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209A - 파일롯 구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 Google Patents

파일롯 구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209A
KR20090110209A KR1020080101650A KR20080101650A KR20090110209A KR 20090110209 A KR20090110209 A KR 20090110209A KR 1020080101650 A KR1020080101650 A KR 1020080101650A KR 20080101650 A KR20080101650 A KR 20080101650A KR 20090110209 A KR20090110209 A KR 20090110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symbol
allocated
ofdm symbol
alloc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임빈철
천진영
최진수
이욱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1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0209A/ko
Priority to US12/385,456 priority patent/US20090262845A1/en
Publication of KR20090110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06Space-frequency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채널 추정 성능 및 데이터 전송률을 고려하여 구성된 자원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자원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원블록은 소정 개수 및 소정 패턴으로 구성되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고, 파일롯 심볼들은 송신 안테나의 개수를 고려하여 소정의 할당비율로써 자원블록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원블록, 파일롯 심볼, OFDM 심볼, 부반송파

Description

파일롯 구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ilot structure}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개시한다.
이하 채널추정 방법 및 파일롯 신호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동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 수신기는 무선 채널의 정보(감쇄, 위상 편이 또는 시간지연 등)를 알아야 한다. 이때 채널 추정은 반송파의 크기 및 기준 위상을 추정하는 것을 말한다. 무선채널환경은 시간과 주파수 영역 상에서 채널 상태가 시간적으로 불규칙하게 변하게 되는 페이딩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채널에 대해 진폭과 위상을 추정하는 것을 채널추정이라고 한다. 즉, 채널추정은 무선구간 또는 무선채널의 주파수 응답을 추정하는 것이다.
채널추정 방법으로는, 2차원 채널 추정기를 사용하여 몇 개 기지국의 파일롯 심볼(pilot symbol)을 바탕으로 기준값을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파일롯 심볼이란 반송파 위상 동기화 및 기지국 정보 획득 등에 도움이 되도록 실제 데이터 를 가지지 않지만, 높은 출력을 갖는 심볼을 말한다. 송신단 및 수신단은 상기와 같은 파일롯 심볼을 이용하여 채널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파일롯 심볼에 의한 채널 추정은 송수신단에서 공통적으로 알고 있는 파일롯 심볼을 통해서 채널을 추정하고, 그 추정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이다.
도 1은 단일 송신 안테나 구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파일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한 개의 송신 안테나에 대한 경우를 나타낸다. 안테나가 한 개인 경우에는 짝수 심볼(even symbol) 및 홀수 심볼(odd symbol)에서 2개의 파일롯 부반송파(pilot sub-carrier)가 사용된다. 이런 경우 파일롯 부반송파에 의한 오버헤드는 대략 14.28%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두 개의 송신 안테나 구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파일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에서는 고차원의 송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시공간 부호화 방법(STC: Space-Time Coding)이 사용된다. 이때, STC를 지원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송신 안테나가 필요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두 개의 송신 안테나(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는 동시에 2 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심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시간영역(공간-시간) 및 주파수 영역(공간-주파수)에서 반복하여 전송된다. 따라서, 수신기의 복잡도 증가문제가 있으나 데이터 전송시 더 좋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서 데이터를 할당하는 방법은 동일한 채널추정 능력을 가진 두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파일롯 심볼은 각 안테나에서 2회에 걸쳐 전송된다. 파일롯 심볼의 위치는 4개의 심볼 구간에서 변경된다. 심볼은 현재 영역의 시작부터 계산되고, 첫 번째 심볼의 번호는 짝수이다.
도 2에서 채널추정을 위해 파일롯 부반송파가 사용된다. 이때, 파일롯 부반송파에 의한 오버헤드는 대략 14.28 %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네 개의 송신 안테나 구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파일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네 개의 안테나(제 1 안테나, 제 2 안테나, 제 3 안테나 및 제 4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전송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네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두 개의 전송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동일한 채널추정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심볼마다 각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채널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심볼이 14 개의 서브채널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네 개의 안테나는 각 심볼당 하나씩의 파일롯을 부반송파에 할당한다. 따라서, 파일롯 부반송파에 의한 오버헤드는 대략 28.57 %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송신 안테나 및 두 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파일롯 부반송파로 인해 14.28%의 파일롯 오버헤드를 가지게 된다. 또한, 네 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일롯 부반송파에 의해 28.57%의 파일롯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퍼뮤테이션(permutation) 방법에는 PUSC(Partial Usage of Subchannel), FUSC(Full Usage of Subchannel) 또는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등이 있다. 이때, 각 퍼뮤테이션 방법별로 서로 다른 파일롯 서브캐리어 할당 구조를 갖는다.
