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660A - 신규한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의 제조법 및 이를 이용한녹색계열의 전기변색 소자 - Google Patents

신규한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의 제조법 및 이를 이용한녹색계열의 전기변색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660A
KR20090099660A KR1020080024783A KR20080024783A KR20090099660A KR 20090099660 A KR20090099660 A KR 20090099660A KR 1020080024783 A KR1020080024783 A KR 1020080024783A KR 20080024783 A KR20080024783 A KR 20080024783A KR 20090099660 A KR20090099660 A KR 20090099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romic
viologen
compound
green
derivat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5229B1 (ko
Inventor
양시영
김영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리크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리크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리크롬
Priority to KR102008002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2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C09K9/02Organic tenebr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or more pyridine rings directly linked together, e.g. bipyridy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1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변색 시 다양한 색 구현이 가능한 신규 비올로겐 유도체 제조와 이를 포함하여 전기변색 소자화 하였을때 전압 인가 시 green 색을 띄는 전기변색 소자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성 비올로겐 유도체는 2,2′bipyridyl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합성이 간단하고 전기변색 소자화 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비올로겐 유도체는 Blue 또는 Violet 색을 띄는데 비해 본 발명에서는 green 색을 띄는 장점이 있다.
전기변색, 비올로겐, 전기변색소자, Green, 2,2′bipyridyl

Description

신규한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의 제조법 및 이를 이용한 녹색계열의 전기변색 소자{Method of novel electrochromic viologens derivatives and green electrochromic element us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전기변색성을 갖는 신규한 비올로겐 유도체 및 상기의 비올로겐 유도체를 적용하여 전기변색시 녹색 계열의 색상을 띄는 전기변색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성 비올로겐 유도체는 합성이 쉽고 간단하며 전기변색 소자화 하였을 때 전압 인가 시 기존의 비올로겐 유도체보다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변색이란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물질의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현상이며, 전기화학적으로 물질의 전자 상태나 구조가 변화됨으로써 물질의 고유색 또는 광투과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전기변색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은 비올로겐, 페로센, 페노티아진 등의 유기물질, WO3, NiOxHy, LiNiO2, Nb2O5, V2O5, TiO2, MoO3 등의 무기금속산화물 및 PODOT,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아줄렌, 폴리티오펜, 폴리피리딘, 폴리인돌, 폴리카바졸, 폴리아진, 폴리퀴논 등의 전도성 고분자 등이 있다.
그 중 비올로겐은 쉽고 저렴하게 합성이 가능하여 1970년대부터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전도성 고분자에 비해 다중색 구현이 어렵고, 안정성과 메모리 효과가 떨어지고 응답성이 느린 단점으로 인해 신규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 개발이 답보 상태에 있다.
전기변색 현상이 알려진 것은 1961년이지만, 다중색의 구현이 어렵고, 발색 및 소색의 속도가 느리며, 완전 소색이 잘 안되고, 안정성이 떨어져 발색-소색을 반복하면 쉽게 망가지는 단점들로 인하여 아직까지 실용화되어 상업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전기변색 소자는 거의 없다.
전기변색 소자는 일반적으로 환원전극, 산화전극, 전해질 및 전기변색물질로 이루어지며, 전기변색물질은 한쪽 또는 양쪽 전극 위에 막 형태로 형성되거나, 전해질 내에 포함되기도 한다. 전기변색소자에 전장을 인가하면 전기적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변색 물질의 색상이 변화하여 소자의 광투과 특성이 변하게 된다.
상기 전기 변색 소자를 활용한 응용 제품 중 가장 성공적인 제품으로는 자동차용 백미러, 스마트윈도우가 있으며, 또는 전광판, 전자북 등의 디스플레이에 응용하기 위한 개발도 진행 중이다. 자동차용 백미러에 적용되는 예를 보면, 자동차 운행시 백미러를 통해 들어오는 강한 불빛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사고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백미러의 반사율을 최적화함으로써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을 전기변색소자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합성이 간단하고 인가전압에 따라 미세하게 색 강도 조절이 가능하며, 비올로겐으로는 잘 알려지지 않은 녹색 계열의 색을 띄는 비올로겐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올로겐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된다.
Figure 112008019479787-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수소, 탄소수가 1~2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이고, X는 비올로겐의 상대이온으로 F-, Br-, Cl-, ClO4 -, BF4 -, I-, PF6 -, SO2CF3 - 또는 (CF3SO3 -)2N 가 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의 예로서 하기의 화합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8019479787-PAT00002
본 발명의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액형 전기변색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소자는 투명이나 반사형의 기재상에 배치되며 작업 전극과 상대전극, 전해질을 포함하여, 상기의 작업전극, 상대전극, 전해질 중에 하나 이상은 본 발명의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한다. 이온전도성 전해질 용액은 전해질염이 용해된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전기변색 물질을 용해시켜 이를 주사하거나 진공진입 등의 방법으로 전기변색소자 제작에 사용한다.
이때, 전기변색 전해질 혼합용액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기변색 화합물 0.0005~10M, 전해질염0.001~10M을 함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올로겐 유도체의 사용량이 0.0005M 미만이면 전기변색성이 보이지 않고 10M을 초과하면 용액에서 화합물이 용출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해질염은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n-Bu4NClO4, n-Bu4NPF6, NaBF4, LiClO4, LiPF6, LiBF4, LiN(SO2C2F5)2, LiCF3SO3, C2F6LiNO4S2, K4Fe(CN)6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전해질염은 1종의 단일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질염은 0.001~ 10 M 범위로 사용되는 바, 상기 사용량이0.001 M 미만이면 전기변색성이 보이지 않고 10 M을 초과하면 용액에서 화합물이 용출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대면적의 정보표시장치, 소면적의 휴대폰 정보표시장치 및 태양광을 차단하는 자동차 창, 건물 창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비올로겐 유도체는 합성이 쉽고 간단하며, 전기변색 소자에 적용되었을 때 낮은 전압에서도 녹색 계열의 색으로 구현이 가능한 전기변색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전기변색물질은 전기변색 소자의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이용되며, 제조된 전기변색소자는 디스플레이, 전자책, 전자종이, 자동차 후사경, 휴대용 컴퓨 터, 태양광조절창, 장식용 제품 등의 다방면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이하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바, 하기의 실시에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 화합물 1-1의 제조
하기 화학식 2와 같이, N,N-dimethylformamide 350ml에 2,2′bipyridyl (70g, 0.44 M)을 완용시킨 후 1,2-Dibromoethane (42.60g, 0.22 M)을 첨가하여 교반하에서 고형 침전물이 형성될 때까지 12~24시간 환류시켜 주었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침전물을 여과하여 MeOH로 수회 세척하고 재결정화하여 감압에서 건조시켜 진갈색의 고체 상태로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수율 65%)
Figure 112008019479787-PAT00003
[실시 예 2]
* 화합물 1-1을 이용한 전기변색소자 제작
상기 실시예1에 의하여 얻어진 비올로겐 화합물(0.1g)을 전해질염 N-Lithiotrifluoromethane sulfonamide(0.5g)과 유기용매 Propylene Carbonate (10ml)와 혼합하여 전극인 ITO 유리 두 장 사이에 두께 100㎛의 스페이서를 두고, 주입한 후 밀봉하여 액체형 전기변색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전기변색 소자는 최소 1.3V 전압을 걸어줄 경우 green 색으로 변색 되었다.
도 1-a는 실시예2에 의하여 제조된 전기변색 소자의 구동전압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b 는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전기변색 소자의 구동전압에 따른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는 실시 예 2 에 의하여 제조된 전기변색 소자의 소색/착색 상태의 사진이다.

