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539A - 디지털 이미지들에서의 윤곽들의 감축 - Google Patents

디지털 이미지들에서의 윤곽들의 감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539A
KR20090107539A KR1020097017156A KR20097017156A KR20090107539A KR 20090107539 A KR20090107539 A KR 20090107539A KR 1020097017156 A KR1020097017156 A KR 1020097017156A KR 20097017156 A KR20097017156 A KR 20097017156A KR 20090107539 A KR20090107539 A KR 20090107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orithm
value
digital image
pixels
b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9520B1 (ko
Inventor
시타람 바가바시
조안 야크
지에 푸 자이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9010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Analysi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현예들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액세스한다(400).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의 인접 밴드들은 결과적으로 그 인접 밴드들 간의 윤곽을 낳는 색차를 갖는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현예들에서는, 이러한 윤곽의 가시성을 감축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한 부분에 알고리즘을 적용한다(405). 이 알고리즘은 특정한 컬러값을 갖는 디지털 이미지의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을 나타내는 값에 기반한다.
오프셋값, 후보 스케일, 색차, 디지털 이미지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들에서의 윤곽들의 감축{REDUCING CONTOURS IN DIGITAL IMAGE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Suppressing False Contours"란 명칭으로 2007년 1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출원 제60/885,768호(대리인 정리번호 PU070029)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은 모든 면에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디지털 이미지들의 프로세싱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이미지들에서, 흑백 및 그레이 스케일을 포함하는 컬러들은 다양한 비트 뎁스들(bit depths)에서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비트 뎁스는 여러 이유들로 인해 감축될 수 있다. 예컨대, 필름은 흔히 후 제작 동안에 디지털화되고, 비교적 높은 비트 뎁스들에서 디지털화 및 프로세싱된다. 비교적 높은 비트 뎁스들은 더 많은 컬러들을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몇몇 구현예들에서는, 디지털화된 버전의 필름 이미지가 10bpc(bits per component) 또는 그 이상의 비교적 높은 비트 뎁스를 갖는다. 디지털 이미지들로서 생성된 콘텐츠는 흔히 16bpc와 같은 훨씬 높은 비트 뎁스들에서 렌더링된다. 비트 뎁스를 감축시키는 한가지 이유는 8bpc의 비트 뎁스를 갖는 이미지들이 표준 해상도 및 고 해상도 소비자 DVD 플레이들에서의 압축, 이용에 보다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트 뎁스의 감축을 컬러 양자화(color quantization)로 지칭할 수 있다.
매끄러운(smooth) 컬러 변화도를 갖는 높은 비트 뎁스 이미지의 영역에서, 컬러 양자화는 컬러가 인접한 밴드들(bands) 간에 색차가 작으면서 각기 컬러가 일정한 "밴드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밴드들 간의 경계들은 의사 윤곽들(false contours)로서 보일 수도 있으며, "밴딩 아티팩트들(banding artifacts)"로도 지칭될 수 있다. 오류 확산과 같은 방법들은 비트 뎁스 감축 프로세스 동안에 의사 윤곽들의 발생을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가시 의사 윤곽들(visible false contours)을 갖는 양자화된 이미지가 남을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더 높은 비트 뎁스 이미지에 밴딩 아티팩트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일반 측면에 따르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가 액세스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의 인접 밴드들은 결과적으로 그 인접 밴드들 간의 윤곽을 낳는 색차를 갖는다. 이러한 윤곽의 가시성을 감축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한 부분에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이 알고리즘은 특정한 컬러값을 갖는 디지털 이미지의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fraction)을 나타내는 값에 기반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현예들의 세부 사항은 첨부된 도면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되어 있다. 하나의 특정한 방식으로 설명되더라도, 구현예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 또는 구체화될 수 있다. 예컨대, 구현예는 방법으로서 수행되거나, 한 세트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또는 한 세트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장치와 같은 장치로서 구체화되거나, 또는 신호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 및 특징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밴드 검출 방법의 한가지 구현예의 프로세스 순서도.
도 2는 밴드 검출 방법의 다른 구현예의 프로세스 순서도.
도 3은 밴드 검출과 밴드들의 스케일 결정 방법의 한가지 구현예의 프로세스 순서도.
도 4는 윤곽들의 가시성을 감축하는 방법의 한가지 구현예의 프로세스 순서도.
도 5는 밴딩을 나타내는 디지털 이미지 도면.
도 6은 밴드 검출 방법과 윤곽들의 가시성을 감축하는 방법의 구현예를 적용한 후의 도 5의 디지털 이미지 도면.
도 7은 밴딩을 나타내는 디지털 이미지 부분의 컬러값들의 도면.
도 8은 밴드 검출 방법과 윤곽들의 가시성을 감축하는 방법의 구현예를 적용한 후의 도 7의 컬러값들의 도면.
도 9는 밴드 검출 방법과 윤곽들의 가시성을 감축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구현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디지털 이미지들에서 밴드들을 식별하는 방법의 한가지 이상의 구현예를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이미지들에서 윤곽들의 가시성(visibility)을 감축하는 방법의 한가지 이상의 구현예를 제공한다. 밴드들이 발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예로는 비트 뎁스 감축(bit depth reduction)이 있다. 이러한 비트 뎁스 감축이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예로는, 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 표준(예컨대, MPEG-1, MPEG-2 또는 MPEG-4)과 같은 표준에 따른 인코딩용 신호를 준비할 때이다. 비트 뎁스 감축이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예로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수신된 신호를 준비할 때이다.
이러한 요구들은 밴드들과 윤곽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디지털 이미지 부분들을 식별하는 구현예를 통해 해결된다. 또한, 이러한 요구들은 스케일이 밴드들의 폭을 표시하는 경우에 밴드들의 스케일을 결정하는 구현예를 통해 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윤곽들의 적어도 하나의 가시성을 감축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구현예를 행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밴드들이 디지털 이미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블록(100)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지털 이미지는 액세스된다.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는 색차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는 전형적으로 픽셀값들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흑백 및 그레이 스케일의 여러 컬러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디지털 이미지는 다색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거나 단지 단색 컴포넌트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단색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그레이 스케일 컴포넌트 또는 적, 녹, 청 등의 전통적인 색 컴포넌트를 나타낼 수 있다).
