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832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832A
KR20090109832A KR1020080035252A KR20080035252A KR20090109832A KR 20090109832 A KR20090109832 A KR 20090109832A KR 1020080035252 A KR1020080035252 A KR 1020080035252A KR 20080035252 A KR20080035252 A KR 20080035252A KR 20090109832 A KR20090109832 A KR 20090109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ction nozzle
vacuum cleaner
handle pipe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161B1 (ko
Inventor
지헌평
박상준
권혁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5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16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2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means for connecting a ho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36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ho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45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tub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진공 청소기의 본체가 흡입 노즐에 안착되도록 하여 업라이트 방식 및 캐니스터 방식이 구현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집진 유닛이 제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본체 및 흡입 노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바퀴;와, 상기 흡입 노즐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핸들 파이프; 및 상기 흡입 노즐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된다.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피청소면의 종류에 따라 업라이트 방식 또는 캐니스터 방식을 선택하여 진공 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진공 청소기, 본체, 흡입 노즐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진공 청소기의 본체가 흡입 노즐에 안착되도록 하여 업라이트 방식 및 캐니스터 방식이 구현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바닥면의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이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 장치에 의해서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흡입 모터가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청소 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과,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집진 장치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에는 상기 본체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 노즐의 후측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레버가 구비된다.
반면에,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에는,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로부터 연장되어 공기를 본체로 가이드 하는 연장관 및 연장 호스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과 연장관이 함께 이동되면서 피청소면이 청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카페트와 같이 섬유 내에 먼지가 다량 함유되는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경우에 효율적이며,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는 방바닥을 청소하거나, 침대 밑과 같이 슬림한 노즐의 이동이 필요한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경우에 효율적이다.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진공 청소기가 작동되면, 상기 본체에 내장된 흡입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 장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집진 장치에서 배출되어 상기 본체로 유입된 후에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와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로 구분되어, 피청소면에 따라 청소의 수행 여부 또는 청소의 효율성에 제한이 있었다.
즉,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는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을 청소하기에 비효율적이었으며,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침대 밑이나 좁은 공간 사이의 피청소면을 청소하는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진공 청소기의 본체가 흡입 노즐의 일측면을 향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피청소면에 따라 캐니스터형 또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선택하여 작동함으로써 효율적인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집진 유닛이 제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본체 및 흡입 노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바퀴;와, 상기 흡입 노즐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핸들 파이프; 및 상기 흡입 노즐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의 일측에 제공되는 핸들 파이프;와, 상기 흡입 노즐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핸들 파이프가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핸들 파이프와 본체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장 가능한 연장 호스가 포함되며, 상기 연장 호스는,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축되며,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연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페트와 같은 피청소면을 청소할 경우, 본체가 흡입 노즐의 일측에 세워지도록 하여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침대 밑과 같은 좁은 공간을 청소할 경우, 본체가 접혀져 흡입 노즐의 일측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는 업라이트형 구조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진공 청소기(1)에는, 내부에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제공되며, 바닥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20)과,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하는 핸들(3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10)의 전면은 상기 흡입 노즐(20)의 후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 노즐(20)의 후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우, 상기 본체(10)의 전면은 이와 대응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 노즐(20)은 바닥면과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바닥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20)의 양측에는 상기 흡입 노즐(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10)로 유입된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부(40)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본체(10) 또는 흡입 노즐(20)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30)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30)의 하측에는, 겹겹이 구성되어 연장 또는 축소가 가능한 핸들 파이프(32)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 파이프(32)의 일측에는, 상기 핸들 파이프(32)가 상기 흡입 노즐(20)과 연결되도록 하는 파이프 결합부(21)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노즐(2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파이프 결합부(21)를 거쳐 상기 핸들 파이프(32)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는, 상기 본체(10)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코드(60)가 제공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는 상기 파워 코드(60)에 의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되어 흡입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흡입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유닛 및 집진 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흡입 노즐(20)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 노즐(20)과 본체(1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25)가 제공된다. 