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61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618A
KR20090110618A KR1020080036211A KR20080036211A KR20090110618A KR 20090110618 A KR20090110618 A KR 20090110618A KR 1020080036211 A KR1020080036211 A KR 1020080036211A KR 20080036211 A KR20080036211 A KR 20080036211A KR 20090110618 A KR20090110618 A KR 20090110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drawer
guide
refrigerato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289B1 (ko
Inventor
장헌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28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9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와; 상향 개구된 드로어 본체와, 상향 개구된 드로어 본체와, 상기 드로어 본체의 양 측에 형성되는 레일부를 구비하여 냉각실의 내부에 수납되는 드로어와; 드로어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고 레일부의 하측에 접촉되어 상기 드로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와; 레일부의 횡방향 이탈을 억제하는 스토퍼와; 레일부의 횡방향 변위 시 스토퍼의 이탈을 억제하는 이탈억제부를;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드로어의 횡방향 이탈을 억제하여 드로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냉장고, 드로어, 가이드, 스토퍼, 이탈억제부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로어의 횡방향 이탈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주지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냉장고 본체에 구비되는 냉동사이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동사이클은, 통상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소위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드로어의 수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스토퍼의 이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내부에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0)와, 상기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을 각각 개폐하는 냉동실도어(25) 및 냉장실도어(35)를 구비한다. 상기 냉장고 본체(10)에는 상기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을 냉각할 수 있도록 냉동사이클(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상부영역에는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게 냉장실(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3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실도어(35)가 좌우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하부영역에는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게 냉동실(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20)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실도어(25)가 좌우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30)의 후방영역에는 냉장실(30)의 내부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덕트(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식품을 지지하는 복수의 선반(45)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30)의 하부영역에는 내부에 채소 또는 과일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드로어(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드로어(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드로어 본체(51)와, 상기 드로어 본체(51)의 양 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부(53)를 구비한다. 상기 레일부(53)는 상기 드로어 본체(5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다시 하향 절곡되어 있다.
상기 드로어(50)의 양 측에는 상기 드로어(50)의 레일부(53)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6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부(62)와, 상기 고정부(62)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일부(53)의 하측에서 레일부(53)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64)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64)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드로어(50)가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스토 퍼(7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70)는, 상기 지지부(64)의 둘레에 결합되는 바디(71)와, 상기 바디(7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드로어 본체(51)와 상기 레일부(53)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부(7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바디(71)는 내부에 상기 가이드(60)의 일 영역이 수용될 수 있게 일 측, 즉 하측으로 개방된 사각 고리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바디(71)의 저부에는 상기 가이드(60)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삽입공(7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60)에는 상기 스토퍼(70)의 바디(71)가 상기 가이드(60)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게 고정부(62)를 관통하여 스토퍼결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상기 드로어(50)는 합성수지부재로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드로어(50)의 내부에 비교적 무거운 식품이 수납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어 본체(51)의 하부는 처짐이 발생되고 상부 영역은 내측으로 오그라들게 변형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레일부(53)가 상기 드로어 본체(51)의 변형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부(73)를 상기 가이드(6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스토퍼(70)가 상기 가이드(60)로부터 분리 및 이탈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70)가 이탈되는 경우 상기 드로어(50)의 레일부(53)가 지지부(64)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드로어(50)의 추락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로어의 횡방향 이탈을 억제할 수 있어 드로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와; 상향 개구된 드로어 본체와, 상기 드로어 본체의 양 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를 구비하여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 수납되는 드로어와; 상기 드로어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하측에 접촉되어 상기 드로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의 횡방향 이탈을 억제하는 스토퍼와; 상기 레일부의 횡방향 변위 시 상기 스토퍼의 이탈을 억제하는 이탈억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고정 배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 측에서 상기 드로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부의 둘레면과 