밴드들의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300)는 복수의 밴드를 갖는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이며, 이들 중 가장 가시성이 있는 것이 305, 310, 315 및 320으로 라벨링되어 있다. 인접하는 밴드들 간의 색차가 인접하는 밴드들 간의 윤곽이 된다. 도 5에서, 밴드들은 윤곽들(306, 311 및 316)에 의해 분리된다. 디지털 이미지는 양자화된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밴드들은 양자화 아티팩트들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양자화 아티팩트의 예로서, 한 영역에 걸쳐 컬러가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이미지를 고려해 보자. 이러한 이미지가 더 낮은 비트 뎁스로 양자화될 때(또는 아날로그 이미지가 초기에 디지털화될 때), 컬러에서의 단계적인 변화는 컬러가 하나의 값으로부터 인접하는 값으로 변하는 밴드들에 의해 분리된 일련의 균일한 컬러 영역들이 될 수도 있다.
도 1의 블록(105)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한 부분이 적어도 2개의 후보 스케일에 기반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의 존재에 대해 평가된다. 밴드들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한 부분의 평가 동작은 또한 그 밴드들의 스케일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구현예들에서, 평가 동작은 디지털 이미지 밴드들의 부분들 혹은 영역들이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밴드들이 디지털 이미지의 한 부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이미지는 블록(150)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세스된다.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는 색차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155)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한 부분이 밴드들의 존재에 대해 평가된다. 평가 단계는, 블록(155)이 또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부분에서 특정한 픽셀의 컬러값으로부터 오프셋값만큼의 컬러값 오프셋을 갖는, 한 부분에서의 픽셀들의 분율(fraction)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추가로 후술한다.
밴드들의 존재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의 평가 결과가 밴드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이후 프로세스 플로우는 또한 예를 들어 밴드들의 스케일을 결정하고, 결정된 스케일에 기반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밴드들을 감축하는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픽셀들의 컬러값 또는 픽셀들의 컴포넌트들의 값을 변하게 하는 디더링 알고리즘(dithering algorithm)일 수 있다.
윤곽의 감축은 일반적으로 윤곽의 가시성을 감축하는 것으로 지칭된다. 윤곽은 일반적으로 에지 또는 라인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윤곽의 가시성은, 예를 들어 그 윤곽이 뷰어에게 덜 가시적이면, 윤곽에 걸친 픽셀값들에서의 변이가 그 윤곽에 걸쳐 평균하여 감축되면, 및/또는 윤곽의 길이가 감축되면, 감축된다. 윤곽의 가시성 감축은 그 윤곽을 흩뜨리는(breaking up) 외관을 줄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의 존재에 대해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한 부분을 평가하는 방법의 프로세스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는, 밴딩의 가능성이 가장 큰 스케일에 대해 평가가 행해진다. 가장 가능성이 큰 스케일에서는, 밴딩의 가능성이 충분하게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이미지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픽셀들에서 밴딩의 가능성이 가장 큰 스케일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 스케일의 결정은 이미지의 복수의 픽셀들에 대해 픽셀 단위로 내려질 수도 있다. 결정은 이미지의 각 픽셀에 대해서 또는 이미지에서의 픽셀들의 일정한 부분에 대해 픽셀 단위로 내려질 수도 있다. 블록(200)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플로우는 고려된 제1 픽셀을 선택함으로써 개시한다. 프로세스 플로우는 블록(205)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케일을 선택함으로써 지속된다. 스케일은 밴딩에 대해 평가될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 또는 주변(neighborhood)의 사이즈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영역의 모양은 어느 모양이나 상관없다. 예로서, 주변은 픽셀을 중앙에 둔 원형일 수도 있고, 직사각형 모양일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1 스케일은 5 × 5 픽셀의 치수를 갖는 정사각형 모양의 주변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스케일은 10 × 10 픽셀의 주변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3 스케일은 15 × 15 픽셀의 주변에 대응할 수 있다. 주변의 사이즈와 주변들의 상대 사이즈는 변할 수 있다.
블록(205)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한 픽셀에 대해 후보 스케일이 선택된다. 이어서, 영역(또는 주변)이 후보 스케일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이어서, 블록(210)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프셋값이 선택된다. 이어서, 블록(215)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한 픽셀의 컬러값으로부터 제1 오프셋값만큼의 컬러값 오프셋을 갖는 결정된 영역내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이 결정된다. 예로서, 제1 오프셋값은 포지티브 1일 수 있다. 블록(215)에서는, 1의 오프셋을 이용하여, 블록(200)에서 선택된 제1 픽셀의 픽셀값보다 1이 많은 픽셀값(컬러값)을 갖는 영역내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을 결정한다.
선택된 오프셋(210)이 특정한 픽셀 및 후보 스케일에 대한 최종 오프셋값이 아니면, 블록(220)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플로우는 그 특정한 후보 스케일 및 특정한 픽셀에 대한 다음의 오프셋값으로 이동한다. 다음의 오프셋값으로의 이러한 이동이 결정 블록(220)에서 "아니오"로 분기 표시되어 있다. 여러 가능한 오프셋값들중 어느 값들을 이용한 구현예라도 상관없다.
