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229A -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229A
KR20090104229A KR1020080029551A KR20080029551A KR20090104229A KR 20090104229 A KR20090104229 A KR 20090104229A KR 1020080029551 A KR1020080029551 A KR 1020080029551A KR 20080029551 A KR20080029551 A KR 20080029551A KR 20090104229 A KR20090104229 A KR 20090104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rubber valve
closing
open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연
Original Assignee
문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지연 filed Critical 문지연
Priority to KR1020080029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4229A/ko
Publication of KR2009010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 상단에 설치하여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중앙에 배수 구멍(12)과 하부에 배수구의 배수공과 이격되게 삽입되는 삽입부(15)를 형성하는 몸체(10)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중앙의 함몰부(22)에 절결 개폐부(23)를 형성하는 1차 고무밸브(20), 하부에는 배수구의 삽입부에 삽입 결합되고 중앙의 함몰부(32)에 절결 개폐부(33)를 형성하는 2차 고무밸브(30)를 조립 설치하여 제공하므로서; 배수구 상단에 설치하여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되, 간단한 구조로 배수구에 원터치로 조립 설치하므로 사용 편리성, 설치 시공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상하로 다단계 고무 밸브의 절결 개폐부가 개방되면서 오수를 배출하므로 악취 등의 역류를 확실히 방지하여 사용 신뢰도를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장치, 고무밸브

Description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flow in drainage}
본 발명은 배수구 상단에 설치하여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배수구 상단에 간편하게 원터치 결합 설치하여 사용함은 물론 다단계 고무 밸브 구조에 의해 악취의 역류 방지 효과를 우수하게 제공하는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영업소 등에서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구에는 악취 등이 실내로 역류되므로 실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배수구에는 악취 역류방지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종래의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는 배수구 상단에 마련된 개폐변이 오수를 배출시에 개방한 후 스프링이나 중심추(시이소 타입) 또는 기타 고무밸브 등으로 복귀 작동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개폐구를 단일의 개폐변에 의해 개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개폐구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면 개폐변의 틈새가 벌어져 그 사이로 악취 등이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배수구 상단에 시공시에 조립 부위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실리콘이나 시멘트 등에 의해 마감하게 되는데, 상기 실리콘이나 시멘트가 양성 소결되는 시간이 요구되고, 그 시간 동안 물을 배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영업점(예를 들면 식당, 목욕탕, 사우나 등)에서는 항시 오수의 배수가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한 영업을 중단하고 장치의 시공을 해야하는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배수구 상단에 설치하여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되, 간단한 구조로 배수구 상단에 간편하게 원터치 결합 설치하므로서 사용 편리성, 설치 시공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몸체의 상하로 다단계 고무 밸브 구조를 제공하므로 오수가 배수되는 과정중에도 악취 등의 역류를 확실히 방지하여 사용 신뢰도를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에 배수 구멍과 하부에 배수구의 배수공과 이격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몸체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중앙의 함몰부에 절결 개폐부를 형성하는 1차 고무밸브, 하부에는 배수구의 삽입부에 삽입 결합되고 중앙의 함몰부에 절결 개폐부를 형성하는 2차 고무밸브를 조립 설치하여 배수구의 배수공에 원터치로 조립 설치하도록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2차 고무밸브는 배수구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부분을 자바라형 텐션부로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1차 고무밸브 절결 개폐부는 삼등분 절결 형성하고, 상기 2차 고무 밸브의 절결 개폐부는 열십자형으로 절결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수구 상단에 설치하여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되, 간단한 구조로 배수구 상단에 간편하게 원터치로 조립 설치하므로 사용 편리성, 설치 시공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상하로 다단계 고무 밸브의 절결 개폐부가 개방되면서 오수를 배출하므로 악취 등의 역류를 확실히 방지하여 사용 신뢰도를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2) 상단에 결합 설치되어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배수 구멍(12)과 하부에 배수구의 배수공(2')과 이격되게 삽입되는 삽입부(15)를 형성하는 몸체(10)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중앙의 함몰부(22)에 절결 개폐부(23)를 형성하는 1차 고무밸브(20)를 조립 설치하고,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배수구의 삽입부에 삽입 결합되고 중앙의 함몰부(32)에 절결 개폐부(33)를 형성하는 2차 고무밸브(30)를 조립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2차 고무밸브(30)는 배수구의 삽입부(15)에 삽입되는 부분을 자바라형 텐션부(35)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1차 고무밸브(20)의 절결 개폐부(23)는 삼등분 절결 형성하고, 상기 2차 고무 밸브(30)의 절결 개폐부(33)는 열십자형으로 절결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1차 고무밸브(20)의 상부에는 오물걸림망(40)이 설치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13, 14는 1,2차 고무밸브(20)(30)가 조립단(21)(31)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홈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장치는 몸체(10) 상부에 1차 고무밸브(20)를 결합하고, 하부의 삽입부(15)에 2차 고무밸브(30)를 삽입하여 결합하므로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몸체(10)의 삽입부(15)를 배수구(2)의 배수공(2')에 삽입하는 원터치 조립으로 설치 완료된다.
따라서, 일반가정이나 특히 영업점(예를 들면 식당, 목욕탕, 사우나 등)에서는 설치 즉시 오수를 배수하도록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몸체(20)의 삽입부(15)와 함께 삽입부(15)를 감싸고 있는 2차 고무밸브(30)의 자바라형 텐션부(35)가 배수구의 배수공(2')에 탄발적으로 밀착 설치되면서 기밀유지 및 견고한 결합 설치 상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20) 상부, 즉 1차 고무밸브(20)의 상부에는 오물걸림망(4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 장치는 오수를 배수구(2)로 배수할 때, 우선 상부 위치의 1차 고무밸브(20) 함몰부(22)에 형성된 절결 개폐부(23)가 순간적으로 벌어지면서 오수를 통과시키고,
다시 하부 위치의 2차 고무밸브(30)의 함몰부(32)에 형성된 절결 개폐부(33)가 순간적으로 벌어지면서 오수를 통과시키는 다단 개폐 구조를 갖기 때문에 오수의 배출시 악취가 배수구를 통해 역류됨을 확실히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1,2차 고무밸브(20)(30)의 절결 개폐부(23)(33)는 오수가 통과될때에만 순간적으로 벌어져 개방된 후 오수가 통과되면서 즉각 다시 원위치 복귀되어 폐쇄하므로 악취의 역류됨을 확실히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1,2차 고무밸브(20)(30)의 절결 개폐부(23)(33)는 1차 고무밸브의 절결 개폐부(23)를 삼등분 절결 형성하고, 2차 고무밸브의 절결 개폐부(33)를 열십자형으로 절결 형성하여 1차 고무밸브의 절결 개폐부가 벌어지면서 오수를 통과시키는 형태나 시간과 2차 고무밸브의 절결 개폐부가 벌어지면서 오수를 통과시키는 형태나 시간을 달리 형성하여 1,2차 고무밸브의 개폐작동의 형상 및 시간차를 유발하여 악취의 역류됨을 더욱 확실히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1,2차 고무밸브(20)(30)는 오수가 배수되지 않을 때에 상기 1,2차 고무밸브(20)(30)의 절결 개폐부(23)(33)에 수분이 조금 남아 있기만 하면 수막현상에 의해 악취의 역류됨을 더욱 확실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고무밸브나 몸체 등의 부분 손상시 배수구에서 장치 전체를 상부로 강제 인출하여 간편하게 분리하므로 교체 설치가 간편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1차 고무밸브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2차 고무밸브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2: 배수구멍
15: 삽입부 20: 1차 고무밸브
22,32: 함몰부 30:2차 고무밸브
23,33: 절결 개폐부 40: 오물걸림망

