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514A -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514A
KR20090099514A KR1020090079419A KR20090079419A KR20090099514A KR 20090099514 A KR20090099514 A KR 20090099514A KR 1020090079419 A KR1020090079419 A KR 1020090079419A KR 20090079419 A KR20090079419 A KR 20090079419A KR 20090099514 A KR20090099514 A KR 2009009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woven
generator
triboelectric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146B1 (ko
Inventor
차솔비
차민수
차희장
Original Assignee
차솔비
차민수
차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솔비, 차민수, 차희장 filed Critical 차솔비
Priority to KR1020090079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14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5/00Other wind motors
    • F03D5/06Other wind motors the wind-engaging parts swinging to-and-fro and not rot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체A와, 상기 물체A와 마찰에 의해 대전되는 물체B와, 상기 물체A와 접해 있는 도체A와, 상기 물체B와 접해 있는 도체B와, 상기 도체A에 연결되어 있는 인출선A와, 상기 도체B에 연결되어 있는 인출선B를 갖되, 상기 물체A와 상기 물체B는 서로 마찰될 수 있도록 근접하게 위치시켜 발전을 하도록 하므로써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가 없어도 발전을 할 수 있으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가 없어도 발전을 할 수 있으며, 아주 약한 바람이 불거나 난류(亂流)가 발생하는 곳 또는 바람의 풍속이 수시로 바뀌는 상태에서도 발전을 할 수 있으며, 통상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발전장치보다 발전량이 많은 효과가 있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찰전기, 정전기, 발전

Description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GENERATOR USING FRICTIONAL ELECTRICITY}
본 발명은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체A와, 상기 물체A와 마찰에 의해 대전되는 물체B와, 상기 물체A와 접해 있는 도체A와, 상기 물체B와 접해 있는 도체B와, 상기 도체A에 연결되어 있는 인출선A와, 상기 도체B에 연결되어 있는 인출선B를 갖되, 상기 물체A와 상기 물체B는 서로 마찰될 수 있도록 근접하게 위치시켜 발전을 하도록 하므로써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가 없어도 발전을 할 수 있으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가 없어도 발전을 할 수 있으며, 아주 약한 바람이 불거나 난류(亂流)가 발생하는 곳 또는 바람의 풍속이 수시로 바뀌는 상태에서도 발전을 할 수 있으며, 통상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발전장치보다 발전량이 많은 효과가 있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풍력 발전장치는 없으며, 어느 속도 이상의 바람이 불때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고,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발전기의 회전자로 전달하 여 발전을 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발전하는 기술은 상당한 속력의 바람이 불어야 발전이 가능하여, 일정한 속도 이상의 바람이 상시로 부는 지역(대관령, 제주도, 바닷가 등)에 설치가 가능하며, 바람의 속도가 낮은 곳에서는 난류(亂流)가 발생하여 블레이드가 제대로 회전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의 속도가 낮거나, 난류가 발생하거나, 바람의 속도가 수시로 바뀌는 곳에서도 발전을 할 수 있는 발전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전장치는,
물체A와, 상기 물체A와 마찰에 의해 대전되는 물체B와, 상기 물체A와 접해 있는 도체A와, 상기 물체B와 접해 있는 도체B와, 상기 도체A에 연결되어 있는 인출선A와, 상기 도체B에 연결되어 있는 인출선B를 갖되, 상기 물체A와 상기 물체B는 서로 마찰될 수 있도록 근접하게 위치시켜 발전을 한다.
