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316A - 탈모 방지 등의 효과를 갖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그에 의해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등의 효과를 갖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그에 의해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316A
KR20090097316A KR1020080022380A KR20080022380A KR20090097316A KR 20090097316 A KR20090097316 A KR 20090097316A KR 1020080022380 A KR1020080022380 A KR 1020080022380A KR 20080022380 A KR20080022380 A KR 20080022380A KR 20090097316 A KR20090097316 A KR 20090097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ight
shampoo
shampoo composition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102008002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7316A/ko
Publication of KR2009009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3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는 물론 발모를 촉진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에 관한 것으로서, 아주까리기름과 올리브기름을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 아주까리기름 0.8~1.1중량%(전체 샴푸 조성물을 100%로 했을 경우의 비율임, 이하 같음), 올리브기름 0.15~0.4중량%, 참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쌀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콩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호박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2) 에틸알코올에 위 (1)의 혼합물을 중량비 5:1의 비율로 섞는 단계; 및 (3) 샴푸의 통상의 기본원료에 상기 (2)의 혼합물을 중량비 10: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샴푸, 아주까리, 올레인, 계면활성제, 탈모방지, 비듬제거

Description

탈모 방지 등의 효과를 갖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The manufacturing method of shampoo composition preventing loss of hair, and the produ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는 물론 발모를 촉진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천연재료 아주까리기름, 올리브기름을 비롯하여 참깨, 쌀겨, 콩, 호박씨 등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에틸알코올에 넣어 혼합한 조성물을 종래의 샴푸 기본원료와 혼합함으로써, 뛰어난 세정력과 함께 두피와 모발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함은 물론 항균작용을 갖는 원재료의 성분을 통해 탈모를 방지하고 각종 두피 트러블, 가려움증, 비듬이 없어지도록 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샴푸는 두피와 모발을 세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계면활성제, 기포증진제, 점증제, 유화제, 방부제 등의 주성분이 첨가제로 구성되었다.
그런데 선진국의 최근 연구?개발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두피와 모발의 세 정에만 목적이 있는 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의 보호기능은 물론 영양공급 기능까지 함께 갖는 차세대적 샴푸에 대한 연구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특히나 천연재료에서의 추출물을 샴푸원료에 첨가하여 제조하는 갖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전의 샴푸에 있어서는 인간이 여러 가지 효능, 효과를 누릴 수 있었을지는 모르지만 환경적 차원에 있어서는 다분히 거리가 멀었다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이면서도 두피와 모발의 탁월한 세정은 물론이고 충분한 영양을 동시에 공급해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천연재료 아주까리기름과 올리브기름을 비롯하여, 참깨, 쌀겨, 콩, 호박씨 등 천연재료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화학성분을 최소화하고 뛰어난 세정력을 바탕으로 두피와 모발에 충분한 각종 영양성분을 공급함으로써 위 재료들의 성분이 갖는 항균 및 항노화 효과가 발휘될 수 있고 두피에 저자극적이면서도 사용하였을 때 친환경적인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샴푸는 사용 시 기포발생의 정도가 매우 우수하고 피지 제거기능 및 보습력이 뛰어나 모발의 표면감촉이 뛰어나며 물성이 물에 가까운 PH 6.8로서 피부에 저자극성인 것이 바람직한바, 아주까리기름을 포함한 6가지의 천연재료 추출물을 샴푸원료에 이용한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이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주까리기름과 올리브기름을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 아주까리기름 0.8~1.1중량%(전체 샴푸 조성물을 100%로 했을 경우의 비율임, 이하 같음), 올리브기름 0.15~0.4중량%, 참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쌀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콩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호박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2) 에틸알코올에 위 (1)의 혼합물을 중량비 5:1의 비율로 섞는 단계; 및 (3) 샴푸의 통상의 기본원료에 상기 (2)의 혼합물을 중량비 10: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상의 샴푸의 기본원료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추가되는 물질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위에서 말하는 ‘통상의 샴푸의 기본원료’는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고 샴푸에 적합한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의 실시에 채택될 수 있는바, 여기에는 예컨대 계면활성제, 유화제, 점증제, 기포증진제, 추운 곳에서 얼거나 결정상의 석출물을 생성하지 않도록 작용하는 방부제, 향수제(hydrotripe), PH 조절제 등과 기타 첨가제로서 금속 차단제, 살균제, 비듬방지제, 토닉제, 컨디셔닝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로 나누어지며 액체 샴푸에는 알킬에테르 황산염인 AES, 알킬황산염인 AS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위 각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아주까리기름 0.8~1.1중량%(전체 샴푸 조성물을 100%로 했을 경우의 비율임, 이하 같음), 올리브기름 0.15~0.4중량%, 참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쌀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콩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호박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에틸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에 틸알코올 대 6가지 성분의 혼합물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5: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아주까리기름을 포함시키면서도 그와 혼합되어 시너지효과를 올릴 수 있도록 다양한 재료를 혼합비를 달리하여 시험함으로써 최적 조건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수치를 얻게 되었다.
