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149A -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149A
KR20090106149A KR1020080031683A KR20080031683A KR20090106149A KR 20090106149 A KR20090106149 A KR 20090106149A KR 1020080031683 A KR1020080031683 A KR 1020080031683A KR 20080031683 A KR20080031683 A KR 20080031683A KR 20090106149 A KR20090106149 A KR 20090106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environment
external device
biometric information
control
contr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흥식
유선국
Original Assignee
윤흥식
유선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흥식, 유선국 filed Critical 윤흥식
Priority to KR102008003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6149A/ko
Publication of KR20090106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그에 적합하게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의 심전도, 맥파, 혈중 산소포화농도, 땀 분비량, 체지방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구비된 생체신호 측정기; 생체정보 측정결과에 의한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에 따라 연출값을 변화시키도록 외부 기기를 제어하여 실내의 조명이나 조도, 공기 청정도 및 아로마 테라피를 위한 아로마 발생 조건을 자동으로 변화시키는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를 통해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인체의 현재 감성 및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른 감성 및 건강 상태값을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감성 판단서버;를 포함하는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을 제공한다.
생체정보, 아로마, 조명등, 실내환경, 연출, 자동조절

Description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Indoor environmental automatic present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 상태에 맞게 실내 환경 조절이 가능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와 생체신호 측정기를 이용하여 인체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그에 적합한 실내환경 제어조건을 선택하여 조명등, 음이온 발생기, 아로마 발생기, 커튼 구동기 등의 외부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상태에 최적화된 실내환경을 자동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환경 조절기기는 실내의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등과 같은 실내환경요소를 조절하는 기기로서, 에어컨, 히터, 공기 정화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내환경 조절기기는 실내환경요소의 상태를 측정하는 각종의 센서가 구비되어 실내 환경요소의 현상태를 측정한다. 측정된 실내환경요소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창에 현재 실내환경요소의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종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실내환경요소의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온도 조절부, 습도 조절부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환경 조절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키입력값이나 주변의 실내환경요소들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실내에서 실제 생활하고 행동하는 인체의 심리상태나 감정상태 또는 건강상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이 주변의 실내환경요소만을 측정하여 구동되는 실내환경 조절기기에 의해서는 인체의 감성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실내환경을 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실내환경 조절기기와 같은 집안의 디바이스들로부터 디바이스 상태정보 혹은 실내의 환경요소 상태정보 등을 전송받은 홈서버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핸드폰이나 PDA 또는 다른 장비를 이용하여 집안에 있는 홈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 즉, 집안의 온도, 습도, 전등의 밝기, TV의 채널, 오디오 볼륨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홈 서버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설정입력에 따라 홈네트워크로 연결된 집안의 디바이스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키입력값에 의해 집안의 디바이스들이 구동되기 때문에, 실내환경의 연출은 여전히 인체의 감성 상태에 맞게 최적화되지 못하고 있었다.
한편,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란 심장 근육의 수축 확장에 따른 활동 전류로서 외부에서 전극을 부착하여 측정하고 기록한다. 심장 근육이 수축 이완 할 때 발생되는 활동 전위는 심장으로부터 온몸으로 퍼지는 전류를 일으키며 이 전류는 몸의 위치에 따라 전위차를 발생시키는데 이 전위차는 인체의 피부에 부착된 표면 전극을 통해 검출하여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심전도는 심장의 이상 유무 확인에 이용되며, 협심증, 심근경색 및 부정맥 등 심장계 질환의 진단에 기본적인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어 매우 중요하다.
혈압은 심박출량, 혈관의 탄성도, 환자의 생리적인 변화 등에 대한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중요한 생리지표이다.
