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659A -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 및 이를 제작하는방법과,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 및 이를 제작하는방법과,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5659A KR20090105659A KR1020080031244A KR20080031244A KR20090105659A KR 20090105659 A KR20090105659 A KR 20090105659A KR 1020080031244 A KR1020080031244 A KR 1020080031244A KR 20080031244 A KR20080031244 A KR 20080031244A KR 20090105659 A KR20090105659 A KR 200901056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e
- decorative plate
- porcelain
- waterproof
- til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464 silicone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391944 Commicarpus scand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3 feldsp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54 powder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타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과,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타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기질 또는 자기질 타일과, 이 타일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층과, 이 접착제층의 상면에 고착되어 타일의 열전도율을 하락시키면서 타일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화장판이 적층되어 방수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일반 도자기 타일보다 열전도율이 감소되면서 급격한 온도 변화 및 외압에 의한 취성 한도가 상승되고, 시공된 공간에서의 온도 변화 속도가 감소되어 도자기 타일과 신체의 접촉시 온도 차이를 통해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이 저하되면서 시공된 공간의 난방 효율이 상승된다.
화장판, 도자기 타일, 시공, 열전도율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자기 타일에 관한 것으로, 타일의 상면에 부착되어 타일의 강도가 향상되면서 타일의 열전도율이 하락 조정됨은 물론 방수능력이 더욱 향상된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축조한 후 그 건축 구조물의 내벽, 외벽 및 바닥 등에는 마감재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건축 내ㆍ외장재용 타일이 부착된다.
이러한 건축 내ㆍ외장재용 타일은 내구성과 내수성 및 내마모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특히 수분이 존재하는 목욕탕, 화장실, 아파트의 발코니, 수영장 등의 내ㆍ외벽과 천장 및 바닥면에 내수성이 강한 도자기 타일이나 대리석 타일, 석재 타일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자기 타일은 점토에 규석, 장석, 도석 등의 분말 재료를 혼 합하여 물로 반죽하고, 이를 얇은 판체로 성형하여 구워서 제조한 것으로, 도기질 타일과, 자기질 타일로 크게 분류된다.
상기 도기질 타일은 방수성이 좋고 큰 외압이 제공되지 않는 벽에 주로 시공되고, 자기질 타일은 방수성이 좋으면서 고온에서 높은 밀도로 단단하게 구워져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어 보통 바닥에 시공된다.
그러나, 상기 도기질 및 자기질의 도자기 타일은 자체 열전도율이 높아 시공된 공간, 바닥, 벽 등의 온도가 전이되어 도자기 타일의 온도가 뜨겁게 되거나 차갑게 되므로, 목욕탕이나 수영장 등을 이용할 때 신체의 일부가 타일에 접촉되면 상호 간의 온도 차에 따라 이용자가 불쾌함을 느끼게 되었고, 또한 일정 공간을 난방하는 경우 도자기 타일에 의해 열이 빼앗기게 되어 그 난방 효율을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특히 바닥의 경우 도자기 타일에 체중 등의 높은 순간 외력이 자주 가해지게 되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도자기 타일의 상면에 강도를 강화시키면서 열전도율을 저하시키는 화장판이 부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도자기 타일의 강도 및 경도가 강화되어 취성의 한도가 상승되고, 도자기 타일을 통한 열전도율이 감소되어 신체와 도자기 타일의 접촉시 발생되는 불쾌감이 감소되면서 시공 공간 내의 난방 효율이 상승하도록 된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과,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을 소정의 공간에 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방수성 타일은, 도기질 또는 자기질의 도자기 타일; 이 타일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층; 이 접착제층의 상면에 고착되어 타일의 열전도율을 하락시키면서 타일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화장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장판은 고압 또는 저압 멜라민 화장판 중 하나가 선택되어 이용되거나, 금속 박판 위에 멜라민층이 형성되고, 이 멜라민층 위에 UV코팅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화장판의 최외층에는 목재 무늬의 필름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은 200℃ ∼ 500 ℃의 내열성 실리콘 접착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작된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의 제작 방법은, 일정 면적에 배치된 타일들 위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S1); 이 접착제 상면에 화장판이 고착되는 단계(S2); 이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을 단품으로 절단하는 단계(S3);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절삭 단계(S3) 이후 화장판의 날카로운 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도록 다듬는 단계(S4)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을 이용한 시공 방법은, 방수형 시멘트가 타설되는 단계(P1); 이 시멘트 위에 화장판이 고착된 타일들이 고착되는 단계(P2); 타일들 사이에 메지가 충전되는 단계(P3); 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화장판의 최외층에는 미관을 느낄 수 있도록, 목재 무늬 이외에 다양한 무늬가 직접 새겨지거나 무늬가 새겨진 필름이 부착 또는 증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도자기 타일은 자체 방수특성이 있어, 일반적으로 물기나 수분이 많은 화장실에 주로 사용되고 있고, 이 도자기 타일에 화장판이 고착되어 방수특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열전도율 하락 조정 및 외압에 의한 취성 한도의 상승을 꾀할 수 있다.
