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201A -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201A
KR20090104201A KR1020080029506A KR20080029506A KR20090104201A KR 20090104201 A KR20090104201 A KR 20090104201A KR 1020080029506 A KR1020080029506 A KR 1020080029506A KR 20080029506 A KR20080029506 A KR 20080029506A KR 20090104201 A KR20090104201 A KR 20090104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vaporator
cooling
water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5185B1 (ko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로인테크(주)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인테크(주), 김봉석 filed Critical 로인테크(주)
Priority to KR1020080029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18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25B47/022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7/00Detail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 F25B2347/02Details of 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21On-off valves controlled by pulse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1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fluid cooled by the evaporator
    • F25B2700/21173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fluid cooled by the evaporator at the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액상냉매를 일단 저장하였다가 팽창밸브로 보내주는 액수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체냉매를 일단 저장하였다가 압축기로 보내주도록 액분리기가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수액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과 상기 증발기가 수중에 침지시킨 상태로 설치되는 냉각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작동으로 냉각된 냉각수를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해 냉각수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냉각탱크의 냉각수 출구측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 온도센서와; 상기 액수기와 팽창밸브를 잇는 냉매공급라인에 장설되어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받아 개폐작동을 하는 제1 전자밸브와; 상기 액수기와 압축기를 잇는 냉매회수라인에 각각 장설되어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는 냉매 온도센서 및 냉매 압력센서와;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 사이의 냉매공급라인과 상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사이의 냉매공급라인을 잇는 바이패스라인에 장설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 온도센서 및 냉매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개폐작동을 하는 제2 전자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냉각장치, 증발기, 열교환판, 제1 및 제2 전자밸브, 바이패스파인, 순환펌프

Description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Cooling device having defrosting system of evaporator}
본 발명은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물을 냉각시키는 증발기의 냉각작동으로 열교환판에 생성되는 얼음으로 인해 냉각작동이 저하될 경우에는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뜨거운 냉매가스를 증발기로 바이패스 순환시켜서 증발기의 열교환판에 부착된 얼음을 탈락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냉각탱크에 저장되는 물을 빙점(0℃)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장치를 운전하여 증발기에서 물의 온도를 0℃에 가깝게 냉각시키게 되면 밀폐된 증발기의 내부에 결빙현상이 일어나 물의 통로가 막혀 물이 흐르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경판에 확관된 파이프가 누설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종래 기술의 쉘엔 튜브식 증발기는 증발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파이프가 누설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으며, 판형 증발기는 판과 판 사이에 형성된 구멍이 너무 작아 물을 빙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게 되면 결빙될 우려가 있어 구멍이 막히게 되어 물이 흐르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쉘엔 튜브식 냉각장치의 경우 스케일 및 이물질이 혼입된 물이 증발기로 흐르게 되면 배플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좌,우측 경판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여러 배관으로 냉매가스가 균일하게 흐르지 않게 되는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판형 열교환기의 경우에는 구멍 사이에 끼이는 이물질로 인해 구멍이 막히게 되어 냉동장치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때문에 기존의 냉각장치들은 물을 빙점의 온도로 냉각시키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여 물을 빙점 내지 빙점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를 개선하여 물을 빙점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을 냉각시킬 때 증발기의 열교환판에 결빙현상이 나타나게 되면 그 즉시 증발기에 뜨거운 냉매가스를 공급하여 열교환판에 결빙된 얼음을 탈락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물을 