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8266A -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및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기록한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및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기록한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8266A
KR20090108266A KR1020080033602A KR20080033602A KR20090108266A KR 20090108266 A KR20090108266 A KR 20090108266A KR 1020080033602 A KR1020080033602 A KR 1020080033602A KR 20080033602 A KR20080033602 A KR 20080033602A KR 20090108266 A KR20090108266 A KR 20090108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recording
external resource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632B1 (ko
Inventor
안규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32B1/ko
Priority to EP09730297A priority patent/EP2274910A4/en
Priority to US12/422,589 priority patent/US9077859B2/en
Priority to CN2009801205468A priority patent/CN102047679B/zh
Priority to PCT/KR2009/001878 priority patent/WO2009126008A2/en
Publication of KR2009010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7Remote storage of video programs received via the downstream path, e.g.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및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외부 리소스와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한다. 제어부는 콘텐츠 요청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정보를 기초로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리소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콘텐츠를 녹화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어, 각 녹화/재생 장치 또는 방송 수신기는 별도의 저장매체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고 재생할 수 있고, 직접 녹화하지 않은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많은 양의 녹화된 콘텐츠 저장하기 위해 큰 용량의 저장매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로부터 유저가 요청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요청한 콘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어, 유저는 직접 녹화하지 않은 콘텐츠를 용이하게 검색 및 시청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33602
녹화, 재생, 콘텐츠, 저장매체, 네트워크

Description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및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Device for Recording and Playing Content, sever for managing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a, method for managing content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a for the method}
본 발명은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 및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 및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파에는 비디오, 오디오 및 응용 프로그램 등 다양한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방송파를 수신하고 비디오 및 오디오와 동기화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방송 규격이 개발되었고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방송 규격은 단순히 비디오 및 오디오를 보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송신된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이를 단말기로 로드하고 로드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있어서 다양한 추가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예로 셋탑박스는 이러한 데이터방송 규격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셋탑박스에는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 상에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을 포팅하고 이를 이용하여 규격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지원하는 자바(Java) 기반의 데이터방송 미들웨어가 구현되어 있다. 케이블 방송 사업자(MSO : Multiple System Operator)들은 셋탑박스에 구현된 데이터방송 미들웨어에서 제공하는 Java API를 이용하여 DVR, EPG등을 서비스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케이블 방송 사업자(MSO)가 제작한 응용 프로그램은 방송 스트림을 통해 전송되면 셋탑박스의 데이터방송 미들웨어 상에서 응용프로그램들이 실행된다.
데이터방송 규격 중에 ´GEM(Globally Executable Multimedia Home Platform)´은 가장 공통적인 내용만을 포함한 규격이며, ´OCAP(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은 이를 케이블 방송 환경으로 확장한 규격으로 북미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 두 규격은 각각 ´DVB Digital Recording Extension to GEM´, ´OCAP Extension : OCAP Digital Video Recorder´라는 DVR을 지원하기 위한 확장 규격을 가지고 있다.
DVR은 현재 방송 내용을 녹화하여 나중에 다시 보거나, 실시간 방송에 대해 되감기나 일시정지 등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다. DVR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셋탑박스의 미들웨어가 각 규격의 DVR 확장 API를 지원해야 하며, 케이블 방송 사업자(MSO)가 DVR API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DVR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방송 수신기는 저장매체 예를 들어, 하 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를 탑재해야 한다. 방송 수신기는 탑재한 HDD을 사용하여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거나 재생할 수 있으며, 타임시프트(time shift), 순간 재생(instant replay), 다양한 트릭 재생 등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시프트는 타임머신이라 하기도 한다.
하지만, 고가의 HDD를 방송 수신기의 내부에 장착하게 되면, 방송 수신기의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방송 수신기의 제품 내부가 협소하므로 방송 수신기의 내부에 HDD를 장착할 여유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게다가 방송 수신기의 슬림화에 장애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콘텐츠를 녹화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공유하기 하기 위한 녹화/재생 장치, 정보저장매체,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위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로부터 유저가 요청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요청한 콘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녹화/재생 장치, 정보저장매체,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위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녹화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녹화/재생 장치, 정보저장매체,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위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각 저장매체에 전체 콘텐츠 중 일부분만 녹화된 경우에, 각 저장매체에 녹화된 부분을 검색하고 이를 수신 및 결합하여 전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녹화/재생 장치, 정보저장매체,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위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기초로 타임시프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녹화/재생 장치, 정보저장매체,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위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외부 리소스와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콘텐츠 요청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리소스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는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리소스는 각각 녹화/재생 장치, 저장매체를 탑재한 디지털 기기 및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 각각이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콘텐츠의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 벤트 아이디(Event id) 각각과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리소스를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로 검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외부 리소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는 어드레스, 공유 폴더 이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외부 리소스에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외부 리소스로부터 상기 콘텐츠 검색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외부 리소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상기 위치 정보가 지시하는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더 포함하여 관리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외부 리소스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 녹화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녹화 시간 정보를 기초 로 상기 콘텐츠의 일부분인 조각 콘텐츠를 각각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리소스 각각으로부터 상기 조각 콘텐츠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요청 명령으로 과거 시점 재생 타임시프트가 요청된 경우에는, 상기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녹화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과거 시점 부분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리소스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지시하는 외부 리소스에 상기 외부 리소스가 관리하는 콘텐츠 리스트 또는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 녹화시 녹화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외부 리소스에 전송하고, 콘텐츠 녹화 완료시 녹화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외부 리소스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외부 리소스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 사전에 설정된 주기로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외부 리소스로 전송하거나, 외부 리소스가 요청한 경우에 상기 외부 리소스로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활동 상태가 된 경우에 자신이 활동 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가 지시하는 외부 리소 스로 전송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녹화/재생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녹화/재생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녹화/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녹화/재생 장치가 녹화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인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녹화/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녹화/재생 장치로부터 콘텐츠 검색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녹화/재생 장치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결과를 상기 녹화/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녹화/재생 장치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검색한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저장매체는 외부 리소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영역; 및 상기 위치 정보와 연관되어 상기 외부 리소스가 녹화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인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2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외부 리소스의 어드레스, 공유폴더 이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정보는, 트랜스포 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 콘텐츠 녹화 시작 시간 및 콘텐츠 녹화 완료 시간을 포함한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은 활동 상태가 된 경우에는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위치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위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메인 콘텐츠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메인 콘텐츠 정보는, 기존에 녹화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이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외부 리소스의 어드레스, 공유폴더 이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요청받는 경우에는,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갖는다. 여기서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는 전송받은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와 연관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은 콘텐츠를 녹화하기 시작한 경우에는, 상기 녹화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녹화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은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한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은 콘텐츠 요청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메인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메인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는, 콘텐츠 검색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갖는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에 의하면,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콘텐츠를 녹화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어, 각 녹화/재생 장치 또는 방송 수신기는 별도의 저장매체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고 재생할 수 있 고, 직접 녹화하지 않은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많은 양의 녹화된 콘텐츠 저장하기 위해 큰 용량의 저장매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로부터 유저가 요청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요청한 콘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어, 유저는 직접 녹화하지 않은 콘텐츠를 용이하게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녹화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어, 유저는 다른 녹화/재생 장치가 녹화 중인 콘텐츠를 검색하여 이를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각 저장매체에 전체 콘텐츠 중 일부분만 녹화된 경우에, 각 저장매체에 녹화된 부분을 검색하고 이를 수신 및 결합하여 전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어, 콘텐츠의 일부분만 직접 녹화한 경우에도 나머지 부분을 다른 녹화/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기초로 타임시프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유저는 채널을 변경한 경우에도 변경된 채널의 방송에 대해서도 과거 시점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 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콘텐츠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과 같은 방송망이나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동영상 파일일 수도 있고,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프로그램 실행 파일, 주식 정보 등과 같이 정보를 갖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그리고 타임시프트 요청 또는 녹화 요청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는 외부저장매체는 방송 수신기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디지털 기기 내 저장매체이며, 일예로 외부 리소스의 내부에 탑재된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임시프트 요청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저장해야 하는 경우, 외부 리소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다. 또한 방송 수신기에 서 즉시 녹화, 예약 녹화, 재생과 같은 DVR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외부 리소의 저장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기는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기 위해 외부저장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녹화는 즉시 녹화, 예약 녹화 및 타임시프트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HDD와 같은 저장매체를 탑재하고 있고, 네트워크 기능이 있는 디지털 기기는 외부 리소스가 될 수 있다. 디지털 기기는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회로를 가진 디바이스들로서, 전화, 팩스, 노트북, PDA, 디지털 TV, DVD, 캠코더, 전자렌지, 세탁기, 에어컨, 냉장고, PC, 프린터, 스캐너, 카메라, 복사기, 핸드폰, 프로젝트, 전기밥솥, 냉장고들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디지털 기기는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디바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같은 종류의 디바이스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시스템(10)은 DVR DTV A1(111), DVR DTV A2(113), NAS A3(120), PC A4(130), DVR DTV A5(100), DVR DTV B1(160), DVR STB B2(170) 및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Content Locater Server, 190)를 구비한다. 여기서 DVR DTV A1(111), DVR DTV A2(113), NAS A3(120), PC A4(130), DVR DTV A5(100)은 로컬 랜(LAN)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이러한 로컬 랜(LAN)은 일예로 이더넷(Ethern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DVR DTV B1(160), DVR STB B2(170) 및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190)는 각각 DVR DTV A5(100)와 인터 넷(150)으로 연결된다. 다른 예로 위치 관리 서버(190)는 DVR DTV A5(100)와 동일한 로컬 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외부 리소스는 녹화/재생 장치, 저장매체를 탑재한 디지털 기기 및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190)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녹화/재생 장치의 예로 DVR DTV A1(111), DVR DTV A2(113), DVR DTV A5(100), DVR DTV B1(160) 및 DVR STB B2(170)가 있고, 저장매체를 탑재한 디지털 기기의 예로 NAS A3(120) 또는 PC A4(130)가 있을 수 있다.
