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718A -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 Google Patents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718A
KR20090109718A KR1020080035101A KR20080035101A KR20090109718A KR 20090109718 A KR20090109718 A KR 20090109718A KR 1020080035101 A KR1020080035101 A KR 1020080035101A KR 20080035101 A KR20080035101 A KR 20080035101A KR 20090109718 A KR20090109718 A KR 20090109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ter
air purification
membra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515B1 (ko
Inventor
김선헌
정진주
Original Assignee
(주)두람
김선헌
정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람, 김선헌, 정진주 filed Critical (주)두람
Priority to KR102008003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51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03Glass or glassy material
    • B01D39/2017Glass or glassy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01D69/1071Woven, non-woven or net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4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01D71/261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01D71/262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6Polytetrafluoro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salts, amides, imides, nitriles, anhydrides, esters
    • B01D71/42Polymers of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 B01D71/421Polyacrylonitr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8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4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22Melt-bl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0Fibre reinforced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30~90% 또는 90~99%로 여과하는 여재 중 하나 이상이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된 제1여재층 및 상기 제1여재층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99%이상으로 여과하는 제2여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원단을 형성하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은 지지체 상에 부직포 형태의 여재가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운전시간에 따른 여과막의 압력손실이 개선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된다.
공기정화 필터, 여과막, 미세다공

Description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MULTI-LAYERED GAS MEDIA FOR AIR CLEANING}
본 발명은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체 상에 부직포 형태의 여재가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된 다층의 여과막을 형성함으로써, 운전시간에 따른 여과막의 압력손실이 개선됨에 따라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서 공기 중에는 인체에 해로운 먼지, 박테리아, 중금속 등과 같은 많은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유해물질과 먼지 등은 인체에 장기간 흡입되는 경우, 호흡기 질환과 각종 환경관련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질병을 예방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의 보급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또한 공기청정기의 핵심부품이라 할 수 있는 공기정화 필터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필터의 종류는 분진을 포집하는 능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프리 필터(Pre-filter), 미디움 필터(Medium filter), 헤파(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필터, 울파(Ultra Low Penetration Air)필터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헤파(HEPA) 필터는 강한 흡착력으로 공기내의 집먼지, 진드기, 바이러스 및 곰팡이 와 같은 유해물질과 인체에 가장 해로운 미립자 먼지를 99.97% 이상의 효율로 여과할 수 있어, 반도체 생산을 위한 공업용 크린룸, 생물학적 크린룸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헤파(HEPA)필터는 0.3~0.5㎛ 굵기 및 2~3mm 길이의 아주 가는 유리 방적섬유를 수중에 분산시킨 후 고운망 상에서 탈수하고 건조하여 종이형태로 제조하는 등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제조되며, 이때 극세유리 섬유의 배합 및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기위한 분산공정에 많은 기술적 어려움과 높은 비용이 들어 헤파(HEPA)필터 가격이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다.
울파(ULPA)필터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비듬, 미세먼지, 곰팡이, 꽃가루, 라돈(Radon) 및 각종 매연 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헤파(HEPA)필터보다 정화력이 우수하다. 그러나, 울파(ULPA)필터 또한 제조공정에 있어서 헤파(HEPA)필터 보다 고난이도의 기술이 요구됨으로 그 비용이 매우 고가며, 필터 교체주기가 0.5~2년으로 짧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공기정화에 사용되는 필터가 고가이며 그 교체주기가 짧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노력한 결과, 지지체 상에 여과효율이 상이한 다수의 여재를 특정한 방향으로 적층하여 하나의 원단으로 형성된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이 운전시간에 따른 압력손실이 개선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체 상에 여과효율이 상이한 여재가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원단을 형성하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시간에 따른 여과막의 압력손실이 개선된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30~90% 또는 90~99%로 여과하는 여재 중 하나 이상이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된 제1여재층; 및 상기 제1여재층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99%이상으로 여과하는 제2여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원단을 