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031A -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031A
KR20090100031A KR1020080025389A KR20080025389A KR20090100031A KR 20090100031 A KR20090100031 A KR 20090100031A KR 1020080025389 A KR1020080025389 A KR 1020080025389A KR 20080025389 A KR20080025389 A KR 20080025389A KR 20090100031 A KR20090100031 A KR 20090100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radiator
absorber
electromagnetic
surfac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931B1 (ko
Inventor
곽상일
권종화
심동욱
최형도
김창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2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931B1/ko
Priority to US12/319,776 priority patent/US20090237323A1/en
Publication of KR2009010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6Selective devices having photonic band gap materials or materials of which the material properties are frequency dependent, e.g. perforated substrates, high-impedance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방사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한 표면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파 저지대와 그 주변에 표면 전류를 감소시키고 구조물의 끝에서 방사되는 회절파를 줄이기 위한 전자파 흡수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전자파 저지대 기술만을 이용한 경우보다 전자파 저감 효과가 더 커서 인체 방호에 적합하고, 전자파 흡수체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방사체의 성능 저하가 적어, 휴대용 단말기 등 근접 IT 기기에 부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전자파 저지대(Electromagnetic BandGap), 전자파 흡수체,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

Description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essening electromagnetic wave}
본 발명은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자파 저지대 및 흡수체를 이용하여 전자파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파 저감 장치 및 전자파를 저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IT원천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F-043-01, 과제명: 전자파 기반 진단 및 방호기술 연구]
최근 IT의 급속한 발전과 인간의 통신 욕구가 증대하면서 휴대용 단말기 등 무선 통신기기 들은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기기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휴대폰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자파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관성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백혈병, 뇌종양, 두통, 시력저하, 인체에 누적된 경우 뇌파 혼란 초래, 남성 생식기능 파괴 등 각종 질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파를 차단하여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한 종래 기술에는 전자파 저지대(EBG: Electromagnetic BandGap)를 이용한 것과 전자파 흡수체를 사용하여 전자파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있다.
전자파 저지대 기술은 유전체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에 인공적으로 주기적인 금속 패턴을 구현하여 금속 본래의 전자기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기술이다.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자기 도체 특성을 기존의 금속 도체 상에 인위적으로 구현했다고 하여 인공자기도체(AMC: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라고도 하며, 고 임피던스 표면을 가지므로 고 임피던스 표면(HIS: High Impedence Surface)라고도 한다. 표면의 고 임피던스로 인해 특정 대역에서 밴드갭(bandgap)이 발생하고, 발생한 밴드갭은 표면전류를 감소시켜, 표면파(surface wave)의 발생을 억제시킨다. 그러나 전자파 저지대는 금속 패턴으로 이루어진 단위셀의 수가 완벽히 표면전류를 줄일 수 없는 경우도 있고, 전자파의 인체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이 차단제의 경우보다 크다.
전자파 흡수체 기술은 주로 페라이트 및 여러 구성물을 조합하여 다양한 유전율 연구 및 흡수체의 부착 위치에 따른 전자파 저감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전자파 흡수체 기술의 경우 전자파 무반사실의 차폐제 및 단말기에서 전자파를 저감시키는 분야에서 많이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파 흡수체를 이용한 전자파 저감 기술의 경우 흡수체로 인해 방사체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단말기 등 인체 착용 및 근접 IT 기기에 있어서 전자파 저지대와 전자파 흡수체를 이용하여 방사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전류 및 표면파를 줄임으로써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자기파를 줄이는 동시에, 방사체의 방사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전자파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는 방사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전류를 감소시키는 전자파 저지대와 전자파 저지대 주변에 표면전류를 감소시키고 구조물의 끝에서 방사되는 회절파를 줄이기 위한 흡수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자파 흡수율 및 상기 방사체의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파 저지대는 도전체층으로 형성된 접지층(Ground layer)과 접지층 상에 형성된 유전체층과 유전체층 상에 주기적으로 형성된 수 개의 금속 단위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지층과 상기 금속 단위셀을 연결하는 비아(via)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위셀 간의 간격과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표면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파 저감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등 인체 착용 기기에 사용되어 인체방호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사체의 전자파 저감 방법은 방사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방사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파 저지대를 형성하고, 전자파 저지대의 주변에 표면전류를 감소시키고 구조물의 끝에서 방사되는 회절파를 줄이기 위한 흡수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자파 흡수율 및 상기 방사체의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위셀 간의 간격과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표면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파 저지대와 그 주변에 표면전류를 감소시키고 구조물의 끝에서 방사되는 회절파를 줄이기 위한 흡수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파 저지대만을 이용한 경우보다 전자파 흡수율이 감소되며, 흡수체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방사체의 성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등 인체 착용 근접 IT기기에 있어서 전자파 저지대 와 전자파 흡수체를 사용하여 표면전류를 감소시키고, 산란되는 전자파를 억제시켜 안테나 등의 방사체에서 발생되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전자파를 저감시키는 전자파 저감 장치를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지대와 흡수체를 이용한 전자파 저감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파 저감 장치(100)는 유전 기판(110), 수 개의 금속 단위셀(120) 및 전자파 흡수제(130)를 포함한다.
