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543A - 하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운동기구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2543A KR20090102543A KR1020080028055A KR20080028055A KR20090102543A KR 20090102543 A KR20090102543 A KR 20090102543A KR 1020080028055 A KR1020080028055 A KR 1020080028055A KR 20080028055 A KR20080028055 A KR 20080028055A KR 20090102543 A KR20090102543 A KR 200901025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ition fixing
- stop
- scaffold member
- scaffold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8—On a track which is itself moving during exerc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하체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본 하체 운동기구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손잡이부재(12)를 구비한 중앙몸체(10); 각각 설정된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몸체(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20); 상기 레일부재(20)에서 구름하는 다수개의 이동용 바퀴(32)를 구비하고 중앙몸체(10)를 중심으로 각 상기 레일부재(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용 발판부재(30);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상면에 축(42)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용 발판부재(40); 및 회전용 발판부재(40)가 설정된 각도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멈춤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5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하체 운동기구에 의하면, 이동용 발판이 오목한 곡률로 경사진 레일부재를 따라 양측으로 벌어지고, 이 상태에서 운동자가 허벅지의 안쪽 근육과 괄약근 등을 사용하여 발판이 경사면을 따라 올라오면서 모아지도록 함으로써 괄약근, 허벅지의 안쪽 근육이 사용되어 괄약근과 허벅지 안쪽 근육의 운동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회전용 발판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45°회전시킨 상태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힙업을 위한 둔부근육과 기립근 등을 집중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과 같은 둔부 근육을 긴장/이완시키면서 근육을 강화하여 힙을 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나라, 허벅지의 안쪽 근육, 괄약근, 골반근육 및 기립근과 같은 하체 근육들을 긴장시키고 이완시키는 동작으로 각 해당 근육을 강화시킬 있는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아름다운 몸매를 가꾸기 위하여 다양한 운동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걷기는 허리의 기립근 뿐만 아니라 둔부의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 그리고 괄약근, 대퇴부 등의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고, 특히 둔부를 탄력적으로 강화시키게 되어 힙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둔부의 라인이 아름답게 되는 좋은 운동이다. 그러나, 이러한 걷기와 같은 운동은 매우 넓은 장소가 필요하게 되고, 장시간 동안 운동을 실시해야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곤란한 점이 있다.
한편, 괄약근은 관상기관[管狀器官, 항문 및 요도(尿道)]을 에워싸고 배출을 조절하는 근육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여성들은 임신 및 출산과 노령화로 인해 괄약근력이 약화된다. 따라서, 괄약근이 약화되면 운동할 때나 기침 및 웃을 때 이에 따른 괄약근의 정상적인 수축 및 이완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요실금이나 변실금을 경험하게 되어 매우 고통스럽고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여성들의 괄약근 약화로 인해 발생되는 요실금이나 변실금 등과 같은 질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운동기구 즉, 괄약근 강화를 위한 운동기구로는 이미 여러형태의 괄약근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괄약근 강화를 위한 종래의 운동기구는 신체(질)내에 삽입되는 형태이므로 사용이 난해하고 위생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질내 삽입시 행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불쾌감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0248203호에 의한 운동기구에 따르면, 한 쌍의 발판의 뒤꿈치가 각각 양측으로 경사면을 따라서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서서 뒤꿈치를 모으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괄약근이 강화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선 후 발판의 전방부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뒤꿈치만 모으도록 회전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단순히 뒤꿈치를 모으는 동작만으로 충분한 운동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즉, 둔부근육이나 괄약근을 강화하기 위한 괄약근의 사용이 미약하여 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이러한 운동기구를 사용할 경우 힙을 업 시킬 수 있는 대둔근과 중둔근, 소둔근과 같은 근육과 기립근과 같은 근육의 긴장/이완 운동이 매우 미약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힙업을 시킬 수 있는 기립근과 둔부근육 그리고, 괄약근, 허벅지 안쪽 근육 등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하체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중앙몸체;
각각 설정된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서 구름 운동하도록 된 다수개의 이동용 바퀴를 구비한 바퀴 브라켓와 결합되어 상기 중앙몸체를 중심으로 각 상기 레일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용 발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의 상면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용 발판부재; 및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와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가 설정된 각도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멈춤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의 상면에 서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핀;