예컨대, 오프셋값들은 포지티브 1, 0과 네거티브 1로 선택될 수도 있다. 그 후, 프로세스는 특정한 픽셀 및 스케일에 대해 이러한 오프셋값들 3개 모두에 대해 되풀이될 것이다. 그 외의 추가의 정수의 오프셋값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한 픽셀 주변의 영역에서의 밴딩의 존재가 일반적으로 동일한 컬러값을 갖거나 또는 단지 하나만이 한 픽셀의 컬러값과 다른 한 컬러값을 갖는 많은 픽셀들에서 반영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3개의 오프셋값의 이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블록(215)에서 (선택된 스케일 및 픽셀에 대한) 가능한 오프셋값들 각각에 대해 분율이 결정된 후에는, 블록(225)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정값(confidence value)이 얻어진다. 여러 구현예들에서, 확정값은 밴딩 아티팩트의 가시 중요성(visual significance)을 나타내는 인자와, 밴딩의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인자를 곱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밴딩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더라도, 밴딩 아티팩트의 가시 중요성의 가능성이 낮으면, 확정 인자는 낮을 것이고, 이는 디밴딩 프로세스(debanding process)를 이미지에 적용할 정당성이 비교적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그 영역내에서의 밴딩의 존재의 가능성이 낮다면, 디밴딩 프로세스를 이미지에 적용할 정당성이 비교적 낮을 것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는, 확정값 c(s)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01
여기서, p(0,s)는 특정한 픽셀과 동일한 컬러값을 갖는 스케일 s에 의해 규정된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 또는 확률이고,
p(-1,s)는 특정한 픽셀의 컬러값보다 1 낮은 컬러값을 갖는 스케일 s에 의해 규정된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 또는 확률이며,
p(1,s)는 특정한 픽셀의 컬러값보다 1 높은 컬러값을 갖는 스케일 s에 의해 규정된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 또는 확률이다.
수학식 1은 전술한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수학식 1은 밴딩 아티팩트의 가시 중요성을 나타내는 제1 인자와, 밴딩의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제2 인자를 곱한다.
동일한 컬러값을 갖는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밴딩 아티팩트들의 가시 중요성의 척도(measure)이다. p(0,s)의 값이 낮으면, 비교적 적은 수의 픽셀들이 선택된 픽셀과 동일한 컬러값을 갖는다. 그 결과, 이 영역이 선택된 픽셀로부터의 컬러값에서 1의 변이를 나타내는 밴드를 포함하면, 그 밴드는 감축된 가시 가능성을 갖는다.
수학식 1에서의
Figure 112009050245278-PCT00002
항목은 밴딩의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항목은 2개의 분율의 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제1 분율은, 선택된 픽셀보다 1 작은 컬러값을 갖는 픽셀들의 분율을, 동일한 값 또는 그 픽셀의 값보다 1 작은 값을 갖는 픽셀들의 분율의 합으로 나눈 것이다. 제2 분율은, 선택된 픽셀의 컬러값보다 1 큰 컬러값을 갖는 픽셀들의 분율을, 동일한 값 또는 그 픽셀의 값보다 1 큰 값을 갖는 픽셀들의 분율의 합으로 나눈 것이다. 영역에서 다수의 픽셀이 선택된 픽셀로부터 1만큼 컬러값이 변하면, 분율들 중 하나는 비교적 높은 값을 가질 것이고, 그 항목도 비교적 높은 값을 가질 것이다. 서로 1만큼 변하는 다수의 픽셀은 밴드들을 포함하는 영역의 특성이 된다. 한편, 이 항목의 값이 낮으면, 선택된 픽셀의 컬러값으로부터 1만큼 변하는 컬러값을 갖는 비교적 적은 수의 픽셀이 존재하고, 이는 그 영역에서의 낮은 밴딩 가능성을 나타낸다.
대안으로는,
Figure 112009050245278-PCT00003
항목이 max
Figure 112009050245278-PCT00004
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대안 항목은 또한 선택된 픽셀의 컬러값과 1만큼 다른 컬러값을 갖는 픽셀들의 비교적 높은 분율이 존재한다면 비교적 높은 값을 갖는다. 이 대안 형태는 2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항목에 상관없이 밴딩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항목 중 최대인 것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다. 즉, (예를 들어) +1만큼 오프셋된 많은 비율의 픽셀들이 존재한다면, (예를 들어) -1만큼 오프셋된 많은 비율의 픽셀들이 존재하는지에 상관없이 밴딩이 발생하리라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 항목은 밴딩이 부족하지만 선택된 픽셀의 컬러값에 가까운 컬러 값을 갖는 비교적 큰 수의 픽셀을 갖는 영역들에서 높은 확정 스코어를 피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밴딩이 존재하지 않고 어떠한 항목도 특별히 크지 않은 하나의 예이지만, 그 합은 밴딩이 존재하는 것을 (이 예에서 부정확하게) 암시할 정도로 충분히 크다.