빙점 내지 빙점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시키는 작동이 계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액상냉매를 일단 저장하였다가 팽창밸브로 보내주는 액수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체냉매를 일단 저장하였다가 압축기로 보내주도록 액분리기가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수액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과 상기 증발기가 수중에 침지시킨 상태로 설치되는 냉각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작동으로 냉각된 냉각수를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해 냉각수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냉각탱크의 냉각수 출구측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 를 감지하는 냉각수 온도센서와;
상기 액수기와 팽창밸브를 잇는 냉매공급라인에 장설되어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받아 개폐작동을 하는 제1 전자밸브와;
상기 액수기와 압축기를 잇는 냉매회수라인에 각각 장설되어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는 냉매 온도센서 및 냉매 압력센서와;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 사이의 냉매공급라인과 상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사이의 냉매공급라인을 잇는 바이패스라인에 장설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 온도센서 및 냉매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개폐작동을 하는 제2 전자밸브;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탱크에 저장된 물을 빙점이나 빙점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냉각탱크의 일면에 형성된 유출구와 유입구에 순환펌프가 장설된 냉각수 순환라인을 연결하여 상기 냉각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상기한 순환라인으로 순환시켜서 증발기와의 열교환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양측 냉매순환헤더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채 서로 마주하는 다수의 조립공에 양단이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는 다수의 냉매순환관들 내부 각각에 냉매의 열교환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프링 와이어가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탱크는 사용수 입구의 내측에는 그 입구를 통해 냉각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사용수를 분산 배출시키는 다수의 분산공이 형성된 분산기가 부착되 어 있으며, 냉각수 출구의 내측에는 냉각탱크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고르게 집수하는 배출할 수 있도록 집수공이 다수 형성된 집수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탱크에 저장되는 냉각수를 순환시켜서 증발기와의 열교환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되어 빙점 또는 빙점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냉각수가 냉각될 때 증발기의 열교환판 양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현상에 의해 상기 열교환판 양면에 형성되는 얼음이 증발기의 냉각작동에 지장을 줄 정도의 소정 두께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는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뜨거운 냉매가스를 증발기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한 열교환판 양면에 부착된 얼음을 탈락시켜서 상기 증발기가 정상적인 냉각작동으로 냉각수를 빙점 또는 빙점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냉각장치의 냉동사이클 및 증발기 제상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의 냉각수 작동상태를 나타낸 냉각탱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증발기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증발기의 열교환판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증발기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압축기, 2는 응축기, 3은 수액기, 4는 팽창밸브. 5는 증발기, 6은 냉각탱크를 나타낸다.
먼저, 냉각탱크(6)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냉각탱크(6)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속에는 증발기(5)가 수중에 침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각탱크(6)에는 냉각수를 사용하는 사용처(7)에서 사용한 후 보내지는 사용수가 유입되는 사용수 입구(61)와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출구(6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증발기(5)에 냉매를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냉매입구(51) 및 냉매출구(52)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탱크(6)에는 상기한 사용수 입구(61)와 냉각수 출구(62)와는 별도 형성된 유출구(63) 및 유입구(64) 각각에는 저장된 물을 순환시켜서 증발기(5)와의 열교환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순환펌프(65)가 장설된 냉각수 순환라인(6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냉각수 출구(62)에는 사용처(7)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라인(71)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한 사용수 입구(61)에는 사용처(7)에서 사용한 사용수를 보내주는 사용수 반송라인(72)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한 사용수 반송라인(72)에는 제2 순환펌프(73)가 장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탱크(6)의 일면에 형성된 사용수 입구(61) 및 냉각수 출 구(62) 각각의 내측에는 냉각탱크(6)의 