상기 위치고정핀 측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장공에 의해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핀이 삽입되기 위한 위치고정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내측에는 작동공이 형성된 위치고정부재;
상기 작동공에 설치되고, 상면에는 회전용 발판부재에 형성되는 캠안내홈에 삽입되는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된 캠부재; 및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캠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캠부재를 상기 캠안내홈의 괘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선택적으로 각 위치고정핀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의 회전각도가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노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재를 상기 위치고정핀 측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다른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공; 및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에 관통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위치고정핀를 하향 탄력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의 저면과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의 상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위치고정핀에 구비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위치고정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6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레일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멈춤공;
연직방향으로 천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상기 관통공의 상부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멈춤위치와, 상기 멈춤위치 보다 높은 영역에 형성되는 이동위치 및 상기 멈춤위치와 이동위치를 연결하는 연결 경사면이 형성되어 바퀴 브라켓에 결합되는 위치고정몸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부에는 상기 연결 경사면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멈춤위치와 이동위치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구비한 위치멈춤핀; 및
상기 위치멈춤핀과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위치멈춤핀을 연직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멈춤용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몸체에는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의 왕복횟수를 카운트하고, 운동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중앙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바퀴 브라켓에 각각 구비되는 자석센서;
상기 자석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신호변환/제어부; 및
상기 중앙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치의 "온"시 시간을 카운트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는 각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와 겹쳐진 상태의 기준선에 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90°까지 회전되고, 상기 회전제어수단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에 따르면, 이동용 발판이 오목한 곡률로 경사진 레일부재를 따라 양측으로 벌어지고, 이 상태에서 운동자가 허벅지의 안쪽 근육과 괄약근을 사용하여 발판이 경사면을 따라 올라오면서 모아지도록 함으로써 괄약근은 물론 허벅지의 안쪽 근육이 사용되어 괄약근과 허벅지 안쪽 근육의 운동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특히 회전용 발판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45도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기립근,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과 같은 둔부 근육과 골반근육 등을 집중적으로 강화시킴으로써 힙을 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체 운동기구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체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의 회전제어수단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4a에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일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체 운동기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제어수단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몸체 12 : 손잡이
20 : 레일부재 30 : 이동용 발판부재
40 : 회전용 발판부재 50 : 회전제어수단
60 : 위치고정수단 70 : 표시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손잡이부재(12)를 구비한 중앙몸체(10)와, 각각 설정된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중앙몸체(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20)와, 레일부재(20)에서 구름 운동하도록 된 다수개의 이동용 바퀴(32)를 구비한 바퀴 브라켓(34)와 결합되어 중앙몸체(10)를 중심으로 각 레일부재(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용 발판부재(30)와,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상면에 축(42)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용 발판부재(40)와, 이동용 발판부재(30)와 회전용 발판부재(4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용 발판부재(40)가 설정된 각도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멈춤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50)으로 구성된다.
레일부재(20)의 일측 단부는 중앙몸체(1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별도의 단부 지지부재에 결합된다. 그리고 레일부재(20)의 각 단부 내측에는 바퀴 브라켓(34)이 부딪히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각각 설치된다.
중앙몸체(10)의 상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왕복횟수를 카운트하고, 운동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70)가 구비된다.
