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338A -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338A
KR20090097338A KR1020080022413A KR20080022413A KR20090097338A KR 20090097338 A KR20090097338 A KR 20090097338A KR 1020080022413 A KR1020080022413 A KR 1020080022413A KR 20080022413 A KR20080022413 A KR 20080022413A KR 20090097338 A KR20090097338 A KR 20090097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web
cam board
substrate
web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7338A/ko
Publication of KR2009009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카메라(Web Camera)의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면에 상면 패드가 형성된 웹 캠 보드; 및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대응되는 하면 패드가 형성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에 조립되고 렌즈가 장착된 광학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과 상기 광학 유니트가 조립된 모듈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가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웹 캠 보드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웹 카메라, 웹 캠 보드, 카메라 모듈, 기판, 광학유니트, 상면 패드, 하면 패드

Description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Web camer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웹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을 갖는 웹 캠 보드가 내장된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통신 망 보급 및 데이터 처리속도의 발전에 따라 화상통신용 모듈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품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품에는 LCD 모니터, 노트북 PC, UMPC, 쌍방향성 TV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제품의 본체에 내장형 웹 카메라를 탑재하는 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통상, 웹 카메라(Web Camera)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제품에 연결하는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연동하여 구동되는 것으로서 컴퓨터 메신저(messenger)를 이용한 화상 채팅, 화상 통화, 웹을 이용한 화상 채팅, 화상 통화, 컴퓨터 카메라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웹 카메라의 내부에는 웹 카메라의 구동 및 제어에 관련된 각종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웹 캠 보드가 내장되고, 상기 웹 캠 보드에는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소형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웹 카메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웹 카메라에는 웹 카메라의 구동 및 제어에 관련된 각종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웹 캠 보드(10)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웹 캠 보드(10)에는 각종 전자부품(11)이 실장됨과 아울러,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소형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 웹 캠 보드(10)에는 각종 전자부품(11) 및 패키지 상태의 이미지센서 모듈(20)이 표면실장기술(SMT)을 통해 실장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20)은, 도 1에서와 같이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실장된 기판(21)과, 상기 기판(21)에 실장된 이미지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부재(22)와, 상기 이미지센서를 밀봉하고 상기 투명부재(22)를 고정하기 위한 몰딩부(23)와, 이미지센서 모듈(20)의 실장을 위한 외부접속부(24)로 이루어진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CSP) 형태의 모듈로 제공되거나,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세라믹 리디드 칩 캐리어(Ceramic Leaded Chip Carrier:CLCC) 패키지 형태의 모듈로 제공된다.
즉, 종래 웹 캠 보드(10)에는 각종 전자부품(11)이 표면 실장 될 경우, CSP 패키지 또는 CLCC 패키지 상태의 이미지센서 모듈(20)이 함께 표면 실장되며, 그 후 상기 웹 캠 보드(10)의 상면에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20)에 대응되는 하우징(30)이 본딩되고, 상기 하우징(30)의 상부에 렌즈(L)가 장착된 렌즈배럴(50)을 체결하여 포커싱 조정 작업 등을 한 후 고정하면, 상기 웹 캠 보드(10)에 각종 전자부품(11)과 함께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웹 카메라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웹 카메라는 웹 캠 보드(10)에 패키지 상태로 제공되는 고가의 이미지센서 모듈(20)을 실장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하였다.
그리고, 종래 웹 카메라는 웹 캠 보드(10)에 패키지 상태의 이미지센서 모듈(20)이 표면 실장된 후 하우징(30)이 본딩되기 때문에, 이미지센서의 불량시 재작업이 거의 불가능하여 불량에 따른 재작업 제조비용이 상승하였다.
