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559A - 조립식 지지블럭 - Google Patents

조립식 지지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559A
KR20090098559A KR1020080024022A KR20080024022A KR20090098559A KR 20090098559 A KR20090098559 A KR 20090098559A KR 1020080024022 A KR1020080024022 A KR 1020080024022A KR 20080024022 A KR20080024022 A KR 20080024022A KR 20090098559 A KR20090098559 A KR 20090098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er
support plate
hing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종
Original Assignee
장윤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종 filed Critical 장윤종
Priority to KR102008002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8559A/ko
Publication of KR20090098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지지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로 지지판을 형성하고, 가운데 서포터를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벼우면서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 지지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측면에 관통하는 적어도 두 개의 힌지홀이 형성되되, 방사형으로 퍼지면서 배열되는 다수개의 지지판과;상기 지지판의 가운데에 상단으로 이격되고, 가운데에 다수개의 앵커홀이 형성된 응력지지구와;상기 각각의 지지판의 힌지홀에 힌지핀과 함께 고정되고, 상기 응력지지구의 하단 주연부와 결합하는 다수개의 서포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지지블럭에 의해서 지지블럭을 시공할 때 조립식 지지블럭의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후에 관리가 편리하며, 지지블럭을 형성할 때 다양한 색깔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글자나 그림 등으로 배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경사지 지지블럭, 호안용 블럭, 앵커, 철근, 서포터, 콘크리트블럭

Description

조립식 지지블럭 {FABRICABLE SUPORT BLOCK}
본 발명은 조립식 지지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로 지지판을 형성하고, 가운데 서포터를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벼우면서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 지지블럭에 관한 것이다.
산이나 계곡 등에는 경사지가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경사지는 장마로 인해서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붕괴되거나 일부가 이탈되어 흘러내리게 된다.
최근에는 산을 깎아서 도로나 건축물 등을 건설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생성된 경사면에는 자연목이나 풀 등이 자라나 있지 않기 때문에 지반이 매우 약하여 이를 방치할 경우에는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약 3톤 가량의 무게로 형성된 십자형의 콘크리트블럭 즉, 지지블럭을 사용한다.
상기 지지블럭은 지면과 수직으로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앵커(Anchor)를 삽입한 후 시멘트를 타설하여 앵커를 고정한 후에 상기 앵커를 탄력있게 지지블럭과 고정한다.
상기 종래의 지지블럭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무거워서 설치작업이 어렵다.
(2) 조립시 중장비를 이용하여야만 하고, 한번 설치된 것을 관리하기가 어렵다.
(3) 지지블럭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서 흉물로 남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측면에 관통하는 적어도 두 개의 힌지홀이 형성되되, 방사형으로 퍼지면서 배열되는 다수개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가운데에 상단으로 이격되고, 가운데에 다수개의 앵커홀이 형성된 응력지지구와;
상기 각각의 지지판의 힌지홀에 힌지핀과 함께 고정되고, 상기 응력지지구의 하단 주연부와 결합하는 다수개의 서포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블럭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설치가 간편하다.
(2) 관리가 편리하다.
(3) 지지블럭을 형성할 때 다양한 색깔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글자나 그림 등으로 배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측면에 관통하는 적어도 두 개의 힌지홀(105)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의 상단으로 이격되고, 가운데에 다수개의 앵커홀(250)이 형성된 응력지지구(200)와;
상기 각각의 지지판(100)의 힌지홀(105)에 힌지핀(115)과 함께 고정되고, 상기 응력지지구(200)의 하단 주연부와 결합되는 서포터(300)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지지판(100)은 가운데에 홀이 형성된 지지판고정구(110)를 중심으로 각각의 측면에 방사형으로 퍼지면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판고정구(110)는 가운데 홀이 형성된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지지판고정구(110)의 각각의 측면에 4개의 지지판(100)이 십자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00)은 경사지면을 지지하는 힘이 커야 하기 때문에, 합성수지재 중의 하나인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FRP)로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각각의 지지판(100)에는 측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힌지홀(101)이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홀(101)의 개수는 서포터(300)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진다.
상기 각각의 힌지홀(101)에는 힌지핀(115)이 돌출삽입된다.
상기 응력지지구(200)는 사각형상의 하부판(210)의 상단에 원통형상의 상부 판(220)이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앵커(400)의 철근(410)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앵커홀(250)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210)은 네 모서리가 각각 사각형상으로 절단되고, 절단된 각각의 단면에 수직하도록 하부판힌지홀(215)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하부판힌지홀(215)에는 하부판힌지핀(215a)이 돌출삽입된다.
상기 앵커홀(250)에는 앵커(400)의 철근(410)이 상단으로 삽입된 후에 후퇴하지 않도록 후퇴방지구(255)가 삽입된다.
상기 후퇴방지구(255)는 통상적으로 가운데의 부재를 전진방향으로만 삽입될수 있도록하고, 후퇴방향으로는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부품으로 일측이 절개된 원뿔대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300)는 앵커(400)의 철근(410)의 탄성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판(100)에 골고루 분산시키고, 각각의 지지판(100)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물로, 지지판(100)의 각각의 힌지핀(115)과 대응되는 응력지지구(200)의 각각의 하부판힌지핀(215a)에 각각 결합한다.
상기 서포터(300)는 금속제 봉이나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지지판(10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300)는 제1,2서포터(310,320)및 보조서포터(330)가 세트로 형성되는데, 하나의 지지판(10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서포터(310)의 가운데에는 보조힌지핀(312)이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힌지핀(312)에는 보조서포터(330)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보조서포터(330)의 타측은 제2서포터(320)의 일측과 함께 지지판(100)의 힌지핀(115)에 고정된다.
상기 제1서포터(310)는 제2서포터(320) 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서포터(310)와 지지판(100)이 연결되는 힌지핀(115)의 위치가 제2서포터(320)와 지지판(100)이 연결되는 힌지핀(115)의 위치보다 중심에서 멀게 형성된다.
상기 제1,2서포터(310,320)는 각각의 지지판(100)과 응력지지구(200)의 하단에 각각 조립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경사지 지지블럭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블럭을 설치해야하는 경사지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일정깊이 홀을 형성하고, 앵커(400)의 철근(410)이 경사지면 보다 튀어나오도록 설치한다.
상기 철근(410)을 지지판고정구(110)의 홀에 삽입하고, 상기 지지판고정구(110)의 각각의 측면에 지지판(100)을 조립한다.
이후, 상기 서포터(300)를 고정하는데, 각각의 지지판(100)에 제1,2서포터(310, 320)의 일측을 고정하고, 보조서포터(330)를 제1서포터(310)의 가운데와 제2서포터(320)의 일측과 함께 고정한다.
상기 각각의 제1서포터(310)의 일측은 지지판고정구(110)와 상단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응력지지구(200)의 하부판(210)에 고정된다.
상기 철근(410)은 응력지지구(200)의 앵커홀(250)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후, 인장기로 각각의 철근을 당긴 후 놓게 되면, 철근의 탄성으로 응력지지구(200)를 강하게 누르게 되고, 이러한 힘은 분력으로 서포터(300)를 따라 각각의 지지판(100)에 전달되면서 경사지면을 강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든 작업이 조립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크레인 등을 사용하지 않아서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므로, 다양한 색깔 혹은 문양으로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어서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미관상 좋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조립식 지지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조립식 지지블럭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조립식 지지블럭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판 105 : 힌지홀
110 : 지지판고정구 115 : 힌지핀
200 : 응력지지구 210 : 하부판
220 : 상부판 215 : 하부판힌지홀
215a : 하부판힌지핀 250 : 앵커홀
255 : 후퇴방지구 300 : 서포터
310 : 제1서포터 312 : 보조힌지핀
320 : 제2서포터 330 : 보조서포터
400 : 앵커 410 : 철근