아로마 테라피(aromatherapy)는 아로마(aroma:향)과 테라피(therapy;치료)의 합성어로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여 질병을 예방하고자 치료하며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건강 유지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방법 중의 하나이며, 이미 오래전부터 풀과 열매를 이용하여 생활 전반에 다양하게 이용해 오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 조명등의 컬러나 밝기(조도), 음이온 발생에 의한 실내의 공기 청정도, 아로마 테라피를 위한 아로마의 종류나 발생량, 커튼 개폐에 따른 외부 광량 등에 관련된 실내환경 제어조건을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인체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그에 적합한 실내환경 제어조건을 상기 저장된 제어조건으로터 선택하여 조명등, 음이온 발생기, 아로마 발생기, 커튼 구동기 등의 외부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상태에 최적화된 실내환경을 자동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체의 심전도, 맥파, 혈중 산소포화농도, 땀 분비량, 체지방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며, 외부 기기와 무선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전송부와 생체정보에 따른 감성 및 건강 상태값의 표시를 위한 생체정보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무선 전송부를 통해 외부 기기로 생체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기기에서 송신되는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무선 수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표시부로 출력하는 생체신호 측정기; 상기 생체신호 측정기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기기 제어부, 및 외부 서버와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며, 생체정보 측정결과에 의한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에 따라 연출값을 변화시키도록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외부기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를 구비하여, 실내의 조명이나 조도, 공기 청정도 및 아로마 테라피를 위한 아로마 발생 조건을 자동으로 변화시키는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를 통해 생체신호 측정기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인체의 현재 감성 및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른 감성 및 건강 상태값을 설정하여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감성 판단서버;를 포함하는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은,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의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원격제어기의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가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에 구비되어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은,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의 동작을 단말기에서 직접 제어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에 구비되어 또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는 연출하고자 하는 조명등의 컬러나 밝기, 아로마의 종류나 발생량, 음이온 발생에 의한 실내의 공기 청정도, 커튼 개폐에 따른 외부 광량 조절 등에 관련된 실내환경 제어조건을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다수의 연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연출값을 일련의 연출번호에 대응시켜 테이블에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유/무선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연출값을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연출값으로 실내환경이 연출되도록 외부 기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자동조절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생체정보 측정기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감성 판단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감성 판단서버에서 수신되는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기에 전송하고 상기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의 연출 테이블로부터 다수의 연출값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기기 제어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스케쥴 예약에 의한 예약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예약정보를 입력받아 지정된 시간동안 예약된 연출값으로 외부기기를 제어하도록 그 내부 프로세스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주제어부는 상기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판단하여 네가티브인 경우 메모리부의 연출 테이블에 저장된 일련의 연출번호를 기준으로 업카운드 또는 다운카운트하여 새로운 연출값을 선택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프로세스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외부기기 제어부는, 아로마 테라피를 위한 아로마 발생기에 연결되어 그 아로마 발생량 및 발생시간을 제어하는 아로마 발생 제어부, 다수의 조명등에 연결되어 각 조명등의 점/소등에 의한 컬러 및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 음이온 발생기에 연결되어 그 음이온 발생을 제어하는 음이온 발생 제어부, 커튼의 자동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커튼 구동기에 연결되어 커튼의 개폐정도 및 개폐시간을 제어하는 외부광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체신호 측정 결과에 따라 아로마 테라피는 물론, 실내 조명등의 컬러나 밝기(조도), 음이온 발생에 의한 실내의 공기 청정도, 외부 광량 등의 자동 제어가 가능하게 되므로, 인체의 감성 및 건강 향상을 위한 최적의 실내환경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 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은,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 상태를 파악에 관련되는 생체정보를 무선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기(10)와, 실내의 조명이나 조도, 음이온 발생에 의한 공기 청정도, 아로마 테라피를 위한 아로마의 종류 및 그 발생량, 커튼 개폐에 따른 외부 광량의 조절을 통해 실내환경의 연출조건을 변화시키는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와,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인체의 감성 및 건강 상태값을 설정하는 감성 판단서버(200)를 포함하고, 실내환경의 연출 및 변화에 필요한 주변의 외부기기로서 아로마 