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608A - A fuel cell - Google Patents

A fuel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608A
KR20090110608A KR1020080036198A KR20080036198A KR20090110608A KR 20090110608 A KR20090110608 A KR 20090110608A KR 1020080036198 A KR1020080036198 A KR 1020080036198A KR 20080036198 A KR20080036198 A KR 20080036198A KR 20090110608 A KR20090110608 A KR 20090110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fuel
end plate
plate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88228B1 (en
Inventor
양철남
정용수
이창래
문성모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3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228B1/en
Publication of KR2009011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6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2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PURPOSE: A fuel battery is provided to constitute not to form separate part for combining a combining device at end plate and contain more fuel battery within limited space. CONSTITUTION: A fuel battery comprises one or more film electrode assembly (200), electrode plate (300), end plate (100), insulating plate (400) and combining device. The one or more film electrode assembly generates voltage by reacting fuel and air. The electrode plate guides flow of voltage generated from the flim electrode assembly. The end plate protects the film electrode assembly. The insulating plate blocks the flow of voltage to the end plate.

Description

연료전지{A fuel cell}Fuel cell {A fuel cell}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연료전지의 내부 결합구조를 보인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upling structure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전면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appearance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후면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의 일 구성인 결합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means of one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도 5의 Ⅰ-Ⅰ'부 종단면도.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5; FIG.

도 7 은 도 3의 Ⅱ-Ⅱ'부 종단면도.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3; FIG.

도 8a 는 도 7의 'A'부 확대도.8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7.

도 8b 는 도 7의 'B'부 확대도.8B is an enlarged view of a 'B' portion of FIG. 7.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의 일 구성인 앤드플레이트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도.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nd plat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앤드플레이트 110. 연료유로100. End plate 110. Fuel passage

120. 함몰부 124. 공기인입연결구120. depression 124. air inlet connector

125. 공기인출연결구 126. 연료인입연결구125. Air outlet connector 126. Fuel inlet connector

127. 연료인출연결구 130. 강화재127. Fuel outlet connector 130. Reinforcement

150. 기지재 200. 막전극접합체150. Base material 200. Membrane electrode assembly

300. 전극판 400. 절연판300. Electrode plate 400. Insulation plate

500. 결합수단 520. 연료입출포트500. Coupling means 520. Fuel entry / exit port

522. 유동관 523. 관통구멍522. Flow pipes 523. Through-holes

524. 결합부 525. 제1오링홈524. Coupling section 525. First O-ring groove

526. 체결부 528. 암나사526. Fasteners 528. Female thread

540. 절연구 542. 제2오링홈540. Insulation port 542. Second O-ring groove

550. 관통나사 560. 차단관550. Through thread 560. Blocking tube

562. 압착부 580. 너트562. Crimp 580. Nut

582. 스프링와샤 584. 절연와샤582. Spring Washers 584. Insulation Washers

586. 씰링와샤 587. 압력발생홈586. Sealing washer 587. Pressure generating groove

610. 함침금형 620. 용융금형610. Impregnation mold 620. Melt mold

630. 안내관 640. 히터630.Guide 640. Heater

R . 오링 R. O-ring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다수 구성품을 적층된 상태로 결합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연료가 공급되고, 앤드플레이트는 국부적으로 발생한 결합수단의 결합력이 내측에 적층된 구성품에 고르게 전달하도록 구성된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by coupling means for coupl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uel cell in a stacked state, and the end plate has a coupling force of a locally generated coupling means. It relates to a fuel cell configured to evenly deliver components stacked inside.

연료전지는 연료(LNG, LPG, 수소, 메탄올 등)와 산소의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동시에 부산물로서 물과 열을 발생시키는 시스템으로서 발전효율이 높고 환경 유해요소가 제거된 발전장치이다.A fuel cell is a system that generates electricity through the reaction of fuel (LNG, LPG, hydrogen, methanol, etc.) and oxygen, and generates water and heat as a by-product.

그리고,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폴리머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 인산형 연료전지(PAFC),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등이 있다.In addition,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a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a phosphoric acid fuel cell (PAFC), a 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a solid oxide fuel cell (SOFC),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lyte used. There is this.

이러한 연료전지의 종류 중에서 PEMFC, PAFC, DMFC는 작동온도가 각각 80℃-120℃, 190℃-200℃, 25℃-90℃ 정도로 낮으며, 자동차 등의 수송용이나, 가정용 및 휴대용 전력원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Among these types of fuel cells, PEMFC, PAFC, and DMFC have low operating temperatures of 80 ℃ -120 ℃, 190 ℃ -200 ℃, and 25 ℃ -90 ℃, respectively. It is likely to be utilized.

따라서, 이들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확대하기 위해 전체 연료전지 시스템의 소형화, 경량화, 저렴화 등에 연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accelerate and expand the commercialization of these fuel cells, research interests are focused on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and low cost of the entire fuel cell system.

이하에서는 종래의 연료전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fuel cell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연료전지의 내부 결합구조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upling structure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전지(1)는 내부에 다수 막전극접합체(10,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가 구비되며, 상기 막전극접합체(10)는 직립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uel cell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therei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in the upright state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Are stacked and placed.

그리고, 상기 막전극접합체(10)는 멤브레인(12)을 중앙으로 하여 양측에 애노드전극(14)과 캐소드전극(16)이 배치된다. 즉, 상기 막전극접합체(10)는 멤브레인(12), 애노드전극(14) 및 캐소드전극(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the anode electrode 14 and the cathode electrode 16 are disposed at both sides with the membrane 12 as the center. That is,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includes a membrane 12, an anode electrode 14, and a cathode electrode 16.

상기 애노드전극(14)과 캐소드전극(16)에는 연료전지(1)의 연료가 되는 수소, 메탄올 등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18)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 막전극접합체(10)가 서로 적층되면 이러한 유로(18)는 서로 연통된다.A flow path 18 is formed in the anode electrode 14 and the cathode electrode 16 so that hydrogen, methanol and the like, which are fuels of the fuel cell 1, can flow, and the plurality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10 are stacked on each other. These flow paths 18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연료전지(1)의 좌/우 측면에는 앤드플레이트(20)가 구비된다. 상기 앤드플레이트(20)는 연료전지(1)의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 막전극접합체(10)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End plates 20 are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uel cell 1. The end plate 20 serves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fuel cell 1 and to provide a bonding force so that the plurality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10 are not separated.