유전기판(110) 및 수개의 금속 단위셀(120)은 방사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전류를 감소시키는 전자파 저지대로서 작용한다. 
전자파 흡수체(130)는 유전기판(110) 및 수개의 금속 단위셀(120)로 구성된 전자파 저지대 주변에 표면전류를 감소시키고 구조물의 끝에서 방사되는 회절파를 감소시킨다.
또한, 비아홀(140)은 단위셀 내에 형성되는 인덕턴스와 관련된 변수로 전자파 저지대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며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지대와 흡수체를 사용한 전자파 저감 장치 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는 도전체층으로 형성된 접지층(200) 위에 유전체층(110)을 형성하고 유전체층(110) 상에 주기적으로 수 개의 금속 단위셀(120)을 형성하고, 그 주변에 페라이트 등의 전자파 흡수 물질(130)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이 때, 금속 단위셀 간격(210)과 패치의 크기(220)를 조절하여 전자파 저지대의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설계할 수 있으며, 흡수체의 길이(230)를 통해 흡수율 및 방사체의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300)를 내장형 안테나 단말기의 내부에 적용한 일 실시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20)에 사람의 얼굴이 접촉하게 되므로, 전자파 방사체인 안테나(310)와 디스플레이부(320)사이에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300)를 삽입한다.
도 4는 전자파 저감 장치(400)를 내장형 안테나 단말기의 외부에 적용한 일 실시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20)에 사람의 얼굴이 접촉하게 되므로, 방사체인 안테나(410)와 디스플레이부(420) 사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부(420) 후면에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400)를 부착한다.
도 5는 전자파 저감 장치들(500)을 내장형 안테나 단말기 내부 및 외부 모두에 설치한 일 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520)에 사람의 얼굴이 접촉하게 되므로, 방사체인 안테나(510)와 디스플레이부(520) 사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부(520) 후면 및 안테나(510) 뒷면 모두에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500)를 부착한다.
도 6은 전자파 저감장치(600)를 외장형 안테나 단말기에 적용한 일 실시예이다. 역시 단말기 전면과 방사체인 안테나(610)의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전자파 저감장치(600)를 부착한다.