발생기(30), 조명등(40), 음이온 발생기(50), 커튼 구동기(60) 등이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에 직접 연결되어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의 동작 및 외부 기기의 선택과 각 기기별 기능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키와 기능키들을 갖는 원격제어기(20)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기(10)와 실내환경 제어단말기(100)는 지그비(Zigbee) 등과 같이 신호의 송수신이 자주 발생하지 않을 때 주로 사용되는 무선 전송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와 감성 판단서버(200)는 RS-485 등과 같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어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에서 감성 판단서버로는 생체신호를, 감성 판단서버에서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로는 판단 정보를 각각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생체신호 측정기(10)는 인체의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맥파(pulse wave), 혈중산소포화농도, 피부전도도 등의 생체 신호를 각각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생체정보 측정기는 사용자가 기기를 양손으로 들고 있는 경우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또한 생체신호 측정기(10)는 외부 기기와 무선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전송부(도면에는 미도시됨)와 생체정보에 따른 감성 및 건강 상태값의 표시를 위한 생체정보 표시부(도면에는 미도시됨)를 더 구비하여 상기 무선 전송부를 통해 외부의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로 생체정보를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기기에서 송신되는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무선 수신하여 생체정보 표시부(미도시됨)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기와의 무선 송수신 및 상기 감성 판단서버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감성판단서버로부터 받고, 그 결과로 외부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의 조명이나 조도, 음이온 발생에 의한 공기 청정도, 커튼 개폐에 따른 외부 광량, 및 아로마 테라피를 위한 아로마의 종류 및 발생량을 자동으로 변화시킨다. 이때의 연출값 변화를 위한 제어 정도는 이미 널리 잘 알려진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연산 수식에 의해 구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은 이하의 도 2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다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감성 판단서버(200)는 심전도, 맥파, 혈중산소포화농도, 피부 전도도 등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각각의 측정값들이 미리 설정된 각각의 기준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감성 판단서버는 예를 들면 정상인 상태의 인체에서 측정되는 심전도 기준값, 맥파 기준값, 혈중 산소포화농도 기준값, 피부 전도도 기준값을 각각의 생체 신호 비교를 위한 기준치로 각각 미리 설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기준치들을 미리 저장해둔 상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생체 신호 측정값이 그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좋거나 보통의 상태인 포지티브(+)로, 생체 신호 측정값이 그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경우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긴장되거나 스트레스 상태인 네가티브(-)로 설정하여 출력한다.
한편, 이러한 감성 판단서버(20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홈 네트워크 서버 등으로 구현 가능하며, 인터넷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상기 감성 판단서버(200)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경우 향후 의료기관 협력체계 구축에 의한 생체 신호의 전송, 인터넷에 접속된 협력 의료기관(80)의 주치의 또는 무선 인터넷으로 기지국(70)와 휴대폰(71)을 통해 연결되는 원거리 사용자 등에 의한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의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아로마 발생기(30)는 다수 개의 아로마 카트리지를 구비한 것을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에 연결하여, 연출하고자 하는 아로마의 종류 및 그 발생량에 따라 적어도 한 개, 또는 둘 이상의 카트리지를 선택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조명등(40)은 연출하고자 하는 조명등의 컬러나 밝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수 계열의 색상과 다수 단계의 조도를 갖는 것을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 발생기(50)는 음이온의 발생량을 조절하여 실내공기의 청정도, 온도 또는 습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튼 구동기(60)는 커튼의 레일장치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를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는 생체신호 측정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110)와, 원격제어기의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120)와,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의 동작을 직접 제어하기 위한 키입력부(130)와, 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생체정보 분석결과 등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140)와,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150)와, 외부 기기 및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60)와, 외부의 감성판단 서버(200)와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70)와, 외부 기기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외부기기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110)는 생체신호 측정기(10)에 구비된 무선 전송부에 대응하여 생체신호를 주거나 받을 수 있도록 지그비(Zigbee) 등과 같이 신호의 송수신이 자주 발생하지 않을 때 주로 사용되는 무선 전송수단으로 구현된다.
무선 수신부(120)는 리모트 콘트롤러 등에 의한 원격 제어기(20)의 제어신호 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키입력부(130)는 상기 원격 제어기(20)와 마찬가지로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의 동작 및 외부기기의 선택과 기기별 기능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어키 및 기능키를 구비한다.
표시부(140)는 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생체정보 분석결과 등의 표시를 위하여 LCD 등으로 구현된다.
