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195A - Cable for sensing damages - Google Patents

Cable for sensing dam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195A
KR20090096195A KR1020080021612A KR20080021612A KR20090096195A KR 20090096195 A KR20090096195 A KR 20090096195A KR 1020080021612 A KR1020080021612 A KR 1020080021612A KR 20080021612 A KR20080021612 A KR 20080021612A KR 20090096195 A KR20090096195 A KR 2009009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ire
sensing
impedanc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33783B1 (en
Inventor
최병선
최종덕
최종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모보
(주)서원테크노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모보, (주)서원테크노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21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783B1/en
Publication of KR2009009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1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7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Landscapes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A cable is provided to sense damage to a core on a real time by continuously monitoring a connection state of a sensing wire formed inside an insulation layer. A cable includes a core(130), an insulation layer(120), and a sensing part(160). The insulation layer insulates the core from outside. The sensing part is formed inside the insulation layer. The sensing part senses damage to the core. The sensing part includes a sensing wire(140), impedance(150), and a sensing device. The sensing wire comprises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One end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s connected to the impedance.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s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The sensing device measures a voltage betwee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nd monitors a connection state of the sensing wire.

Description

훼손 감지용 케이블{Cable for sensing damages}Damage Detection Cables {Cable for sensing damages}

본 발명은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내부에 형성된 감지선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훼손 여부를 감지하는 훼손 감지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mage detection cable for detecting whether the cable is damaged by using a detection line formed inside the cable.

케이블은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케이블, 전기적 신호 또는 광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케이블 또는 접지 케이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접지 케이블은 무선망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중계국 등에서 통신 안테나가 배치된 통신탑 또는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탑 등과 같이 높은 구조물에 배치되어, 낙뢰 등으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 Cabl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ower cables that carry power, signal cables that carry electrical or optical signals, or ground cables. In particular, the grounding cable may be disposed in a high structure such as a communication tower in which a communication antenna is disposed in a base station, a relay station, or the like that provides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service, or a transmission tower that transmits electric power, thereby protecting the structure from lightning.

그러나, 이러한 접지케이블의 경우 지상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인적이 드문 옥외에 위치한 경우가 많으며, 구리 등의 고가 비철을 포함하고 있어 도난의 대상이 되어 왔다. 특히 2006년부터 2008년 현재까지 대전, 충남, 충북 지역에서의 접지선 도난 국소는 약 358개로 총 510건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도 약 3억 3천 7백만원에 달하였다.However, such ground cables have been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ground, often located outside of humanity, and contain expensive non-ferrous metals such as copper, which has been the target of theft. In particular, from 2006 to 2008, there were about 358 ground line theft sites in Daejeon, Chungnam, and Chungbuk, and a total of 510 cases occurred, resulting in about 335 million won of direct damage.

게다가, 손실된 케이블을 보완하더라도 이러한 도난 사고는 꾸준히 발생하였으며, 최근에는 직간접적 피해액 규모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케이블을 포함한 시설물을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안 장치가 없어 시설물 보호는 거의 무방비 상태에 가까웠다.Moreover, even if the lost cable is compensated for, the theft has been steadily occurring, and the amount of direct and indirect damage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recently. However, the lack of security to actively protect the facility, including the cable, was almost unprotected.

또한, 도난 사고 외에도 자연적 마모나 낙뢰와 같은 자연 재해로 인해 케이블의 일부가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인지하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현실이었다. 특히, 접지선의 일부가 절단되었으나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낙뢰로 인해 주요 장비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보유 회사에 있어 막대한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회사의 이미지의 손실도 야기하는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ft accidents, even if a part of the cable is damaged du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natural wear and lightning strikes, it took a long time to recognize it. In particular, a part of the ground wire was cut,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in equipment can be damaged due to lightning in the state that the recovery is not made. This is a difficulty that causes not only huge economic loss for the company but also loss of the company's imag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블 내부에 형성된 감지선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훼손 여부를 감지하는 훼손 감지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mage detection cable for detecting whether the cable is damaged by using a detection line formed inside the cabl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은, 복수의 코어, 상기 복수의 코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의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코어의 훼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cores, an insulating layer for electrically insulating the plurality of cores, and a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is the core It includes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damag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도체, 상기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일단에 형성된 임피던스, 및 상기 절연체에 매몰된 한 쌍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감지선으로 상기 각 전선의 일단은 상기 임피던스와 연결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감지선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ductor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 insulator surrounding the conductor, an impedance formed at one end of the insulator, and buried in the insulator A sensing line consisting of a pair of wires, one end of each wire includes a sensing line connected to the impedance and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훼손 감지용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훼손 감지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According to the damage detection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amage detec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케이블의 절연층 내에 형성된 감지선의 정상 연결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케이블의 훼손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in real time whether the cable is damaged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normal connection of the sensing line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of the cable.

