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335A -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길항 미생물 제제 - Google Patents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길항 미생물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335A
KR20090104335A KR1020080029720A KR20080029720A KR20090104335A KR 20090104335 A KR20090104335 A KR 20090104335A KR 1020080029720 A KR1020080029720 A KR 1020080029720A KR 20080029720 A KR20080029720 A KR 20080029720A KR 20090104335 A KR20090104335 A KR 20090104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products
growth
fungal diseases
antagonistic
prom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신택수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8002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4335A/ko
Publication of KR2009010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3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Bacillus polymyxa ; Paenibacillus polymyx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85Trichoderm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곰팡이병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길항 미생물과 식물 생육촉진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혼합하여 곰팡이병 방제뿐만 아니라 식물 생육촉진 효과를 증진 및 지속시킬 수 있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이다.
길항 미생물, 천연물, 생육촉진, 곰팡이병 방제

Description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Microbial pesticide with natural product to promote the growth of plant and to protect against fungal diseases}
본 발명은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곰팡이병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길항 미생물과 식물 생육촉진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혼합하여 곰팡이병 방제뿐만 아니라 식물 생육촉진 효과를 증진 및 지속시킬 수 있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화학농약의 과오용으로 인한 인축독성, 환경오염, 저항성병원균의 발현 등 주변 생태계에 악영향 문제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기존의 식량 생산 및 원예, 관상 작물 재배를 위해 필수 불가결하게 사용되어왔던 유기합성 농약 및 비료의 사용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기 합성 화학 제품의 대안으로 환경친화적으로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생 물적 방제제가 부각되고, 개발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생물학적 방제제는 미생물을 이용한 길항 미생물 제제와 식물 추출물 혹은 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물질을 이용한 천연물제제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길항 미생물제제의 경우 1920년 대에 이미 방선균을 이용한 감자 더뎅이병의 방제가 시도되었으며 1960년 이후부터 농약의 형태로 실용화되기 시작하였고, 일본에서는 1960년대 트리코더마속(Trichoderma spp.)을 이용한 담배 허리마름병을 방제하는 생균제제를 기초로 많은 제품이 개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트리코더마속(Trichoderma spp.), 바실러스속(Bacillus spp.), 패니바실러스속(Paenibacillus spp.),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 spp.) 등을 포함하여 수많은 균주가 미생물비료 및 농약 등으로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천연물 제제는 역사적으로 중국,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식물 또는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것을 시작으로 제충국 추출물, 님(neem) 추출물, 니코틴(nicotine), 로테논(rotenone) 등 상업적으로 성공적인 제품이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환경친화적인 생물학적 방제는 화학 제품에 비해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어 수요의 한계가 존재한다. 길항 미생물 제제는 주변 환경과 제품 배양 상태 등에 따라 효력이 일관되게 유지되지 못하는 재현성의 부족이 종종 나타나고, 미생물이 적용 대상 작물 혹은 주변 생태계에 정착하거나 표적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 효력이 늦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천연물은 외부 환경, 특히 자외선, 열 등에 의해 사용 전후에 분해되거나 효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기에 어려운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89919호; Grainge, Ahmed, Handbook of plants with pest control properties, John Wiley & Sons, Newyork).
본 발명의 목적은 길항 미생물과 식물 생육을 촉진하는 천연물을 혼합하여 작물과 병원균에 작용하는 메커니즘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시너지 효과를 얻게 함으로써, 병 방제효력을 오래 지속시키고, 안정적인 생육촉진을 얻을 수 있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의 곰팡이병 방제용 길항 미생물; 및
식물 생육촉진 천연물을 포함하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를 식물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 작물에 대하여 병 방제 효과와 생육 촉진 효과가 있는 길항 미생물과 천연물을 혼합하여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를 제조함으로써, 천연물의 빠른 효력과 길항 미생물의 높은 효과 지속성 등 각 소재의 장점이 합쳐져 시너지(synergy)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기존의 친환경 방제 자재인 길항 미생물과 천연물의 단점을 극복하고 높은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곰팡이병 방제용 길항 미생물; 및
식물 생육촉진 천연물을 포함하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길항 미생물이 방제할 수 있는 식물의 곰팡이병은 잘록병, 입고병, 시들음병, 브라운 패취, 라지패취, 또는 뿌리썩음병 등이 있다.
