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911A -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911A
KR20090099911A KR1020080025201A KR20080025201A KR20090099911A KR 20090099911 A KR20090099911 A KR 20090099911A KR 1020080025201 A KR1020080025201 A KR 1020080025201A KR 20080025201 A KR20080025201 A KR 20080025201A KR 20090099911 A KR20090099911 A KR 20090099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ase
magnetic force
magne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4442B1 (ko
Inventor
손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Priority to KR102008002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4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에 따르면, 베이스에 자력을 적용하여 카메라부를 부착함으로써 공구(드라이버,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손으로 X축,Y축,Z축으로 자유자재로 변경할수 있음과 아울러 카메라부의 설치 및 카메라 렌즈장치의 변경시 카메라부만을 매우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에 따르면, 카메라부를 변경하여 자력을 이용하여 장착한 후에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카메라부가 현재 위치에서 베이스에 대해 회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마찰부재를 적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카메라에 따르면, 카메라 렌즈장치에 설치된 필터 체인지 모터와 오토아이리스 모터가 자력에 의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LED로 이루어진 적외선 발광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히트 싱크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적외선 발광수단이 소비전류가 커 열이 많이 발생되어 열로 인하 자력이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력차폐/히트싱크가 히트싱크역활을 하여 열을 분산 및 방출하여 열로 인한 자력을 최소화하였다.
감시, 카메라, 촬영, 방향

Description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DIRECTION-TURNING CONTROLABLE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설치자가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을 공구(드라이버,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X축,Y축,Z축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손쉽게 조작 변경할수 있으며, 재 설치나 카메라 렌즈별 변경시 카메라부만을 매우 간단하게 변경 및 탈부착할수 있도록 한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카메라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베이스(10)의 바닥면(11)에는 원하는 감시지역의 천정, 벽면등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홈(미도시) 또는 고정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베이스(10)의 바닥면(11)에는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하기 위한 다수의 전선들(미도시)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4)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 베이스(10)의 바닥면(11)에는 브라켓(20)을 원형 베이스(10)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봉(13)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봉(13)의 내부에는 나사공(12)이 일정 깊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카메라(30)를 원형 베이스(10)상에 고정시켜 감시 구역을 지향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브라켓(20)은 힌지 결합으로 회전 가능한 제1 결합편(22)과 제2 결합편(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결합편(22)의 중앙에는 카메라(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 결합편(22)은 수직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 연결부(23)를 가지며, 이 제1 연결부(23)에는 체결공(2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편(26)은 수직으로 연장된 다수의 연결부(25)를 가지며, 이 제2 연결부(25)에는 체결공(27)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 스크류(28)가 체결공(23a)(27)을 관통 결합함에 따라, 제1 결합편(22)의 제1 연결부(23)는 제2 결합편(26)에 형성된 제2 연결부(25)에 면접촉되게 접촉됨과 아울러 상호 체결 스크류(28)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인 지시선 A-A (X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며, 결국에는 제1 결합편(22)의 고정구(21)에 고정된 카메라(30)는 A-A (X축)방향 회전되어 렌즈부(31)의 방향이 변경되어,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 결합편(26)에는 원주 방향으로 지시선 B-B (Y축)방향으로 카메라(30)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각도조절 장공(24)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도조절장공(24)을 통해 별도의 체결 스크류(29)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봉(13)의 나사공(12)에 나사 결합하게 되면, 제2 결합편(26)은 원형 베이스(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체결 스크류(29)를 완전히 고정봉(13)에 조이지 않고, 제2 결합편(26)을 그 중심에 대한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인 B-B (Y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장공(24)의 위치 가변으로 인해 제1 결합편(22)의 고정구(21)에 고정된 카메라(30)는 제1 및 제2 결합편(22)(26)과 함께 B-B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렌즈부(31)의 방향이 변경되어,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카메라(30)의 촬영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스쿠류(29 : 2개)와 스쿠류(28 : 2개)을 풀고 A-A (X축)방향과 B-B (Y축) 조작 한후 다시 스쿠류(29)와 