이를 위해 상기 앤드플레이트(20)는 막전극접합체(10)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앤드플레이트(20)의 상/하단부는 막전극접합체(10)의 상/하단부보다 상/하측으로 돌출된다.To this end, the end plate 20 is formed to have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nd plate 20 are positioned up and down tha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It protrudes.

그리고, 상기 앤드플레이트(20)의 상/하부에는 체결구멍(2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멍(22)에는 체결볼트(24)가 관통된 후 너트(26)로 조여지며, 상기 체결볼트(24)와 너트(26)의 체결력은 상기 앤드플레이트(20) 및 막전극접합체(10)에 전달되어 상기 다수 막전극접합체(10)는 서로 분리되지 않고 도 1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fastening hole 22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nd plate 20. The fastening bolts 24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2 and are tightened with nuts 26.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bolts 24 and the nuts 26 is the end plate 20 and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The plurality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10 are maintained as shown in FIG. 1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연료전지(1)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uel cell 1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 연료전지(1)는 앤드플레이트(20)가 막전극접합체(10)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실상 연료전지(1)의 크기는 앤드플레이트(20)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That is, the fuel cell 1 is formed such that the end plate 20 has a larger area tha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so that the size of the fuel cell 1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end plate 20.

따라서, 상기 연료전지(1)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한된 공간에 많은 연료전지(1)를 수용할 수 없게 되므로 결국 연료전지(1)의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size of the fuel cell 1 is unnecessarily large,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accommodate many fuel cells 1 in a limited space,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output of the fuel cell 1 is lowered.

또한, 한 개의 연료전지(1)에 다수(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경우 4개)의 체결볼트(24)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조립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24 (four in the related art shown in FIG. 1) should be provided in one fuel cell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assembly time is increased and productivity is lowered.

그리고, 앤드플레이트(20)의 크기가 커진 이유로 재료비가 상승하게 되므로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end plate 20, the price competitiveness is lowered.

뿐만 아니라, 체결볼트(24)와 너트(26)는 앤드플레이트(20)의 상/하측에서 내측방향 체결력을 발생하게 되므로 육안 확인은 어려우나 실제로 상기 앤드플레이트(20)의 높이 중앙부는 연료전지(1)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막전극접합체(10)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상기 연료전지(1) 내부의 연료 및 공기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bolt 24 and the nut 26 generate an inward fastening force at the top / bottom side of the end plate 20,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but the height center of the end plate 20 is actually the fuel cell 1. It has a shape that protrudes convexly outward. Therefore, the clamping forc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is lowered, so that fuel and air inside the fuel cell 1 leak.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를 구 성하는 다수 구성품들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되어 결합력을 발생하며, 이와 동시에 연료 공급 역할을 수행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fuel cell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that is coupled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uel cell to generate a bond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fuel supply rol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수단이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결합력이 다수 구성품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구성된 앤드플레이트가 구비된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cell with an end plate configured such that the joining means is locally evenly coupled to a plurality of compon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는, 연료와 공기를 반응시켜 전압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막전극접합체와; 상기 막전극접합체에서 발생한 전압의 흐름을 안내하는 전극판과; 상기 막전극접합체를 보호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앤드플레이트와; 상기 앤드플레이트로 전압의 흐름을 차단하는 절연판과; 상기 막전극접합체 내지 절연판에 결합력을 발생하고, 연료 흐름을 안내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앤드플레이트 내부 일측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발생한 국부적인 결합력이 상기 막전극접합체, 전극판 및 절연판에 분산되도록 하는 강화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t least on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generating a voltage by reacting fuel and air; An electrode plate for guiding the flow of voltage generated i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 end plate which protects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orms an appearance; An insulating plate which blocks the flow of voltage to the end plate; And a coupling means for generating a bonding force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or the insulating plate and guiding fuel flow. On one side of the end plate, a local bonding force generated by the coupling means is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the electrode plate, and the insulat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aterial to be dispersed in.

상기 앤드플레이트는, 기지재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기지재는 강화재에 함침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 plate, the appearance is formed by the base material, the base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is impregnated.

상기 강화재는, 텅스텐(W)계, 철(Fe)계, 니켈(Ni)계, 구리(Cu)계 합금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연속섬유를 직조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The reinforc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weaving a metal continuous fiber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tungsten (W) -based, iron (Fe) -based, nickel (Ni) -based, copper (Cu) -based alloy.

상기 강화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판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inforc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plate having an elastic force.

상기 강화재는 앤드플레이트 내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inforc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inside the end plate.

상기 강화재는, 일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inforc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formed convex.

상기 강화재는, 중앙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inforc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becomes thicker toward the center.

상기 강화재 일측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안내구멍이 천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ans penetrates.

상기 안내구멍은, 상기 결합수단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hole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ngaging mean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전지의 체적이 감소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연료 및 공기의 누설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olume of the fuel cell is reduced, durability is improved, and leakage of fuel and air is preven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의 구성을 직접 연료형 연료전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aking a direct fuel type fuel cell as an example.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전면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후면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이하 '연료전지'라 칭함)는 전체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외형을 가지며, 전/후방에는 앤드플레이트(100)가 구비되어 전/후면 외관을 형성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a direct methanol fuel ce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uel cell”) has a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as a whole, and an end plate 100 is provided at the front / rear and the front / rear appearance. To form.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앤드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연료인 메탄올과 공기를 반응시켜 전압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막전극접합체(200,MEA)와, 상기 막전극접합체(200)의 전/후 외측에 구비되어 막전극접합체(200)에서 발생한 전압의 흐름을 안내하는 전극판(300)과, 상기 전극판(300)과 앤드플레이트(100) 사이의 전기 흐름을 차단하는 절연판(도 4의 도면부호 400)이 다수 구비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pair of end plates 100, at least on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MEA) generating a voltage by reacting methanol and air as fuel, and outside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An electrode plate 300 for guiding the flow of voltage generated i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and an insulating plate for blocking electric flow between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end plate 100 (400 of FIG. 4). ) Is provided with a large number.