둘째, 감지선의 비정상 연결을 감지하여 외부로 알림으로써 케이블의 절도를 미수에 그치게 하는 등, 케이블 도난 사고로 인한 피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Second, it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damage due to cable theft accidents, such as detecting the abnormal connection of the detection line and notifying the outside of the cable.

셋째, 감지선이 케이블의 코어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 코어가 절단되기 전에 감지선이 먼저 절단되는 경우 복구에 더욱 용이한 장점도 있다.Third, since the detection lin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re of the cable,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recover when the detection line is cut before the core is cu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 cable for detecting a damag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절 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이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rst, a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amage detection cable is mounted on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은 코어(130), 코어(130)를 둘러싸는 절연층(120), 및 절연층(120) 내에 형성된 감지부(160)를 포함한다.1 to 3, the damage detect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130, an insulating layer 120 surrounding the core 130, and a sensing unit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120. 160.

코어(130)는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 압축 연선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KS CC IEC 60228의 4.3에 규정하는 원형 압축 연선 및 원형 연선(2등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코어(130)를 포함하는 경우 절연층(120) 쪽의 최외층 코어(130)들은 S 꼬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어(130)를 이루는 물질의 재질 및 사용 용도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core 130 may be formed of a conductor such as copper or aluminum, for example, and may be, for example, a circular compressed stranded wire. More specifically, it can be formed into circular compressed stranded wire and circular stranded wire (class 2) as specified in 4.3 of KS CC IEC 60228. Furthermore, when the plurality of cores 130 are included, the outermost layer cores 130 toward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in an S twisting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a material and a use purpose of the material forming the core 130.

절연층(120)은 코어(130)를 둘러싸며 형성된다. 또한, 절연층(120)은 코어(130)와 동심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어(130)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120)은 KS C IEC 60502-1의 표 2의 PVC/A 특성을 만족하는 비닐을 이용할 수 있다. 절연층(120)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약 1.6mm 이상으로, 약 3.5mm일 수 있으며, 최소 두께는 평균 두께의 약 90%인 약 0.1mm 이상일 수 있다. 이는 케이블(100)의 사용 용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며 상기 수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insulating layer 120 is formed surrounding the core 130. In addition,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core 130 and may serve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core 130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use vinyl that satisfies the PVC / A characteristics of Table 2 of KS C IEC 60502-1.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 example, about 1.6 mm or more, about 3.5 mm, and the minimum thickness may be about 0.1 mm or more, about 90% of the average thickness. This can be changed as many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of the cable 1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numerical value, of course.

감지부(160)는 케이블의 훼손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감지선(140), 임피던 스(150), 및 감지 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60 detects whether the cable is damaged, and may include a sensing line 140, an impedance 150, and a sensing device 170.

감지선(1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 구체적으로 제1 전선(141) 및 제2 전선(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선(141) 및 제2 전선(142)의 일단은 임피던스(150)와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감지 장치(17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sensing line 140 may be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nected wire, specifically, a first wire 141 and a second wire 142. One end of the first wire 141 and the second wire 142 may be connected to the impedance 150,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선(141) 및 제2 전선(142)은 각각 절연층(120)을 관통하며 코어(130) 및 절연층(120)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선(140)이 코어(130) 및 절연층(120)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감지선(140)이 케이블 전체에 걸쳐서 코어(130)와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electric wire 141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142 pass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120, respectively, and ar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re 130 and the insulating layer 120. Can be. The sensing line 140 extends in substantially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re 130 and the insulating layer 120, so that the sensing line 140 is coplanar with the core 130 throughout the cable. Done.