스케일에 대한 확신 스코어를 얻은 후에, 프로세스 플로우는 밴드들을 갖는 것으로 영역들을 부적절하게 식별하는 위험을 줄이는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선택된 픽셀과 동일한 컬러값을 갖는 픽셀들의 분율(p(0,s))이 적어도 임계값인지 여부, 그리고 1 큰 컬러값을 갖는 픽셀들의 분율(p(1,s)) 또는 1 적은 컬러값을 갖는 픽셀들의 분율(p(-1,s))이 적어도 임계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영역에 밴드가 존재한다면, 이들 분율들은 비교적 높을 것이다. 이러한 임계화 단계(thresholding step)가 도 3에서 블록(23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임계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p(O,s)>T 및 [p(-1,s)>T 또는 p(1,s)>T]
여기서, T는 부분 임계값(fractional threshold)이다. 몇몇 구현예들에서는, T가 0.2의 값을 가질 수 있지만, T의 값은 변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는, 또한 p(0,s)에 이용된 T의 값을 p(-1,s)와 p(1,s)에 이용된 T의 값으로부터 변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구현예들은 난수의 오프셋값들(수학식 2는 -1과 1의 2개의 오프셋값을 보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p(0,s)(오프셋값 없음)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각 오프셋값에 대해 다른 임계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임계화 단계가 밴딩이 이 스케일에서 존재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면, 프로세스는 결정 블록(230)에서 "아니오"로 분기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음 스케일로 진행한다. 임계화 단계가 성공적으로 통과되면, 확정값은 그 픽셀에 대한 최대 확정값에 비교된다. 확정값이 저장된 최대 확정값보다 높으면, 그 확정값과 스케일이 저장된다. 블록(235)이 이 갱신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 후, 프로세스 플로우는 블록(240)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 스케일이 체크되지 않았다면 다음 스케일로 진행한다. 블록(230)에서 스케일들 중 어떤 것도 임계값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선택된 픽셀에 밴딩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 그러나, 블록(230)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케일이 임계값 기준을 충족시키면, 최대 확신을 갖는 스케일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및 선택된 픽셀에서 밴딩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밴딩이 컬러 이미지의 각 픽셀의 컴포넌트 각각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프로세스 플로우는 각 픽셀의 컴포넌트 각각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YUV 또는 RGB 이미지들에 대해, 프로세스는 각 픽셀마다 3회 반복된다. YUV 또는 RGB 이미지에서의 각 픽셀과 연관된 3개의 컬러값이 있다.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에서는, 각 픽셀과 연관된 하나의 컬러값만이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각 영역이 오직 하나의 스케일에서의 밴딩의 가능성에 대해 평가된다. 또다른 구현예들에서, 디지털 이미지는 하나 이상의 부분들로 임의 분할될 수 있고, 그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밴딩의 가능성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최종 스케일이 식별되었고, 선택된 픽셀의 주변에서의 이미지 부분에 밴딩이 존재할 때에는, 특정한 픽셀에 대해 디밴딩이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는, 결정된 스케일에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디밴딩 프로세스가 이용된다. 또한, 여러 구현예들에서는, 픽셀의 확률적 디더링(probabilistic dithering)을 포함하는 디밴딩 프로세스를 이용한다. 이러한 디더링에 이용되는 확률들은 그 픽셀과 동일한 컬러값을 갖는 (결정된 스케일에 대응하는 주변에서의) 픽셀들의 분율들과, 그 픽셀로부터 1만큼의 컬러값 오프셋을 갖는 픽셀들의 분율들을 반영할 수 있다. 인간의 눈이 컬러들을 어느 정도 평균화하므로, 그 영향은 밴딩된 영역이 양자화된 컬러값들 중간의 컬러값을 갖기 쉬울 것이다. 다른 컬러값들을 갖는 픽셀들의 상대 분율들(확률들)은 주변에서 인지된 평균 컬러값(mean color value)을 대략적으로 결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이미지에서 밴드들의 가시성을 감축하는 프로세스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블록(400)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을 갖는 디지털 이미지가 액세스된다. 디지털 이미지가 밴드들을 갖는다는 결정은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나, 다른 프로세스 혹은 디지털 이미지의 관찰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졌을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윤곽들의 가시성은, 블록(405)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한 컬러값을 갖는 디지털 이미지의 영역에서 픽셀들의 분율을 나타내는 값에 기반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감축된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적용된다. 디더링 알고리즘은 오프셋값만큼의 컬러값 오프셋을 갖는 디지털 이미지의 영역에서 의 픽셀들의 분율에 기반한 확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구현예들에서는,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스에 의해 "가장 가능성있는 것"으로 결정된 스케일과 같이 가장 가능성있는 밴딩 스케일이 이용된다. 이러한 하나의 구현예에서는, 가장 가능성있는 스케일이 이용되고, 확률적 디더링 프로세스는 0과 1 사이에서 난수 r을 생성하고,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함으로써 (x,y) 위치에서의 픽셀에 대한 오리지널 컬러값 I(x,y)를 (x,y) 위치에서의 픽셀에 대한 새로운 컬러값 J(x,y)로 매핑한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05
그 표현식은 p'(k,s*)=p(k,s*)/[p(-1,s*)+p(0,s*)+p(1,s*)]이다. 따라서, p'(-1,s*), p'(0,s*) 및 p'(1,s*)의 합은 1이고, 오리지널 컬러값 또는 오프셋 컬러값들 중 하나를 갖는 픽셀의 확률은 그 스케일에 의해 정의된 영역에서 이러한 컬러값들의 상대 발생을 반영한다. 값 p'(0,s*)은 한 부분에서의 특정한 픽셀의 컬러값과 동일한 컬러값을 갖는 디지털 이미지의 한 부분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을 나타낸다. 값 p'(-1,s*)은 한 부분에서의 특정한 픽셀의 컬러값으로부터 오프셋값만큼의 컬러값 오프셋을 갖는 디지털 이미지의 한 부분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을 나타내며, 여기서 오프셋값은 네거티브 1이다. 값 p'(1,s*)은 한 부분에서의 특정한 픽셀 의 컬러값으로부터 오프셋값만큼의 컬러값 오프셋을 갖는 디지털 이미지의 한 부분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을 나타내며, 여기서 오프셋값은 포지티브 1이다. 스케일 s* 은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스에 의해 결정된 픽셀 (x,y)에서의 밴딩의 가장 가능성있는 스케일일 수 있다. 이 스케일은 다른 방법에 의해 이와 달리 선택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확률적 디더링 프로세스가 다음의 방안을 채택한다. 이 방안에서는, 오프셋 컬러값을 갖는 픽셀의 정규화(normalize)된 확률들이 조절 및 재정규화된다. 갱신된 값들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06
Figure 112009050245278-PCT00007
여기서, τ는 비교적 적은 값을 갖는 상수이다. 이러한 조절은 더 높은 값을 갖는 분율의 값이 감축되게 하고, 더 낮은 값을 갖는 분율의 값이 상수가 되게 한다. 그 값들이 가까우면, 양자가 비교적 낮은 상수로 이동하게 한다. 그 후, 그 값들은 재정규화된다. 이 재정규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08
이 재정규화 단계에 의해, 특정한 픽셀과 동일한 컬러값을 갖는 픽셀들의 재정규화된 분율과, 선택된 오프셋값들을 갖는 픽셀들의 재정규화된 분율들의 합이 1이 된다. 그 후, 재정규화된 분율들은 난수 생성기(a random number generator)에 이용되어 디더링된 컬러값을 얻는다. 다음의 수학식이 이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09
전술한 바와 같이, r은 0과 1 사이의 난수를 나타낸다.