이는 퍼뮤테이션 방법이 시간상에서 분리가 되어 있었기 때문에, 각 퍼뮤테이션 별로 서로 다르게 최적화된 구조가 설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퍼뮤테이션 방법이 시간상으로 공존할 때에는 단일화된 기본 데이터 할당구조가 필요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파일롯 부반송파로 인한 오버헤드가 상당히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파일롯 오버헤드는 링크 처리량(link throughput)을 감소시켜서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파일롯 구조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다수의 안테나 간에 통일성(commonality)이 유지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파일롯 오버헤드가 심각한 경우 전송률 저하라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전송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가진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파일롯 서브캐리어 할당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퍼뮤테이션 방법에 대한 단일화된 데이터 할당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효율적인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파일롯 서브캐리어 할당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채널 추정 성능 및 데이터 전송율을 고려하여 구성된 자원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자원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원블록은 소정 개수 및 소정 패턴으로 구성되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고, 파일롯 심볼들은 송신 안테나의 개수를 고려하여 소정의 할당비율로써 자원블록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자원블록은 부반송파 및 OFDM 심볼의 구성이 9×2, 9×3 및 9×6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원블록은 부반송파 및 OFDM 심볼의 구성이 18×2, 18×3, 18×6 및 4×6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파일롯 심볼들은 단말의 이동속도에 대한 상관 지속 시간을 고려하여 2 OFDM 심볼 또는 3 OFDM 심볼 간격을 갖고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파일롯 심볼들은 주파수 선택적 특성을 고려하여 8 부반송파 또는 9 부반송파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1 개인 경우에는, 파일롯 심볼들이 할당되는 소정의 할당비율은 대략 11.11% 내지 16.67%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2 개인 경우에는, 파일롯 심볼들이 할당되는 소정의 할당비율은 대략 11.11% 내지 22.22%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파일롯 심볼들은 자원블록에 포함된 각 OFDM 심볼에 동일한 개수로서 할당될 수 있다. 이때, 파일롯 심볼들의 전력을 부스팅하기 위해, 파일롯 심볼들이 할당된 OFDM 심볼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로부터 전력을 차용할 수 있다. 데이터 심볼로부터 전력을 차용하는 방법에는 스틸링(stealing) 또는 펑쳐링(puncturing)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송신 안테나는 다중 안테나 전송 기법인 공간 및 주파수 블록 코딩(SFBC), 공간 및 시간 블록 코딩(STBC) 및 공간 다중화(SM) 중 하나 이상을 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송신안테나가 SFBC를 지원하는 경우 파일롯 심볼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송신안테나가 STBC를 지원하는 경우 파일롯 심볼들은 시간 영역에서 연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파일롯 심볼들이 둘 이상의 안테나들에 대한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둘 이상의 안테나들 중 제 1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 및 제 2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들은 서로 다른 코드를 이용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협조적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파일롯 심볼들은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별로 다른 코드를 이용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협조적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파일롯 심볼들은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른 안테나 인덱스를 이용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의 전송 안테나가 각각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는 서로 다른 파일롯 할당 구조를 통해 구분되고,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는 서로 다른 코드를 이용하여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하는 파일롯 할당구조를 이용하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어 개시하는 파일롯 할당구조를 사용하면, 다양한 퍼뮤테이션 방법에 대하여 단일화된 데이터 할당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하는 파일럿 할당 구조를 사용하면, 동시간에 동일한 퍼뮤테이션 모드(permutation mode)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별도의 파일럿 할당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단일화된 파일럿 할당 구조로써 활용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면 파일럿 부반송파 오버헤드를 효과적으 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율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들을 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 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S: Mobile Station)' 및 고정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때, 이동단말(MS)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또는 단말(Mobile 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으며, 고정단말은 노트북(Notebook) 및 랩톱 컴퓨터(Laptop)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전송하는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e-2005 또는 P802.16Rev2/D4 (April 2008)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하는 파일롯 할당구조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하는 파일롯 할당구조는 프레임 혹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으로 반복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롯 할당구조는 파일롯 심볼 간의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의 간격, 파일롯 밀도 대비 데이터 전송량, 전력 부스팅(power boosting)을 고려한 심볼 당 전력 비율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력 부스팅을 고려한 심볼당 안테나 간 전력 비율 및 다중 안테나 전송 기법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파일롯 할당구조를 설계시 고려되는 중요 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파일롯 심볼 할당 간격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들에서, 파일롯 심볼 간의 간격은 이동 속도(예를 들어, 120Km)에 대한 상관지속 시간(coherent time)을 고려할 때 2 내지 3 심볼 이내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파수 선택적 특성을 고려하여 8 내지 9 부반송파 이내의 간격(effective coherence bandwidth)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와 같은 조건들은 파일롯의 채널 추정 성능(channel estimation capability) 및 데이터 전송율 간의 상호 교환비(Trade-off)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2. 송신 안테나 수에 따른 파일롯 할당 비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송신 안테나 수에 따라 파일롯의 할당 비율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자원블록(RB: Resource Block)에서 대략 11.11% ~ 16.67%의 비율을 갖도록 파일롯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략 11.11% ~ 22.22%의 파일롯 비율을 갖도록 파일롯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하는 자원블록(RB)은 자원요소(RE: Resourec Element)들의 집합으로써, 하나의 자원블록은 m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 및 n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다. 이때, 자원요소(RE)는 1개의 부반송파 및 1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자원할당 단위를 나타낼 수 있다. 자원블록(RB) 및 자원요소(RE)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절히 나타내기 위한 용어이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자원 할당 단위에 대응하여 사용될 수 있다.
3. 전력 부스팅
전력 부스팅은 단말의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롯 심볼을 부스팅하기 위해, 부스팅된 파일롯 전력을 기준으로 클리핑(Clipping) 혹은 백 오프(Back-off)를 고려할 수 있다. 만약, 클리핑 혹은 백 오프를 고려할 경우, 이에 대한 전력 손실로 단말의 성능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파일롯 심볼의 전력을 부스팅하기 위해 데이터 전력을 차용(Stealing or Puncturing) 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추정 성능은 올라가지만,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경우 데이터 영역의 전력 손실로 데이터 처리 능력이 열화될 수 있다. 전 력 부스팅을 위한 방법들 중에서 채널 환경 또는 전체 성능 등 여러 요인들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제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파일롯 심볼의 전력을 부스팅할 때 데이터 심볼의 전력를 차용한다면, 각 OFDMA 심볼 별 전력 차이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심볼의 전력을 차용하지 않고 파일롯 심볼의 전력만을 부스팅한다면, 전송하는 OFDMA 심볼 간에 전력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의 가용 최대 전력은 부스팅된 파일롯의 전력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전력 범위가 넓은 값 비싼 PA를 사용해야 하거나, 혹은 PA의 전력 효율성(Power Efficiency)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OFDM 심볼간 전력 불균등을 피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영역의 전력을 차용(Stealing or Puncturing)하거나 각 OFDMA 심볼 별로 동일한 수의 파일롯을 갖도록 하여 전체 심볼 별 전력 레벨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일 송신 안테나뿐만 아니라 다중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중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할당구조는 OFDMA 심볼 당 송신 안테나 간에 전력 레벨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간 전력차이를 줄이기 위해, 각 OFDMA 심볼에서 모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다중 안테나 전송 기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하는 파일롯 할당구조들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법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송신 안테나를 가정할 때, 일반적으로 공간 및 주파수 블록 코딩(SFBC: Spatial Frequency Block Coding), 공간 및 시간 블록 코딩(STBC: Spatial Time Block Coding) 및 공간 다중화(SM: Spatial Multiplexing)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채널 추정 성능을 고려시 SFBC의 경우 두 안테나에 코딩이 걸리는 두 서브캐리어 간의 채널이 플렛(Flat) 하여야 하고, STBC의 경우 코딩이 걸리는 두 심볼 간의 채널이 플렛(Flat) 할수록 데이터 전송 성능이 좋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SFBC를 지원하는 경우, 두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에서 STBC를 지원하는 경우, 두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은 시간 영역에서 연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송신 안테나 수에 따른 파일롯 할당 방식을 각각 개시하고 있다. 