이로 인하여, 코어(130) 및/또는 케이블(100)의 임의 부분이 훼손, 특히 코어(130)가 절단된 경우 감지선(140)도 함께 훼손되거나 절단된다. 따라서, 감지선(140), 즉 제1 전선(141) 및/또는 제2 전선(142)의 정상 연결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코어(130)의 훼손 또는 절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선(140)의 정성 연결 및 이의 모니터링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a 내지 도 6c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Due to this, any portion of the core 130 and / or cable 100 is damaged, in particular if the core 130 is cut, the sensing line 140 is also damaged or cut together. Therefore, by detecting whether the detection wire 140, that is, the first wire 141 and / or the second wire 142 is normally connecte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core 130 is damaged or cu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qualitative connection of the sensing line 140 and its monitor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감지선(140)은 코어(130)와 소정의 거리(d)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1.6mm 정도의 거리(d)를 두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거리(d)는 상술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고 코어(130)의 굵기 등과 같이 코어(130)와 감지선(140)간의 전자기적 관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 다. 나아가, 도면에는 제1 및 제2 전선(141, 142)이 코어(130)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각각의 이격 거리는 상이할 수도 있다.The sensing line 14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re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For example, the sensing line 140 may be disposed at a distance d of about 1.6 mm. However, the distance 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value,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electromagnet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130 and the sensing line 140, such as the thickness of the core 130. All. Furthermore, the drawing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are spaced apart from the core 130 by the same distance, but the separation distances may be different.

감지선(140)의 일단은 임피던스(15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선(141) 및 제2 전선(142)의 일단이 임피던스(150)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임피던스(150)는 예를 들어, 약 1㏀의 저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선의 길이, 전선의 종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조건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e end of the sensing line 140 may be connected to the impedance 150. In detail, one end of the first wire 141 and the second wire 1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impedance 150. The impedance 150 may be, for example, about 1 kΩ,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mpedance 150 may be variously changed by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length of the wire and the type of the wire.

임피던스(150)는 제1 및 제2 전선(141, 142)에 의하여 감지 장치(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임피던스(150)의 전압 변화는 감지선(140)을 따라 감지 장치(170)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된다. 감지 장치(170)에서 인식되는 전압 변화를 기초로 감지선(140) 및 케이블(100)의 훼손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임피던스(150)는 예를 들어, 케이블(1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에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전선(141, 142)의 말단부는 케이블(100)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임피던스(15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mpedance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170 by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The voltage change of the impedance 150 is monitored in real time by the sensing device 170 along the sensing line 140. On the basis of the voltage change recognized by the sensing device 170,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sensing line 140 and the cable 100 are damaged. For example, the impedance 15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cable 100 and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may be exposed to the side of the cable 100 to be connected to the impedance 150.

도면에서는 제1 전선(141) 및 제2 전선(142)이 임피던스(150)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임피던스(150)를 생략하고 제1 및 제2 전선(141, 142)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150)에 의해 제1 및 제2 전선(141, 142)이 연결되는 부분은 예를 들어, 루프(loop)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impedance 150,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may be omitted by omitting the impedance 150. ) May be directly connected. Accordingly, por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are connected by the impedance 1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loop form, for example.

