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666A - Optics sensing device - Google Patents

Optics sen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666A
KR20090098666A KR1020090004375A KR20090004375A KR20090098666A KR 20090098666 A KR20090098666 A KR 20090098666A KR 1020090004375 A KR1020090004375 A KR 1020090004375A KR 20090004375 A KR20090004375 A KR 20090004375A KR 20090098666 A KR20090098666 A KR 2009009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receiving
foreign material
optical sensor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98781B1 (en
Inventor
히데유키 무라이
코스케 스기야마
코이치 에카와
타카시 카메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6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7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An optical sensor apparatus is provided to detect the foreign material which has a small size. An optical sensor apparatus(1) includes a light projector(3), a light receiver(4) and a signal processing unit(6). The light projector projects the detected light(2) on the tested material. The light receiver receives the detected light. The sign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e existence of foreign material by processing the output of the light receiver. The light receiver comprises a two dimension image pickup element, CCD(Charge-Coupled Device)(11). The signal processing unit comprises a sample hold circuit(12), an A/D converter(13), a memory(14), a CPU(Central Processing Unit)(15),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16) and a control key(17). The sample hold circuit maintains the pixel signal read from the CCD.

Description

광학식 센서 장치{OPTICS SENSING DEVICE}Optical sensor device {OPTICS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검출 영역으로 향하여 투광하고, 그 검출 영역을 경유하여 수광되는 광을 수광함에 의해, 검출 영역중에 존재하는 이물 등의 검출을 행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sensor device that detects foreign matter or the like present in a detection area by transmitting light toward the detection area and receiving light received through the detection area.

종래로부터, 광학식 센서 장치로서, 투광기로부터 검출 영역으로 평행광을 투광하고, 수광기에서 그 평행광을 수광한 때의, 수광기에 있어서 총수광량의 변화에 의거하여 이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s an optical sensor device, an apparatus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oreign substance on the basis of a change in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in a light receiver when a parallel light is transmitted from a light emitter to a detection area and the parallel light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is known. It is used.

이와 같은 장치의 한 예로서, 특허 문헌 1에서는, 투광기 및 수광기에 대해 이물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투광기로부터 발하여지는 평행광의 광로를 이물이 가로지름에 의해 생기는 수광기에서의 수광량의 변화의 유무에 의거하여, 이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n apparatus,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nge in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in a light receiver caused by the foreign material being moved relative to the light emitter and the light receiver, and the foreign material traverses the optical path of parallel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On the basis of this, a techniqu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matter is disclosed.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광기(300)로부터 투광된 폭(L0)의 레이저광이, 기판(500)상을 해당 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전파되고, 수광기(400)에서 검출된다. 기판(500)은, 이물이 부착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검사되는 검사 대상물이고, 석정반(石定盤)(510)에 지지되어 있다. 도 16에서는, 레이저광의 전파 방향이, 화살표(DZ)로 도시되어 있다. 기판(500)은, 석정반(510)과 함께, 투광기(300) 및 수광기(4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이동 방향은, 화살표(DZ) 및 화살표(DY)(수직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고, 지면(紙面)에 수직한 방향이다.In such an apparatus, specifically, as shown, for example in FIG. 16, the laser beam of the width | variety L0 projected from the light projector 300 propagates on the board | substrate 500 in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said board | substrate. I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er 400. The board | substrate 500 is a test | inspection object to which the foreign material adheres, and is test | inspected, and is supported by the stone slab 510. In FIG. 16,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a laser beam is shown by the arrow DZ. The substrate 500 is moved relative to the light emitter 300 and the light receiver 400 together with the stone platform 510. The moving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ow DZ and the arrow DY (vertical direction), and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500)상에 이물(501)이 존재하면, 투광기(300)가 투광한 평행광은 이물(501)에 의해 그 일부가 차단된다. 이로 인해, 수광기(400)에서 검출되는 총수광량이 감소한다. 이와 같은 총수광량의 변화에 의거하여, 이물의 유무 등이 검출된다.As illustrated in FIG. 17, when a foreign material 501 exists on the substrate 500, a part of the parallel light emitted by the light projector 300 is blocked by the foreign material 501. As a result,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detected by the light receiver 400 is reduced. On the basis of such a change in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matter and the like is detected.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수광기의 수광 영역을 이물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의 수광량에 의거하여 기판상의 이물의 유무 등을 검출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Patent Literature 2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light receiving area of a light receiver is di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a foreign material moves relativel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oreign material on a substrate is detected based on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each divided area.

구체적으로는,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광기(300)로부터 수광기(400)를 향하여 화살표(DZ)로 도시되는 방향으로 검출광(200)이 투광되고, 기판(500)이 투광기(300)와 수광기(400)에 대해 화살표(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수광기(400)의 수광 영역이, 기판(500)의 이동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분할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8, the detection light 200 is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300 toward the light receiver 400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DZ, and the substrate 500 is light-emitting 300. ) And the light receiving area of the light receiver 400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bstrate 500, in the system relative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by the arrow A with respect to the light receiver 400. Divided to list.

도 19에, 투광기(300)측에서 본 수광기(400)에 있어서의 수광 영역의 배열 양태를 도시한다.19 shows an arrangement of light receiving regions in the light receiver 400 viewed from the light projector 300 side.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광기(400)의 수광면(401)에는 수광량의 검출 대상이 되는 수광 영역(402)이 마련되어 있고, 해당 수광 영역(402)은, 수평 방향 으로 나열한 복수의 분할 영역(402A 내지 402J)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8, the light receiving surface 401 of the light receiver 400 is provided with the light receiving area 402 which is a detection target of the light receiving amount, and the light receiving area 40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sion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gions 402A through 402J.

특허 문헌 2에서는, 분할 영역(402A 내지 402J)의 각각에 관해, 계측 주기마다의 평균 수광량이 산출되고, 소정 회수 전에 산출된 평균 수광량과 비교됨에 의해, 이물의 유무가 판단된다. 이와 같은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분할 영역(402A 내지 402J)의 각각의 면적에 대해 이물(501)의 차폐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큰 것으로 할 수 있고, 수광기에 있어서의 총수광량의 변화에 의거하여 이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이물 검사 기술에 대해 검출 감도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In Patent Literature 2, for each of the divided regions 402A to 402J, the average light received amount for each measurement period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average light received amount calculated befor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matter is determined.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the ratio of the shielding area of the foreign material 501 to the area of each of the divided regions 402A to 402J can be large,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in the light receiver. Based on the foreign material inspection techniqu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matters, the detection sensitivity is improved.

특허 문헌 1 : 특개2002-119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195

특허 문헌 2 : 특개2006-351441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351441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식 센서 장치에 있어서, 검출 정밀도의 향상은 항상 절망적인 것이다. 특히, 부품의 소형화가 가속하는 근래에는, 보다 치수가 작은 이물이 불량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그 검출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In the optical sensor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improvement of the detection accuracy is always hopeless.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when the downsizing of parts is accelerated, foreign matters having smaller dimensions cause defects, and therefore, detection thereof is necessary.

수광기에 있어서의 총수광량의 변화에 의거하여 이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경우, 이물이 작아지면, 총수광량에 대한 수광량의 변화가 작아지고, 검출 감도가 부족된다.In the case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matter on the basis of the change in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in the light receiver, when the foreign matter becomes small, the change in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becomes small, and the detection sensitivity is insufficient.

수광기의 수광 영역을 이물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으로 분할하고, 분할된각 영역의 수광량에 의거하여 기판상의 이물의 유무 등을 검출하는 경우, 이물이 작아지면 회절이 생기고, 그 회절광은 이물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상으로 광강도의 강약 분포 패턴(회절 패턴)이 생기게 되는데, 복수의 수광 영역이 이물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경우, 회절 패턴에 의해 생기는 수광량의 강약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각 수광 영역의 이동 방향의 폭을 회절 패턴의 주기보다도 작게 설정하고, 또한, 이동에 수반하는 시간 변화로서 수광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이동 속도에 따라 노광 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수광량이 제한되고, 고감도화에 한계가 있다.When the light-receiving area of the light receiver is divided in the relative moving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on the substrate is detected based o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in each divided region, diffraction occurs when the foreign material becomes small, and the diffracted light is centered on the foreign material. The intensity distribution pattern (diffraction pattern) of the light intensity is generated radially. When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regions are arranged in the relative moving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in order to detect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light intensity caused by the diffraction pattern, In order to set the width | variety of the movement direction of each light reception area | region smaller than the period of a diffraction pattern, and to grasp | ascertain the change of light reception amount as a time change accompanying a movement, it is necessary to shorten an exposure time according to a movement speed. For this reason, the light reception amount obtained is limited and there is a limit to high sensitivity.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검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이물의 치수가 작아진 경우라도, 확실하게 이물의 유무 등을 검출할 수 있는 광학식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optical sensor device capable of reliably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oreign matter, even when the size of the foreign matter that needs to be detected is reduced.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따른 광학식 센서 장치는, 평탄한 지지면상에 놓이는 평판형상 부재의 일단면측에 설치된 투광부로부터, 평판형상 부재의 윗면을 포함하는 윗면상의 공간에 검출광을 투광하고, 타단면측에 설치된 수광부에서 검출광을 수광함과 함께, 지지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검출광과 평판형상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평판형상 부재에 부착한 이물을 검출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로서, 참조치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처리부를 구비하고, 수광부는, 이물이 부착하지 않은 평판형상 부재가 지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에 관해 검출광이 입사하는 범위로서, 지지면에 가장 가까운 측의 단부로부터 해당 지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배열된 복수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 기억부는, 각 수광 영역에 대한 참조치를 기억하고, 처리부는, 상기 각 수광 영역에 관해 해당 수광 영역 전체에서 수광되는 수광량에 의거하여 생성된 각 수광 영역의 수광치와, 대응하는 참조치로부터 차분치(差分値)를 각각 산출하고, 어느 하나의 차분치가 판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물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ptic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etection light to a space on an upper surface including an upper surface of a flat member from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on one end surface side of a flat member placed on a flat support surface, and on the other end surface side. An optical sensor device for receiving a detection light from a light receiving portion provided at the same time and detecting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lat plate member by moving the detection light and the flat plate memb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eeth, and a processing unit, wherein the light receiving unit is a range in which the detection light is incid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in a state where a flat member without foreign matter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regions arrang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surface from the end of the near side, the storage unit is for each light receiving region The reference value is stored, and the processing unit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from the received values of each of the received regions generated based on the received amount of light received in the entire of the received regions, and the corresponding reference values, respectively. And if any difference exceeds the determination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oreign material.

