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285A -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285A
KR20090104285A KR1020080029640A KR20080029640A KR20090104285A KR 20090104285 A KR20090104285 A KR 20090104285A KR 1020080029640 A KR1020080029640 A KR 1020080029640A KR 20080029640 A KR20080029640 A KR 20080029640A KR 20090104285 A KR20090104285 A KR 20090104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user
progra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4285A/ko
Publication of KR20090104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2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destin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위치 정보를 받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방송신호에서 해당 프로그램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해 놓는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저장된 위치정보가 읽어와 표시해주고,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즐겨찾기 정보에 추가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경로 검색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사용자로부터 경로 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하여 경로탐색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하는 방송 콘텐츠 또는 광고의 대상 위치를 수신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이를 이용하여 경로 탐색을 실시하여 경로안내를 하거나 즐겨찾기에 추가해 놓고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방송, 디지털, DMB, 위치정보, GPS, 네비게이션

Description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Navigation terminal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경로 안내를 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방송 기술을 바탕으로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경로안내 서비스를 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방송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이 출현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는 이동 중 언제 어디서나 CD급 고품질의 라디오, TV 동영상 및 문자방송 수신이 가능하다.
디지털방송 중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DMB 서비스는 전송방식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크게 지상파 DMB(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와 위성 DMB(SDMB: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서비스로 나뉘어진다.
지상파 DMB는 지상의 송신설비를 이용하여 고정 수신장치뿐만 아니라 이동 중인 개인 휴대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하고, 위성 DMB란 방송 또는 통신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디지털방송을 이용하여 제공 가능한 응용 서비스로는 디지털방송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TPEG서비스, 위성을 이용해 3지점을 측정하여 차량이나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 서비스, 휴대용이나 차량용 DMB 수신 단말기에 전달되는 CD 수준의 오디오 신호를 MP3 플레이어와 연계시켜 언제든지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하는 MP3 서비스, JPEG 등의 정지된 이미지를 보내는 일종의 슬라이드쇼 서비스, R-commerce 서비스, BWS(Broadcasting Website) 서비스, 웹(web)과 연동된 서비스인 DLS 서비스 혹은 BWS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사람들은 이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한편,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비롯하여 정보단말기 컴퓨터 등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기기가 보급되어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가진 단말기는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목적지를 입력받는 방법은 명칭검색, 주소검색, 전화번호검색, 즐겨찾기 검색, 주변 검색, 테마 검색 등이 있다.
그런데, 사용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방송을 디지털 방송을 시청 또는 수신하다가 가보고 싶은 장소가 나오더라도 자세한 위치정보를 얻을 수 없어 아쉬워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맛자랑 프로나 기행 프로 등에서 자세한 위치 정보가 없어 가보고 싶어도 갈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디지털 방송에서 컨텐츠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함께 송신하고, 수신자들이 이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곳으로 가는 경로 안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시간이 지난뒤에 또는 사용자 취향에 맞는 채널만 선별하여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검색하여 경로안내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단말기는,
DMB 방송국으로부터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경로안내를 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정보 저장부;
상기 프로그램의 목록 및 그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저장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DMB 수신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출력하며,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는,
즐겨찾기 정보를 저장하는 즐겨찾기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의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위치 정보를 상기 즐겨찾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GPS 수신부;
외부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교통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교통정보 저장부;
소정 지역의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지도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의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하고, 상기 자신의 위치, 지도정보 및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경로탐색을 하고 경로안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DMB 방송국으로부터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경로안내를 하 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 검색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 프로그램별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즐겨찾기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경로 검색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경로 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하여 경로탐색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방송 콘텐츠 또는 광고에 대응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DMB 방송국으로부터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경로안내를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기능;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 검색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기능;
상기 위치정보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 프로그램별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기능;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기능;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즐겨찾기 정보에 추가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송정보에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송출하고 이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수신하여 저장해 놓고,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가 경로 탐색을 실시하여 경로안내를 하거나 즐겨찾기에 추가해 놓고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방송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상파 방송 시스템(200)에서 방송정보를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수신한 방송 정보 또는 외부의 컨텐츠 제공업체로부터 받은 컨텐츠 또는 광고를 이용하여 DMB 방송 서비스를 한다. 이때,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컨텐츠 또는 광고의 내용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방송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단말기(300)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시청자 또는 청취자에게 해당 방송을 제공하게 되며, 시청자 또는 청취자의 설정에 따라 현재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의 위치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추후에 사용자는 저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경로탐색을 하거나 즐겨찾기 추가 등을 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컨텐츠 DB(110), 광고 DB(120), 위치정보 DB(130), 방송스케쥴 DB(140), 합성부(150), 제어부(160), 송출부(170), 방송 수신부(180)를 포함한다.