이때, 다중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할당 방식에서는 안테나별로 파일롯 할당구조를 서로 바꾸어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시하는 파일롯 할당구조는 기본적으로 단일 송신 안테나와 두 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하고 있다. 다만, 네 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두 개 전송안테나에서 사용하는 파일롯 할당구조에 특정 부호를 붙여 다른 두 개의 안테나와 구분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송신 안테나를 위한 파일롯 구조를 사용하더라도, 네 개의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할 당 구조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협력적 전송(Collaborative SM)을 가정할 경우, 서로 다른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마다 특정 부호를 이용하여 파일롯 할당구조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파일롯 할당구조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 상관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파일롯 할당구조는 공용 파일롯(common pilot)으로만 사용할 수 있고, 전용 파일롯(dedicated pilot)으로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일롯 구조를 공용 파일롯 및 전용 파일롯으로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하는 파일롯 구조에 제어채널(Control channel) 이나 프리엠블 같은 신호가 실릴 수 있다. 이때, 제어채널이나 프리엠블이 할당되는 위치에만 파일롯이 실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채널이나 프리엠블이 할당되는 위치에만 사용되는 전용 파일롯이 할당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데이터 전송의 파일롯 할당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파일롯 할당구조는 하나의 자원블록(RB)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세로축은 주파수 영역으로서 부반송파 인덱스(m)로 나타내고, 가로축은 시간 영역으로서 OFDM 심볼 인덱스(n)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첫 번째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은 자원요소(RE: Resource Element)에 '1'이라 표시한 것이고, 두 번째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은 자원요소(RE)에 '2'라 표시한 것이다. 아무런 표시가 없는 자원요소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1개의 전송 안테나를 갖는 단말들이 협조적 전송을 하는 경우, 서로 다른 안테나 인덱스를 이용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안테나 인덱스 및 이에 대한 코드를 이용하여 각 단말을 구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은 9×6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일롯 심볼은 동일 주파수 축으로 9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할당되고, 동일 시간 축으로 3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할당된다. 도 4(a)에서 각 OFDM 심볼마다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되, 부반송파 인덱스(m)로 0, 4 및 8 번째 인덱스마다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도 4(b)는 부반송파 인덱스(m)로 1, 4 및 7 번째 인덱스마다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도 4(a) 및 도 4(b)는 9×3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개의 부반송파 및 3개의 OFDM 심볼간격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파일롯 심볼 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의 경우에는 9×3 구조의 파일롯 패턴이 2 번 반복되어 할당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은 18×3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파일롯 심볼은 동일 주파수 축으로 18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할당되고, 동일 시간축으로 3 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할당된다. 도 5(a)에서 각 OFDM 심볼마다 2 개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0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6 및 16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며, 세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3 및 13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각각 할당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파일롯 심볼은 동일 주파수 축으로 9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할당되고, 동일 시간축으로 3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할당된다. 도 5(b)에서 각 OFDM 심볼마다 2개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9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6 및 15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며, 세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2 및 11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각각 할당된다.
도 5(b)는 9×3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파일롯 할당구조를 9개의 부반송파 및 3개의 OFDM 심볼간격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파일롯 할당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5(b)의 경우에는 9×3 구조의 파일롯 패턴이 2 번 반복되어 할당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c)를 참조하면, 파일롯 심볼은 동일 시간축으로 18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할당되고, 동일 시간축으로 3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할당된다. 도 5(c)에서 각 OFDM 심볼마다 2 개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8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2 및 10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며, 세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4 및 12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각각 할당된다.
도 5(d)를 참조하면, 파일롯 심볼은 동일 시간축으로 9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할당되고, 동일 시간축으로 3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할당된다. 도 5(d)에서 각 OFDM 심볼마다 2 개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9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2 및 11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며, 세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4 및 13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각각 할당된다.
도 5(d)는 9×3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파일롯 할당구조를 9개의 부반송파 및 3개의 OFDM 심볼간격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파일롯 할당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5(d)의 경우에는 9×3 구조의 파일롯 패턴이 2 번 반복되어 할당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은 18×2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6.67%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18개의 부반송파 간격 및 2 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도 6(c) 및 도 6(d)역시 18개의 부반송파 간격 및 2 개 OFDM 심볼 간격으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나타낸다.
다만, 도 6(a)에서는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0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부반송파 인덱스(m)가 6 및 16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6(b)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0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에서는 부반송파 인덱스(m)가 5 및 15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c)에서는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m이 0 및 9인 곳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도 6(c)에서는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6 및 15인 곳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6(d)은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m이 0 및 9인 곳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4 및 13인 곳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도 6(c) 및 6(d)는 9×2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파일롯 할당구조를 9개의 부반송파 및 2개의 OFDM 심볼간격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파일롯 할당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6(c) 및 도 6(d)의 경우에는 9×2 구조의 파일롯 패턴이 2 번 반복되어 할당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자원블록(RB)이 18×6 구조이고,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심볼 할당 구조를 나타낸다. 도 7(a)에서 파일롯 심볼은 주파수 축 상으로 9개의 부반송파 간격 및 시간 축 상으로 3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반복하여 할당될 수 있다.
도 7(a)의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m이 1 및 10인 곳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4 및 13인 곳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세 번째 OFDM 심볼(n=2)에서 m이 7 및 16인 곳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세 번째 OFDM 심볼부터는 상기와 동일한 패턴으로 반복하여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도 7(a)는 9×3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개의 부반송파 및 3개의 OFDM 심볼간격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파일롯 심볼 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7(a)의 경우에는 9×3 구조의 파일롯 패턴이 4 번 반복되어 할당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7(b)는 자원블록(RB)이 4×6 구조이고,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 할당 비율이 25%인 경우의 파일롯 심볼 할당 구조를 나타낸다. 도 7(b)에서 파일롯 심볼은 주파수 축 상으로 4개의 부반송파 간격 및 시간 축 상으로 2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반복하여 할당될 수 있다.
