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418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418A
KR20090102418A KR1020080027853A KR20080027853A KR20090102418A KR 20090102418 A KR20090102418 A KR 20090102418A KR 1020080027853 A KR1020080027853 A KR 1020080027853A KR 20080027853 A KR20080027853 A KR 20080027853A KR 20090102418 A KR20090102418 A KR 20090102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dryer
support plate
washing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2418A/ko
Publication of KR2009010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41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가 인접하여 구비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에서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세탁기에서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세탁장치에 의하면, 세탁기에서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을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고 용이하게 건조기로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세탁장치 {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인접하여 구비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세탁기에서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을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고 용이하게 건조기로 투입할 수 있는 세탁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대상물의 때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기와,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이러한 세탁 및 건조기의 기능을 모두 구비한 콤보 타입의 건조겸용 세탁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인접하여 구비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활용하는 예도 증가하고 있는 바, 이러한 예도 세탁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탁장치는 세탁대상물을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로딩방식(top loading type)과 프론트로딩 방식(front loading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에는 세탁대상물을 세탁장치의 전면에서 투입할 수 있는 프론트로딩 방식, 일명 드럼 타입의 세탁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기와 건조기를 인접하여 구비하여 하나의 유닛처럼 활용하는 세탁장치에서는, 먼저 세탁기에서 세탁을 하게 되고,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을 건조기로 이동하여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세탁기와 건조기가 아무리 근접하여 설치되더라도, 세탁기에서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을 건조기로 이동시키는 것은 매우 불편하였다. 즉, 세탁대상물을 일일이 하나씩 세탁기에서 건조기로 이동시키는 것은 매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한번에 많은 양을 이동시키는 경우, 바닥에 세탁대상물을 떨어뜨려 세탁대상물이 오염되어 다시 세탁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세탁기와 건조기를 인접하여 구비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세탁기에서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을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고 용이하게 건조기로 투입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와 건조기가 인접하여 구비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에서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세탁기에서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 사이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고, 상기 세탁기의 전면부로 회동하여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 사이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가 대향하는 일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대향하는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 사이에서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제1 가이드부재에 각각 회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일측벽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하부를 가이드하도록 한 쌍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면에 형성된 도어부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 인접한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를 지지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세탁장치의 전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면에 형성된 도어부의 하부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회동하여 서로 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도어부 하부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수납홈이 각각 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 시에 다른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드로워; 및 상기 드로워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드로워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세탁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면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내측에는 세탁대상물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바스켓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인접하여 구비하는 경우에 세탁기에서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세탁대상물을 건조기로 옮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대상물을 세탁기에서 건조기로 옮기는 경우에 세탁대상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2 가이드부재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한 세탁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지지플레이트를 하나만 구비한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및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가 인접하여 구비되는 장치를 세탁장치로 사용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구비하게 되며, 세탁장치(100)에서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세탁기(10)에서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는 지지유닛(20)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는 세탁기에서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유닛(20)을 구비하게 되며, 나아가 이러한 지지유닛(20)은 세탁장치(10)에서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세탁기(10)에서 건조기(60)로 세탁대상물을 옮기고자 하는 경우에 지지유닛(20)을 이용하여 세탁대상물을 떨어뜨리지 않고 용이하게 옮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지지유닛(20)은 세탁장치(100)에서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탁장치(10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이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지지유닛(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20)은 세탁장치(10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경우에,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먼저 지지유닛(20)이 세탁기(10)측에 구비되는 경우에 지지유닛(20)의 상부에 세탁대상물을 안착시키고, 지지유닛(20)을 건조기(60)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세탁기(10)에서 건조기(60)로 세탁대상물을 옮기는 경우에 단시간 내에 용이하게 옮기는 것이 가능해지며, 나아가 세탁대상물을 바닥에 떨어뜨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20)은 지지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며, 지지플레이트(22)는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에서 화살표 A를 따라 전방으로 인출되고, 화살표 B 방향을 따라 세탁기(10)의 전면부로 회동하여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를 화살표 C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즉, 지지유닛(2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지지플레이트(22)는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의 공간에 수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지지플레이트(22)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지지플레이트(22)를 화살표 A를 따라 잡아당겨 인출하게 된다.