컨텐츠 DB(110)는 방송을 위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며, 컨텐츠 정보는 방송 수신부(18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컨텐츠 제공업체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컨텐츠를 확보하여 저장해 놓는다.
광고 DB(120)는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데, 광고정보는 방송 스케쥴에 따라 해당 컨텐츠와 같이 또는 서로 다른 컨텐츠 방송시간 사이에 송출된다. 그리고, 광고 정보는 광고 요청업체 또는 기타 대행업체로부터 미리 제작된 광고를 제공받아 저장해둔다.
위치정보 DB(130)는 상기 컨텐츠 정보 및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위도 및 경도에 대응되는 변환된 정보를 조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GPS 좌표정보 등의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정보는 컨텐츠 정보 및 광고정보 프로그램 하나에 대해 하나의 위치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위치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고, 컨텐츠 종류에 따라 없을 수도 있다. 이는 컨텐츠의 내용이 위치와 관계없는 프로그램일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위치정보도 미리 해당 컨텐츠 및 광고에 대응되도록 저장해 놓는 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다양하게 컨텐츠 및 광고와 결합될 수 있다.
방송스케쥴 DB(140)는 상기 컨텐츠 정보 및 광고 정보가 송출되는 스케쥴을 포함한 방송 스케쥴 정보를 저장한다. 방송 스케쥴 정보는 어느 콘텐츠가 어느 시간대에 방송되고, 어느 광고가 언제 송출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스케쥴로서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60)는 방송 스케쥴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 신호를 송출하도록 합성부(150) 및 송출부(170)를 제어한다.
합성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광고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를 결합하여 출력한다.
송출부(170)는 상기 합성부(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의 복수의 단말기로 송출한다. 이러한 송출부의 송출형태는 지상파DMB 신호인지 위성 DMB 신호인지 등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방송수신부(18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으며, 지상파 방송 시스템(200)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컨텐츠 DB(110)에 수신한 프로그램을 컨텐츠로서 저장한다.
도 3은 도 1의 단말기의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DMB 수신부(320), 제어부(310), 입력부(330), 스피커(351), GPS 수신부(340), 지도정보 저장부(360), 즐겨찾기 정보 저장부(370), 위치정보 저장부(371), 설정정보 저장부(372), 교통정보 저장부(380), 통신부(390)를 포함한다.
DMB 수신부(320)는 DMB 방송국(100)으로부터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터치 패드 또는 리모콘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별도의 키패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패드형태의 입력장치가 적용된 경우 표시부의 화면에 즐겨찾기, 경로탐색 메뉴 및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표시한 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자신이 설정한 정보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한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어 있으며, 즐겨찾기 아이콘과 경로탐색 아이콘이 하단에 표시된다. 여기서 해당 아이콘을 누르면, 현재 선택된 프로그램의 해당 위치정보가 즐겨찾기에 추가되거나 이를 목적지로 하여 경로탐색을 하게 된다.
표시부(350)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로서 액정표시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장치로 구현된다. 스피커(351)는 음성을 출력한다.
즐겨찾기 저장부(370)는 목적지 검색에 사용되는 즐겨찾기 정보를 저장한다.
GPS 수신부(3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여 출력한다. 통신부(390)는 외부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한다. 교통정보 저장부(380)는 상기 교통정보를저장한다. 지도정보 저장부(360)는 소정 지역의 지도 정보를 저장한다.
설정정보 저장부(372)는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자는 미리 입력부(330)를 이용하여 자신이 현재 시청하는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도 있고,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으며, 모든 프로그램을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위치정보가 소정의 지역 안에 있는 프로그램만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고, 프로그램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원하는 카테고리의 프로그램만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시간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하루나 이틀정도의 시간이 지난뒤에는 삭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치정보 저장부(371)는 설정된 정보에 따라 수신한 프로그램의 목록과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위치정보 저장부(371)는 간단한 부가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고, 부가정보에는 프로그램의 복수개의 위치정보별로 간단한 설명내용 등의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경로 안내부(311), DMB 기능부(312), 기능 제어부(313), 위치정보 추출부(314)를 포함한다.
DMB 기능부(312)는 기능제어부(3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DMB 수신부(320)로부터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출력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기능제어부(3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DMB 수신부(320)로부터 방송신호를 처리하고, 표시는 하지 않는다.