이러한 표시부(70)는 중앙몸체(10) 및 중앙몸체(10)와 마주보는 위치의 바퀴 브라켓(34)에 각각 구비되는 자석센서(72)와, 자석센서(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화면(76A)에 표시하기 신호변환/제어부(74)와, 중앙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치(79)의 "온"시 시간을 카운트하여 화면(76A)에 표시하기 위한 타이머(78)로 구성된다. 이때, 신호변환/제어부(74)는 자석센서(72)와 타이머(78)의 신호를 제어하여 각각 화면(76A)에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석센서(72)를 대신하여 근접센서, 리미트 스위치, 광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레일부재(20)는 상향으로 개방된 오목한 곡률(반원호형)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곡은 양측의 이동용 발판부재(30)가 서로 벌어질 때에는 쉽게 벌어지고 중앙 측으로 모아질 때에는 경사면을 쉽게 올라오지 못하도록 하여 근육을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발판부재(30)가 원호형의 경사면을 구름이동 하도록 하여 운동자가 항상 괄약근과 허벅지 안쪽 근육을 긴장하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이동용 발판부재(30)는 안내레일(20)에서 구름운동 하기 위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바퀴 브라켓(34)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운동자의 발을 중앙몸체(10)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각 이동용 발판부재(30)와 각 회전용 발판부재(40) 사이에는 베어링부재(80)가 설치된다. 이 베어링부재(80)는 회전용 발판부재(4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베어링부재(80)는 스러스트 베어링, 볼 베어링 등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2에는 위치고정수단(6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수단(60)은 레일부재(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멈춤공(62)과, 연직방향으로 천공된 관통공(64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64A)의 상부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멈춤위치(64B)와, 상기 멈춤위치(64B) 보다 높은 영역에 형성되는 이동위치(64C) 및 상기 멈춤위치(64A)와 이동위치(64C)를 연결하는 연결 경사면(64D)이 형성되어 바퀴 브라켓(34)에 결합되는 위치고정몸체(64)와, 관통공(64A)에 삽입되고, 상부에는 연결 경사면(64D)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멈춤위치(64A)와 이동위치(64C)에 위치하도록 된 손잡이(66A)를 구비한 위치멈춤핀(66)과, 위치멈춤핀(66)과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어 위치멈춤핀(66)을 연직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멈춤용 탄성부재(68)로 구성된다.
멈춤공(62)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특정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멈춤용 탄성부재(68)는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안내봉(38)에 지지되어 위치멈춤핀(66)의 상부로 연직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위치멈춤핀(66)의 상면에는 안내봉(38)이 회피되기 위한 회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위치멈춤핀(66)은 멈충공(62)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멈춤용 탄성부재(68)가 지지되는 합성수지재의 상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금속재로 된 끼움부와 합성수지재로 된 상부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화될 것이다.
이러한 위치고정수단(60)은 이동용 발판부재(30)가 이동되지 않도록 그 위치를 고정한 후 회전용 발판부재(30)를 안정되게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용 발판부재(40)는 도 1 및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용 발판부재(30)에 축(42)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용 발판부재(40)는 이동용 발판부재(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용 발판부재(40)는 회전제어수단(5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데, 이 회전제어수단(50)은 이동용 발판부재(30)와 회전용 발판부재(4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용 발판부재(40)가 설정된 각도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되거나 멈추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회전제어수단(50)은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상면에 서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핀(52)과, 위치고정핀(52) 측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장공(54A)에 의해 이동용 발판부재(30)에 설치되고, 위치고정핀(52)이 삽입되기 위한 위치고정홈(54B)이 일측에 형성되며, 내측에는 캠부재(56)가 작동되기 위한 작동공(54C)이 형성된 위치고정부재(54)와, 상면에 회전용 발판부재(40)에 형성되는 캠안내홈(56A)에 삽입되는 안내돌기(56B)가 돌출 형성되어 작동공(54C)에 설치되는 캠부재(56)와, 회전용 발판부재(40)의 상면을 통하여 캠부재(56)에 결합되어 캠부재(56)를 캠안내홈(56A)의 괘적으로 회전시켜 위치고정부재(54)가 선택적으로 각 위치고정핀(52)과 결합되어 회전용 발판부재(40)의 회전각도가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노브부재(57)로 구성된다.