도 7은 전자파 저감 장치를 사용한 경우의 전자파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좌표는 극 좌표계로 표시되었으며, x축(720)에 나타난 수치는 전자파의 세기를 나타내며, 원축(730)에 나타난 숫자는 전자파가 방사되는 각을 나타낸다. 실선(700)은 전자파 저감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PIFA: Planar Inverted-F Antenna)만을 사용한 경우의 전자파의 각도별 세기이고, 점선(710)은 PIFA를 전자파 저감 장치와 함께 사용한 경우의 각도별 세기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장치를 상용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중의 하나인 1.88GHz에서 도3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였을 때를 시뮬레이션하여, 적용 전후의 안테나 방사패턴의 변화를 비교해 볼 수 있다. 실선(700) 및 점선(710)을 비교하여 보면, 인체방향인 180도에서 360도 방향으로 방사되는 파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a, 8b 및 8c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를 도 3의 내장형 안테나를 사용하는 단말기에 사용했을 경우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즉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수치와 그림을 도시한 것이다. 상용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 중의 하나인 1.88GHz에서 시뮬레이션 한 결과이다. 도 8a, 8b 및 8c를 참조하면, 단말기만을 사용한 경우 1g 평균 SAR 값(800)은 1.923이고, 전자파 저지대만 적용한 경우 1g 평균 SAR 값(810)은 1.7081이며,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 즉, 전자파 저지대와 흡수체를 모두 이용한 구조를 적용한 경우 1g 평균 SAR 값(820)은 1.401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전자파 저감에 따른 인체 방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등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 전자파 저지대 구조만으로 표면 전류의 전파를 저지할 수 없는 경우 본 발명에서 고안한 전자파 저감 장치를 사용하면 전자파 흡수체에 의해 표면 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 전자파 저지대 구조에서 단위셀을 충분히 가질 수 없는 공간에서도 전자파를 저감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RF 소자간의 격리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방사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파 저지대(110, 120)를 형성한다(900단계).
다음으로, 전자파 저지대(110, 120)의 주변에 표면전류를 감소시키고 구조물의 끝에서 방사되는 회절파를 줄이기 위한 흡수체(130)를 형성한다(910단계). 이때, 흡수체(1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자파 흡수율 및 상기 방사체의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지대와 흡수체를 이용한 전자파 저감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지대와 흡수체를 사용한 전자파 저감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를 내장형 안테나 단말기의 내부에 적용한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를 내장형 안테나 단말기의 외부에 적용한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를 내장형 안테나 단말기의 내부 및 외부에 적용한 일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 장치를 외장형 안테나 단말기에 적용한 예시도이다.
도 7은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의 전자파의 방사패턴과 전자파 저감 장치를 사용한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8a, 8b, 및 8c는 내장형 안테나 단말기에 의한 SAR 분포 시뮬레이션, 전자파 저지대만을 사용하여 측정한 내장형 안테나 단말기의 SAR 시뮬레이션, 전자파 저지대 및 흡수체를 모두 사용한 내장형 안테나 단말기의 SAR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저감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8)

  1. 방사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전류를 감소시키는 전자파 저지대; 및
    상기 전자파 저지대 주변에 표면전류를 감소시키고 구조물의 끝에서 방사되는 회절파를 줄이기 위한 흡수체를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자파 흡수율 및 상기 방사체의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저지대는
    도전체층으로 형성된 접지층(Ground layer);      
    상기 접지층 상에 형성된 유전체층; 및
    상기 유전체층 상에 주기적으로 형성된 수 개의 금속 단위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층과 상기 금속 단위셀을 연결하는 비아(via)홀을 더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 간의 간격과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표면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저감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등 인체 착용 기기에 사용되어 인체방호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7. 방사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방사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파 저지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파 저지대의 주변에 표면전류를 감소시키고 구조물의 끝에서 방사되는 회절파를 줄이기 위한 흡수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체의 전자파 저감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자파 흡수율 및 상기 방사체의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체의 전자파 저감 방법.