상기 흡입 노즐(20)은 상기 결합 부재(25)가 조작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작동은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10)가 세워진 상태, 즉 진공 청소기가 업라이트 구조인 상태에서, 상기 본체(10)가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판(70)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70)은 진공 청소기가 사용되지 않고 보관중인 상태에서 상기 본체(10)가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방 내측에는, 상기 받침판(7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7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판(70)은 상기 가이드 홈(72)을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70)에는, 사용자가 상기 받침판(70)을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71)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받침판(70)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높낮이를 조절해 가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0)는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춰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청소를 완료한 후 청소기를 보관하는 경우에, 상기 받침판(8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본체(10)를 바닥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80)이 상기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80)과 상기 가이드 홈(82) 사이에는 소정 크기 이상의 마찰력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상기 흡입 노즐(20)이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청소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본체(10)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보조 바퀴(14)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2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10)는 상기 보조 바퀴(14)가 바닥면에 닿도록 눕혀져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상기 흡입 노즐(20)의 일측에 세워져 배치된 상태, 즉 업라이트 타입의 구조에서 상기 흡입 노즐(20)과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 노즐(20)에는, 상기 흡입 노즐(20)이 상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25)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부재(25)는 상기 흡입 노즐(20)의 하부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25)에는, 사용자가 당기도록 형성되는 조작부(25a)와, 사익 흡입 노즐(20)에 삽입되는 가압부(25b)와, 상기 본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삽입부(25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5a)는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10) 및 흡입 노즐(20)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25b)는 상기 흡입 노즐(20)을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 삽입부(25c)는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본체 삽입부(25c)가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본체 삽입 홈(15)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흡입 노즐(20)에는 상기 가압부(25b)가 삽입되는 노즐 삽입 홈(28)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25b)와 상기 흡입 노즐(20)의 사이에는, 상기 결합 부재(25)가 탄성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6)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20)에는, 상기 탄성 부재(26)가 상기 흡입 노즐(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29)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26)의 일측은 상기 고정부(29)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부재(26)의 타측은 상기 가압부(25b)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25b)는 상기 탄성 부재(26)의 타측이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25) 및 탄성 부재(26)의 작용을 간단히 살펴본다.
상기 본체(10)와 상기 흡입 노즐(20)이 결합된 상태, 즉 제 1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구조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5a)를 당겨서 상기 본체 삽입부(25)와 상기 본체 삽입 홈(15) 간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 부재(25)는 상기 가압부(25b)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25b)는 상기 탄성 부재(26)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 부재(26)가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흡입 노즐(20)을 전방으로 빼내면 상기 본체(10)와 상기 흡입 노즐(20)은 분리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흡입 노즐(20)이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 즉 후술할 제 2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구조에서, 먼저 상기 흡입 노즐(20)이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5a)를 당겨 상기 결합 부재(25)를 양측 외부로 벌린 상태에서 상기 흡입 노즐(20)을 결합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결합 부재(25)를 놓으면 상기 본체 삽입부(25c)는 상기 본체 삽입 홈(15)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삽입부(25c)는 상기 탄성 부재(26)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 삽입 홈(15)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본체 삽입부(25c)와 상기 본체 삽입 홈(15)은 서로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고, 결국 상기 본체(10)와 상기 흡입 노즐(20)은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20)은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청소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와 상기 흡입 노즐(20)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 노즐(20)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핸들 파이프(32)와, 상기 핸들 파이프(32)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장 호스(34)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핸들 파이프(32)는 상기 흡입 노즐(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20)과 상기 핸들 파이프(32) 사이에는 파이프 결합부(21)가 제공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파이프 결합부(21)에는, 상기 핸들 파이프(32)의 일측에 제공되는 볼(ball)과, 상기 볼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볼 하우징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볼 하우징은 상기 흡입 노즐(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이 상기 볼 하우징에서 회전 가능함으로써, 상기 핸들 파이프(32)는 상기 흡입 노즐(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핸들 파이프(32)는 다수의 파이프가 겹겹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 파이프(32)는 어느 하나의 파이프가 다른 파이프 내에 삽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그 길이의 연장 또는 축소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핸들 파이프(32)의 일측에는 상기 연장 호스(34)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 호스(34)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그 길이의 연장 또는 축소(수축)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핸들 파이프(32)와 상기 연장 호스(34)의 사이에는, 호스 연결부(36)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장 호스(34)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 호스(34)와 상기 본체(10) 사이에는, 상기 연장 호스(34)가 삽입되는 호스 삽입부(35)가 제공된다.