위치고정핀(52)은 축(42)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용 발판부재(40)가 이동용 발판부재(30)와 일치되게 겹쳐진 상태에서 그 기준선(C)을 기준으로 좌.우로 90°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정된 각도(또는 간격)를 유지하여 형성(설치)될 수 있다.
노브부재(57)는 회전용 발판부재(4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회전용 발판부재(40)에 형성되는 함몰된 홈에 설치된다. 그리고, 위치고정부재(54)는 장공(54A)을 관통하는 리벳, 돌기, 볼트 등에 의해 이동용 발판부재(30)에 장공(54A)의 거리가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노브부재(57)는 캠부재(56)와 결합된다. 따라서 노브부재(57)의 회전조작으로 캠부재(56)가 정해진 괘적으로 회전된다.
한편, 위치고정부재(54)를 위치고정핀(52) 측으로 밀어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54D)가 더 구비된다. 이 탄성부재(54D)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발판부재(30)에 지지되고, 타측은 위치고정부재(54)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설치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코일압축스프링, 코일인장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동자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회전용 발판부재(40)에 올라선 상태에서 손잡이부재(12)를 잡고 균형을 잡는다. 이때에는 각 회전용 발판부재(4)와 이동용 발판부재(30)가 겹쳐져 일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스위치(79)를 '온'시켜 타이머(78)에 의해 운동시간이 카운트 되어 화면(76A)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어서, 운동자는 양 발을 벌리게 되면 이동용 바퀴(32)가 안내레일(20)에서 구름운동을 하게 되어 양측의 이동용 발판부재(30)는 각각 중앙몸체(10)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운동자의 다리가 벌어질 때 운동자는 괄약근과 다리의 근육, 허벅지의 안쪽 근육을 이완시키게 된다. 이는 안내레일(20)이 오목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근육이 이완될 때 바퀴(32)가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구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때에도 운동자가 각 근육을 긴장시켜 이동용 발판부재(30)가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운동자가 벌어진 다리의 모으기 위해서는 괄약근과 허벅지의 안쪽 근육을 긴장시키면서 이동용 발판부재(30)를 중앙몸체(10) 측으로 근접시킨다.
이러한 동작으로 운동자의 괄약근 및 허벅지의 안쪽 근육은 물론, 허리의 기립근과 둔부근육도 같이 긴장과 이완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므로 근육이 강화되는 것이다.
한편, 이동용 발판부재(30)가 중앙몸체(10)에 근접되거나 접촉될 때, 바퀴 브라켓(34)과 중앙몸체(10)에 구비된 자석센서(72)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변환/제어부(74)로 감지한 신호를 전송한다. 신호변환/제어부(74)는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76A)에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왕복횟수를 카운트하여 표시한다. 이때, 신호변환/제어부(74)는 수신된 신호가 아날로그일 경우 디지탈로 변환하여 화면(76A)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76A)에는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이동횟수(왕복횟수)와 운동시간이 표시된다.
한편, 운동자가 양발의 왕복운동(벌리고 모으면서 괄약근과 허벅지 안쪽 근을 긴장/이완시키는 운동)을 통한 근육강화 운동을 멈추고, 힙업을 위한 둔부근육을 강화하고, 기립근, 골반과 허리, 다리 발목 등 다양한 부위의 근육을 긴장/이완시키기 위해서는 위치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용 발판부재(30)가 정지할 위치의 멈춤공(62)과 위치멈춤핀(66)을 일치시킨다.