            
KR1020080025389A 2008-03-19 2008-03-19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KR10097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389A KR100971931B1 (ko) 2008-03-19 2008-03-19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US12/319,776 US20090237323A1 (en) 2008-03-19 2009-01-12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wa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389A KR100971931B1 (ko) 2008-03-19 2008-03-19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031A true KR20090100031A (ko) 2009-09-23
KR100971931B1 KR100971931B1 (ko) 2010-07-23

Family

ID=4108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389A KR100971931B1 (ko) 2008-03-19 2008-03-19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237323A1 (ko)
KR (1) KR1009719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855A (ko) * 2010-09-27 2012-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인체 보호 장치
US8754813B2 (en) 2010-09-27 2014-06-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protecting human body from electromagnetic waves
KR20160036436A (ko) * 2014-09-25 2016-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0296A (zh) * 2011-11-09 2012-06-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降低移动终端辐射的方法
KR102088013B1 (ko) 2014-01-22 2020-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기파 저감 장치 및 그것의 전자기파 저감 방법
CN106025510A (zh) * 2016-08-03 2016-10-12 北京邮电大学 一种天线
US10903556B2 (en) * 2016-09-21 2021-01-2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Up-down zigzag additive spiral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9256B1 (en) * 1994-08-01 2001-06-19 Rangestar Wireless, Inc. Radiation shielding and range extending antenna assembly
US5793875A (en) * 1996-04-22 1998-08-11 Cardinal Sound Labs, Inc. Directional hearing system
JP2001257522A (ja) * 2000-03-09 2001-09-21 Sony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US6512494B1 (en) * 2000-10-04 2003-01-28 E-Tenna Corporation Multi-resonant, high-impedance electromagnetic surfaces
US6483481B1 (en) * 2000-11-14 2002-11-19 Hrl Laboratories, Llc Textured surface having high electromagnetic impedance in multiple frequency bands
US6897831B2 (en) * 2001-04-30 2005-05-24 Titan Aerospace Electronic Division Reconfigurabl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JP4108677B2 (ja) * 2003-05-28 2008-06-25 ニッタ株式会社 電磁波吸収体
US7411565B2 (en) * 2003-06-20 2008-08-12 Titan Systems Corporation/Aerospace Electronic Divisio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surfaces loaded with ferrite-based artificial magnetic materials
JP4461970B2 (ja) * 2004-09-06 2010-05-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電波吸収体
KR20070010428A (ko) * 2005-07-18 2007-01-24 제일모직주식회사 휴대폰 전자파 차폐용 복합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855A (ko) * 2010-09-27 2012-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인체 보호 장치
US8754813B2 (en) 2010-09-27 2014-06-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protecting human body from electromagnetic waves
KR20160036436A (ko) * 2014-09-25 2016-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7323A1 (en) 2009-09-24
KR100971931B1 (ko) 201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931B1 (ko)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KR100789788B1 (ko) 의사재료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인체착용형 단말기의전자파 저감 방법 및 단말기
KR20100072382A (ko)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US11316265B2 (en) Radiation shield
Haridim Use of rod reflectors for SAR reduction in human head
US20180062233A1 (en) Multi-band periodic structure assemblies for radio frequency devices
Munde et al. Low specific absorption rate antenna using electromagnetic band gap structure for long term evolution band 3 application
KR20160101290A (ko) 전자파 저감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US8754813B2 (en) Apparatus for protecting human body from electromagnetic waves
US20110199276A1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Guard
Kwon et al. Design of a dual-band antenna for wearable wireless body area network repeater systems
KR101629105B1 (ko) Sar을 저감하는 ebg 구조를 포함하는 루프 안테나
KR20180071052A (ko) 인체 영향에 둔감한 안테나
Lin et al. Use of high-impedance screens for enhancing antenna performance with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KR101718930B1 (ko) 전자파 인체 보호 장치
KR100578465B1 (ko) 전자파 저감이 가능한 안테나 셋 및 이 안테나 셋이장착된 휴대폰
il Kwak et al. Design of multilayer PIFA based on an EBG structure for SAR reduction in mobile applications
Ishak et al. Sub-6 GHz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Assessment utilizing Specific Absorption Rate
KR20050088399A (ko) 전자파 저감이 가능한 안테나 셋 및 이 안테나 셋이 장착된휴대폰
Mannaruparampil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Mobile Handset Antenna for Optimum SAR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liman et al. Suppression of Mobile Phone Radiation in Human Head Using Metamaterial
AMIN et al. A Wide Band EBG Based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Reduced SAR for WiMAX Communication
ES2702248T3 (es) Dispositivo de telecomunicaciones electrónico inalámbrico, en particular teléfono móvil
KR20130067580A (ko) 전자파 저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19203A (ko) 안테나를 케이스의 내부에 높은 안테나이득을 얻는 구조로장착하여 전자파 흡수율을 감소시킨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