내면으로 돌출하는 분산기(65) 및 집수기(6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분산기(65)에는 사용수 입구(61)를 통해 유입되는 사용수를 냉각탱크(6) 내부로 고르게 분산시켜주는 다수의 분사공(6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집수기(66)에는 냉각탱크(6)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고르게 취수하기 위한 다수의 집수공(68)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증발기(5)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증발기(5)는 냉각탱크(6) 내부에 물에 침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저온저압의 안개상태로 공급되는 냉매 또는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냉각탱크(6)의 일면으로 돌출하는 냉매입구(51)가 연결된 냉매공급관(53)과, 상기한 냉매입구(51)와 같이 냉각탱크(6)의 일면으로 돌출하는 냉매출구(52)가 연결된 냉매회수관(54)과, 상기한 냉매공급관(53) 및 냉매회수관(54)이 동시에 연결되는 일측 냉매순환헤더(55a)와, 상기한 일측 냉매순환헤더와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타측 냉매순환헤더(55b)와, 상기 양측 냉매순환헤더(55a)(55b)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조립공(부호 생략) 각각에 양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냉매순환관(56)과, 상기한 양측 냉매순환헤더(55a)(55b) 각각의 조립공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냉매순환관(56)들 양측을 감싼 상태로 형성되는 열교환판(5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한 다수의 냉매순환관(56) 각각의 내부에는 냉매의 열전달 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나선상으로 된 스프링 와이어(58)를 삽입시킨 후 확관작업으로 상기한 각 스프링 와이어(58)들을 냉매순환관(56) 각각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의 열교환판(57)은 냉매순환관(56)을 감싸줄 수 있는 요홈들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두 장의 금속판(57a)(57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금속판(57a)(57b)는 각 냉매순환관(56)들을 감싼 상태에서 심용접이나 또는 스포트용접으로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한 일측 냉매순환헤더(55a)의 내부에는 냉매입구(51)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다수의 냉매순환관(56)으로 고르게 분배된 상태로 순환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칸막이(5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수액기(3)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약기(3)는 응축기(2)에서 저온저압상태로 응축된 액상의 냉매를 일시 저장하는 수액기(3a)와 증발기(5)에서 냉각수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증발된 기체상태의 냉매를 일시 저장하여 수액기(3a)에 저장되는 액상의 냉매와 열교환작용케 하는 액분리기(3b)가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액분리기(3b)와 압축기(1)는 냉매회수라인(11)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탱크(6)의 냉각수 출구(62)와 사용처(7)를 잇는 냉각수 공급라인(71)에는 상기한 냉각수 출구(62)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수기(3)의 수액기(3a)와 팽창밸브(4)를 연결하는 냉매공급라인(13)에는 제1 전자밸브(9a)가 장설되어 있는데, 상기한 제1 전자밸브(9a)는 상기한 온도센서(8a)에서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여 보낸 신호에 의해 폐쇄작동으로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제1 전자밸브(9a)는 냉각수 온도센서(8a)에 감지되는 온도가 냉각탱크(6) 내부에서 냉 각되는 냉각수의 설정온도 즉, 빙점(0℃) 내지 빙점에 가까운 온도(3℃ 이하)일 때에는 개방되어 있고, 냉각수 온도센서(8a)에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4℃ 이상)일 때에는 폐쇄작동되어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1)와 응축기(2)를 연결하는 냉매공급라인(12) 및 상기 팽창밸브(4)와 증발기(5)를 연결하는 냉매공급라인(14)은 바이패스라인(9)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이패스라인(9)에는 제2 전자밸브(9b)가 장설되어 있는데, 상기한 제2 전자밸브(9b)는 제1 전자밸브(9a)가 폐쇄작동되었을 때에는 개방작동되어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안의 냉매를 증발기(5)로 직접 흐르게 하며, 이와 같이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5)로 직접 유입됨으로 인해 냉매회수라인(11)으로 고온 고압의 냉매가 흐르게 될 경우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는 냉매온도센서(8b) 및 냉매압력센서(8c)의 신호에 의해 제2 전자밸브(9b)가 폐쇄작동되어 바이패스라인(9)을 차단하는 한편, 제1 전자밸브(9a)는 개방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냉동사이클이 정상적으로 운전될 때에는 냉매공급라인(13)에 장설되어 있는 제1 전자밸브(9a)는 개방작동된 상태이고, 바이패스라인(9)에 장설되어 있는 제2 전자밸브(9b)는 폐쇄작동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는 응축기(2)에서 저온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응축되어 액수기(3)의 수액기(3a)를 경유하 여 개방된 제1 전자밸브(9a)를 통과하고 팽창밸브(4)에서 급격히 팽창되어 안개상태로 증발기(5)로 공급되는데, 상기 증발기(5)의 냉매입구(51)로 유입되는 안개상태의 냉매는 냉매공급관(53)에 연결된 복수의 냉매순환헤더(55a) 각각에 고르게 분배 공급되어 다수의 냉매순환관(56)을 통해 도 7의 도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냉매순환관(56)을 따라 순환하는 냉매는 각 냉매순환관(56)들 각각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와이어(58)에 의하여 열전달 면적이 확장된 상태이므로 양측 열교환판(57)에서의 열교환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냉각탱크(6)에 저장되어 있는 