이때, 위치멈춤핀(66)의 손잡이(66A)는 이동위치(64C)에 있다. 이동위치(64C)와 연결 경사면(64D)의 경계에는 단턱이 있어서 손잡이(66A)가 임의로 멈춤위치(64B)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손잡이(66A)를 위로 올려 이동위치(64C)에서 연결 경사면(64D)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위치멈춤핀(66)은 탄성부재(68)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탄력지지 되기 때문에 손잡이(66A)가 연결 경사면(64D)에 위치하게 되면 연결 경사면(64D)을 따라 멈춤위치(64B)로 스스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66A)가 탄성부재(68)에 의해 멈춤위치(64B)로 이동됨은 위치멈춤핀(66)의 하단부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공(62)에 삽입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동용 발판부재(30)는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노브부재(57)를 회전 조작하여 위치고정부재(54)을 후퇴시켜 위치고정핀(52)이 고정홈(54B)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즉, 위치고정부재(54)의 고정홈(54B)에 위치고정핀(52)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동 발판부재(30)와 회전용 발판부재(40)는 전방부를 향하여 일치되고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이나, 노브부재(57)를 조작하여 위치고정부재(54)를 후퇴시키게 되면 위치고정핀(52)이 고정홈(54B)에서 이탈되어 회전용 발판부재(40)의 회전이 설정된 각도내에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각각의 위치고정핀(52)은 이 45°, 90°, 180°의 등의 간격(회전용 발판부재는 기준선(C)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90°로 회전될 수 있다.)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용 발판부재(40)가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힙업을 위한 근육이 강화되도록 하기 위한 운동을 하기 위하여 양측의 발의 앞꿈치가 서로 모아지도록 회전용 발판부재(40)를 회전시킨다.
즉, 도 5에 도시된 "A"와 같이 양측의 회전용 발판부재(40)를 기준선(C)를 중심으로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5°- 90°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로 각각 회전시킨다. 이때, 노브부재(57)를 이용하여 캠부재(56)를 후진(위치고정부재를 위치고정핀에서 이격시킴)시킨 후 회전용 발판부재(40)가 기준선(C)을 중심으로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45°의 각도로 각각 회전되면, 노브부재(57)를 다시 최초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동작에 의해 캠부재(56)의 안내돌기(56B)가 캠 안내홈(56A)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캠부재(56)는 설정된 괘적(캠안내홈)을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캠부재(56)의 회전은 캠부재(56)의 외면과 위치고정부재(54)의 작동공(54C)이 접촉되어 위치고정부재(54)는 캠부재(56)의 회전에 의해 장공(54A)을 따라 위치고정핀(52)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위치고정부재(54)의 고정홈(54B)과 위치고정핀(52)이 일치되는 위치로 회전용 발판부재(40)를 회전시킨 후 노브부재(57)를 조작하여 위치고정핀(52)이 고정홈(54B)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탄성부재(54D)는 위치고정부재(54)를 위치고정핀(52) 측으로 탄력지지 하기 때문에 위치고정핀(52)이 고정홈(54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동자는 다리를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앞꿈치를 모으고 발을 좌,우측으로 슬라이딩운동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면 허리의 기립근, 둔부의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 등 힙업에 필요한 근육 및 허벅지의 안쪽 근육이 집중적으로 강화된다.
