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808A - 세발자전거 - Google Patents

세발자전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808A
KR20090101808A KR1020080107006A KR20080107006A KR20090101808A KR 20090101808 A KR20090101808 A KR 20090101808A KR 1020080107006 A KR1020080107006 A KR 1020080107006A KR 20080107006 A KR20080107006 A KR 20080107006A KR 20090101808 A KR20090101808 A KR 20090101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ycle
wheel
saddle
front wheel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782B1 (ko
Inventor
오휘진
Original Assignee
오휘진
박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휘진, 박소현 filed Critical 오휘진
Priority to KR1020080107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78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7/00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ssisting bal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 세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발자전거의 후부에서 어린이의 보호자가 조향조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발자전거{A TRIKE FOR KIDS}
본 발명은 어린이 세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전륜 조향부와 함께 구비된 페달을 밟아 돌려 전진하며 후륜은 병렬형태로 배치되어 지면에서 전륜 하나와 후륜 두 개가 삼각형을 이루고 안정적으로 탑승가능하며, 어린이의 보호자가 후륜부측의 뒤에서 밀거나 당기거나 또는 전륜 조향부를 원거리에서 조향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에서 종래에는 보호자가 후방에서 어린이 세발자전거(10)를 밀고 갈때에 방향의 조정 즉, 조향이 용이하도록 전방핸들(Ha)과는 별도로 후방에 후방핸들(14)을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후방핸들(14)의 조향조작과 연동하는 커넥터(14C)의 설치를 통하여 전방의 스트럿(11)으로 상기 조향조작이 전달되어 전륜을 조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세발자전거는 대한민국 출원특허 제10-2005-0125054호(출원일자 2005년12월19일)에서 제공된 바 있다.
본 발명은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조향조작을 전달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를 탈피하여 간단한 구조의 세발자전거 후방조작 조향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2 및 도3에서 세발자전거(100) 전방핸들(Ha)을 지지하는 스트럿(110)의 회전축(110a)으로부터 후방으로 간격(D)를 두고 편심되도록 물러서는 전륜(Wf)과; 상기 세발자전거의 후방에는 후방 조향조작부(140)가 구성된 도면이 도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어린이는 직접 크랭크 페달(Cr)을 발로 구르거나 보호자가 후방에서 상기 세발자전거를 상기 후방 조향조작부(140)의 손잡이(141)를 파지하고 밀어서 진행하도록 된다.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조향시에는, 도4에서 상기 후방 조향조작부 손잡이(14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칠 때 후륜(Wr)을 축(AX)로 상기 전륜(Wf)측이 캐스터(Caster)의 작용을 하게 되어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이 외에 보호자가 세발자전거를 밀고 나갈 때 아이의 발을 편하게 쉬도록 상기 크랭크 페달을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기존의 기술을 인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크랭크 페달이 상기 전륜에서 공회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일 예이다.
이 외에 다른 구성요소의 형태, 기능, 결합관계 등은 상기 출원특허 제10-2005-0125054호 또는 기타 공지의 기술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볍고 간단한 구조의 세발자전거 후방 조향수단을 제공 한다
도1 기존 후방핸들/후방 조향수단을 갖춘 세발자전거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도면
도2 측면도
도3 캐스터 형태 전륜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4 동작도
도5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도2 및 도3에서 세발자전거(100) 전방핸들(Ha)을 지지하는 스트럿(110)의 회전축(110a)으로부터 후방으로 간격(D)를 두고 편심되도록 물러서는 전륜(Wf)과; 상기 회전축(110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주프레임(120) 상에 안장(Sa)이 구비되고 상기 주프레임(120)의 후단에 후륜(Wr)을 지지하는 후륜프레임(130)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프레임의 후방에는 후방 조향조작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후방 조향조작부는 상기 주프레임 후단 또는 상기 후륜프레임 또는 상기 안장 어느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어린이는 직접 크랭크 페달(Cr)을 발로 구르거나 보호자가 후방에서 상기 세발자전거를 상기 후방 조향조작부(140)의 손잡이(141)를 파지하고 밀어서 진행하도록 된다.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조향시에는, 도4에서 상기 후방 조향조작부 손잡이(14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칠 때 후륜(Wr)을 지렛대의 축(AX)로 상기 전륜(Wf)측이 캐스터(Caster)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되어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정리하면,
전륜의 지면 접촉점이 전방핸들을 지지하는 스트럿의 회전축으로부터 후방으로 편심되고; 후륜이 구비되는 후방에는 후방 조향조작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 조향조작부는 탈착, 절첩 또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Claims (3)