또한, 종래 웹 카메라는 웹 캠 보드(10)에 CLCC 패키지 형태의 이미지센서 모듈을 적용시 이미지센서의 수광부를 보호하기 위한 글라스 필터와 적외선 차단 필터가 동시에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더욱 증가하고, 렌즈를 통과한 빛이 적외선 차단 필터와 글라스 필터를 거쳐 이미지센서의 수광부에 도달하기 때문에 빛의 굴절에 의한 화상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웹 카메라는 웹 캠 보드(10)에 이미지센서 모듈(20)이 표면 실장된 후 하우징(30)이 본딩되기 때문에 광축이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웹 카메라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 및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성능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웹 카메라(Web Camera)의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면에 상면 패드가 형성된 웹 캠 보드; 및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대응되는 하면 패드가 형성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에 조립되고 렌즈가 장착된 광학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과 상기 광학 유니트가 조립된 모듈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가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웹 캠 보드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가 제공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가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표면 실장(SMT)됨으로써 상기 웹 캠 보드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가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웹 캠 보드에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유니트는, 상기 기판의 상부에 조립되고 적외선 차단 필터가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렌즈가 내장된 렌즈배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광학 유니트는, 상기 하우징과 렌즈배럴이 일체로 형성된 포커싱 무조정 방식의 배럴 겸용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렌즈 및 상기 광학유니트는 내열성이 강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기판과 광학 유니트가 조립된 모듈 상태에서 웹 캠 보드에 실장되기 때문에,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된 후 상기 웹 캠 보드의 리플로우 공정 등과 같이 고열을 이용한 공정에서 렌즈 또는 광학유니트가 고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에 형성되는 하면 패드는,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판의 측면에는 상기 하면 패드로부터 연장된 측면 패드를 더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를 솔더 페이스트와 같은 전도성 물질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상기 측면 패드에 상기 전도성 물질이 사이드 필렛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웹 캠 보드와 카메라 모듈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카메라 모듈의 실장력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웹 캠 보드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에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쪽에는 상기 위치결정홀에 대응되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홀 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될 경우, 상기 위치결정홀과 상기 위치결정돌기의 결합됨에 의해 상기 웹 캠 보드 상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실장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의하면, 상면에 상면 패드가 형성된 웹 캠 보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대응되는 하면 패드가 형성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의 상부에 렌즈가 장착된 광학 유니트를 조립하여 모듈화된 카메라 모듈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를 표면 실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유니트는, 적외선 차단 필터가 장착된 하우징의 상부에 렌즈가 내장된 렌즈배럴을 조립하여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광학 유니트는, 상기 하우징과 렌즈배럴이 일체로 형성된 포커싱 무조정 방식의 배럴 겸용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렌즈 및 상기 광학유니트는 내열성이 강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기판과 광학 유니트가 조립된 모듈 상태에서 웹 캠 보드에 실장되기 때문에,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된 후 상기 웹 캠 보드의 리플로우 공정 등과 같이 고열을 이용한 공정에서 상기 렌즈 또는 광학유니트가 고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에 형성되는 접속패드는,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판의 측면에는 상기 하면 패드로부터 연장된 측면 패드가 더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를 솔더 페이스트와 같은 전도성 물질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상기 측면 패드에 상기 전도성 물질이 사이드 필렛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웹 캠 보드와 카메라 모듈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카메라 모듈의 실장력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며 상기 웹 캠 보드에 형성된 위치결정홀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를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실장 위치를 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홀은 상기 웹 캠 보드에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어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기판의 하면에 상기 위치결정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될 경우, 상기 위치결정홀과 상기 위치결정돌기의 결합됨에 의해 상기 웹 캠 보드 상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실장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 의하면, 상면에 상면 패드가 형성된 웹 캠 보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대응되는 하면 패드가 형성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의 상부에, 하우징을 조립하여 모듈화된 카메라 모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캠 보드에 실장된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 상부에, 렌즈가 장착된 렌즈배럴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고 상기 웹 캠 보드에 형성된 위치결정홀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를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실장 위치를 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웹 카메라의 구조 및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성능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카메라의 웹 캠 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카메라의 웹 캠 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웹 카메라의 일 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카메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카메라는, 크게 웹 카메라(Web Camera)의 본체 케이스(미도시)에 내장되며 상면에 상면 패드(112)가 형성된 웹 캠 보드(100)와,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장되는 모듈화된 상태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0)에 대응되는 하면 패드(미도시)가 형성되고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실장된 기판(120)과, 상기 기판(120)의 상부에 조립되고 렌즈(L)가 장착된 광학 유니트(130,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카메라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120)과 상기 광학 유니트(130,150)가 조립된 모듈 상태에서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가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실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가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표면 실장(SMT)됨으로써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가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실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광학 유니트(130,150)는, 상기 기판(120)의 상부에 조립되고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가 내장된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의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렌즈(L)가 내장된 렌즈배럴(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광학 유니트(130,150)는, 상기 하우징(130)과 렌즈배럴(150)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렌즈와 적외선 차단 필터가 장착된 포커싱 무조정 방식의 배럴 겸용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렌즈(L) 및 상기 광학유니트(130,150)를 형성하는 하우징(130)과 렌즈배럴(150)은 내열성이 강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다르게 기판(120)과 광학 유니트(130,150)가 조립된 모듈 상태의 카메라 모듈이 웹 캠 보드(100)에 실장되기 때문에,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된 후 상기 웹 캠 보드(100)의 리플로우 공정 등과 같이 고열을 이용한 공정에서 렌즈(L) 또는 광학유니트(130,150)가 고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120)에 형성되는 하면 패드는,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12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는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도포되는 솔더 페이스트와 같은 전도성 물질의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판(120)의 측면에는 상기 하면 패드로부터 연장된 측면 패드(121)를 더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0)에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를 솔더 페이스트와 같은 전도성 물질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상기 측면 패드(121)에 상기 전도성 물질이 사이드 필렛(S)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웹 캠 보드(100)와 카메라 모듈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카메라 모듈의 실장력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웹 캠 보드(100)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120)에는 위치결 정홀(100a)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쪽에는 상기 위치결정홀(100a)에 대응되는 위치결정돌기(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홀(100a) 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120a)는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될 경우, 상기 위치결정홀(100a)과 상기 위치결정돌기(120a)의 결합됨에 의해 상기 웹 캠 보드(100) 상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실장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다.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은 크게 웹 캠 보드(100)를 준비하는 단계와,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120)과 광학유니트(130,150)가 조립된 모듈 상태의 카메라 모듈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상기 모듈화된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먼저 상면에 상면 패드(112)가 형성된 웹 캠 보드(100)를 준비한다.