디더링 방법의 추가 구현예에서는, 픽셀의 컬러값의 예상된 평균값이 계산된다. 예상된 평균값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10
출력 픽셀의 컬러값은
Figure 112009050245278-PCT00011
, m보다 작은 최고 정수값 또는
Figure 112009050245278-PCT00012
+1 중 어느 하나이다. 확률 인자 q는 q = m-
Figure 112009050245278-PCT00013
으로 결정된다. 출력값은 확률 q를 갖는 값
Figure 112009050245278-PCT00014
+1에 할당되고, 확률 (1-q)를 갖는 값
Figure 112009050245278-PCT00015
에 할당된다.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 난수 r을 이용함으로써, 컬러값 J(x,y)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16
따라서, m이
Figure 112009050245278-PCT00017
+1보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18
에 가깝다면, q의 값은 비교적 낮고, r은 대부분의 경우에 q보다 클 것이다. r이 q보다 클때, 컬러값은
Figure 112009050245278-PCT00019
일 것이다. 따라서, m이
Figure 112009050245278-PCT00020
+1보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21
에 가까우면, 컬러값은
Figure 112009050245278-PCT00022
+1보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23
이 될 가능성이 있다. m이
Figure 112009050245278-PCT00024
보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25
+1에 가까우면, q의 값은 비교적 높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 r이 q보다 작을 것이다. 이에 따라, 컬러값은 m이
Figure 112009050245278-PCT00026
보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27
+1에 가까우면 대부분의 경우에
Figure 112009050245278-PCT00028
+1이다.
몇몇 구현예들에서, 이미지의 비트 뎁스는 밴드 검출과 디밴딩이 수행되는 포인트에서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디밴딩의 방법이 수정될 수 있다. 픽셀에서 어떠한 밴딩도 검출되지 않았다면, 출력값은,
Figure 112009050245278-PCT00029
으로 평가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자 dmin은 비트 뎁스의 차이로 2를 거듭제곱한 것과 같다(the factor dmin is equal to 2 raised to the power of the difference of the bit depth). 예컨대, 비트 뎁스가 1비트만큼 증가되면, 모든 I(x,y)값들은 두 배된다. 밴딩이 검출되었다면, 컬러값의 평균값의 결정은 다음과 같이 수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9050245278-PCT00030
디더링 단계는 수학식 9에서 설명하였던 것과 동일하다. 평균값 이하인 정수와 평균값 이상인 정수의 값들은 비트 뎁스가 동일하게 남아있는 구현예에서보다 가까울 것이다. 따라서, 이 구현예는 컬러값에서의 천이 변화를 보다 매끄럽게 한다.
밴딩 검출과 밴딩 감축 모두가 수행되는 구현예에서는, 디더링 단계의 완료 후에, 프로세스 플로우가 다음 픽셀에 대한 밴딩 결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컬러 이미지가 수반되면, 프로세스 플로우는 동일한 픽셀에 대한 다음 컬러값으로 진행하거나, 그 픽셀에 대한 모든 컬러값들이 완료되었다면, 다음 픽셀로 진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미지의 한 부분에서의 픽셀들에 대한 컬러값들(500)이 도시되어 있다. 밴드(505)에서의 픽셀들은 25의 컬러값을 가지고, 밴드(510)에서의 픽셀들은 24의 컬러값을 가진다. 도 8에는, 이미지(5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미지(500')는 밴딩 검출 및 디밴딩의 방법의 구현예를 적용한 결과이다. 도 8에서는, 컬러값들의 디더링한 단계의 결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컬러값들은 상단 라인(610)에서의 비교적 높은 평균값으로부터 하단 라인(620)에서의 비교적 낮은값으로 점차 변한다.
도 7에서의 밴드들(505 및 510)이 윤곽(515)을 발생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윤곽(515)은 이미지(500)의 전체를 가로지른 직선이고, 밴드(505)와 밴드(510) 간 의 1 픽셀값 차이의 결과이다. 윤곽(515)이 직선이고, 이미지(500)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점들 모두는 일반적으로 윤곽(515)의 가시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해, 이미지(500')는 디더링이 윤곽(515)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그러한 윤곽을 갖지 않는다. 이미지(500')의 생성시, 디더링 알고리즘은 이미지(500)에서 윤곽(515)에 바로 인접한 픽셀들을 디더링하는 것 이상의 것을 행한다. 즉, 디더링 알고리즘은 적어도 이 구현예에서 이미지(500)의 모든 행과 열의 픽셀들을 디더링하였다. 물론,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광범위하게 디더링할 필요는 없다.
도 9는 프로세서(700) 및 메모리(710)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프로세서(7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서 개시되어 있는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700)는 밴드들의 존재에 대해 이미지의 한 부분을 평가하고, 및/또는 이미지의 한 부분이 밴드들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710)는 프로세서(700)가 이러한 프로세스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10)는 또한 밴드 검출 및 디밴딩의 단계들 전후의 디지털 이미지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로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밴딩의 검출 및 밴딩이 검출된 이미지의 영역들에서의 디밴딩의 단계들은 인코더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단계들은 MPEG-2 디지털 압축 표준과 같은 압축 표준에 따른 인코딩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밴딩의 검출 및 밴딩이 검출된 이미지의 영역들에서의 디밴딩의 단계들은 예를 들어 디코더에서 수행되거나 디코딩 후에 후 처리기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 컨대, 이러한 단계들은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단계 후, 그리고 이러한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에 제공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구현예가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구현예는 디코더의 출력 이미지보다 낮은 비트 뎁스에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다. 이 제1 구현예에서는, 디코더의 출력 이미지가 밴딩 검출 및 디밴딩의 프로세스 전 또는 그 프로세스 동안에 비트 뎁스에서 감축된다. 제2 구현예는 디코더의 출력 이미지보다 높은 비트 뎁스에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다. 이 제2 구현예에서는, 디코더의 출력 이미지가 밴딩 검출 및 디밴딩의 프로세스 전 또는 그 프로세스 동안에 비트 뎁스에서 증가된다.