한편, 운동자는 발의 앞꿈치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린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하체의 다양한 근육이 긴장/이완 되면서 해당 근육들이 강화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제어수단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제어수단(50)은,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공(58)과, 회전용 발판부재(40)에 관통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위치고정공(58)에 삽입되어 회전용 발판부재(4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핀(59)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회전제어수단(50)은 위치고정핀(59)을 위치고정공(58)에 끼우는 작업만으로 회전용 발판부재(40)의 회전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위치고정공(58)은 다수개가 축(4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위치고정핀(59)를 하향 탄력 지지하도록 회전용 발판부재(40)의 저면과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한 위치고정핀(59)에 구비되는 탄성체(59A)와, 탄성체(59A)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위치고정핀(59)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59B)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운동자는 위치고정핀(59)을 위로 들어올린 후 발판부재(30)의 위치를 설정하여 위치고정핀(59)과 위치고정공(58)을 일치시킨 후 위치고정핀(59)을 위치고정공(58)에 삽입시킨다. 이때, 탄성체(59A)의 탄력지지 되는 위치고정핀(59)은 위치고정공(58)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Claims (12)
-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손잡이부재(12)를 구비한 중앙몸체(10);각각 설정된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몸체(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20);각 상기 레일부재(20)에서 구름 운동하도록 된 다수개의 이동용 바퀴(32)를 구비한 바퀴 브라켓(34)과 결합되어 상기 중앙몸체(10)를 중심으로 각 상기 레일부재(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용 발판부재(30);를 포함하고,각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상면에 축(42)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용 발판부재(40); 및각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와 각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40)가 설정된 각도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멈춤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와 회전용 발판부재(40) 사이에는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4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부재(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50)은,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상면에 서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핀(52);상기 위치고정핀(52) 측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장공(54A)에 의해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핀(52)이 삽입되기 위한 위치고정홈(54B)이 일측에 형성되며, 내측에는 작동공(54C)이 형성된 위치고정부재(54);상기 작동공(54C)에 설치되고, 상면에는 회전용 발판부재(40)에 형성되는 캠안내홈(56A)에 삽입되는 안내돌기(56B)가 돌출 형성된 캠부재(56); 및상기 회전용 발판부재(40)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캠부재(56)에 결합되어 상기 캠부재(56)를 상기 캠안내홈(56A)의 괘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위치고정부재(54)가 선택적으로 각 위치고정핀(52)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40)의 회전각도가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노브부재(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재(54)를 상기 위치고정핀(52) 측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54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50)은,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공(58); 및상기 회전용 발판부재(40)에 관통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고정공(58)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4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핀(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 청구항 5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50)은,상기 위치고정핀(59)를 하향 탄력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40)의 저면과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위치고정핀(59)에 구비되는 탄성체(59A); 및상기 탄성체(59A)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위치고정핀(59)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59B);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40)는 운동자의 발 앞꿈치가 서로 모아진 상태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각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와 겹쳐진 상태의 기준선(C)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5°- 90°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제어수단(50)에 의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회전용 발판부재(40)는 각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와 겹쳐진 상태의 기준선(C)에 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90°까지 회전되고, 상기 회전제어수단(50)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60)을 더 구비하되,상기 위치고정수단(60)은,상기 레일부재(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멈춤공(62);연직방향으로 천공된 관통공(64A)이 형성되고,상기 관통공(64A)의 상부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멈춤위치(64B)와, 상기 멈춤위치(64B) 보다 높은 영역에 형성되는 이동위치(64C) 및 상기 멈춤위치(64A)와 이동위치(64C)를 