바람직하게는, 수광부는, 소정의 계측 주기로 상기 각 수광 영역 각각에 입사하는 검출광을 반복 수광하고, 처리부는, 상기 계측 주기마다 반복하여 상기 차분치를 산출하고, 검출광과 평판형상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에서의 검출광 및 각 수광 영역의 치수는, 계측 주기와 상대적인 이동의 이동 속도와의 곱에 의해 산출되는 치수보다도 긴 치수가 된다.Preferably, the light receiving unit repeatedly receives the detection light incident on each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s at a predetermined measurement period, and the processing unit repeatedly calculates the difference value for each measurement period, and the detection light and the flat member are relatively The detection light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dimensions of each light receiving region are longer than the dimensions calculated by the product of the measurement period and the movement speed of the relative movement.

또한, 바람직하게는, 투광부와 수광부 사이의 소정의 검사 범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소정의 크기의 이물을 검출하도록 되고, 각 수광 영역의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치수는, 소정의 이물이 상기 검사 범위의 가장 수광부에 가까운측에 있는 때에, 해당 이물에 의해 생기는 회절광이 수광부에서 수광됨에 의한 생기는 회절 패턴의 회절 주기의 반분보다도 작은 치수가 된다.Further, preferably, the foreign material of at least a predetermined size existing in the predetermined inspection range betwee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detected, and the dimension of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ing surface of each light receiving region is such that the predetermined foreign material is inspected. When the light is closer to the light-receiving portion of the range, the diffracted light generated by the foreign matter is smaller than half of the diffraction period of the diffraction pattern generated by the light-receiving portion.

바람직하게는, 기억부는, 이물이 부착하지 않은 평판형상 부재가 상기 지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각 수광 영역에서 수광되는 총수광량에 의거하여 생성된 각 수광 영역의 수광치를 참조치로서 기억한다.Preferably, the memory unit stores, as a reference value, the light reception value of each light reception region generated based on the total light reception amount received in each light reception region in a state where the flat member without foreign matter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또한 구비하고, 수광부는, 2차원으로 배열된 화소로 이루어지는 촬상 영역을 갖는 2차원 촬상 소자를 포함하고, 각 수광 영역은, 촬상 영역 내에, 각각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기억부는, 2차원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의해 미리 취득된 화상을 참조 화상으로서 또한 기억하고, 처리부는, 2차원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과 참조 화상과의 차분 화상, 및 설정된각 수광 영역을 해당 차분 화상에 화소 위치를 대응시켜서 겹쳐 표시부에 표시한다.Preferably,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is further provided,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includes a two-dimensional imaging element having an imaging area composed of pixels arranged in two dimensions, and each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s is provided in plural in each of the imaging areas. The storage unit also stores an image previously acquired by the imaging region of the two-dimensional imaging element as a reference image, and the processing unit is an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cquired by the imaging region of the two-dimensional imaging element. The difference imag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set light receiving area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superimposing the pixel positions on the difference image.

바람직하게는, 참조 화상은, 이물이 부착하지 않은 평판형상 부재가 지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취득한 화상이 된다.Preferably, the reference image is an image acquired in a state where the flat member without foreign matter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또한, 바람직하게는, 2차원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 내의 각 수광 영역으로서 설정되는 복수의 화소 범위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또한 구비하고, 처리부는, 입력부에서 입력된 복수의 화소 범위를, 각 수광 영역으로서 차분 화상에 화소 위치를 대응시켜 겹쳐서 표시부에 표시시킴과 함께, 입력된 복수의 화소 범위를 각 수광 영 역으로서 설정한다.Further, preferably,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plurality of pixel ranges set as respective light receiving regions in the imaging region of the two-dimensional imaging element is further provided, and the processing unit includes the plurality of pixel ranges input from the input unit as the respective light receiving regions. The pixel positions correspond to the difference images, are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plurality of input pixel ranges are set as the respective light receiving regions.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광학식 센서 장치는, 평탄한 지지면상에 놓이는 평판형상 부재의 일단면측에 설치된 투광부로부터, 평판형상 부재의 윗면을 포함하는 윗면상의 공간에 검출광을 투광하고, 타단면측에 설치된 수광부에서 검출광을 수광함과 함께, 지지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검출광과 평판형상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평판형상 부재에 부착한 이물을 검출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로서, 참조치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처리부를 구비하고, 수광부는, 이물이 부착하지 않은 평판형상 부재가 상기 지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에 관해 검출광이 입사하는 범위로서, 지지면에 가장 가까운 측의 단부로부터 해당 지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배열된 복수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 기억부는, 각 수광 영역에 대응하는 참조치를 기억하고, 처리부는, 각 수광 영역에 관해 해당 수광 영역 전체에서 수광되는 수광량에 의거하여 생성된 각 수광 영역의 수광치와, 대응하는 참조치로부터 비(比)를 각각 산출하고, 어느 하나의 비가 판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물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ptic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etection light to a space on an upper surface including an upper surface of a flat member from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on one end surface side of a flat member placed on a flat support surface, and on the other end surface side. An optical sensor device for receiving a detection light from a light receiving portion provided at the same time and detecting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lat plate member by moving the detection light and the flat plate memb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eeth, and a processing unit, wherein the light receiving unit is a range in which the detection light is incident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flat member without foreign matter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regions arrang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surface from the end of the nearest side, the storage unit, each light receiving region The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memory is stored, and the processing unit calculates a ratio from the received values of the respective light receiving regions generated based on the light receiving amount received in the entire light receiving reg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s and the corresponding reference values, respectively. If the ratio exceeds any of the determination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oreign material.

본 발명에 의하면, 이물의 검출 대상이 되는 평판형상 부재가 놓이는 지지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검출광과 평판형상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지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광 영역마다 수광된 수광량에 의거하여 생성된 수광 신호를 참조 수광 신호와 각각 비교하고, 어느 하나의 비교 결과가 판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물이 있다고 판단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ight-receiving light beam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in which the detection light and the plate-shaped member are relatively mo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flat member to be detected as foreign matter is placed. The received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received amount of light received in each region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received signal, respectively, and if any comparison result exceeds the determination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foreign matter.

이로써, 이물로서 검출하는 것이 희망된 물체의 치수가 작아짐에 의해 해당 물체에 의해 투광부로부터의 검출광의 수광량이 작아졌다고 하여도, 회절광을 이용하여 그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물체의 치수가 큰 경우에는 검출광의 차폐에 의한 수광량의 변동으로부터 해당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Thereby, even if the received light amount of the detection light from the light-transmitting part is reduced by the said object by the dimension of the object desired to detect as a foreign material, the object can be detected using diffracted light.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object is large, the object can be detected from the variation i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shielding the detection light.

이물 검출 때, 이물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적으로 생기는 회절 패턴이 수광 영역상을 이동하게 되는데,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광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절 패턴의 중심부의 통과를 피하여 배치되게 되고, 해당 수광 영역에서는 회절 패턴의 이동에 수반하는 수광량의 시간 변화가 비교적 완만하게 생기기 때문에, 노광 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수광 영역의 이동 방향의 폭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미약한 회절광의 수광량을 많게 하여 이물의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foreign material detection, a diffraction pattern generated concentrically around the foreign material moves on the light receiving area.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areas arrang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ing surface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diffraction pattern.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light reception area | region and the time change of the light reception amount accompanying a movement of a diffraction pattern occurs relatively slowly in this light reception area | region, an exposure time can be set long. Or, the width | variety of the moving direction of a light receiving area can be set long. As a result, the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foreign material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light reception amount of the weak diffracted light.

이하, 본 발명의 광학식 센서 장치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optical sensor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또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in each figure, and detailed description is not repeated.

[제 1의 실시의 형태][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광학식 센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이 광학식 센서 장치를 이물 검출에 적용한 경우의 투광기 및 수광기의 배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ptic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light emitter and a light receiver when this optical sensor device is applied to foreign material detection.

본 실시의 형태의 광학식 센서 장치(1)는, 유리 기판 등의 피검사물로서의 워크(50)상에 검출광(2)을 투광하는 투광기(3)와, 이 검출광(2)을 수광하는 수광기(4)와, 이 수광기(4)의 출력을 신호 처리하여 워크(50)상의 이물(51)의 유무를 판정하는 신호 처리 장치(6)를 구비하고 있고, 워크(50)에 대해, 투광기(3) 및 수광기(4)를, 도 2의 화살표(A)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서 워크(50)상에 존재하는 이물(51)을, 수광기(4)에 있어서의 수광량의 변화에 의거하여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이물(51)은, 워크(50)상에 존재하는 경우로 한하지 않고, 워크(50)의 아래에도 존재하고, 그 때문에 워크(50)의 표면이 솟아올라 차광한 경우에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물(51)의 유무의 검사가 종료된 유리 기판 등의 워크(50)는, 도시하지 않은 도포(塗布) 장치에 의해, 그 표면에 성막 재료가 도포된다.The optical sensor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projector 3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light 2 onto a workpiece 50 as an inspection object such as a glass substrate, and a number for receiving the detection light 2.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6 configured to signal-process the madness 4 and the output of the light receiver 4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eign matter 51 on the work 50. With respect to the work 50, As shown in the arrow A of FIG. 2, the light emitter 3 and the light receiver 4 move the foreign material 51 present on the workpiece 50 while being moved by the light receiver 4. Detection is based on the change of.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51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it exists on the workpiece | work 50, but exists also under the workpiece | work 50, and therefore can detect even when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 work 50 rises and is shielded. It is. In addition, the film-forming material is apply | coated to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 work 50, such as a glass substrate in which the insp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was completed, by the coating apparatus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투광기(3)는, 레이저 구동 회로(7)에 의해 구동되는 반도체 레이저(8)와, 이 반도체 레이저(8)로부터의 광을 평행광으로 하는 콜리메이트 렌즈(9)와, 개구(10A)를 갖는 슬릿(10)을 구비하고 있고, 워크(50)상에 검출광(2)을 투광한다.The light projector 3 includes a semiconductor laser 8 driven by the laser drive circuit 7, a collimating lens 9 which uses light from the semiconductor laser 8 as parallel light, and an opening 10A. The slit 10 which has is provided, and it transmits the detection light 2 on the workpiece | work 50.