도 4에서 볼 때 상기 한 쌍의 앤드플레이트(100) 중 하측에 위치한 앤드플레이트(100)의 모서리부에는 네 개의 구멍이 천공 형성된다. 즉, 상기 네 개의 구멍은 연료전지 내부로 연료 또는 공기의 입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As shown in FIG. 4, four holes are formed in the corners of the end plate 100 positioned below the pair of end plates 100. That is, the four holes are configured to guide the ingress / intake of fuel or air into the fuel cell.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의 전방에 위치한 앤드플레이트(100)의 좌측 하부 및 우측 상부에는 상기 연료전지 내/외부로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공기인입연결구(124) 및 공기인출연결구(125)가 각각 천공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lower left and the upper right of the end plate 100 located in front of FIG. 3 includes an air inlet connector 124 and an air outlet connector for guiding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fuel cell. 125 are each perforated.

상기 공기인출/입연결구(124,125)는 막전극접합체(200), 전극판(300) 및 절연판(400)에 관통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기유로(미도시)를 형성하게 된다.The air outlet / inlet port 124 and 125 penetrate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insulating plate 400 to form an air flow path (not shown) for guiding the flow of air.

그리고, 도 3에서 볼 때 전방의 좌측 상부 및 우측 하부에는 연료전지 내부로 연료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연료인입연결구(126) 및 연료인출연결구(127)가 각각 단차지게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인입연결구(126) 및 연료인출연결구(127)에는 연료입출포트(520)가 연결되며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한다.3, the fuel inlet connector 126 and the fuel outlet connector 127 for guiding the outflow / intake of the fuel into the fuel cell are drilled at the front left upper and lower right sides, respectively. The fuel inlet port 126 and the fuel outlet connector 127 are connected to a fuel inlet and outlet port 5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앤드플레이트(100), 막전극접합체(200), 전극판(300) 및 절연판(400)은 서로 대응되는 면적 크기를 가지며 결합수단(500)에 의해 체결된다. The end plate 100,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insulating plate 400 have an area siz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re fastened by the coupling means 500.

상기 결합수단(500)은 도 3에서 볼 때 연료전지의 좌측상부 및 우측하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료전지 내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앤드플레이트(100), 막전극접합체(200), 전극판(300) 및 절연판(400)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upling means 500 penetrates the upper left and lower right portions of the fuel cell in a forward / rear direction and pressurizes the inner plate 100,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insulating plate 400 may mainta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즉, 상기 결합수단(500)은 전술한 연료인입연결구(126) 및 연료인출연결구(127)에 삽입된 후 상기 막전극집합체(200), 전극판(300) 및 절연판(400)을 관통하여 한 쌍의 앤드플레이트(100)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연료전지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coupling means 500 is inserted into the fuel inlet connector 126 and the fuel outlet connector 127 described above, and then penetrates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insulating plate 400. By restraining the pair of end plates 100 serves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fuel cell.

이를 위해 상기 앤드플레이트(100)의 전면(도 2에서 볼 때) 좌측 하부 및 우측 상부에는 상기 결합수단(500)의 선단이 앤드플레이트(100)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몰된 함몰부(120)가 구비된다.To this end, the recessed portion 120 recessed to prevent the tip of the coupling means 500 from protruding forward of the end plate 100 is disposed on the lower left and upper right sides of the end plate 100 (as shown in FIG. 2). It is provided.

상기한 막전극접합체(200)와 절연판(400) 및 전극판(300)은 그 구성에 있어 종래와 비교할 때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the insulating plate 400, and the electrode plate 3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in comparison with the related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수단(5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연료전지의 일 구성인 결합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Ⅰ-Ⅰ'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3의 Ⅱ-Ⅱ'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means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means of one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tion II ′ of FIG. 5, and FIG. 7 II-II of FIG. 3.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인출/입연결구(126,127)에 삽입되어 양단부에 체결력이 발생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앤드플레이트(100), 전극판(300), 절연판(400) 등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upling means 500 is inserted into the fuel withdrawal / inlet port 126 and 127 as described above and coupled to generate a fastening force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the end plate 100 and the electrode plate 300 are formed. , Serves to keep the insulating plate 40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결합수단(500)은 연료유로(도 7의 도면부호 110)를 따라 흐르는 연료가 연료유로(110)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coupling means 500 also performs a role of preventing the fuel flowing along the fuel passage (reference numeral 110 of FIG. 7) from leaking outside the fuel passage 110.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결합수단(500)은 크게 연료의 입/출을 안내하는 연료입출포트(520)와, 상기 연료입출포트(520)와 전극판(300) 사이의 전기 흐름을 차단하는 절연구(540)와, 상기 막전극접합체(200), 전극판(300), 앤드플레이트(100) 및 절연판(400)을 관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연료입출포트(520)에 나사 결합되는 관통나사(550)와, 상기 관통나사(550)와 연료의 접촉을 차단하는 차단관(560)과, 상기 막전극접합체(200), 전극판(300), 앤드플레이트(100) 및 절연판(400)이 서로 밀착되도록 압력을 발생하는 너트(5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5, the coupling means 500 is a fuel entry port 520 for guiding the entry / exit of fuel and the flow of electricity between the fuel entry port 520 and the electrode plate 300. Penetration in which one end is screwed into the fuel entry and exit port 520 through the insulating hole 540 to block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the electrode plate 300, the end plate 100, and the insulating plate 400. A screw 550, a blocking tube 560 for blocking contact between the through screw 550 and fuel,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an electrode plate 300, an end plate 100, and an insulating plate 4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nut 580 for generating a pressur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결합수단(500)의 좌측단에는 연료입출포트(520)가 구비된다. 상기 연료입출포트(520)는 연료의 입/출을 안내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앤드플레이트(100)의 전면 좌측 상부 및 우측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료입출포트(520)에는 별도의 연료관(미도시)과 연료를 순환하기 위한 펌프(미도시) 등이 연통되게 연결된다.A fuel entry port 520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coupling means 500. The fuel entry / exit port 520 guides the entry / exit of the fuel. As shown in FIG. 3, the fuel entry / exit port 520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left upper side and the lower right side of the end plate 100. An additional fuel pipe (not shown) and a pump (not shown) for circulating fuel ar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연료입출포트(520)는 좌측부에 형성된 원형관 모양의 유동관(522)과, 상기 유동관(522)의 외주면 단부에서 외주 방향으로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연구(540)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524)와, 상기 결합부(524)의 우측단에서 우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나사(550)와 체결되는 체결부(5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uel inlet / outlet port 520 is a circular tube-shaped flow tube 522 formed at the left side, and protrudes in a ring shape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nd of the flow tube 522 to be fitted with the insulator 540. It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524 and a coupling portion 526 protruding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right end of the coupling portion 524 and the through-screw 550 is fastened.