Claims (5)

  1.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측면에 관통하는 적어도 두 개의 힌지홀(105)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의 상단으로 이격되고, 가운데에 다수개의 앵커홀(250)이 형성된 응력지지구(200)와;
    상기 각각의 지지판(100)의 힌지홀(105)에 힌지핀(115)과 함께 고정되고, 상기 응력지지구(200)의 하단 주연부와 결합되는 서포터(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지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0)은 가운데 지지판고정구(11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4개가 십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지블럭.
  3.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0)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지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300)는 각각의 지지판(100)의 힌지핀(115)과 대응되는 응력지지 구(200)의 각각의 하부판힌지핀(215a)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지블럭.
  5.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300)는 제1,2서포터(310,320)및 보조서포터(330)가 세트로, 하나의 지지판(100)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지블럭.
KR1020080024022A 2008-03-14 2008-03-14 조립식 지지블럭 KR20090098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022A KR20090098559A (ko) 2008-03-14 2008-03-14 조립식 지지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022A KR20090098559A (ko) 2008-03-14 2008-03-14 조립식 지지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59A true KR20090098559A (ko) 2009-09-17

Family

ID=4135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022A KR20090098559A (ko) 2008-03-14 2008-03-14 조립식 지지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85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84B1 (ko) * 2010-05-03 2010-08-0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굴절 고정식 지압판
KR100978607B1 (ko) * 2010-05-06 2010-08-27 (주)화신엔지니어링 도로, 조경 및 단지 공사용 회동 가변형 지압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84B1 (ko) * 2010-05-03 2010-08-0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굴절 고정식 지압판
KR100978607B1 (ko) * 2010-05-06 2010-08-27 (주)화신엔지니어링 도로, 조경 및 단지 공사용 회동 가변형 지압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2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using rebar supports
KR20120021305A (ko) 앵커 시스템
KR101880084B1 (ko) 내진력이 강화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2013221396A (ja) 多杭基礎固定システム
KR101934874B1 (ko)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50718B1 (ko) 아치 구조물
KR20090098559A (ko) 조립식 지지블럭
KR100928530B1 (ko) 콘크리트 법면보호공의 현장시공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법면보호공법
KR200282684Y1 (ko)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102532945B1 (ko) 보수가 용이한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US11041309B2 (en) Non-corrosive micro rebar
US202001731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choring air separation unit structures to concrete foundations
KR100915594B1 (ko) 경량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장치
KR100980637B1 (ko) 보강 일체형 옹벽 시공을 위한 스페이서 겸용 지압판 및 이에 의한 옹벽 시공방법
CN210636556U (zh) 一种快速拆装循环使用的临时排水沟
JPH07119147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受圧板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0960610B1 (ko) 작용력 분산형 강관 말뚝의 머리 보강구조
JP2000303703A (ja) 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の拡幅工法及び橋梁における仮受架台の構築工法並びに橋梁の補強工法
KR20080004172A (ko)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콘크리트복합체와 지지구조물의연결방법 및 구조
KR101469875B1 (ko) 격자지보 지압에 의한 보강장치 및 이를 적용한 터널구조
KR200278091Y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RU2265103C1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балки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моста
KR102532954B1 (ko) 미끄럼이 방지되고 보수가 용이한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0442969B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02617A (ko) 사면보강공법 및 사면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