한편, 수광기(4)는, 2차원의 촬상 소자인 CCD(charge-coupled device)(11)를 구비하고 있고, 신호 처리 장치(6)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CD(11)로부터 판독된 화소 신호를 샘플 홀드하는 샘플 홀드(S/H) 회로(12)와, 이 샘플 홀드 회로(12)의 출력을, A/D(analog/digital) 변환하는 A/D 변환기(13)와, A/D 변환된 화소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메모리(14)와, 화상 메모리(14)의 화소 데이터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이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처리부 및 참조치 및 판정 임계치를 기억하는 기억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5)와, 화상 메모리(14)의 화소 데이터에 의거하여, CCD(11)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16)와, 입력부로서의 각종의 조작 키(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메모리(14)는, 참조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부로서의 기능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receiver 4 is equipped with the CCD (charge-coupled device) 11 which is a two-dimensional imaging element, an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6 is a CCD 11, as shown in FIG. A sample hold (S / H) circuit 12 for holding a pixel signal read from the sample, and an A / D converter 13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sample hold circuit 12 to A / D (analog / digital) conversion. On the basis of the image memory 14 storing the A / D-converted pixel data and the pixel data of the image memory 14, and a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matter as described later, a reference value and a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15 having a function a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6 for displaying an image picked up by the CCD 11 based on pixel data of the image memory 14, and And various operation keys 17 as input sections. The image memory 14 also has a function as a storage unit for storing reference images.

도 3은, 수광기(4)의 CCD(11)가 설치된 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수광기(4)를 투광기(3)측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FIG. 3: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the surface in which the CCD 11 of the light receiver 4 was installed, and corresponds to the figure which looked at the light receiver 4 from the light projector 3 side.

도 3을 참조하면, 수광기(4)의 CCD(11)가 마련된 검출면(4A)에서는, CCD(11)의 촬상 영역의 일부가, 투광기(3)로부터의 투광을 수광한 계측 영역(40)이 되고, 이 계측 영역(40)은, 또한 워크(50)의 윗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따라 복수의 분할 영역(분할 영역(41 내지 44))으로 분할되고, 각 분할 영역(41 내지 44)마다 수광량이 계측된다.Referring to FIG. 3, in the detection surface 4A in which the CCD 11 of the light receiver 4 is provided, a measurement region 40 in which a part of the imaging area of the CCD 11 receives light from the light projector 3. This measurement area 40 is furth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divided areas 41 to 44)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50, and each divided area 41 to 44.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is measured for each.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투광기(3)의 슬릿(10)의 개구(10A)는, 투광기(3) 및 수광기(4)의 이동 방향(도 2의 화살표(A)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예를 들면, 1㎜×5㎜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투광기(3)로부터의 슬릿형상의 검출광(2)이 CCD(11)의 계측 영역(40)을 덮도록 투광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10A of the slit 10 of the light projector 3 is a rectangle that is long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ght projector 3 and the light receiver 4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n FIG. 2), for example. For example, it is formed in the rectangle of 1 mm x 5 mm, and the slit-shaped detection light 2 from the light projector 3 is transmitted so that the measurement area 40 of the CCD 11 may be covered.

도 4는, 도 1의 광학식 센서 장치(1)에 있어서, 워크(50)상에 존재하는 이물(51)과 수광기(4)와의 거리의 변화에 의거하여, 투광기(3)에 의한 투광의 CCD(11)에 있어서의 수광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shows the projection of light emitted by the light projector 3 based on the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oreign material 51 and the light receiver 4 present on the workpiece 50 in the optical sensor device 1 of FIG. 1.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change of the light reception state in CCD11.

도 4를 참조하면, 도 4(D)에는, 도 2의 투광기(3)와 수광기(4)와 검출광(2)의 위치 관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D)에서는, 워크(50)상의 이 물(51)의 위치로서, 이물(51A 내지 51C)의 3개소가 도시되어 있다.4,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light projector 3, the light receiver 4, and the detection light 2 of FIG. 2 is shown typically in FIG. In addition, in FIG.4 (D), as the position of this water 51 on the workpiece | work 50, three places of foreign materials 51A-51C are shown.

그리고, 도 4(A)는, 이물(51A)의 위치에 이물이 존재할 때의 계측 영역(40)에서의 수광량을 도시한다. 또한, 도 4(B)는, 이물(51B)의 위치에 이물이 존재할 때의 계측 영역(40)에서의 수광량을 도시한다. 또한, 도 4(C)는, 이물(51C)의 위치에 이물이 존재할 때의 계측 영역(40)에서의 수광량을 도시한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수광량은, 수직 방향의 위치마다 수광량을 수평 방향으로 평균한 평균치로 도시되어 있고, 수직 방향의 위치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41 내지 44)이 1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4A shows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in the measurement region 40 when foreign matter exists at the position of the foreign material 51A. 4B shows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in the measurement region 40 when foreign matter exists at the position of the foreign material 51B. 4C shows the light reception amount in the measurement region 40 when foreign matter exists at the position of the foreign material 51C. 4A to 4C, the light receiving amount is shown as an average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light receiving amou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ach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divided regions 41 to 44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dashed line is shown.

또한,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파선은, 이물(51)(이물(51A 내지 51C))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수광량을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수광량을 적절히 「블랭크의 수광량」이라고 부른다.In addition, in FIG.4 (A)-FIG.4 (C), the broken line has shown the light reception amount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foreign materials 51A-51C) does not exist. In this specification, such a light reception amount is called appropriately "light reception amount of a blank."

또한,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이물(51A 내지 51C)과 같은 수직 방향의 위치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44)에 대응하는 영역에 해칭이 그어져 있다.In addition, in FIG.4 (A)-FIG.4 (C), hatching is drawn in the area |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vision area | region 44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like foreign materials 51A-51C.

슬릿(10A)으로부터 CCD(11)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면 4.0m가 되고, 이물(51A)로부터 CCD(11)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면 1.5m, 이물(51B)로부터 CCD(11)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면 1.0m, 이물(51C)로부터 CCD(11)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면 0.5m가 된다.The distance from the slit 10A to the CCD 11 is, for example, 4.0 m. The distance from the foreign material 51A to the CCD 11 is, for example, 1.5 m and the distance from the foreign material 51B to the CCD 11 is, for example. For example, the distance from the foreign material 51C to the CCD 11 is 1.0 m, for example, 0.5 m.

도 4(A) 내지 도 4(C)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물(51)의 위치가 이물(51A 내지 51C)의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의해, 계측 영역(40)에서의 수광 양태는 변화하고 있다.As understood from FIG. 4 (A)-FIG. 4 (C), the light-receiving aspect in the measurement area | region 40 is changing by where the position of the foreign material 51 is located in the foreign material 51A-51C. .

도 4(A)에서는, 계측 영역(40)의 수직 방향의 하단부터, 이물(51A)이 존재하는 수직 방향의 위치보다도 상당히 상방까지, 블랭크의 수광량에 대해 수광량이 낮아지고 있다.In FIG. 4A, the light receiving amount is lowered with respect to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lank from the low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easurement region 40 to substantially above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foreign material 51A is present.

도 4(B)에서도, 분할 영역(41)의 중단 정도까지, 블랭크의 수광량보다도 수광량이 낮아지고 있다.Also in FIG. 4B, the light receiving amount is lower than that of the blank until the interruption of the divided region 41.

도 4(C)에서는, 계측 영역(40)의 하단부터 블랭크의 수광량보다 수광량이 낮은 영역이 계속되고 있지만, 분할 영역(43)의 중단에서, 블랭크의 수광량으로 복귀하고 있다.In FIG. 4C, the region where the light receiving amount is lower than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lank continues from the lower end of the measurement region 40, but is returned to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lank at the interruption of the divided region 43.

또한, 도 4(A) 내지 도 4(C)의 어느 쪽에서도, 계측 영역(40)의 하단부터의 상방으로의 수광량의 변화를 본 경우, 한번 수광량이 감소한 후, 상방으로 감에 따라 수광량은 상승하고, 블랭크의 수광량을 초과하고 있다. 도 4(C)에 관해서는, 재차 블랭크의 수광량을 하회한 후, 다시, 블랭크의 수광량을 넘고 있다.In addition, in any of FIG. 4 (A)-FIG. 4 (C), when a change in the light reception amount from the lower end of the measurement area 40 is seen, once the light reception amount decreases, the light reception amount increases as it goes upwards. The light received amount of the blank is exceeded. Regarding FIG. 4C, after again lowering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lank,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lank is again exceeded.