메모리부(150)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쓰거나 읽을 수 있는 저장수단으로서, 연출하고자 하는 조명등의 색깔, 조명등의 밝기, 아로마의 종류, 음이온 발생여부, 외부 광량 조절을 위한 커튼 개폐동작 등을 각각의 조건으로 구분하여 제어하기 위한 기기별 제어조건을 조합하여 다수의 연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연출값을 연출번호와 대응시켜 테이블에 저장한다. 아래의 표 1은 두 가지 계열의 색상(제1색상 : 블루그린 계열, 제2색상 : 레드그린 계열)과 두 단계(제1단계 : 100룩스~200룩스, 제2단계 : 201룩스~500룩스)의 조도로 구분되는 조명등과, 세 가지(제1향 : 라벤다, 제2향 : 페퍼민트, 제3향 : 로즈마리) 종류의 아로마 카트리지를 갖는 아로마 발생기가 설치된 실내환경에서 그 각각의 연출에 따른 효과를 예시한 테이블이고, 표 2는 상기 각각의 연출에 대한 기기별 제어조건이 조합된 다수의 연출값을 1부터 12까지의 연출번호와 대응시켜 저장한 연출 테이블을 예시하고 있다.
기기 연출종류 상세항목 효과
조명 제1색상 블루그린계열 부교감신경 자극:혈압, 맥박, 호흡, 각성 등의 감소 심신안정상태 유도
제2색상 레드그린계열 교감신경 자극:혈압, 맥박, 호흡, 각성 등의 증가 혈액순환촉진대사 유발, 우울증 치료효과
조도 제1단계 100~200룩스 감성적인 상태 유발, 정적인 심리상태 유지, 안도,휴식
제2단계 201~500룩스 이성적 작용우세, 동적인 충동이나 중압감 및 폐쇄감 감소
향기 제1향 라벤다 스트레스 감소, 근육이완, 두통감소, 우울증 치료효과 정신적인 안정과 진정작용
제2향 페퍼민트 항염, 진통, 감기예방, 두통감소 등의 효과
제3향 로즈마리 근육긴강 완화, 악몽과 뇌의 약화를 막아줌, 기억력 촉진, 주의 집중력 향상
연출번호 조명 조도 아로마
1 제1색상 제1단계 제1향
2 제1색상 제1단계 제2향
3 제1색상 제1단계 제3향
4 제1색상 제2단계 제1향
5 제1색상 제2단계 제2향
6 제1색상 제2단계 제3향
7 제2색상 제1단계 제1향
8 제2색상 제1단계 제2향
9 제2색상 제1단계 제3향
10 제2색상 제2단계 제1향
11 제2색상 제2단계 제2향
12 제2색상 제2단계 제3향
상기 표 2에 예시된 바에 의하면, 예를 들어 연출번호 1이 선택되는 경우 조명등은 제1색상으로서 블루그린 계열이, 조명의 밝기(조도)는 제1단계로서 100룩스~200룩스가, 아로마 카트리지는 제1향으로서 라벤다 향으로 실내 공간의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블루그린 계열의 조명등에 의한 부교감신경의 자극으로 혈압, 맥박, 호흡, 각성 등의 감소시켜 심신 안정상태를 유도하는 연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100룩스~200룩스의 조명등에 의해 감성적이고 정적인 심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마음의 안도 및 휴식을 유도하는 연출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아로마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라벤다 향에 의하면 스트레스 감소, 근육 이완, 두통 감소, 우울증 치료효과, 정신적인 안정과 진정 작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출테이블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조명등의 색상과 밝기, 아로마의 종류에 위한 효과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연출테이블에는 예시되지 않은 음이온 발생량과 외부 광량의 제어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거나 유사한 연출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출 테이블에 예시된 다른 연출값에 대해서는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고하면 쉽게 이해 가능할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주제어부(160)는 시스템 전체의 동작 및 외부기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유/무선 키입력에 의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내환경 연출동작을 자동조절모드/스케쥴예약모드/수동모드로 각각 구분하여 실행한다.