DVR DTV A1(111)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DTV이며 저장매체로 USB Device에 외장HDD를 사용하고, DVR DTV A2(113)은 저장매체로 ATA Device에 HDD 부착된 것을 사용한다. NAS A3(120)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를 의미하며, 저장매체로 장치 안에 HDD가 탑재되어 있으며, NAS A3(120)는 네트워크 상에서 하나의 독립적인 저장매체로 인식된다. 여기서 NAS A3(120)는 DVR DTV 용의 특정 폴더를 공유폴더로 제공할 수 있다. PC A4(130)는 PC(Personal Computer)이며, 저장매체로 공유 폴더를 제공한다. DVR DTV A5(100)는 저장매체로 USB Device에 USB Memory 장치 부착된 것을 사용한다.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190)는 DVR DTV A1(111), DVR DTV A2(113), NAS A3(120), PC A4(130), DVR DTV A5(100), DVR DTV B1(160), DVR STB B2(170) 등의 노드(Node) 각각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인 콘텐츠 정보 및 각 노드의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 각 노드(Node)는 다른 노드의 위치 또는 다른 노드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알기 위해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190)에 콘텐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요청하거나 특정 콘텐츠를 저장하는 노드에 대한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시스템(10)은 네트워크 상의 분산된 저장매체(storage)를 가상화시켜서, 저장매체의 사용을 원하는 특정 노드가 분산된 노드의 저장매체를 마치 자신의 저장매체로 이용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의 저장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는 정보저장매체(200)에 제 1영역(210) 및 제 2영역(220)으로 나뉘어 저장된다.
제 1영역은 외부 리소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외부 리소스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 또는 외부 리소스의 저장매체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말한다. 예로서, 위치 정보는 외부 리소스의 어드레스, 공유폴더 이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어느 하나이거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영역은 위치 정보와 연관되어 외부 리소스가 녹화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인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콘텐츠 정보는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 콘텐츠 녹화 시작 시간 및 콘텐츠 녹화 완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는 콘텐츠 식별 정보에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의 저장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정보는 Content_identification_Structure(300)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Content identification Structure(300)는 Network ID(326), Transport ID(330), ServiceID(346), EventID(340), EventName(350), PartialRecordStartTime(360), PartialRecordEndTime(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Network ID(326), Transport ID(330), ServiceID(346), EventID(340), EventName(350)는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또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PartialRecordStartTime(360) 및 PartialRecordEndTime(370)은 콘텐츠 녹화 시간 정보에 해당하고, PartialRecordStartTime(360) 및 PartialRecordEndTime(370)은 각각 콘텐츠의 녹화 시작 시간 및 녹화 완료 시간을 의미한다. 녹화 시작 시간 및 녹화 완료 시간은 TDT(Time and Data table)/TOT(Time offset Table)로부터 추출되는 시간을 통해 기록 될 수 있다.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Content identification Structure(300) 의 필드(320)는 Network ID(326)에서 OxFFFFFFFF(321)로 대체되고, 필드(340)는 ServiceID(346)에서 SourceID(341)로 대체된다.
또한, 콘텐츠 정보는 Content_identification_Structure(300)로 형태로 제 2 영역에 저장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및 콘텐츠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되는 저장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리스트(400)는 Content_List_Structure(400) 형태로 저장될 있다. Content_List_Structure(400)는 Node_Location_info(410) 및 외부 리소스가 저장하는 콘텐츠의 수(421)와 함께 콘텐츠의 수(421) 만큼의 Content_ identification_Structure(423)를 캡슐화(encapsulation, 422)하여 포함한다. 여기서 Node_Location_Structure(410)는 제 1영역(210)에 저장되고, 콘텐츠의 수(421) 만큼 캡슐화된 Content_identification_Structure(423)은 제 2영역(2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는 Node_Location_Info(410)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Node_Location_Info(410)의 타입은 LocationType(411)이며, LocationType(411)은 Union Type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Node_Location_Structure(410)는 IP Address(411), SharedFolderName(413), URL(Uniform Resource Locator, 414) 및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415)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될 수 있도록 Union Type으로 정의될 수 있다. IP Address(411)는 해당 외부 리소스의 인터넷 주소를 말하고, SharedFolderName(413)은 외부 리소스가 공유한 저장폴더의 이름을 의미한다. 그리고 URL(Uniform Resource Locator, 414)는 웹 문서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에 있는 파일의 위치를 의미하고,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415)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를 의미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Node_Location_Info(410)는 콘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콘텐츠의 수(421)는 위치 정보가 지시하는 외부 리소스가 저장하는 콘텐츠 수를 의미한다. 즉 콘텐츠 리스트는 외부 리소스가 저장하는 콘텐츠의 수(421)와 함께 콘텐츠의 수(421) 만큼의 캡슐화(encapsulation, 422)된 Content identification Structure(4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매체(200)는 복수개의 Content_List_Structure(4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장매체(200)는 외부 리소스의 수만큼 Content_List_Structure(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저장매체(200)는 제 1영역(210) Node_Location_Info(410) 저장하고, 제 2영역(220)에 제 1영역(210)에 저장된 Node_Location_Info(410)를 가리키는 복수의 포인터(Pointer) 값 및 복수의 포인터(Pointer) 각각에 대응되도록 콘텐츠의 수(421) 만큼의 캡슐화(encapsulation, 422)된 Content identification Structure(423)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100)는 수신부(501), 복조부(502), 역다중화부(503), 디코딩부(504), 디스플레이부(505), 제어부(506), 저장/재생 제어부(507), 통신 인터페이스부(508),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OSD) 처리부(509), 포맷 컨버터(510), 및 원격 신호 수신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501), 복조부(502), 역다중화부(503), 디코딩부(504), 및 디스플레이부(505)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텐츠 처리부라 하기로 한다. 여기서 외부 리소스(101)는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190) 및 DTV A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6)와 저장/재생 제어부(507)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그러한 것 중 적어도 두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6)에서 저장/재생 제어부(507)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재생 제어부(507)에서 녹화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DVR 엔진이라고도 하며, 인크립션과 디크립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인코딩과 디코딩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인크립션 및/또는 인코딩은 콘텐츠를 외부 리소스(101)로 전송할 때 수행되고, 디크립션 및/또는 디코딩은 외부 리소스(101)로부터 콘텐츠가 전송될 때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인크립션과 디크립션 동작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그러한 것 중 적어도 두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인코딩과 디코딩 동작도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그러한 것 중 적어도 두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507)에서 인코딩된 콘텐츠의 디코딩은 저장/재생 제어부(507) 대신 디코딩부(504)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8)에는 유선과 무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로 외부 리소스(101)가 연결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8)는 외부 리소스(101)와 연결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연결 단자를 포함하며, 일예로 상기 외부 연결 단자는 USB 포트나 IEEE1394 포트가 될 수 있다.
상기 USB 포트에는 복수개의 USB 포트가 포함된 USB 허브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USB 포트란 디지털 TV에 직접 장착된 USB 포트가 될 수도 있고,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허브에 포함된 USB 포트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TV의 USB 포트를 통해 유선이나 무선 네트워크로 외부 리소스(101)가 연결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다.
상기 USB의 물리적 연결에는 유선(cable or wire) USB 연결과 무선(wireless) USB 연결이 있다.