계측 영역(40)의 하단부터 상방을 향하여 수광량이 이와 같이 변화하는 것은, 이물에 의해 투광기(3)로부터의 투광이 회절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It is considered that the light reception amount changes in this way from the lower end of the measurement area 40 upwards is because light transmission from the light projector 3 is diffracted by foreign matter.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물(51)의 수광기(4)(CCD(11))와의 거리에 따라 계측 영역(40) 전체의 수광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계측 영역(40) 전체의 수광 영역의 수광량에 의거하여 이물(51)의 유무를 검출하려고 하면, 이물(51)이 수광기(4)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존재를 검출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것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4A to 4C,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in the entire measurement area 40 change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light receiver 4 (CCD 11) of the foreign material 51.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on the basis of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in the light receiving area of the entire measurement area 40, if the foreign material 51 exists at a position close to the light receiver 4, the pre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is detected. I think it is difficult.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에, 이물(51)과 CCD(11)의 거리가 변화한 때의 계측 영역(40)의 총수광 량(도 5중의 「○」)을 도시한다. 또한, 도 5에서는, 참고로서, 이물(51)이 존재하지 않는 때의 계측 영역(40)의 총수광량(도 5중의 「●」)이 도시되어 있다.FIG. 5 shows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o" in FIG. 5) of the measurement area 4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oreign material 51 and the CCD 11 changes. In addition, in FIG. 5, the total light-receiving amount ("o" in FIG. 5) of the measurement area | region 40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does not exist is shown by reference.

도 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물(51)이 CCD(11)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함에 따라, 계측 영역(40)에서의 총수광량은, 이물(51)이 존재하지 않는 때의 수광량에 근접하고 있다. 즉, 이물(51)이 CCD(11)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함에 따라, 존재하지 않는 때와의 총수광량의 차가 작아지고, 총수광량에 의거하여 이물(51)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것은, 이물(51)이 CCD(11)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함에 따라, 계측 영역(40)에서, 이물(51)에 의한 회절광을 많이 수광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As understood from FIG. 5, as the foreign material 51 exists at a position close to the CCD 11,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in the measurement area 40 is close to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does not exist. have. That is, as the foreign material 51 is present at a position close to the CCD 11, the difference in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as compared to when it is not present becomes small, and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foreign material 51 receives a lot of diffracted light by the foreign material 51 in the measurement region 40 as the foreign material 51 exists at a position close to the CCD 11.

또한, 도 4(A) 내지 도 4(C)에 해칭을 그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 영역(40)의 일부인 수광 영역(44)의 수광량만에 의해, 이물(51)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물(51)의 유무를 판단하면, 이물(51)이 수광기(4)에 먼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존재를 검출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것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by hatching in FIGS. 4A to 4C,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can be determined only by the light reception amount of the light reception region 44 that is a part of the measurement region 40. I think it's possible. However, wh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is determined in this manner, it is considered that the exist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is difficult to detect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exists at a position far from the light receiver 4.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에, 이물(51)과 CCD(11)의 거리가 변화한 때의 분할 영역(44)의 총수광량(도 6중의 「○」)을 도시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참고로서, 이물(51)이 존재하지 않는 때의 분할 영역(44)의 총수광량(도 6중의 「●」)이 도시되어 있다.6 shows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o" in FIG. 6) of the divided region 44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oreign material 51 and the CCD 11 changes. In addition, in FIG. 6, the total light-receiving amount ("●" in FIG. 6) of the division area 44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does not exist is shown by reference.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물(51)이 CCD(11)에 먼 위치에 존재함에 따라, 분할 영역(44)에서의 총수광량은, 이물(51)이 존재하지 않는 때의 수광량에 근접하고 있다. 즉, 이물(51)이 CCD(11)에 먼 위치에 존재함에 따라, 존재하지 않는 때와의 총수광량의 차가 작아지고, 총수광량에 의거하여 이물(51)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As understood from FIG. 6, as the foreign material 51 is locat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CCD 11,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in the divided region 44 is close to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is not present. have. That is, as the foreign material 51 is locat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CCD 11, the difference in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with respect to when it does not exist becomes small, and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분할 영역(41 내지 44)의 각각에 관해, 이물(51)이 존재할 때와 하지 않을 때의 평균 농도의 차분치를 산출한다. 산출되는 차분치의 한 예를 도 7에 도시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ach of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the difference value of the average concentration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is present or not is calculated. An example of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is shown in FIG.

도 7에서는, 횡축에, 분할 영역(41 내지 44)의 각각이, 분할 영역(N)(N=1 내지 4)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물이 존재할 때의 평균 농도가 1점쇄선으로 이어진 「●」(금회의 화상)으로 도시되고, 이물이 존재하지 않는 때의 평균 농도가 파선으로 이어진 「●」(T회 전의 화상)으로 도시되고, 그리고, 이물이 존재할 때와 하지 않을 때의 차분치가 실선으로 도시된 「●」(평균 농도 차)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중의 「T회 전」에 관해서는, 후술한다.In FIG. 7, each of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is shown as the divided region N (N = 1 to 4) on the horizontal ax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verage concentration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present is shown by "(circle)" (an image of the present time) connected by a dashed line,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when the foreign material does not exist is "(circle)" connected by a broken line.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foreign matter is shown by "(circl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shown by the solid line. The "T turn" in FIG. 7 is mentioned later.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할 영역(41 내지 44)에 관한 차분치의 어느 하나에서, 미리 정해진 임계치(도 7중의 P1)를 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에 의해, 이물이 워크(50)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또한, 임계치는, 예를 들면, 각 분할 영역(41 내지 44)의 각각의 평균 농도의 검출에 관한 노이즈의 값에 소정의 여유치를 가한 것(노이즈의 값의 2배 정도의 값)이 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분할 영역(43)(N=3)의 수광량(M1)이 임계치를 넘고 있다. 이로써, 이와 같은 수광량이 계측된 시점에서, 계측 영역(40)에 대향하는 워크(50)상(또는 워크(50)의 아래)에는 이물(51)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Then, in any one of the difference values for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as shown in FIG. 7, the foreign material is determined on the work 50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P1 in FIG. 7) is exceed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present in the. In addition, the threshold is, for example, a predetermined margin (approximately twice the value of noise) to a noise value relating to the detection of the respective average concentrations of the respective divided regions 41 to 44.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light reception amount M1 of the divided region 43 (N = 3) exceeds the threshold. Thereby, it is judged that the foreign material 51 exists on the workpiece | work 50 (or below the workpiece | work 50) which opposes the measurement area | region 40 at the time when such a light reception amount was measured.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CCD(11)의 계측 가능한 면적중의 일부를 계측 영 역(40)으로 되어 있다. 계측 영역(40)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세로1.0㎜×가로3.0㎜로 하고 있다. 따라서 분할 영역(41 내지 44)은, 세로0.25㎜×가로3.0㎜가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rt of the area that can be measured by the CCD 11 is the measurement area 40. The size of the measurement area 40 is set to 1.0 mm in height x 3.0 mm in width, for example. Accordingly,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are 0.25 mm long by 3.0 mm wide.

또한, 이물(51)은, 그 사이즈가, 예를 들면, 직경 100㎛정도 이상이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foreign material 51 is about 100 micrometers or more, for example.

또한, 분할 영역(41 내지 44)의 수직 방향(종방향)의 치수는, 이물(51)로서 검출하는 것이 의도되는 물체의 수직 방향의 치수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분할 영역(41 내지 44)의 수직 방향의 중심 사이의 거리도, 그것에 맞추어서 이물(51)로서 검출하는 것이 의도되는 물체의 수직 방향의 치수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is preferably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bject intended to be detected as the foreign material 51.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is also preferably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bject intended to be detected as the foreign material 51 in accordance with it.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분할 영역(41 내지 44)의 면적은, 0.75㎟인데, 그 면적이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area of the division areas 41-44 is 0.75 mm <2>,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is 1 mm <2> or less.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CCD(11)는, 3.2㎜×3.46㎜인데, 투광기(3)와 수광기(4)와의 광축 맞춤을 고려하면, 2㎜×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CCD 11 is 3.2 mm x 3.46 m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 mm x 2 mm or more in consideration of optical-axis alignment of the light projector 3 and the light receiver 4.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대 이동하는 이물(51)이, 분할 영역(41 내지 44)을 통과하는 동안에, CCD(11)의 분할 영역(41 내지 44))을 구성하는 화소 신호의 받아들임을 적어도 1회 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lative moving foreign material 51 receives the pixel signals constituting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of the CCD 11 while passing through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It is possible to set so that it can be performed at least once.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측 영역(40)의 이동 방향에 따른 폭을, 예를 들면, 3㎜, 최대의 이동 속도를, 예를 들면, 400㎜/s로 하고 있고, 따라서 분할 영역(41 내지 44) 앞의 검출 영역을 이물(51)이 통과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은, 예를 들면, 7.5㎳가 되고, CCD(11)의 받아들임 주기 7.0㎳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이물(51)이 통과하는 동안에, 화상 신호의 받아들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width | variety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easurement area | region 40 is 3 mm, and the maximum movement speed is 400 mm / s, for example, Therefore, division area | region 41-the 44) The time required for the foreign material 51 to pass through the preceding detection region is, for example, 7.5 ms, which is larger than the acceptance period of the CCD 11 of 7.0 ms,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51 passes. In the meantime, the image signal can be accepted.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분할 영역(41 내지 44)의 수광량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이물(51)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is determined as follows based on the light reception amounts of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즉, 도 1의 신호 처리 장치(6)의 CPU(15)에서는, CCD(11)의 받아들임 주기(7.0msec)마다, 분할 영역(41 내지 44)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의 수광 농도(이하, 단지 농도라고 한다)의 평균치(평균 농도)를, 분할 영역(41 내지 44)의 각 분할 영역마다 각각 산출한다.That is, in the CPU 15 of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6 of FIG. 1, the light reception density of the plurality of pixels constituting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for each acceptance period (7.0 msec) of the CCD 11 (hereinafter, The average value (average concentration) of only the density) is calculated for each divided area of the divided areas 41 to 44, respectively.

다음에, 산출한 분할 영역(41 내지 44)마다의 평균 농도치와, 소정회(T회) 전에 각각 산출된 분할 영역(41 내지 44)마다의 평균 농도와의 차(평균 농도 차)의 절대치를, 분할 영역(41 내지 44)마다 각각 산출한다.Next,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density value for every division area 41-44 computed,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for every division area 41-44 computed before predetermined time (T time), respectively. It calculates for every division area 41-44, respectively.