물은 증발기(5)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열교환판(57)과의 열교환작용으로 냉각되는 것이며, 또한 사용처(7)에서 반송되는 사용수는 사용수 반송라인(72)을 통해 상기 냉각탱크(6)로 유입되는데, 이때 제1 순환펌프(65)의 작동으로 냉각탱크(6)에 저장된 냉각수는 냉각수 순환라인(66)을 통해 냉각탱크(6) 내부를 순환하게 되는 순환작동으로 각 열교환판(57)에 접촉하면서 열교환작용하게 되므로써 기존의 냉각장치보다 더 낮은 온도로 냉각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빙점(0℃) 내지 빙점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된 상태로 냉각수 출구(62)를 통해 사용처(7)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순환펌프(65)를 작동시켜서 냉각탱크(6)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냉각수 순환라인(66)으로 유출시켰다가 다시 유입시키는 순환작동으로 빙점 또는 빙점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작동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경우에는 증발기(5)의 각 열교환판(57)의 양면에는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데, 냉각수 가 접촉하게 되는 각 열교환판(57)의 양면에 얼음이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 각 열교환판(57)이 냉각수의 온도를 빼앗는 열교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할 정도가 되면 냉각수 출구(62)를 통해 사용처(7)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온도(0∼3℃)보다 높은 상태가 되는데, 이때에는 냉각수 출구(62)측에 있는 냉각수 온도센서(8a)가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면, 그 감지된 신호에 의해 콘트롤장치(도시 없음)가 제1 전자밸브(9a)를 폐쇄작동시키는 한편, 제2 전자밸브(9b)는 개방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1)에서 압축된 기체냉매는 응축기(2)로 흐르지 않고 바이패스라인(9)을 통해 증발기(5)로 흐르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압축기(1)에서 압축된 기체냉매는 고온 고압의 상태이므로 상기 증발기(5)에 형성된 복수의 열교환판(57)들은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각 열교환판(57)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얼음을 탈락시키게 되는데, 이때 증발기(5)의 각 열교환판(57)으로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는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이며, 각 열교환판(57) 양면에 부착되었던 얼음이 탈락된 이후에는 냉동사이클은 정상적으로 운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증발기(5)의 각 열교환판(57)을 가열하면서 액수기(3)의 액분리기(3b)로 흐르는 기체냉매는 여전히 고온 고압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상기한 액분리기(3b)에서 냉매회수라인(11)을 통해 압축기(1) 측으로 순환하는 도중에 냉매온도센서(8b) 및 냉매압력센서(8c) 각각은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게 되며, 그 감지된 신호에 의해 콘트롤장치는 제2 전자밸브(9b)를 폐쇄작동시키게 되므로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는 바이패스라인(9)으로 흐르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한편 상기한 제2 전자밸브(9b)가 폐쇄작동되면, 그와 동시에 제1 전자밸브(9a)가 개방작동되므로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는 정상적인 운전방식으로 응축기(2)→액수기(3)의 수액기(3a)→팽창밸브(4)→증발기(5)→액수기(3)의 액분리기(3b)→압축기(1)로 흐르는 순환작동을 반복하게 되며, 또한 사용처(7)에서 냉각탱크(6)로 보내지는 사용수는 제1 순환펌프(65)에 의해 냉각수 순환라인(66)으로 반복해서 순환하게 되는 작동으로 증발기(5)의 각 열교환판(57)과의 열교환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냉각탱크(6)에 저장되는 냉각수를 빙점 내지 빙점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냉각장치의 냉동사이클 및 증발기 제상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의 냉각수 작동상태를 나타낸 냉각탱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증발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증발기의 열교환판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증발기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기 2 : 응축기
3 : 액수기 3a : 수액기
3b ; 액분리기 4 : 팽창밸브
5 : 증발기 51 : 냉매입구
52 : 냉매출구 53 : 냉매공급관
54 : 냉매회수관 55a,55b : 냉매순환헤더
56 : 냉매순환관 57 : 열교환판
58 : 스프링 와이어 6 : 냉각탱크
61 : 사용수 입구 62 : 냉각수 출구
63 : 유입구 64 : 유출구
65 : 제1 순환펌프 66 : 냉매순환라인
7 : 사용처 71 : 냉각수 공급라인
72 : 사용수 반송라인 73 : 제1 순환펌프
8a : 냉각수 온도센서 8b : 냉매 온도센서
8c : 냉매 압력센서 9a,9b : 제1 및 제2 전자밸브

Claims (4)

  1.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액상냉매를 일단 저장하였다가 팽창밸브로 보내주는 액수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기체냉매를 일단 저장하였다가 압축기로 보내주도록 액분리기가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수액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과 상기 증발기가 수중에 침지시킨 상태로 설치되는 냉각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작동으로 냉각된 냉각수를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해 냉각수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냉각탱크의 냉각수 출구측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 온도센서와;
    상기 액수기와 팽창밸브를 잇는 냉매공급라인에 장설되어 상기 냉각수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받아 개폐작동을 하는 제1 전자밸브와;