도 7(b)의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m은 0인 심볼 및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은 2인 심볼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OFDM 심볼에 할당된 파일롯 심볼 패턴이 반복하여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송신 안테나가 2 개이고, 자원블록(RB)이 9×6 구조이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22.22%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의 각 OFDM 심볼마다 각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는 m이 0인 곳에서 첫 번째 송신 안테나(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8인 곳에서 두 번째 송신 안테나(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는 m이 0인 곳에서 두 번째 송신 안테나(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8인 곳에서 첫 번째 송신 안테나(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세 번째 OFDM 심볼(n=2)에서는 m이 0인 곳에서 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4인 곳에서 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네 번째 OFDM 심볼(n=3)에서는 m이 0인 곳에서 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4인 곳에서 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다섯 번째 OFDM 심볼(n=4)에서는 m이 4인 곳에서 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8인 곳에서 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여섯 번째 OFDM 심볼(n=5)에서는 m이 4인 곳에서 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8인 곳에서 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도 8(b)의 파일롯 할당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8(a)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도 8(b)는 도 8(a)의 자원블록(RB) 양끝 부반송파(m=0, 8)에 할당된 파일롯 심볼을 하나의 부반송파씩 이동한 경우(m=1, 7)를 나타낸다. 도 8(b)는 상기 파일롯 할당구조가 시간축 및 주파수 축으로 반복하여 할당될 때 주파수 축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일롯 심볼간 간섭 및 충돌을 줄이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송신 안테나가 2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3 구조이며, 자원블록 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22.22%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9의 각 OFDM 심볼마다 각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반복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m이 0 및 10인 곳에 첫 번째 송신 안테나(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1 및 11인 곳에 두 번째 송신 안테나(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6 및 16인 곳에 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7 및 17인 곳에 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세 번째 OFDM 심볼(n=2)에서 m이 2 및 12인 곳에 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3 및 13인 곳에 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m이 0 및 8인 곳에 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1 및 9인 곳에 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2 및 10인 곳에 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3 및 11인 곳에 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세 번째 OFDM 심볼(n=2)에서 m이 4 및 12인 곳에 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5 및 13인 곳에 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m이 0 및 10인 곳에 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1 및 11인 곳에 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2 및 12인 곳에 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3 및 13인 곳에 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세 번째 OFDM 심볼(n=2)에서 m이 4 및 14인 곳에 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5 및 15인 곳에 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송신 안테나가 2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2 구조이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22.22%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의 각 OFDM 심볼마다 각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반복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m이 0 및 10인 곳에 첫 번째 송신 안테나(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1 및 11인 곳에 두 번째 송신 안테나(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6 및 16인 곳에 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7 및 17인 곳에 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m이 2 및 10인 곳에 첫 번째 송신 안테나(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3 및 11인 곳에 두 번째 송신 안테나(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6 및 14인 곳에 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7 및 15인 곳에 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송신 안테나가 2 개이고, 자원블록(RB)이 4×6 구조이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25%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1(a)는 모든 OFDM 심볼마다 하나씩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b), 도 11(c) 및 도 11(d)는 특정 OFDM 심볼에서만 파일롯 심볼들이 할당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a)를 참조하면,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인 자원요소(RE)에 첫 번째 송신 안테나(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0인 RE에 두 번째 송신 안테나(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또한, 세 번째 OFDM 심볼(n=2)의 m이 3인 RE에 Tx #1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네 번째 OFDM 심볼(n=3)의 m이 3인 RE에 Tx #2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다섯 번째 및 여섯 번째 OFDM 심볼의 파일롯 할당 위치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OFDM 심볼의 파일롯 할당 위치와 동일하다.
도 11(b)를 참조하면, OFDM 심볼 인덱스(n)가 0, 2 및 4인 OFDM 심볼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n=0 및 4인 OFDM 심볼에서 m이 0인 RE에 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인 곳에 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또한, n=2인 OFDM 심볼에서 m이 2인 곳에 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3인 곳에 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도 11(c)를 참조하면, OFDM 심볼 인덱스(n)가 0, 1, 4 및 5인 OFDM 심볼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n=0 및 4인 OFDM 심볼에서 m이 0인 RE에 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3인 곳에 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또한, n=1 및 5인 OFDM 심볼에서 m이 0인 곳에 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3인 곳에 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도 11(d)를 참조하면, OFDM 심볼 인덱스(n)가 1, 및 4인 OFDM 심볼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n=1인 OFDM 심볼에서 m이 0 및 2인 RE에 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 및 3인 곳에 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또한, n=4인 OFDM 심볼에서 m이 0 및 2인 곳에 Tx #2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 및 3인 곳에 Tx #1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로서, 파일롯 할당구조의 순환천이(cyclic shift) 방법을 개시한다.
모든 셀에서 동일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이용할 경우, 각 파일롯의 위치가 셀 별 혹은 안테나별로 동일하게 할당된다. 이 경우 파일롯 심볼에 대해 타 셀 간 혹은 안테나 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파일롯 전력 부스팅(power boosting)을 이용하는 경우, 이러한 간섭 영향 및 파일롯 위치에 따른 충돌(pilot position collision)로 인한 성능 열화는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 셀 별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파일롯 패턴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기존의 파일롯 구조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파일롯 패턴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기존의 파일롯 할당 방식에 대하여 각 셀 별로 순환 시프트(cyclic shift)하여 파일롯을 할당하는 방법 및 파일롯 할당구조를 개시한다. 특정 파일롯 할당구조가 결정된 경우, 각 셀 별로 파일롯 구조를 시간 혹은 주파수 영역에 대하여 순환 시프트(cyclic shift)하여 사용할 수 있 다. 또한, 사용자는 순환천이하여 생성된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들을 각각 별개의 파일롯 할당 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다. 즉, 모든 쉬프트된 패턴은 각 기지국 또는 셀 별로 단일 패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시프트 된 파일롯 할당구조는 모든 파일롯 패턴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일부의 파일롯 패턴만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각 기지국은 파일롯 패턴을 미리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한 파일롯 패턴의 인덱스와 파일롯 심볼의 할당 방식은 임의로 매칭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서로 중복하여 정의하지는 않는다. 다만, 각 기지국에서 동일한 파일롯 패턴을 이용하는 경우는 발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9×6 구조이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2(a)는 각 OFDM 심볼마다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2(a)에서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부반송파 인덱스(m)가 0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부반송파 인덱스(m)가 8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며, 세 번째 OFDM 심볼(n=2)에서 부반송파 인덱스(m)가 4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나머지 네 번째 내지 여섯 번째 OFDM 심볼은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OFDM 심볼의 파일롯 구조가 반복되는 형태를 취 한다.
도 12(b)는 도 12(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의 OFDM 심볼 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cyclic shift)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12(c)는 도 12(b)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의 OFDM 심볼 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9×3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파일롯 할당구조를 9개의 부반송파 및 3개의 OFDM 심볼간격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파일롯 할당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의 경우에는 9×3 구조의 파일롯 패턴이 2 번 반복되어 할당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9×6 구조이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3(a)는 각 OFDM 심볼마다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3(a)에서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부반송파 인덱스(m)가 1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7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며, 세 번째 OFDM 심볼(n=2)에서 m이 4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나머지 네 번째 내지 여섯 번째 OFDM 심볼은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OFDM 심볼의 파일롯 구조가 반복되는 형태를 취한다.