괄목할 만한 것은 천연재료 아주까리기름을 그대로 샴푸 속에 녹여 넣음으로써, 인체에 서식하고 있는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Lactobacillius, Escherichia 등과 같은 각종 세균에 의한 두피 감염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작용을 갖는 운데실렌산의 우수한 효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두피의 염증은 모공 내의 피지에 세균이 침투하거나 알레르기성 인자에 의해 발생되는데 샴푸로 두피를 세정할 때 그 함유성분에 따라 두피의 피지 제거 및 살균 효과를 얻음으로써 두피상태가 개선되게 된다.
샴푸에서 두피의 피지를 제거하기 위해 흔히 화학성 물질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드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항균용(Anti-Virus) 살균제도 화학합성 항진균 소재인 디클로로펜이라든지 트리클로카아반, 파라클로메타크실렌, 살리실산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나, 이들 물질은 두피가 민감한 사람이 사용하거나 과다 사용하게 되면 두피와 직접적 접촉에 의해 손상을 가져온다. 따라서, 인체에 유해한 석유 화학성 물질에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소재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이미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실행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최근 웰 빙 바람에 힘입어 천연 소재를 이용한 샴푸라든지 바디클렌저 등의 개발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된 본 발명은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부작용을 없애면서도 소개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핵심재료로 선정된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천연재료 아주까리기름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자타가 인정하는 신비의 기름으로서 기원전 4,000년경부터 화장품 및 의약품 등으로 고대황실에서 이미 사용되었고, 동양에 와서는 명나라 때 본초학자 이시진이 본인의 저서 본초강목에 그 약리에 대하여 집대성한 바 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 때 중국을 통하여 유지작물로서 전래되었으며 묵나물로 먹거나, 머릿기름 및 등화용 기름으로도 사용되었었다.
M. D. William McGarey 著 <The Oil That Heals>라는 책을 보면 미국에서는 이미 천연 아주까리기름으로 암을 치료하는 등 의학계에 있어서도 비상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한다. 현대에 이르러 대체연료(Bio diegel)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등 아주까리기름은 화장품의 주 원료에서 의학용, 산업용, 공업용 원료에 이르기까지 폭 넓게 적용되고 있는바 그 신비성에 세계가 놀라고 있다.
특히나 아주까리기름은 불건성유이며 불포화지방산으로서 올레인산(Oleic Acid)이 들어 있어 예로부터 머릿기름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 인산(Oleic Acid)은 혈관에서 중성지방, 콜레스테롤의 산화 예방은 물론 두피의 피지샘을 튼튼하게 유지시켜 탈모 예방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양모제(養毛劑)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샴푸 원료로서 탁월한 것 중 또 다른 하나는 운데실렌산(Undecylenic / Undecenoic Acid)을 들 수 있다. 10-undecenoic acid[(CH₂CH(CH₂)8COOH]가 공통된 이름이다. 운데실렌산은 아주까리기름에서만 채집 가능한 신비의 불포화지방산으로서 무좀균 및 병원성 사상균을 죽이는 작용을 하며 피부연화작용을 한다. 더 나아가 항진균약 소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운데실렌산은 화장품의 원료에서 제약용 원료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는 신비의 불포화지방산이다.