상기 인출선A와 상기 인출선B에 연결되어 있는 축전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선A와 상기 축전지 사이 또는 상기 인출선B와 상기 축전지 사이에 는 전류 또는 전자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오드는 정류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A와 물체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실이 직조되거나 얇게 성형되어 바람에 흩날리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조되거나 얇게 성형된 물체A 또는 물체B와 접해있는 도체A 또는 도체B도 직조되거나 얇게 성형되어 바람에 흩날리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A는 실이 직조된 것이며 상기 물체A의 중심부에는 도체A가 코어로 들어 있거나, 물체B는 실이 직조된 것이며 상기 물체B의 중심부에는 도체B가 코어로 들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A 또는 물체B는 중간중간이 파여 상기 도체A 또는 도체 B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A는 실로 되어 있으며, 상기 물체A에는 상기 도체A가 중심부에 코어로 위치하며, 상기 물체A는 다수가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는 날개가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A는 중간중간이 파여 상기 도체A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B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외곽에 관의 형태로 상기 물체A를 감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A는 2장의 물체B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물체A는 직조되거나 얇게 성형되어 바람에 흩날리는 재질이며, 상기 2장의 물체B는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A는 실이 직조된 것이며, 상기 실의 중심부에는 도체A가 코어로 들어있거나, 상기 물체A는 2장의 직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2장의 직조물 사이에는 도체A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장의 물체B는, 상기 판의 면과 수직으로 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A는 실의 형태이며 상기 물체A의 중심부에는 도체A가 코어로 들어 있거나, 상기 물체B는 실의 형태이며 상기 물체B의 중심부에는 도체B가 코어로 들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A 또는 물체B는 중간중간이 파여 상기 도체A 또는 도체B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A는 실의 형태이며 상기 물체A가 상기 도체A를 외부에서 감싸고 있거나, 상기 물체B는 실의 형태이며 상기 물체B가 상기 도체B를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물체A' 또는 '물체B'에서 '물체'는, 다른 물체와의 마찰에 의해서 마찰전기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마찰전기와 관련된 것으로는 '대전열'이 있으며, 대전열은 (+)털가죽-상아-수정-유리-명주-나무-솜-고무-유황-에보나이트(-)이며, 좌측에 위치한 물체와 우측에 위치한 물체를 마찰시키면, 좌측에 위치한 물체는 +로 대전되고 우측에 있는 물체는 -로 대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체A'와 '물체B'는, 대전열상에서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는 물체를 가리키며, 상기 대전열에 기재되지 않은 것이라도 다른 물체와 마찰에 의해 마찰전기가 생성되는 모든 물체를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게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가 없어도 발전을 할 수 있으며, 아주 약한 바람이 불거나 난류(亂流)가 발생하는 곳 또는 바람의 풍속이 수시로 바뀌는 상태에서도 발전을 할 수 있으며, 통상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발전장치보다 발전량이 많은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물체A(10), 물체B(20), 도체A(12), 도체B(22), 인출선A(14), 인출선B(24), 축전지(30), 다이오드(40)로 구성된다.
물체A(10)와 도체A(12)는 긴밀하게 접촉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물체A(10)와 도체A(12)는 접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물체B(20)와 도체B(22)도 긴밀하게 접촉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물체B(20)와 도체B(22)도 접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체A(12)와 도체B(22)에는 각각에 인출선A(14), 인출선B(24)이 있다.
인출선A(14), 인출선B(24)는 축전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도체로 연결)되 어 있으며, 중간에 다이오드(40)가 삽입되어 있다.
물체A(10)와 도체A(12) 또는 물체B(20)와 도체B(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바람에 의해 흩날릴 수 있는 직조물, 실 등의 형태로 되어 있다.
바람이 불면, 물체A(10)와 물체B(20)는 마찰이 일어난다. 이때, 도체A(12)는 물체B(20)와 접촉되지 않으며, 도체B(22)는 물체A(10)와 접촉되지 않는다. 당연히 도체A(12)와 도체B(22)도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물체A(10)와 물체B(20)가 마찰되면, 어느 한 쪽은 (+)로 대전되고, 다른 한 쪽은 (-)로 대전된다.
정전기는 물체의 표면을 따라 확산되므로, 물체A(10)와 물체B(20)에 축적된 전하는 각각 도체A(12)와 도체B(22)를 대전시킨다. 즉, 도체A(12)와 도체B(22) 중 어느 한 쪽은 전자밀도가 높아지고, 다른 한쪽은 정공밀도가 높아(전자밀도가 낮아짐)진다. 도체A(12)와 도체B(22)에는 전위차가 발생하여, 도체A(12)와 도체B(22)에 인출선A(14), 인출선B(24)를 통해 연결된 축전지(30)를 충전시킨다.
인출선A(14), 인출선B(24)에는 가로등과 같은 부하가 연결되어 직접 전구를 켜는 등의 일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인출선A(14), 인출선B(24)에서 전선을 연결하여 외부로 송전을 할 수도 있다.
다이오드(40)는 정류다이오드로서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다이오드(40)를 사용하는 것은 전류가 반대로 흘러 축전지(30)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면에서 물체A(10), 도체A(12), 물체B(20), 도체B(22)는 공중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는 물체A(10), 도체A(12), 물체B(20), 도체B(22)는 상부 또는 하부에 지지대가 있어 고정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바람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다.
도2는 도1에서 물체A(10), 도체A(12), 물체B(20), 도체B(22)를 입체적으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2에서 물체A(10)와 도체A(12)는 서로 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부착되어 있으며, 물체B(20)와 도체B(22)도 서로 부착되어 있다.