밴딩 검출 및 밴딩이 검출된 이미지의 영역들에서의 디밴딩의 단계들은 예를 들어 필터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러한 단계들은 필터링 단계들이 이미지에 대해 수행된 후, 그리고 필터링된 이미지가 필터에 의해 출력되기 전에 행해질 수도 있다.
밴딩 검출 및 밴딩이 검출된 이미지의 영역들에서의 디밴딩의 단계들은 예를 들어 인코더에서 수행되거나 인코딩 전에 전 처리기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컬러 양자화가 이미지에 대해 수행되어 인코딩될 데이터의 양을 감축할 수도 있다. 컬러 양자화에 이어서, 그리고 이미지의 인코딩 전에, 밴딩 검출 및 디밴딩의 단계들이 수행될 수도 있다.
구현예들은 밴딩 검출, 밴딩 검출시의 스케일 결정 및/또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밴딩을 감축하는데 -1, 0 및 1 이외의 오프셋값들 및 -1, 0 및 1에 추가하여 오프셋값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디더링 방법들 중 어느 방법의 구현예들은 ±1 컬러값만큼 픽셀을 디더링하는 대신에 ±n(여기서, n>1) 컬러값만큼 픽셀을 디더링할 수도 있다.
디더링 방법들 중 어느 방법에서는, 디지털 이미지들의 시퀀스 처리시, 시간 상관 인자를 디더링 확률에 추가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주어진 픽셀 I(x,y,t)에 대해, 이 방법은 이전 프레임의 동일 위치에서의 픽셀, 즉 픽셀 I(x,y,t-1)의 디더링 파라미터들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프레임에서의 나란히 배열된(collocated) 픽셀의 디더링 파라미터들은 현재 픽셀의 디더링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면서 고려될 수 있다. 이를 행하는 한가지 방법은 픽셀의 디더링 파라미터들이 프레임간에 매끄럽고 급격하지 않게 변하는 것을 보장하는 시간 상관 인자를 추가하는 것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는, 이전 프레임에서의 나란히 배열된 픽셀을 이용하기 보다는, 이전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모션 보상된 픽셀(motion compensated pixel)(즉,
Figure 112009050245278-PCT00031
)이 이용된다.
여러 구현예들에서, 스케일은 컬러 이미지에서 픽셀의 모든 컬러 컴포넌트들에 대해 동시에 선택될 수 있다. 예로서, 확정 스코어의 계산은 단지 하나의 컴포넌트 보다는 모든 컬러 컴포넌트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구현예들은 다음의 이점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1)상이한 스케일들의 밴딩 아티팩트들의 가시성을 감축하고, (2)더 높은 비트 뎁스들에서 또는 입력 이미지와 동일한 비트 뎁스를 갖는 출력 이미지에서 밴딩 아티팩트들의 가시성을 감축하고, (3)비교적 낮은 레벨의 노이즈를 추가하고, (4)평탄한 영역들에서 발생하는 작은 디테일들을 포함하여 이미지에서의 미세 디테일을 보존한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작은 대비 영역들(340, 341)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구현예의 적용 후의 이미지(300')가 도시되어 있다. 작은 대비 영역들(340, 341)을 여전히 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예들은 예를 들어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가지 형태의 구현예의 면에서만 논의되었지만(예를 들어, 방법으로서만 논의됨), 논의된 특징들의 구현예는 또한 다른 형태들(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어 적합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등을 포함하고 통상 프로세싱 장치로 지칭되는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와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장치는 또한 예를 들어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PDA 등의 통신 장치 및 최종 사용자들 간의 정보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장치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프로세스 및 특징들의 구현예들은 여러 상이한 장비 또는 애플리케이션들, 특히 예를 들어 데이터 인코딩 및 디코딩과 연관된 장비 또는 애플리케이션들로 구체화될 수 있다. 장비의 예들로는, 비디오 코더, 비디오 디코더, 비디오 코덱, 웹 서버, 셋톱 박스, 랩톱, 개인용 컴퓨터, 셀 폰, PDA 및 다른 통신 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장비들이 이동가능하고 이동 수단에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은 명확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행해지는 명령어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집적 회로, 소프트웨어 캐리어, 또는 하드 디스크, 컴팩트 디스켓, RAM 혹은 ROM 등의 다른 저장 장치와 같은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어들은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상에 실재 구체화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다.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 조합에 실재할 수 있다. 명령어들은 운영 시스템, 개별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 둘의 조합에서 찾아질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및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당업자들이라면, 구현예들이 또한 예를 들어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는 정보를 나르도록 포맷팅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 또는 전술한 구현예들 중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신호는 (예를 들어, 스펙트럼의 무선 주파수 부분을 이용하는) 전자기파로서 또는 기저대역 신호로서 포맷팅될 수 있다. 이 포맷팅은 예를 들어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고 캐리어를 인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가 나르는 정보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정보일 수 있다. 신호는 공지된 바와 같이 여러 상이한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구현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여러 변형예들이 가능하다 는 점을 알 것이다. 예컨대, 상이한 구현예들의 구성요소들이 조합, 추가, 수정 또는 제거되어 다른 구현예들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당업자들이라면, 다른 구조들 및 프로세스들이 개시되어 있는 것들로 대체될 수 있고, 그 결과의 구현예들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들)으로 수행되며, 적어도 개시된 구현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들)를 달성할 것이라는 점을 알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현예들 및 그 밖의 다른 구현예들은 본 출원에서 고려되었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한다.