형성하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30~50% 또는 50~85%로 여과하는 여재 중 하나 이상이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된 제1여재층; 및 상기 제1여재층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85%이상으로 여과하는 제2여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원단을 형성하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체 및 제1여재층 사이 또는 제2여재층 상에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 느 하나의 보강층이 더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가 50~1000 메쉬의 다공을 갖는 다공막,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여재층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유리섬유 및 플루오르 함유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직포 또는 직물이며, 상기 부직포의 중량은 1~3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여재층은 헤파(HEPA)필터 또는 울파(ULPA)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여재층은 연신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ePTFE),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멜트-블로운(Melt-blown web) 부직포, 마이크로 유리섬유의 유리여재 및 합성섬유와 마이크로 유리섬유의 복합여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르(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멜트-블로운(Melt-blown web) 부직포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유리섬유 및 플루오르 함유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의 두께가 0.05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여과효율이 상이한 각 여재가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원단을 이루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공기정화용 필터로 적용시 운전시간에 따른 여과막의 압력손실이 개선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30~90% 또는 90~99%로 여과하는 여재 중 하나 이상이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된 제1여재층; 및 상기 제1여재층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99%이상으로 여과하는 제2여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원단을 형성하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여과효율이 상이한 각 여재가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원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공하되, 상기 여과막은 그 사용 분야에 따라 2개 이상의 여재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지지체(100)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30~90% 또는 90~99%로 여과하는 제1여재층(200) 및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99%이상으로 여과하는 제2여재층(300)이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되는 3개 층으로 구성된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지지체(100)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30~90%로 여과하는 여과막(230) 및 90~99%로 여과하는 여과막(250)이 순차 적층되어 제1여재층(200)을 형성하고, 상기 제1여재층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99%이상으로 여과하는 제2여재층(300)이 적층되어 4개 층으로 구성된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이다.
이때, 상기 지지체 및 제1여재층 사이 또는 제2여재층 상에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보강층이 더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층은 제1여재층 및 제2여재층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여재층(200)은 입경이 0.2~0.75㎛,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인 입자를 30~90% 또는 90~99% 효율로 여과하는 여재가 하나 이상 적용되는 것으로서, 유럽 필터 규격 EUROVENT CLASS 중 EU 5 내지 EU 10에 준한다. 상기 여과 효율이 30% 미만이면 입자의 여과효율이 미비하여 공기정화의 기능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99% 초과이면 제1여재층 상에 여과효율 99% 이상의 여과막이 적층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필터의 여과효율 측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입경이 0.1~0.3㎛인 입자를 여재상에 공급한 후, 여재를 통과하지 못한 입자의 중량 또는 농도를 측정하여 백분율화 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상기 제1여재층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유리섬유 및 플루오르 함유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인 부직포 또는 직물이다. 상기 부직포는 중량이 1~300g/m2 이며, 1g/m2 미만이면 여과효율이 미비하고, 300g/m2 초과이면 여과효율이 개선되는 정도는 미미하면서 압력손실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제1여재층의 두께는 0.01~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여재층은 입경이 0.2~0.75㎛,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인 입자를 99%이상의 효율로 여과하는 여재로서, 상기 여과효율이 99% 미만이면 인체에 해로운 먼지, 박테리아 및 곰팡이 등을 충분히 여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2여재층은 유럽 필터 규격 EUROVENT CLASS 중 EU 10 내지 EU 17에 해당하는 여과효율을 보인다.
상기 제2여재층은 입경이 0.3㎛인 입자를 99.97%로 여과하는 헤파(HEPA)필터 또는 입경이 0.1㎛인 입자를 99.999%로 여과하는 울파(ULPA)필터이다. 이때, 상기 제2여재층은 연신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ePTFE), 나노 섬유 부직포, 멜트-블로운(Melt-blown web) 부직포, 마이크로 유리섬유의 유리여재, 합성섬유 및 마이크로 유리섬유의 복합여재 등의 형태이다.
상기 연신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ePTFE)은 내열성, 내한성, 내약품성 및 전기적 성질이 뛰어나 여러 가지 특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화학공업 및 반도체 산업에 주로 사용되는 소재로서, 1 평방인치당 90억개 이상의 미세다공을 포함하며, 이때 미세다공의 입경은 물방울 입자보다 2만배 이상 작고 수증기 분자보다는 700배 이상 크기 때문에 외부의 액체는 침투하지 못하는 반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한 특성이 있다. 또한, 연신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ePTFE)은 다공이 쉽게 막히지 않아 장기간 사용한 후에도 최소한 60%의 일정한 공기유량이 보장된다.