이 모든 것은 아주까리기름의 주성분인 리시놀레산(Ricinoleic Acid)에서 기인한다.
그리고, 아주까리기름 속에는 Vitamin A라고도 불리는 레티놀(Retinol)산이 많이 들어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레티놀산은 주름살 개선제 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올리브기름(Olive Oil)은 올리브 열매로부터 얻은 식물성 기름이다. 주로 지중해에 면한 지역의 요리에 즐겨 이용된다. 식용 외에도 화장품, 약품, 비누 등의 원료로도 이용된다. 지중해 지역에서는 기름이라 할 때 일반적으로 올리브기름을 일컫는다. 산화되기 어려운 올레인산을 비교적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식 용의 유지에 비하여 산화가 덜 되고 잘 굳어지지 않는다.
올리브기름은 올레인산(Oleic Acid)이 약 70% 차지하고 있으며 혈관에서 중성지방, 콜레스테롤의 산화를 예방하고 두피의 피지샘을 튼튼하게 유지시켜 탈모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올레인산은 양모제의 주 원료로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식품의 원료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참깨는 유료 작물(기름을 생산하기 위해 재배하는 식물) 중에서 가장 재배역사가 오래된 것으로, 그 원산지는 학자에 따라 인도, 아프리카, 수단, 중앙아시아, 말레이시아 등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현재는 30여 종의 참깨 근열 야생종의 대부분이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점을 근거로 아프리카 사바나지대를 원산지로 보고 있다.
참기름은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포화지방산과 올레산 및 레놀레산의 불포화지방산의 4가지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올레산 40% 내외와 필수지방산(비타민 F)인 리놀레산 45% 내외를 함유하고 있어 불포화지방산이 80% 이상인 반건성유이다. 또한, 참기름에는 세사민 0.36%와 세사몰린 0.25%가 함유되어 있고, 야생의 참깨에는 세산골린(sesangolin)이 0.42% 함유되어 있다. 다른 식용유보다 참기름이 저장안정성이 특별히 높은 것은 이들 항산화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깨의 항산화성분은 인체 내에서 자동산화로부터 생성되는 노화촉진성의 과산화물을 억제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쌀겨는 현미에서 정백미로 도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과피, 종피, 호분층 등의 분쇄 혼합물이다. 따라서 쌀겨는 정백미의 부산물이지만 영양에 관해서는 상당히 우수한 재료인 셈이다. 쌀겨에는 비타민 A를 비롯해 B1,B6, 철분, 인,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들이 함유되어 있다. 쌀겨의 표준적인 화학 조성을 보면 수분 13.5%, 지방 18.3%, 당질 38.3%, 섬유 7.8%, 회분 8.9%이다. 비타민 B1은 100g중 2.5㎎이나 들어 있으며, 비타민 E도 많다.
쌀겨를 먹으면 식물 섬유로 인해 장의 작용이 활발하게 되므로 배변이 촉진되어 아무리 지독한 변비도 해결할 수 있다. 또, 식물 섬유는 장내의 비피더스균을 증가시켜 장 안에 기생하고 있는 세균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기능까지 하고 있기 때문에 대장암도 예방된다. 비피더스균이 증가하면 장이 건강하게 되어 노화 방지에도 큰 몫을 담당한다. 지방간을 예방하는 데도 효과가 높다. 쌀겨의 성분은 또 소장 내 칼슘의 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결석이 생기기 쉬운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다.