상기 유선 USB 연결은 USB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녹화/재생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8)의 USB 포트에 유선 랜 카드(또는 유/무선 통합 랜카드)를 연결하고, 상기 유선 랜카드와 외부 리소스(101)를 USB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무선 USB 연결은 USB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디지털 TV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8)와 외부 리소스(101)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508)의 USB 포트에 무선 랜카드(또는 유/무선 통합 랜카드)가 연결된다. 상기 USB 포트에는 USB 메모리나 다른 디지털 기기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8)는 유/무선 랜카드를 통해 외부 리소스(101)와 통신하기 위해 유/무선 랜카드 드라이버와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8)는 외부 리소스(101)와 콘텐츠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USB 인터페이스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녹화와 재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녹화와 재생 요청은 입력 장치를 통해 디지털 TV로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외부 리소스(101)를 통해 간접적으로 디지털 TV로 입력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외부 리소스(101)가 입력 장치로부터 녹화와 재생 요청을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 장치는 리모콘, 터치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디지털 TV의 키패널 등 녹화와 재생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은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모콘(550)을 입력 장치로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상기 리모콘(550)로부터 전송되는 녹화와 재생 요청에 관련된 키 신호는 방송 수신기(211)의 원격 신호 수신부(511)에서 수신하여 제어부(506)로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506)는 원격 신호 수신부(511)에서 출력되는 키 신호를 해석하여 콘텐츠 요청에 관련된 신호이면 저장/재생 제어부(507)로 출력한다. 일예로, 리모콘(550)이 양방향 기능을 갖는 경우, 상기 리모콘(550)은 디지털 TV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원격 신호 수신부(511)는 원격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재생 요청에 관련된 신호는 콘텐츠 요청 명령을 포함한다. 콘텐츠 요청 명령은 콘텐츠 재생 명령, 콘텐츠 검색 명령을 포함한다. 콘텐츠 재생 명령은 녹화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명령으로 타임시프트 요청을 포함하고, 콘텐츠 검 색 명령은 특정 콘텐츠가 어느 외부 리소스에 저장되어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이다.
상기 녹화/재생 장치(100)의 수신부(501)는 하나 이상의 튜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튜너를 통해 지상파, 위성,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방송 소스 예를 들어, 지상파, 케이블, 위성별로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통합 튜너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튜너가 지상파 방송용 튜너라고 가정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튜너와 아날로그 튜너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고, 디지털/아날로그 통합 튜너일 수도 있다. 상기 튜너는 지상파를 예로 들 경우,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지상파 방송 콘텐츠 즉, 방송 신호 중 유저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튜닝하여 복조부(502)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부(502)는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변조 방식의 역으로 복조한다.
상기 수신부(501)는 인터넷 망을 통해 콘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501)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입/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입/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는 예를 들면, A/V(Audio/Video) 단자, 콤포넌트 단자, RGB 단자,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I 단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A/V 단자에는 VCR, 아날로그 TV 등의 외부 기기가 연결될 수 있고, 콤포넌트 단자, RGB 단자, HDMI 단자에는 DVD 플레이어, 디지털 TV, 위성 셋톱박스, 케이블 셋톱박스, PC 등의 외부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포맷 컨버터(5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고화질 콘텐츠를 그대로 역다중화부(503)로 출력하거나 다운 컨버전하여 저장/재생 제어부(507)로 출력한다. 즉, 디스플레이가 선택되면 외부 고화질 콘텐츠의 해상도를 다운 컨버전하지 않고 그대로 역다중화부(503)로 출력하고, 녹화가 선택되면 상기 외부 고화질 콘텐츠의 해상도를 다운 컨버전하여 저장/재생 제어부(507)로 출력한다. 상기 포맷 컨버터(510)에서 고화질 콘텐츠를 다운 컨버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다운 컨버전된 콘텐츠의 해상도는 다운 컨버젼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480i(i는 비월 주사)의 CCIR656 형태로 다운 컨버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상기 포맷 컨버터(5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콘텐츠가 아날로그 형태이면 디지털화하여 역다중화부(503)로 출력하거나 저장/재생 제어부(507)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부(502)는 수신부(501)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복조하며, 복조된 콘텐츠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역다중화부(503)로 출력된다.
상기 역다중화부(503)는 복조부(502)에서 출력되는 콘텐츠 또는 포맷 컨버터(51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오디오 요소 스트림(ES)과 비디오 요소 스트림(ES)으로 구분하여 디코딩부(504)의 오디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로 각각 출력한다. 또한 하나의 채널에 복수개의 방송 프로그램이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 유저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방송 콘텐츠만을 선택한 후 비디오 요소 스트림과 오디오 요소 스트림으로 구분하여 디코딩부(504)로 출력한다. 만일 복조된 방송 콘텐츠에 데이터 스트림이나 시스템 정보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면, 이것도 역다중화부(503)에서 분리되어 해당 블록으로 전달된다. 이 부분은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상세 설명 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녹화가 선택되면 상기 역다중부(503)는 복조부(502)나 포맷 컨버터(51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그대로, 또는 비디오 요소 스트림과 오디오 요소 스트림으로 분리한 후 저장/재생 제어부(507)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채널에 복수개의 방송 프로그램이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 유저가 녹화를 원하는 프로그램의 방송 콘텐츠만을 선택하여 저장/재생 제어부(507)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채널로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만 전송되는 경우를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상기 디코딩부(504)는 오디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하며, 역다중화부(503)에서 출력되는 A/V 요소 스트림을 각각의 디코딩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한 후 디스플레이부(505)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5)는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아날로그화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화면으로 출력한다. 만일 OSD 처리부(509)에서 출력되는 OSD 데이터가 있다면 디스플레이부(505)에서 비디오 데이터와 믹스되어 화면에 출력된다.
이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8)와 외부 리소스(101)와의 콘텐츠 및 제어 신호의 송/수신은 이더넷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부(508)는 이더넷 방식으로 통신하는 랜카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랜카드는 유선 랜카드와 무선 랜카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유/무선 통합형 랜카드일 수도 있다.
만일 유선(즉, 이더넷 케이블)으로 외부 리소스(101)가 연결되고, 녹화가 선 택되었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8)는 저장/재생 제어부(507)에서 출력되는 녹화 콘텐츠를 유선 이더넷 방식으로 외부 리소스(101)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또한 무선으로 외부 리소스(101)가 연결되어 있고, 녹화가 선택되었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8)는 저장/재생 제어부(507)에서 출력되는 녹화 콘텐츠를 무선 이더넷 방식으로 외부 리소스(101)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8)와 외부 리소스(101)의 데이터 전송 단위는 이더넷 MAC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8)와 외부 리소스(101)는 데이터 영역 내의 콘텐츠만을 파싱하는 이더넷 MAC 프레임 파서(parser)(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가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8)와 외부 리소스(101)는 녹화 또는 재생 콘텐츠를 도 6와 같은 이더넷 MAC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이더넷 MAC 프레임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더넷 MAC 프레임은 7/1바이트의 프리엠블(preamble)/SFD(Start of Frame Byte) 영역, 6바이트의 수신측 주소 영역, 6바이트의 송신측 주소 영역, 2바이트의 데이터 필드의 길이 영역, 45바이트 내지 1500바이트의 데이터 영역, 4바이트의 체크섬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7바이트의 프리엠블 영역은 송신측 및 수신측 간의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또한 1바이트의 SFD 영역은 이더넷 MAC 프레임의 시작점을 나타낸다. 2바이트의 데이터 필드의 길이 영역에는 그 다음에 오는 데이터 영 역의 길이를 나타낸다. 4바이트의 체크섬 영역은 32비트의 해시 코드로 이루어져 프레임의 에러 체크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DTV A1(111)이 통신 인터페이스부(508)로 녹화 콘텐츠를 송신할 때, 이더넷 MAC 프레임 내의 송신측 주소 영역에는 DTV A1(111)의 무선 랜카드의 어드레스가, 수신측 주소 영역에는 녹화/재생 장치(100)의 무선 랜카드의 어드레스가, 데이터 영역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녹화 콘텐츠가 각각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녹화/재생 장치(100)는 도 6와 같은 이더넷 MAC 프레임이 DTV A1(111)로부터 송신되어 통신 인터페이스부(508)를 통해 수신되면, 이더넷 MAC 프레임 파서(parser)에 의해 데이터 영역 내의 녹화 콘텐츠만 파싱하여 파싱된 녹화 콘텐츠를 재생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DVR 모드는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고, 유저의 선택에 의해 활성화될 수도 있다. 또는 DVR 모드가 온인지, 오프인지에 따라 DVR 모드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거나, 유저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DVR 모드가 활성화되면 DVR에 관련된 기능 예를 들어, 타임시프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DVR 모드가 비활성화라면 DVR에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DVR 모드가 비활성화되면 DVR 관련 실행 메뉴 항목들이 선택되어도 해당 기능이 수행되지 않으며, 리모콘(550)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DVR 관련 명령이 입력되어도 해당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은 DVR 모드가 활성화되었을 때 수행할 수 있는 DVR 관련 기능 의 예들을 보인 것이다.