상기 유동관(522)과 결합부(524) 및 체결부(526)는 내식성(耐蝕性)이 높은 서스(SUS)로 일체화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flow pipe 522, the coupling portion 524 and the fastening portion 526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tegrated into a sus (SUS) having a high corrosion resistance (耐蝕).

상기 결합부(524)는 연료인출/입연결구(126,127)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연료인출/입연결구(126,127) 내부에 단차진 부위에 안착되어 도 7과 같이 앤드플레이트(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결합된다.The coupling part 524 is seated in the stepped portion inside the fuel withdrawal / inlet connector 126 and 127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uel withdrawal / inlet connector 126 and 127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end plate 100 as shown in FIG. 7. Are not combined.

따라서, 상기 앤드플레이트(100)의 외측으로는 유동관(522)만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only the flow pipe 52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nd plate 100.

그리고, 상기 결합부(524) 내부에는 상기 유동관(522) 내부로 유입된 연료가 상기 결합부(524)를 관통하도록 하는 관통구멍(523)이 다수 천공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23 ar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524 to allow fuel introduced into the flow tube 522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part 524.

상기 관통구멍(523)은 연료입출포트(5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 관통구멍(523)의 연장선들은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The through hole 523 is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uel entry / exit port 520, and the extension lines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523 cross each other.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구멍(523)은 결합부(524)의 우측면에서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료입출포트(520)의 중심방향으로 모이도록 경사지게 천공된다.In more detail, the through hole 523 is drilled inclined so as to converge toward the center of the fuel entry / exit port 520 toward the left side from the right side of the coupling part 524.

따라서, 상기 유동관(522)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결합부(524)를 지나는 연료는 관통구멍(523)을 통해 외측 방향으로 퍼지면서 상기 연료유로(11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fuel flowing into the flow pipe 522 and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part 524 may be introduced into the fuel flow path 110 while spreading out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523.

상기 체결부(526)는 관통나사(550)의 좌측단과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관통나사(550)의 피치와 대응되는 암나사(528)가 가공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나사(550)의 좌측단과 나사결합되면 상기 관통나사(550)는 연료입출포트(52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The fastening part 526 is screwed with the left end of the through screw 550, and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 internal thread 528 corresponding to the pitch of the through screw 550 is processed therein. Therefore, when the screw is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through screw 550, the through screw 550 is not separated from the fuel entry and exit port 520.

상기 관통구멍(523)의 외측에는 제1오링홈(525)이 구비된다. 상기 제1오링 홈(525)은 내부에 오링(R)이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삽입되는 오링(R)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오링(R)의 두께보다 얕게 함몰 형성된다. The first O-ring groove 525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523. The first O-ring groove 525 is formed to be recessed so that the O-ring (R) is inserted therein and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O-ring (R) inserted therein and is formed to be shal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ring (R).

상기 연료입출포트(520)의 우측에는 절연구(540)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구(540)는 내부에 연료입출포트(52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앤드플레이트(100)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연료입출포트(520)와 전극판(300) 사이의 전기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절연성 재질로 성형된다.An insulator 540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uel entry / exit port 520. The insulator 54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end plat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fuel entry / exit port 520 is accommodated therein to block electric flow between the fuel entry / exit port 520 and the electrode plate 300. To play a role, it is molded from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 절연구(540)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을 가지며, 비어진 내부는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단차진 내경은 상기 결합부(524)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The insulator 54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hollow inside is formed stepped. The stepped inner diamet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art 524.

따라서, 상기 연료입출포트(520)와 절연구(540)가 서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체결부(526)는 절연구(540)를 관통하여 우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524)는 단차진 절연구(540)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오링홈(525)에 끼워진 오링(R)은 상기 절연구(540) 내부의 단차진 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관통구멍(523)을 통해 우측방향으로 토출되는 연료는 상기 연료입출포트(520)와 절연구(540) 사이의 틈을 따라 좌측으로 누설이 방지된다.Therefore, when the fuel entry port 520 and the insulator 540 are close to each other, the fastening part 526 penetrates through the insulator 540 to the right, and the coupling part 524 is stepped. The O-ring R inserted into the research 540 and inserted into the first O-ring groove 52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epped surface of the insulator 540 to the right through the through hole 523. The discharged fuel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left along the gap between the fuel entry port 520 and the insulator 540.

상기 절연구(540)의 우측면 테두리부에는 제2오링홈(542)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오링홈(542)은 내부에 오링(R)(절연구(540) 우측에 도시된 오링)이 끼워지는 것으로, 오링(R)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오링(R)의 두께보다 얕게 함몰 형성된다. The second O-ring groove 542 is recessed in the right side edge portion of the insulator 540. The second O-ring groove 542 is inserted into the O-ring (R) (o-ring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insulator 540) therei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ring (R), the thickness of the O-ring (R) It is formed more shallowly.

따라서, 상기 제2오링홈(542)에 오링(R)이 끼워지면 상기 오링(R)의 우측면은 제2오링홈(542)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ring 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ring groove 542,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O-ring R maintains the state protruding to the right from the second O-ring groove 542.

상기 관통나사(550)는 막전극접합체(200), 전극판(300), 앤드플레이트(100) 및 절연판(400)을 동시에 관통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나사(550)의 좌측단은 상기 암나사(528)와 체결되고, 우측단은 상기 너트(580)와 체결된다.The through screw 550 passes through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the electrode plate 300, the end plate 100, and the insulating plate 400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left end of the through screw 550 is the female screw. 528 and the right end are engaged with the nut 580.

따라서, 상기 관통나사(550)는 내부가 채워진 중실봉의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것과 동일하게 구비된다.Therefore, the through screw 550 is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olid rod filled inside.