콩에 함유된 사포닌과 레시틴은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한다. 거칠어진 피부를 맑고 투명하게 가꿀 수 있고 미용과 노화방지효과가 크며 주름살을 완화시키는 비타민 E와 무너진 피부 세포를 일으켜 세우는 단백질, 각종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매끄럽고 윤기 있게 가꿔주며 다른 곡물과 혼합해 사용하면 여드름, 기미, 넓은 모공 , 잔주름 등의 피부고민을 해결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호박씨는 비듬이 많은 사람에게 아주 좋다. 두피가 많이 벗겨지고, 빈약한 사람들에게 추천할 만한 식품이다. 호박씨는 단백질, 지방, 당질, 비타민 B군이 많이 들어 있다. 무기질로서 칼륨, 칼슘, 인이 풍부하고 지방은 불포화지방산과 레시틴이 구성성분으로 들어 있으므로 고혈압의 예방에도 좋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이 많아 간장의 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일반 성분은 수분 5.8%, 지방 44.2%, 당질 7.3%, 섬유질 10.3%, 무기질 5.2%이며, 무기질로는 인이 함량이 특히 많아 1.311mg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에 의하면 천연재료인 아주까리기름, 올리브기름 및 참깨 등의 천연재료 추출물의 조성물에 포함된 운데실렌산(Undecylenic Acid)에 의하여 비듬균 및 각종 바이러스 등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비듬과 가려움증 등 두피 트러블이 해소될 수 있다.
그리고, 조성물에 함유된 올레인산(Oleic Acid), 레티놀산(Retinol Acid), 비타민 E, 비타민 A, 그리고 미네랄 등 각종의 영양소가 Multi-PH 기술(뒤에서 설명함)에 의해 두피와 모발에 공급되고 저장되므로 모근에 대한 보양효과가 얻어지고 탈모의 방지 또는 감소가 이뤄지며 모근에 대한 보양효과가 얻어지므로 머릿결이 자연 윤기가 나고 가는 모발과 잔털이 굵어지는 발모촉진의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아주까리기름에만 함유돼 있는 성분으로서, 병원성 사상균을 살균할뿐더러 각종 오염 물질들을 해독(Detoxication)하는 것으로 이미 실증된 운데실렌산(Undecylenic/Undecenoic Acid)의 효과를 통해 두피와 모발세포에 활력을 줄 수 있다.
또, 비타민 E에 의하여 두피와 모발세포에 대한 스트레스와 피로가 회복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머리감기를 함에 따라 항노화(Anti-Aging) 작용을 하므로 신체의 모든 부위에 대한 약리작용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활발한 신진대사활동에 도움을 주어 건강에 도움이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람의 머리카락 숫자는 대략 10만개 정도이며 모발은 대략 3년 정도 자란 후 빠지고 다시 그 자리에서 3개월 후 새로운 모발이 자라는 형식으로 반복을 하며 하루에 대개 50~80개의 모발이 빠지고 새로 나는 과정이 되풀이되며 정상인의 경우 대략 10만개의 모발을 유지한다. 그러니까 모낭에서 성장기에 있는 모발이 퇴행기에 들어서면 새로운 모발을 성장시키기 위한 준비를 하고 하나의 모발이 빠지게 되면 준비하고 있는 가는 모발이 굵어지면서 자라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모공이 피지나 각종 공해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영양공급이 원활치 않으므로 하여 모발의 성장기가 짧아져 1년 정도 자란 후 빠지게 되거나 새로운 모발의 성장을 막게 되므로 대머리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아주까리기름과 올리브기름, 그리고 참깨를 포함한 4가지 천연재료의 추출물을 에틸알코올과 혼합한 조성물을 샴푸원료와 함께 사용할 경우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모공을 막고 있는 피지나 각종 오염물질을 깨끗이 세정하 고 모낭에 충분히 영양을 공급하므로 성장기의 모발이 퇴행기로 빠지게 되면 새로 자라는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여 건강한 머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최근에 이르러서는 모낭충에 의한 탈모의 심각성이 학계에 보고돼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우리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모낭에 모낭충이 서식하는데 모낭에서 분비되는 피지를 먹고 산다. 그런데, 이 모낭충은 낮에는 모낭에 머물다가 밤이 되면 밖으로 나와 먹이 활동을 한다. 모낭충에 의한 탈모의 원인이 여기에 있다. 자꾸 들락날락하다 보면 모공은 자연 넓어지고 모발은 힘을 잃고 빠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은 두피와 모발에 생존하는 병원성 사상균을 살균할뿐더러 각종 오염 물질들을 해독(Detoxication)함으로써 두피와 모발세포에 활력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주까리기름은 알카리와 만나면 리시놀산(Ricinoleic Acid)과 글리세린(Glycerin)으로 물 분해를 일으키는데 이때 천연 계면활성제인 리시놀 비누가 생성된다. 변비환자가 아주까리기름을 먹으면 설사를 하는 것도 알카리인 장액과 아주까리기름이 만나는 데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으로 바로 여기서 기인한다.