자동조절모드에서는 생체신호 측정기(10)를 무선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시켜 그 생체신호 측정기(10)에서 전송되는 생체정보를 감성 판단서버(2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감성 판단서버(200)에서 전송되는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기(10)로 전송하며, 아울러 상기 감성 판단서버(200)에서 수신되는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50)의 연출 테이블로부터 다수의 연출값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기기 제어부(180)를 통해 그에 연결된 각각의 외부기기를 제어한다. 즉, 상기 감성 판단서버(200)에서 수신되는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이 네가티브(-)인지 포지티브(+)인지를 판단하여, 네가티브(-)인 경우 상기 연출테이블로부터 새로운 연출값을 선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새롭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동작은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반복해서 실행함으로써 피드백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포지티브(+)인 경우 현재 설정된 연출값으로 외부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제어한다. 이때 상기 주제어부에서는 상기 메모리부의 연출테이블에 적재된 연출번호를 기준으로 업-카운드 또는 다운-카운트하여 새로운 연출값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스케쥴예약모드에서는 스케쥴 예약에 의한 연출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스케쥴 예약을 위한 연출값(예약시간정보, 구동기기정보, 구동시간정보 등이 될 수 있으며, 아로마 발생기의 경우는 카트리지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사용자 키입력에 의해 집적 입력받아 저장하고, 예약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이후로 타이머를 구동시켜 시간을 카운트하면서 예약시간이 도달하는지를 카운트하고, 지정된 시간동안 상기 스케쥴 예약에 의해 설정된 연출값으로 실내환경이 연출되도록 외부기기 제어신호를 조절한다.
수동모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유/무선 키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른 연출값으로 실내환경이 연출되도록 외부 기기를 제어한다.
상기 외부기기 제어부(180)는, 아로마 테라피를 위한 아로마 발생기(30)에 연결되어 그 아로마 발생량 및 발생시간을 제어하는 아로마 발생 제어부(181)와, 색이 서로 다른 다수의 조명등(40)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조명등들의 점/소등 및 조명의 밝기(조도)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182)와, 음이온 발생기(50)에 연결되어 그 음이온 발생을 제어하는 음이온 발생 제어부(183), 및 커튼의 자동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커튼 구동기(60)에 연결되어 커튼의 개폐정도 및 개폐시간을 제어하는 외부광량 제어부(18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특히 상기 아로마 발생기(30)는 다수 개의 아로마 카트리지를 구비한 것을 사용하게 되므로 따라서 상기 아로마 발생 제어부(181)는 상기 다수 개의 아로마 카트리지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전체적인 흐름도로서, 도 1과 같은 시스템의 구성에서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지며, 유무선 키입력에 의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조절모드/스케쥴예약모드/수동모드로 각각 구분 실행된다.
도 3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자동조절모드에서의 동작 흐름도를 예시하고 있는 도면으로서, 유/무선 키입력에 의해 자동조절모드로 사용자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동작은 연출하고자 하는 실내환경에 따라 구분되는 외부 기기별 제어조건을 조합하여 다수 종류의 연출값을 설정한 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연출값 저장단계(도면에는 미도시됨)와, 생체신호 측정기를 구동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단계(S301-S305)와, 감성 판단서버로부터 상태값을 수신하여 판단하는 상태 판단단계(S307-S311)와, 상기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의 판단결과에 따라 실내환경을 연출하는 실내환경 연출단계(S313,S315)를 포함한다.
연출값 저장단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출 동작이 개시되기 이전에 미리 실행되는 단계(도면에서는 생략됨)로서, 연출하고자 하는 조명등의 컬러나 조도, 아로마의 종류와 발생량, 음이온 발생량, 커튼 개폐량에 따른 외부 광량의 조절 동작 등을 각각 구분하여 제어하기 위한 외부 기기별 제어조건을 조합하여 다수 종류의 연출값을 설정한 후 상기 각각의 연출값을 일련의 연출번호에 대응시켜 표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연출 테이블의 형태로 메모리부(15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생체신호 측정단계(S301-S305)는 사용자 키입력에 의한 자동조절모드의 선택(S301의 Y분기)과 아울러 동작이 개시되는 단계로서, 생체신호 측정기(10)를 구동하여 인체의 심전도, 맥파, 혈중산소포화농도, 피부 전도도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S303)와, 그 측정값을 수신하여 감성 판단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305)를 포함한다.
상태 판단단계(S307-S311)는 감성 판단서버(200)로부터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수신하여 판독 및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307)와, 상기 상태값을 생체신호 측정기(10)로 전송하여 그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S309)와, 그 상태값이 네가티브인지 포지티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11)를 포함한다.