즉, 도 7은 DVR 모드가 활성화될 때의 메인 메뉴 화면의 예를 보인 것이다. 즉, DVR 모드가 활성화되면 메인 메뉴 상의 DVR 메뉴 항목도 활성화되면서, DVR 모드가 활성화되었을 때 동작할 수 있는 DVR에 관련된 서브 메뉴들이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유저가 DVR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DVR 메뉴 항목을 투명 처리하거나, 하이라이트하거나, 다른 색깔이나 음영, OSD 문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활성화된 DVR 메뉴 항목에 Timeshift Mode 서브 메뉴, Recorded Quality 서브 메뉴, Recorded TV 서브 메뉴, Scheduled List 서브 메뉴, Manual Recording 서브 메뉴, HDD Format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활성화된 DVR 메뉴에 포함되는 서브 메뉴들의 항목 수, 위치, 순서, 동작들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이것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이때 유저는 Timeshift Mode 서브 메뉴를 통해 도 8과 같이 자동/수동 타임시프트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Timeshift Mode 서브 메뉴에서 온이 선택되면 자동 타임시프트 모드가 되고, 오프가 선택되면 수동 타임시프트 모드가 된다.
따라서, 디지털 TV의 전원이 온되었을 때, DVR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고 자동 타임시프트 모드이면, 제어부(506)는 현재 수신되어 복조되는 채널의 방송 콘텐츠의 타임시프트를 저장/재생 제어부(507)로 요청한다.
만일 디지털 TV의 전원이 온 되었을 때, DVR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으나, 수 동 타임시프트 모드이면, 제어부(506)는 유저가 리모콘(550)과 같은 입력 장치나 메뉴 화면을 통해 타임시프트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에만 현재 수신되어 복조되는 채널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타임시프트를 저장/재생 제어부(507)로 요청한다. 또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던 중, 외부의 간섭 신호(interrupt)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타임시프트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콘텐츠와 전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TV에서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던 중, 전화가 오면 자동으로 타임시프트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TV의 전원이 온 되었을 때, DVR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으나, 수동 타임시프트 모드이면, 유저로 하여금 타임시프트 기능의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타임시프트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OSD 처리부(509)에서 OSD 처리한 후 디스플레이부(505)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는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동안에는 Timeshift Mode 서브 메뉴나 리모콘(550)과 같은 입력 장치의 기 설정된 타임시프트를 위한 키 등을 이용하여 언제나 타임시프트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제어부(506)를 통해 타임시프트 요청이 입력되면 이미 다른 디지털 TV에서 DTV A1(111)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DTV A1(111)에 상기 녹화/재생 장치(100)만 연결되어 있거나, 복수개의 디지털 TV가 연결되어 있더라도 다른 디지털 TV에서 DTV A1(111)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지 않다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타임시프트가 요청된 시점부터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통신 인터페이스부(508)를 통해 DTV A1(111)로 전송하고, DTV A1(111)은 이를 수신하여 내부의 저장매체의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이후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는 리모콘(550)과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에 저장된 이전 영상의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재생 시점의 영상부터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저가 DTV A1(111)의 저장매체의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의 재생 시점을 선택하면,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유저가 선택한 재생 시점의 방송 콘텐츠의 데이터부터 DTV A1(111)의 저장매체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508)를 통해 읽어온다. 이때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DTV A1(111)로부터 전송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인크립션되어 있으면 디크립션하여 역다중화부(503)로 출력한다. 또한 인코딩되어 있으면 디코딩하여 역다중화부(503)로 출력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TV가 동시 화면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유저의 선택에 따라 현재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방송 콘텐츠와 타임시프트된 방송 콘텐츠를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상기 동시 화면 기능은 하나의 화면을 주화면과 하나 이상의 부화면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으로서, PIP(Picture In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더블 윈도우(또는 트윈 픽쳐) 등이 있다. 상기 PIP는 주화면 내에 하나 이상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말하고, POP는 주화면의 좌측(또는 우측)에 하나 이상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더블 윈도우란 한 화면을 좌,우 화면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좌화면에 주화면 영상을, 우 화면에 부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좌,우화면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IP 기능이 선택되고, 타임시프트 중이라면 주화면에는 현재 수신되는 라이브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키고, 부화면에는 DTV A1(111)의 저장매체로부터 읽어 와 재생하는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주화면에 재생 콘텐츠를, 부화면에 라이브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타임시프트가 아닌 즉, A 방송 콘텐츠를 녹화하면서, 동시에 이미 녹화된 B 방송 콘텐츠를 재생할 때, PIP 기능이 선택되면, A 방송 콘텐츠는 주화면으로, B 방송 콘텐츠는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550)과 같은 입력 장치에 각각을 위한 키를 할당하여 PIP, POP, 더블 윈도우 기능을 실행하게 할 수도 있고, 하나의 키를 할당하고 상기 키를 누를때마다 상기 각 기능들이 순차적으로 실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주화면의 영상과 부화면의 영상을 서로 바꿀 수도 있다.
그리고 DTV A1(111)의 저장매체는 타임시프트 저장영역과 반영구 저장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DTV A1(111)로 수신되는 콘텐츠는 녹화 종류에 따라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에 저장될 수도 있고, 반영구 저장영역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타임시프트 요청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는 저장매체의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에 저장되고, 즉시 녹화나 예약 녹화 요청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는 반영구 저장영역에 저장된다.
상기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은 소정 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시적 저장영 역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이 두 시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라면, 타임시프트 요청에 따라 두 시간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후에는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은 풀(full)이 된다. 이 경우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에 가장 먼저 저장된 데이터부터 삭제하거나, 그 위에 오버라이트하는 방식으로 현재 수신되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은 DTV A1(111)에 연결되는 각 디지털 TV마다 구분하여 할당할 수도 있고, 하나의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에서 적절히 할당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제어부(506)를 통해 타임시프트 요청이 입력되었을 때, 이미 다른 디지털 TV에서 DTV A1(111)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다고 확인되면,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저장 과정 없이 다른 디지털 TV에서 타임시프트 중인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공유하여 타임시프트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녹화/재생 장치(100)에서 타임시프트가 요청된 채널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디지털 TV(212)에서 이미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다면, 녹화/재생 장치(100)의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타임시프트가 요청된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DTV A1(111)로 전송하지 않으며, 대신 디지털 TV(212)에서 타임시프트되고 있는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공유한다. 즉, 녹화/재생 장치(100)의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디지털 TV(212)에서 DTV A1(111)의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있는 방송 콘텐츠에 바로 연결(join)해서 타임시프트를 수행한다. 이렇게 하면, 녹화/재생 장치(100)는 타임시프트 요청 이전의 데이터도 재생할 수 있으므로, 유저는 타임시프트 요청 이전에 이미 지나가버 린 내용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DTV A1(111)의 저장매체에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하여 저장하지 않아도 되므로, 저장매체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즉, 이러한 기능이 없다면 녹화/재생 장치(100)는 타임시프트 요청된 채널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다른 디지털 TV에서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DTV A1(111)로 전송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이렇게 되면, 복수개의 디지털 TV에서 전송되는 동일한 데이터를 DTV A1(111)의 저장매체 내 서로 다른 영역에 저장하고 있으므로 저장매체의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녹화/재생 장치(100)는 타임시프트가 요청되기 이전의 내용은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 즉, 일반적인 타임시프트 기능은 기 설정된 저장매체 내 타임시프트 저장영역의 용량(또는 시간) 내에서 타임시프트가 요청된 시점 이후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서만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타임시프트 요청 이전의 방송 콘텐츠의 내용은 디스플레이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DTV A1(111)에 복수개의 디지털 TV가 연결되어 있고, 이 중 하나의 디지털 TV로부터 타임시프트가 요청되면, 다른 디지털 TV에서 DTV A1(111)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다른 디지털 TV에서 DTV A1(111)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다면, 타임시프트가 요청된 디지털 TV는 새로이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지 않으면서 다른 디지털 TV에서 DTV A1(111)의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있는 방송 콘텐츠를 공유하여 타임시프트를 수행한다.
도 9를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가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도 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콘텐츠 요청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요청된 콘텐츠(910)의 콘텐츠 식별정보를 기초로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111, 113, 120, 130)를 검색한다.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요청된 콘텐츠(910)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 검색을 외부 리소스(101)에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외부 리소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관리한다. 즉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외부 리소스(111, 113, 120, 13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는 어드레스, 공유 폴더 이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외부 리소스(101)에 콘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 요청을 전송한다. 그러면 외부 리소스(101)는 요청된 콘텐츠(910)의 콘텐츠 식별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DTV A1(111), PC A4(130)를 검출하고, 검출된 DTV A1(111), PC A4(130)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검색 요청에 대한 결과로 녹화/재생 장치(1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외부 리소스(101)는 콘텐츠 식별정보로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벤트 명칭을 사용할 수도 있다. 콘텐츠 식별정보로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를 사 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리소스(101)는 요청된 콘텐츠(910)의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 각각이 외부 리소스(111, 113, 120, 130)에 저장된 콘텐츠의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 각각과 동일한 지를 조사하고, 동일한 경우에 해당 외부 리소스를 요청된 콘텐츠(910)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로 검색한다.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외부 리소스(101)로부터 콘텐츠 검색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고, DTV A1(111), PC A4(130)로부터 요청한 콘텐츠(910)를 수신한다.