도 13(b)는 도 13(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의 부반송파만큼 위쪽으로 순 환천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c)는 도 13(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의 부반송파만큼 아래쪽으로 순환천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d)는 도 13(a)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e)는 도 13(a)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하고, 하나의 부반송파만큼 위쪽으로 순환천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f)는 도 13(a)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하고, 하나의 부반송파만큼 아래쪽으로 순환천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g)는 도 13(a)를 두 개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13(h)는 도 13(g)를 하나의 부반송파만큼 위쪽으로 순환천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3(i)는 도 13(g)를 하나의 부반송파만큼 아래쪽으로 순환천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a) 내지 도 13(i)는 9×3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파일롯 할당구조를 9개의 부반송파 및 3개의 OFDM 심볼간격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파일롯 할당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i)의 경우에는 9×3 구조의 파일롯 패턴이 2 번 반복되어 할당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3 구조이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4는 하나의 OFDM 심볼당 2개의 파일롯 심볼이 18개의 부반송파 간격 및 3개의 OFDM 심볼 간격을 가지고 할당된 경우이다.
도 14(a)는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0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6 및 16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며, 세 번째 OFDM 심볼(n=2)에서 m이 3 및 13인 RE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14(b)는 도 14(a)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것을 나타내고, 도 14(c)는 도 14(b)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것을 나타낸다. 도 14(d)는 도 14(a)를 하나의 부반송파만큼 아래로 순환천이한 것을 나타내고, 도 14(e)는 도 14(d)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것을 나타내며, 도 14(f)는 도 14(e)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것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3 구조이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5는 하나의 OFDM 심볼당 2개의 파일롯 심볼이 9개의 부반송파 간격 및 3개의 OFDM 심볼 간격을 가지고 할당된 경우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9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6 및 15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며, 세 번째 OFDM 심볼(n=2)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2 및 11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를 알 수 있다.
도 15(b)는 도 15(a)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고, 도 15(c)는 도 15(b)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5(d)는 도 15(a)를 하나의 부반송파만큼 아래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고, 도 15(e)는 도 15(d)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며, 도 15(f)는 도 15(e)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5(g)는 도 15(a)를 두 개의 부반송파만큼 아래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고, 도 15(h)는 도 15(g)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며, 도 15(i)는 도 15(h)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5(a) 내지 도 15(i)는 9×3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파일롯 할당구조를 9개의 부반송파 및 3개의 OFDM 심볼간격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파일롯 할당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i)의 경우에는 9×3 구조의 파일롯 패턴이 2 번 반복되어 할당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3 구조이며, 자원블록 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6은 하나의 OFDM 심볼당 2개의 파일롯 심볼이 18개의 부반송파 간격 및 3개의 OFDM 심볼 간격을 가지고 할당된 경우이다. 또한, 도 16에서 기지국은 18 서브캐리어 단위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6(a)는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8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나타내고,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2 및 10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나타내며, 세 번째 OFDM 심볼(n=2)에서 m이 4 및 12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6(b)는 도 16(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고, 도 16(c)는 도 16(a)를 두 개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6(d)는 도 16(a)의 각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부반송파만큼 아래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고, 도 16(e)는 도 16(d)의 각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며, 도 16(f)는 도 16(d)의 각 파일롯 심볼들을 두 개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6(g)는 도 16(a)의 파일롯 심볼들을 두 개의 부반송파만큼 아래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고, 도 16(h) 및 도 16(i)는 도 16(g)의 각 파일롯 심볼들을 차례로 하나의 OFDM 심볼만큼씩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 당구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6의 파일롯 할당구조의 다른 변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면의 구성상 파이롯 할당구조의 다른 변형들은 도 16(a) 내지 도 16(c)와 동일한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해당 도면들은 생략하고, 각 파일롯 심볼구조를 변형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6(a) 내지 도 16(c)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각각 3 OFDM 심볼 단위, 4 OFDM 심볼 단위 및 5 OFDM 심볼 단위로 순환천이하여 또 다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순환천이 구조는 자원블록의 크기가 18×3인 구조에서는 큰 의미가 없으나, 자원블록의 구조가 18×3 구조에서 확장되는 경우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도 16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는 경우의 모든 도면을 모두 도시하지는 않았다. 다만, 도 16(a)를 기준으로 하나의 OFDM 심볼 간격 및/또는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파일롯 심볼의 할당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만족시키는 모든 파일롯 할당구조를 구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3 구조이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7은 하나의 OFDM 심볼당 2개의 파일롯 심볼이 10개의 부반송파 간격 및 3개의 OFDM 심볼 간격을 가지고 할당된 경우이다. 다만, 도 17은 9개의 부반송파 단위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7(a)는 첫 번째 OFDM 심볼(n=0)에서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9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나타내고, 두 번째 OFDM 심볼(n=1)에서 m이 2 및 11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나타내며, 세 번째 OFDM 심볼(n=2)에서 m이 4 및 13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7(b)는 도 17(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고, 도 17(c)는 도 17(a)를 두 개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7(d)는 도 17(a)의 각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부반송파만큼 아래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고, 도 17(e)는 도 17(d)의 각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며, 도 17(f)는 도 17(d)의 각 파일롯 심볼들을 두 개의 OFDM 심볼만큼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7(g)는 도 17(a)의 파일롯 심볼들을 4 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환천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7(h) 및 도 17(i)는 도 17(g)의 각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OFDM 심볼 간격 만큼씩 순차적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7의 파일롯 할당구조의 다른 변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면의 구성상 파이롯 할당구조의 다른 변형들은 도 17(a) 내지 도 17(c)와 동일한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해당 도면들은 생략하고, 각 파일롯 심볼구조를 변형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7(a) 내지 도 17(g)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각각 2 부반송파 단위 및 3 부반송파 단위로 순환천이하여 또 다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순환천이 구조는 자원블록의 크기가 18×3인 구조에서는 큰 의미가 없으나, 자원블록의 구조가 18×3 구조에서 확장되는 경우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도 17은 파일롯 구조를 순환천이하는 모든 경우 중 일부의 도면만을 도시한 것이다. 다만, 도 17을 기준으로 하나의 OFDM 심볼 간격 및/또는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파일롯 심볼의 할당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만족시키는 모든 파일롯 할당구조를 구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2 구조이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8은 하나의 OFDM 심볼당 2개의 파일롯 심볼이 9개의 부반송파 간격 및 2개의 OFDM 심볼 간격을 가지고 할당된 경우이다. 다만, 도 18은 18개의 부반송파 단위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8(a)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9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6 및 15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8(b)는 도 18(a)의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OFDM 심볼간격으로 순환천이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8(c)는 도 18(a)의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환천이하는 경우를 나타내다. 도 18(d) 내지 도 18(f)는 순차적으로 하나의 OFDM 심볼 간격으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한 후에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환천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8에서는 도 18(a)에 도시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는 모든 경우를 도시하지 않았다. 다만, 도 18(a)를 하나의 OFDM 심볼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순환천이하고,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순환천이함으로써 모든 파일롯 할당구조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f)는 9×2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파일롯 할당구조를 9개의 부반송파 및 2개의 OFDM 심볼간격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파일롯 할당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f)의 경우에는 9×2 구조의 파일롯 패턴이 2 번 반복되어 할당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2 구조이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9는 하나의 OFDM 심볼당 2개의 파일롯 심볼이 9개의 부반송파 간격 및 2개의 OFDM 심볼 간격을 가지고 할당된 경우이다. 