실내환경 연출단계(S313,S315)는, 상기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의 판단결과에 따라 구분 실행되는 단계로서, 포지티브인 경우 현재 설정된 연출값으로 외부 기기를 제어하여 조명등의 컬러나 조도, 아로마 테라피를 위한 아로마의 종류 및 발생량, 음이온 발생량 등의 연출조건이 이전의 설정값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S313)와, 네가티브인 경우 메모리부의 연출테이블로부터 연출번호를 업-카운트 하거나 또는 다운-카운트하여 새로운 연출값을 선택함으로써 조명등의 컬러나 조도, 아로마 테라피를 위한 아로마의 종류 및 발생량, 음이온 발생량 등의 연출조건이 이전과 달라지도록 지정된 시간동안 제어하는 단계(S315)를 포함한다.
도 4는 스케쥴 예약모드에서의 동작 흐름도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유/무선 키입력에 의해 스케쥴 예약모드로 사용자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동작은 스케쥴 예약에 의한 연출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실행되는 단계로서, 스케쥴 예약을 위한 연출값(예를 들면, 예약시간정보, 구동기기정보, 예정된 구동시간정보 등의 예약연출에 관련된 정보들)을 사용자 키입력에 의해 직접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S327)와, 타이머를 구동하여 예약시간이 도달하는지를 카운트하는 단계(S329,S331)와, 예약 시간에 도달되면 지정된 구동예정시간동안 상기 스케쥴 예약에 의해 설정된 연출값으로 실내환경이 연출되도록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단계(S335), 예정된 구동시간이 경과되면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S337,S339)로 이루어지는 스케쥴 예약에 의한 자동 연출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동작에서는 상기 자동조절모드가 실행되는 도중에, 또는 스케쥴예약모드가 실행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한 유/무선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S319,S325,S333)하여, 사용자에 의해 연출값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연출값으로 실내환경이 연출되도록 외부기기 제어신호를 조절하는 단계(S321)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의 주제어부(160)는 키입력부(130) 또는 원격 제어기(20)에 의한 유/무선 키입력을 판단(S301, S323, S319, S325, S333)하여,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내환경 연출동작을 자동조절모드(도 3 참조), 스케쥴예약모드(도 4 참조), 수동모드로 각각 구분하여 동작 분기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핵심인 자동조절모드에서는 도 3의 동작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신호 측정기(10)에 무선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구동(S303)시킨다. 이후 생체신호 측정기(10)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는 심전도, 맥파, 혈중산소포화농도, 피부 전도도 등의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감성 판단서버(200)로 전송(S305)한다. 상기 감성 판단서버(200)에서는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각각의 측정값들이 미리 설정된 각각의 기준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판단 결과 생체 신호 측정값이 그 각각의 기준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좋거나 보통의 상태인 포지티브(+)로, 생체 신호 측정값이 그 각각의 기준치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경우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긴장되거나 스트레스 상태인 네가티브(-)로 설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에서는 감성 판단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상태값을 수신하여 판독함과 아울러 표시부(140)에 표시(S307)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기(10)로 전송함으로써 그 생체신호 측정기(10)의 표시부에도 표시(S309)되도록 한다. 아울러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100)에서는 그 상태값의 부호를 판단(S311)하여 그 판단 결과, 네가티브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150)의 연출 테이블로부터 현재 설정되어 있는 연출값의 다음값, 즉 현재 설정되어 있는 연출번호가 1인 경우 업-카운트를 통해 연출번호 2를 선택하거나, 또는 다운-카운트를 통해 연출번호 12를 선택하여 외부기기 제어부(180)를 통해 그에 연결된 각각의 외부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실내환경을 새로운 환경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포지티브(+)인 경우 현재 설정된 연출값으로 외부 기기를 제어하여 실내 환경을 변화시키지 않게 된다.