그리고, 산출된 분할 영역(41 내지 44)마다의 평균 농도 차의 절대치중의 최대치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임계치를 초과한 때에, 이물이 있다고 판정하여 대응하는 판정 출력을 외부에 주는 것이고, 이 판정 출력에 의거하여, 이물의 존재를 알리거나, 워크(50)에 대한 처리를 정지시킨다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임계치란, 분할 영역(41 내지 44)의 각각에 관해, 해당 분할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로부터의 신호의 노이즈 레벨에 소정의 여유치를 가한 것이고, 예를 들면, 노이즈 레벨의 2배 정도의 값이 된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maximum value in the absolute values of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s for each of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has exceeded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threshold value is exceede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oreign object and corresponding determination output Can be given to the outside, and based on this determination output, appropriate measures can be taken to notify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or to stop the processing on the work 50. In addition, a threshold value adds a predetermined | prescribed margin value to the noise level of the signal from the pixel which comprises this division area about each of the division areas 41-44, for example, the value of about twice the noise level. Becomes

여기서, 그 시점에서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산출된 분할 영역(41 내지 44)마다의 평균 농도 차가 도 7의 「금회의 화상」에 상당하고, T회째 전의 평균 농도가 도 7의 「T회 전의 화상」에 상당하고, 그리고, 이들의 차의 절대치가 도 7의 「평균 농도 차」에 상당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T회 전의 평균 농도치에 의해 참 조 수광 신호가 구성되어 있다.Here,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for each of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value at that time corresponds to the "image of the present time" in FIG. 7,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before the T-th time is the "T time before" in FIG. 7. Image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se differences corresponds to the“ average density difference ”in FIG.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erence light receiving signal is configured by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before T turns.

이와 같이 금회의 평균 농도치와 소정회(T회) 전의 평균 농도와의 차를 이용하는 것은, 광량 변화가 공간 내에서 완만하게 생기고 있는 경우, 이동 속도와의 균형으로부터 이물에 의한 수광량의 변화가 명확하게 얻어지는 시점과의 비교를 행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이 소정회(T회)는, 상정되는 광량의 변화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정해지는 것이 되고, 예를 들면, 수회 내지 수십회이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10회가 된다.Thus,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of the present time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before a predetermined time (T time), when the light quantity change is occurring slowly in the space, the change in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due to the foreign matter is apparent from the balance with the moving speed. This is to compare with the obtained viewpoint. Therefore, this predetermined time (T time) is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assumed, for example,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en times. .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이물의 유무의 판정 양태의 변형예로서는, 소정회 전의 평균 농도와의 차를 산출하는 일 없이, 금회의 평균 농도와 미리 정한 임계치(예를 들면 CPU(15) 내의 메모리에 기억)를 비교하여 이물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As a modification of the determination mod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eign ma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average concentration and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or example, the memory in the CPU 15) are stored without calculating the difference from the average concentration before the predetermined time. ) May be compar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objects.

도 8은, 이상 설명한 이물 검출의 판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1 내지 n(n=4)의 복수의 분할 영역(41 내지 44)마다 평균 농도(D1(0) 내지 Dn(0))를 산출함과 함께, 산출한 평균 농도치를 CPU(15) 내의 메모리에 축적한다(스텝 n1). 그리고, 산출한 분할 영역마다의 평균 농도치와, 소정회(T회) 전에 산출한 분할 영역(41 내지 44)마다의 평균 농도(D1(T) 내지 Dn(T))와의 평균 농도 차의 절대치(|D1(T)-D1(0)| 내지 |Dn(T)-Dn(0)|)를 산출함과 함께, 소정회(T회) 전에 산출한 각 분할 영역(41 내지 44)마다의 평균 농도(D1(T) 내지 Dn(T))를 소거한다(스텝 n2).8 is a flowchart of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of the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is figure, first, the average concentrations D1 (0) to Dn (0) are calcul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41 to 44 of 1 to n (n = 4), and the calculated values are calculated.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in the CPU 15 (step n1). The absolute value of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divided region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D1 (T) to Dn (T)) for each divided region 41 to 44 calculated before the predetermined time (T times) ( | D1 (T) -D1 (0) |-| Dn (T) -Dn (0) |) are calculated, and the average for each divided area 41-44 calculated before predetermined time (T time). The concentrations D1 (T) to Dn (T) are erased (step n2).

다음에, 산출한 평균 농도 차의 절대치중의 최대치가, 미리 정한 임계치보다 도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n3), 크지 않은 때(최대치가 임계치 이하인 때)에는, 다음의 받아들임 계측 사이클까지 대기한다(스텝 n4). 한편, 상기 최대치가 임계치보다도 큰 때에는, 이물로서 판정 출력을 온 한다(스텝 n5).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ximum value in the absolute value of the calculated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step n3), and when it is not large (when the maximum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t waits until the next acceptance measurement cycle. (Step n4). On the other hand, when the said maximum value is larger than a threshold value, a judgment output is turned on as a foreign material (step n5).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광학식 센서 장치(1)에 의한 이물 검출의 평가 실험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평가 실험은, 슬릿(10A)과 CCD(11) 사이의 평행광의 광축 방향에 대한 간격을 4000㎜로 하고, 이물(51)로서, 두께 0.1㎜의 3.5㎜ 사방의 유리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행하여졌다.Next, the evaluation experiment of foreign material detection by the optical sensor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evalu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making the space |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parallel light between the slit 10A and CCD11 4000 mm, and arrange | positioning the 3.5 mm square glass plate of 0.1 mm thickness as the foreign material 51, lost.

도 9에, 평가 실험의 결과를 도시한다. 또한, 도 9에서, 실선으로 이어진 「●」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 영역(40)을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얻어지는 분할 영역(41 내지 44)중에서 평균 농도 차의 절대치(도 7 참조)가 가장 컸던 분할 영역에 관한 평균 농도 차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에서, 「△」는, 비교로서, 계측 영역(40)을 수평 방향으로 4개로 분할하여 얻어지는 분할 영역에 관한 중의 평균 농도 차의 절대치가 가장 컸던 분할 영역에 관한 평균 농도 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적절히, 「●」로 표시된 실험 결과에 관해서는 종분할인 경우의 데이터라고 부르고, 「△」로 표시된 실험 결과에 관해서는 횡분할인 경우의 데이터라고 부른다.9 show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experiment. In Fig. 9, the solid line &quot;# &quot; denotes the absolute value of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among the divided areas 41 to 44 obtained by dividing the measurement area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see Fig. 7). ) Shows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over the partitions where) is largest. In addition, in FIG. 9, "(DELTA)" shows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divided area | region where the absolute value of the mean concentration difference of the largest with respect to the divided area | region obtained by dividing the measurement area | region 40 into four horizontally as a comparison is largest. Doing. Hereinafter, the experimental result indicated by "●" is appropriately referred to as data in the case of vertical division, and the experimental result indicated by "Δ" is referred to as data in the case of horizontal division.

또한, 도 9는, 이물(51)의 더미로서 상기 유리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9중, 횡축은, 투광기(3)(슬릿(10A))로부터 유리 플레이트(이물(51))를 배치한 위치까지의, 광축 방향의 거리가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서는, 해당 거리가, 2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3800㎜의 각각에 대한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9 has shown the data obtained by arrange | positioning the said glass plate as a pile of the foreign material 51. FIG. In FIG. 9,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distan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light projector 3 (slit 10A) to the position where the glass plate (foreign material 51) is disposed. Specifically, in FIG. 9, the data of the distance is 200 mm, 500 mm, 1000 mm, 1500 mm, 2000 mm, 2500 mm, 3000 mm, 3500 mm, and 3800 mm, respectively.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횡분할인 경우의 데이터에서는, 상기 거리가 2500㎜를 넘은 부근에서, 워크(50)상에 이물(51)이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농도 차가 임계치(P4 : 상기 P1과 마찬가지로, 노이즈 레벨 등에 의거하여 결정된다)를 넘지 않는다. 한편, 종분할인 경우의 데이터에서는, 도 9의 측정 결과에 있어서, 어느 거리에서도, 평균 농도 차가 임계치를 넘고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수평 방향만으로 계측 영역(40)이 분할된 경우에는, 이물(51)이 투광기(3)로부터 먼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존재를 검출할 수 없는 사태가 상정되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이물(51)이 투광기(3)와 수광기(4)의 사이의 광로상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해당 이물(51)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As understood from FIG. 9, in the data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division,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is the threshold value P4: even though the foreign material 51 is disposed on the work 50 in the vicinity where the distance exceeds 2500 mm. Like P1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noise level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in the data in the case of vertical division,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exceeds the threshold at any distance in the measurement result of FIG. 9.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measurement area 40 is divided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in the prior art,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exists at a position far from the light emitter 3, it is assumed that the existence cannot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ven if the foreign material 51 is arrange | positioned in any position o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light projector 3 and the light receiver 4, presence of the said foreign material 51 can be detected.