루프 형태 혹은 임피던스(150)를 매개로 연결된 제1 및 제2 전선(141, 142) 일단의 반대편 말단인 타단에는 감지 장치(170)가 형성될 수 있다. 감지 장치(170)는 감지선(140)의 정상 연결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장치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감지 장치(170)는 제1 및 제2 전선(141, 142) 간의 전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전압이 정상 범위 내에 해당하는 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감지선(140)의 정상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 연결이라고 함은 제1 및 제2 전선(141, 142)이 직접 혹은 임피던스(150)를 매개로 케이블(100)의 양단에 걸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170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connected through the loop shape or the impedance 150. The sensing device 170 is a device for monitoring whether the sensing line 140 is normally connected. More specifically, the sensing device 170 measures a volta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to measure the voltag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ing line 140 is normally connected by monitoring whether it is within the normal range. Herein, the normal connection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able 100 directly or through the impedance 15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0)의 최외곽에는 내부를 전기적, 기계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피복된 외피(110)가 형성될 수 있다. 외피(110)는 폴리에텔렌,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피(110)가 형성된 경우 임피던스(150) 및 감지선(140)의 말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감지선(140)의 말단부가 외피(110)를 관통하여 케이블(10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ermost of the cable 100 may be formed with a jacketed sheath 110 to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protect the interior. The outer shell 110 may be made of polyetherene, polyvinyl chloride, or the like. When the outer shell 110 is formed, the end of the impedance 150 and the sensing line 140 ar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sensing line 14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le 100 through the outer shell 110. It may include.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100)은 구조물(18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100)은 구조물(180)에 설치된 소정의 설비와 대지를 연결하는 접지선일 수 있다. 이 때, 임피던스(150)는 구조물(180)의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블(100), 즉 케이블(100)의 상단부(A)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 상단부(A)라고 함은 구조물(180)에 설치된 케이블(100) 전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것일 뿐, 케이블의 가장 말단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감지 장치(170)는 케이블(100) 의 하단부(B)에 배치될 수 있다. 임피던스(150), 감지선(140), 및 감지 장치(170)의 연결 방식은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3, the damage detection c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structure 180, for example, the cable 100 is the structure 180 It may be a ground wire that connects the ground with a predetermined facility installed in the. In this case, the impedance 150 may be formed in the cable 100 positioned on the structure 180, that is, the upper end A of the cable 100.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cable (A) means only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entire cable 100 installed in the structure 180, it does not mean only the end of the cable. In addition, the sensing device 17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B of the cable 100.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impedance 150, the sensing line 140, and the sensing device 17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With reference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in the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101)은 감지선(140)의 제1 및 제2 전선(141, 142)이 코어(130)를 중심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100)과 차이가 있다. 도면에서는 코어(130)를 중심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코어(130)를 중심으로 양 편에 배치는 물론 실질적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감지선(140)으로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복수 개의 감지선을 이용하여 절연층(120) 내에 배치할 수도 있다.In the damage detection cable 1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of the detection line 140 are disposed to face the core 130.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damage detection c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drawings, the case is symmetr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core 130, but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re 130 as well as being substantially symmetrically formed. In the drawing, a case in which one sensing line 140 is disposed is illustrated, but it may be disposed in the insulating layer 120 using a plurality of sensing lin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은 절연층(120) 내에 감지선(140)이 양 측 또는 다 측으로 형성됨으로써 코어(130)가 훼손되기 전 케이블(100)의 훼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00)의 절단과 같은 케이블(100)이 심각하게 손상되기 전에 이를 인식하고 방지할 수 있어 복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damage detecting cab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tection lines 140 are formed at both sides or multiple sides of the insulating layer 120, the cable 100 may detect whether the cable 100 is damaged before the core 130 is damaged. Can be. Therefore, since the cable 100, such as the cutting of the cable 100, is seriously damaged before it is recognized and prevente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recovery cost.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단면도이다.Referring to Figure 5 describes a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102)은 복수 개의 감 지선(140a, 140b, 140c)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100)과 차이가 있다. 도면에서는 세 개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케이블(100)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그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102)은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101)과 유사하게 코어(130)의 훼손보다 감지선(140)의 훼손을 먼저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감지선(140)과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damage detection cable 1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damage detection c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detection lines 140a, 140b, and 140c. There is. Although the drawing includes three sensing units,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cable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of the cable 100. Damage detection cable 1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damage detection cable 1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an the damage of the core 130 of the detection line 140 There is an advantage of recognizing the damage first. In addition,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nsing line 140 is as described above.