Claims (3)

  1. 배수구(2) 상단에 결합 설치되어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배수 구멍(12)과 하부에 배수구의 배수공(2')과 이격되게 삽입되는 삽입부(15)를 형성하는 몸체(10)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중앙의 함몰부(22)에 절결 개폐부(23)를 형성하는 1차 고무밸브(20)를 조립 설치하고,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배수구의 삽입부에 삽입 결합되고 중앙의 함몰부(32)에 절결 개폐부(33)를 형성하는 2차 고무밸브(30)를 조립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고무밸브(30)는 배수구의 삽입부(15)에 삽입되는 부분을 자바라형 텐션부(35)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고무밸브(20)의 절결 개폐부(23)는 삼등분 절결 형성하고, 상기 2차 고무 밸브(30)의 절결 개폐부(33)는 열십자형으로 절결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
KR1020080029551A 2008-03-31 2008-03-31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 KR20090104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51A KR20090104229A (ko) 2008-03-31 2008-03-31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51A KR20090104229A (ko) 2008-03-31 2008-03-31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229A true KR20090104229A (ko) 2009-10-06

Family

ID=4153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551A KR20090104229A (ko) 2008-03-31 2008-03-31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42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97B1 (ko) * 2020-09-21 2021-12-20 성광배 배수트랩
KR20230103035A (ko)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새롬테크 역류 방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97B1 (ko) * 2020-09-21 2021-12-20 성광배 배수트랩
KR20230103035A (ko)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새롬테크 역류 방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8555C2 (ru) Писсуар и способ замены сифонного затвора писсуара
KR100359464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해충 배출방지구
KR20090104229A (ko) 원터치 조립형 배수구 악취 역류방지장치
KR200265950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100994795B1 (ko) 하수도 맨홀용 역지변
KR100947986B1 (ko) 다용도 조립식 오수받이 맨홀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190002468U (ko)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20080037918A (ko) 배수구용 악취방지구
KR200249076Y1 (ko) 방취용 배수트랩
JP2015055149A (ja) 排水機器の接続構造
KR10100635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200379714Y1 (ko) 하수구의 악취 및 해충 배출방지구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KR200229385Y1 (ko) 하수구의 악취 및 해충 배출방지구
KR200446680Y1 (ko) 냄새역류방지를 위한 배수관 연결장치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303598Y1 (ko) 하수용 악취차단구
CA2528697C (en) Odour extraction system with fluid tank valve
KR101840448B1 (ko) 무경첩 밸브방식의 배수트랩
KR20110046976A (ko) 탄성체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배수 장치
KR101279024B1 (ko) 수평이음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19990022650U (ko) 하수역류방지및악취차단장치
KR200395244Y1 (ko) 오수받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