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요청된 콘텐츠(910)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 검색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콘텐츠 리스트에 콘텐츠 정보를 더 포함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콘텐츠 정보는 위치 정보가 지시하는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식별 정보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값으로, 일예로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요청된 콘텐츠(910)를 저장하는 DTV A1(111), PC A4(130)을 검출하고, DTV A1(111), PC A4(130)로부터 요청된 콘텐츠(910)를 수신한다. 여기서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요청된 콘텐츠(910)의 콘텐츠 식별 정보와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 정보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여 요청된 콘텐츠(910)를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를 검출하다. 콘텐츠가 MPEG2TS Stream 의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 각각이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와 동일한지를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외부 리소스를 요청된 콘텐츠(910)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로 검색한다.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요청된 콘텐츠(910) 전체를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가 없는 경우에, 요청된 콘텐츠(910)의 일부분인 조각 콘텐츠를 각각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리소스 각각으로부터 조각 콘텐츠를 각각 수신하여 요청된 콘텐츠(910)를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콘텐츠 정보에 콘텐츠 녹화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관리한다. 여기서 콘텐츠 녹화 시간 정보는 녹화 시작 시간 및 녹화 완료 시간을 포함한다.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녹화 시간 정보를 기초로 조각 콘텐츠(921, 923)를 저장하는 DTV A1(111), PC A4(130)를 검색하고, DTV A1(111), PC A4(130) 각각으로부터 조각 콘텐츠(921, 923)를 각각 수신하여 요청된 콘텐츠(910)를 재생한다. 즉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요청된 콘텐츠(910)의 일부분인 블록(911)을 PC A4(130)로부터 조각 콘텐츠(921)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요청된 콘텐츠(910)의 일부분인 블록(913)을 DTV A1(111)로부터 조각 콘텐츠(923)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물론,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요청된 콘텐츠(910)의 일부분인 블록(911)을 DTV A2(113)로부터 조각 콘텐츠(929)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 부분(914)에서 콘텐츠 요청 명령으로 과거 시점 재생 타임시프트가 요청된 경우에도, 과거 시점 부분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를 검색하여 검색된 외부 리소스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910)의 과거 시점을 재생할 수 있다.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콘텐츠 재생 중에 TDT(Time And Table)/TOT(Time offset Table)에서 추출되는 시간을 바탕으로 한 System time 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의 PCR(Program Clock Reference)을 기초로 요청된 과거 시점의 재생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시간 정보를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콘텐츠 녹화 시간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시점이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외부 리소스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여 요청된 시점을 재생할 수 있다.
콘텐츠 리스트 또는 콘텐츠 정보를 얻기 위해,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위치 정보가 지시하는 외부 리소스에 콘텐츠 리스트 또는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요청한다.
콘텐츠 리스트 또는 콘텐츠 정보를 외부 리소스(101)와 공유하기 위해,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콘텐츠 녹화시 녹화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외부 리소스(101)에 전송하고, 콘텐츠 녹화 완료시 녹화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외부 리소스(101)로 전송한다.
그리고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콘텐츠 리스트를 외부 리소스(101)로 송신할 수 있다. 일예로,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사전에 설정된 주기로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콘텐츠 리스트를 외부 리소스(1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 리소스(101)가 요청한 경우에 외부 리소스(101)로 자신의 위 치 정보 또는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시스템(10)에 참여하기 위해,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활동 상태가 된 경우에 자신이 활동 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거나 위치 정보가 지시하는 외부 리소스(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가 외부저장매체를 사용하여 타임시프트 수행의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의 (a),(b)는 '가' 시점부터 DTV A1(111)에서 B 채널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고, '나' 시점에서 녹화/재생 장치(100)가 B 채널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요청받은 경우이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나' 시점에서 녹화/재생 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면서 DVR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고 타임시프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서 B 채널로 수신이 이루어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가 타임시프트 없이 B 채널을 시청하다가 '나' 시점에서 리모콘(550)이나 메뉴 화면 등을 통해 타임시프트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녹화/재생 장치(100)가 B 채널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요청받은 '나' 시점 이전에 이미 DTV A1(111)에서 도 10의 (a)와 같이 '가' 시점부터 B 채널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으므로, 녹화/재생 장치(100)에서는 새로이 B 채널의 콘텐츠를 별도로 저장매체에 저장하지 않으면서 DTV A1(111)에서 타임시프트 중인 B 채널의 콘텐츠를 공유하여 타임시프트를 수행한다.
이 경우, 기존 방식이라면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는 '나' 시점 이전의 B 채널의 내용을 시청할 수가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DTV A1(111)에서 타임시프트 중인 B 채널의 콘텐츠를 녹화/재생 장치(100)에서 공유할 수 있으므로,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는 도 10의 (b)와 같이 '가' 시점부터 B 채널의 내용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녹화/재생 장치(100)는 OSD 기능을 이용하여 타임시프트 프로그레스 바를 화면에 표시하고,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에게 '가' 시점 이후부터 B 채널의 내용을 시청할 수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이때 유저는 리모콘(550)과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가' 시점 이후의 재생 시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 시점 이후의 B 채널의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섬네일(thumbnail) 영상을 생성하여 화면의 특정 위치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섬네일 영상은 '가' 시점의 영상이 될 수도 있고, '가' 시점 이후의 다른 시점의 영상이 될 수도 있다. 섬네일 영상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화면 내 어느 곳이나 관계없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섬네일 영상은 상기 외부 리소스(110)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가' 시점 이후의 B 채널의 영상 프레임 중 I(Intra-coded) 프레임을 기반으로 생성할 수도 있고, P(Predictive-coded)나 B(Bidirectionally predictive-coded) 프레임을 움직임 보상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섬네일 영상은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분) 주기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유저는 특정 시점의 내용을 쉽게 유추할 수 있으며, 재생 시점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레스 바의 디스플레이나 섬네일 영상의 디스플레이는 이후에 설명될 도 7과 도 8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a)와 같이 녹화/재생 장치(100)가 '가' 시점부터 A 채널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 '나' 시점에서 B 채널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요청받은 경우이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DVR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고, 타임시프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가 '가' 시점부터 A 채널을 시청하다가 '나' 시점에서 B 채널로 채널 변경을 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때 DTV A1(111)는 도 11의 (b)와 같이 '가' 시점부터 B 채널에 대해 저장매체에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으므로, 녹화/재생 장치(100)에서는 새로이 B 채널의 콘텐츠를 저장매체에 저장하지 않으면서 DTV A1(111)에서 타임시프트 중인 B 채널의 콘텐츠를 공유하여 타임시프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방식이라면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는 '나' 시점 이전의 B 채널의 내용을 시청할 수가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는 도 11의 (c)와 같이 '가' 시점부터 B 채널의 내용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녹화/재생 장치(100)에서 '가' 시점부터 A 채널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가 '나' 시점에서 B 채널로 채널 변경을 하였을 때,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는 '나' 시점 이전까지는 B 채널이 아닌 '나'시점 이전까지 녹화/재생 장치(100)에서 타임시프트되고 있던 A 채널의 내용을 보고 싶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타임시프트가 요청되었을 때 다른 디지털 TV에서 해당 채널의 콘텐츠에 대해 이미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다면 OSD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디지털 TV에서 타임시프트 중인 채널로 타임시프트를 변경할 지 여부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도 12의 (a)와 같이 녹화/재생 장치(100)에서 '가' 시점부터 A 채널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 '나' 시점에서 B 채널에 대해 타임시프트를 요청받았는데, 이때 DTV A1(111)는 도 12의 (b)와 같이 '가' 시점부터 B 채널에 대해 외부 리소스(110)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타임시프트를 수행하고 있다고 하자. 그리고 OSD 처리부(509)의 OSD 기능을 이용하여 표시된 선택 메시지에서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가 다른 디지털 TV에서 타임시프트 중인 채널로 타임시프트를 변경하지 않겠다고 선택하였다면,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는 도 12의 (c)와 같이 '가' 시점부터 '나' 시점까지는 A 채널을 시청할 수 있고, '나' 시점 이후에는 B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선택 메시지에서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가 다른 디지털 TV에서 타임시프트 중인 채널로 타임시프트를 변경하겠다고 선택하였다면,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는 도 11의 (c)와 같이 '가' 시점부터 B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OSD 처리부(509)의 OSD 기능을 이용하여 표시된 선택 메시지에서 녹화/재생 장치(100)의 유저가 '나' 시점 이전의 A 채널의 내용을 시청하겠다고 선택하였다면 '나' 시점 이전의 A 채널과 B 채널의 내용을 모두 시청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나' 시점 이전의 A 채널과 B 채널의 내용 각각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1300)는 통신 인 터페이스부(1310), 제어부(1320) 및 저장부(133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310)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녹화/재생 장치(1301) 또는 외부 리소스(1302)와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한다. 여기서 녹화/재생 장치(1301)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100)와 대응한다.