그리고, 상기 관통나사(550)의 우측단 외주면에는 오링(R)이 구비된다. 상기 오링(R)은 관통나사(550)의 좌측단이 암나사(528)와 나사결합되었을 때 상기 체결부(526)를 내부로 연료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In addition, an O-ring (R)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ght end of the through screw (550). The O-ring (R) is configured to prevent fuel from flowing into the fastening part 526 when the left end of the through screw 550 is screwed with the female screw 528.

상기 관통나사(550)의 외주면에는 차단관(560)이 구비된다. 상기 차단관(560)은 관통나사(550)보다 조금 짧은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는 관통나사(550)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도록 관통된다.A blocking tube 560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screw 550. The blocking tube 56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lightly shorter length than the through screw 550, the inside is penetrated to have an inn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hrough screw 550.

따라서, 상기 차단관(560) 내부에는 관통나사(550)가 관통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through screw 550 can penetrate inside the blocking tube 560.

상기 차단관(560)의 좌측단에는 차단관(560)의 외주면 외경보다 조금 큰 외경을 가지도록 돌출된 압착부(562)가 구비된다. 상기 압착부(562)는 관통나사(550)의 좌측단 외주면에 둘러지는 오링(R)을 좌측방향으로 압축하여 연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left end of the blocking tube 560 is provided with a crimping portion 562 protruding to have an out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locking tube 560. The pressing part 562 is configured to compress the O-ring (R)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ft end of the through screw 550 in the left direction to prevent the leakage of fuel.

즉, 상기 관통나사(550)의 좌측단이 암나사(528)와 체결되고 우측단이 상기 너트(580)와 체결되어 상기 차단관(560)에 압축력이 발생되면, 상기 오링(R)은 압착부(562)와 체결부(526)의 내부 우측면에 의해 압착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left end of the through screw 550 is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528 and the right end is fastened to the nut 580 to generate a compressive force in the blocking pipe 560, the O-ring R is a crimping part. 562 and the inner right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526 may be compressed.

상기 차단관(560)의 외주면에는 다수 와샤가 구비된다. 즉, 상기 너트(580) 와 관통나사(550)가 서로 체결될 때 탄성복원력을 발생하는 스프링와샤(582)와, 상기 전극판(300)에서 발생된 전류가 상기 너트(58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절연와샤(584)와, 상기 연료유로(110) 내부의 연료가 상기 차단관(560)의 길이 방향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씰링와샤(586)가 구비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ing tube 560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washers. In other words, the spring washer 582 and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spring washer 582 generat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the nut 580 and the through screw 550 is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nut 580 is not transmitted to the nut 580. An insulating washer 584 for blocking and a sealing washer 586 for blocking the fuel in the fuel passage 110 from leak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ing tube 560 are provided.

상기 스프링와샤(582)와 절연와샤(584) 그리고 씰링와샤(586)는 관통나사(550)의 우측단에서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끼워지며, 두께에 차이가 있을 뿐 외경은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씰링와샤(586)의 좌측에는 오링(R)이 더 구비된다. 상기 오링(R)은 씰링와샤(586)와 차단관(560) 사이의 틈을 막아 연료유로(110) 내부의 연료가 관통나사(550)의 우측 방향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pring washer 582, the insulating washer 584, and the sealing washer 586 are sequentially inserted from the right end of the through screw 550 to the left side, and the outer diamet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ddition, an O-ring R is further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ealing washer 586. The O-ring R serves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sealing washer 586 and the blocking tube 560 so that the fuel inside the fuel passage 110 does not leak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through screw 550.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500)에는 모두 4개의 오링(R)이 구비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응용하여 형상을 바꾸는 경우 상기 오링(R)은 5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the coupling means 500 is provided with all four O-rings (R), and when the shape is changed by apply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with five or more (R) Of course.

그리고, 상기 씰링와샤(586)의 일면(도 8b에서는 좌측면)에는, 함몰 형성되어 오링(R)이 삽입되며, 상기 너트(580)와 관통나사(550)가 체결시 상기 오링(R)에 중심방향의 압력을 발생하는 압력발생홈(587)이 형성된다. In addition, one surface (left side in FIG. 8B) of the sealing washer 586 is recessed and an O-ring R is inserted into the O-ring R when the nut 580 and the through screw 550 are fastened. A pressure generating groove 587 is formed to generate pressure in the center direction.

따라서, 상기 압력발생홈(587)이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좌측으로 유동하여 압력을 발생하게 되면, 상기 오링(R)은 관통나사(550)의 중심방향으로 오므라들면서 상기 차단관(560)의 외주면과 씰링와샤(586)의 좌측면에 동시에 접촉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ressure generating groove 587 flows to the left side in the same state as in FIG. 7 to generate pressure, the O-ring R is retra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screw 550 and thu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eft side of the sealing washer 586 are in contact simultaneously.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결합수단(500)은 연료전지의 좌/우측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500)이 너트(580)의 체결에 의해 결합력을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결합력은 결합수단(500)의 인근에 국부적으로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means 50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e each on the left / right side of the fuel cell. And, when the coupling means 500 generates a coupling force by the fastening of the nut 580, this coupling force is locally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coupling means 500.

즉, 상기 앤드플레이트(100)에는 결합수단(500)이 위치한 국부적인 곳에만 결합력이 집중되며, 결국 상기 앤드플레이트(100)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때 앤드플레이트(100)의 중앙부가 연료전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된다.That is, the coupling force is concentrated only in the local place where the coupling means 500 is located in the end plate 100. As a result, the end plate 100 has a central portion of the end plate 100 as shown in FIGS. 2 and 3. It protrudes convexly outward.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500)이 발생한 결합력은 앤드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고르게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 막전극접합체(200), 전극판(300) 및 절연판(400)의 중앙부가 서로 이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품의 이격은 연료전지 내부의 연료 및 공기 누설을 야기하게 된다.Therefore, the coupling force generated by the coupling means 500 may not be evenly transmit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nd plate 100 so that the central portions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insulating plate 4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paration of each of these components causes fuel and air leakage inside the fuel cell.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앤드플레이트(100) 내부에 강화재(도 7의 도면부호 130)가 구비된다. 상기 강화재(130)는 결합수단(500)이 발생한 국부적인 결합력이 상기 앤드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막전극접합체(200), 전극판(300) 및 절연판(400) 중앙부의 이격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reference numeral 130 of FIG. 7) is provided inside the end plate 100.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is to ensure that the local coupling force generated by the coupling means 500 is evenly distribu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nd plate 100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insulating plate 400 This is to prevent separation.