스케쥴 예약모드에서는 도 4의 동작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쥴 예약을 위한 연출값(이때의 입력값으로는 예약시간 정보, 구동기기 정보, 구동시간 정보 등이 될 수 있으며, 아로마 발생기의 경우는 카트리지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사용자 키입력에 의해 집적 입력받아 저장(S327)하고, 예약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이후로 타이머를 구동시켜 시간을 카운트(S329)하면서 예약시간이 도달하는지를 체크(S331)하고, 지정된 구동시간 동안 상기 스케쥴 예약에 의해 설정된 연출값으로 실내환경이 연출되도록 외부기기 제어신호를 조절(S335)하고 예약된 시간이 종료되면 외부기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모든 동작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케쥴 예약모드는 주제어부에 여러 개의 카운트 또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되는 경우 시간대별로 원하는 조명등의 컬러와 밝기, 아로마의 종류와 발생량, 음이온 발생량, 외부 광량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예약이 가능할 것이며, 아울러 이러한 외부 기기들에 대한 각각이 독립 예약도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면 오전 9시에는 아로마 발생기의 제1카트리지를 선택 구동시켜 라벤다 향을, 오후 2시에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동시켜 공기 청정기능을, 오후 5시에는 100~200룩스의 블루그린 계열의 조명등을 구동시켜 부교감신경의 자극으로 혈압, 맥박, 호흡, 각성 등의 감소시켜 심신 안정상태를 유도하는 연출 효과, 및 감성적이고 정적인 심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마음의 안도 및 휴식을 유도하는 연출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처리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스케쥴 예약모드에서 스케쥴 예약을 위한 연출값이 지정될 때 그 입력값으로서 생체신호를 이용한 자동조절모드가 함께 설정되는 경우는 예약시간이 되는 시점에 자동조절모드가 실행되도록 그 프로세스 처리경로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수동모드는 상기 자동조절모드가 실행되는 도중에, 또는 스케쥴예약모드가 실행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한 유/무선 키입력이 있는 경우(S319,S325,S333) 실시되며, 이러한 수동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연출값으로 실내환경이 연출되도록 외부기기 제어신호를 조절(S321)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생체신호 측정기 20 : 원격 제어기
30 : 아로마 발생기 40 : 조명등
50 : 음이온 발생기 60 : 커튼 구동기
70 : 기지국 71 : 휴대폰
80 : 협력의료기관 90 : 인터넷
100 :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 110 : 무선 송/수신부
120 : 무선 수신부 130 : 키입력부
140 : 표시부 150 : 메모리부
160 : 주제어부 170 : 통신 인터페이스부
180 : 외부기기 제어부 181 : 아로마 발생 제어부
182 : 조명 제어부 183 : 음이온 발생 제어부
184 : 외부 광량 제어부 200 : 감성 판단서버

Claims (12)

  1. 인체의 심전도, 산소포화도, 땀분비량, 체지방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며, 외부 기기와 무선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전송부와 생체정보에 따른 감성 및 건강 상태값의 표시를 위한 생체정보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무선 전송부를 통해 외부 기기로 생체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기기에서 송신되는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무선 수신하여 상기 생체정보 표시부로 출력하는 생체신호 측정기;
    상기 생체신호 측정기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 무선 송수신부,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기기 제어부, 및 외부 서버와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생체정보 측정결과에 의한 인체의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에 따라 연출값을 변화시키도록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외부기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를 구비하여, 실내의 조명이나 조도, 공기 청정도 및 아로마 테라피를 위한 아로마 발생 조건을 자동으로 변화시키는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를 통해 생체신호 측정기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인체의 현재 감성 및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른 감성 및 건강 상태값을 설정하여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로 전송하는 감성 판단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의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원격제어기의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가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의 동작을 유선으로 직접 제어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환경 제어 단말기는,
    연출하고자 하는 조명등의 컬러나 밝기, 아로마의 종류나 발생량, 음이온 발생여부, 외부 광량 조절을 위한 커튼 개폐동작을 각각 구분하여 제어하기 위한 기기별 제어조건을 조합하여 다수의 연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연출값을 일련의 연출번호와 대응시켜 테이블에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유/무선 키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른 연 출값으로 실내환경이 연출되도록 외부 기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유/무선 키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스케쥴 예약에 의해 기 설정된 연출값으로 지정된 시간동안 외부기기를 자동 제어하도록 외부기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유/무선 키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생체정보를 이용한 자동조절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생체정보 측정기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감성 판단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감성 판단서버에서 수신되는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기에 전송하며, 상기 감성 판단서버에서 수신되는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의 연출 테이블로부터 다수의 연출값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기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감성 판단서버에서 수신되는 감성 또는 건강 상태값이 네가티브인지 포지티브인지를 판단하여, 네가티브인 경우 상기 연출테이블로부터 새로운 연출값을 선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며, 포지티브인 경우 현재 설정된 연출값으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의 연출테이블에 적재된 연출번호를 기준으로 업카운드 또는 다운카운트하여 새로운 연출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 제어부는,