스쿠류(28)를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조이는 과정을 실시하여야 가능하였기 때문에 촬영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일련에 절차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은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구성이 제1 결합편(22)과 제2 결합편(26)과 체결스크류(28)(29)등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을뿐아니라 Z축으로 조정이 되질 않아 벽면 설치시에 영상이 90도가 회전되어 도 6에 도시된 그림A와 같이 재현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천장,벽, 기둥과 같은 위험하고 어려운 환경 조건하에서 설치자가 카메라를 설치하고 촬영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 공구(드라이버,장비)를 사용하여 스쿠류 또는 볼트등의 조임 수단의 조임부분을 해제하고 조절한 다음 다시 공구로 고정하는 일련에 번거로움이 있어 설치편리성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개발하게 된 것으로, 카메라장치의 촬영방향을 X축,Y축,Z축 어느 방향으로도 공구(드라이버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자유자재로 설치자가 손쉽게 조작 변경할 수 있으며 렌즈(화각)별 변경시 카메라부만을 매우 간단하게 변경 및 탈 부착할 수 있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를 편리성 및 설치자의 안전성 그리고 제품단가를 낮추어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베이스와;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베이스를 서로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촬영 각도가 X축,Y축,Z축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손쉽게 조작 변경 및 회동되도록 하는 촬영각도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X축,Y축,Z축 어느 방향이나 회동되도록 하여 촬영방향을 자유자재로 공구(드라이버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카메라부의 설치 및 카메라 렌즈장치의 변경시 카메라부만을 매우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구체 형상으로 형성하여 아주 손쉽게 탈부착 및 교환이 가능하여 렌즈별 화각대응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을 변경한 후에 별도의 2차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한, 베이스에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 상태로 유지되면서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 사이에 오링 종류의 마찰력이 강한 마찰부재를 적용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반영구적으로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장치를 설치된 필터 체인지 모터와 오토아이리스 모터로 자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폐하여 이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카메라부 즉, 카메라 렌즈장치의 촬영 사각영역을 최소화, 즉 촬영 범위를 최대한 넓힐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일곱째, 본 발명은, 카메라부가 베이스에 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자석의 자력이 극대화 되도록, 마그네틱의 자력이 불필요한 지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 된다.
여덟째, 본 발명은 천장, 벽, 기둥과 같은 위험하고 어려운 환경조건하에서 설치자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설치 및 조작하여 취약한 조건에서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장치가 자력에 의해 부착된 카메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베이스에 부착된 카메라의 결합 단면도로이며, 카메라부가 베이스의 바닥면과 수직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베이스에 부착된 카메라의 결합 단면도로, 카메라부가 회동되어 바닥면과 평행하게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구성에서 보호창을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900)와; 베이스(200)와; 카메라부(900)와 상기 베이스(200)를 서로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200)에 대해 상기 카메라부(900)가 자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촬영 각도가 X축,Y축,Z축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손쉽게 조작 변경 및 회동되도록 하는 촬영각도 변경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카메라부(900)를 X축,Y축,Z축 어느 방향이나 회동되도록 하여 촬영방향을 자유자재로 공구(드라이버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카메라부(900)의 설치 및 카메라 렌즈장치의 변경시 카메라부(900)만을 매우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카메라를 벽면에 설치할 경우에, 카메라부(900)를 X축,Y축,Z축 어느 방향이나 회동되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점으로 제시되었던 도 6에 도시된 그림A와 같이 영상이 90도가 회전되는 상태로 재현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촬영각도 변경수단은,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 곡면으로 형성된 오목한 구면 형상의 회동 안내면(211)과; 이 회동 안내면(211)에 접촉되어 베이스(200)에 대해 회동되도록 카메라부(900)의 외면에 형성된 볼록한 구면 형상의 회동면(111)과; 카메라부(900)의 내부와 회동 안내면(211)의 내부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자석(310)과;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 카메라부(900)의 회동면(211)과 베이스(200)의 회동 안내면(211)이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체 재질의 부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에서 회동 안내면(211)과 회동면(111)이 상호 자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 카메라부(900)가 현재 위치에서 베이스(200)에 대해 회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카메라부 현위치 유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카메라부 현위치 유지수단은 회동 안내면(211)과 회동면(11)중 적어도 어느 한면상에 설치되는 마찰부재(250)이며, 이 마찰부재(250)에 의해 상기 회동 안내면(211)에 대해 회동면(111)의 위치 이동이 되지 않게 된다.
