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216A -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216A
KR20090109216A KR1020080034551A KR20080034551A KR20090109216A KR 20090109216 A KR20090109216 A KR 20090109216A KR 1020080034551 A KR1020080034551 A KR 1020080034551A KR 20080034551 A KR20080034551 A KR 20080034551A KR 20090109216 A KR20090109216 A KR 20090109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power supply
construction equipmen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근
Original Assignee
윤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근 filed Critical 윤재근
Priority to KR1020080034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9216A/ko
Publication of KR20090109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회사에서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 건설 현장에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 일측에서 상방으로 세워지는 제 1 지지프레임;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에서 이격 위치되는 제 2 지지프레임; 일측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선단부 및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선단부를 거치면서 건설 장비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전원부와 상기 건설장비 사이에 고정 위치되며, 상기 케이블이 텐션을 유지하도록 모터부의 회전력을 벨트로 연결하여 상기 케이블을 감도록 하기 위한 텐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는 지면에서 이격 위치된 장형의 전력케이블이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여, 복잡한 건설 환경에서 전력회사에서 인가하는 값싼 전력을 건설장비가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of Construction Machinary}
본 발명은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잡한 건설 환경에서 전력회사에서 인가하는 값싼 전력을 건설장비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술의 발전은 노동집약적 공사 중심에서 기계화 시공으로의 변화를 의미하며, 이로 인한 새로운 많은 공법들이 개발되어 왔고, 건설장비 또한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생산,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건설장비의 개발, 보급은 작업능률 및 품질 향상과 함께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 노동력의 감소는 물론, 인력으로는 시공이 불가능한 공사를 가능케 하였으며, 근로자의 안전보건 측면에서도 근로자들이 위험 요인에 노출될 수 있는 근본적인 요인을 줄여줌으로써, 재해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건설장비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불 도저, 굴삭기, 등의 토공기계, 지게차, 덤프트럭 등의 운반기계, 로울러 등의 다짐기계, 콘크리트살포기, 콘크리트 피니셔 등의 포장기계, 쇄석기계, 천공기, 항타기 등의 기초공사용 기계, 사리채취기 등의 준설기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 항타기 등과 같은 건설장비는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의 특성상 건설 현장의 이곳저곳을 이동하면서 작업을 시행하여야 하므로, 전력회사에서 건설 현장에 인가하는 전력을 사용하지 못하고, 따로 전원부를 건설장비 등에 장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력은 일정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건설장비가 사용하기에는 현저히 부족하며, 이에 따라, 전원부을 자주 충전 또는 교환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력은 전력회사에서 제공되는 전력에 비하여 고가이므로, 공사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력회사에서 건설회사에 인가하는 전력에 장형의 케이블을 연결하고, 상기 케이블에 건설장비를 연결하고자 하였으나, 이는 케이블이 지면 위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다른 건설장비 또는 작업 인부 등이 케이블에 걸리거나, 케이블을 단락시키게 되어, 감전 등의 전기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 시공에 있어서, 전력회사에서 건설회사에 인가하는 전력에 장형의 케이블을 연결하고, 상기 케이블에 건설장비를 연결하며, 전기안전사고 등을 방지하게 위하여 상기 케이블을 지상에서 이격 위치시키도록 한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 회사에서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 건설 현장에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 일측에서 상방으로 세워지는 제 1 지지프레임;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에서 이격 위치되는 제 2 지지프레임; 일측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선단부 및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선단부를 거치면서 건설 장비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전원부와 상기 건설장비 사이에 고정 위치되며, 상기 케이블이 텐션을 유지하도록 모터부의 회전력을 벨트로 연결하여 상기 케이블을 감도록 하기 위한 텐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텐션부는 상기 벨트가 감기는 풀리와 동력축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되는 동력회전판이 좌/우측지지대에 베어링으로 연결구비되고, 상기 동력회전판과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전달판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의 사이에 고강도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전달판과 연결고정된 축은 상기 동력축의 내부 관통구에 위치되어 케이블이 감기는 감김뭉치부와 연결구비되며,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의 사이에 구성한 상기 고강도 스프링의 밀착을 조절하도록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 사이의 간격 조절용 조절볼트를 케이스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강도 스프링을 통해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 상호 간에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는 지면에서 이격 위치된 장형의 전력케이블이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여, 복잡한 건설 환경에서 전력회사에서 인가하는 값싼 전력을 건설장비가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의 타격부와 텐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를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는 전원부(1), 제 1 지지프레임(3), 제 2 지지프레임(5), 케이블(2) 및 텐션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부(1)는 전력회사에서 건설 현장에 인가하는 전원으로서, 타워크레인 등과 같이 건설 현장의 어느 한 장소에 고정 위치되는 고정건설장비 인근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건설장비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제 1 지지프레임(3)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건설장비 등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케이블(2)에 의한 감전, 누락 등의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10M 이상의 장형으로 세워지고, 전원부(1) 일측에서 상방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지지프레임(5)은 제 1 지지프레임(3)에서 이격 위치되며, 상세하게는 제 2 지지프레임(5)은 항타기 등과 같이 건설 현장의 이곳저곳을 이동하면서 작업을 시행하는 이동건설장비(9) 인근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1,2 지지프레임(3, 5)의 선단부에는 케이블(2)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롤러(4, 6)가 구비될 수도 있다.