그리고, 리시놀 비누에 의해 친유(親油)인 모발의 cuticle를 열게 되는 것이고 두피와 모발을 깨끗이 세정하게 된다.
우리 동양인의 경우 서양인과 달리 7겹의 Cuticle로 이루어져 있다. 그중 1겹의 Cuticle를 잘라 그 단면을 살펴보면 epi cuticle(10nm), exo(100~300nm), endo(50~300nm)순으로 sandwich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cuticle 각각의 성분 및 특징을 살펴보게 되면 본 발명의 취지를 이해하는 데 훨씬 도움이 된다.
epi는 모발의 최외곽층에 해당하며 지질과 시스틴을 함유하는 단백질로 구성된다. 화학약품에는 강하나 딱딱하고 부서지기 쉽기 때문에 물리적인 작용에 약하다.
exo는 시스틴 함량이 많으며 비정질 Keratin층이다. 즉, 시스틴 결합을 절단하는 약품에 아주 약하다.
endo는 exo와는 대조적으로 시스틴의 함량은 적은 반면 산성이나 염기성의 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물에 의한 팽윤성이 있다. 물만으로도 큐티클이 열린다 하는데 바로 endo cuticle이 물에 의한 팽창에 따른 것이다.
더 나아가 각각의 cuticle은 등전점(PH4.5~5.5)일 때 그 결합의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고 튼튼한 상태에 있으나 천연 계면활성제인 리시놀비누(알카리)에 의해 쉽게 열리게 되는 것이고 글리세린에 의해 각종 영양성분이 친수(親水)인 cortex층 안으로 운반 저장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글리세린은 수분을 운반하고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화장품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는 이유 또한 여기서 기인한다.
모공을 막고 있는 불순물의 세정 또한 같은 원리이며 두피의 진피층까지 영 양이 충분히 공급되는 원리 또한 위와 같다.
상기와 같은 현상을 본 발명에서는 Multi-PH라 명명하기로 한다.
샴푸는 두피와 모발을 깨끗이 세정하고 영양을 공급한다. 선진국형 샴푸가 바로 이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샴푸들은 영양을 공급만 했지 잡아주지 못하여 다시 밖으로 금세 빠져나오기 때문에 지금까지 그다지 실효를 거두지 못했던 걸로 알려져 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모순점들을 대폭 보완, 한번 공급된 영양분이 두피 또는 모피질 내에 최소 2주까지 유지되도록 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Multi-PH 기술에서 기인한 것인데 그 작용을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은 제품 상태에서는 물에 가까운 PH 6.8로서 사용 시 물과 함께 혼합되어 모발의 Cuticle과 두피의 모공에 중성으로 작용함으로써 산성의 샴푸보다 탁월한 세정력을 보인다. 이때 글리세린(Glycerin)이 물과 함께 영양분을 모발의 cortex층과 두피의 진피층까지 운반, 저장하게 된다. 운반된 영양분은 이온결합을 하게 되는 게 아미노기(NH₂)의 질소(N)가 양이온, 카르복실기(COOH)의 산소(O)가 음이온이 되어 서로 끌어 잡아당기는 원리에 의해 하는 결합이다. 그리고, 작업이 끝나고 건조를 하게 되면 등전점인 PH 4.5~5.5로 PH가 떨어져 공급된 영양분이 모발과 두피 내에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 이유는 상기에서 이미 설명하고 있듯이 Keratin(경단백질)은 등전점(PH 4.5~5.5)일 때 가장 튼튼하며 안정된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반면, 알카리성 샴푸의 경우는 모발의 Cuticle과 두피의 모공을 너무 지나치게 이완시켜 버리므로 세정력은 뛰어날지 모르나 모발이나 두피 자체가 보유하고 영양분까지 빼앗아가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가 알카리성의 샴푸를 사용할 때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것이다.