또한, 이상 설명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한 각 분할 영역(41 내지 44)의, 상기한 바와 같은 워크(50) 윗면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는, 상기 소정의 이물이 상기 검사 범위의 가장 상기 수광부에 가까운측에 있는 때에, 해당 이물에 의해 발생하는 회절광이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됨에 의해 생기는 회절 패턴의 회절 주기보다도 작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분할 영역(41 내지 44)의 워크(50) 윗면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는, 상기 회절 패턴의 회절 주기의 반분보다도 더욱 작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respective divided regions 41 to 44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50 as described above is such that the predetermined foreign matter is the most in the inspection range. When the light is closer to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racted light generated by the foreign matter is smaller than the diffraction period of the diffraction pattern generated by receiving the light at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s can be seen from FIG. 4C, the leng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piece 50 of each divided region 41 to 44 is preferably smaller than half of the diffraction period of the diffraction pattern. Do.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계측 영역(40)의, 워크(90) 윗면에 수직한 방향의 범위는, 상기 이물이 존재하지 않는 때에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광되어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되는 광이 존재하는 범위이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range of the direction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piece | work 90 of the measurement area 40 exists in the light projected from the said light-trans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ed by the said light-receiving part exists when the said foreign material does not exist. It is a range.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4 등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투광기(3)는, 그 투광이, 워크(50)상에 이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워크(50)에 의해 일부가 차광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광기(4)는, 투광기(3)로부터 투광된 광이 워크(50)에 의해 차광된 에지를 포함하여 수광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계측 영역(40)이나 분할 영역(41 내지 44)은, 예를 들면, 워크(50) 윗면에 수직한 방향에 관해, 수광기(4)에 의해 수광되는 광중의 에지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투광기(3)로부터의 광이 수광된 측에 나열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understood from FIG. 4 etc., the light transmitter 3 may shield a part of light by the workpiece | work 50 in the state in which the light projection has no foreign material on the workpiece | work 50. FIG. It is preferred to be installed. Moreover, the light receiver 4 is provided so that the light transmitted by the light projector 3 may receive light including the edge shielded by the workpiece | work 50. As shown in FIG. 3 and 4, the measurement region 40 and the divided regions 41 to 44 are connected to the light receiver 4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piece 50, for example. The light from the light projector 3 is arranged on the light-receiving side starting from the position of the edge in the light received by the light source.

[제 2의 실시의 형태][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광학식 센서 장치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전체 구성은, 대강,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Since the whole structure of the 2nd Embodiment of the optical sensor apparatus of this invention can be made into the same thing as 1st Embodiment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overlapping description is not repeated. .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광학식 센서 장치(1)에서는, 계측 영역(40)은, 도 10에 제 1 분할 영역 내지 제 6 분할 영역으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워크(50) 윗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뿐만 아니라, 해당 윗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도 분할된다.In addition, in the optical sensor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asurement region 40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50 as shown in FIG. 10 as the first to sixth divided regions. It is also di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광학식 센서 장치(1)에서는, 제 1 분할 영역 내지 제 6 분할 영역의 각각에 관해,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금회의 화상 및 T회 전의 화상에 의거하여, 평균 농도 차가 산출되고, 그리고, 해당 평균 농도 차가 임계치(P2 : 상기 P1과 마찬가지로, 노이즈 레벨 등에 의거하여 결정된다)를 넘은 것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워크(50)상에 이물(51)이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 다.And in the optical sensor device 1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about each of the 1st-6th division area | region, it averages based on the image of this time and the image before T times. The difference in density is calculated, and whether the foreign material 51 exists on the workpiece 50 by whether or not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exceeds a threshold (P2: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noise level or the like as in P1 above). Is determined.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또한, T회 전의 화상과의 차분이 아니라, 제 1 분할 영역 내지 제 6 분할 영역중에서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분할 영역에서의 검출 농도의 차분에 의거하여, 이물(51)의 유무의 판단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판단에 이용한 데이터를, 도 12에 도시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ection density in the divided reg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tead of the difference with the image before the T turns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fferen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can also be determined. The data used for such a determination is shown in FIG.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에서 「금회의 화상」으로서 도시한, 제 1 분할 영역부터 제 6 분할 영역중의,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1 분할 영역과 제 2 분할 영역에 관한 평균 농도 차의 차분이, 제 N 분할 영역이 「(2-1)」인 때의 데이터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3 분할 영역과 제 4 분할 영역에 관한 평균 농도 차의 차분이, 제 N 분할 영역이 「(4-3)」인 때의 데이터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5 분할 영역과 제 6 분할 영역에 관한 평균 농도 차의 차분이, 제 N 분할 영역이 「(6-5)」인 때의 데이터로서 도시되어 있다.With reference to FIG. 12, the average density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1st division area and the 2nd division area which adjoin each other perpendicularly among the 1st division area | region from the 6th division area shown as "the present image" in FIG. Is shown as data when the Nth division area is "(2-1)". In FIG. 12,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divided region and the fourth divided region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wn as data when the Nth divided region is "(4-3)". . In FIG. 12,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between the fifth divided region and the sixth divided region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wn as data when the Nth divided region is "(6-5)". .

또한, 도 12에서는, 참고로서, T회 전에 측정된 제 1 분할 영역 내지 제 6 분할 영역의 각각에서의 평균 농도 차에 관한, 제 1 분할 영역과 제 2 분할 영역의 차분과, 제 3 분할 영역과 제 4 분할 영역의 차분과, 제 5 분할 영역과 제 6 분할 영역의 차분이, 파선으로 이어져서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FIG. 12, as a re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a 1st division area and a 2nd division area, and the 3rd division area which concerns on the average concentration difference in each of the 1st-6th division area measured before T tim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urth divided reg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fth divided region and the sixth divided region are shown by a broken line.

도 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실선으로 이어진, 이물(51)이 존재할 때의 데이터에 관해서는 임계치(P3 : 상기 P1과 마찬가지로, 노이즈 레벨 등에 의거하여 결정된다)를 넘는 것도 포함하지만, 파선으로 이어진, 이물(5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데이터에는, 임계치를 넘는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로써, 이와 같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분할 영역 사이의 차분을 산출하고, 해당 차분이 임계치를 넘는 것을 포함하는지의 여부에 의해서도, 워크(50)상의 이물(51)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As can be understood from FIG. 12, the data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exists in a solid line includes more than a threshold value (P3: determined based on a noise level or the like as in P1 above), but is connected by a broken line. The data exceeding the threshold is not included in the data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does not exist. There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vided regions adjacent in this vertical direction is calculat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on the workpiece 50 can also be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the difference includes a threshold value.

이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분할 영역 사이에서의 차분을 산출함에 의해, 인접하는 한쪽의 분할 영역에서는 이물(51)에 의해 차폐된 광의 영향이 검출되고, 다른쪽의 분할 영역에서는 해당 이물(51)에 의한 회절광의 영향이 검출된 경우, 특히 큰 차분치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고, 치수가 작은 이물(51)의 유무의 검출에는 유효하다고 생각된다.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vided region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manner, the influence of the light shielded by the foreign matter 51 is detected in one adjacent divided region, and the foreign matter 51 in the other divided region. In the case where the influence of the diffracted light is detected, it is considered that a particularly large difference value can be obtained, and it is considered effective for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oreign matter 51 having a small dimension.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할 영역을 평행 방향에도 분할할 때에는, 이물(51)이, 투광기(3) 및 수광기(4)의 상대적인 이동(도 2의 화살표(A) 방향)에 의해, 각 분할 영역을 통과하는 동안에, 각 분할 영역을 구성한 CCD(11)에 의한 화소 신호의 받아들임이 적어도 1회 행하여지도록, 이동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when dividing | dividing a division area also in the parallel direction, the foreign material 51 moves to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arrow A of FIG. 2) of the light projector 3 and the light receiver 4. In addition, in FIG.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set the moving speed so that the reception of the pixel signal by the CCD 11 constituting each divided area is performed at least once while passing through each divided area.

[기타의 변형예 등에 관해][Other Modifications, etc.]

1) 분할 영역의 배열1) array of partitions

이상 설명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측 영역(40)이, 수직한 방향으로 분할되어 분할 영역이 정의되었다. 또한, 분할 영역은, 적어도 워크(50)의 윗면에 대해 각 분할 영역의 수직한 방향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반드시 워크(50)의 윗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정렬하여 있을 필요는 없고, 도 1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할 영역(41X 내지 45X)으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에서 어긋남이 생겨 있어도 좋다.In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region 40 is di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define a divided region. In addition, when the division area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position of each division area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may be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piece | work 50 at least, it must necessarily be aligned linearly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piece | work 50. As shown in FIG. 13, as shown in the divided regions 41X to 45X, a deviation may occu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2) 풍방(風防)의 설치2) Installation of Windproof

또한, 이상 설명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검출 대상물이 되는 워크(50)의 상방에,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내의 공기의 흐름이 검출 영역을 가로지르는 것을 회피하는 등의 이유 때문에, 풍방(51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eac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s shown to FIG.14 (A) and FIG.14 (B) above the workpiece | work 50 used as a detection object, the flow of air of a room crosses a detection area | region. For reasons such as avoiding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 chamber 511 is provided.

또한, 도 14(B)는, 투광기(3)측에서 수광기(4)측을 본 경우의 도면에 상당한다. 풍방(511)의 설치 위치는,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석정반(510)으로부터 높이 5㎜ 정도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IG. 14 (B) corresponds to the figure at the time of seeing the light receiver 4 side from the light projector 3 side. As shown in FIG. 13,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indshield 511 is preferably installed at, for example, a position about 5 mm in height from the stone platform 510.

3) 차분 화상의 표시3) Display of difference image

광학식 센서 장치(1)에서는, CPU(15)는, CCD(11)의 계측 영역 전역(全域)에서 얻어진 각 화소에 관해, 이물(51)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는 때의 농도 차를, 액정 표시부(16)에 표시시켜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한 예를 도 15에 도시한다.In the optical sensor device 1, the CPU 15 determines the difference in density betwee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foreign material 51 with respect to each pixel obtained in the entire measurement area of the CCD 11. The display unit 16 may be displayed. An example of the screen displayed in such a case is shown in FIG.

도 15을 참조하면, 화면(700)에는, 해당 농도 차를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란(710)에 표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5, on the screen 700, an image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is displayed in the display field 710.

구체적으로는, 표시란(711)에서, CCD(11)의 계측 영역 전역에 관한 농도 차가, 컬러 화상(도면에서는 모노클로)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란(711)에서의 표시색은, 표시란(740)에 도시된 표시색과 농도 차의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표시되 어 있다.Specifically, in the display field 711, the density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entire measurement area of the CCD 11 is shown as a color image (monoclosure in the drawing). The display color in the display field 711 is displayed based o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color and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shown in the display field 740.