저장부(1330)는 콘텐츠 리스트를 저장한다. 여기서 콘텐츠 리스트는 녹화/재생 장치(1301)의 위치 정보 및 녹화/재생 장치(1302)로부터 녹화/재생 장치(1302)가 녹화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인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1320)는 녹화/재생 장치(1301)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저장부(1330)에 저장된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한다.
또한 제어부(1320)는 녹화/재생 장치(1301)로부터 콘텐츠 검색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녹화/재생 장치를 저장부(1330)에 저장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320)는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녹화/재생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20)는 수신한 콘텐츠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검색한 결과를 녹화/재생 장치(1301)에 전송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와 외부 리소스 사이의 메시지 전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녹화/재생 장치(100)는 활동 상태(Active, 1410)가 되면 현재 자신이 활동 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1411)를 브로드캐시트(broadcast)한다. 여기서 활동 상태 예로 부팅(Power On) 또는 웨이크 업(Wake Up)이 있다.
외부 리소스(101)는 녹화/재생 장치(100)에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요청하는 메시지(1412)를 전송한다. 그러면, 녹화/재생 장치(100)는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메시지(1413)를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Node_Location_Info(410)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리소스(101)는 콘텐츠 리스트(content list)를 요청하는 메시지(1414)를 전송한다. 그러면 녹화/재생 장치(100)는 현재 자신의 로컬 저장매체(local storage)에 있는 메인 콘텐츠 리스트(main content list)를 포함하는 메시지(1415)를 외부 리소스(101)로 전송한다. 여기서 로컬 저장매체(local storage)는 예로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로 연결된 HDD, USB HDD 또는 USB Storage가 될 수 있다.
추가로, 외부 리소스(101)는 캐시 콘텐츠 리스트(cache content list)를 요청하는 메시지(1416)를 녹화/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녹화/재생 장치(100)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시스템(10) 내의 다른 노드의 콘텐츠 리스트를 캐시(cache)하고 있는 경우에는, 녹화/재생 장치(100)는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1417)를 외부 리소스(101)에 전송한다. 여기서 캐시 콘텐츠 리스트는 다른 노드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 리스트를 의미한다. 또한 캐시 콘텐츠 리스트는 Content_List_Structure(400)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녹화/재생 장치(100)가 녹화(Recording)를 시작(1420)하게 되면 외부 리소스(101)에 현재 녹화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1421)를 전송한다. 그리고 녹화/재생 장치(100)는 녹화(Recording)가 진행되는 상황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1422)를 외부 리소스(10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녹화/재생 장치(100)는 녹화가 종료(1430)되면 녹화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녹화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1431)를 외부 리소스(101)에 전송한다.
결국 녹화/재생 장치(100)는 MSG_broadcast_node_active(1411) 부터 MSG_send_end_content_recording_info(1430)을 일정주기로 반복해서 전송하므로써,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노드 간의 캐싱(caching) 및 쉐어링(shareing)하는 콘텐츠 리스트(Content List)는 동일하게 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및 15b를 참조하면,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활동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100).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활동 상태가 된 경우에는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외부 리소스(101) 전송한다(S101). 여기서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전송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 리소스(101)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확인한다(S102).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외부 리소스(101)에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103).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전송된 위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 리소스(101)로부터 메인 콘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확인한다(S104).
메인 콘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메인 콘텐츠 정보를 외부 리소스(101)에 전송한다(S105). 여기서 메인 콘텐츠 정보는 기존에 녹화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이고, 위치 정보는 녹화/재생 장치(100)의 어드레스, 공유폴더 이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캐시 콘텐츠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확인한다(S106). 캐시 콘텐츠 리스트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외부 리소스(101)에 전송한다(S107). 여기서 캐시 콘텐츠 리스트는 다른 외부 리소스로부터 전송받은 위치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연관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다.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콘텐츠를 녹화하는 지를 확인한다(S108).
콘텐츠를 녹화를 시작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녹화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외부 리소스(101)에 전송한다(S109). 그리고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콘텐츠가 완료되었는 지를 확인한다(S110). 여기서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녹화(Recording)가 진행되는 상황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콘텐츠 정보를 외부 리소스(101)에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에 대한 녹화가 완료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녹화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외부 리소스(101)에 전송한다(S111)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외부 리소스(101)로부터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한다(S112).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 리소스(101)에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113).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한다(S114).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한다(S115). 그리고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 리소스(101)에 콘텐츠 정보를 요청한다(S116).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요청한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한다(S117).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한다(S118).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콘텐츠 요청 명령을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한다(S119).
콘텐츠 요청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메인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한다(S120).
메인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발견한 경우(S121)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요청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메인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캐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한다(S122).
캐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를 검출한 경우(S123)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외부 리소스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수신한다.
캐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콘텐츠 검색 요청을 외부 리소스(101)로 전송한다(S124). 여기서 콘텐츠 검색 요청은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만일 외부 리소스(101)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저장/재생 제어부(507)는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외부 리소스로부터 요청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의 계층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1500)는 입력부(1510), 트랜스포트 디먹스(Transport DeMUX, 1520),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30), 스트림 저장매체(stream storage, 1540),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550), 처리부(1560) 및 녹화/재생 처리부(1580)을 포함한다.
입력부(1510)는 외부 신호를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트랜스포트 디먹스(152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1510)는 아날로그 입력(Analog Input, 1511), 아날로그 튜너(Analog Tuner, 1512), 디지털 엔코더(Digital Encoder, 1513), 디지털 튜너(Digital Tuner, 1514), 케이블 튜너(Cable Tuner, 1515) 및 소스 선택기(Source Selector, 1516)를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100)의 수신기(501)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아날로그 입력(Analog Input, 1511)은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Analog composite 및 Analog RGB Analog YPbPr 형태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디지털 엔코더(1513)는 이를 MPEG2 TS 형태로 변형한다.
아날로그 튜너(Analog Tuner, 1512)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 중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튜닝하여 Analog RF 형태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디지털 엔코더(1513)는 이를 MPEG2 TS 형태로 변형한다.
디지털 엔코더(1513)는 아날로그 입력(Analog Input, 1511) 및 아날로그 튜너(Analog Tuner, 1512)가 출력하는 시그널을 MPEG2 TS형태의 Digital 데이터로 변형하여 출력한다.
디지털 튜너(Digital Tuner, 1514)는 디지털 방송 신호 중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튜닝하여 MPEG2 TS 형태의 Digital 데이터를 출력한다.
케이블 튜너(Cable Tuner, 1515)는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RF시그널을 입력받아 MPEG2TS 형태의 Digital 데이터를 출력한다.
소스 선택기(Source Selector, 1516)는 디지털 엔코더(1513), 디지털 튜너(Digital Tuner, 1514) 및 케이블 튜너(Cable Tuner, 1515)에서 출력되는 Digitalized MPEG2 TS stream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트랜스포트 디먹스(Transport DeMUX, 1520)로 출력한다.
트랜스포트 디먹스(Transport DeMUX, 1520)는 소스 선택기(Source Selector, 1516)로부터 출력된 Digitalized MPEG2 TS stream를 역다중화하여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30)로 출력한다. 여기서 트랜스포트 디먹스(Transport DeMUX, 1520)는 역다중화부(503)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30)는 DVR 미들웨어(1590)의 제어를 받아 트랜스포트 디먹스(15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550)로 출력하거나 스트림 저장매체(1540)로 출력하고, 스트림 저장매체(154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30)는 DVR AV 데이터 라우터(DVR AV DATA Router, 1531), 프레임인덱스 생성기(FrameIndex Generator, 1532), 네트워크 디바이스(Network Device, 1533), 시리얼 USB/IEEE1394(1534), ATA 디바이스(1535) 및 스트램블 디바이스(1536)를 구비한다.
DVR AV 데이터 라우터(1531)는 트랜스포트 디먹스(1520)가 출력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입력받아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550)로 출력하고, 트랜스포트 디먹스(1520)가 출력한 데이터 스트림을 미들웨어(1563) 및 DVR 미들웨어(1590)로 출력한다. 또한 DVR AV 데이터 라우터(1531)는 스트림 저장매체(1540)를 제어하여 트랜스포트 디먹스(1520)가 출력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스트림 저장매체(1540)에 저장하고, 스트림 저장매체(1540)에 저장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읽어서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550)으로 출력한다.