다만, 도 19는 9개의 부반송파 단위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9(a)는 첫 번째 OFDM 심볼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9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두 번째 OFDM 심볼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4 및 13인 자원요소에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9(b)는 도 19(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의 OFDM 심볼 간격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9(c) 내지 도 19(j)는 도 19(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환천이하고, 다음으로 하나의 OFDM 심볼 간격으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9는 각 도면 중 도(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기준으로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OFDM 심볼 간격 또는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순환천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또한, 각 도(a)의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OFDM 심볼 간격 및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순환천이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도(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기준으로 하나의 OFDM 심볼 간격 및/또는 두 개 이상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파일롯들을 순환천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는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6 구조이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0(a)는 상기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로서 각 OFDM 심볼당 2개의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각 파일롯 심볼을 9개의 부반송파 간격 및 3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20(a)는 9×3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파일롯 할당구조를 9개의 부반송파 및 3개의 OFDM 심볼간격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파일롯 할당구조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20(a)의 경우에는 9×3 구조의 파일롯 패턴이 2 번 반복되어 할당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0(b)는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4×6 구조이며, 자원 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25%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0(b)는 각 OFDM 심볼마다 하나의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되, 동일 OFDM 심볼 축에서는 2 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0(a) 및 도 20(b)의 파일롯 심볼 구조를 순차적으로 하나의 OFDM 심볼 단위로 순환천이(cyclic shift)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 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OFDM 심볼 단위 및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로 순차적으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 할 수 있다.
도 20(a)의 다른 순환천이 방법으로써, 도 20(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1 부반송파 단위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 할 수 있다. 또한, 도 20(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의 OFDM 심볼 단위로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 할 수 있다. 또한, 도 20(a)를 1 부반송파 단위 및 1 OFDM 심볼 단위로 순환천이하거나, 1 부반송파 단위 및 2 OFDM 심볼 단위로 순환천이하거나, 2 부반송파 단위 및 1 OFDM 심볼단위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 할 수 있다. 이때, 파일롯 심볼들을 순환천 이하는 방향은 각각 다를 수 있다. 또한, 도 20(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단위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단위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할 수 있다.
도 20(b)은 첫 번째 부반송파에서는 첫 번째 심볼, 세 번째 심볼 및 다섯 번째 심볼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세 번째 부반송파에서는 두 번째 심볼, 네 번째 심볼 및 여섯 번째 심볼에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0(b)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별개의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b)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 또는 하나의 OFDM 심볼 단위로 순환천이하거나,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 및 하나의 OFDM 심볼 단위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송신 안테나가 2 개이고, 자원블록(RB)이 9×6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22.22%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1은 하나의 OFDM 심볼당 2개의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되, 제 1 송신 안테나 및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각각 할당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1(a)를 참조하면, 첫 번째 OFDM 심볼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인 자원요소(RE)에는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8인 RE에는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두 번째 OFDM 심볼에서는 m이 0인 RE에는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8인 RE에는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세 번째 OFDM 심볼에서는 m이 0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4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 할 수 있다. 네 번째 OFDM 심볼에서는 m이 0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4인 RE에는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다섯 번째 OFDM 심볼에서는 m이 4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8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 할 수 있다. 여섯 번째 OFDM 심볼에서는 m이 4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하고, m이 8인 RE에는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도 21(a)에서 도시한 각 파일롯 심볼들의 할당 위치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간격으로 순환천이할 수 있으나, 2 OFDM 심볼 또는 4 OFDM 심볼 간격으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1(b)는 도 21(a)에서 부반송파 인덱스가 0인 자원요소들에 할당된 파일롯 심볼들의 할당 위치를 부반송파 인덱스가 1인 자원요소들로 변경하고, 부반송파 인덱스가 8인 자원요소들에 할당된 파일롯 심볼들의 할당 위치를 부반송파 인덱스가 7인 자원요소들로 변경한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21(b)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다양한 방법으로 순환천이함으로써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b)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1 부반송파 단위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순환천이함으로써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2 OFDM 심볼단위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함으로써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1 부반송파 단위로 아래쪽으로 순환천이하고, 다시 2 OFDM 심볼 단위로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4 OFDM 심볼 단위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4 OFDM 심볼 단위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하고, 1 부반송파 단위 또는 2 부반송파 단위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의 각 파일롯 할당구조는 도 9에서 도시한 파일롯 할당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도 22에서는 각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cyclic shift)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도 22(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 또는 두 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파일롯 할당구조를 천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2(a)의 파일롯 할당구조에서 첫 번째 OFDM 심볼과 두 번째 OFDM 심볼의 위치를 바꾸거나, 두 번째 OFDM 심볼과 세 번째 OFDM 심볼의 위치를 바꾸거나 첫 번째 OFDM 심볼과 세 번째 OFDM 심볼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파일롯 심볼의 할당 위치가 천이 된 파일롯 할당구조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OFDM 심볼의 위치를 변경한 후에, 각각의 파일롯 할당구조들을 1 OFDM 심볼 또는 2 OFDM 심볼 단위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2(b)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 또는 두 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순환 시프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간격(바람직하게는, 두 개 또는 네 개)으로 파일롯 할당구조를 시프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나의 OFDM 심볼 간격 및 두 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파일롯 할당구조를 시프트할 수 있으며, 두 개의 OFDM 심볼 간격 및 두 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파일롯 할당 위치를 시프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나의 OFDM 심볼 간격 및 네 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파일롯 할당구조를 시프트할 수 있으며, 두 개의 OFDM 심볼 간격 및 네 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파일롯 할당구조를 시프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2(c)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 또는 두 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순환천이할 수 있다. 또한, 도 22(c)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두 개의 부반송파 간격을 갖도록 순환천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OFDM 심볼 간격 및 두 개의 부반송파 간격을 갖도록 순환천이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OFDM 심볼 간격 및 두 개의 부반송파 간격을 갖도록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 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의 각 파일롯 할당구조는 도 10에서 도시한 파일롯 할당구조와 동일하다. 사용자는 도 23에서 할당된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OFDM 심볼 단위로 순환천이하여 파일롯 할당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23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간격(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23의 파일롯 심볼들을 1 개의 OFDM 심볼 간격 및 2 개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는 송신 안테나가 2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6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4(a)의 파일롯 할당구조는 하나의 OFDM 심볼당 제 1 송신 안테나 및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각각 할당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0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1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0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또한, 세 번째 OFDM 심볼(n=2)의 m이 4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3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네 번째 OFDM 심볼(n=3)의 m이 4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3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또한, 다섯 번째 OFDM 심볼(n=4)의 m이 7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6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여섯 번째 OFDM 심볼(n=5)의 m이 7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6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된다.
