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665A -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665A
KR20090094665A KR1020080019744A KR20080019744A KR20090094665A KR 20090094665 A KR20090094665 A KR 20090094665A KR 1020080019744 A KR1020080019744 A KR 1020080019744A KR 20080019744 A KR20080019744 A KR 20080019744A KR 20090094665 A KR20090094665 A KR 20090094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message
communication terminal
setup request
call set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1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4665A/ko
Publication of KR2009009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상대 단말기를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시키기 위한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에도 영상 통화 요청에 대해 자동으로 응답하고, 원격으로 분실 단말기를 제어하여 영상 통화를 통해 촬영 화면을 전송 받아 분실 단말기의 위치를 보다 수월하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UUI, 분실, 원격 제어, 영상 통화, 카메라

Description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mote-controlling ac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통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즉, IMT2000 규격의 이동통신 망을 구현하면,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를 부가하여 동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는 영상화면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TV 수신기를 구비하는 상기 통신 단말기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통화 기능을 구비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오디오 송수신과 함께 비디오 송수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비디오데이터를 송신하고 상대의 비디오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면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증대됨에 따라 통신 단말기의 가격이 고가로 책정되고 있어, 통신 단말기를 분실하게 되는 경우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분실 단말기의 카메라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주변의 환경을 영상으로 확인함으로써 단말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위치 확인 서비스는 단말기의 개략적인 위치 범위만 확인할 수 있어 분실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미리 위치 확인 서비스를 등록한 단말기에서만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요청에 대해 자동으로 응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영상 호에 응답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원격에서 영상 통화를 통해 촬영 화면을 전송 받을 수 있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대 단말기를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시키기 위한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대 단말기로부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대 단말기를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시키기 위한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대 단말기로부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대 단말기를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시키기 위한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에 의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 어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상대 단말기로부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에 의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분실 단말기가 영상 통화요청에 대해 자동으로 응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실 단말기가 자동으로 영상 호에 응답함으로써, 원격으로 분실단말기를 제어하여 영상 통화를 통해 촬영 화면을 전송 받아 분실된 단말기의 위치를 보다 수월하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 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은 제1 통신 단말기(100), 통신망(120), 제2 통신 단말기(15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통신 단말기(100)는 제2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를 지칭하고, 제2 통신 단말기(150)는 제1 통신 단말기(100)의 원격 제어에 의해 동작이 수행되는 단말기를 지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 통신 단말기 및/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Media Gateway Contro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통신망(120)은 기지국, 교환기, 위치 등록기(HLR 또는 VLR) 등을 포함한다.
제1 통신 단말기 (100)는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정보를 통신망(120)을 통해 제2 통신 단말기(15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 통신 단말기(100)(예를 들어, 직장 동료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제2 통신 단말기(15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제어 정보에는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가 포함된다.
제1 통신 단말기(100)는 제2 통신 단말기(150)로의 영상 호 설정 요청 및 설정하는 과정에서 동작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 단말기(100)는 WCDMA 망에서 영상 호 설정 과정 중 전송되는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동작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통신 단말기 단말기(100)는 통신망(120)을 통해 해당 제2 통신 단말기(150)로의 호를 요청하고,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동작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제2 통신 단말기(15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제1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유저 필드(User-user field)에 동작 제어 정보를 기재할 수 있다.
동작 제어 정보가 기재되는 신호 메시지 중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유저 필드에는 UUI(User-user information)가 있으며, 이 필드에는 최대 128옥텟(octet)의 데이터가 기재될 수 있다.
제1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2 통신 단말기(150)는 일반적인 영상 호 설정 요청과는 달리 자동으로 영상 호 설정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된 영상 통화 상태에서 제1 통신 단말기(100)는 원격으로 동작을 제어하는 메시지 동작 제어 메시지를 제2 통신 단말기(150)로 전송하여 원격으로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제2 통신 단말기(150)에서 영상 호 설정 요청에 대하여 자동으로 응답하는 방법 및 제1 통신 단말기(100)가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부(210), 송수신부(220), 판단부(230), 입력부(240), 제어부(250), 출력부(260) 및 저장부(270) 등을 포함한다.
카메라부(110)(camera module)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하거나, 분리하여 구현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단말기(150)는 제1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카메라 각도 조절의 제어 메시 지를 수신하는 경우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카메라의 각도가 조절된다.