프레임인덱스 생성기(1532)는 비디오 스트림 또는 오디오 스트림의 시퀀스 헤더(Sequence Header) 및 픽쳐 헤더(Picture Hearder)를 파싱(parsing)하여서 프 레임(I, P, B frame) 등의 프레임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프레임익덱스 생성기(1532)는 생성한 프레임 위치정보를 인덱스 트릭 플레이 매니저(Index Trick Play Manager, 1592)로 출력한다. 그러면 인덱스 트릭 플레이 매니저(1592)는 현재의 시스템 시간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의 PCR(Program Clock Reference) 및 STC(System Time Clock)의 시간정보와 연계하여 타임스탬프(TimeStamp)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533)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리소스(101)와 데이터를 송수하는 디바이스로, 녹화/재생 장치(15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533)를 통해 외부 리소스(101)로부터 위치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유저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외부 리소스(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리소스(101)의 저장매체에 콘텐츠를 녹화할 수 있다.
시리얼 USB/IEEE1394(1534)는 외장 저장매체 또는 외장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것으로, USB 또는 IEEE1394를 지원하는 시리얼 전송장치이다. 여기서 외장 저장매체는 예로 USB 메모리, USB HDD가 될 수 있고, 외장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로 USB 네트워크가 있다.
ATA 디바이스(1535)는 내장 저장매체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것으로, SATA 또는 PATA 타입의 HDD에 접속되고, 접속된 HDD를 제어하여 접속된 HDD로데이터를 읽고 접속된 HDD에 데이터를 쓰는 기능을 지원한다.
스크램블 디바이스(1536)는 비디오 스트림 또는 오디오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하여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550)에 출력한다.
스트림 저장매체(1540)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시리얼 USB/IEEE1394(1534)에 접속된 외장 저장매체일 수 있고 ATA 디바이스(1535)에 접속된 내장 저장매체일 수 있으며, 외부 리소스(101)의 저장매체일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550)는 디코딩부(504)와 대응하는 구성요소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30)가 출력한 오디오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1551) 및 오디오(1516)로 출력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가 재생되게 한다.
처리부(1560)는 애플리케이션(1570), 미들웨어 인터페이스(1561), 미들웨어(1563) 및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5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처리부(1560)는 제어부(506)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애플리케이션(1570)은 미들웨어(1563)의 지원을 받아서 방송 서비스를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메뉴 애플리케이션(Menu Application, 1571), 채널 리시트 에디터(Channel List Editor, 1572) 및 EPG(Electronic Program Guide, 1573)를 포함한다.
미들웨어 인터페이스(1561)는 애플리케이션(1570)과 미들웨어(1563) 사이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미들웨어 인터페이스(1561)는 애플리케이션(1570)으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미들웨어(1563)에 전송하고 미들웨어(1563)으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대한 결과를 애플리케이션(1570)에 전달한다.
미들웨어(1563)는 애플리케이션(1570)을 지원하고 자원을 제어한다. 미들웨어(1563)는 애플리케이션(1570)에 자원을 할당하고 그 이용을 지원하며 할당한 자 원을 회수하여, 애플리케이션(1570)이 간접적 자원(resource)를 액세스 하도록 하므로써, 애플리케이션(1570)과 자원과의 독립성(Independecy)를 유지하고 애플리케이션(1570)의 호환성을 높인다.
미들웨어(1563)은 스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 포함된 데이터 스트림을 파싱하는 PSIP/SI 파서(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Parser, 1565), 입력부를 제어하는 채널 매니저(Channel Mananger, 1566), EPG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EPG 데이터 베이스(1567),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OAD(On air download, 1568), 스트램블 디바이스(1530)을 제어하여 암호화된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Cl(1569)를 포함한다.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562)는 미들웨어(1563)과 하드웨어 자원 사이를 인터페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미들웨어(1563)는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562)를 통해 입력부(1516), 트랜스포트 디먹스(1520),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33) 및 오디오/비디오 스트림(1550)을 제어한다.
녹화/재생 처리부(1580)는 녹화/재생용 애플리케이션(1581), DVR 미들웨어 인터페이스(1586), DVR 미들웨어(1590), DVR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587) 및 버츄얼 스토리지 FS/Device 매니저(Virtual Storage / FileSystem / Device Connection Manager, 1588)를 포함한다. 여기서 녹화/재생 처리부(1580)는 저장/재생 제어부(507)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506)가 저장/재생 제어부(507)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는, 녹화/재생 처리부(1580)는 제어부(506)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녹화/재생용 애플리케이션(1581)은 DVR 유저 인터페이스(DVR UI, 1582), 스토리지 소스 네비게이터(Storage Source Navigator, 1583) 및 예외 처리 유저 인터페이스(1584)를 포함한다. DVR 유저 인터페이스(1582)는 DVR 관련된 유저 인터페스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 소스 네비게이터(1583)는 스트림 저장매체(1540)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고 유저가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를 서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외 처리 유저 인터페이스(1584)는 외부 리소스 또는 스트림 저장매체(1540)에 접속상에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DVR 동작상에 오류가 방생한 경우에 이를 유저에게 알려주고 유저가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DVR 미들웨어 인터페이스(1586)는 미들웨어 인터페이스(1561)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녹화/재생용 애플리케이션(1581)과 DVR 미들웨어(1590)를 매개하는 연할을 수행한다.
DVR 미들웨어(1590)는 미들웨어(1563)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 DVR 동장을 지원하는 미들웨이이다. 이를 위해 DVR 미들웨어(1590)는 업/다운로드 매니저(Up/Download Manager, 1591), 인덱스 트릭 플레이 매니저(Index Trick Play Manager, 1592), 콘텐츠 리스트 매니저(Content List Manager, 1595), 스토리지 위치 매니저(Storage Location Manager, 1594)을 구비한다.
업/다운로드 매니저(1591)는 프레임 인덱스 생성기(1532)로부터 생성된 타임스탬프(TimeStamp)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의 전송방향을 결정하여 DVR AV 데이터 라우터(1581)를 제어한다.
인덱스 트릭 플레이 매니저(1592)는 프레임 인덱스 생성기(1532)로부터 생성돈 타임스탬프(TimeStamp) 및 인덱싱(indexing)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기초로 비디오 트릭 플레이(Video Trick Play)를 위해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여 유저가 원하는 트릭 플레이(Tric Play)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리스트 매니저(1593)는 스트림 저장매체(1540)를 애플리케이션(1581), 업/다운로드 매니저(1591) 및 인덱스 트릭 플레이 매니저(1592) 등에게 내장 저장매체와 같이 보이도록 가상 저장매체(Virtual Storage)화하여 관리하고, 콘텐츠 리스트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토리지 위치 매니저(1594)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30)의 각 구성요소의 물리적인 연결관계를 제어 및 관리한다.
DVR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587)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30)와 DVR 미들웨어(1590) 사이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30)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화하여 DVR 미들웨어(1590)에 제공한다.
버츄얼 스토리지 FS/Device 매니저(1588)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533), 시리얼 USB/IEEE1394(1534) 및 ATA 디바이스(1535)가 각각 접속하는 스트림 저장매체(1540) 각각의 물리적/논리적으로 연결된 관계를 DVR 미들웨어(1590)에 일괄적인 형태로 가상화하여 제공한다. 즉 버츄얼 스토리지 FS/Device 매니저(1588)는 단지 콘텐츠의 입력소스만 다르고, DVR 미들웨어(1590)가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일괄적 인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게 스트림 저장매체(1540) 각각의 물리적/논리적으로 연결된 관계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매체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의 저장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의 저장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및 콘텐츠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되는 저장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롤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MAC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DVR 모드가 활성화되면 수행할 수 있는 DVR 기능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가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가 외부저장매체를 사용하여 타임시프트 수행의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와 외부 리소스 사이의 메시지 전송을 도시한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재생 장치의 계층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33)

  1.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외부 리소스와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콘텐츠 요청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리소스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는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 각각이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콘텐츠의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 각각과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리소스를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리소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어드레스, 공유 폴더 이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외부 리소스에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외부 리소스로부터 상기 콘텐츠 검색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리소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상기 위치 정보가 지시하는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더 포함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외부 리소스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 녹화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녹화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의 일부분인 조각 콘텐츠를 각각 저장하는 외부 리소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리소스 각각으로부터 상기 조각 콘텐츠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요청 명령으로 과거 시점 재생 타임시프트가 요청된 경우에는, 상기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녹화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과거 시점 부분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리소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리소스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지시하는 외부 리소스에 상기 외부 리소스가 관리하는 콘텐츠 리스트 또는 상기 외부 리소스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 녹화시 녹화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외부 리소스에 전송하고, 콘텐츠 녹화 완료시 녹화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외부 리소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외부 리소스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사전에 설정된 주기로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외부 리소스로 전송하거나, 외부 리소스가 요청한 경우에 상기 외부 리소스로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1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활동 상태가 된 경우에 자신이 활동 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가 지시하는 외부 리소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리소스는 각각 녹화/재생 장치, 저장매체를 탑재한 디지털 기기 및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재생 장치.