연결하는 연결 경사면(64D)이 형성되어 상기 바퀴 브라켓(34)에 결합되는 위치고정몸체(64);상기 관통공(64A)에 삽입되고, 상부에는 상기 연결 경사면(64D)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멈춤위치(64A)와 이동위치(64C)에 위치하는 손잡이(66A)를 구비한 위치멈춤핀(66); 및상기 위치멈춤핀(66)과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위치멈춤핀(66)을 연직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멈춤용 탄성부재(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60)을 더 구비하되,상기 위치고정수단(60)은,상기 레일부재(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멈춤공(62);연직방향으로 천공된 관통공(64A)이 형성되고,상기 관통공(64A)의 상부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멈춤위치(64B)와, 상기 멈춤위치(64B) 보다 높은 영역에 형성되는 이동위치(64C) 및 상기 멈춤위치(64A)와 이동위치(64C)를 연결하는 연결 경사면(64D)이 형성되어 상기 바퀴 브라켓(34)에 결합되는 위치고정몸체(64);상기 관통공(64A)에 삽입되고, 상부에는 상기 연결 경사면(64D)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멈춤위치(64A)와 이동위치(64C)에 위치하는 손잡이(66A)를 구비한 위치멈춤핀(66); 및상기 위치멈춤핀(66)과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위치멈춤핀(66)을 연직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멈춤용 탄성부재(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앙몸체(10)에는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왕복횟수를 카운트하고, 운동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70)가 더 구비되되,상기 표시부(70)는,상기 중앙몸체(10)와 상기 중앙몸체(10)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바퀴 브라켓(34)에 각각 구비되는 자석센서(72);상기 자석센서(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화면(76A)에 표시하기 위한 신호변환/제어부(74); 및상기 중앙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치(79)의 "온"시 시간을 카운트하여 화면(76A)에 표시하기 위한 타이머(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몸체(10)에는 상기 이동용 발판부재(30)의 왕복횟수를 카운트하고, 운동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70)가 더 구비되되,상기 표시부(70)는,상기 중앙몸체(10)와 상기 중앙몸체(10)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바퀴 브라켓(34)에 각각 구비되는 자석센서(72);상기 자석센서(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화면(76A)에 표시하기 신호변환/제어부(74); 및상기 중앙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치(79)의 "온"시 시간을 카운트하여 화면(76A)에 표시하기 위한 타이머(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8055A KR20090102543A (ko) | 2008-03-26 | 2008-03-26 | 하체 운동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8055A KR20090102543A (ko) | 2008-03-26 | 2008-03-26 | 하체 운동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2543A true KR20090102543A (ko) | 2009-09-30 |
Family
ID=4136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8055A KR20090102543A (ko) | 2008-03-26 | 2008-03-26 | 하체 운동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02543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6419B1 (ko) * | 2014-02-13 | 2015-03-26 | 박윤찬 | 다리 찢기 운동기구 |
KR20220002352U (ko) * | 2021-03-24 | 2022-10-05 | 주식회사 이고진 | 하체운동기구 |
WO2023114236A1 (en) * | 2021-12-13 | 2023-06-22 | Gridley Rebekah C | Biometric hip rehabilitation device with guided and controlled resistance |
-
2008
- 2008-03-26 KR KR1020080028055A patent/KR20090102543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6419B1 (ko) * | 2014-02-13 | 2015-03-26 | 박윤찬 | 다리 찢기 운동기구 |
KR20220002352U (ko) * | 2021-03-24 | 2022-10-05 | 주식회사 이고진 | 하체운동기구 |
WO2023114236A1 (en) * | 2021-12-13 | 2023-06-22 | Gridley Rebekah C | Biometric hip rehabilitation device with guided and controlled resista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20990B1 (en) | Jumping jack exercise machine | |
KR100783744B1 (ko) | 하체운동기구 | |
KR100923868B1 (ko) |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 |
US20110245047A1 (en) | Gluteus Weight Training Machine | |
KR102071893B1 (ko) | 스쿼트 및 로망체어 운동이 가능한 복합운동기구 | |
KR20110004642U (ko) | 복합 운동기구 | |
KR200436589Y1 (ko) | 다리 스트레칭 기구 | |
KR20090102543A (ko) | 하체 운동기구 | |
US20050181914A1 (en) | Portable, intussusceptible exercise apparatus for stretching and kicking | |
KR200446091Y1 (ko) | 괄약근 운동 기구 | |
KR101244716B1 (ko) |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 |
KR100869178B1 (ko) |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 |
KR101323261B1 (ko) |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 | |
KR101745345B1 (ko) | 괄약근 운동기구 | |
KR200437422Y1 (ko) | 자동트위스트 기능을 가진 스텝퍼 | |
KR200463832Y1 (ko) | 멀티힙 운동기구 | |
CN102847278A (zh) | 下肢训练器 | |
US20030130097A1 (en) | Quadricep isolation exercise apparatus | |
KR101974454B1 (ko) | 다용도 운동기구 | |
KR102618260B1 (ko) |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 |
CN2391499Y (zh) | 健身椅 | |
KR20100075808A (ko) | 스텝퍼의 트위스터 손잡이 | |
CN109350919A (zh) | 一种多功能健身器材 | |
KR200276266Y1 (ko) |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 |
KR200292240Y1 (ko) | 곡선운동 슬라이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