케이블(2)은 장형의 전선으로서, 그 일측은 전원부(1)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건설장비에 연결되어, 전원부(1)의 전력을 이동건설장비(9)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케이블(2)의 타측은 제 1 지지프레임(3) 및 제 2 지지프레임(5)의 롤러부를 거치면서 이동건설장비(9)에 연결되도록 안내되어, 케이블(2)은 제 1,2 지지프레임(3, 5)의 높이만큼 지면에서 이격 위치되게 된다. 이처럼 케이블(2)이 지면에서 이격 위치되면, 복잡한 건설현장에서 다른 건설 장비 또는 작업 인부 등이 케이블(2)을 건드리지 않게 되어, 케이블(2)이 단락되거나 케이블(2)에 걸리는 등 의 전기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이동건설장비(9)는 건설 현장의 이곳저곳을 이동하면서 작업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동건설장비(9)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케이블(2)의 길이를 넉넉하게 유지시키면, 제 1 지지프레임(3)과 제 2 지지프레임(5) 사이 또는, 제 2 지지프레임(5)과 이동건설장비(9) 사이에 위치되는 케이블(2)이 길게 늘어지게 되어, 다른 건설장비 또는 인부의 이동에 제한을 주거나 전가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원부(1)부터 이동건설장비(9)까지 이어지는 케이블(2)은 항상 텐션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제 2 지지프레임(5)과 이동건설장비(9) 사이에 텐션부(8)가 위치된다.
텐션부(8)는 상기 케이블(2)에 텐션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텐션부(8)에는 케이블(2)이 권취되어 있으며, 건설장비의 이동과 동시에 케이블(2)이 권취되거나 풀리게 되어, 케이블(2)이 항상 텐션을 유지하도록 한다.
텐션부(8)는 풀리(120)와 동력축(70)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되는 동력회전판(40)이 좌/우측지지대(90,100)에 베어링(60,130)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모터부(200)의 회전 동력은 풀리(120)에 감긴 벨트(110)를 통해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풀리(120)는 클러치인 동력회전판(40)과 동력축(70)을 통해 고정되어 같이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동력회전판(40)과 전달판(190)의 사이에 고강도 스프링(50)을 구비하고, 접촉시켜, 두 개의 판의 동력을 고강도 스프링(5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달판(190)에 고정된 축(180)은 동력축(70)의 내부관통구 내에 독립적으로 위치되며, 케이블(2)이 감기는 감김뭉치부(150)와 연결구성되며, 고정링(140)과 고정너트(170)로 조여 고정한다.
전달판(190)의 후면에는 동력회전판(40)과의 사이에 구성한 고강도 스프링(50)의 압착 및 밀착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케이스(30)를 구성하고 케이스(30)에는 조절볼트(10)와 락크 너트(20)를 구비하고 좌측지지대(90)에 볼트(80)로 고정한다.
상기 고강도 스프링(50)은 전달판(190)과 동력회전판(40)의 사이에 구비되어, 두 판 사이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이러한 회전력은 스프링의 탄성력과 압착력에 의해 전달된다.
케이블(2)에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동력회전판(40)과 전달판(190) 사이에 개재된 고강도 스프링(50)에 의해 모터부(200)의 회전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케이블(2)이 감기는 감김뭉치부(150)가 헛돌도록 동작한다.