카메라부(110)는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에 2개의 카메라부가 구비된 경우(통신 단말기의 정면과 후면에 하나씩) 2개의 카메라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일측의 카메라부가 바닥이나 벽과 접촉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더라도 분실 단말기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 타측의 카메라부를 선택하여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송수신부(120)는 통신 단말기간에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 및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 제어하도록 하는 동작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판단부(230)는 송수신부(120)에서 수신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자동 응답 식별 정보는 제1 통신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것으로 원격으로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고유한 코드이다. 즉, 제2 통신 단말기(150)에서 수신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영상 호 설정 요청으로 인식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있는 경우에만 응답 메시지를 제1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영상 통화 상태에 진입할 수 있으며,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제1 통신 단말기(100)의 원격 제어를 위한 영상 호 설정 요청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응답 메시지를 제1 통신 단 말기(100)로 전송함으로써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응답 메시지는 제1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영상 호 설정 요청에 대하여 영상 통화 모드 응답을 위해 제2 통신 단말기(150)에서 제1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응답 식별 정보는 UUI 필드에 포함될 수 있으며, UUI 필드에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포함한 경우에는 판단부(230)는 UUI 필드를 검색하여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부(24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입력부(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의 정보는 비밀번호일 수 있으며,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제어할 수 권한을 제1 통신 단말기(100)에게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인증 정보를 통한 인증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실시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입력부(240)는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제어 메시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통화 중 제1 통신 단말기(100)에서 채팅 메시지를 실행시키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입력 받아 이를 제2 통신 단말기(150)로 전송하면, 제2 통신 단말기(150)는 채팅 메시지에 포함된 동작 제어 메시지를 추출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40)는 숫자/문자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키버튼으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카메라부(210), 송수신부(220), 판단부(230), 입력부(240), 출력부(260), 저장부(270) 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제1 통신 단말기(100)에서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에서 생성된 자동 응답 식별 정보는 UUI 필드에 삽입된 형태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실시 가능하고,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동작 형태를 입력 받아 동작 제어 메시지로 생성하거나 미리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고, 이를 리스트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동작을 선택 받아 동작 제어 메시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특히 사용자로부터 동작 형태를 직접 입력 받아 동작 제어 메시지로 생성하는 일 실시예로 영상 통화 중 채팅 메시지를 실행시키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입력 받아 이를 채팅 메시지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2 통신 단말기(150)에서 제1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판단부(230)의 판단에 따라 영상 통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의 전송은 제2 통신 단말기(150)가 제1 통신 단말기(100)와의 영상 호 설정을 승낙하는 취지의 메시지임은 자명하다.
즉, 제어부(250)는 판단부(230)에서 영상 통화 호 설정 요청 메시지 내에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통신 단말기(10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1 통신 단말기(100)가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영상 호 연결을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1 통신 단말기(100)를 제한하기 위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어부(250)는 송수신부(220)에서 수신된 동작 제어 메시지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동작 제어 메시지에 따라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면, 동작 제어 메시지는 '카메라 각도 조절 메시지(제2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 기능을 갖는 메시지)', '카메라 선택 메시지(제2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복수 개인 경우 영상 통화를 수행할 카메라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 메시지)' 및 '단말기 잠금 메시지(제2 통신 단말기를 lock시켜 타인이 사용할 수 없도록 잠금 상태로 변환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메시지)'의 세 가지가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작 제어 메시지가 '카메라 각도 조절 메시지'인 경우 제어부(250)는 수신된 동작 제어 메시지에 따라 카메라부(21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단말기(150)의 카메라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을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카메라부(21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촬영하고 있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부(210)의 각도 조절은 카메라부(210)에 포함된 구동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동작 제어 메시지가 '카메라 선택 메시지'인 경우 제어부(250)는 영상 통화를 통해 전송될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10)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기에 복수 개의 카메라가 장착된 경우 일측의 카메라가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예를 들면, 일측의 카메라가 바닥을 향해있는 경우 등)에 타측에 부착된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선택 메시지'의 경우 제2 통신 단말기(150)에 복수 개의 카메라가 장착된 경우, 그 중에서 동작을 제어할 카메라를 선택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동작 제어 메시지가 '단말기 잠금 메시지'인 경우 제어부(250)는 제2 통신 단말기(150)를 락킹(locking)하여 발신 또는/및 착신을 금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2 통신 단말기(150)가 분실된 경우라 하더라도 습득한 자가 함부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실시예 이외에도 동작 제어 메시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메시지이면 그 종류는 무관하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1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동작 제어 메시지가 채팅 메시지에 포함된 경우에는 채팅 메시지 중 동작 제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영상 통화의 경우 채팅서비스가 제공되므로 제1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문구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150)의 동작 제어 메시지를 추출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출력부(260)는 영상 통화 중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저장부(270)는 동작 제어 메시지가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70)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판단부(230) 및 제어부(250)가 독립된 구성 요소인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고, 하나의 회로에 구현될 수 있다. 즉, 판단부(230)는 제어부(250) 의 일 구성 요소일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과정에 있어서의 영상 통화 자동 응답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제1 통신 단말기(100)에서 제2 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생성한 경우의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다.