상기 도자기 타일 중 도기질은 대략 1% ∼ 20%의 흡수율을 가지고, 자기질은 대략 0.5%의 흡수율을 가지며, 이 때문에 보통 바닥이나 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샤워시설이 구비된 화장실에서 샤워하거나 샤워한 이후의 물기 및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도자기 타일의 외표면, 즉 상면을 통해 도자기 타일에 흡수된다.
이러한 도자기 타일의 상면을 통한 수분을 완전 배제하기 위해 화장판이 고착된다.
상기 화장판은 상기된 제작 방법에 따라 신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음은 물론, 생산되어 판매되는 도자기 타일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자기질 도자기 타일의 경우 표면에 시행되는 유기질 성분의 마감재가 덧칠되거나 부착하지 않고 직접 화장판이 고착될 수 있다.
이때, 기존 성형 제품의 도자기 타일일 경우 낱개의 단품에 하나씩 화장판이 부착될 수도 있고, 일정 공간에 다수의 도자기 타일이 배열되도록 한 후 화장판이 부착되어 각각의 단품으로 절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화장판은 대략 두께가 1mm 정도의 나무로 얻을 수 있는 열전도율 하락비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판을 도자기 타일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는 샤워시설이 구비된 화장실에서 고온의 온수에 견디면서 방수 기능을 갖는 내열성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가 이용됨이 바람직하고, 재질과는 무관하게 내열성이 함유된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판이 부착된 도자기 타일은 일반 도자기 타일보다 열전도율이 감소되어 수온 또는 기온에 의한 자체 온도 변화 속도가 저하되고, 급격한 온도 변화 및 외압에 의한 취성 한도가 상승되며, 도자기 타일의 외표면 즉, 화장판이 부착된 상면을 통한 물기 또는 수분의 흡수가 완전 배제된다.
또한,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로 시공되면, 시공된 공간, 특히 샤워시설이 구비된 화장실에서의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의 온도 변화 속도가 감소되어 도자기 타일과 신체의 접촉시 온도 차이를 통해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이 저하되고, 내충격성 및 내압(耐壓)성, 내구성이 상승되어 파손율이 저하되며, 시공된 공간의 난방 효율이 상승된다.
또한, 상기 자기질 도자기 타일에 화장판이 부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자기질 도자기 타일의 표면에 시행되는 유기질 성분의 마감재가 덧칠되거나 부착하는 등의 공정이 생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일의 일부위에 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화장판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100)은, 도자기 타일(110)과, 이 타일(110)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층(120)과, 이 접착제층(120)에 고착되는 화장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자기 타일(110)은 크게 도기질과 자기질로 구분되고, 도기질의 타일은 방수성이 좋고 큰 외압이 제공되지 않는 벽에 주로 시공되고, 자기질의 타일은 방수성이 좋으면서 고온에서 높은 밀도로 단단하게 구워져 높은 경도를 가지고 있어 보통 바닥에 시공된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120)은 일반적으로 도자기 타일(110)이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목욕탕 내의 고온의 내부 온도 및 고온의 온수 등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가 이용됨이 바람직하고, 재질과는 무관하게 내열성을 갖는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내열성 접착제는 대략 200℃ 이상이면서 500℃ 이하의 고온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 화장판(130)은 타일(110)의 강도 및 경도를 상승시켜 취성의 한도가 상승되도록 하면서 도자기 타일(110)을 통한 열전도율을 하락시키기 위해 도자기 타일(110)의 상면에 고착된다.