물체A(10)와 물체B(20)은 바람이 불지 않을 때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거나 근접하여 있을 수 있으나, 바람이 불면 물체A(10)와 물체B(20)는 계속 마찰이 발생하도록 서로 대향하고 있어야 한다.
도1 또는 도2에서 물체A(10)와 물체B(20) 평면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실(선)의 형태, 입체적인 형태를 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을 살펴보면, 물체A(10)는 실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물체A(10)의 중심에 도체A(12)가 코어로 들어 있다. 물체A(10)는 중간중간에 구멍이 뚫려 도체A(12)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있다.
정전기(마찰전기)는 물체(부도체)의 표면을 따라 확산되므로, 물체A(10)에 많은 구멍을 뚫는 것은 생성된 정전기가 도체A(12)로 이동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물체A(10)와 도체A(12)의 결합체인 실은 바람에 회전할 수 있는 날개(60)가 위치한 축(50)에 연결되어 있다.
외부의 바람에 의해 날개(60)가 회전하면, 축(60)이 회전하고, 축(60)이 회전함에 따라 물체A(10)와 도체A(12)의 결합체인 실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실은 거의 수평을 이루며 회전하며, 외곽에 배치되어 있는 물체B(20)에 물체A(10)가 마찰을 일으킨다. 물체A(10)와 물체B(20)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 마찰전기는 도체A(12)와 도체B(22)로 확산되고, 도체A(12)와 도체B(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축전지(30)에 충전된다.
물체A(10)와 물체B(20) 사이에는 부하가 거의 걸리지 않으므로, 약한 바람에 의해서도 바람개비 날개(60)은 회전한다.
날개(60)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축(50)과 도체A(12)는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에 연결부재(17)을 삽입하여 연결시켜 도체A(12)가 자유롭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체A(12)로부터 축(50), 축전지(30)까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물체B(20)은 직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물체B(20)의 외부로는 도체B(22)가 둘러싸고 있다. 도체B(22)도 직조물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체B(20)가 직조물이 아닌 경우에는 물체B(20)에는 중간중간에 작은 구멍이 뚫려 도체B(22)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를 살펴보면, 물체B(20)가 도체B(22)와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물체B(20) 2장이 서로 대향하고 있다. 2장의 물체B(20)의 사이에 2장의 물체A(10)와 그 사이에 도체A(12)가 접착된 형태로 위치하고 있다.
물체B(20)은 판상이며, 물체A(10)는 직조물 형태이다.
물체B(20)와 도체B(22)의 판에는 통공(28)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이 불면, 2장의 물체B(20)의 사이 또는 통공(28)으로 통과하며, 물체A(10)와 도체A(12)의 결합체를 흩날리게 하고, 물체A(10)와 물체B(20)가 마찰을 일으키게 한다.
물체A(10), 물체B(20)에 축적된 마찰전기(정전기)는 표면을 따라 도체A(12)와 도체B(22)로 확산되며, 도체A(12)와 도체B(22)에 하전된 전기는 축전지(30)를 충전시킨다.
물체B(20)와 도체B(22)에 한겹의 물체B(20)을 추가하여 물체B(20)-도체B(22)-물체B(20)의 결합체를 만들고, 상기 결합체를 다수개 적층하고, 상기 결합체의 사이에 물체A(10)-도체A(12)-물체A(10)의 결합체를 위치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물체B(20)-도체B(22)의 결합체와, 물체A(10)-도체A(12)-물체A(10)의 결합체는 상부 또는 하부가 다른 지지대에 고정되어 제작되어야 한다. 특히 물체A(10)-도체A(12)-물체A(10)의 결합체는 직물제이므로 상부에 고정되어야 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에서 물체A(10)-도체A(12)-물체A(10)의 결합체를 변형시킨 것이다.
도5에서는 상부에 접속부재(16)을 위치시키고, 상기 접속부재(16)에 물체A(10)가 도체A(12)를 감싼 실 형태의 결합체가 부착되어 있다.
접속부재(16)와 도체A(12)는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부재(17)에 의해 연결되어 물체A(10)와 도체A(12)의 결합체가 자유롭게 운동(흩날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체A(12)로부터 인출선(14)까지는 전기적으로 연결(도체)되어 있어야 한다.
도체A(12)에는 물체A(10)가 촘촘히 감싸고 있어 도체A(12)가 물체B(20) 또는 도체B(22)와 접촉할 기회가 차단되어야 한다.