  19.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녹화/재생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녹화/재생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녹화/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녹화/재생 장치가 녹화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인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녹화/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녹화/재생 장치로부터 콘텐츠 검색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녹화/재생 장치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결과를 상기 녹화/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녹화/재생 장치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22. 외부 리소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영역; 및
    상기 위치 정보와 연관되어 상기 외부 리소스가 녹화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인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2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외부 리소스의 어드레스, 공유폴더 이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트랜스포트 아이디(Transport id),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및 이벤트 아이디(Event id), 콘텐츠 녹화 시작 시간 및 콘텐츠 녹화 완료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25. 활동 상태가 된 경우에는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위치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위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메인 콘텐츠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텐츠 정보는,
    기존에 녹화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외부 리소스의 어드레스, 공유폴더 이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요청받는 경우에는,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는 전송받은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와 연관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30. 제 25항에 있어서,
    콘텐츠를 녹화하기 시작한 경우에는, 상기 녹화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녹화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31. 제 25항에 있어서,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한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캐시 콘텐츠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32. 제 25항에 있어서,
    콘텐츠 요청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메인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메인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캐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는, 콘텐츠 검색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33. 제 25항 내지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컴 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033602A 2008-04-11 2008-04-11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및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기록한기록매체 KR101443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602A KR101443632B1 (ko) 2008-04-11 2008-04-11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및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기록한기록매체
EP09730297A EP2274910A4 (en) 2008-04-11 2009-04-13 DEVICE FOR RECORDING AND READING CONTENTS, SERVER FOR MANAGING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ONT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12/422,589 US9077859B2 (en) 2008-04-11 2009-04-13 Device for recording and playing contents, server for managing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for managing content information
CN2009801205468A CN102047679B (zh) 2008-04-11 2009-04-13 记录和播放内容的设备、管理内容位置信息的服务器、信息记录介质、用于管理内容信息的方法
PCT/KR2009/001878 WO2009126008A2 (en) 2008-04-11 2009-04-13 Device for recording and playing contents, sever for managing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for managing conten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602A KR101443632B1 (ko) 2008-04-11 2008-04-11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및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기록한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266A true KR20090108266A (ko) 2009-10-15
KR101443632B1 KR101443632B1 (ko) 2014-11-03

Family

ID=4116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602A KR101443632B1 (ko) 2008-04-11 2008-04-11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및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기록한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77859B2 (ko)
EP (1) EP2274910A4 (ko)
KR (1) KR101443632B1 (ko)
CN (1) CN102047679B (ko)
WO (1) WO200912600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328A (ko) * 2016-02-03 2017-08-1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3984B2 (en) * 2008-12-18 2014-01-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cess of sequentially dubbing a camera for investigation and review
US20100269147A1 (en) * 2009-04-15 2010-10-21 Echostar Technologies Llc Video stream index generation at a video content transmitter
JP5263028B2 (ja) * 2009-06-24 2013-08-14 ソニー株式会社 番組送出制御システムおよび番組送出制御プログラム
US11418842B2 (en) * 2009-11-03 2022-08-16 DISH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selection menus
US20120324362A1 (en) * 2010-01-19 2012-12-20 Byunghyuk Jung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GB2481967A (en) * 2010-06-29 2012-01-18 Nds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ed Media Content
CN103907357B (zh) * 2011-08-26 2018-04-27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呈现视频流的系统和方法
US20140074961A1 (en) * 2012-09-12 2014-03-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Efficiently Delivering Time-Shifted Media Content via Content Delivery Networks (CDNs)
JP6398215B2 (ja) * 2013-03-15 2018-10-03 株式会社リコー 配信制御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配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469304A (zh) * 2014-12-04 2015-03-25 重庆晋才富熙科技有限公司 用于表演训练的智能录播系统
KR102454746B1 (ko) 2015-10-01 202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9824000B1 (en) 2015-10-21 2017-11-21 Amazon Technologies, Inc. Testing calling code dynamically with random error injection based on user-specified configuration
CN105872720A (zh) * 2015-11-25 2016-08-17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在视频应用中筛选播放记录的方法及装置
US11316922B2 (en) * 2017-02-28 2022-04-26 Arris Enterprises Llc Dynamic selection of storage device for storing media
US11157556B2 (en) 2019-12-20 2021-10-26 Sling Media Pv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umbnail generation for a video device
CN112579932A (zh) * 2020-12-08 2021-03-30 广州博冠信息科技有限公司 页面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9523A (en) 1984-06-29 1988-06-07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Solid phase acylation of aminosulfonic acids
DE69725533T2 (de) * 1996-08-30 2004-05-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Digitales Rundfunksystem, digitale Rundfunkvorrichtung und Empfänger dafür
US20030093790A1 (en) 2000-03-28 2003-05-15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US6636953B2 (en) * 2000-05-31 2003-10-21 Matsushita Electric Co., Ltd. Receiving apparatus that receives and accumulates broadcast contents and makes contents available according to user requests
US8060906B2 (en) * 2001-04-06 2011-11-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ly retrieving content related to previous query results
US20020162109A1 (en) * 2001-04-26 2002-10-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tributed storage on a P2P network architecture
US7551832B2 (en) * 2001-12-05 2009-06-23 Scientific-Atlanta, Inc. Application management and interface for cluster control of time shift buffer
US20030204602A1 (en) * 2002-04-26 2003-10-30 Hudson Michael D. Mediated multi-source peer content delivery network architecture
WO2003096669A2 (en) * 2002-05-10 2003-11-20 Reisman Richard R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multiple coordinated device
JP2006525584A (ja) * 2003-04-29 2006-11-0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単一のクエリ結果にマッピングされたp2pネットワークへの同一記録
JP4281437B2 (ja) 2003-07-10 2009-06-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DE602004023120D1 (de) 2003-12-19 2009-10-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roadcast-gesteuerte virtuelle kommune auf einem p2p-netzwerk
FR2864875A1 (fr) * 2004-01-05 2005-07-08 France Telecom Procede d'enregistrement de contenus audio-visuels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US20060259930A1 (en) 2005-05-10 2006-11-16 Rothschild Leigh M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digital media content
KR100813047B1 (ko) * 2005-12-12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 표시방법 및 장치
JP2007265556A (ja) 2006-03-29 2007-10-11 Toshiba Corp 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提示方法並びに情報提示システム
US8090241B2 (en) * 2007-05-15 2012-01-03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network recording and playback of digital television programs
US20090031390A1 (en) * 2007-07-26 2009-01-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udiovisual data and index data i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applications for implementing remote network record with instant personal video recorder suppo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328A (ko) * 2016-02-03 2017-08-1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74910A4 (en) 2011-05-11
US20090257729A1 (en) 2009-10-15
WO2009126008A3 (en) 2009-12-03
US9077859B2 (en) 2015-07-07
CN102047679A (zh) 2011-05-04
KR101443632B1 (ko) 2014-11-03
EP2274910A2 (en) 2011-01-19
WO2009126008A2 (en) 2009-10-15
CN102047679B (zh)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632B1 (ko) 녹화/재생 장치, 콘텐츠 위치 관리 서버, 정보저장매체,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 및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기록한기록매체
US754662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ulti-source content in electronic program guides
CA2755062C (en)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CA2479347C (en) Composite buffering
US96288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video program for user instruction
CA2627665C (en) Multi-room network guide with scheduling device indicators
CA2670629C (en) Viewer data collection in a multi-room network
US20090010612A1 (en) Remote control device with integrated display screen for controlling a digital video recorder
US20060218581A1 (en) Interactive network guide with parental monitoring
US2005017784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list of channel information in video display device
US99551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program markers in live media streams
US20040128700A1 (en) Viewing selection management system
JP2008263434A (ja) テレビ装置および番組情報表示方法
WO20100541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tting timers via an interactive trigger
CA2670620A1 (en) First run notification of a presentation
KR101692556B1 (ko)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7190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 프로그램 방송 예정시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73429A (ko) 셋톱박스에서 채널검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95856A (ko) 콘텐츠 녹화/재생 장치 및 타임시프트 방법
KR20120053910A (ko) 재생한 컨텐츠를 마킹하여 저장하는 방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영상 표시 기기, 기록 매체
KR20090078471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디스플레이 방법
KR20050080829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프로그램 정보 재생방법
KR20120131637A (ko) 이벤트 원격 녹화 시스템
KR20070018307A (ko) 녹화기를 제어하는 방송 수신장치 및 방송녹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