이 마찰부재(250)는 실리콘, 합성고무, CR 등의 마찰력이 큰 오링(O-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카메라부(9000의 촬영 방향을 변경한 후에 별도의 2차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한, 베이스(200)에 카메라부(900)가 자력에 의해 부착 상태로 유지되면서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 사이에 이 마찰부재(250)를 적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흔들리지 않는 등 반영구적으로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자석(310)은 그 일측면(311)이 회동 안내면(211) 또는 회동면(111)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도록 베이스(200) 또는 카메라부(900)내에 설치되되, 회동 안내면(211) 또는 회동면(111)으로 노출된 자석(310)의 일측면(311)이 회동 안내면(211)의 곡률과 동일하게 오목한 구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마찰부재(250)는 회동 안내면(211) 또는 회동면(111)의 자석(310)의 주변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석(310)은 베이스(20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자석(310)을 베이스(200)의 회동 안내면(211) 반대면에서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베이스(200)의 회동면 반대측면에는 자석 설치홈(214)이 형성된다.
이 자석 설치홈(214)에 설치된 자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자석(310)의 자력이 회동 안내면(211)으로 향하도록 자석 설치홈(214)에는 자성체 재질의 자석 이탈 방지판(330)이 설치된다. 따라서, 자석 이탈 방지판(330)에 의해 카메라부(9000가 베이스(200)에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자석(310)의 자력이 극대화 되도록, 자력(310)의 자력이 불필요한 지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베이스(200)에 형성된 회동 안내면(211)은 베이스(200)의 바닥면(200a)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된 돌출부(213)의 단부면 에 형성되되, 카메라부(900)가 회동되어 촬영 방향이 베이스(200)의 바닥면(200a)과 평행하게 되는 돌출 높이로 형성되며, 자석(310) 또는 부착부재는 카메라부(900)가 회동되어 촬영 방향이 베이스(200)의 바닥면(200a)과 평행하게 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부착 상태가 유지되는 영역까지 설치된다. 따라서, 카메라부(900)의 촬영 사각영역을 최소화, 즉 촬영 범위를 최대한 넓힐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부(900), 카메라 렌즈장치(100)와, 이 카메라 렌즈장치(100)를 고정함과 아울러 외면에 상기 회동면(111)이 형성된 회동체(110)로 이루어진다.
카메라 렌즈장치(100)는, 주간에 적외선 차단 필터를 채용하여 선명한 칼라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조도가 낮은 야간에 일체로 구비된 적외선 필터 체인지 모터(151)의 구동력에 의해 적외선 차단필터를 제거하여 흑백으로 촬영함으로써, 적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하여 낮은 조도하에서도 비교적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 렌즈장치(100)는 일체로 구비된 오토아이리스 구동모터(150)에 의해 오토아이리스 조리개를 조절하는 구성이 함께 병행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카메라 렌즈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술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부(900)가 카메라 렌즈장치(100) 및 회동면(111)이 형성 된 회동체(110)로 이루어진 타입에서, 자석(310)은 상기 베이스(200)내에 설치되고, 이때 회동체(110)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며, 부착부재는 회동체(110)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는 자석(310)은 상기 베이스(200)내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부재는 회동체 자체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석(310)을 상기 회동체(110)내에 설치하고, 상기 부착부재는 강자성체 재질로 베이스(200) 자체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석(310)을 상기 회동체(110)내에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200)를 비자성체 재질로 하며, 상기 부착부재는 베이스(200)내에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자석(310)을 베이스(200)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회동체(110)를 비자성체중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하고, 부착부재는 강자성체 재질로 이중 사출에 의해 회동체(110)내에 설치되게 구성하여, 부착부재를 회동체(110)내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회동체(110)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구체(110A)와 제2 반구체(110B)로 분할 사출 성형하게 되며, 이들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구체를 이룰수 있게 되며, 카메라 렌즈장치(100)의 내장 설치가 보다 용이해진다.