특히, 잔디의 브라운패취는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에 의해 발생하는 토양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 잔디병으로 여름철 한지형 잔디에서 습한 기후와 배수 불량지인 토양에서 주로 발생한다. 오이잘록병은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또는 피티움 울티뭄(Pythium ultimum)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지표면 가까이에 있는 줄기에 발생하며, 어린 모의 줄기가 약화되고 잘록한 부분이 생기며 말라 죽는다. 식물이 발아 후 떡잎이 생긴 때부터 발생하며, 오이의 재배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는 병 중 하나이다.
상기 길항 미생물은 바실러스속(Bacillus), 패니바실러스속(Paenibacillus), 트리코더마속(Trichoderma) 미생물, 또는 이들의 배양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속(Bacillus) 미생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패니바실러스속(Paenibacillus) 미생물은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ixa), 트리코더마속(Trichoderma) 미생물은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인 것이 좋다.
특히, 트리코더마속(Trichoderma) 미생물은 각종 뿌리썩음병, 잘록병, 시들음병 등에 효과적인 길항 미생물로 토양 내 병원균과 경쟁하여 병원균의 밀도를 억제시키고, 뿌리로 균사가 침입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며, 작용기작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뿌리의 발육을 촉진함으로써 식물의 양분 흡수를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작용은 일반적으로 작물의 생장 및 병 억제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으며, 병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건강한 토양에 일반적으로 트리코더마균이 높은 것은 이를 간접적으로 증명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트리코더마균은 토양 내 정착과 유도 면역 반응 등 기작에 소요 기간이 존재하며 재배 기간이 짧은 작물의 경우 높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길항 미생물 제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길항 미생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팽창 질석 10 내 지 13 중량부, 미강 10 내지 13 중량부, 흑설탕 0.1 내지 0.2 중량부 및 물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산배지에서 배양한 고체 배양물과 분상 제올라이트를 혼합하되, 1∼5×108cfu/g으로 균수를 조정하고, 상기 혼합물을 분쇄하여 엽면 살포 혹은 관주 형태로 처리할 수 있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길항 미생물 제제는 길항 미생물의 식물의 곰팡이병 방제뿐만 아니라 식물 생육촉진 효과를 증진하고 지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식물 생육촉진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물 생육촉진 천연물로는 키토산, 해조추출물, 풀빅산 또는 부식산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해조추출물(Seaweed extract)은 각종 유기물과 옥신, 지베렐린, 사이토키닌 등의 식물의 생육 촉진 및 양분 흡수의 증대 효과를 가진 물질을 다량함유하고 있다.
상기 해조추출물로는 볼복스목(Volvocales), 파라목(Ulvales), 청각목(Caulerpales) 등의 녹조류, 미역, 다시마류가 포함되는 모자반목(Fucales), 엑토카르푸스목(Ectocarpales), 다시마목(Laminariales) 등의 갈조류, 보라털목(Bangiales), 우뭇가사리목(Gelidiales), 카쿠레이트목(Cryptonemiales) 등의 홍조류 등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스코파일럼 노더섬(Ascophyllum nodusum)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좋다.
상기 해조류는 뿌리뿐만 아니라 지상부, 과육 등 식물체 전체에 높은 생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단, 생장 촉진 효과가 있는 호르몬들은 식물체에 흡수되지 않은 양의 대부분이 자연생태에서는 소멸될 가능성이 높은 불안정한 구조로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길항 미생물과 해조추출물을 혼합하여 상기의 단점을 개선한다.
상기 해조추출물의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아스코파일럼 노더섬(Ascophyllum nodusum)의 지상부, 뿌리 및 과육을 물,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 또는 그것의 혼합용매로 90 내지 100℃에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거나, 상기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 추출물에 대해 각종 유기용매, 예컨대,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로 추가 분획할 수도 있으며, 유기용매 분획 후 각종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 정제될 수도 있다.
상기 해조추출물에는 추출, 분획 및 정제 처리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 희석액 또는 농축액 또는 그 건조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키토산, 풀빅산 또는 부식산은 통상적으로 제품화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길항 미생물 제제는 길항 미생물과 식물 생육촉진 천연물을 중량 기준으로 1∼6:1로 혼합하되, 길항 미생물의 균수는 1∼5×108cfu/g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로 혼합하여야 식물 병 방제뿐만 아니라 생육촉진 효과가 단독 처리 때보다 시너지 효과가 있고,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를 식물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방법을 통해 방제할 수 있는 식물의 곰팡이병은 잿빛곰팡이병, 잘록병, 입고병, 시들음병, 브라운 패취, 라지패취, 또는 뿌리썩음병 등이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 1> 천연물과 미생물제의 상호 영향 검정
길항 미생물로 그린바이오텍에서 보유하고 있는 길항 미생물 중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GB-0365 KFCC 11071, 바실러스 서브틸리 스(Bacillus subtilis) EW42-1 KCCM 10565,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ixa) AC-1,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의 4종을 이용하였고, 천연물은 일반적으로 생육 촉진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것들 중 길항 미생물과의 혼용으로 높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키토산, 해조추출물, 풀빅산, 부식산 등 4종을 이용하였다.