보통 샴푸의 원료로는 계면활성제, 유화제, 점증제, 기포증진제, 추운 곳에서 얼거나 결정상의 석출물을 생성하지 않도록 작용하는 방부제, 향수제(hydrotripe), PH 조절제 등과 기타 첨가제로서는 금속 차단제, 살균제, 비듬방지제, 토닉제, 컨디셔닝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로 나누어지며 액체 샴푸에는 알킬에테르 황산염인 AES, 알킬황산염인 AS 등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천연재료 아주까리기름을 첨가함으로써 천연 계면활성제라 할 수 있는 리시놀비누가 생성 화학적 계면활성제의 첨가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게다가 모낭충을 비롯한 비듬균 및 각종 병원성 사상균을 죽이기 위하여 첨가했던 화학성 살균제와 비듬방지제를 아주까리기름에서만 채취 가능한 운데실렌산(Undecylenic Acid)으로 대체함으로써 명실 공히 친환경적 샴푸로 거듭나게 되었다. 더욱이 양모제(養毛劑)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올레인산(Oleic Acid)이 다량 함유돼 있는 천연 올리브유나 참깨 등의 천연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새로 자라는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여 건강한 머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샴푸로 머리를 세정하게 되면 버리는 물까지도 중 화(Neutralization)시켜 버리게 되는바, 이는 아주까리기름이 알카리와 만났을 때 리시놀비누라는 천연비누가 생성되는 데서 기인하며 아주까리기름에서만 나오는 운데실렌산(Undecylenic Acid)이 있어 오염물질의 중화(中和)를 돕는다. 참고로 운데실렌산의 Neutralization Value는 304.5이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는 1회 머리감기를 할 때 꼭 두 번을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주까리기름을 비롯한 각종 천연재료에서 추출된 영양분을 충분히 두피와 모발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그러니까 샴푸에 들어가기에 앞서 물로 두피와 모발을 충분히 적신 다음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로 두피와 모발을 첫 번째 세정을 하고, 물로서 헹군 다음 다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를 이용하여 두피와 모발에 대한 두 번째 세정을 함으로써 1회 머리감기가 끝난다.
이때 머리의 길이에 따라 조절이 불가피하겠지만 첫 번째 세정을 할 때는 약 6그램(g) 정도의 소량으로 샴푸를 하고 두 번째 샴푸에 들어갈 때는 첫 번째보다는 좀더 많은 9그램(g) 정도를 써서 샴푸한다. 이는 첫 번째 샴푸의 목적은 오염물질을 세정하는 데 있고 두 번째 샴푸의 목적은 두피와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샴푸는 천연성분의 영양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샴푸 시 거품이 많이 일도록 마사지를 충분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두피와 모발에 영양이 스며들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는 한번 머리 감을 때 꼭 두 차례 연속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시예를 기술한다.
[실시예 1]
에틸알코올 10Kg에 아주까리기름 1.2Kg, 올리브기름 0.4Kg, 참깨, 쌀겨, 콩 및 호박씨의 추출물액 0.4Kg을 넣고 잘 혼합하였다. 이때 추출물액은, 참깨, 쌀겨, 콩, 호박씨를 각각 1:1:1:1로 잘 혼합한 다음 수증기로 2시간 쪄서 삼투압방식으로 압출하여 얻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천연재료 아주까리기름의 조성물 12Kg을, 계면활성제 ALES 60Kg, ALS 32Kg, 정제수 25Kg, 점증제(NaCl) 2Kg 및 PH 조절제(NaOH) 1Kg으로 구성된 샴푸원료 120Kg에 다단계공정으로 교반하여 고르게 Mix된 132Kg의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를 얻었다.
