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주요 구성 요소의 배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피사체(OBJ)와, 상기 피사체(OBJ)의 상이 맺히는 이미지 센서(IMG)사이에 상기 피사체(OBJ)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열된 제1 렌즈(Ⅰ), 제2 렌즈(Ⅱ), 제3 렌즈(Ⅲ), 제4 렌즈(Ⅳ) 및 제5 렌즈(Ⅴ)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렌즈(Ⅰ)는 정(正, positive)의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피사체(OBJ) 및 이미지 센서(IMG) 양측으로 볼록하다. 상기 제2 렌즈(Ⅱ)는 부(負, negative)의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피사체(OBJ)측으로 볼록하다. 상기 제3 렌즈(Ⅲ)는 부(負, negative)의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피사체(OBJ)측으로 볼록하다. 상기 제4 렌즈(Ⅳ)는 정(正, positive)의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이미지 센서(IMG) 측으로 볼록하다. 상기 제5 렌즈(Ⅴ)는 부(負, negative)의 굴절률을 가지고, 입사면과 출사면은 복수의 변곡점을 가진다.
상기 제1 렌즈(Ⅰ), 2렌즈(Ⅱ), 3렌즈(Ⅲ), 4렌즈(Ⅳ) 및 5렌즈(Ⅴ)는 각각 입사면과 출사면이 모두 비구면이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렌즈(Ⅱ)와 제3 렌즈(Ⅲ)는 보정렌즈 역할을 한다. 상기 피사체(OBJ)와 제1렌즈(Ⅰ)사이에는 조리개(S)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Ⅴ)와 이미지 센서(IMG)사이에는 적외선 차단수단(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리개(S)와 적외선 차단수단(Ⅵ)의 배치위치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다음의 수학식 1 내지 4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
1.0〈 f1/f4 〈 2.0
여기서, f1은 제1 렌즈(Ⅰ)의 초점거리이고, f4는 제4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수학식 1은 제1 렌즈(Ⅰ)의 구면수차를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다. 수학식 1에서 f1/f4이 하한값(1.0)이하인 경우, 구면수차의 보정이 쉬워지나, 렌즈계전체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가 없게 된다. 반면, 수학식 1에서 f1/f4이 상한값(2.0)이상인 경우 렌즈계 전체는 컴팩트해질 수 있으나, 구면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질 수 있다.
0.01〈 f2/f3 〈 0.02
여기서, f2는 제2 렌즈(Ⅱ)의 초점거리이고, f3는 제3 렌즈(Ⅲ)의 초점거리이다.
수학식 2는 렌즈계 전체를 컴팩트하게 유지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다. 수학식2에서, f2/f3이 하한값(0.01)이하인 경우, 렌즈계 전체를 소형화 할 수 있으나, 각종 수차보정이 어려워진다. 반면, 수학식 1에서 f2/f3이 상한값(0.02)이상인 경우 렌즈계가 커져버리게 된다.
30〈 Vd1 ― Vd2 〈 35
여기서, Vd1은 제1 렌즈(Ⅰ)의 d선 아베수이고, Vd2 은 제2 렌즈(Ⅱ)의 d선 아베수이다.
수학식 3은 렌즈계 전체의 색수차를 줄이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다.
수학식 3에서, Vd1 ― Vd2이 하한값(30)이하인 경우, 렌즈계 전체는 컴팩트해지지만, 구면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진다. 반면, 수학식 3에서, Vd1 ― Vd2이 상한값(35)이상인 경우, 렌즈계 전체는 구면수차의 보정은 쉬워지나, 렌즈계 전체를 컴팩트하게 줄이는 것이 어렵게 된다.
1.2〈 ∑D5/f 〈 1.6
여기서, ∑D5은 제1 렌즈(Ⅰ)의 입사면(2*)과 제5 렌즈(Ⅴ)의 출사면(11*)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f는 렌즈 광학계 전체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수학식 4는 렌즈계 전체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는 조건을 나타낸다.
수학식 4에서, ∑D5/f 이 하한값(1.2)이하인 경우, 렌즈계 전체는 구면수차의 보정이 쉬어지나, 렌즈계 전체를 컴팩트하기가 어려워진다. 반면, 수학식 4에서, ∑D5/f 이 상한값(1.6)이상인 경우, 렌즈계 전체는 컴팩트해지나, 구면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진다.
한편, 결상면이 CCD나 CMOS인 경우에, 센서의 특성상 각 화소의 광선도에는 제약이 있으며, 화면의 주변부를 향해 광선각도가 크게 되어 버린다. 이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 상기 제5 렌즈(Ⅴ)의 상면측의 렌즈면 주변부를 상면측으로 불록면을 향하게 한 변곡 비구면으로 하여 주광선 최대 사출각이 25도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구면수차가 보정되며, 또한 복수의 비구면 변곡점을 설치하여 코마수차와 비점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디스토션의 보정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렌즈 데이터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본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에 대한 곡률반경, 렌즈두께, 굴절률 및 아베상수를 나타낸다.