이 경우, 세탁기(10)와 건조기(60)는 지지플레이트(22)가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spacer)(70)를 사이에 구비한다. 이러한 스페이서(70)는 착탈 가능하게 세탁기(10) 및 건조기(60) 사이에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스페이서(70)를 자석과 같이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70)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경우, 인출된 스페이서(70)에 세탁대상물을 걸어둘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세탁기(10)에서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을 건조기(60)로 옮기게 되므로,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에서 인출된 지지플레이트(22)는 먼저 세탁기(10)의 전면으로 회동하여 세탁기(10)의 도어부(14)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세탁기(10)와 건조기(60)에는 지지플레이트(22)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가이드부재(30)는 세탁기(10)와 건조기(60)가 마주보는 어느 일측벽에 구비되어 지지플레이트(22)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40) 및 세탁기(10)와 건조기(60)의 전면에 구비되어 지지플레이트(22)가 회동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 가이드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40)는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에서 지지플레이트(22)를 인출하는 경우에 지지플레이트(22)가 정확하게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가이드부재(40)는 세탁기(10)와 건조기(50)가 서로 마주보는 측벽 중에 어느 한쪽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부재(40)는 세탁기(10) 또는 건조기(60)의 어느 일측벽에 구비되어, 지지플레이트(22)의 상부 및 하부를 가이드하도록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플레이트(22)를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에서 전방으로 인출한 다음, 세탁기(10)쪽으로 화살표 B를 따라 회동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가이드부재(50)가 회동한 지지플레이트(22)를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하게 된다.
도 2는 제2 가이드부재(50)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가이드부재(50)는 세탁기(10) 및 건조기(60)의 전면에 형성된 도어부(도 1 참조, 14, 64)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부재(50)는 지지플레이트(22)의 세탁기(10) 또는 건조기(60)에 인접한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제1 고정부(52) 및 지지플레이트(2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플레이트(22)의 일측 상부를 지지하는 제2 고정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플레이트(22)의 일측 하부에는 고정을 위한 돌출부(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52)는 돌출부(24)를 지지하도록 세탁기(10) 및 건조기(6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54)는 제1 고정부(52)에 대응하여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플레이트(22)의 일측 상부를 고정하게 된다.
제2 고정부(54)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지지플레이트(22)를 제1 고정부(52)를 향해 회동시키는 경우에 제2 고정부(54)에 간섭되어 회동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22)를 제1 고정부(52)를 향해 회동시키는 경우, 제2 고정부(54)는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면에 형성된 오목부(12)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지지플레이트(22)의 일측 하부가 제1 고정부(52)에 지지되면, 제2 고정부(54)를 회동시켜 지지플레이트(22)의 일측 상부를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고정부(54)가 지지플레이트(2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고정부(54)의 회동축(55)에는 제2 고정부(54)에 대해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고정부(52, 54)는 세탁기(10)뿐만 아니라 건조기(60)의 전면에도 형성되므로, 지지플레이트(22)는 제1 및 제2 고정부(52, 54)에 의해 가이드되어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경우에 도 1의 화살표 C를 따라 세탁기(10)의 제1 및 제2 고정부(52, 54)에서 건조기(60)의 제1 및 제2 고정부 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세탁기(10)의 제1 및 제2 고정부(52, 54)와 건조기(60)의 제1 및 제2 고정부 사이에는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틈이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틈이 지지플레이트(22)의 길이보다 짧도록 세탁기(10)와 건조기(60)를 설치하게 되면, 지지플레이트(22)가 상기 틈에도 불구하고 세탁기(10)에서 건조기(60) 쪽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1 에서 지지플레이트(122, 132)를 한 쌍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지지플레이트(122, 13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1 가이드부재(140)는 세탁기(10) 및 건조기(60)의 대향하는 측벽에 각각 형성된다. 즉, 지지플레이트(122, 132)는 세탁기(10)의 제1 가이드부재(142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1 지지플레이트(122)와, 건조기(60)의 제1 가이드부재(144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지지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122, 132)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22, 132)를 모두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에서 인출한 다음, 각각 세탁기(10)와 건조기(60)를 향해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세탁기(10)와 건조기(60)의 도어부(114, 164) 하부에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122, 132)가 모두 구비되어 세탁기(10)와 건조기(60)를 연결하는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122, 132)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통로를 통해 세탁대상물을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플레이트(122, 132)를 한 쌍 구비하더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쌍의 형성하는 제1 또는 제2 지지플레이트(122, 132) 중에 어느 하나의 지지플레이트만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와 사용과정이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세탁기에서 건조기로 세탁대상물을 옮기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세탁이 끝난 경우, 지지플레이트(22)를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에서 인출하여 세탁기(10)의 도어(14) 하부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재(50)를 향하여 회동시켜 고정한다.