상기 도자기 타일 중 도기질은 대략 1% ∼ 20%의 흡수율을 가지고, 자기질은 대략 0.5%의 흡수율을 가지며, 이 때문에 보통 바닥이나 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샤워시설이 구비된 화장실에서 샤워하거나 샤워한 이후의 물기 및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도자기 타일의 외표면, 즉 상면을 통해 도자기 타일에 흡수된다.
이렇듯, 상기 도자기 타일(110)는 바닥 또는 벽에 고착된 상태에서 외표면 즉, 상면을 통해 화장실의 물기 및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흡수되므로, 상기 도자기 타일(110)의 외표면, 즉 상면에 고착된 화장판(130)이 물기 및 수분의 흡수를 차단 하게 되어 상기 외부 물기 및 공기에 함유된 수분에 대한 도자기 타일(110)의 흡수가 완전하게 배제된다.
상기 화장판(130)은 시공 공간과 도자기 타일(110) 사이에 위치되어 화장실 내부의 공기에서 도자기 타일(110)로 전달되는 열전도율을 저하시켜 상기 도자기 타일(110)의 온도가 변화하는 속도를 늦추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판(130)은 도자기 타일(110)이 고착된 벽 또는 바닥에서 도자기 타일(110)로 전달되어 이루어진 도자기 타일(110)의 온도가 외부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화장판(130)은 외부 온도에 의한 도자기 타일(110)의 온도 변화 속도를 늦추거나, 도자기 타일(110)의 온도가 외부에 전달되는 속도를 늦추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도자기 타일(110)이 아닌 화장판(130)과 접촉되므로 외부에서 타일(110)에 신체가 접촉되어도 신체와 타일(110) 간의 온도 차에 의한 불쾌감이 감소된다.
상기 화장판(130)은 고압 및 저압 멜라민 화장판 등과 같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것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고,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금속 재질의 박판(132) 위에 소정 두께의 멜라민층(134)이 형성되고, 이 멜라민층(134) 위에 UV코팅(136)으로 이루어진 것이 이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타일(100)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면적에 배치된 도자기 타일(110)들 위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S1); 이 접착 제 상면에 화장판(130)이 고착되는 단계(S2); 이 화장판(130)이 부착된 타일(100)을 단품으로 절단하는 단계(S3);로 제작된다.
상기 화장판(130)은 하나의 도자기 타일(110) 위에 각각 고착될 수도 있고, 다수의 도자기 타일(110)이 일정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커다란 한 장의 화장판(130)이 접착제에 의해 고착된 다음 각 도자기 타일(110)의 크기로 절단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화장판(130)이 하나의 도자기 타일(110)에 고착되는 경우는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도자기 타일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고, 다수의 도자기 타일(110)에 화장판(130)이 고착된 다음 단품으로 절단되는 경우는 대량으로 새로 제작되는 타일(100)일 경우에 적용하게 된다.
물론, 기존의 도자기 타일 역시 일정 배열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킨 다음 화장판(130)이 고착된 후 단품으로 절단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100)을 제작하는 방법에는, 도자기 타일(110)의 크기대로 절단된 화장판(130)의 모서리를 다듬는 단계(S4)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 단계(S4)는 상기 도자기 타일(110)에 고착된 화장판(130)이 도자기 타일(110)의 크기에 따라 절단되면 화장판(130)의 모서리가 날카롭기 때문에 이들 모서리를 도자기 타일(110)의 모서리와 일치하도록 모서리를 다듬어 모서리가 쉽게 깨지거나 모서리에 의해 외상(外傷)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한편, 상기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100)을 이용한 시공 방법은,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방수성 시멘트가 타설되는 단계(P1); 이 시멘트 위에 제1항 내지 제4항으로 제작된 타일들이 고착되는 단계(P2); 타일들 사이에 메지가 충전되는 단계(P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소정의 시공 공간에 방수성 시멘트가 타설된 다음 소정 시간 동안 양생되고, 양생된 시멘트의 상면에 화장판이 부착된 다수의 타일(10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착되며, 이후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100)들 사이의 공간에 메지가 충전되어 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일의 일부위에 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화장판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타일을 제조하는 공정이 도시된 공정도이며,
도 5는 도 1의 타일을 이용한 시공 공정이 도시된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참조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타일 110...도자기 타일,
120...접착제층 130...화장판,
132...금속 박판 134...멜라민층,
136...UV코팅막 S...Step,
P...Phase.