접촉되게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레일의 일 측에 배치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이탈억제부는 상기 스토퍼의 상 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억제부는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양 측에 슬릿이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억제부는 상기 스토퍼의 결합 시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게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스토퍼의 전후 이동을 억제하는 유동억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의 상호 접촉영역에 상호 맞물림되게 형성되는 맞물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토퍼로부터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토퍼로부터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기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게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스토퍼에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가이드에 형성되는 후크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중에 의한 드로어의 변형 시 스토퍼를 지지하여 스토퍼의 이탈을 억제하는 이탈억제부를 마련함으로써 드로어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하중 작용시 드로어의 횡방향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의 결합 시 이탈억제부가 횡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토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드로어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하중 작용시 드로어의 횡방향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의 전후 이동이 억제되게 유동억제부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스토퍼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고 스토퍼의 결합이 공고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와 가이드 사이에 맞물림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스토퍼와 가이드의 결합이 더욱 공고하게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드로어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이탈방지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10)와; 상향 개구된 드로어 본체(151)와, 상기 드로어 본체(151)의 양 측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향 절곡된 레일부(153)를 구비하여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 수납되는 드로어(150)와; 상기 드로어(150)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153)의 하측에 접촉되어 상기 드로어(15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160)와; 상기 가이드(160)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153)의 횡방향 이탈을 억제하는 스토퍼(170)와; 상기 레일부(153)의 횡방향 변위 시 상기 스토퍼(170)의 이 탈을 억제하는 이탈억제부(1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냉각실은 냉동실(120) 및 냉장실(130)을 통칭하는 말이며,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냉동실(120) 또는 냉장실(13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냉각실, 즉 상기 냉동실(120) 및 냉장실(130)에 냉기가 공급될 수 있게 냉동사이클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냉장실(130) 및 냉동실(12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130) 및 냉동실(120)의 각 전면에는 냉장실(130) 및 냉동실(120)을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냉장실도어(135) 및 냉동실도어(125)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130)의 후방영역에는 냉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덕트(1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130)의 내부에는 식품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반(14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130)의 하부영역에는 내부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복수의 드로어(1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어(150)는, 상향 개구된 드로어 본체(151)와, 상기 드로어 본체(151)의 양 측에 형성되는 레일부(153)를 구비한다. 상기 드로어 본체(15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양 측 상부영역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레일부(15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레일부(153)는 상기 드로어 본체(151)의 양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향 절곡된 단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드로어(150)의 양 측에는 상기 드로어(150)를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 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16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160)는, 긴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로어(150)의 양 측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는 고정부(162)와, 상기 고정부(162)의 일 측, 즉 상기 드로어(150)측 판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레일부(153)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164)를 구비한다. 즉, 상기 고정부(162)는 상기 냉동실(120) 또는 냉장실(130)의 내부에 상기 드로어(150)의 양 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160)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드로어(150)의 횡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17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70)는, 상기 가이드(160)의 지지부(164)의 둘레에 접촉되게 결합되는 바디(171)와, 상기 바디(17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73)를 구비한다. 상기 바디(171)는 상기 지지부(164)의 둘레면에 결합될 수 있게 단면이 사각 고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저부에는 상기 지지부(164)가 수용될 수 있게 관통부(17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171)는, 상면부(172a)와, 상기 상면부(172a)의 양 측부에서 각각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측벽부(172b) 및 제2측벽부(172c)와, 상기 두 측벽부(172a,172b) 중 상기 가이드(160)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벽부(172c), 즉 상기 제2측벽부(172c)의 저부에서 상기 가이드(160)의 지지부(164)의 하측으로 절곡되는 저면부(172d)를 구비한다. 