이어서, 세탁기(10)에서 세탁대상물을 꺼내어 지지플레이트(22)의 상부에 안착시킨 다음, 지지플레이트(22)를 건조기(60)를 향해 밀어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이 경우, 지지플레이트(22)는 제2 가이드부재(50)를 따라 세탁기(10)에서 건조기(60)를 향해 슬라이딩하게 된다.
지지플레이트(22)가 건조기(60)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건조기(60)의 도어(64) 하부에 이르게 되면, 사용자는 건조기의 도어(65)를 개방하여 세탁대상물을 건조기(60)의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지지플레이트를 한 쌍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122, 132)를 인출한 다음, 각각 세탁기(10)와 건조기(60)를 향해 회동시켜 지지플레이트(122, 132)에 의해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세탁기(10)에서 세탁대상물을 꺼내에 세탁기(10) 도어(114) 하부의 지지플레이트(122)의 상부에 안착시킨 다음, 세탁대상물을 건조기(60) 측으로 밀게 된다. 이 경우, 세탁기(10)와 건조기(60)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122, 132)에 의해 통로가 형성되므로, 세탁대상물은 세탁기(10)의 제1 지지플레이트(122)에서 건조기(60)의 제2 지지플레이트(132)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건조기(60)의 제2 지지플레이트(132)로 세탁대상물을 이동시킨 다음, 사용자는 세탁대상물을 건조기(60)의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지지플레이트가 전면에 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지지플레이트(222, 232)는 세탁장치(200)의 전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체적으로 지지플레이트(222, 23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세탁기(210) 및 건조기(260)의 전면에 형성된 도어부(214, 264)의 하부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회동하여 서로 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유닛을 이루는 지지플레이트(222. 232)는 세탁기(210) 및 건조기(260)의 전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플레이트(222, 232)는 세탁기(210) 및 건조기(260)의 전면에 형성된 도어부(214, 264)의 하부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210) 및 건조기(260)의 도어부(214, 264)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222, 232)가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수납홈(224, 세탁기의 수납홈만 도시)이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지지플레이트(222, 23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지지플레이트(222, 232)는 수납홈(224)에 인입되어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가 지지플레이트(222, 23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22, 232)의 일측을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플레이트(222, 232)를 인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세탁기(210)에서 인출되는 지지플레이트(222)는 건조기(260)를 향하여 회동하게 되며, 건조기(260)에서 인출되는 지지플레이트(232)는 세탁기(210)를 향하여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세탁기(210)의 지지플레이트(222) 및 건조기(260)의 지지플레이트(232)가 각각 회동하여 만나게 되어 연결되면, 세탁기(210)와 건조기(260)의 도어부(214, 264) 하부를 연결하는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각 지지플레이트(222, 232)는 90°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측 지지플레이트가 90°이상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22, 232)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플레이트(222, 232)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자성을 가지는 자석 등을 이용하는 구성 등에 다양하게 실현이 가능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기(210) 및 건조기(260)의 도어부(214, 264)의 하부에 펼쳐진 지지플레이트(222, 232)에 세탁기(210)에서 꺼낸 세탁대상물을 올려놓고 바로 건조기(260)의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4에서 지지플레이트를 하나만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지지플레이트(222)가 세탁기(2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지지플레이트(222)는 90°이상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80°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지지플레이트(222)가 180° 회동을 하게 되면, 인접한 건조기(260)의 전면에 닿게 되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222)를 하나만 구비하여도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세탁기(210)와 건조기(260)의 도어부(214, 264) 하부에 지지플레이트(222)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5에서는 하나의 지지플레이트(222)가 세탁기(2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건조기(260)에 하나의 지지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세탁기(210)를 향하여 회동하는 구성도 포함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세탁기(210)에 지지플레이트(222)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과 회동 방향만 다를 뿐 매우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은 세탁기(310) 및 건조기(36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드로워(312, 362) 및 드로워(312, 362)가 개방된 경우에 드로워(312, 362)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세탁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커버(320, 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워(312, 362)의 내측에는 세탁대상물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바스켓(330, 38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드로워(312, 362)는 세탁기(310) 및 건조기(360)의 전면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대상물을 세탁기(310)에서 꺼내는 경우 사용자는 세탁기(310)의 드로워(312)를 인출하여 바스켓(330)을 드로워(312)에서 꺼낸 다음, 상부커버(320)로 드로워(312)의 상부를 덮게 된다. 이어서, 빈 바스켓(330)을 세탁기(310) 드로워(312)의 상부커버(320)의 위에 올려놓은 다음, 세탁대상물을 세탁기(310)에서 꺼내어 바스켓(330)에 담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건조기(360)에 구비된 드로워(362)를 인출하고, 상부커버(370)로 건조기(360)의 드로워(362)의 상부를 덮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대상물이 담긴 바스켓(330)을 세탁기(310)의 드로워(312)에서 건조기(360)의 드로워(362)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세탁대상물이 담긴 바스켓(330)을 건조기(360) 드로워(362)의 상부커버(370)의 위로 옮긴 다음, 사용자는 바스켓(330)에서 건조기(360)의 내부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게 된다.