  1. 세발자전거 전방핸들을 지지하는 스트럿의 회전축으로부터 후방으로 편심되도록 물러서는 전륜과; 상기 세발자전거의 후방에는 후방 조향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자전거
  2. 세발자전거에 있어서,
    전륜의 지면 접촉점이 전방핸들을 지지하는 스트럿의 회전축으로부터 후방으로 편심되고; 후륜이 구비되는 후방에는 후방 조향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자전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조향조작부는 탈착, 절첩 또는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자전거
KR1020080107006A 2008-10-30 2008-10-30 세발자전거 KR101013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006A KR101013782B1 (ko) 2008-10-30 2008-10-30 세발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006A KR101013782B1 (ko) 2008-10-30 2008-10-30 세발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808A true KR20090101808A (ko) 2009-09-29
KR101013782B1 KR101013782B1 (ko) 2011-02-16

Family

ID=4135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006A KR101013782B1 (ko) 2008-10-30 2008-10-30 세발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0273B2 (en) 2011-08-12 2015-10-06 Smart Trike Mnf Pte Ltd Dual steerable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3848A (en) 1927-02-03 1931-02-24 Frank F Taylor Company Child's vehicle
JPH0631432Y2 (ja) * 1989-06-16 1994-08-22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マイクロ波測定治具
JP3378898B2 (ja) * 2000-03-06 2003-02-17 株式会社プラスワン 幼児用三輪車
US6302421B1 (en) * 2000-05-15 2001-10-16 Aaron Lee Vehicle with swivel control of casters for enabling rider or external steer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0273B2 (en) 2011-08-12 2015-10-06 Smart Trike Mnf Pte Ltd Dual steerable vehicle
US9162727B2 (en) 2011-08-12 2015-10-20 Smart Trike Mnf Pte Ltd. Tricycle vehicle having a swivel wheel and a cart
US9371109B2 (en) 2011-08-12 2016-06-21 Yoram Baron Vehicle having a swivel wheel
US9610999B2 (en) 2011-08-12 2017-04-04 Smart Trike Mnf Pte Ltd Dual steerable vehicle
US10479432B2 (en) 2011-08-12 2019-11-19 Smart Trike Mnf Pte Ltd Vehicle having a swivel 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782B1 (ko)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201170216A1 (ru) Велосипед
US10315725B2 (en) Bicycle with rear drive assembly for elliptical movement
WO2008023369A3 (en) Pedal-powered vehicle
ATE391479T1 (de) Mobilitätsassistenzfahrzeug
US10011316B2 (en) Vehicle with foldable double-wheel assembly
DK1900610T3 (da) Dollyaksel
DE602004032210D1 (de) Dreirad mit zusätzlichem Getriebelenkmechanismus
US20160304149A1 (en) Tricycle with two riding modes
TW200624319A (en) A tricycle
KR101013782B1 (ko) 세발자전거
CN102700675A (zh) 手驱动手控制链轮链条式代步器
KR20060038411A (ko) 스윙식 추진장치
JP2014046798A (ja) 自動二輪車の連動ブレーキ装置
CN201800832U (zh) 四轮驱动变速脚踏车
JP2009061902A (ja) 鞍乗型三輪車
CN103523132A (zh) 摆式脚踏倒三轮车
US8286973B1 (en) Animal imitating tricycle
JP2010202022A (ja) 2分割前輪自転車
JP3199341U (ja) 前輪2輪の3輪自転車
KR20080004928U (ko) 핸들이 없는 세발자전거
KR200222768Y1 (ko) 어린이용 스쿠터
JP2006205909A (ja) 二輪車操縦装置
KR101650663B1 (ko) 소형 자전거
KR20110100063A (ko) 전동삼륜차
KR200386612Y1 (ko) 측일륜을 갖는 삼륜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