    상기 액수기와 압축기를 잇는 냉매회수라인에 각각 장설되어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는 냉매 온도센서 및 냉매 압력센서와;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 사이의 냉매공급라인과 상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사이의 냉매공급라인을 잇는 바이패스라인에 장설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 온도센서 및 냉매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개폐작동을 하는 제2 전자밸브;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탱크에 저장된 물을 빙점이나 빙점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냉각탱크의 일면에 형성된 유출구와 유입구에 순환펌프가 장설된 냉각수 순환라인을 연결하여 상기 냉각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상기한 순환라인으로 순환시켜서 증발기와의 열교환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양측 냉매순환헤더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채 서로 마주하는 다수의 조립공에 양단이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는 다수의 냉매순환관들 내부 각각에 냉매의 열교환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프링 와이어가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탱크는 사용수 입구의 내측에는 그 입구를 통해 냉각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사용수를 분산 배출시키는 다수의 분산공이 형성된 분산기가 부착되어 있으며, 냉각수 출구의 내측에는 냉각탱크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고르게 집수하는 배 출할 수 있도록 집수공이 다수 형성된 집수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
KR1020080029506A 2008-03-31 2008-03-31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 KR100945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06A KR100945185B1 (ko) 2008-03-31 2008-03-31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06A KR100945185B1 (ko) 2008-03-31 2008-03-31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201A true KR20090104201A (ko) 2009-10-06
KR100945185B1 KR100945185B1 (ko) 2010-03-03

Family

ID=4153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506A KR100945185B1 (ko) 2008-03-31 2008-03-31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1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884B1 (ko) * 2011-12-29 2013-08-07 (주)덕산코트랜 히트펌프식 냉ㆍ온수 공급장치
KR101371622B1 (ko) * 2013-05-03 2014-03-07 조수환 헷다구조를 갖는 냉장 및 냉동고용 수동 제상장치
CN117450716A (zh) * 2023-12-21 2024-01-26 江苏鹏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循环冷却液的液冷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080B1 (ko) * 1998-01-16 2001-12-28 상 욱 김 수중판얼음제조장치
KR200246301Y1 (ko) 2001-04-27 2001-10-18 아텍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냉온수 공급 냉동기
KR200359861Y1 (ko) 2004-06-02 2004-08-21 김봉석 냉동장치의 액열기
KR100666920B1 (ko) 2004-08-30 2007-01-11 김봉석 냉동장치의 액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884B1 (ko) * 2011-12-29 2013-08-07 (주)덕산코트랜 히트펌프식 냉ㆍ온수 공급장치
KR101371622B1 (ko) * 2013-05-03 2014-03-07 조수환 헷다구조를 갖는 냉장 및 냉동고용 수동 제상장치
CN117450716A (zh) * 2023-12-21 2024-01-26 江苏鹏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循环冷却液的液冷源设备
CN117450716B (zh) * 2023-12-21 2024-03-12 江苏鹏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循环冷却液的液冷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5185B1 (ko)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701B1 (ko) 냉장고
KR101790462B1 (ko) 냉동 장치의 디프로스트 시스템 및 냉각 유닛
CN102753900B (zh) 空调装置
EP2623873B1 (e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US3481151A (en) Refrigerant system employing liquid chilling evaporators
US6609390B1 (en) Two-refrigerant refrigerating device
CN101248321A (zh) 对制冷电路中蒸发器进行除霜的方法
US20060117776A1 (en) Multi-type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161741B2 (ja) 空気調和装置
CN102575860A (zh) 空气调节装置
WO2009034300A1 (en) An ice making system
CN111059663A (zh) 超低温风冷模块机部分热回收机组以及控制方式
CN103229004A (zh) 空调装置
US20230074034A1 (en) Air conditioner
JP7455211B2 (ja) 空気調和装置
CN211781668U (zh) 超低温风冷模块机部分热回收机组
KR100945185B1 (ko) 증발기 제상 시스템이 구비된 냉각장치
JP2009092371A (ja) 冷却庫
CN112984897B (zh) 一种冷藏箱及用于该冷藏箱的湿度控制方法
CN217817170U (zh) 快速蓄冰装置及具有其的冰蓄冷空调
KR101962878B1 (ko) 냉동기 토출 가스에 의한 응축 폐열 회수를 이용한 냉동 시스템
CN105928290A (zh) 一种基于吸附抑霜技术的风冷冰箱制冷系统
KR101122725B1 (ko) 히트펌프식 냉난방장치
JP2010139098A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給湯機
US20210215410A1 (en) Cooling system with flooded low side heat exchang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