물체A(10)와 도체A(12)의 결합체는 도3의 물체A(10)와 도체A(12)의 결합체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도6은 물체A(10)와 도체A(12)의 결합체 및 물체B(20)와 도체B(22)의 결합체를 모두 실의 형태로 한 실시예이다.
도6을 살펴보면, 물체A(10)와 도체A(12)의 결합체는 도체A(12)를 물체A(10)가 직조되어 감싸는 형태를 하고 있다. 물체B(20)와 도체B(22)의 결합체는 물체B(20)의 내부에 도체B(22)가 코어로 들어 있으며, 물체B(20)에 구멍이 뚫려 외부로 도체B(22)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하고 있다.
물체A(10)와 도체A(12)의 결합체는 접속부재(16)에 걸려 있으며, 물체B(20)와 도체B(22)의 결합체는 접속부재(26)에 걸려 있다.
물체A(10)와 도체A(12)의 결합체와 접속부재(16)의 결합관계는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부재(17)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결합체의 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며, 물체B(20)와 도체B(22)의 결합체와 접속부재(26)의 결합관계도 도7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접속부재(16)와 도체A(12)를 직접 연결하거나, 접속부재(26)와 도체B(22)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도체A(12)나 도체B(22)가 연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재(16, 26)는 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접속부재(16, 26)가 도체가 아닌 경우에는 도체A(12)와 인출선A(14), 도체B(22)와 인출선B(2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도6과 같이 구성한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물체A(10)와 물체B(20)가 흔들려 서로 마찰이 일어나고, 물체A(10)와 물체B(20) 사이에 대전된 정전기는 도체A(12)와 도체B(22)에 확산되고, 인출선들(14, 24)을 통하여 축전지로 충전된다.
도7은 접속부재와 도체A가 서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연결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접속부재(16) 또는 도3의 축(50)에 도체A(12)가 연결되기 위해 연결부재(17)이 고리형태로 위치한다.
연결부재의 한쪽 끝은 접속부재(16) 또는 축(50)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17)와 접속부재(16), 축(50)은 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17)가 도체가 아닌 경우에는 도체A(12)를 인출선A(14)까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야 한다.
도7은 물체B(20), 도체B(22), 접속부재(2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내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가 만들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개념도.
도2는 도1에서 물체A, 도체A, 물체B, 도체B를 입체적으로 본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접속부재와 도체A가 서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연결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물체A 12. 도체A 14. 인출선A
16. 접속부재 17. 연결부재
20. 물체B 22. 도체B 24. 인출선B
26. 접속부재 28. 통공
30. 축전지 40. 다이오드 50. 축
60. 날개

Claims (18)

  1. 발전장치에 있어서,
    물체A와,
    상기 물체A와 마찰에 의해 대전되는 물체B와,
    상기 물체A와 접해 있는 도체A와,
    상기 물체B와 접해 있는 도체B와,
    상기 도체A에 연결되어 있는 인출선A와,
    상기 도체B에 연결되어 있는 인출선B를 갖되,
    상기 물체A와 상기 물체B는 서로 마찰될 수 있도록 근접하여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A와 상기 인출선B에 연결되어 있는 축전지를 갖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A와 상기 축전지 사이 또는 상기 인출선B와 상기 축전지 사이에 는 전류 또는 전자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가 개재되어 있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는 정류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A와 물체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실이 직조되거나 얇게 성형되어 바람에 흩날리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되거나 얇게 성형된 물체A 또는 물체B와 접해있는 도체A 또는 도체B도 직조되거나 얇게 성형되어 바람에 흩날리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A는 실이 직조된 것이며 상기 물체A의 중심부에는 도체A가 코어로 들어 있거나, 물체B는 실이 직조된 것이며 상기 물체B의 중심부에는 도체B가 코어로 들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A 또는 물체B는 중간중간이 파여 상기 도체A 또는 도체B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A는 실로 되어 있으며, 상기 물체A에는 상기 도체A가 중심부에 코어로 위치하며,
    상기 물체A는 다수가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는 날개가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A는 중간중간이 파여 상기 도체A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B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외곽에 관의 형태로 상기 물체A를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A는 2장의 물체B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물체A는 직조되거나 얇게 성형되어 바람에 흩날리는 재질이며,
    상기 2장의 물체B는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A는 실이 직조된 것이며, 상기 실의 중심부에는 도체A가 코어로 들어있거나,