도 24(a)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도 24(a)의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단위(바람직하게는, 2 또는 4 개 OFDM 심볼 단위)로 오른쪽으로 순환천이하거나,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단위로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순환천이하여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 파일롯 심볼들을 두 개의 OFDM 심볼 단위 및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로 순환천이하거나, 두 개의 OFDM 심볼 단위 및 두 개의 부반송파 단위로 순환천이하여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 파일롯 심볼들을 네 개의 OFDM 심볼 및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로 순환천이하거나, 네 개의 OFDM 심볼 및 두 개의 부반송파 단위로 순환천이 하여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4(b)는 송신 안테나가 2 개이고, 자원블록(RB)이 4×6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25%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4(b)의 파일롯 할당구조는 특정 OFDM 심볼에 제 1 송신 안테나 및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을 할당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4(b)의 파일롯 할당구조에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세 번째 OFDM 심볼(n=2)의 m이 2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다섯 번째 OFDM 심볼(n=4)의 m이 0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1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도 24(b)의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단위로 순환천이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단위로 파일롯 심볼들을 순환천이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양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2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이고, 하나의 OFDM 심볼당 두 개의 파일롯 심볼이 각각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5(a)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0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5 및 15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5(b)는 도 25(a)의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만큼 아래로 순환천이한 도면이고, 도 25(c)는 도 25(b)의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만큼 아래로 순환천이한 도면이다.
도 25(d)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2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7 및 17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5(e)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2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5 및 17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5(f)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0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5 및 17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5(g)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0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5 및 16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5(h)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1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6 및 17인 자 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5(i)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2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7 및 17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5(j)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7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5 및 12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5(k)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6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6 및 11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5(l)은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2 및 15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5 및 12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5는 자원블록의 크기가 18×2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다만, 도 25는 하나의 OFDM 심볼을 추가함으로써 18×3의 파일롯 할당구조로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의 각도에서 가운데 데이터 심볼열을 추가하거나, 첫 번째 데이터 심볼열 또는 두 번째 데이터 심볼열을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18×3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양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는 송신 안테나가 2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2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22.22%이고, OFDM 심볼마다 각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각각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6(a)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0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5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구조이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0 및 10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5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구조이다.
도 26(b) 및 도 26(c)는 도 26(a)의 파일롯 심볼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로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6(d)은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2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7 및 17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구조이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0 및 12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7 및 17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구조이다.
도 26(e)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2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7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구조이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0 및 12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7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구조이다.
도 26(f)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0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7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구조이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0 및 10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7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구조이다.
도 26(g)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0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6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구조이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0 및 10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6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구조이다.
도 26(h)는 도 26(g)의 파일롯 할당구조의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로 순환천이한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6(i)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2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7 및 17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1 및 12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6 및 17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6(j)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7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2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0 및 17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2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6(k)는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6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6 및 11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1 및 16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6 및 11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6(l)은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5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2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2 및 15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2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 는 파일롯 할당구조이다.
도 26은 자원블록의 크기가 18×2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다만, 도 26은 하나의 OFDM 심볼을 추가함으로써 18×3의 파일롯 할당구조로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의 각도에서 가운데 데이터 심볼열을 추가하거나, 첫 번째 데이터 심볼열 또는 두 번째 데이터 심볼열을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18×3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양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a)는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3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7.40%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7(a)를 참조하면, 파일롯 할당구조에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1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세 번째 OFDM 심볼(n=2)의 m이 6 및 16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7(b) 및 도 27(c)는 송신 안테나가 1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3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1.1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7(b)를 참조하면, 파일롯 할당구조에 첫 번째 OFDM 심볼(n=0) 및 세 번째 OFDM 심볼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0인 자원요소(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5 및 15인 RE에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 을 알 수 있다.
도 27(c)는 도 27(b)의 파일롯 할당구조에서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의 부반송파 단위만큼 아래로 순환천이한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양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a)는 송신 안테나가 2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3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14.81%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8(a)를 참조하면, 파일롯 할당구조에 첫 번째 OFDM 심볼(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1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6 및 16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세 번째 OFDM 심볼(n=2)의 m이 1 및 11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6 및 16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8(b) 내지 도 28(f)는 송신 안테나가 2 개이고, 자원블록(RB)이 18×3 구조를 가지며, 자원블록에 대한 파일롯 심볼의 할당 비율이 대략 22.22%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8(b)를 참조하면, 파일롯 할당구조에 첫 번째 OFDM 심볼(n=0) 및 세 번째 OFDM 심볼(n=2)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0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5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0 및 10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5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8(c)는 도 28(b)의 파일롯 할당구조에서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파일롯 심볼들을 순환천이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낸다.