이하 상기 결합수단(500)의 결합력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앤드플레이트(1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7 내지 도 8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end plate 100 for uniformly dispersing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means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8B.

도 8a에는 도 7의 'A'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b에는 도 7의 'B'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7 is illustrated in FIG. 8A, and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 7 is illustrated in FIG. 8B.

먼저 상기 앤드플레이트(100)는 기지재(150)에 의해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이루며, 상기 기지재(150) 내부에는 전술한 강화재(130)가 구비된다.First, the end plate 100 forms an appearanc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y the base material 150, and the reinforcement material 130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side the base material 150.

상기 강화재(130)는 탄성력을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앤드플 레이트(100)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The reinforcing member 130 is made of a plate having an elastic force, and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d plate 100.

이를 위해 상기 강화재(130)는 도 7과 같이 연료전지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구성되며,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앙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To this end,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is configured to be convex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uel cell as shown in Figure 7, it is formed so as to become thicker toward the center when viewed in the up / down direction.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500)이 결합력을 발생하여 상기 너트(580)와 연료입출포트(520)가 근접하게 되면, 상기 강화재(130)의 중앙부는 연료전지의 외측 방향으로 눌러져 판스프링과 유사한 작용에 따라 내측 방향의 탄성복원력을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upling means 500 generates a coupling force and the nut 580 and the fuel entry / exit port 520 are close to each other,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130 is pres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uel cell to act similar to the leaf spring. As a resul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inner direction is generated.

그리고, 상기 강화재(130)는 중앙부의 두께가 상/하측보다 두껍게 구성되므로 탄성복원력은 상기 강화재(130)의 중앙부에 가장 강하게 발생된다.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member 130 is thicker than the top / bottom sid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most strongly generated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130.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500)이 강화재(130)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여 결합력을 발생한다 하더라도, 상기 결합수단(500)이 발생한 결합력은 상기 강화재(130)에 의해 분산되어 연료전지 내부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coupling means 500 ar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reinforcement material 130 to generate a bonding force, the coupling force generated by the coupling means 500 is dispersed by the reinforcement material 130 and is evenly distributed into the fuel cell. Can be delivered.

상기 강화재(130)는 기지재(150)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 내부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상기 기지재(15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ement member 130 is preferably form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jection mold for molding the base member 150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member 150.

상기 강화재(130)에는 상기 결합수단(500)이 관통되도록 천공 형성된 안내구멍(도 8a 및 도 8b의 도면부호 132참조)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구멍(132)은 강화재(130)가 사출 금형 내부에 인서트되기 전에 미리 천공된다.The reinforcing material 130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see reference numeral 132 of FIGS. 8A and 8B)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coupling means 500. The guide hole 132 is drilled in advance before the reinforcement 130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mold.

보다 상세하게는 도 8a와 같이 연료입출포트가 위치한 앤드플레이트(100) 내부의 강화재(130)에는 상기 연료유로(110)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는 안내구 멍(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580)가 위치한 앤드플레이트(100) 내부의 강화재(130)는 차단관(560)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의 안내구멍(132)이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guide hole 132 having an inn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fuel passage 110 is formed in the reinforcement 130 inside the end plate 100 where the fuel entry and exit port is located as shown in FIG. 8A.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inside the end plate 100 where the 580 is located is formed with a guide hole 132 having an inn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locking tube 560.

그리고, 상기 안내구멍(132) 내측은 강화재(130)가 인서트되어 기지재(150)가 사출 성형될 때 기지재(150)와 동일한 재료가 충진되는데, 상기 결합수단(500)의 체결을 위해 상기 안내구멍(132) 내측은 별도의 드릴링 공정을 통해 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guide hole 132 is filled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base material 150 when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is inserted and the base material 150 is injection molded, the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coupling means 500 The inside of the guide hole 132 is drilled through a separate drilling process.

이러한 드릴링 공정 중에 상기 안내구멍(132)은 드릴링 공정 중에 형성된 구멍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During the drilling process, the guide hole 132 is preferably not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hole form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한편, 상기 앤드플레이트(100)는 강화재(130)와 기지재(150)의 결합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앤드플레이트(100)는 복합재료(Composite material)로 적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end plate 100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and the base material 150. For example, the end plate 100 may be applied as a composite material.

즉, 상기 강화재(130)는 텅스텐(W)계, 철(Fe)계, 니켈(Ni)계, 구리(Cu)계 합금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연속섬유를 직조하여 형성하고, 상기 기지재(150)는 강화재(130)에 함침시켜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at is,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is formed by weaving a metal continuous fiber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tungsten (W) -based, iron (Fe) -based, nickel (Ni) -based, copper (Cu) -based alloy, The base member 150 may be configured to be impregnated in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이하 상기 앤드플레이트(10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end plat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의 일 구성인 앤드플레이트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nd plat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앤드플레이트(100)의 구성 설명에 앞서 복합재료 및 이를 제조하기 위 한 장치 구성을 간략히 살펴본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plate 100, a brief look at the composite material and the device configuration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복합재료(Composite material)란 두 가지 이상 구성물질의 혼합체로써 서로 화학적으로 구분되는 구성물질들이 각각의 특성을 유지한 채로 결합되어 있으면서 각 구성물질의 독특한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서로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개개의 구성물질이 분리되었을 때보다 좋은 특성을 얻고자 인위적으로 구성된 물질을 일컫는 것이다. Composite material is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nents that are chemically distinct from each other and are retained in their respective properties while the unique mechan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each component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t refers to a material that is artificially constructed to get better properties than it would have if individual components were separated.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앤드플레이트(10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안내구멍(132)이 천공된 강화재(130)가 장입되는 함침금형(610)과, 상기 기지재(150)를 용융하여 가압하기 위한 용융금형(620)이 요구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in order to form the end plate 100, an impregnating mold 610 into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having a guide hole 132 is inserted and the base material 150 are melted and pressed. For the melt mold 620 is required.

상기 함침금형(610)과 용융금형(620)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며, 각각의 공간은 안내관(630)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The impregnating mold 610 and the molten mold 620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space, each space is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the guide tube 630.