상기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는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르(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이다.
상기 멜트-블로운(Melt-blown web) 부직포는 열가소성 수지를 고온, 고압의 공기로 불어주어 섬유질이 직경 0.1∼1㎛인 극세섬유를 형성시킨 것으로, 구성 섬유가 대단히 미세하므로 기공이 작고, 섬유의 표면적이 매우 크므로 통기성의 조정이 용이하며 액체투과 저항능력이 우수하고 여과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유리섬유 및 플루오르 함유 폴리머 등의 소재가 사용된다.
상기 지지체는 공기 중에 포함된 탄화수소 에어로졸, 오일 침착물, 수분 등의 외부 오염물질로 부터 여과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50~1000 메쉬의 다공을 갖는 다공막,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공막은 격자(그리드) 혹은 천공판 으로서 스틸(steel),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알루미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직포 및 직물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유리 및 플루오르 함유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체는 보다 바람직하게 다공의 크기가 크게 변하지 않는 정도로 발수 및 발유처리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수성 및 발유성 물질은 플루오르계이며 특히 퍼플루오르알킬기 CF3-(CF2)n-F(n≥0)를 포함하는 발유성 탄화플루오르 화합물이 있다. 이때,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0.1~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 다수의 여재층 및 보강층은 초음파 융착, 핫멜트 접착 및 라미네이트 등의 방법에 의해 접착되어 하나의 원단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의 두께는 0.05~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막의 두께가 0.05mm미만이면 여과효율이 낮아 여과막으로서 기능이 충분하지 않으며, 10mm초과이면 여과효율 대비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은 고효율의 미세입자 여과효율에 따라 고도의 청정환경이 요구되는 반도체 생산을 위한 공업용 크린룸, 생물학적 크린룸 및 옥내외 공기정화 시스템,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의 공기정화 필터로의 적용이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30~50% 또는 50~85%로 여과하는 여재 중 하나 이상이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된 제1여재층; 및 상기 제1여재층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85%이상으로 여과하는 제2여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원단을 형성하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 체 여과막을 제공한다.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은 앞서 설명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과 소재 및 구조가 동일하며, 제1여재층 및 제2여제층의 여과효율 범위가 상이한 것에 차별성이 있다.
상기 제1여재층의 여과 효율이 30% 미만이면 입자의 여과효율이 미비하여 공기정화의 기능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85% 초과이면 제1여재층 상에 여과효율 85% 이상의 제2여재층이 적층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제1여재층은 유럽 필터 규격 EUROVENT CLASS 중 EU 5 내지 EU 10에 준한다.
상기 제2여재층의 여과효율은 0.2~0.75㎛인 입자를 85%이상으로 여과하는 것으로서 여과효율이 99%이상으로 요구되는 공업용 외에 자동차 에어컨, 냉각기, 전열교환기 및 공기정화 시스템 등의 공기정화 필터로의 적용이 유용하다. 이때, 상기 제2여재층은 유럽 필터 규격 EUROVENT CLASS 중 EU 10 내지 EU 17에 준한다.
즉, 본 발명의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은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먼지를 지지체 및 제1여재층 상에서 여과하고, 미세먼지를 제2여재층 상에서 고효율로 여과함에 따라, 운전시간 경과에 따른 여과막 표면에 포집된 먼지에 의한 압력손실이 개선된다.