전달판(190)의 후면에 위치한 조절볼트(10)를 조이면 동력회전판(40)과 전달판(190)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면서, 고강도 스프링(50)의 가압력, 밀착력이 커져, 케이블(2)의 토크값이 커지고, 조절볼트(10)를 풀어주면 반대로 토크값이 작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강도 스프링(50)를 배치하여, 토크값의 범위를 넓게하여 미세한 부분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텐션부(8)에 의해서 케이블(2)의 텐션이 유지되므로, 이동건설장비(9)가 건설 현장의 이곳저곳을 이동하면서 작업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케이블(2)이 길게 늘어지지 않게 되어, 다른 건설장비 또는 인부의 이동에 제한을 주거나 전가안전사고를 유발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복잡한 건설 환경에서 전력회사에서 인가하는 값싼 전력을 건설장비가 그대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텐션부(8)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텐션부가 이동건설장비(9)의 이동에 따라 케이블(2)의 길이를 바로바로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2)의 텐션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의 타격부와 텐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를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를 분해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원부 2: 케이블
3: 제 1 지지프레임 4: 롤러
5: 제 2 지지프레임 6: 롤러
8: 텐션부 9: 건설장비
10: 조절볼트 20: 락크 너트
30: 케이스 40: 동력회전판
50: 고강도 스프링 60: 베어링
70: 동력축 80: 볼트
90: 좌측지지대 100: 우측지지대
110: 밸트 120: 풀리
130: 베어링 140: 고정링
150: 감김뭉치부 170: 고정너트
180: 축 190: 전달판
200: 모터부 230: 구동축

Claims (3)

  1. 전력 회사에서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 건설 현장에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 일측에서 상방으로 세워지는 제 1 지지프레임;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에서 이격 위치되는 제 2 지지프레임;
    일측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선단부 및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선단부를 거치면서 건설 장비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전원부와 상기 건설장비 사이에 고정 위치되며, 상기 케이블이 텐션을 유지하도록 모터부의 회전력을 벨트로 연결하여 상기 케이블을 감도록 하기 위한 텐션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벨트가 감기는 풀리와 동력축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되는 동력회전판이 좌/우측 지지대에 베어링으로 연결구비되고,
    상기 동력회전판과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전달판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의 사이에 고강도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전달판과 연결고정된 축은 상기 동력축의 내부 관통구에 위치되어 케이 블이 감기는 감김뭉치부와 연결구비되며,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의 사이에 구성한 상기 고강도 스프링의 밀착을 조절하도록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 사이의 간격 조절용 조절볼트를 케이스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스프링을 통해 상기 동력회전판과 상기 전달판 상호 간에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
KR1020080034551A 2008-04-15 2008-04-15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 KR20090109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551A KR20090109216A (ko) 2008-04-15 2008-04-15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551A KR20090109216A (ko) 2008-04-15 2008-04-15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216A true KR20090109216A (ko) 2009-10-20

Family

ID=4155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551A KR20090109216A (ko) 2008-04-15 2008-04-15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92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437794U (zh) 一种建筑用型钢搬运机
WO2013179549A1 (ja) 斜ケーブルの取り替え方法及び斜ケーブル取り替え用仮ハンガー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CN204538633U (zh) 一种电缆牵引工装
CN101898728B (zh) 用于起重机的副起重臂
CN205489296U (zh) 二次电缆快捷放线架
KR101391262B1 (ko) 이동식 유압윈치를 이용한 긴선장치 및 그 긴선공법
CN206517254U (zh) 一种核电发电机转子抽穿系统
CN106087990B (zh) 可移动式钢筋笼安装设备
KR20090109216A (ko) 건설장비의 전력 제공 장치
JP2002138659A (ja) 簡易組立型のゴンドラ吊下式作業装置
CN204205436U (zh) 水平桥架内电缆敷设装置
CN107055317A (zh) 常规吊装机械受限空间的钢结构吊装装置
KR101505953B1 (ko) 파일 절단기
KR101452409B1 (ko) 웨지소켓의 와이어로프 체결장치
CN203334265U (zh) 一种静压砂桩及碎石桩上料装置
CN210655859U (zh) 一种轨道吊车
CN104377603A (zh) 水平桥架内电缆敷设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862604A (zh) 一种双驱自动穿管机及方法
CN104876165A (zh) 光伏组件移动式安装检修平台
CN201405007Y (zh) 桥墩柱、桩基钢筋骨架滚笼机
JP2017073842A (ja) 移動用ケーブル架台
CN205711652U (zh) 路沿石移动就位装置
CN203767907U (zh) 多股钢丝绳拉拽防摩擦装置
CN110356967A (zh) 一种轨道吊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