Claims (24)

  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bands)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액세스하는 단계(400) - 인접 밴드들은 결과적으로 상기 인접 밴드들의 윤곽(contour)을 낳는 색차(difference in color)를 가짐 - ; 및
    윤곽의 가시성을 감축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한 부분에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단계(405) - 상기 알고리즘은 특정한 컬러값을 갖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fraction)을 나타내는 값에 기반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분율을 나타내는 값에 기반하여 상기 부분에서의 픽셀에 대한 컬러값을 선택하는 디더링 알고리즘(dither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상기 부분에서의 픽셀들을 디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컬러값은 상기 영역에서의 픽셀의 컬러값으로부터 선택된 오프셋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오프셋은 1인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제2의 특정한 컬러값을 갖는 상기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에 또한 기반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특정한 컬러값은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픽셀의 컬러값으로부터 선택된 제2의 오프셋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디더링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링 알고리즘은 상기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예상된 평균값에 기반하고,
    상기 예상된 평균값은 상기 특정한 컬러값을 갖는 상기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에 기반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비트 뎁스(bit depth)를 증가시키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율은 정규화된 분율(normalized fraction)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값은 더 큰 값들을 줄이고 더 작은 값들을 상수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조절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상기 영역에서의 픽셀의 컬러값의 예상된 값에 기반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된 값은 비트 뎁스를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된 인자(factor)에 기반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시간 상관 인자(temporal correlation factor)를 포함하는 방법.
  15.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한 부분에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서(700)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인접 밴드들은 결과적으로 상기 인접 밴드들 간의 윤곽을 낳는 색차를 가지고,
    상기 알고리즘은 윤곽의 가시성을 감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알고리즘은 특정한 컬러값을 갖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을 나타내는 값에 기반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705)를 더 포함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인코더의 일부인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디코더의 일부인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필터의 일부인 장치.
  20.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액세스하는 단계(400) - 인접 밴드들은 각각의 윤곽에 의해 분리됨 - ; 및
    윤곽의 가시성을 감축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한 부분에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단계(405) - 상기 알고리즘은 특정한 컬러값을 갖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을 나타내는 값에 기반함 - 를 수행하기 위한 것인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한 부분에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단계를 위한 상기 명령어들은 디더링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22.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적어도 한 부분에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700)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인접 밴드들은 각각의 윤곽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알고리즘은 윤곽의 가시성을 감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알고리즘은 특정한 컬러값을 갖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분율을 나타내는 값에 기반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710)을 더 포함하며,
    인접 밴드들은 각각의 윤곽에 의해 분리되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양자화된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들은 양자화 아티팩트들(quantization artifacts)로부터 기인하는 장치.
KR1020097017156A 2007-01-19 2008-01-18 디지털 이미지들에서의 윤곽들의 감축 KR101489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576807P 2007-01-19 2007-01-19
US60/885,768 2007-01-19
PCT/US2008/000729 WO2008088901A2 (en) 2007-01-19 2008-01-18 Reducing contours in digital im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539A true KR20090107539A (ko) 2009-10-13
KR101489520B1 KR101489520B1 (ko) 2015-02-03

Family

ID=395800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156A KR101489520B1 (ko) 2007-01-19 2008-01-18 디지털 이미지들에서의 윤곽들의 감축
KR1020097015104A KR101462696B1 (ko) 2007-01-19 2008-01-18 디지털 이미지들에서의 밴딩 식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104A KR101462696B1 (ko) 2007-01-19 2008-01-18 디지털 이미지들에서의 밴딩 식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644601B2 (ko)
EP (2) EP2126836B1 (ko)
JP (2) JP5237969B2 (ko)
KR (2) KR101489520B1 (ko)
CN (2) CN101611424B (ko)
CA (2) CA2675758C (ko)
WO (2) WO200808887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7969B2 (ja) * 2007-01-19 2013-07-17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デジタル画像中の輪郭の低減
US20110129020A1 (en) * 2008-08-08 2011-06-02 Zhen Li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ing artifact detection
US8731323B2 (en) 2011-11-23 2014-05-20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General banding and codec banding artifact removal
WO2013086137A1 (en) 2011-12-06 2013-06-13 1-800 Conta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pupillary distance measurement using a mobile computing device
SG10201707996XA (en) * 2011-12-22 2017-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method using offset adjustment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pixels by maximum encoding units and apparatus thereof, and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9483853B2 (en) 2012-05-23 2016-11-01 Glasses.Com Inc. Systems and methods to display rendered images
US20130314401A1 (en) 2012-05-23 2013-11-28 1-800 Conta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3-d model of a user for a virtual try-on product
US9286715B2 (en) 2012-05-23 2016-03-15 Glasses.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virtual try-on
CN104954770A (zh) * 2014-03-31 2015-09-30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装置及其方法
US9911179B2 (en) 2014-07-18 2018-03-0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Image decontouring in high dynamic range video processing
US10909464B2 (en) * 2015-04-29 2021-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locations prediction
KR20170087278A (ko) * 2016-01-20 2017-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디오 압축 영상을 위한 거짓 등고선 검출과 제거 방법 및 장치
US20170347126A1 (en) * 2016-05-27 2017-11-30 Qualcomm Incorporated Video debanding using adaptive filter sizes and gradient based banding detection
WO2018034799A1 (en) * 2016-08-19 2018-02-22 EGW Technologies LLC Baby monitor