표 1에서, r은 곡률 반경, d는 렌즈 두께, Nd는 d선(d-line)을 이용하여 측정한 렌즈의 굴절률, Vd은 하기의 수학식 5에서 정의되는 아베수(Abbe's number)를 나타낸다. 표 1 및 표 2의 렌즈면 번호에서 *는 해당 렌즈면이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곡률반경(r)과 렌즈두께(t)의 단위는 mm이다.
여기서, NF는 Ftjs(f-line)을 이용하여 측정한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C은 C선(C-line)를 이용하여 측정한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광학계의 구경비(Fno)는 2.8이고, 초점거리(f)는 6.18mm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서 렌즈의 비구면을 다음의 수학식 6의 비구면방정식을 만족한다.
여기서, X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내고,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내고,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의 역수(1/r)를 나타내고,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나타내고, A,B,C,D 및 E는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에 대한 비구면계수를 나타낸다.
면 |
K |
A |
B |
C |
2* |
-0.15 |
-0.0009 |
-0.0025 |
0.000002 |
3* |
-827.792 |
-0.0098 |
-0.0050 |
-0.0005 |
4* |
209.394 |
-0.005 |
-0.005 |
0.0002 |
5* |
1.246 |
-0.007 |
0.001 |
0.001 |
6* |
-37.53 |
-0.019 |
-0.004 |
0.0001 |
7* |
-35.87 |
-0.013 |
-0.002 |
-0.0002 |
8* |
7.784 |
-0.017 |
0.005 |
-0.0005 |
9* |
-3.174 |
-0.03 |
0.005 |
-0.0006 |
10* |
-0.00004 |
-0.011 |
0.001 |
-0.000003 |
11* |
-6.511 |
-0.012 |
0.001 |
-0.000006 |
아래의 표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에 대한 곡률반경(r), 렌즈두께(t), 굴절률(Nd) 및 아베상수(Vd)를 나타낸다.
표 3에서, r은 곡률 반경, d는 렌즈 두께, Nd는 d선(d-line)을 이용하여 측정한 렌즈의 굴절률, Vd은 수학식 5에서 정의되는 아베수(Abbe's number)를 나타낸다. 표 3의 렌즈면 번호에서 *는 해당 렌즈면이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곡률반경(r)과 렌즈두께(t)의 단위는 mm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광학계의 구경비(Fno)는 2.8이고, 초점거리(f)는 6.31mm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서 렌즈의 비구면을 수학식 6의 비구면방정식을 만족한다.
아래의 표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에 대한 비구면계수를 나타낸다.
면 |
K |
A |
B |
C |
2* |
-0.145 |
-0.0009 |
-0.0020 |
0.000003 |
3* |
-831.535 |
-0.009 |
-0.0050 |
-0.0008 |
4* |
207.609 |
-0.005 |
-0.005 |
0.0002 |
5* |
1.239 |
-0.007 |
0.001 |
-0.001 |
6* |
-36.77 |
-0.01 |
-0.004 |
0.001 |
7* |
-35.60 |
-0.013 |
-0.002 |
-0.0002 |
8* |
7.785 |
-0.018 |
0.005 |
-0.0005 |
9* |
-3.31 |
-0.03 |
0.005 |
-0.0006 |
10* |
-0.00003 |
-0.011 |
0.001 |
0.000003 |
11* |
-6.553 |
-0.012 |
0.001 |
-0.000006 |
아래의 표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에 대한 곡률반경(r), 렌즈두께(t), 굴절률(Nd) 및 아베상수(Vd)를 나타낸다.
표 5에서, r은 곡률 반경, d는 렌즈 두께, Nd는 d선(d-line)을 이용하여 측정한 렌즈의 굴절률, Vd은 수학식 5에서 정의되는 아베수(Abbe's number)를 나타낸다. 표 5의 렌즈면 번호에서 *는 해당 렌즈면이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곡률반경(r)과 렌즈두께(t)의 단위는 mm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광학계의 구경비(Fno)는 2.8이고, 초점거리(f)는 6.26mm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서 렌즈의 비구면을 수학식 6의 비구면방정식을 만족한다.
아래의 표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에 대한 비구면계수를 나타낸다.