즉, CPU(15)는, CCD(11)의 계측 영역 전역의 전(全) 화소에 관해, 이물(51)이 존재할 때와 하지 않는 때의 한쪽이 계측된 시점에서, 수광 농도를 기억하고, 또한, 다른쪽이 계측된 시점에서, 수광 농도를 기억하고, 그리고, 화소마다 차분을 산출하고, 그리고, 얻어진 차분치를, 표시란(740)에 표시된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컬러의 화소로 변환하여, 표시란(711)에 표시시키고 있다.In other words, the CPU 15 stores the light-receiving concentration at the time when one of the foreign materials 51 is present and one of the non-existent objects 51 is measured for all the pixels in the entire measurement area of the CCD 11. At the time when the other is measured, the light receiving density is stored, the difference is calculated for each pixel, and the obtained difference value is converted into a pixel of color based on the correspondence displayed in the display field 740, The display field 711 is displayed.

표시란(711)에는, 단면(斷面) 지시선(712, 714)이 표시되어 있다.In the display field 711, end face indicator lines 712 and 714 are displayed.

단면 지시선(712)은, 수평 방향의 단면 위치를 지시하기 위해 표시되고, 단면 지시선(714)은, 수직 방향의 단면 위치를 지시하기 위해 표시된다. 그리고, 화면(700)에서는, 단면 지시선(712)에 의해 지시된 단면에 관한 차분치의 분포가, 농도 분포 표시란(713)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단면 지시선(714)에 의해 지시된 단면에 관한 차분치의 분포가, 농도 분포 표시란(715)에 표시되어 있다.The cross section leader line 712 is displayed to indicate the cross section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ross section leader line 714 is displayed to indicate the cross section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creen 700, the distribution of the difference value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indicated by the cross-sectional indicator line 712 is displayed in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display field 713.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the difference value about the cross section indicated by the cross section leader line 714 is displayed in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display column 715.

또한, 표시란(711)에서는, 계측 영역(40)에 대응하는 테두리(710A)가 표시되어 있다. 테두리(710A)의 표시 위치는, CCD(11)의 계측 영역 내의 어디에 계측 영역(40)을 설정하는지를 나타내고 있게 된다.In the display field 711, the edge 710A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area 40 is displayed. The display position of the edge 710A indicates where the measurement area 40 is set in the measurement area of the CCD 11.

테두리(710A)의 표시란(711)에서의 표시 위치는, 유저에 의해 조작 키(17) 등을 적절히 조작됨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또한, CPU(15)는, 해당 표시 위치에 대응하도록, 계측 영역(40)으로서 수광 농도를 취득하는 영역을 변경한다.The display position in the display field 711 of the edge 710A can be changed by appropriately operating the operation key 17 or the like by the user. In addition, the CPU 15 changes the area for acquiring the light reception density as the measurement area 40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position.

또한, CPU(15)는, 이물(51)이 존재하지 않는 때의 CCD(11)의 촬상 화상을, 유저에 의한 조작 키(17)에 대한 조작에 의거하여, 화상 메모리(14)에 기억시킴과 함께 표시란(720)에 표시시키고, 또한, 이물(51)이 존재할 때의 CCD(11)의 촬상 화상을, 유저에 의한 조작 키(17)에 대한 조작에 의거하여, 화상 메모리(14)에 기억시킴과 함께 표시란(730)에 표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PU 15 stores the captured image of the CCD 11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does not exist in the image memory 14 on the basis of an operation on the operation key 17 by the user. Is displayed in the display field 720 together with the image memory 14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 17 by the user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CCD 11 when the foreign material 51 is present. In addition, the display field 730 can be displayed.

4) 비(比)에 의거한 이물의 존재의 판단4) Judging the existence of foreign objects based on rain

이상 설명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분할 영역에 관해 이물이 존재할 때의 평균 농도(수광치)와 이물이 존재하지 않는 때의 평균 농도(참조치)의 차분치를 산출하여 임계치를 넘는지의 여부에 의해 이물의 존재를 판단하고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수광치와 참조치와의 비를 산출하고, 그 비가 임계치를 넘는지의 여부에 의해 이물의 존재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차분 화상을 표시하는 것에 대신하여, 이물이 존재할 때의 화상과 이물이 존재하지 않는 때의 화상의 대응하는 각 화소에 관해 농도의 비를 산출한 비(比)화상을 표시하여도 좋다.In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concentration (received value) when foreign matter is present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reference value) when no foreign matter exists in each divided region is calculated by whether or not the threshold is exceeded. Although the presence of a foreign material is judged, the ratio of a light reception value and a reference value may be calculated instead, and the presence of a foreign material may be judged by whether the ratio exceeds the threshold value. In addition, instead of displaying the difference image, a ratio image in which the ratio of density is calculated may be displayed for each corresponding pixel of the image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present and the image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not present.

5) 광학식 센서 장치의 용도5) Use of optical sensor device

또한, 이상 설명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광학식 센서 장치가, 유리 기판상의 이물의 검출에 적용된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광학식 센서 장치가 적용되는 양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필름, 금속, 종이 등의 시트형상의 검사 대상에 관한 이물 검출에 적용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물 검출로 한하지 않고, 다른 물체, 예를 들면, 실(絲)의 보푸라기(毛羽)의 검출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In addition, in eac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which the optical sensor apparatus was applied to the det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on a glass substrate was demonstrated, the aspect to which the optical sensor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this, Film, metal, paper, etc. It is consider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detection of foreign matters related to the sheet-shaped inspection target.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foreign material detection but also to the detection of lint of other objects, for example, yarn.

금회 개시된 각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 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각 실시의 형태에 개시된 기술은, 변형예도 포함하여, 가능한 한 조합되어 적용되는 것이 의도된다.It should be thought that each embodiment disclosed this time is an illustration and restrictive at no poi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not by the above description but by the scope of a claim, and it is intended that the meaning of a claim and equality and all the changes within a range are included. In addition, the technique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is intended to be applied in combination as much as possible including a mod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인 광학식 센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optical sensor apparatus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광학식 센서 장치를 이물 검출에 적용한 경우의 투광기 및 수광기의 배치를 도시하는 구성도.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of a light emitter and a light receiver when the optical sensor device of FIG. 1 is applied to foreign material detection. FIG.

도 3은 도 1의 수광기의, CCD가 설치된 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urface on which a CCD is installed of the light receiver of FIG. 1. FIG.

도 4는 도 1의 광학식 센서 장치에 있어서, 워크상에 존재하는 이물과 CCD와의 거리의 변화에 의거하여, 투광기에 의한 투광의 CCD에서의 수광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a light receiving state in a CCD of light emission by a light projector based on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a foreign material and a CCD present on a work in the optical sensor device of FIG. 1.

도 5는 도 1의 광학식 센서 장치에서 이물과 CCD의 거리가 변화한 때의 계측 영역의 총수광량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in the measurement area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oreign material and the CCD in the optical sensor device of FIG. 1 changes.

도 6은 도 1의 광학식 센서 장치에서 이물과 CCD의 거리가 변화한 때의, 계측 영역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의 총수광량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of the divided area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easurement area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oreign material and the CCD is changed in the optical sensor device of FIG. 1. FIG.

도 7은 도 1의 광학식 센서 장치에서의 분할 영역의 각각에 관한, 이물이 존재할 때라고 하지 않는 때의 총수광량의 차분치를 도시하는 도면.FIG. 7 is a diagram showing a difference value of the total amount of received light when each of the divided regions in the optical sensor device of FIG. 1 is not referred to when foreign matter exists. FIG.

도 8은 도 1의 광학식 센서 장치에서 실행되는 이물 검출의 판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8 is a flowchart of a determination process of foreign material detection performed in the optical sensor device of FIG. 1.

도 9는 도 1의 광학식 센서 장치에서의 평가 실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9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on experiments in the optical sensor device of FIG. 1.

도 10은 본 발명의 광학식 센서 장치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계측 영역의 분할 양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It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the divisional aspect of the measurement area | region in 2nd Embodiment of the optical sensor device of this invention.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분할 영역의 각각에 관한, 이물이 존재할 때와 하지 않는 때의 평균 농도의 차분치를 도시하는 도면.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difference between average concentrations when foreign matter is present and non-existing, with respect to each of the divided regions shown in FIG. 10; FIG.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분할 영역에 관한, 이물이 존재할 때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분할 영역의 평균 농도의 차분치를 도시하는 도면.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difference value of average concentrations of adjacent divided reg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divided region shown in FIG. 10; FIG.

도 13은 본 발명의 광학식 센서 장치의 제 1 및 제 2 실시의 형태에서의 분할 영역의 구성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division area in 1st and 2nd embodiment of the optical sensor device of this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광학식 센서 장치의 제 1 및 제 2 실시의 형태에서의 전체 구성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whole structure in the 1st and 2nd embodiment of the optical sensor apparatus of this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광학식 센서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Fig. 1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in the optical sens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물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6 is a view for explaining foreign material detection by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FIG.

도 17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물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7 is a view for explaining foreign material detection by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FIG.

도 18은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물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8 is a view for explaining foreign material detection by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FIG.