한편,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회동체(110)는 외관 디자인 측면 및 촬영 방향의 용이성인 회동 작동성을 고려하여 구(球)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회동체(110)는 내부가 비어있고, 일측부가 개구된 구(球)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카메라 장치(100)는 회동체(110)의 개구부(114)로 렌즈부(100a)가 노출되도록 회동체(110)의 내부에 내장 설치한다.
한편, 본발명에 의한 베이스(200)의 전면측의 둘레에 다수의 체결공(216a)을 갖는 플랜지(216)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플랜지(216)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베이스(200)를 직접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경사면등의 설치 대상물에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부언하면, 베이스(200)의 외부를 수용하면서 감싸는 별도의 케이스(6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케이스(600)의 개방측 단부와 베이스(200)의 플랜지(216)를 서로 맞대어 접촉시킨 후 체결볼트(미도시)로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케이스(600)는 베이스(200)와의 상호 결합전에 설치 대상물에 선행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그 형상을 미려하게 디자인하여 피사체인 사람이 카메라에 의해 감시당하고 있다는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부재번호 610은 케이스(600)의 내벽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위치 결정용 결합돌기이고, 부재번호 217은 위치 결정용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위치 결정용 결합홈인 것으로, 베이스(200)와의 케이스(600)의 상호 결합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장치(100)와 회동체(110) 사이에는 조도에 따라 적외선을 발광하는 LED로 이루어진 적외선 발광수단(400)을 설치함으로써, 가로등이나 백열등 없이도 야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위 적외선 발광수단(400)이 소비전류가 커 열이 많이 발생되어 열로 인하 자력이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력차폐/히트싱크(500)가 히트싱크역활을 하여 열을 분산 및 방출하여 열로 인한 자력을 최소화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회동체(110)를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구성할 경우에, 이 회동체(110)의 내부에는 카메라 장치(100)로 자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자력차폐/히트싱크(500)로 인해 알루미늄 재질로 히트싱크역활과 자력차폐폐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3은 적외선 발생수단(400)이 회동체(110)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회동체(110)에 형성된 통공이다.
그리고, 부재번호 130은 카메라 렌즈장치(100)로 촬영된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소자(131)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이고, 부재번호 132는 인쇄회로기판(13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적외선 발광수단(400)에서 발생된 열 또는 자력이 인쇄회로기판(13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알루미늄 재질의 차폐부재이다.