이어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감지선이 정상 연결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감지선이 비정상 연결 상태인 경우로 개방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감지선이 비정상 연결 상태인 경우로 개방된 후 임의로 단락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의 용이한 표현을 위해 감지선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도시하였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amper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detection line of a damage detect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normal connection state. 6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detection line of the damage detect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in an abnormally connected state. FIG. 6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detection line of a damage detect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in an abnormally connected state and then shorted arbitrarily. FIG. For easy representation of the invention, the sensing line is shown exposed to the outside.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감지선(140)이 임피던스(150)와 정상 연결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감지선(140), 임피던스(150), 및 감지 장치(도 3의 170 참조)가 정상 연결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임피던스(150)를 1㏀으로 정하고 감지 장치(170)에 포함된 전압원(미도시)을 통해 소정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전선(141, 142) 간의 전압을 측정하여 감지선(140)이 정상 연결 상태일 때의 정상 전압 범위를, 예를 들어 3 내지 8V 범위로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선(141, 142)간의 전압이 상기의 정상 전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감지선(140)이 비정상 연결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6A, the sensing line 140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impedance 150. As such, when the sensing line 140, the impedance 150, and the sensing device (see 170 in FIG. 3) are normally connected, for example, the impedance 150 is set to 1 kHz and included in the sensing device 170. The predetermined power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voltage source (not shown). In this case, the volta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may be measured to determine a normal voltage range when the sensing line 140 is in a normal connection state, for example, in a range of 3 to 8V. Therefore, when the volta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is outside the normal voltage range, the sensing line 140 may be abnormally connected.

이어서, 도 6b를 참조하면 감지선(140)이 절단된 경우, 감지선(140)과 임피던스(150)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개방(open)됨으로 인해 임피던스(150)에는 더 이상 전압이 분배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내지 제2 전선(142) 간의 전압 역시 정상 전압 범위를 벗어난 3V 이하의 전압, 예를 들어 0V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비정상 전압 범위를 인식한 감지 장치(170)는 감지선(140)이 비정상 연결 상태, 즉 개방 상태임을 감지하게 된다. 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6B, when the sensing line 140 is cut off, voltage is no longer distributed to the impedance 150 becaus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ensing line 140 and the impedance 150 is opened. In addition, the volta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2 may also have a voltage of 3V or less, for example, a voltage of 0V, which is outside the normal voltage range.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170 that recognizes the abnormal voltage range detects that the sensing line 140 is in an abnormally connected state, that is, an open state.

이어서, 도 6c를 참조하면 감지선(140)의 절단 후에, 절단된 감지선(140), 제1 및 제2 전선(141, 142)을 임의로 연결하더라도, 결론적으로 감지 장치(170)는 감지선(140)의 비정상 연결 상태로 인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면과 같이 제1 및 제2 전선(141, 142)을 재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형성하더라도, 임피던스(150)와 분리됨으로써 제1 및 제2 전선(141, 142)은 단락 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양 전선(141, 142)간의 전압은 8V 이상의 전압, 예를 들어 12V가 되므로 감지 장치(170)는 감지선(140)이 비정상 연결 상태, 즉 단락 상태임을 감지하게 된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6C, even after cutting the sensing line 140, the sensing device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may be arbitrarily connected. Recognized as an abnormal connection state of the 140. Specifically,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are reconnected to form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are separated from the impedance 150. Form a short circuit condition. Therefore, since the voltage between the two wires 141 and 142 becomes a voltage of 8 V or more, for example, 12 V, the sensing device 170 detects that the sensing line 140 is in an abnormally connected state, that is, a short state.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작용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선(141, 142)은 임피던스(150)를 생략하고 직접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작용을 일부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150)의 생략으 로 인해, 감지 장치(170)가 정상 연결 상태로 인식할 수 있는 전압의 범위, 즉 정상 전압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In the action of the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and second wires 141 and 142 may be directly connected by omitting the impedance 150, the above-described action may be partially changed. can do. For example, the omission of the impedance 150 may change a range of voltages that the sensing device 170 recognizes as a normal connection state, that is, a normal voltage range.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감지 장치(170)가 감지선(140)의 비정상 연결을 감지하였을 때, 감지선(140)의 비정상 연결 상태를 외부로 알릴 수 있는 또 다른 장치를 감지 장치(170)와 시스템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ensing device 170 detects an abnormal connection of the sensing line 140, the sensing device 170 may notify another device that may inform the outside of the abnormal connection state of the sensing line 140. You may be able to connect to and systemically.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절개 사시도이다.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이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amage detection cable is mounted on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단면도이다.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damage detection cable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감지선이 정상 연결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detection line of a damage detect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normal connection state.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감지선이 비정상 연결 상태인 경우로 개방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6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detection line of the damage detect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in an abnormally connected state.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훼손 감지용 케이블의 감지선이 비정상 연결 상태인 경우로 개방된 후 임의 단락시킨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detection line of a damage detect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in a case where an abnormal connection state is opened and then an arbitrary short circuit occur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외피 120: 절연층110: outer layer 120: insulating layer