면 |
K |
A |
B |
C |
2* |
-0.150 |
-0.0009 |
-0.0020 |
0.000004 |
3* |
-816.101 |
-0.009 |
-0.0050 |
-0.0005 |
4* |
206.791 |
-0.005 |
-0.005 |
0.0009 |
5* |
1.236 |
-0.007 |
0.001 |
-0.001 |
6* |
-35.85 |
-0.02 |
-0.004 |
0.002 |
7* |
-35.04 |
-0.013 |
-0.002 |
-0.0002 |
8* |
7.805 |
-0.018 |
0.005 |
-0.0005 |
9* |
-3.37 |
-0.03 |
0.005 |
-0.0006 |
10* |
-0.00003 |
-0.011 |
0.001 |
0.000003 |
11* |
-6.583 |
-0.012 |
0.001 |
-0.000006 |
아래의 표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에 대한 곡률반경(r), 렌즈두께(t), 굴절률(Nd) 및 아베상수(Vd)를 나타낸다.
표 7에서, r은 곡률 반경, d는 렌즈 두께, Nd는 d선(d-line)을 이용하여 측정한 렌즈의 굴절률, Vd은 수학식 5에서 정의되는 아베수(Abbe's number)를 나타낸다. 표 7의 렌즈면 번호에서 *는 해당 렌즈면이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곡률반경(r)과 렌즈두께(t)의 단위는 mm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광학계의 구경비(Fno)는 2.8이고, 초점거리(f)는 6.30mm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서 렌즈의 비구면을 수학식 6의 비구면방정식을 만족한다.
아래의 표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에 대한 비구면계수를 나타낸다.
면 |
K |
A |
B |
C |
2* |
-0.157 |
-0.001 |
-0.0020 |
0.000003 |
3* |
-763.791 |
-0.009 |
-0.0050 |
-0.0005 |
4* |
204.686 |
-0.005 |
-0.005 |
0.0009 |
5* |
1.224 |
-0.007 |
0.001 |
-0.001 |
6* |
-34.40 |
-0.01 |
-0.004 |
0.0002 |
7* |
-33.63 |
-0.013 |
-0.002 |
-0.00002 |
8* |
7.790 |
-0.018 |
0.005 |
-0.0005 |
9* |
-3.30 |
-0.03 |
0.005 |
-0.0006 |
10* |
-0.0005 |
-0.011 |
0.001 |
0.000003 |
11* |
-6.564 |
-0.012 |
0.001 |
-0.000006 |
아래의 표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에 대한 곡률반경(r), 렌즈두께(t), 굴절률(Nd) 및 아베상수(Vd)를 나타낸다.
표 9에서, r은 곡률 반경, d는 렌즈 두께, Nd는 d선(d-line)을 이용하여 측정한 렌즈의 굴절률, Vd은 수학식 5에서 정의되는 아베수(Abbe's number)를 나타낸다. 표 7의 렌즈면 번호에서 *는 해당 렌즈면이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곡률반경(r)과 렌즈두께(t)의 단위는 mm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렌즈광학계의 구경비(Fno)는 2.8이고, 초점거리(f)는 6.35mm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서 렌즈의 비구면을 수학식 6의 비구면방정식을 만족한다.
아래의 표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에 대한 비구면계수를 나타낸다.
면 |
K |
A |
B |
C |
2* |
-0.153 |
-0.0009 |
-0.0020 |
0.000005 |
3* |
-781.899 |
-0.009 |
-0.0050 |
-0.0005 |
4* |
205.026 |
-0.005 |
-0.005 |
0.0009 |
5* |
1.221 |
-0.007 |
0.001 |
-0.001 |
6* |
-34.62 |
-0.01 |
-0.004 |
0.0002 |
7* |
-33.89 |
-0.013 |
-0.002 |
-0.0002 |
8* |
7.787 |
-0.018 |
0.005 |
-0.0005 |
9* |
-3.31 |
-0.03 |
0.005 |
-0.0006 |
10* |
-0.00002 |
-0.011 |
0.001 |
0.000003 |
11* |
-6.655 |
-0.012 |
0.001 |
-0.000006 |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을 나타내는 수차도이다.
도 2a는 다양한 파장의 광에 대한 렌즈 광하계의 구면수차를 나타낸다. 즉, 파장이 435.8343mm, 486.1327mm, 546.0740mm, 587.5618mm, 656.2725mm인 광에 대한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상면만곡, 즉, 자오상면 만곡(tangential field curvature)(T)과 구결상면 만곡(sagittal field curvature)(S)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왜곡(distortion)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자오상면 및 구결상면에서 상대 필드 높이가 1.0일 때의 횡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자오상면 및 구결상면에서 상대 필드 높이가 0.7일 때의 횡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자오상면 및 구결상면에서 상대 필드 높이가 0.5일 때의 횡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자오상면 및 구결상면에서 상대 필드 높이가 0.0일 때의 횡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다.
도 3a 내지 도 6b에 도시된 횡수차는 파장이 435.8343mm, 486.1327mm, 546.0740mm, 587.5618mm, 656.2725mm인 광에 대하여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