    아로마 테라피를 위한 아로마 발생기에 연결되어 그 아로마 발생량 및 발생시간을 제어하는 아로마 발생 제어부;
    색이 서로 다른 다수의 조명등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조명등들의 점/소등 및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발생기는 다수 개의 아로마 카트리지를 구비하며, 상기 아로마 발생 제어부는 상기 다수 개의 아로마 카트리지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 제어부는,
    음이온 발생기에 연결되어 그 음이온 발생을 제어하는 음이온 발생 제어부;
    커튼의 자동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커튼 구동기에 연결되어 커튼의 개폐정도 및 개폐시간을 제어하는 외부광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KR1020080031683A 2008-04-04 2008-04-04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KR20090106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683A KR20090106149A (ko) 2008-04-04 2008-04-04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683A KR20090106149A (ko) 2008-04-04 2008-04-04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149A true KR20090106149A (ko) 2009-10-08

Family

ID=4153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683A KR20090106149A (ko) 2008-04-04 2008-04-04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614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9156A1 (en) * 2014-08-22 2016-02-25 Lutron Electronics Co., Inc. Load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sensors and mobile devices
US9648703B2 (en) 2014-04-15 2017-05-09 Lg Electronics Inc.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62938B2 (en) 2012-03-08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home networ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1256824A1 (ko) * 2020-06-17 2021-12-23 (주)구일엔지니어링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KR20220131451A (ko) * 2021-03-19 2022-09-28 한국광기술원 디지털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22265214A1 (ko) * 2021-06-18 2022-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2938B2 (en) 2012-03-08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home networ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648703B2 (en) 2014-04-15 2017-05-09 Lg Electronics Inc.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29156A1 (en) * 2014-08-22 2016-02-25 Lutron Electronics Co., Inc. Load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sensors and mobile devices
US11960264B2 (en) 2014-08-22 2024-04-16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Load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sensors and mobile devices
WO2021256824A1 (ko) * 2020-06-17 2021-12-23 (주)구일엔지니어링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KR20210156020A (ko) * 2020-06-17 2021-12-24 (주)구일엔지니어링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KR20220131451A (ko) * 2021-03-19 2022-09-28 한국광기술원 디지털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22265214A1 (ko) * 2021-06-18 2022-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92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data acquired from an implantable therapy device using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US20210268226A1 (en) Stress reduction and sleep promotion system
KR20090106149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시스템
US10589056B2 (en) Sleep inducing device and sleep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ame
CN104121515B (zh) 调节睡眠的灯具及方法
CN204909915U (zh) 一种智能空调按摩床垫
US20150128353A1 (en) Sleep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EP2422833B1 (en) Wake-u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lluminating device used for same
Goto et al. Differential responses of individuals with late-stage dementia to two novel environments: A multimedia room and an interior garden
US20160015315A1 (en) System and method to monitor and assist individual&#39;s sleep
JP5081754B2 (ja) 健康・リラクゼーション装置、健康・リラクゼーションシステム、並びに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端末及び電気機器
JP2003339674A (ja) 睡眠段階推定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装置
CN101989086A (zh) 一种基于互联网的音乐色光环境控制中心
JP2007044201A (ja) 睡眠環境調整システム及び睡眠環境調整方法
US20170348177A1 (en) Treatment system including massage machine
MXPA06005751A (es) Sistema para guiar el sueno y metodos relacionados.
WO2019175289A1 (en)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device and method of treatment
US201402772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 modulation of autonomic tone or function
AU2018332812B2 (en) Stress reduction and sleep promotion system
KR102169133B1 (ko) 수면 유도 장치
JP2009266484A (ja) 照明装置
KR20090106154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실내환경 자동 연출방법
CN201887798U (zh) 一种基于互联网的音乐彩光环境控制中心
KR20120043848A (ko) 유비쿼터스 스마트 실내환경 제어방법
JP5201617B2 (ja) 可視光照明用遠隔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