130: 코어 140: 감지선130: core 140: sensing line

141: 제1 전선 142: 제2 전선141: first wire 142: second wire

150: 임피던스 160: 감지부150: impedance 160: detector

170: 감지 장치 180: 구조물170: sensing device 180: structure

Claims (18)

복수의 코어;A plurality of cores; 상기 복수의 코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 및An insulating layer electrically insulating the plurality of cores; And 상기 절연층의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코어의 훼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훼손 감지용 케이블.Damage detection cable formed through a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re is damaged.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감지부는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감지선과 연결되어 상기 감지선의 정상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인 훼손 감지용 케이블.The sens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ensing device, wherein the sens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is a device for detecting the normal connection of the sensing line is damage detection cabl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감지부는 제1 전선 및 제2 전선으로 이루어진 감지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이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 감지선을 포함하는 훼손 감지용 케이블.The detection unit includes a detection line comprising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the damage detection cable comprising a detection wir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감지부는 임피던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임피던스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과 연결된 훼손 감지용 케이블.The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n impedance, the impedance of the damage detection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감지부는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감지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 간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전압이 소정의 정상 전압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감지선의 정상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인 훼손 감지용 케이블.The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nsing device, wherein the sens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and measures a voltage betwee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to compare whether the voltage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normal voltage range of the sensing line. Tamper detection cable, a device that detects normal connection.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임피던스는 상기 케이블이 설치된 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케이블의 상단부에 형성되고,The impedanc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cable disposed on the structure of the cable is installed,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구조물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케이블 하단부에 형성된 훼손 감지용 케이블. The sensing device is a damage detection cabl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cabl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ructure.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은 상기 코어를 중심으로 대향하여 형성된 훼손 감지용 케이블.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s the damage detection cable formed to face the center.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감지부와 이격하여 상기 절연층의 일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훼손 감지용 케이블.Damage detection cabl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additional sensing unit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unit.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케이블은 접지 케이블인 훼손 감지용 케이블.The cable is a damage detection cable that is a ground cable.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도체;A conductor extending in one direction; 상기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An insulator surrounding the conductor; 상기 절연체의 일단에 형성된 임피던스; 및An impedance formed at one end of the insulator; And 상기 절연체에 매몰된 한 쌍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감지선으로 상기 각 전선의 일단은 상기 임피던스와 연결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감지선을 포함하는 훼손 감지용 케이블.A detection line comprising a pair of wires embedded in the insulator, one end of each of the wires includes a detection line connected to the impedance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제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감지선의 각 전선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감지선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훼손 감지용 케이블.Damage detection cable further comprises a det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wire of the detection line to check the connection state of the detection line. 제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감지선의 양 전선 간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전압이 소정의 정상 전압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감지선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인 훼손 감지용 케이블.The sensing device is a damage detection cable to check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ensing line by measuring the voltage between the two wires of the sensing line to compare whether the voltage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normal voltage range. 제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케이블이 설치된 구조물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케이블의 하단부에 형성된 훼손 감지용 케이블.The sensing device is a damage detection cabl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cabl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cable is installed. 제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절연체를 둘러싸는 외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임피던스는 상기 외피의 외부에 노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감지선의 각 전선의 일단은 상기 외피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임피던스와 연결된 훼손 감지용 케이블.And an outer sheath surrounding the insulator, wherein the impedance is formed by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heath, and one end of each wire of the sensing lin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heath to be connected to the impedance. 제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임피던스는 상기 케이블이 설치된 구조물 상부에 배치된 케이블 상단부에 형성된 훼손 감지용 케이블.The impedance is a damage detection cab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cable disposed 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cable is installed. 제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감지선의 한 쌍의 전선은 상기 도체를 중심으로 대향하여 형성된 훼손 감지용 케이블.The pair of wires of the sensing line is the damage detection cable formed to face the conductor. 제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감지선과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절연체에 매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감지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 감지선도 상기 도체의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훼손 감지용 케이블.And at least one additional sensing lin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line and buried in the insulator, wherein the additional sensing line extends in one direction of the conductor. 제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케이블은 접지 케이블인 훼손 감지용 케이블.The cable is a damage detection cable that is a ground cable.
KR1020080021612A 2008-03-07 2008-03-07 Tamper Detection Cable KR1009337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612A KR100933783B1 (en) 2008-03-07 2008-03-07 Tamper Detection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612A KR100933783B1 (en) 2008-03-07 2008-03-07 Tamper Detection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195A true KR20090096195A (en) 2009-09-10
KR100933783B1 KR100933783B1 (en) 2009-12-24