기능 제어부(313)는 설정정보 저장부(372)에 저장된 설정정보에 따라 DMB 기능부(312)를 동작시켜 방송신호를 처리하고, 위치정보 추출부(314)를 통해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입력부(330)의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기능 제어부(313)는 설정정보 저장부(372)의 설정 정보가 자신이 현재 시청하는 프로그램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된 경우, 입력부(330)에 선택에 따라 DMB 방송이 수신될때, 해당 프로그램의 위치 정보를 위치정보 추출부(314)가 추출하여 위치정보 저장부(371)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설정 정보가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이 개별적으로 선택된 경우, 기능 제어부(313)는 해당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에 DMB 기능부(312)가 해당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처리하도록 하고, 위치정보 추출부(314)가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정보 저장부(371)에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위치정보가 소정의 지역안에 있는 프로그램만 저장되도록 한 경우나 프로그램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원하는 카테고리의 프로그램만 저장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도 기능제어부(313)가 해당 조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상기한 과정과 같이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기능 제어부(313)는 설정정보 저장부(372)의 설정정보에 따라 시간을 체크하여 하루나 이틀정도의 시간이 지난 프로그램의 위치정보는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기능 제어부(313)는 입력부(313)의 선택신호에 따라 위치정보 저장부(371)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50)에 표시하며, 이러한 표시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기능 제어부(313)는 입력부(330)로부터 프로그램을 선택받고,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해 즐겨찾기 또는 경로 검색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기능 제어부(313)는 상기 선택신호가 즐겨찾기 메뉴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즐겨찾기 정보 저장부(37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능 제어부(313)는 상기 선택신호가 경로 탐색인 경우 경로 안내부(311)로 하여금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하고, 상기 자신의 위치, 지도정보 및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경로탐색을 하고 경로안내를 하도록 한다.
위치정보 추출부(314)는 기능제어부(313)의 제어에 따라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정보 저장부(371)에 저장하도록 한다.
경로안내부(311)는 기능 제어부(3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하고, 상기 자신의 위치, 지도정보 및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경로탐색을 하고 경로안내를 하도록 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의 제어부(160)가 방송 컨텐츠 및 광고의 방송 순서를 포함하는 방송 스케쥴을 읽어온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60)가 상기 방송 스케쥴에 따라 방송되어야할 컨텐츠 정보 또는 광고 정보를 읽어온다. 다음, 제어부(160)는 방송 스케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컨텐츠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에 합성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60)는광고인 경우에는 광고를 광고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합성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합성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정보 또는 광고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위치정보 DB(130)에서 읽어와 상기 컨텐츠 정보 또는 광고 정보와 결합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라도 광주에 관한 맛자랑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해당 장소의 위치정보가 결합되고, 같은 프로그램에서 경상도 경주의 다른 맛집이 소개된다면 그 시간부터는 경주의 해당 맛집의 위치정보가 결합 된다. 다음, 송출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결합된 방송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기(300)는 DMB 방송신호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네비게이션 단말기, PMP, PDA 등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는 미리 입력부(330)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정보를 받기 위해 해당 메뉴를 선택하고, 제어부(310)의 기능 제어부(313)는 설정정보 저장부(372)에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여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시청하는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도 있고,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으며, 모든 프로그램을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위치정보가 소정의 지역안에 있는 프로그램만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고, 프로그램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원하는 카테고리의 프로그램만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본 방법 설명에서는 현재방송하는 프로그램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도록 설명된 경우를 예를 든다.
이러한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단말기(300)의 DMB 수신부(320)에는 방송신호가 수신된다.
그리고, 기능제어부(313)는 단말기의 기능모드가 DMB 수신모드이면 DMB 기능부(312)가 입력부(330)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을 표시부(350)에 표시하도록 하고, 스피커(351)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기능제어부(313)의 제어에 따라 위치 정보 추출부(314)는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정보 저장부(371)에 저장한다(S510). 이와 같이, 사용자가 DMB 방송을 볼때마다 위치정보 저장부(371)에 방송 프로그램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이 상태에서 기능 제어부(313)는 입력부(330)로부터 위치정보를 읽어오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520).
입력부(330)로부터 위치정보를 읽어오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었으면, 기능 제어부(313)는 위치정보 저장부(371)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읽어와 도 4와 같이 표시해준다(S590).
그러면, 사용자는 입력부(330)를 조작하여 위치정보를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기능제어부(313)는 해당 프로그램이 선택되면(S530), 입력부(3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540). 여기서 즐겨찾기 선택은 입력부(330)가 터치패드 방식인 경우 도 4와 같은 화면에서 해당 메뉴를 터치하면 된다. 다른 입력방식의 경우에도 입력부(330)를 통해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기능 제어부(313)는 위치정보 추출부(314)를 통해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즐겨찾기 정보 저장부(370)의 즐겨찾기 정보에 추가 저장한다(S550).
한편,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기능 제어부(313)는 경로 검색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560).
사용자로부터 경로 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 기능제어부(313)는 위치정보 추출부(314)를 통해 위치 정보를 추출하도록 하고, 경로 안내부(311)에 경로탐색을 하도록 한다.
그러면, 경로 안내부(311)는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하고 GPS 수신부(340)로부터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수신하고, 교통정보 저장부(380)의 교통정보와 지도정보 저장부(360)의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로 가는 최적의 경로를 생성한다(S570). 여기서, 최적의 경로는 최단거리 경로 또는 최단 시간 경로이다.