길항 미생물의 경우 세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GB-0365 KFCC 11071,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EW42-1 KCCM 10565 및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ixa) AC-1은 액상 배양액 형태이고, 배양여액 혹은 물을 이용하여 1×109 cfu/ml 수준으로 균수를 보정하였다.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는 팽창 질석 12kg, 미강 12kg, 흑설탕 130g, 물 10L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산배지로 배양한 고체 배양물을 분상 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1×108 cfu/g으로 보정하고, 분쇄를 통하여 관주 형태로 처리할 수 있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해조추출물은 아스코파일럼 노더섬(Ascophyllum nodusum)의 지상부, 뿌리 및 과육 1.2kg을 100℃에서 5분간 블랜칭(blanching)하여 열수 추출의 경우 시료의 5배 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환류 추출하였고,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해조 열수추출물을 얻었다.
키토산은 (주)샘표식품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고, 풀빅산, 부식산은 GS코리아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농약 및 비료 등록 기준상 길항 미생물을 기준으로 제품을 보증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경시 안정성의 검정을 길항 미생물의 밀도를 측정함으로써 판단하였다. 길항 미생물과 천연물을 무게 기준으로 1:1로 희석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경과 시점에서 1차 측정하였고, 40℃ 가혹 조건하에서 8주 경과 시점에 2차 측정함으로써 길항 미생물과 천연물의 혼합 가능 여부를 검정하였다.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23241408-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ixa) 및 분상 수화제 형태인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 모두 분상 제제인 해조추출물과 풀빅산, 부식산에서 대체로 높은 길항 미생물 밀도를 유지하였다.
이하, 실험에서는 길항 미생물로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를 선정하여 천연물 중 해조추출물, 풀빅산, 부식산을 혼합 제제 개발의 소재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온실에서의 소규모 실험을 통한 작물의 생육과 병 방제에 미치는 영향 조사
오이와 잔디를 대상으로 생육 촉진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온실 내에서 소규모 폿트(pot)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각 소재의 최적 희석 배수를 구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고, 해초추출물의 경우 500∼1000배, 풀빅산 2,000∼3,000배, 부식산 2,000∼3,000배,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 500∼1,000배로 물에 희석하여 처리하였을 때, 식물 생육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단독 처리와 혼합 처리에 따른 기대 효과를 확인하였다. 각 실험구는 완전임의배치법으로 12 반복하였고, 파종과 최아 시점에 각각 시료를 1L/m2처리하여 최적 처리 시점을 정하였다. 생육촉진 효과의 검정은 본엽 3-4엽기에 초장, 엽수, 근중, 지상부 생체중을 검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혼합 처리의 경우 희석 비율을 감안하여 혼합하여 최종 처리 농도는 다른 처리구와 같게 하였다. 희석 비율이 500배인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spec. 1×108cfu/g)과 1,000배인 해조추출물을,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 : 해조추출물 = 2:1 로 혼합하고 500배로 희석하여 처리하여 단독처리에 비해 과량의 소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다.
Figure 112008023241408-PAT000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처리구 대비 생육 촉진 효과는 파종 시보다는 최아 시에 처리할 때 더욱 높은 생육 촉진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해조추출물, 풀빅산 또는 부식산과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 의 혼합처리는 식물체 전체에 걸쳐 높은 생육촉진 효과를 보이며.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이용하여 길항 미생물과 천연물로,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 및 해조추출물을 선정하여 브라운패취 방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20×20(cm2) 폿트에 잔디를 이식하여 완전히 정착하도록 한 후, 브라운패취 병원균을 토양 처리하여 발병을 유도하였다. 처리 방법은 브라운패취 병원균 접종 후 1주일간격으로 3회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 (spec. 1×108cfu/g) 500배 희석액과 해조추출물 1,000배 희석액,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 과 해초추출물 혼합액(2:1) 500배 희석액을 처리하였고, 최종 처리 일주일 후, 발병 면적율(%)을 기준으로 무처리 대비 방제가를 구하여 검정하였다.