Family

ID=4129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612A KR100933783B1 (en) 2008-03-07 2008-03-07 Tamper Detection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78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4150A (en) * 2014-12-06 2015-03-25 冷静 Cable theft alarm system
CN105513703A (en) * 2016-02-23 2016-04-20 南京苗苗智能科技有限公司 Antitheft alarming cabl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2331386A (en) * 2020-10-29 2021-02-05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Cable for distribution line fault on-line monitoring device
KR102593764B1 (en) * 2023-05-02 2023-10-25 주식회사 에벤에셀기술단 Connection Structure for Antitheft the Ground Wire of Burglar Preven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887A (en) 1998-08-20 2000-03-03 Takaoka Electric Mfg Co Ltd Fault locator for electric power equipment
KR200358015Y1 (en) * 2004-05-13 2004-08-02 이남서 An electric cable detectable the location of breakage and a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breakage thereof
KR100643683B1 (en) * 2004-08-06 2006-11-10 이남서 A method and a device for preparing a cylindrical body unter wihch cables for detceting braeage were laye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4150A (en) * 2014-12-06 2015-03-25 冷静 Cable theft alarm system
CN105513703A (en) * 2016-02-23 2016-04-20 南京苗苗智能科技有限公司 Antitheft alarming cabl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2331386A (en) * 2020-10-29 2021-02-05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Cable for distribution line fault on-line monitoring device
KR102593764B1 (en) * 2023-05-02 2023-10-25 주식회사 에벤에셀기술단 Connection Structure for Antitheft the Ground Wire of Burglar Preven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783B1 (en)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17323Y (en) Anti-theft cable
EP2751534B1 (en)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 supply lines
US9725280B2 (en) Connecting device for measurement tapes in elevator devices
KR100933783B1 (en) Tamper Detection Cable
CN106663933A (en) Transient protection for multi-terminal hvdc grid
CN107764391A (en) Vibrating sensor, cable theft-prevention cut vibration monitoring device and vibration monitoring method
US20190049506A1 (en) Safety Ground Wire Monitoring And Alarm Systems
KR101205997B1 (en) Ubiquitous switchboard for monitoring state of busbar in real time
EP2482090A1 (en) System for measuring partial discharges in power lines
CN105529697A (en) OPGW (Optical Fiber Composite Overhead Ground Wire) optical cable lightning protection apparatus mounted on parapet wall
CN109300593A (en) Power distribution network intelligent cable
JP4374598B2 (en) Feeding cable monitoring device
CN202816411U (en) Remote monitoring break line alarm through grounding wire
CN115542482A (en) Be applied to electronic railway&#39;s contact net intelligent monitoring device
WO2015099776A1 (en) Detection wiring for evse electrical cable insulation
CN103529278B (en) A kind of charged display safety embedded type sensor of GIS
KR1024040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ng degradation of a underground cable
CN116457900A (en) Cable and wire abnormality prediction detection device with abnormality prediction detection function
CN113109597A (en) Automatic 10kV circuit breaker short-circuit connection device for alternating-current voltage withstand test of reporting to police
CN110297163B (en) Power cable on-line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202200553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isk of deterioration of electric lines
CN112710935B (en) Power wire and cable protective layer ablation condition pre-alarming system and method
JP2866172B2 (en) Transmission line fault direction locating method
CN217034209U (en) Thermal shrinkage insulation sheath leakage current detection device
JP2001141770A (en) Detecting method of shield tape disconnection of high- tension cable, detector for shield tape disconnection, and judgment device for shield tape dis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