즉, 상기 함침금형(610) 내부에는 기지재(150)를 형성하게 될 금속이 장입되고, 상기 용융금형(620) 내부에는 강화재(130)가 장입되며, 상기 용융금형(620) 내부 공간은 앤드플레이트(100)의 크기, 형상 및 두께와 대응된다.That is, the metal that will form the base member 150 is loaded in the impregnating mold 610,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is loaded in the molten mold 620, and the space inside the molten mold 620 is endless. Corresponds to the size, shape and thickness of the plate 100.

그리고, 상기 용융금형(620) 내부에 장입된 금속은 용융금형(620) 외부에 설치된 히터(640)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되며, 상기 용융금형(620) 내부 공간은 상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아지도록 구성된다.The metal charged in the molten mold 620 is heated and melted by a heater 640 installed outside the molten mold 620, and the space inside the molten mold 620 is selectively selected by a pressure applied from an upper side. It is configured to be small.

따라서, 상기 용융금형(620) 내부에서 용융된 금속은 상측에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안내관(630)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강화재(130)에 함침되며, 상기 함침금형(610) 내부 공간을 채워 상기 앤드플레이트(100)를 형성할 수 있 게 된다.Therefore, the molten metal in the molten mold 620 is impregnated in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by moving to the right along the guide tube 630 by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upper s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impregnation mold 610 It is possible to form the end plate 100 to fill.

물론 상기 함침금형(610) 내부 공간은 앤드플레이트(100) 성형 완료후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internal space of the impregnation mold 61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ed after the end plate 100 is completed.

또한, 상기 안내관(630) 외측에는 용융된 금속이 안내관(630)을 따라 이동할 때 냉각되어 굳지 않도록 별도의 히터(64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heater 640 is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guide tube 630 so that the molten metal is not cooled and hardened when moving along the guide tube 630.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전지를 결합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coupling the fuel cel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B.

먼저, 상기 연료전지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막전극접합체(200)는 연료전지에 요구되는 출력에 따라 개수가 조정되어 다수개로 적층되어질 수도 있다.First, in order to combine the fuel cells, a plurality of parts as shown in FIG. 4 must be provided, and the number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200 may be stacked in plurality by adjusting the number according to the output required for the fuel cell.

이후 도 4와 같이 준비된 다수 부품이 서로 면접촉하도록 적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앤드플레이트(100)와 절연판(400), 전극판(300) 및 막전극접합체(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하 좌/우면 중앙부가 하방향으로 조금 함몰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Thereafter,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epared as shown in FIG. 4 are stacked to have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end plate 100, the insulating plate 400,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 lower left / right surface is slightly rec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Have

상기 연료전지 내부에는 상기 앤드플레이트(100)와 절연판(400), 전극판(300) 및 막전극접합체(20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구멍들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 연통됨으로써, 연료유로(도 7의 도면부호 110), 공기유로(미도시)를 각각 형성하게 된다.In the fuel cell, hole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end plate 100, the insulating plate 400,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eing locat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thereby providing a fuel flow path (FIG. Reference numeral 110 in FIG. 7 and an air flow path (not shown) are respectively formed.

그리고, 상기 앤드플레이트(100)는 도 7과 같이 내부에 구비된 강화재(130)가 연료전지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the end plate 100 is disposed such that the reinforcement 130 provided therein is convex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uel cell as shown in FIG. 7.

이때, 상기 제1오링홈(525)에 오링(R)을 끼운 후 상기 연료입출포트(520)와 절연구(540)를 끼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오링홈(542)에도 역시 오링(R)을 끼운 후 상기 연료입출포트(520)와 절연구(540)를 연료전지의 전면(도 3에서 볼 때)에서 후방으로 삽입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ring (R) is inserted into the first O-ring groove 525 and then the fuel entry port 520 and the insulator 540 are fitted. In addition, the O-ring (R) is also inserted into the second O-ring groove 542, and then the fuel entry / exit port 520 and the insulator 540 are inserted rear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fuel cell (see FIG. 3). .

이후 상기 관통나사(550), 차단관(560), 다수 와샤를 도 5와 같은 상태로 조립 한 다음 도 3에서 볼 때 후면에서 전방으로 상기 연료유로(110)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Thereafter, the through screw 550, the blocking tube 560, and a plurality of washers are assemble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 and then inserted into the fuel flow path 110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as seen in FIG.

이런 결과로 상기 관통나사(550)의 좌측(도 8a 참조)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는 상기 암나사(528)와 체결되면서 압축력을 발생하게 되어 상기 제1오링홈(525)에 삽입된 오링(R)은 체결부(526)의 내부 우측면과 압착되어 누설이 차단된다.As a result, the male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see FIG. 8A) of the through screw 550 is engaged with the female screw 528 to generate a compressive force, so that the O-ring R inserted into the first O-ring groove 525 Compression with the inner right side of the fastening part 526 is blocked.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오링홈(525)과 제2오링홈(542)은 상기 절연구(540) 및 앤드플레이트(100)에 각각 밀착되어 연료의 누설을 차단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first O-ring groove 525 and the second O-ring groove 542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ulator 540 and the end plate 100 to block the leakage of fuel.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580) 내부에 관통나사(550)의 우측부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씰링와샤(586)는 오링(R)을 좌측으로 밀어 상기 오링(R)이 함몰부(120)의 좌측면과 차단관(560)의 외주면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료유로(110) 내부의 연료는 관통나사(550)의 길이방향 우측으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B, as the right part of the through screw 550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nut 580, the sealing washer 586 pushes the O-ring R to the left, and the O-ring R is recessed. By simultaneously contacting the left side of the 1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ing tube 560, the fuel inside the fuel passage 110 is not leaked to the righ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screw 550.

상기한 과정을 통해 조립 완료된 연료전지의 상태는 도 2 및 도 3에서 확인 가능하며, 상기 결합수단(500)에 의해 국부적으로 발생한 결합력은 상기 강화재(130)에 의해 분산되어 연료전지 내측 방향으로 고르게 전달된다.The state of the fuel cell assembled through the above process can be confirmed in FIGS. 2 and 3, and the coupling force generated locally by the coupling means 500 is dispersed by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and is evenly distributed in the fuel cell inner direction. Delivered.