제1 통신 단말기(100)에서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생성(단계 S310)하고, 생성된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영상 호 설 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과정(단계 S320)을 수행한다.
자동 응답 식별 정보는 제2 통신 단말기(150)가 영상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자동으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영상 통화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코드이고, 자동 응답 식별 정보는 UUI 필드에 삽입된 형태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 단계 S330으로 진행하여 제1 통신 단말기(100)는 제2 통신 단말기(150)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는 제1 통신 단말기(100)와 제2 통신 단말기(150)간 영상 호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단계 S340에서 제2 통신 단말기(150)는 제1 통신단말기(100)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즉, 제1 통신 단말기(100)와 영상 호 연결을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인증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수행 방법은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계 S340에서 인증 수행 결과 인증 수행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과정이 종료되고, 인증 수행에 성공한 경우에는 단계 S350으로 진행한다.
단계 S350에서 제2 통신 단말기(150)는 제1 통신 단말기(100)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응답 메시지는 단계 S330의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것으로 응답 메시지가 제1 통신 단말기(100)로 전달되면 제1 통신 단말기(100)와 제2 통신 단말기(150)간에 영상 호가 연결(단계 S360)되어 이후에는 영상 통화 상태로 돌입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호 설정이 연결된 이후의 원격 제어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1 통신 단말기(100)와 제2 통신 단말기(150)간에 영상 통화 호가 설정되면 제1 통신 단말기(100)에서 동작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단계 S410)을 수행한다. 동작 제어 메시지 및 동작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단계 S420으로 진행하여 제1 통신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동작 제어 메시지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데, 단계 S420은 송수신부(220)에서 수행된다.
동작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제2 통신 단말기(150)는 수신한 동작 제어 메시지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동작 제어 메시지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단계 S430)한다. 제2 통신 단말기(150)의 동작 수행의 일 실시예로 '카메라 각도 조절 동작', '카메라 선택 동작' 및 '단말기 잠금 동작'등이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UUI(User-user information)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UUI는 자동 응답 식별 정보, 제2 통신 단말기(150)의 전화번호 및 인증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UI는 (ISDN)의 서비스에서, 단말 등의 정보를 을 사용하여 단말과 단말 간에서 투과적(transparent)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로서,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제한이 있으나, 통화 중이 아닐 때 또는 호 설정/해제 시에도 이용할 수 있다.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정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실시 가능하고, UII의 잔여 공간에 따라 그 형태도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자동 응답 식별 정보는 제1 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250)에서 생성되어 제2 통신 단말기(150)로 전송된 것으로 제2 통신 단말기(150)가 제1 통신 단말기(100)의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자동 응답 식별 정보의 유무에 따라 일반적인 영상 호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것인지, 동작 제어를 위한 영상 호 설정 요청이 수신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UUI에는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통신 단말기(150)에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번호도 포함될 수 있다.
UUI에 이와 같은 정보를 삽입하여 제2 통신 단말기(150)로 전송하면 호가 설정되지 아니하더라도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UUI의 잔여공간을 활용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가 출력된 화면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통신 단말기(15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가 출력된 화면(610)이다.
사용자로부터 단말기 제어의 입력을 받으면 제2 통신 단말기(150)의 제어를 위한 항목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가 출력된 화면(620)이다. 제2 통신 단말기(150)의 제어를 위해서는 제2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 받아야 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만 제2 통신 단말기(150)의 제어를 허여하는 경우에는 인증번호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번호를 입력 받아 인증을 수행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다른 방법으로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인증번호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공하지 않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후 제2 통신 단말기(15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제1 통신 단말기(100)는 제2 통신 단말기(150)에게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인증 성공시 제2 통신 단말기(15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 후 영상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예시화면(630)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통화 모드에서 동작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통신 단말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단계 S7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통화 중 제1 통신 단말기(100)에서 채팅 메시지를 실행시키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입력 받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동작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로 채팅 메시지를 실행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 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통신 단말기(100)에서 제2 통신 단말기(150)의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채팅 창에 "카메라 각도 변경"이라는 단어를 입력한다고 가정한다.
710은 영상 통화 중 제1 통신 단말기(100)에서 "카메라 각도 변경"의 채팅 메시지가 입력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사용자로부터 확인버튼을 입력 받으면 해당 문장이 제2 통신 단말기(150)로 전송된다. 제2 통신 단말기(150)는 수신된 채팅 메시지 중 "카메라 각도 변경"이라는 동작 제어 메시지를 추출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카메라의 각도는 좌, 우, 상, 하 사방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720은 카메라를 우측으로 이동하여 촬영된 영상을 전송된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2 통신 단말기(150)에서 촬영되어 제1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된 화면(710)으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150)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없는 경우에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원격 제어하여 주변 환경을 보다 수월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 단말기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810에서 제1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후에 단계 S820으로 진행하여 단계 S810에서 수신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 내에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계 S830으로 진행하여 일반 영상 호 요청으로 간주하여 단계 S810으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단계 S820에서 판단결과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단계 S840으로 진행하여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제1 통신 단말기(100)로부터의 동작 제어 권한을 수여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에 성공하면 제2 통신 단말기(150)는 제1 통신 단말기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단계 S850)하여 영상 호 설정을 연결한다.
