 2 라우터(320)와 통신 가능한 게이트웨이(210), 및 상기 게이트웨이(21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중앙 관제 서버(100)를 포함하는 u-TSN(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망 내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상기 제 2 라우터(3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할 때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라우터(3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Communication) 기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라우터(32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라우터(310)와의 데이터 통신 시 사용했던 호스트 식별자(HID; Host Identification), 상기 제 1 라우터(310)의 주소, 및 상기 게이트웨이(210)의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우터(320)가 상기 게이트웨이(210)로 상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제 2 라우터(320)로부터 전송된 상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전송될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경로를, 상기 제 1 라우터(310) 및 상기 호스트 식별자(HID)에 해당하는 차량용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경로로부터, 상기 제 2 라우터(320) 및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경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의 상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변경된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 2 라우터(320)를 통해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차량용 단말기(500),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 1 라우터(320) 및 제 2 라우터(330), 상기 제 1 라우터(320)와 통신 가능한 제 1 게이트웨이(210), 제 2 라우터(330)와 통신 가능한 제 2 게이트웨이(220), 및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 및 제 2 게이트웨이(22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중앙 관제 서버(100)를 포함하는 u-TSN 망 내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웨이(22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할 때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Communication) 기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라우터(33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가 상기 제 1 라우터(320)와의 데이터 통신 시 사용했던 호스트 식별자(HID; Host Identification), 상기 제 1 라우터(320)의 주소, 및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의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우터(330)가 상기 제 2 게이트웨이(220)로 상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게이트웨이(220)가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로 상기 과거 데이터 전송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에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전송될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 변경에 대한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전송될 상기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경로를,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 상기 제 1 라우터(320) 및 상기 호스트 식별자(HID)에 해당하는 차량용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경로로부터, 상기 제 2 게이트웨이(220), 상기 제 2 라우터(330) 및 차량용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경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의 상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변경된 응답 데이터의 전송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 2 게이트웨이(220), 상기 제 2 라우터(330)를 통해 상기 차량용 단말기(50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36327A 2008-04-18 2008-04-18 u―TSN 망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KR20090110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27A KR20090110702A (ko) 2008-04-18 2008-04-18 u―TSN 망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27A KR20090110702A (ko) 2008-04-18 2008-04-18 u―TSN 망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702A true KR20090110702A (ko) 2009-10-22

Family

ID=4153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327A KR20090110702A (ko) 2008-04-18 2008-04-18 u―TSN 망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07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0232B2 (en) Handover optimisation in a WLAN radio access network
KR100424620B1 (ko)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의 서브네트워크간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7171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ata access to mobile network nodes of a data network
US8451752B2 (en) Seamless handoff scheme for multi-radio wireless mesh network
KR101075657B1 (ko) 무선랜에서의 빠른 핸드오프 방법
US20060159088A1 (en) Network mobility
JP4729581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080304456A1 (en) Communication System, Radio Lan Base Station Control Device, and Radio Lan Base Station Device
KR100785303B1 (ko) 와이브로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0074204A1 (ja) 制御局、移動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WO2007012054A2 (en) Fmipv6 integration with wimax
CA260583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ayer 3 roam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KR2007003113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 구성 방법 및 시스템
CN105981470A (zh) 用于处置包括接入点和经由有线线路连接到接入点的有线线路网络节点的通信系统中的通信的方法和设备
Dias et al. Seamless horizontal and vertical mobility in VANET
KR100951672B1 (ko) u―TSN 망 내에서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EP130912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rom server of virtual private network to mobile node
JP4057715B2 (ja) ルータ装置、無線端末装置、無線基地局及びメッセージ送信制御方法
JP3848336B2 (ja) 私設無線高速データシステムのデータ呼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444335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GB2377862A (en) Readdressing a packet transmitted by a roaming mobile subscriber unit in order to reduce required signalling
KR20090110702A (ko) u―TSN 망 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Roy et al. Handoff schemes in vehicular ad-hoc network: a comparative study
Midya et al. A novel Vertical Handoff scheme for vehicular ad-hoc networks
JP5712085B2 (ja) ローカルルーティングノ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