상기 저면부(172d)는 상기 관통부(175)의 형성을 위해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70)는 결합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60)에는 상기 스토퍼(170)가 결합될 수 있게 스토퍼결합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결합부(181)는 상기 지지부(164)가 상기 스토퍼(170)의 바디(17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상기 고정부(162)를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170)의 제1측벽부(172b)가 접촉될 수 있게 상기 지지부(164)의 측부가 계단 단면 형상으로 절취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결합부(181)에는 상기 드로어(150)의 내부에 무거운 식품이 수용되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하중 작용 시 상기 스토퍼(170)의 이탈을 억제하는 이탈억제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억제부(185)는, 상기 스토퍼(170)의 상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스토퍼(170)의 상단과 소정 거리(d)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드로어(150)의 내부에 무거운 식품이 수납되어 상기 드로어(150)의 상부가 내측으로 변형될 때, 상기 스토퍼(170)와 접촉되어 상기 스토퍼(170)의 상향 변위를 억제하여 상기 스토퍼(170)가 상기 가이드(16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탈억제부(185)는 고정부(162)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게 수평구간부(186a)를 형성하고, 이 수평구간부(186a)의 저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수직구간부(186b)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직구간부(186b)를 고정부(162)로부터 지지부(164)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토퍼(170)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이탈억제부(185)는 고정부(162)에 관통형성되는 스토퍼결합부(181)를 상측으로 연장되게 각각 절취하여 슬릿(187)을 형성함으로써 이 두 슬릿(187)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탈억제부(185)의 양 측에는 상기 이탈억제부(185)의 횡방향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슬릿(18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이탈억제부(185)의 하단이 상기 스토퍼(170)의 상측에 근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이탈억제부(185)는 상기 스토퍼(170)의 상단에 근접할수록 상기 스토퍼(170)의 상향 변위를 억제할 수 있지만 상기 스토퍼(170)의 조립 시 상기 스토퍼(170)의 삽입 간격이 작아져 조립이 곤란하게 되는 데, 상기 이탈억제부(185)가 횡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토퍼(170)의 조립이 원활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이탈억제부(185)를 상기 스토퍼(170)의 상단에 근접시킬 수 있어 상기 스토퍼(170)의 이탈 방향으로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160)의 지지부(164)에는 상기 스토퍼(170)의 양 측에 접촉되어 상기 스토퍼(17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유동억제부(189)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억제부(189)는 상기 스토퍼(170)의 내부에 삽입되는 영역이 지지부(164)의 판면으로부터 함몰됨으로서 양 측에 스토퍼(170)와 접촉되는 턱을 구비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지지부(164)로부터 돌출된 턱(미도시)을 구비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170)를 상기 가이드(160)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스토퍼(170)의 관통부(175)를 상기 유동억제부(189) 사이에 대고 상기 스토퍼(170)를 하향 가압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170)의 일 측은 상기 이탈억제부(185)와 접촉되며, 상기 이탈억제부(185)는 상기 스토퍼(170)에 의해 가압되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상기 바디(171)의 내부로 상기 가이드(160)가 삽입되면 상기 이탈억제부(185)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스토퍼(170)의 바디(171)의 상측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드로어(150)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식품이 수납되면 상기 드로어(150)는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처짐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드로어(150)의 상부 개구 영역은 내측으로 양 측부가 중앙측으로 이동되게 변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부(1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레일부(153)에 의해 상기 스토퍼(170)의 걸림부(173)가 가압되어 상기 스토퍼(170)는 삽입시와 반대로 상향 회동된다. 이때, 상기 이탈억제부(185)는 상기 스토퍼(170)의 상단과 접촉되어 상기 스토퍼(170)의 상향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상기 스토퍼(170)가 상기 가이드(16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 5에 대응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스토퍼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냉장고의 맞물림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스토퍼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돌기의 변형례로서 도 9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130) 및 냉동실(120)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10)와; 상향 개구된 드로어 본체(151) 와, 상기 드로어 본체(151)의 양 측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향 절곡된 레일부(153)를 구비하여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 수납되는 드로어(150)와; 상기 드로어(150)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153)의 하측에 접촉되어 상기 드로어(15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160)와; 상기 가이드(160)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153)의 횡방향 이탈을 억제하는 스토퍼(170)와; 상기 레일부(153)의 횡방향 변위 시 상기 스토퍼(170)의 이탈을 억제하는 이탈억제부(185)와; 상기 스토퍼(170)와 상기 가이드(160)의 상호 접촉영역에 상호 맞물림되게 형성되는 맞물림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어(150)는,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의 드로어 본체(151)와, 상기 드로어 본체(151)의 양 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향 연장된 레일부(153)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160)는, 냉장실(130) 또는 냉동실(120)의 내부에 상기 드로어(150)의 양 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고정되는 고정부(162)와, 상기 고정부(162)의 일 측에 수평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부(164)를 구비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70)는, 상기 가이드(160)의 지지부(164)의 둘레에 접촉되게 결합되는 바디(171)와, 상기 바디(17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73)를 구비한다. 상기 바디(171)는, 상면부(172a)와, 제1측벽부(172b) 및 제2측벽부(172c)와, 저면부(172d) 및 관통부(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160)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스토퍼(170)가 결합될 수 있게 스토퍼결합부(1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결합부(181)에는 횡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하단이 상기 스토퍼(17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탈억제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맞물림부(210)는, 상기 스토퍼(170)와 상기 가이드(160)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211)와, 다른 하나에 상기 후크(211)와 맞물림되게 형성되는 후크걸림턱(213)을 구비한다.