단계 S810내지 단계 S850는 아직 영상 제1 통신 단말기(100)와 제2 통신 단말기(150)간에 영상 호 설정이 되기 전까지의 과정이고 단계 S860부터는 영상 통화 모드 이후의 과정이다.
단계 S860은 제1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870에서는 수신된 동작 제어 메시지에 상응하는 동작을 제2 통신 단말기(150)에서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된 동작 제어 메시지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는 동작 제어 메시지에 오류가 났거나, 제2 통신 단말기(150)에서 수행할 수 없는 동작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등을 예를 들어 들 수 있다.
단계 S870 판단 결과 제2 통신 단말기(150)에서 동작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류 결과를 출력하고, 동작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동작을 수행(단계 S880)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과정에 있어서의 영상 통화 자동 응답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호 설정이 연결된 이후의 원격 제어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UUI(User-user information)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가 출력된 화면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통화 모드에서 동작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통신 단말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 단말기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25)

  1.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대 단말기를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시키기 위한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응답 식별 정보는,
    UUI 필드(User-User Information Field)에 삽입되어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채팅 메시지를 실행시키고 상기 채팅 메시지에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가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는,
    카메라 각도 조절 메시지, 카메라 선택 메시지 및 단말기 잠금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9.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대 단말기로부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UUI 필드(User-User Information Field)를 검색하여 상기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d)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신된 동작 제어 메시지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채팅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에 상응하는 동작은,
    카메라 각도 조절 동작, 카메라 선택 동작 및 단말기 잠금 동작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 수행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6.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대 단말기를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시키기 위한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응답 식별 정보를 UUI 필드(User-User Information Field)에 삽입하여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채팅 메시지를 실행시키고, 상기 채팅 메시지에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를 포함시켜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1.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대 단말기로부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UUI 필드(User-User Information Field)를 검색하여 자동 응답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이용해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상기 영상 통화 모드로 자동 응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동작 제어 메시지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1020080019744A 2008-03-03 2008-03-03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094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44A KR20090094665A (ko) 2008-03-03 2008-03-03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44A KR20090094665A (ko) 2008-03-03 2008-03-03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665A true KR20090094665A (ko) 2009-09-08

Family

ID=4129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744A KR20090094665A (ko) 2008-03-03 2008-03-03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46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359A (ko) * 2010-03-31 201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56720B1 (ko) * 2010-10-01 2012-06-14 김수복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분실물 회수 서비스 제공 서버
WO2021230702A1 (ko) * 2020-05-14 2021-11-18 주식회사 데이터유니버스 분실된 휴대 단말에 대한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359A (ko) * 2010-03-31 201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56720B1 (ko) * 2010-10-01 2012-06-14 김수복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분실물 회수 서비스 제공 서버
WO2021230702A1 (ko) * 2020-05-14 2021-11-18 주식회사 데이터유니버스 분실된 휴대 단말에 대한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5944B1 (en) Generation and scanning of barcode-data for registering in a wireless network
US9319229B2 (en) Transmission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isplay data
JP6110503B2 (ja) テレビ通話装置
US20090029694A1 (en)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3299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발신 장치 및 방법
KR100705164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10061767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스턴트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CN105306567B (zh) 用于终端连接的方法及装置
KR20090094665A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EP2670135B1 (en) Videophone input apparatus utilizing video call control functions based on open and closed positions of cover part
JP4893797B2 (ja) 通信装置および方法、通信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70111270A (ko) 다자간 화상통화 중 음성인식을 활용한 화면 디스플레이방법
KR100740775B1 (ko) 영상통신단말에서의 배경영상편집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배경 영상 전환 서비스 시스템
CN105721455B (zh) 连接路由设备的方法及装置
CN110913055B (zh) 终端设备的查找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3949490B2 (ja) 遠隔操作制御プログラム
KR200500001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동작방법
JP2005218054A (ja) ドアホンシステム
KR101649641B1 (ko) 영상 통화 시스템의 통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22047969A (ja) 通話制御装置、通話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010067730A (ko) 화상전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방법
KR20090002312A (ko)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4062A (ko) 멀티모달을 이용하여 화자 및 음성을 인증하는 복합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080054713A (ko) 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033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