    상기 물체A는 2장의 직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2장의 직조물 사이에는 도체A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장의 물체B는, 상기 판의 면과 수직으로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장의 물체B는, 상기 판의 면과 수직으로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A는 실의 형태이며 상기 물체A의 중심부에는 도체A가 코어로 들어 있거나, 상기 물체B는 실의 형태이며 상기 물체B의 중심부에는 도체B가 코어로 들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A 또는 물체B는 중간중간이 파여 상기 도체A 또는 도체B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A는 실의 형태이며 상기 물체A가 상기 도체A를 외부에서 감싸고 있거나, 상기 물체B는 실의 형태이며 상기 물체B가 상기 도체B를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20090079419A 2009-08-26 2009-08-26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0949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419A KR100949146B1 (ko) 2009-08-26 2009-08-26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419A KR100949146B1 (ko) 2009-08-26 2009-08-26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514A true KR20090099514A (ko) 2009-09-22
KR100949146B1 KR100949146B1 (ko) 2010-03-25

Family

ID=4135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419A KR100949146B1 (ko) 2009-08-26 2009-08-26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1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0093B (zh) * 2013-11-22 2017-02-08 纳米新能源(唐山)有限责任公司 发电装置和发电系统
CN112682252A (zh) * 2020-12-21 2021-04-20 吉林大学 一种杆体结构及其仿生无桨叶摩擦风力发电装置
KR20240050698A (ko) 2022-10-12 2024-04-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접촉식 정전 발전 장치를 갖춘 타이어
KR20240053148A (ko) 2022-10-17 2024-04-2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정전 발전 장치를 구비한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708B1 (ko) 2014-01-09 2014-05-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강유전 특성이 커플링된 정전기 에너지 발전 소자
KR101544326B1 (ko) * 2014-10-15 2015-08-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강유전 또는 압전 물질층 상의 2차원 구조의 물질을 이용하여 투명성 및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정전기 에너지 발전 소자
KR102233550B1 (ko) 2019-03-04 2021-03-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방향 바람에너지 수확이 가능한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50170C1 (ru) * 1997-10-30 2000-05-27 Нунупаров Мартын Сергеевич Способ питания электронной систем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1057785A (ja) * 1999-08-16 2001-02-2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静電気発電装置
KR100378867B1 (ko) 2000-12-21 2003-04-07 이태형 정전 발전형 고전압 발생장치
US20080203823A1 (en) * 2005-04-27 2008-08-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Arrangement for Converting 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0093B (zh) * 2013-11-22 2017-02-08 纳米新能源(唐山)有限责任公司 发电装置和发电系统
CN112682252A (zh) * 2020-12-21 2021-04-20 吉林大学 一种杆体结构及其仿生无桨叶摩擦风力发电装置
CN112682252B (zh) * 2020-12-21 2022-04-19 吉林大学 一种杆体结构及其仿生无桨叶摩擦风力发电装置
KR20240050698A (ko) 2022-10-12 2024-04-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접촉식 정전 발전 장치를 갖춘 타이어
KR20240053148A (ko) 2022-10-17 2024-04-2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정전 발전 장치를 구비한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146B1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8136A (ko)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0949146B1 (ko)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Chen et al. Robust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hieved by centrifugal force induced automatic working mode transition
Rezaei-Hosseinabadi et al. An efficient piezoelectric windmill topology for energy harvesting from low-speed air flows
KR20060035611A (ko) 발전기
BR112019025660A2 (pt) método de operação de um separador centrífugo, e, separador centrífugo
KR20120058092A (ko) 발전장치
JP2009197752A (ja) 双方向風回転機及び風力発電装置
ES2608468B1 (es) Dispositivo magnético apto para usarse como generador de energía o como motor de impulsión.
CN104018993B (zh) 高空风力发电系统
CN114765389A (zh) 利于使用海洋能发电的永磁发电机
KR101942464B1 (ko)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KR101207023B1 (ko) 풍력발전장치
KR200491127Y1 (ko) 전기연결장치를 구비한 풍향 추적 풍력발전기
KR101684845B1 (ko)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
TW201331467A (zh) 小型風力發電裝置
IT201800004645A1 (it) Macchina cinetica modulare per la produzione di energia da correnti fluide
KR101722659B1 (ko) 수직형 풍력발전기
KR101171936B1 (ko) 인조 반딧불이
WO2022239487A1 (ja) 風力発電装置
KR102234650B1 (ko) 복수개의 인출선을 포함한 마찰전기 발전소자
CN208028680U (zh) 电机转子和永磁电机
CN107659107A (zh) 永磁发电装置
KR20220087084A (ko) 외벽에 설치되는 진동형 발전기
JP2006152983A (ja) 風力発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風力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