[실시예 2]
에틸알코올 10Kg에 아주까리기름 1.2Kg, 올리브기름 0.2Kg, 추출물액 0.6Kg을 넣고 잘 혼합하여 샴푸 원료에 상기한 아주까리기름의 조성물을 10:1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 12Kg을 얻는다.
추출물액 조성은 참깨, 쌀겨, 콩, 호박씨를 각각 1:1:1:1로 잘 혼합한 다음 수증기로 2시간 쪄서 삼투압 방식으로 압출하여 얻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천연재료 아주까리기름의 조성물 12Kg을, 계면활성제 ALES 60Kg, ALS 32Kg, 정제수 25Kg, 점증제(NaCl) 2Kg 및 PH 조절제(NaOH) 1Kg으로 구성된 샴푸원료 120Kg에 다단계공정으로 교반하여 고르게 Mix된 132Kg의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를 얻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실시예 1, 2, 3의 샴푸를 각각 30명(비듬 가려움증이 있는 사람 20명 포함)에게 45일간 사용하게 하고 그 결과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모든 사용자에게서 탈모율이 50~60% 정도 감소하였으며 가는 모발이나 잔털이 굵어지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비듬이나 가려움증으로 두피 트러블이 있던 사람들도 90% 정도 해소되는 효과가 있었다.
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여기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밝힌다.

Claims (6)

  1. 아주까리기름과 올리브기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2. (1) 아주까리기름 0.8~1.1중량%(전체 샴푸 조성물을 100%로 했을 경우의 비율임, 이하 같음), 올리브기름 0.15~0.4중량%, 참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쌀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콩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호박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2) 에틸알코올에 위 (1)의 혼합물을 중량비 5:1의 비율로 섞는 단계; 및
    (3) 샴푸의 통상의 기본원료에 상기 (2)의 혼합물을 중량비 10: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4. 아주까리기름 0.8~1.1중량%(전체 샴푸 조성물을 100%로 했을 경우의 비율임, 이하 같음), 올리브기름 0.15~0.4중량%, 참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쌀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콩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 호박씨의 열수 추출물 0.075~0.12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에틸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에틸알코올 대 6가지 성분의 혼합물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KR1020080022380A 2008-03-11 2008-03-11 탈모 방지 등의 효과를 갖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그에 의해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 KR20090097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380A KR20090097316A (ko) 2008-03-11 2008-03-11 탈모 방지 등의 효과를 갖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그에 의해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380A KR20090097316A (ko) 2008-03-11 2008-03-11 탈모 방지 등의 효과를 갖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그에 의해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316A true KR20090097316A (ko) 2009-09-16

Family

ID=4135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380A KR20090097316A (ko) 2008-03-11 2008-03-11 탈모 방지 등의 효과를 갖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그에 의해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73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829B1 (ko) * 2008-08-14 2015-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읽기 디스터번스를 방지하는 메모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829B1 (ko) * 2008-08-14 2015-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읽기 디스터번스를 방지하는 메모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7170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488560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280341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280340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176912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1011191B1 (ko) 샴푸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4680B1 (ko)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KR101427099B1 (ko) Em발효액과 산야초 분말을 함유하는 발모기능성 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560156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418966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EP2750659A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quash or pumpkin extract
KR101974499B1 (ko)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505635A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4123637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2003238343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化粧料組成物
JP2004051533A (ja) 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JP2001031552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1122760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1031521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2088597B1 (ko)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20180063800A (ko) 탈모방지를 위한 샴푸바
KR20180092228A (ko) 약산성 아로니아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7949B1 (ko) 초정 광천수와 비타민나무 열매오일 혼합물을 함유하는 비누조성물
KR20090097316A (ko) 탈모 방지 등의 효과를 갖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그에 의해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
KR102103108B1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