Claims (7)
- 도기질 또는 자기질의 도자기 타일;이 타일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층;이 접착제층의 상면에 고착되어 타일의 열전도율을 하락시키면서 타일의 강도 및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화장판;으로 구성된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화장판은 금속 박판 위에 멜라민층이 형성되고, 이 멜라민층 위에 UV코팅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화장판의 최외층에는 문양 또는 무늬를 갖는 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접착제층은 200℃ ∼ 500 ℃의 내열성 실리콘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
- 일정 면적에 배치된 타일들 위에 제1항 또는 제5항의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S1);이 접착제 상면에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판이 고착되는 단계(S2);이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을 단품으로 절삭하는 단계(S3);로 제작된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절삭 단계(S3) 이후 화장판의 날카로운 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도록 다듬는 단계(S4)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 방수성 시멘트가 타설되는 단계(P1);이 시멘트 위에 제1항 내지 제4항으로 제작된 타일들이 고착되는 단계(P2);타일들 사이에 메지가 충전되는 단계(P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1244A KR20090105659A (ko) | 2008-04-03 | 2008-04-03 |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 및 이를 제작하는방법과,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의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1244A KR20090105659A (ko) | 2008-04-03 | 2008-04-03 |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 및 이를 제작하는방법과,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의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5659A true KR20090105659A (ko) | 2009-10-07 |
Family
ID=4153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1244A Withdrawn KR20090105659A (ko) | 2008-04-03 | 2008-04-03 |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 및 이를 제작하는방법과,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의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0565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15498A1 (es) * | 2011-02-22 | 2012-08-30 | Arroyo Bernal Jesus Federico | Loseta que incluye medios de sujeción y su proceso de elaboración |
-
2008
- 2008-04-03 KR KR1020080031244A patent/KR20090105659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15498A1 (es) * | 2011-02-22 | 2012-08-30 | Arroyo Bernal Jesus Federico | Loseta que incluye medios de sujeción y su proceso de elaboració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878896A (zh) | 一种防火真空保温装饰复合板及其制备方法 | |
CN202248678U (zh) | 一种软磁性陶瓷砖 | |
CN202380527U (zh) | 浴室排水结构 | |
US12201249B2 (en) | Inclined ceramic shower tile | |
KR20090105659A (ko) | 화장판이 부착된 방수성 도자기 타일 및 이를 제작하는방법과, 화장판이 부착된 타일의 시공 방법 | |
KR100834507B1 (ko) | 건축용 테라코타 입체 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입체타일 | |
KR101392358B1 (ko) | 한옥용 벽체 및 한옥 벽체의 시공 방법 | |
ITTV20110055A1 (it) |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pannelli decorativi e di rivestimento protettivo e pannello ottenuto mediante tale procedimento. | |
CN206903131U (zh) | 一种抗菌且不易变形的陶砖地板 | |
CN208137265U (zh) | 一种带有保温功能的整体卫浴墙板 | |
JP2005076419A (ja) | 温感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CN214116836U (zh) | 一种淋浴房浴缸节点结构 | |
CN201495709U (zh) | 一种表面涂装仿面砖无机质感砂浆的复合板 | |
CN214615215U (zh) | 一种室内地板精装结构 | |
CN203307990U (zh) | 建筑物节能保温隔热装饰一体化复合墙板 | |
KR100851365B1 (ko) | 바닥용 유리타일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22580B1 (ko) | 타일지지프레임이 결합된 황토석 타일 구조물 | |
KR200300604Y1 (ko) | 장식면이 형성된 장식타일 | |
ITMO20090236A1 (it) | Manufatto per rivestire superfici | |
CN211873663U (zh) | 一种荔枝面石材效果陶土板 | |
CN202073255U (zh) | 建筑物外墙装饰保温复合板 | |
KR100733632B1 (ko) | 황토석 타일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
JP3365228B2 (ja) | 発泡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 | |
KR200311267Y1 (ko) | 건물 외벽 치장용 샌드위치 판넬 | |
KR200226501Y1 (ko) | 건축용 타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