물론, 상기 연장 호스(34)는 그 길이가 줄어든 상태에서 상기 호스 삽입 부(3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는, 상기 핸들 파이프(32)가 안착되는 안착 홈(22)이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 홈(22)은 상기 본체(10)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 파이프(32)는 상기 흡입 노즐(20)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 홈(22)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 홈(22)의 크기, 즉 안착 홈(22)의 깊이는 상기 핸들 파이프(32)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 파이프(3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안착 홈(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20)이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청소가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결합 부재(25)를 조작하여 상기 흡입 노즐(20)이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후에, 상기 핸들 파이프(32)를 상기 안착 홈(2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 호스(34)는 상기 호스 삽입부(35)로부터 인출되어 그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 파이프(32)는 사용자의 키에 맞춰 그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보조 바퀴(14)가 바닥면에 닿도록 눕혀지며, 상기 흡입 노즐(20) 및 핸들 파이프(32)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끌려 이동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흡입 노즐(20) 및 핸들 파이프(32)가 상기 본체(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들(30)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20)은 상기 핸들 파이프(32)에 대하여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과 같이, 진공 청소기는 상기 흡입 노즐(20)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거나(제 1 실시예) 분리된 상태에서(제 2 실시예), 청소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피청소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실시예 중 적당한 구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Claims (13)

  1. 집진 유닛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
    상기 본체 및 흡입 노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바퀴;
    상기 흡입 노즐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핸들 파이프; 및
    상기 흡입 노즐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에 제공되며, 상기 결합 부재의 회동을 위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결합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 노즐에는,
    각각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파이프로터 상기 본체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연장 호스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연장 호스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진공 청소기.
  7.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의 일측에 제공되는 핸들 파이프;
    상기 흡입 노즐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핸들 파이프가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핸들 파이프와 본체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장 가능한 연장 호스가 포함되며,
    상기 연장 호스는,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축되며,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연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의 크기는 상기 핸들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되는 진공 청소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연장 호스가 수축된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하는 호스 삽입부가 제공되며,
    상기 연장 호스는 상기 핸들 파이프가 상기 안착 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 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바퀴와,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보조 바퀴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 노즐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며,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의 회동을 위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파이프는 연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핸들 파이프 및 상기 연장 호스를 거쳐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080035252A 2008-04-16 2008-04-16 진공 청소기 KR10105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252A KR101052161B1 (ko) 2008-04-16 2008-04-16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252A KR101052161B1 (ko) 2008-04-16 2008-04-16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832A true KR20090109832A (ko) 2009-10-21
KR101052161B1 KR101052161B1 (ko) 2011-07-26

Family

ID=4153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252A KR101052161B1 (ko) 2008-04-16 2008-04-16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9774B (en) 2018-07-02 2022-11-30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pod configured to couple to one or more accessories
WO2020051433A1 (en) 2018-09-07 2020-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Battery and suction motor assembly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644A (ko) * 2007-08-02 2009-02-0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타입 겸용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161B1 (ko)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4296B2 (en) Convertible vacuum cleaner
KR101491002B1 (ko) 청소기
EP1464267B1 (en) Vacuum cleaner
JP4770986B2 (ja) 表面処理用電気器具のための床用ツール
KR100478650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US20060213023A1 (en) Cleaning appliance
CN105764396A (zh) 具有可拆卸的集尘组件的真空吸尘器
CN101357051A (zh) 真空吸尘器的吸入口组件
US20200187739A1 (en) Vacuum
CN101390723A (zh) 清洁设备
KR101064029B1 (ko) 진공 청소기
CN105682525B (zh) 包括可移除手柄组件的真空吸尘器
KR101052161B1 (ko) 진공 청소기
KR101208556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003601B1 (ko) 진공 청소기
KR100968331B1 (ko) 진공 청소기
KR101039491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208559B1 (ko) 업라이트 형 진공청소기
KR101052111B1 (ko) 진공 청소기
KR102277145B1 (ko) 청소기
KR101291467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0934135B1 (ko) 진공 청소기
KR101043840B1 (ko) 진공 청소기
JP2005027829A (ja) 電気掃除機
KR101208790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