Figure 112008023241408-PAT00003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 의 브라운패취 방제가는 69%로 충분한 방제 효과를 가지며, 해조추출믈과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 의 혼합 제제는 방제가가 97% 정도로 브라운패취 방제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조추출물의 처리를 통해 옆의 색이 타 처리구에 비해 진해지고, 광택을 뛰어난 것으로 보아 광합성량의 증대와 생육촉진 효과를 통해 잔디 자체가 건실해진 것에 그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3> 외부 포장 실험을 통한 천연물과 미생물의 배합비 결정
해조추출물과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 의 혼합처리를 통한 오이의 잘록병 및 잔디의 브라운패취 방제 실험과 생육촉진을 검정하기 위해 경기도 계양의 오이 재배 농가 온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엽의 발생시기에 폿트에서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 과 해조추출물 혼합액을 500배 희석하여 주당 3일 간격으로 100ml씩 관주 처리한 것과 무처리 대조구를 2엽기에 주당 50 cm 간격으로 본토에 정식한 후, 접종원 피시움 아파니더마툼(Pythium aphanidermatum) KACC40156)을 300배 희석하여 주당 10ml씩 관주 접종하였다. 접종원은 V-8배지에서 일주일간 배양한 균총을 긁어 모아서 분쇄기에 갈아 물로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20일 후 묘의 발병도를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난괴법으로 3반복하였고, 한 실험구당 50주로 정하였다.
Figure 112008023241408-PAT00004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과 해조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1:1 내지 2:1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에서는 비교적 높은 잘록병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지상부의 생육 촉진 효과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을 정도였다.
해조추출물과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의 혼합 처리를 통해 브라운패취 방제 효과와 생육 촉진 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실험은 2007년 9월 경기도 파주 서서울 C.C 퍼팅 연습 그린내의 그린용 잔디인 크리핑벤트그라스에서 실시되었다. 본 실험지는 브라운패취의 상습 발병지로 발병 예상 시점에 약제 처리를 시작하여 일주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였고, 최종 처리 7일 후 브라운패취의 발병 면적율(%)을 기준으로 방제가를 구하여 브라운패취 방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또한, 길항 미생물 처리 기간 동안 2-3일 간격으로 예지 작업을 통해 발생한 잔디 예지물의 생체량을 측정하여 생육 촉진 효과를 검정하였다. 처리구는 한 실험구당 3회 반복하였고, 면적은 2×2(m2)로 하였다. 희석 배수는 각 혼합제제를 500배 희석하여 관주 처리하였다.
Figure 112008023241408-PAT00005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과 해조추출물 2:1 혼합 비율이 가장 높은 브라운패취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2:1 내지 4:1의 비율은 방제가를 기준으로 발병 억제력 면에서 충분한 효과가 입증된다고 볼 수 있다. 잔디 지상부의 생육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잔디의 예지물의 생체량은 1:1 내지 2:1이 높게 나타나며, 약 13.2 내지 19.2 %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광합성량 증대와 양분의 흡수 능력이 향상됨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작물 간에 차이는 있겠지만,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와 해조추출물은 1:1 내지 4:1의 비율로 혼합 처리할 때 가장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경시 안정성의 문제가 없으므로 해조추출물과 트리코더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CCM10262의 혼합 제제를 제조함으로써 편리성과 더욱 높은 병 방제 효과 및 생육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식물의 곰팡이병 방제용 길항 미생물; 및
    식물 생육촉진 천연물을 포함하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식물의 곰팡이병이 잘록병, 입고병, 시들음병, 브라운 패취, 라지패취 및 뿌리썩음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길항 미생물이 바실러스속(Bacillus), 패니바실러스속(Paenibacillus), 트리코더마속(Trichoderma) 미생물 및 이들의 배양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길항 미생물은 팽창 질석 10 내지 13 중량부, 미강 10 내지 13 중량부, 흑설탕 0.1 내지 0.2 중량부 및 물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산배지에서 배양한 고체 배 양물과 분상 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1∼5×108cfu/g으로 균수를 조정하고, 분쇄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식물 생육촉진 천연물이 키토산, 해조추출물, 풀빅산 및 부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해조추출물이 볼복스목(Volvocales), 파라목(Ulvales), 청각목(Caulerpales)을 포함하는 녹조류; 모자반목(Fucales), 엑토카르푸스목(Ectocarpales), 다시마목(Laminariales) 중에서 선택된 미역 및 다시마류를 포함하는 갈조류; 그리고 보라털목(Bangiales), 우뭇가사리목(Gelidiales), 카쿠레이트목(Cryptonemiales)을 포함하는 홍조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해조류로부터 얻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길항 미생물과 식물 생육촉진 천연물은 중량 기준으로 1∼6:1로 혼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용 천연물 함유 길항 미생물 제제.