따라서,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공기정화 필터에 적용 시, 고가의 헤파(HEPA)필터 또는 울파(ULPA)필터가 단층으로 사용된 종래의 공기정화 필터와 비교하여 고효율의 여과효율이 유지되면서 사용수명이 2배 이상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막은 다층의 여재층이 하나의 원단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활용이 간편할 뿐 아니라, 소형 및 박막의 공기정화기에 적용이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PP) 소재이며 중량이 18g/m2인 지지체 상에 0.3㎛ 크기의 입자를 90%로 여과시키는 폴리프로필렌 소재이되 중량이 25g/m2인 부직포를 적층시켜 제1여재층을 형성하고, 제1여재층 상에 0.3㎛ 크기의 입자를 99.5%로 여과시키는 연신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ePTFE)을 적층하여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PP) 소재이며 중량이 18g/m2인 지지체 상에 0.3㎛ 크기의 입자를 80%로 여과시키는 폴리프로필렌 소재이되 중량이 60g/m2인 부직포 및 0.3㎛ 크기의 입자를 90%로 여과시키는 폴리프로필렌 소재이되 중량이 25g/m2인 부직포를 순차 적층시켜 제1여재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여재층 상에 0.3㎛ 크기의 입자를 99.5%로 여과시키는 연신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ePTFE)을 적층하여 4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이며 중량이 30g/m2인 지지체 상에 0.3㎛ 크기의 입자를 99.99%로 여과시키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ePTFE)이 적층된 단층의 여과막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이며 중량이 30g/m2인 지지체 상에 0.3㎛ 크기의 입자를 99.5%로 여과시키는 연신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ePTFE)를 적층하고, 0.3㎛ 크기의 입자를 60%로 여과시키는 폴리프로필렌 소재이되 중량이 20g/m2인 부직포를 적층시켜,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여과막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여과효율 측정
ASTM D 2986-95a 시험방법에 의하여 하기의 조건하에 여과막 100㎠의 면적에 0.3㎛의 에어로졸이 함유된 유체를 분당 32ℓ 통과시켰을 때 에어로졸의 제거율을 여과효율로 측정하고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2> 사용수명 측정
ASTM D 2986-95a 시험방법에 의하여 하기의 조건하에 여과막 100㎠의 면적에 0.3㎛의 에어로졸이 함유된 유체를 분당 32ℓ의 유량을 통과시켰을 때 시료통과 후의 압력이 784.5Pa되기까지의 기준압력 손실 도달 시간을 측정하고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온도 상대습도 기압 유량속도
21.9 ~ 22.2℃ 50.3~51.2% R.H. 1033~1034hPa 32ℓ/min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여과 효율(%) 99.59 99.99 99.998 99.998
기준 압력손실 도달시간(S) 15930 16000 365 798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지체 상에 여과효율이 상이한 다층의 여재가 적층된 실시예 1 및 2의 여과막의 경우, 단층의 헤파(HEPA)필터인 비교예1과 비교시 기준 압력손실까지의 도달 시간이 약44배 개선됨에 따라 사용수명이 연장되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부직포 형태의 여재를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하여 여과막을 제조하고 이를 공기정화 필터에 적용 시, 고가의 헤파(HEPA)필터 또는 울파(ULPA)필터가 단층으로 사용된 종래의 공기정화 필터와 비교하여 사용수명이 2배 이상 연장되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여과막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4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여과막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여과막의 기준 압력손실 도달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비교예1의 단층으로 이루어진 여과막의 기준 압력손실 도달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지지체
200: 제1여재층
230: 여과효율 30~90%의 여재
250: 여과효율 90~99%의 여재
300: 제2여재층

Claims (11)

  1.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30~90% 또는 90~99%로 여과하는 여재 중 하나 이상이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된 제1여재층; 및
    상기 제1여재층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99%이상으로 여과하는 제2여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원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2.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30~50% 또는 50~85%로 여과하는 여재 중 하나 이상이 여과효율이 낮은 순으로 적층된 제1여재층; 및
    상기 제1여재층 상에 입경이 0.2~0.75㎛인 입자를 85%이상으로 여과하는 제2여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원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 제1여재층 사이 또는 제2여재층 상에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보강층이 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50~1000 메쉬의 다공을 갖는 다공막,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재층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유리섬유 및 플루오르 함유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직포 또는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중량이 1~300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재층이 헤파(HEPA)필터 또는 울파(ULPA)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재층이 연신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ePTFE),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멜트-블로운(Melt-blown web) 부직포, 마이크로 유리섬유의 유리여재 및 합성섬유와 마 이크로 유리섬유의 복합여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르(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Melt-blown web) 부직포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유리섬유 및 플루오르 함유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의 두께가 0.05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KR1020080035101A 2008-04-16 2008-04-16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KR100985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101A KR100985515B1 (ko) 2008-04-16 2008-04-16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101A KR100985515B1 (ko) 2008-04-16 2008-04-16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718A true KR20090109718A (ko) 2009-10-21