도 19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물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9 is a view for explaining foreign material detection by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광학식 센서 장치 2 : 평행광1: Optical sensor device 2: Parallel light

3 : 투광기 4 : 수광기3: emitter 4: receiver

4A : 검출면 6 : 신호 처리 장치4A: detection surface 6: signal processing device

7 : 레이저 구동 회로 8 : 반도체 레이저7: laser driving circuit 8: semiconductor laser

9 : 콜리메이트 렌즈 10 : 슬릿9: collimated lens 10: slit

10A : 개구 11 : CCD10A: Opening 11: CCD

12 : 샘플 홀드 회로 13 : A/D 변환기12: sample hold circuit 13: A / D converter

14 : 화상 메모리 15 : CPU14: image memory 15: CPU

16 : 액정 표시부 17 : 조작 키16 liquid crystal display 17 operation keys

40 : 계측 영역 40: measurement area

41 내지 44, 41A 내지 46A : 분할 영역41 to 44, 41A to 46A: divided region

50 : 워크 51 : 이물50: Walk 51: foreign body

510 : 석정반510: stone tablet

Claims (8)

평탄한 지지면상에 놓이는 평판형상 부재의 일단면측에 설치된 투광부로부터, 평판형상 부재의 윗면을 포함하는 윗면상의 공간에 검출광을 투광하고, 타단면측에 설치된 수광부에서 검출광을 수광함과 함께, 지지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검출광과 평판형상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평판형상 부재에 부착한 이물을 검출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로서,From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on one end surface side of the flat member placed on the flat support surface, the detection light is transmitted to a space on the upper surface in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member, and the detection light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end surface side. An optical sensor device for detecting a foreign matter adhered to a flat plate member by moving the detection light and the flat plate memb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참조치를 기억하는 기억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reference values, 처리부를 구비하고,Equipped with a processing unit, 상기 수광부는, 이물이 부착하지 않은 평판형상 부재가 상기 지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에 관해 검출광이 입사하는 범위로서, 상기 지지면에 가장 가까운 측의 단부로부터 해당 지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배열된 복수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각 수광 영역에 대응하는 참조치를 기억하고,The light-receiving portion is a range in which the detection light is incid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flat member without foreign matter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and is supported from the end of the side closest to the support surface.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regions arrang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emory, wherein the storage unit stores referenc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light receiving regions,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각 수광 영역에 관해 해당 수광 영역 전체에서 수광되는 수광량에 의거하여 생성된 각 수광 영역의 수광치와, 대응하는 참조치로부터 차분치를 각각 산출하고, 어느 하나의 차분치가 판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물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The processing unit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from each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s generated based on the light receiving amount received in the entire light receiving reg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s, and a corresponding reference value, respectively, wherein any one of the difference values is a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The optical sensor device which determines that there exists a foreign material when it exceed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광부는, 소정의 계측 주기로 상기 각 수광 영역 각각에 입사하는 검출광을 반복 수광하고,The light receiving unit repeatedly receives the detection light incident on each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s at a predetermined measurement period, 상기 처리부는, 상기 계측 주기마다 반복하여 상기 차분치를 산출하고,The processing unit repeatedly calculates the difference value for each measurement period, 검출광과 평판형상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검출광 및 각 수광 영역의 치수는, 상기 계측 주기와 상기 상대적인 이동의 이동 속도와의 곱에 의해 산출된 치수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The dimension of the said detection light and each light receiving area | region in the direction which a detection light and a flat plate member move relatively is longer than the dimension computed by the product of the measurement period and the movement speed of the said relative movement. Sensor devic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광학식 센서 장치는, 상기 투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의 소정의 검사 범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소정의 크기의 이물을 검출하고,The optical sensor device detects a foreign material of at least a predetermined size existing in a predetermined inspection range betwee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상기 각 수광 영역의 상기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치수는, 상기 소정의 이물이 상기 검사 범위의 가장 상기 수광부에 가까운측에 있는 때에, 해당 이물에 의해 생기는 회절광이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됨에 의해 생기는 회절 패턴의 회절 주기의 반분보다도 작은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The dimens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of each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s is generated when diffraction light generated by the foreign matter is received at the light receiving portion when the predetermined foreign material is closest to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inspection range. An optical sensor device having a dimension smaller than half of the diffraction period of the diffraction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억부는, 이물이 부착하지 않은 평판형상 부재가 상기 지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각 수광 영역에서 수광되는 총수광량에 의거하여 생성된 각 수광 영역의 수광치를 상기 참조치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The storage unit stores, as the reference value, a light receiving value of each light receiving region generated based on the total light receiving amount received in each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s in a state where the plate-shaped member not attached to the foreign material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Optical sensor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또한 구비하고,Also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상기 수광부는, 2차원으로 배열된 화소로 이루어지는 촬상 영역을 갖는 2차원 촬상 소자를 포함하고,The light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two-dimensional imaging element having an imaging area consisting of pixels arranged in two dimensions, 상기 각 수광 영역은, 상기 촬상 영역 내에, 각각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도록 설정되고,Each light receiving region is set to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in the imaging region, respectively. 상기 기억부는, 상기 2차원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의해 미리 취득된 화상을 참조 화상으로서 또한 기억하고,The storage section further stores an image acquired in advance by the imaging area of the two-dimensional imaging element as a reference image, 상기 처리부는,The processing unit, 상기 2차원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과 상기 참조 화상과의 차분 화상, 및 설정된 상기 각 수광 영역을 해당 차분 화상에 화소 위치를 대응시켜 겹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An optica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image betwee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ing region of the two-dimensional imaging element and the reference image, and each set light receiving region are superimposed on the difference image in correspondence with the pixel position; Devic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참조 화상은, 이물이 부착하지 않은 평판형상 부재가 상기 지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취득한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The said reference image is an optical sens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image acquir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lat plate member which a foreign material did not adhere on the said support surfac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2차원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 내의 상기 각 수광 영역으로서 설정되는 복수의 화소 범위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또한 구비하고,Also provided with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plurality of pixel ranges set as the respective light receiving regions in the imaging region of the two-dimensional imaging element,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소 범위를, 상기 각 수광 영역으로서 상기 차분 화상에 화소 위치를 대응시켜 겹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킴과 함께, 상기 복수의 화소 범위를 상기 각 수광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The processing unit superimposes the plurality of pixel ranges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displays the plurality of pixel ranges as the respective light receiving regions as the respective light receiving regions. Optical sens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평탄한 지지면상에 놓이는 평판형상 부재의 일단면측에 설치된 투광부로부터, 평판형상 부재의 윗면을 포함하는 윗면상의 공간에 검출광을 투광하고, 타단면측에 설치된 수광부에서 검출광을 수광함과 함께, 지지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검출광과 평판형상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평판형상 부재에 부착한 이물을 검출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로서,From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on one end surface side of the flat member placed on the flat support surface, the detection light is transmitted to a space on the upper surface in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member, and the detection light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end surface side. An optical sensor device for detecting a foreign matter adhered to a flat plate member by moving the detection light and the flat plate memb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참조치를 기억하는 기억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reference values, 처리부를 구비하고,Equipped with a processing unit, 상기 수광부는, 이물이 부착하지 않은 평판형상 부재가 상기 지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에 관해 검출광이 입사하는 범위로서, 상기 지지면에 가장 가까운 측의 단부로부터 해당 지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배열된 복수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The light-receiving portion is a range in which the detection light is incid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flat member without foreign matter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and is supported from the end of the side closest to the support surface.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areas arranged in a direction away from 상기 기억부는, 상기 각 수광 영역에 대응하는 참조치를 기억하고,The storage unit stores a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s,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각 수광 영역에 관해 해당 수광 영역 전체에서 수광되는 수광량에 의거하여 생성된 각 수광 영역의 수광치와, 대응하는 참조치로부터 비를 각각 산출하고, 어느 하나의 비가 판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물이 있다고 판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센서 장치.The processing unit calculates a ratio from the received values of each of the received regions and the corresponding reference values, respectively, based on the received amount of light received in the entire received reg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received regions, and any ratio exceeds the determination threshold. Optical sens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foreign matter.
KR1020090004375A 2008-03-14 2009-01-20 Optics sensing device KR1009987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5180 2008-03-14
JPJP-P-2008-065180 200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666A true KR20090098666A (en) 2009-09-17
KR100998781B1 KR100998781B1 (en) 2010-12-06

Family

ID=4130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375A KR100998781B1 (en) 2008-03-14 2009-01-20 Optics sens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46316B2 (en)
KR (1) KR1009987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2990B2 (en) * 2010-11-16 2015-04-15 東洋鋼鈑株式会社 Sheet material inspection method and sheet material inspection apparatus
JP5601984B2 (en) * 2010-11-16 2014-10-08 東洋鋼鈑株式会社 Perforated plate surface inspection method and perforated plate surface inspection device
JP5927010B2 (en) 2012-04-09 2016-05-25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Inspection device
JP7181828B2 (en) * 2019-03-29 2022-12-01 古野電気株式会社 Analysis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4877B2 (en) 2005-06-17 2010-09-01 オムロン株式会社 Optical sensor device
JP4616120B2 (en) * 2005-08-08 2011-01-19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nspection apparatus
KR100775086B1 (en) 2006-06-02 2007-11-08 주식회사 케이씨텍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substance
JP4700574B2 (en) * 2006-07-31 2011-06-15 パナソニック電工Sunx株式会社 Foreign object detection device
JP4648880B2 (en) * 2006-07-31 2011-03-09 パナソニック電工Sunx株式会社 Foreign object det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44256A (en) 2009-10-22
JP5446316B2 (en) 2014-03-19
KR100998781B1 (en)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7353B2 (en) Image alignment method, comparison inspection method, and comparison inspection apparatus in comparison inspection
KR101209857B1 (en) Detection apparatus for particle on the glass and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5436464A (en) Foreign particle inspect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correction for pellicle transmittance
KR101496603B1 (en) Examination device
KR100998781B1 (en) Optics sensing device
JP2008014848A (en) Surface inspection method and surface inspecting device
CN102455247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optimal focal plane of projection objective
US860930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4851960B2 (en) Foreign matter inspection method and foreign matter inspection device
CN110658196B (en) Defect detection device and defect detection method
JP4534877B2 (en) Optical sensor device
JP2009109315A (en) Light measuring device and scanning optical system
JP4913585B2 (en) Abnormality inspection device
JP2013250082A (en) Defect inspection device,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defect inspection program
JP5337419B2 (en)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seal member shape measur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used therefor
CN111220621B (en) Chip inclined surface detection method
JPH0511257B2 (en)
JP2007078356A (en) Defect inspecting device
JP2006275971A (en) Lens meter
WO2024090412A1 (en) X-ray detector of x-ray imaging system
JP2013197147A (en) Inspection apparatus, exposure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WO2024090411A1 (en) X-ray detector of x-ray imaging system
JP2814390B2 (en) Defect inspection equipment
JPH09210921A (en) Flaw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KR101185075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flaws in ref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