아울러,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대응되는 하면 패드가 형성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120)의 상부에, 렌즈(L)가 장착된 광학 유니 트(130,150)를 조립하여 모듈화된 카메라 모듈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한다.
여기서,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를 표면 실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120)의 측면에는 상기 하면 패드로부터 연장된 측면 패드(121)를 더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판(120)의 측면에 상기 하면 패드로부터 연장된 측면 패드(121)를 더 형성하여,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20)에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를 솔더 페이스트와 같은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여 표면 실장할 경우,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20)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가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를 타고 상기 측면 패드(121)로 유입되어 사이드 필렛(S)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웹 캠 보드(100)와 카메라 모듈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카메라 모듈의 실장력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를 표면 실장 기술을 통해 실장하는 대신,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를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전 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광학 유니트(130,150)는, 상기 기판(120)의 상부에 조립되고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가 내장된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의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렌즈(L)가 내장된 렌즈배럴(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광학 유니트(130,150)는, 상기 하우징(130)과 렌즈배럴(150)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렌즈와 적외선 차단 필터가 장착된 포커싱 무조정 방식의 배럴 겸용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렌즈(L) 및 상기 광학유니트(130,150)를 형성하는 하우징(130)과 렌즈배럴(150)은 내열성이 강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다르게 기판(120)과 광학 유니트(130,150)가 조립된 모듈 상태의 카메라 모듈이 웹 캠 보드(100)에 실장되기 때문에,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된 후 상기 웹 캠 보드(100)의 리플로우 공정 등과 같이 고열을 이용한 공정에서 렌즈(L) 또는 광학유니트(130,150)가 고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며 상기 웹 캠 보드(100)에 형성된 위치결정홀(100a)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120)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120a)를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실장 위치를 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웹 캠 보 드(100)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될 경우, 상기 위치결정홀(100a)과 상기 위치결정돌기(120a)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웹 캠 보드(100) 상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실장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홀(100a)은 상기 웹 캠 보드(100)에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어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120a)는 상기 기판(120)의 하면에 상기 위치결정홀(100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광학유니트(130,150)가 하우징(130)과 렌즈배럴(150)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120)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장착된 하우징(130)만을 조립하여 모듈화된 상태로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실장되고, 그 이후에 상기 하우징(130)의 상부에 렌즈(L)가 내장된 렌즈배럴(150)을 조립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면에 상면 패드(112)가 형성된 웹 캠 보드(100)를 준비한다.
아울러,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대응되는 하면 패드가 형성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120)의 상부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내장된 하우징(130)을 조립하여 모듈화된 카메라 모듈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웹 캠 보드(100)의 상면 패드(112)에 상기 기판(120)의 하면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상기와 같이 기판(120)과 하 우징(130)만이 조립되어 모듈화된 카메라 모듈을 실장한다.