US10609372B2 (en) * 2017-09-29 2020-03-3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Up-conversion to content adaptive perceptual quantization video signals
CN108322723B (zh) * 2018-02-06 2020-01-24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色彩失真的补偿方法、装置和电视机
TWI739515B (zh) * 2020-07-14 2021-09-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影像去色帶判斷方法及其影像去色帶判斷電路
CN114494026A (zh) * 2020-10-23 2022-05-13 澜至电子科技(成都)有限公司 用于消除图像中的伪轮廓的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US11869226B2 (en) * 2020-10-25 2024-01-09 Pixart Imaging Inc.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can perform image pattern determining method
US11778240B2 (en) * 2021-01-26 2023-10-03 Netflix, Inc. Banding artifact detection in images and video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655B2 (en) 2000-02-03 2004-09-0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self-service film processing
FR2805429B1 (fr) * 2000-02-21 2002-08-16 Telediffusion Fse Procede de controle de la qualite numeriques distribuees par detection de faux contours
US6909435B2 (en) * 2000-12-20 2005-06-21 Thomson Licensing S.A. Reduction of gamma correction contouring in liquid crystal on silicon (LCOS) displays
US20030076283A1 (en) 2001-10-24 2003-04-24 Chunghwa Picture Tub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ynamic false contour in plasma display panel
US6697085B2 (en) 2001-10-24 2004-02-24 Chunghwa Picture Tub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ynamic false contour in plasma display panel by decreasing visual concentration difference
US6647152B2 (en) 2002-01-25 2003-11-11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system for contouring reduction
JP2005037961A (ja) 2002-05-29 2005-02-10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EP1376521A1 (en) * 2002-06-28 2004-01-02 Deutsche Thomson Brandt Processing video pictures for improving dynamic false contour effect compensation
EP1391865A1 (en) 2002-08-23 2004-02-25 Deutsche Thomson-Brandt Gmbh Plasma display panel (PDP) - Reduction of dithering noise while displaying less video levels than required
EP1406236A3 (en) * 2002-10-02 2006-06-07 Lg Electronics Inc.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486715B1 (ko) * 2002-10-09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펄스수 변조방식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의사 윤곽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72483B1 (ko) * 2002-11-2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사 윤곽 제거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US7443365B2 (en) * 2003-01-06 2008-10-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unit and display method
EP1522963A1 (en) * 2003-10-07 2005-04-1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processing video pictures for false contours and dithering noise compensation
JP2006003881A (ja) 2004-05-18 2006-01-05 Pioneer Electronic Corp 偽輪郭軽減装置、表示装置、偽輪郭軽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990343B2 (en) 2004-05-18 2011-08-02 Panasonic Corporation False contour reduction device, display device, false contour reduction method, and false contour reduction program
US7519488B2 (en) 2004-05-28 2009-04-14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noise removal and signal extraction
JP4303652B2 (ja) * 2004-07-16 2009-07-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階調補正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718081B1 (ko) * 2005-04-18 200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사윤곽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108435B1 (ko) * 2005-05-31 2012-02-1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의사윤곽 제거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장치
US20070222712A1 (en) * 2005-08-23 2007-09-27 Yutaka Chiaki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7101923A (ja) 2005-10-05 2007-04-19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デジタル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CN100447838C (zh) * 2005-10-14 2008-12-31 四川世纪双虹显示器件有限公司 一种寻址驱动和降低动态伪轮廓影响的驱动方法
JP5237969B2 (ja) 2007-01-19 2013-07-17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デジタル画像中の輪郭の低減
US8131066B2 (en) 2008-04-04 2012-03-06 Microsoft Corporation Image class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696B1 (ko) 2014-11-17
CA2675758C (en) 2015-05-19
CN101583970A (zh) 2009-11-18
CN101583970B (zh) 2012-07-04
WO2008088871A3 (en) 2009-08-27
EP2126837A2 (en) 2009-12-02
JP2010517367A (ja) 2010-05-20
JP5237968B2 (ja) 2013-07-17
US20090304270A1 (en) 2009-12-10
US8532375B2 (en) 2013-09-10
JP5237969B2 (ja) 2013-07-17
JP2010517370A (ja) 2010-05-20
EP2126836A2 (en) 2009-12-02
WO2008088901A2 (en) 2008-07-24
EP2126836B1 (en) 2013-03-06
EP2126837B1 (en) 2013-06-12
CA2675758A1 (en) 2008-07-24
WO2008088901A3 (en) 2008-09-18
KR101489520B1 (ko) 2015-02-03
KR20090104829A (ko) 2009-10-06
CA2675131A1 (en) 2008-07-24
WO2008088871A2 (en) 2008-07-24
US8644601B2 (en) 2014-02-04
CA2675131C (en) 2015-11-10
CN101611424A (zh) 2009-12-23
CN101611424B (zh) 2013-01-09
US20100142808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696B1 (ko) 디지털 이미지들에서의 밴딩 식별
US5883983A (en) Adaptive postprocessing system for reducing blocking effects and ringing noise in decompressed image signals
US7995649B2 (en) Quantization adjustment based on texture level
KR102185803B1 (ko) 손실된 비디오 데이터의 조건부 은닉
US8897581B2 (en) Guided post-prediction filtering in layered VDR coding
US20070103484A1 (en) Video to animation conversion with file size constraint
US10223774B2 (en) Single-pass and multi-pass-based polynomial approximations for reshaping functions
JPH10313456A (ja) 信号適応フィルタリング方法及び信号適応フィルター
US20090310882A1 (en) Method, apparatus and integrated circuit capable of reducing image ringing noise
EP1213928A2 (en) Image coding/decoding method, image coding apparatus and image decoding apparatus
García Aranda et al. Logarithmical hopping encoding: a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algorithm for image compression
US8520742B2 (en) Moving image compression-coding device, method of compression-coding moving image, and H.264 moving image compression-coding device
US8811766B2 (en) Perceptual block masking estimation system
US7702154B2 (en) Method and apparatus indentifying halftone regions within a digital image
JP2000200349A (ja) 画像情報変換装置および画像情報変換方法、学習装置および学習方法
KR101826040B1 (ko) 파일 형식에 기반한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70274397A1 (en) Algorithm for Reducing Artifacts in Decoded Video
JP2005094786A (ja) 係数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