도 28(d)를 참조하면, 파일롯 할당구조에 첫 번째 OFDM 심볼(n=0) 및 세 번째 OFDM 심볼(n=2)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0 및 17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2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0 및 17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5 및 12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8(e)를 참조하면, 파일롯 할당구조에 첫 번째 OFDM 심볼(n=0) 및 세 번째 OFDM 심볼(n=2)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6인 자원요소(RE)에 제 1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6 및 11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1 및 16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6 및 11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8(f)를 참조하면, 파일롯 할당구조에 첫 번째 OFDM 심볼(n=0) 및 세 번째 OFDM(n=0)의 부반송파 인덱스(m)가 1 및 16인 자원요소(RE)에 제 2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6 및 11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 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OFDM 심볼(n=1)의 m이 1 및 16인 RE에 제 1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고, m이 6 및 11인 RE에 제 2 송신 안테나의 파일롯 심볼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영된 파일롯 심볼 구조에서, 모든 도면에 대한 순환천이를 반영하여 도면을 작성하지는 아니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도면들에 나타난 기술적 사상을 조합하면 모든 경우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는 각 파일롯 심볼 구조들에 포함된 파일롯 심볼들을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단위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 단위로서 순환천이할 수 있는 파일롯 심볼 구조들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안한 파일롯 할당구조 및 파일롯 할당 방식과 더불어 전송 안테나가 4 개인 경우 혹은 전송 안테나가 2 개이고 하나 이상의 단말이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 대하여 전송 안테나 수가 2 개인 경우의 파일롯 할당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안테나 혹은 공간 다중화에 대한 단말(유저)에 대한 파일롯 구분은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안테나 수 혹은 자원을 공유하는 단말(유저)의 수가 증가하면 이에 대한 파일롯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만약 안테나 수 혹은 자원을 공유하는 단말(유저)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낮은 파일롯 오버헤드를 유지할 경우 채널 추정 성능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 한 교환비(trade-off)에 있어 상대적으로 낮은 파일롯 오버헤드를 유지하면서 동일한 채널 추정 성능을 갖는 안테나 할당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미리 정의된 위상 편이 코드셋을 갖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같은 위치에 할당되는 파일롯(또는, 이를 통하여 추정한 채널 정보)를 구별한다. 예를 들어, 4 개 전송 안테나를 가정한 시스템에서 제 1 송신 안테나 및 제 2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할당은 2 개 송신 안테나에서의 파일롯 할당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3 송신 안테나 및 제 4 송신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할당은 앞의 두 안테나에 대한 파일롯 할당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미리 정의된 위상 천이 코드를 마스크 하여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자원을 공유 및 전송하는 시스템의 경우, 안테나의 구분은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수행하고, 단말(유저)는 위상천이 코드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은 단일 송신 안테나 구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파일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두 개의 송신 안테나 구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파일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네 개의 송신 안테나 구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파일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 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롯 할당구조를 순환천이하여 새 로운 파일롯 할당구조를 생성하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양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양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양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양한 파일롯 할당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6)

  1.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채널 추정 성능 및 데이터 전송률을 고려하여 구성된 자원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원블록은 소정 개수 및 소정 패턴으로 구성되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롯 심볼들은 송신 안테나의 개수를 고려하여 소정의 할당비율로써 상기 자원블록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블록은 부반송파 및 OFDM 심볼이 9×2, 9×3 및 9×6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블록은 부반송파 및 OFDM 심볼의 구성이 18×2, 18×3, 18×6 및 4×6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심볼들은 단말의 이동속도에 대한 상관 지속 시간을 고려하여 2 OFDM 심볼 또는 3 OFDM 심볼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심볼들은 주파수 선택적 특성을 고려하여 8 부반송파 또는 9 부반송파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1 개인 경우에는,
    상기 파일롯 심볼들의 상기 소정의 할당비율은 대략 11.11% 내지 16.67%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2 개인 경우에는,
    상기 파일롯 심볼들의 상기 소정의 할당비율은 대략 11.11% 내지 22.22%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심볼들은 상기 자원블록에 포함된 각 OFDM 심볼에 동일한 개수로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심볼들의 전력을 부스팅하기 위해, 상기 파일롯 심볼들이 할당된 OFDM 심볼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로부터 전력을 차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는 다중 안테나 전송 기법인 공간 및 주파수 블록 코딩(SFBC), 공간 및 시간 블록 코딩(STBC) 및 공간 다중화(SM) 중 하나 이상을 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안테나가 SFBC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파일롯 심볼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송신안테나가 STBC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파일롯 심볼들은 시간 영역에서 연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심볼들은 둘 이상의 안테나들에 대한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안테나들 중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는 서로 다른 코드 를 이용하여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협조적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파일롯 심볼들은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별로 다른 코드를 이용하여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는 서로 다른 코드를 이용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상기 자원블록을 이용하여 협조적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파일롯 심볼들은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른 안테나 인덱스를 이용하여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상기 자원블록을 이용하여 협조적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파일롯 심볼들은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른 안테나 인덱스 및 상기 제 1 사용자 및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코드를 이용하여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0080101650A 2008-04-16 2008-10-16 파일롯 구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KR20090110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650A KR20090110209A (ko) 2008-04-16 2008-10-16 파일롯 구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US12/385,456 US20090262845A1 (en) 2008-04-16 2009-04-08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ilo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045,280 2008-04-16
US61/074,155 2008-06-20
KR1020080099978 2008-10-13
KR1020080101650A KR20090110209A (ko) 2008-04-16 2008-10-16 파일롯 구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09A true KR20090110209A (ko) 2009-10-21

Family

ID=4153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650A KR20090110209A (ko) 2008-04-16 2008-10-16 파일롯 구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02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286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ilot structure
JP6034446B2 (ja) ダウンリンクmimoシステムにおける参照信号伝送方法
KR101449031B1 (ko) 미드앰블의 전송방법
US87814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omp
US91918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hysical resources configuration and signal transmission when communication systems coexist
CN107888360B (zh) 参考信号传输方法、设备及系统
CN108400848B (zh) 一种指示方法及装置
JP2009510820A (ja) マルチキャリア伝送のためのパイロット構造
US8483161B2 (e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ubframe structure
KR20130050111A (ko) 다중 안테나를 위한 제어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JP2013510522A (ja) 高級ロング・ターム・エボリュ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参照信号シーケンスのマッピ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00066261A (ko) 하향링크 mimo시스템에 있어서 rs 전송 방법
US20160105871A1 (e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small cell network data resource using common reference signal
US2009026284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ilot structure
US11424881B2 (en) Method and device in UE and base station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0913476B (zh) 通信方法及通信装置
Dalela et al.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and modulation formats for 5G: Heir of OFDM?
KR2011002371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30051449A (ko) Nr 시스템을 위한 복조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26996B1 (ko)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가진 시스템에서의 파일롯 신호 송수신 방법
US202103374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on and transmission of downlink signal/channel for initial access
KR101526997B1 (ko)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가진 시스템에서의 파일롯 신호 송수신 방법
Bykovnikov The advantages of SOFDMA for WiMAX
WO2009091143A2 (en) Method of pilot subcarrier transmitting
KR20090075601A (ko) 이종 모드 및 tdd/fdd 지원에 유연한 프레임 및 이를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