이 인쇄회로기판(130)은 회동체(110)를 구성하는 나머지 반부(110A)의 내벽면에서 부착부재(32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리브(133)에 체결스크류(미도시)를 매개로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자력차폐/히트싱크(500) 및 차폐부재(132)는 카메라 렌즈장치(100)에 설치되어 이의 작동에 필요한 필터 체인지 모터(151)와 오토아이리스 모터(150)에 자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동체(110)의 내부에서 카메라 렌즈장치(10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필터 체인지 모터(151)와 오토아이리스 모터(150)가 자화되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체(11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파손 방지를 위해 별도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략 반구 형상의 보호창(700)이 회동체(11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보호창(700)은 베이스(200)의 플랜지(216)의 상면에 탑재되어 체결스크류(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는 별도의 마감 체결링(800)에 의해 카메라 렌즈장치(10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베이스(200)의 플랜지(216) 상면에 일부가 탑재됨과 아울러 나머지는 보호창(700)의 플랜지(710) 하면에 접촉되어, 보호창(700)의 플랜지(710)가 마감 체결링(800)에 밀착되도록 하는 스페이서부재(900)에 의해 보호창(700)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면상에 도시한 회동체(110)의 외관 형상을 구체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예로 들었고, 회동 안내면(211)을 오목한 구면 형상으로, 회동면(111)을 볼록한 구면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회동 안내면(211)을 볼록한 구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회동면(111)을 오 목한 구면 형상으로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베이스에 부착된 카메라의 결합 단면도로, 카메라부가 베이스의 바닥면과 수직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베이스에 부착된 카메라의 결합 단면도로, 카메라부가 회동되어 바닥면과 평행하게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구성에서 보호창을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메라 렌즈장치
110 : 회동체
111 : 회동면
132 : 자력차폐
200 : 베이스
200a : 바닥면
211 : 회동 안내면
214 : 자석 설치홈
310 : 자석
330 : 자석 이탈 방지판
500 : 차력차폐/히트싱크
900 : 카메라부

Claims (17)

  1.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900)와;
    베이스(200)와;
    상기 카메라부(900)와 상기 베이스(200)를 서로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200)에 대해 상기 카메라부(900)가 자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촬영 각도가 X축,Y축,Z축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손쉽게 조작 변경 및 회동되도록 하는 촬영각도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각도 변경수단은,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 곡면으로 형성된 회동 안내면(211)과;
    상기 회동 안내면(211)에 접촉되어 상기 베이스(200)에 대해 회동되도록 상기 카메라부(900)의 외면에 형성된 회동면(111)과;
    상기 카메라부(900)의 내부와 회동 안내면(211)의 내부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자석(310)과;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900)의 회동면(211)과 상기 베이스(200)의 회동 안내면(211)이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체 재질의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안내면(211)과 상기 회동면(111)이 상호 자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카메라부(900)가 현재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200)에 대해 회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카메라부 현위치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 현위치 유지수단은
    상기 회동 안내면(211)과 상기 회동면(11)중 적어도 어느 한면상에 설치되는 마찰부재(250)이며, 상기 마찰부재(250)에 의해 상기 회동 안내면(211)에 대해 상기 회동면(111)의 위치 이동이 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310)은 그 일측면(311)이 상기 회동 안내면(211) 또는 상기 회동면(111)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베이스(200) 또는 카메라부(900)내에 설치되되, 상기 회동 안내면(211)또는 상기 회동면(111)으로 노출된 상기 자석(310)의 일측면(311)은 상기 회동 안내면(211)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310)은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석(310)을 상기 베이스(200)의 회동 안내면(211) 반대면에서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200)의 회동면 반대측면에는 자석 설치홈(214)이 형성되며,
    상기 자석 설치홈(214)에 설치된 자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자석의 자력이 상기 회동 안내면(211)으로 향하도록 상기 자석 설치홈(214)에는 자성체 재질의 자석 이탈 방지판(3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에 형성된 회동 안내면(211)은 상기 베이스(200)의 바닥면(200a)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된 돌출부(213)의 단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카메라부(900)가 회동되어 상기 촬영 방향이 상기 베이스(200)의 바닥면(200a)과 평행하게 되는 돌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자석(310) 또는 부착부재는 상기 카메라부(900)가 회동되어 상기 촬영 방향이 상기 베이스(200)의 바닥면(200a)과 평행하게 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부 착 상태가 유지되는 영역까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900)는,
    카메라 렌즈장치(100)와;