KR100985515B1 KR100985515B1 (ko) 2010-10-05

Family

ID=4153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101A KR100985515B1 (ko) 2008-04-16 2008-04-16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5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788B1 (ko) * 2009-10-29 2012-04-12 (주) 에스와이인더스트리 나노섬유 층을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KR101664865B1 (ko) * 2016-03-25 2016-10-13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집진기
KR20210035766A (ko) * 2019-09-24 2021-04-01 조광형 저차압 여재
KR20230041139A (ko) * 2021-09-16 2023-03-2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정화용 다목적 가시광선 활성 광촉매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0862B1 (ko) * 2022-07-29 2024-01-04 (주) 평창정공 항균동 2중 복합필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459A1 (ko) * 2012-12-11 2014-06-1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수통음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00587A (ko)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제논아이엔티 압축공기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공기 필터링 방법
KR20190107307A (ko) 2018-03-12 2019-09-20 주식회사 제논아이엔티 압축공기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공기 필터링 방법
KR20190121270A (ko) 2019-09-09 2019-10-25 주식회사 제논아이엔티 압축공기 필터장치
KR20230067222A (ko)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공기정화용 정전 나노 복합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087B1 (ko) * 1999-03-19 2002-08-01 알러지씨앤씨 주식회사 알레르겐 방지용 섬유배열 방향을 조절한 다층구조 극세사를 이용한 헤파필터
KR100405318B1 (ko) * 2000-11-20 2003-11-12 한국바이린주식회사 공기 청정기용 필터 여재와 그 제조방법
KR100589480B1 (ko) 2004-08-17 2006-06-14 김유만 공조용 필터여재, 이를 사용하는 일차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96292B1 (ko) 2005-05-16 2007-03-19 김학용 필터용 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788B1 (ko) * 2009-10-29 2012-04-12 (주) 에스와이인더스트리 나노섬유 층을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KR101664865B1 (ko) * 2016-03-25 2016-10-13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집진기
KR20210035766A (ko) * 2019-09-24 2021-04-01 조광형 저차압 여재
KR20230041139A (ko) * 2021-09-16 2023-03-2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정화용 다목적 가시광선 활성 광촉매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0862B1 (ko) * 2022-07-29 2024-01-04 (주) 평창정공 항균동 2중 복합필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515B1 (ko)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515B1 (ko) 다층의 공기정화용 기체 여과막
EP2142275B1 (en) Bag house filters
JP5439425B2 (ja) タービン空気吸入口フィルター
EP1266681B1 (en) Filter medium for turbine and methods of using and producing the same
US7501003B2 (en) Composite filter media
EP2259860B1 (en) Air filtration medium with improved dust loading capacity and improved resistance to high humidity environment
JP5608323B2 (ja) フィルタ濾材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フィルタユニット
JP5875180B2 (ja) ナノウェブ層を有する改良型濾材
EP2456536B1 (en) Filter media construction using ptfe film and carbon web for hepa efficiency and odor control
AU2005328687B2 (en) Composite filter media
EP1402933A1 (en) Filter member
CN1130360A (zh) 改进的超低渗透空气过滤器
KR20100065181A (ko) 개선된 주름형 나노웨브 구조체
KR102381315B1 (ko) 촉매 혼합 매트릭스 막 층을 갖는 다층 복합체
JP5784458B2 (ja) エアフィルタ濾材
JP6831494B2 (ja) 空調機
Mukhopadhyay Composite nonwovens in filters: Applications
JP2014144421A (ja) 脱臭・ガス除去用フィルタ
Mao Engineering design of high-performance filter fabrics
JP7356971B2 (ja) フィルタ濾材とこれを備えるフィルタユニット
JP2005205305A (ja) エアフィルタ濾材
JPH10211409A (ja) エアフィルタ用濾材並びにエアフィルタ
KR102621800B1 (ko) 나노 섬유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CN217511378U (zh) 一种ptfe滤材及空气净化器
KR200460828Y1 (ko) 점성 물질을 포함하는 분진 처리에 용이한 전처리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