Claims (17)

  1. 세탁기와 건조기가 인접하여 구비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에서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세탁기에서 세탁을 마친 세탁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 사이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고, 상기 세탁기의 전면부로 회동하여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 사이를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가 대향하는 일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대향하는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 사이에서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제1 가이드부재에 각각 회동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일측벽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하부를 가이드하도록 한 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면에 형성된 도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 인접한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를 지지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세탁장치의 전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면에 형성된 도어부의 하부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회동하여 서로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도어부 하부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수납홈이 각각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 시에 다른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드로워; 및
    상기 드로워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드로워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세탁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면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내측에는 세탁대상물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바스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080027853A 2008-03-26 2008-03-26 세탁장치 KR20090102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853A KR20090102418A (ko) 2008-03-26 2008-03-26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853A KR20090102418A (ko) 2008-03-26 2008-03-26 세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18A true KR20090102418A (ko) 2009-09-30

Family

ID=4135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853A KR20090102418A (ko) 2008-03-26 2008-03-26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24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5707A (zh) * 2018-01-18 2019-07-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衣物处理装置
CN110055706A (zh) * 2018-01-18 2019-07-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衣物处理装置
CN110055713A (zh) * 2018-01-18 2019-07-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衣物处理装置
CN110055711A (zh) * 2018-01-18 2019-07-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衣物处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5707A (zh) * 2018-01-18 2019-07-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衣物处理装置
CN110055706A (zh) * 2018-01-18 2019-07-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衣物处理装置
CN110055713A (zh) * 2018-01-18 2019-07-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衣物处理装置
CN110055711A (zh) * 2018-01-18 2019-07-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衣物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9403A (ko) 세탁기
EP1903137B1 (en) Washing machine
KR20090102413A (ko) 세탁장치
AU2008249164B2 (en) Washing machine
US8234888B2 (en) Washing machine
US10246811B2 (en) Washing machine
CA2722531C (en) Washing machine
KR101500186B1 (ko) 드럼 세탁기
KR20090102418A (ko) 세탁장치
US20120210753A1 (en) Washing machine
WO2017030359A1 (en) Rack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KR10257062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20085121A (ko) 트레이를 갖는 세탁기
KR202301562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080032362A (ko) 세탁기용 받침대
US20190017209A1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KR10264589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127869A (ko) 다용도 선반을 구비한 드럼세탁기
KR20160084077A (ko) 세탁장치
KR101801574B1 (ko) 세탁장치
CA2664029C (en) Washing machine
KR102378131B1 (ko)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1996619B1 (ko) 슬림형 세탁 및 건조기
KR10241332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200041101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