그리고 나서, 경로 안내부(311)는 표시부(350)에 경로를 표시하며 경로를 안내한다(S580).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한 정보에 따라 DMB 방송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저장해 놓고, 필요할때 이를 검색하여 해당 장소로 가고 싶을때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또한, 해당 장소를 나중에 가보고자 할 경우에 정확하게 방송으로 나오는 곳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즐겨찾기에 저장하여 두고 나중에 원하는 때에 찾아갈 수가 있다.
상기 과정에서 기능 제어부(313)는 설정정보 저장부(372)의 설정 정보가 자신이 현재 시청하는 프로그램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된 경우, 입력부(330)에 선택에 따라 DMB 방송이 수신될때, 해당 프로그램의 위치 정보를 위치정보 추출부(314)가 추출하여 위치정보 저장부(371)에 저장하도록 하는 과정만 설명하였다. 한편, 설정 정보가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이 개별적으로 선택된 경우에도, 기능 제어부(313)는 해당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에 DMB 기능부(312)가 해당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처리하도록 하고, 위치정보 추출부(314)가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 하여 위치정보 저장부(371)에 저장하도록 하고, 다른 변형에에서도 기능 제어부(313)가 위치정보 추출부(314)를 제어하여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부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14)

  1. DMB 방송국으로부터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경로안내를 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정보 저장부;
    상기 프로그램의 목록 및 그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저장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DMB 수신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출력하며,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즐겨찾기 정보를 저장하는 즐겨찾기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의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위치 정보를 상기 즐겨찾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GPS 수신부;
    외부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교통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교통정보 저장부;
    소정 지역의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지도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의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하고, 상기 자신의 위치, 지도정보 및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경로탐색을 하고 경로안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방송 콘텐츠 또는 광고에 대응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하나의 컨텐츠 및 광고 정보에 대해 복수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MB 수신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출력하도록 제어하는 DMB 기능부;
    상기 방송신호에서 상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
    상기 설정정보에 따라 위치정보 추출부가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에 의해 위치정보가 선택되고, 즐겨찾기 또는 경로 검색 메뉴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신호가 즐겨찾기 메뉴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즐겨찾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선택신호가 경로 탐색인 경우 경로 탐색을 하도록 제어하는 기능 제어부;
    상기 기능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하고, 상기 자신의 위치, 지도정보 및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경로탐색을 하고 경로안내를 하는 경로 안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7. DMB 방송국으로부터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경로안내를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 검색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 프로그램별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즐겨찾기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경로 검색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경로 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하여 경로탐색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방송 콘텐츠 또는 광고에 대응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는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프로그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는 특정 지역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13. DMB 방송국으로부터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경로안내를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으로서,
    현재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 검색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 프로그램별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즐겨찾기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14. DMB 방송국으로부터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경로안내를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기능;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 검색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기능;
    상기 위치정보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 프로그램별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기능;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기능;
    사용자로부터 즐겨찾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방송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즐겨찾기 정보에 추가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080029640A 2008-03-31 2008-03-31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KR20090104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40A KR20090104285A (ko) 2008-03-31 2008-03-31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40A KR20090104285A (ko) 2008-03-31 2008-03-31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285A true KR20090104285A (ko) 2009-10-06

Family

ID=4153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640A KR20090104285A (ko) 2008-03-31 2008-03-31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42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67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관리 장치 및 방법
US200702630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ources of location relevant content to a user of a mobile radio terminal
EP1579584B1 (en) Broadcast media bookmarks
KR101689019B1 (ko)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객체 검색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들
US20060025070A1 (en) Digital broadcast system and method us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co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US8744388B2 (en) Dynamic radio data system options
US8583177B2 (en) Receiver for audio player
JP2006060823A (ja) 同時間帯の放送番組情報をカイドするデジタル放送受信用端末機及びその方法
US863065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livering content to an occupant in a vehicle
CN101277493A (zh) 广播接收机及其接收广播的方法
JP4818232B2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US20090042620A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broadcast reception
US20070118856A1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Thereof
JP5266845B2 (ja) 携帯電話機
KR10077263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93629A (ko)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KR20090104285A (ko) 위치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EP2056498A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data service
CN1953352A (zh) 在广播接收机中显示良好接收灵敏度信息的方法和设备
US20060166617A1 (en) Broadcast data processing
KR20120069908A (ko) 휴대단말기의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83405B1 (ko) 데이터 방송 정보 활용을 위한 방송형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20060023365A (ko) 방송 서비스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연동을 위한 정보전달방법
KR101165632B1 (ko) 교통 정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WO1999005615A1 (fr) Recepteur et afficheur de donnees radiodiffuse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