KR1020080029720A 2008-03-31 2008-03-31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길항 미생물 제제 KR20090104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720A KR20090104335A (ko) 2008-03-31 2008-03-31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길항 미생물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720A KR20090104335A (ko) 2008-03-31 2008-03-31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길항 미생물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335A true KR20090104335A (ko) 2009-10-06

Family

ID=4153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720A KR20090104335A (ko) 2008-03-31 2008-03-31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길항 미생물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43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456B1 (ko) * 2010-11-24 2011-02-14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심플리실리움 라멜리콜라 bcp 균주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의 배양방법
KR101013455B1 (ko) * 2010-11-12 2011-02-14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심플리실리움 라멜리콜라 bcp의 동결 건조방법 및 동결 건조 산물
KR101296588B1 (ko) * 2010-10-18 2013-08-14 김명환 오이재배용 혼합 농축액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US10694751B2 (en) 2018-09-13 2020-06-30 Heliae Development,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irectly reducing incidence of fungal pathogen activity in plan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588B1 (ko) * 2010-10-18 2013-08-14 김명환 오이재배용 혼합 농축액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101013455B1 (ko) * 2010-11-12 2011-02-14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심플리실리움 라멜리콜라 bcp의 동결 건조방법 및 동결 건조 산물
KR101013456B1 (ko) * 2010-11-24 2011-02-14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심플리실리움 라멜리콜라 bcp 균주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의 배양방법
US10694751B2 (en) 2018-09-13 2020-06-30 Heliae Development,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irectly reducing incidence of fungal pathogen activity in plants
US11134688B2 (en) 2018-09-13 2021-10-05 Heliae Development,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irectly reducing incidence of fungal pathogen activity in pl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Effect of biostimulator Chlorella fusca on improving growth and qualities of chinese chives and spinach in organic farm
CN102428966B (zh) 一种作物病害防治复合生物制剂及其应用
JP5714603B2 (ja) 植物の出芽および生長を増強するためのシュードモナス・アゾトフォルマンス(pseudomonasazotoformans)種の新規蛍光シュードモナス菌
CN105263328A (zh) 提高植物的非生物胁迫抗性的方法
Mazhabi et al. The effect of Trichoderma on polianth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roperties.
CN104692957B (zh) 含有枯草芽孢杆菌的生物有机肥及其应用
CN109247176A (zh) 一种果树弱寄生病害绿色防控方法
KR101287141B1 (ko)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
RU2302114C1 (ru) Препарат &#34;экстрагран&#34; для стимуляции роста и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от болезней
KR101433209B1 (ko) 인삼 수경재배용 양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812850B1 (ko) 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 농산물 재배방법
KR20090104335A (ko) 작물의 생육촉진 및 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함유길항 미생물 제제
KR102411304B1 (ko) 식물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잔톡실리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3563624B (zh) 一种绿色蔬菜的种植方法
KR102068090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를 이용한 식물의 생육촉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080019831A (ko) 유도전신저항성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hk-isr1 균주 및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와 이를 이용한인삼병 방제 방법
CN104663746B (zh) 一种水稻纹枯病的生物防治方法
Abdel-Monaim et al. Control of root rot and wilt disease complex of some evergreen fruit transplants by us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in the New Valley Governorate, Egypt
RU2736340C9 (ru) Средство для стимуляции роста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Xie et al. Research progress on continuous cropping obstacle and green control of strawberry
CN106608763A (zh) 一种春砂仁的种植方法
KR100314323B1 (ko)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JP4969961B2 (ja) 新規糸状菌を利用した植物の土壌伝染性病害防除資材
KR102360511B1 (ko) 플라보박테리움 속 tch3-2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용도
EL-MORSI et al. Efficacy of some organic compounds against root rot wilt diseases of olive transplants and their growth response in New Valley governorate, Egyp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