이에 따라 상기 막전극접합체(200), 전극판(300) 및 절연판(400)은 중앙부가 서로 이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연료 및 공기 누설이 차단된다.Accordingly,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0,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insulating plate 400 remain in a state where the center portions are no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fuel and air leakag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예를 들어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결합수단(500)이 발생한 결합력의 위치에 따라 앤드플레이트(100) 내부에 구비된 강화재(130)의 방향을 달리하여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Figure 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130 provided inside the end plate 10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force generated by the coupling means 500 Of course, it can be applied differently.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에서는, 앤드플레이트에 결합수단을 체결하기 위한 별도 부위를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 보다 많은 연료전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not to form a separate portion for fastening the coupling means to the end plate, thereby allowing more fuel cells to be accommodated in the limited space.

따라서, 동일 공간 내에서 큰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되므로 결국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공간 효율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since a large output can be obtained in the same spa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pace efficiency of the direct methanol fuel cell is maximized.

또한, 앤드플레이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material used to manufacture the end plate is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향상되며 조립시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어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ssembly time is improved and the time required for assembly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결합수단이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결합력이 다수 구성품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앤드플레이트 내부에 강화재가 구비된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provided inside the end plate so that the coupling force generated locally by the coupling means is evenly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components.

따라서, 앤드플레이트의 국부적인 응력집중을 방지하여 파손이 방지되며, 연료전지 내부의 연료 및 공기 누설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damage is prevented by preventing local stress concentration of the end plate, and fuel and air leakage in the fuel cell are prevented in advanc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Claims (9)

연료와 공기를 반응시켜 전압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막전극접합체와;At least on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generating a voltage by reacting fuel and air; 상기 막전극접합체에서 발생한 전압의 흐름을 안내하는 전극판과;An electrode plate for guiding the flow of voltage generated i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상기 막전극접합체를 보호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앤드플레이트와;An end plate which protects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orms an appearance; 상기 앤드플레이트로 전압의 흐름을 차단하는 절연판과;An insulating plate which blocks the flow of voltage to the end plate; 상기 막전극접합체 내지 절연판에 결합력을 발생하고, 연료 흐름을 안내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It comprises a coupling means for generating a bonding force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or the insulating plate, and guides the fuel flow, 상기 앤드플레이트 내부 일측에는,Inside one end of the end plate, 상기 결합수단이 발생한 국부적인 결합력이 상기 막전극접합체, 전극판 및 절연판에 분산되도록 하는 강화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And a reinforcing material for dispersing the local bonding force generated by the coupling means i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the electrode plate, and the insulating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플레이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nd plate, 기지재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기지재는 강화재에 함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The appearance is formed by the base material, the base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el cell impregnated with a reinforcing materi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inforcing material, 텅스텐(W)계, 철(Fe)계, 니켈(Ni)계, 구리(Cu)계 합금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연속섬유를 직조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weaving a metal continuous fiber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tungsten (W) -based, iron (Fe) -based, nickel (Ni) -based, copper (Cu) -based allo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material, 탄성력을 가지는 판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plate having an elastic for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는 앤드플레이트 내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The fuel cell of claim 4, wherei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insert injection molded into the end pl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inforcing material, 일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formed convex.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는,The method of claim 3 or 6, wherein the reinforcing material, 중앙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The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becomes thicker toward the cent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 일측에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상기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천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ans penetrat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hrough hole, 상기 결합수단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means.
KR1020080036198A 2008-04-18 2008-04-18 A fuel cell KR1009882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198A KR100988228B1 (en) 2008-04-18 2008-04-18 A fuel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198A KR100988228B1 (en) 2008-04-18 2008-04-18 A fuel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608A true KR20090110608A (en) 2009-10-22
KR100988228B1 KR100988228B1 (en) 2010-10-18

Family

ID=4153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198A KR100988228B1 (en) 2008-04-18 2008-04-18 A fuel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2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670A1 (en) * 2011-12-29 2013-07-04 주식회사 효성 End plate for fuel cell st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39B1 (en) 2011-09-08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nd plate for fuel cell having sandwich insert
CN103400704B (en) * 2013-07-23 2016-03-02 李晓龙 Ultracapaci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5280B2 (en) 2001-04-20 2002-12-17 Utc Fuel Cells, Llc Convex fuel manifold providing uniform pressure seal to fuel cell stack
US6663995B2 (en) * 2002-04-30 2003-1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d plates for a fuel cell stack structure
JP4595318B2 (en) 2003-12-02 2010-12-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Fuel cell stack and tightening method thereof
KR100708343B1 (en) 2007-01-30 2007-04-18 한국기계연구원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ype fuel ce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670A1 (en) * 2011-12-29 2013-07-04 주식회사 효성 End plate for fuel cell stack
KR101357880B1 (en) * 2011-12-29 2014-02-05 주식회사 효성 End plater for fuel cell sta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228B1 (en)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0179B1 (en) Fluid flow plate having a bridge piece
JP4305569B2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nd fuel cell
US6500580B1 (en) Fuel cell fluid flow plate for promoting fluid service
AU2004216063B2 (en) Externally manifolded membrane based electrochemical cell stacks
US6511766B1 (en) Low cost molded plastic fuel cell separator plate with conductive elements
US8268512B2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de-membrane-frame assembly
CN101147288B (en) Polymer membrane fuel cell
US20050153184A1 (en) Bipolar plate with cross-linked channels
US20110053030A1 (en) Fuel Cell with Gas Diffusion Layer having Flow Chan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520067A (en) Polymer separator plate
KR100988228B1 (en) A fuel cell
US9023546B2 (en) Fuel cell
US20070231662A1 (en) Separator for fuel cell, method of producing the separa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fuel cell
KR100708343B1 (en)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ype fuel cell
US7220512B2 (en) Separator plate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n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ing the same
KR100862590B1 (en) Direct methanol fuel cell
KR100981320B1 (en) Combine device for A fuel cell
KR101109409B1 (en) An inner and outer Combine device for A fuel cell
US9543595B2 (en) Separator plate with intermediate injection of gas, fuel cell, method of feeding a fuel cell
KR102038205B1 (en) Gas distributor
US8431283B2 (en) Process for molding composite bipolar plates with reinforced outer edges
KR100928041B1 (en) Separato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US20030170528A1 (en) Moldable separator plate for electrochemical devices and cells
KR101094869B1 (en) Combine device for A fuel cell
US20220407087A1 (en) Separator for fuel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