이후, 상기 하우징(130)의 상부에 렌즈(L)가 내장된 렌즈배럴(150)을 조립하고 포커싱 공정 후 고정하여 카메라 모듈의 실장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웹 캠 보드(100)에 카메라 모듈을 실장할 경우에는, 상기 웹 캠 보드(100)의 리플로우 공정과 같은 고열을 이용한 공정이 끝난 후에 상기 하우징(130)의 상부에 렌즈(L)가 장착된 렌즈배럴(150)을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L)와 렌즈배럴(150)을 내열성이 강한 물질로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도,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위치결정홀(100a)을 형성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120)에 위치결정돌기(120a)를 형성하여, 상기 웹 캠 보드(100)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실장시 카메라 모듈의 실장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웹 카메라의 웹 캠 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카메라의 웹 캠 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카메라의 웹 캠 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웹 캠 보드 100a: 위치결정홀
110: 전자부품 120: 기판
120a: 위치결정돌기 121: 측면 패드
130: 하우징 150: 렌즈배럴
L: 렌즈

Claims (20)

  1. 웹 카메라(Web Camera)의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면에 상면 패드가 형성된 웹 캠 보드; 및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대응되는 하면 패드가 형성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에 조립되고 렌즈가 장착된 광학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과 상기 광학 유니트가 조립된 모듈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가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웹 캠 보드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가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표면 실장(SMT)됨으로써 상기 웹 캠 보드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가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웹 캠 보드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니트는, 상기 기판의 상부에 조립되고 적외선 차단 필터가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렌즈가 내장된 렌즈배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및 상기 광학유니트는 내열성이 강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에 형성되는 하면 패드는,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측면에는 상기 하면 패드로부터 연장된 측면 패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캠 보드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에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쪽에는 상기 위치결정홀에 대응되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홀 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
  10. 상면에 상면 패드가 형성된 웹 캠 보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대응되는 하면 패드가 형성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의 상부에 렌즈가 장착된 광학 유니트를 조립하여 모듈화된 카메라 모듈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를 표면 실장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니트는,
    적외선 차단 필터가 장착된 하우징의 상부에 렌즈가 내장된 렌즈배럴을 조립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및 상기 광학유니트는 내열성이 강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에 형성되는 접속패드는,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측면에는 상기 하면 패드로부터 연장된 측면 패드가 더 형성되어,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를 솔더 페이스트의 전도성 물질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상기 측면 패드에 상기 전도성 물질이 사이 드 필렛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고, 상기 웹 캠 보드에 형성된 위치결정홀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를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실장 위치를 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홀은 상기 웹 캠 보드에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어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상기 기판의 하면에 상기 위치결정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
  19. 상면에 상면 패드가 형성된 웹 캠 보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대응되는 하면 패드가 형성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의 상부에, 하우징을 조립하여 모듈화된 카메라 모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웹 캠 보드의 상면 패드에 상기 기판의 하면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캠 보드에 실장된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 상부에, 렌즈가 장착된 렌즈배럴을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웹 캠 보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고, 상기 웹 캠 보드에 형성된 위치결정홀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기판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를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실장 위치를 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카메라의 제조방법.
KR1020080022413A 2008-03-11 2008-03-11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7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13A KR20090097338A (ko) 2008-03-11 2008-03-11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13A KR20090097338A (ko) 2008-03-11 2008-03-11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338A true KR20090097338A (ko) 2009-09-16

Family

ID=4135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413A KR20090097338A (ko) 2008-03-11 2008-03-11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73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487A (ko) * 2019-11-01 2021-05-13 항저우 엠디케이 옵토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카메라 모듈의 도트 결함을 감소시키는 cvd 제조 방법 및 그 생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487A (ko) * 2019-11-01 2021-05-13 항저우 엠디케이 옵토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카메라 모듈의 도트 결함을 감소시키는 cvd 제조 방법 및 그 생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0033B2 (en) Imaging device having an imaging element mounted on a substrate
KR101294419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205430411U (zh) 阵列摄像模组及其线路板组件
JP3836235B2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28011B1 (ko) 이미지센서 모듈과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카메라 모듈
KR100867523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1677105B1 (ko) 전자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0401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0095732A (ko) 고체 촬상 소자,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CN103765865A (zh) 摄像元件模块及其制造方法
GB2437646A (en) A camera module package
GB2413435A (en) Camera lens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KR20140019535A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0957384B1 (ko) 카메라 모듈
KR100916581B1 (ko)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7429783B2 (en) Image sensor package
KR100867524B1 (ko)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CN1610386A (zh) 摄像机设备的图像传感器模块及其装配方法
KR20090097338A (ko)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
KR100897799B1 (ko) 전자파 방해를 차폐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의 조립구조 및조립방법
KR101469902B1 (ko) 카메라 모듈용 필터 패키지 및 카메라 모듈
KR100613419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98255A (ko) 웹 카메라 및 그 제조방법
JP2007065650A (ja) 赤外線フィルタ及びウィンドウ一体型カメラモジュール装置
KR101175879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