Claims (3)

  1.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기변색 비올로겐 화합물.
    Figure 112008019479787-PA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수소, 탄소수가 1~2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이고, X는 비올로겐의 상대이온으로 F-, Br-, Cl-, ClO4 -, BF4 -, I-, PF6 -, SO2CF3 - 또는 (CF3SO3 -)2N 등이다)
  2. 제1항 기재의 비올로겐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3. 제 2항에 있어서, 발현되는 색상은 녹색(green) 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KR1020080024783A 2008-03-18 2008-03-18 신규한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의 제조법 및 이를 이용한녹색계열의 전기변색 소자 KR100965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783A KR100965229B1 (ko) 2008-03-18 2008-03-18 신규한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의 제조법 및 이를 이용한녹색계열의 전기변색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783A KR100965229B1 (ko) 2008-03-18 2008-03-18 신규한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의 제조법 및 이를 이용한녹색계열의 전기변색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660A true KR20090099660A (ko) 2009-09-23
KR100965229B1 KR100965229B1 (ko) 2010-06-22

Family

ID=4135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783A KR100965229B1 (ko) 2008-03-18 2008-03-18 신규한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의 제조법 및 이를 이용한녹색계열의 전기변색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2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5732A1 (de) 1997-08-18 1999-02-25 Bayer Ag UV-geschützte elektrochrome Lösung
DE19906655A1 (de) 1999-02-18 2000-11-16 Bayer Ag Elektrochrome Vorrichtung mit verbesserter Lichtechtheit
DE10249054A1 (de) 2001-10-26 2003-05-08 Bayer Ag Elektrochrome Vorrichtung und neue elektrochrome Verbin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229B1 (ko)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44545B1 (en) Electrochromic media comprising controlled diffusion coefficient electrochromic materials, and associated electrochromic devices
Kraft Electrochromism: a fascinating branch of electrochemistry
US6362914B2 (en) Electrochromic materials with enhanced ultraviolet stability and devices comprising same
WO2003052494A2 (e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current-reducing additive
KR20100027510A (ko) 전기변색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전기변색 소자
CN113025304A (zh) 一种电致变色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14393B1 (ko) 고성능 전기 변색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소자 및 이의 구동방법
US6509999B1 (e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improved switching behavior
JP3472810B2 (ja) 常温溶融塩を用いた湿式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デバイス
JP2012224548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化合物
EP3575292B1 (en) Black electrochromic compound, and electrolyte-integrated radiation curable electrochromic composition and electrochromic device which contain same
KR100943417B1 (ko)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 및 대응전극물질 류코 염료를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
KR100965229B1 (ko) 신규한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의 제조법 및 이를 이용한녹색계열의 전기변색 소자
JP4824935B2 (ja) ゲル状電解質、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US11815778B2 (en) Organic compound and electrochromic element
RU2464607C2 (ru) Однослойное секционное электрохр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электрохромный материал полимерного типа
KR101599191B1 (ko) 전기변색 물질,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박막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99661A (ko) 신규한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노란색계열의 색상을 발현하는 전기변색 소자
KR20090099662A (ko)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를 포함하여 전압 인가시진홍색을 띄는 전기변색 소자
KR100965225B1 (ko) 신규 비대칭형 전기변색 비올로겐 유도체의 제조법 및 이를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US6538792B1 (en) Electrochromic device
JP5071002B2 (ja) 表示素子
EP3839007B1 (en) Organic compound and electrochromic element
US20230257504A1 (en) Electrochromic block copolymers and devices made with such copolymers
EP0430686A2 (en) Electrochemichromic violog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