상기 후크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70)의 바디(171)의 제1측벽부(172b)의 하단에 상기 관통부(175)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60)의 일 측에 상기 후크(211)가 수용될 수 있게 절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70)와 가이드(160)의 접촉영역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리브(221)와, 상기 리브(221)를 수용하여 상하방향으로 맞물림되는 수용부(223)를 구비하게 맞물림부(2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브(221)가 상기 스토퍼(170)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23)가 상기 가이드(160)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리브(221)는 상기 스토퍼(170)의 결합 시 상기 제1측벽부(172b)의 탄성력으로 상기 수용부(223)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170)가 상기 가이드(160)로부터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70)와 상기 가이드(160)의 접촉영역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231)와, 상기 돌기(231)를 수용하는 수용부(223)를 구비하게 맞물림부(2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231)를 복수로 구성하되 일 열로 배치되게 하고, 단일의 수용부(223)를 길게 형성하여 복수의 돌기(231)가 단일의 수용부(223)에 동시에 수용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복수의 돌기(231)가 각각 수용될 수 있게 복수의 수용부(미도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돌기(231)는 산포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170)를 상기 가이드(160)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스토퍼(170)의 관통부(175)를 상기 유동억제부(189) 사이에 대고 상기 스토퍼(170)를 하향 가압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170)의 일 측은 상기 이탈억제부(185)와 접촉되며, 상기 이탈억제부(185)는 상기 스토퍼(170)에 의해 가압되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상기 바디(171)의 내부로 상기 가이드(160)가 삽입되면 상기 이탈억제부(185)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스토퍼(170)의 바디(171)의 상측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바디(171)의 제1측벽부(172b)측을 하향 가압하면 상기 후크(211)는 상기 후크걸림턱(213)과 맞물림 하게 되어 상기 스토퍼(170)가 상기 가이드(160)로부터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드로어의 수납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스토퍼의 이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드로어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이탈방지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 5에 대응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스토퍼의 사시도,
도 9는 도 7의 냉장고의 맞물림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스토퍼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돌기의 변형례로서 도 9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냉장고 본체 120 : 냉동실
130 : 냉장실 141 : 덕트
145 : 선반 150 : 드로어
151 : 드로어 본체 153 : 레일부
160 : 가이드 162 : 고정부
164 : 지지부 170 : 스토퍼
171 : 바디 173 : 걸림부
175 : 관통부 181 : 스토퍼결합부
185 : 이탈억제부 187 : 슬릿
189 : 유동억제부

Claims (11)

  1.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와;
    상향 개구된 드로어 본체와, 상기 드로어 본체의 양 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를 구비하여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 수납되는 드로어와;
    상기 드로어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하측에 접촉되어 상기 드로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의 횡방향 이탈을 억제하는 스토퍼와;
    상기 레일부의 횡방향 변위 시 상기 스토퍼의 이탈을 억제하는 이탈억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고정 배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 측에서 상기 드로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부의 둘레면과 접촉되게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레일의 일 측에 배치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이탈억제부는 상기 스토퍼의 상 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억제부는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양 측에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억제부는 상기 스토퍼의 결합 시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스토퍼의 전후 이동을 억제하는 유동억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의 상호 접촉영역에 상호 맞물림되게 형성되는 맞물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토퍼로부터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토퍼로부터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기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게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스토퍼에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가이드에 형성되는 후크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36211A 2008-04-18 2008-04-18 냉장고 KR100951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211A KR100951289B1 (ko) 2008-04-18 2008-04-1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211A KR100951289B1 (ko) 2008-04-18 2008-04-1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618A true KR20090110618A (ko) 2009-10-22
KR100951289B1 KR100951289B1 (ko) 2010-04-02

Family

ID=4153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211A KR100951289B1 (ko) 2008-04-18 2008-04-1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0267A1 (en) * 2021-03-15 2022-09-21 Whirlpool Corporation Guiding structure for a drawer and appliance including the guid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051U (ko) * 1998-12-23 2000-07-15 전주범 냉장고 선반의 유동방지구조
KR20040008042A (ko) * 2002-07-15 2004-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어셈블리
KR101275569B1 (ko) * 2006-10-24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0267A1 (en) * 2021-03-15 2022-09-21 Whirlpool Corporation Guiding structure for a drawer and appliance including the guid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289B1 (ko)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263B1 (ko) 냉장고
KR102186243B1 (ko) 냉장고
KR101219433B1 (ko) 냉장고
KR101802903B1 (ko) 냉장고
KR100431346B1 (ko) 선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20090106935A (ko) 드로어커버를 구비한 냉장고
EP3179184B1 (en) Refrigerator
KR20090114265A (ko) 탈취유닛을 구비한 냉장고
EP3176525B1 (en) Refrigerator
US20130134854A1 (en) Refrigerator
KR10175436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가이드 어셈블리
US20100175419A1 (en) Refrigerator
US20170292778A1 (en) Refrigerator and drawer assembly thereof
KR100951289B1 (ko) 냉장고
KR100513681B1 (ko) 냉장고
KR100513680B1 (ko) 냉장고
WO2008030044A1 (en) Refrigerator and rail assembly thereof
KR100965358B1 (ko) 냉장고
KR100907257B1 (ko)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US20230204282A1 (en) Refrigerator
KR102168642B1 (ko) 냉장고
WO2023157216A1 (ja) 冷蔵庫
KR101495353B1 (ko) 냉장고
KR100621107B1 (ko) 냉장고
KR200267947Y1 (ko) 김치냉장고의 서랍방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