    상기 카메라 렌즈장치(100)를 고정함과 아울러 외면에 상기 회동면(111)이 형성된 회동체(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310)은 상기 베이스(200)내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체(110)는 비자성체이며,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회동체(110)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310)은 상기 베이스(200)내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회동체 자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310)은 상기 회동체(110)내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부재는 강자성체 재질로 상기 베이스 자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310)은 상기 회동체(110)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200)는 비자성체 재질이며,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베이스내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110)는 비자성체중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재는 강자성체 재질로 이중 사출에 의해 회동체(110)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110)는, 구(球)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110)는 내부가 비어있고, 일측부가 개구된 구(球)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 장치(100)는 상기 회동체(110)의 개구부(114)로 렌즈부(100a)가 노출되도록 상기 회동체(110)의 내부에 내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 장치(100)로 자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력차폐/히트싱크(500)와 자력차폐(1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차폐/히트싱크(500)는 알루미늄 재질로 히트싱크역활과 자력차폐폐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KR1020080025201A 2008-03-19 2008-03-19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KR10099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201A KR100994442B1 (ko) 2008-03-19 2008-03-19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201A KR100994442B1 (ko) 2008-03-19 2008-03-19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911A true KR20090099911A (ko) 2009-09-23
KR100994442B1 KR100994442B1 (ko) 2010-11-16

Family

ID=4135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201A KR100994442B1 (ko) 2008-03-19 2008-03-19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4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61B1 (ko) * 2010-08-16 2011-04-11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감시카메라의 전원 및 영상신호 공급장치
KR101271634B1 (ko) * 2011-11-24 2013-06-11 주식회사 케이씨이 자석식 가이드링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0468076Y1 (ko) * 2011-10-25 2013-07-19 조인성 감시용 돔 카메라
WO2019212104A1 (ko) * 2018-05-02 2019-11-07 (주)씨프로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석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WO2019212103A1 (ko) * 2018-05-02 2019-11-07 (주)씨프로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239B1 (ko) 2016-01-05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1364A (ja) * 1997-03-26 1998-10-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監視カメラ装置
JP2002271660A (ja) 2001-03-09 2002-09-2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テレビジョンカメラ
KR200386340Y1 (ko) 2005-03-25 2005-06-10 선광전자 주식회사 전방위용 돔형 감시카메라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61B1 (ko) * 2010-08-16 2011-04-11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감시카메라의 전원 및 영상신호 공급장치
KR200468076Y1 (ko) * 2011-10-25 2013-07-19 조인성 감시용 돔 카메라
KR101271634B1 (ko) * 2011-11-24 2013-06-11 주식회사 케이씨이 자석식 가이드링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WO2019212104A1 (ko) * 2018-05-02 2019-11-07 (주)씨프로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석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WO2019212103A1 (ko) * 2018-05-02 2019-11-07 (주)씨프로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442B1 (ko)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521B2 (en) Direction adjustable camera with magnetic mounting
KR100994442B1 (ko)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JP3214420U (ja) 防水安定器
US20190191059A1 (en) Camera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10798273B2 (en) Parking guidance camera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CN209728389U (zh) 相机模块
KR101047156B1 (ko) 적외선 엘이디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KR200386340Y1 (ko) 전방위용 돔형 감시카메라장치
CA2578925A1 (en) Occupancy wall sensor
WO2019128935A1 (zh) 多目摄像机及多目摄像机的补光装置
JP3196633U (ja) 監視装置
CN109428994A (zh) 摄像设备
JP2005149790A (ja) 照明器具
TWI789975B (zh) 模組化泛光燈系統
JP5525095B1 (ja) Led照明装置
JP2007328114A (ja) 屋外装置の発光素子表示構造
KR100917242B1 (ko)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JP5685724B2 (ja) 照明器具
JP5840721B2 (ja) Led照明装置
TW202020360A (zh) 監測系統及其安裝基座
US8523396B2 (en) Device housing
JP6824054B2 (ja) 照明器具
JP3138689U (ja) 監視カメラ
KR200445530Y1 (ko) 감시 카메라 모듈 홀더
US11378868B2 (en) Articulating light h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