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633A - The method of city planning - Google Patents

The method of city plan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633A
KR20090094633A KR1020080019702A KR20080019702A KR20090094633A KR 20090094633 A KR20090094633 A KR 20090094633A KR 1020080019702 A KR1020080019702 A KR 1020080019702A KR 20080019702 A KR20080019702 A KR 20080019702A KR 20090094633 A KR20090094633 A KR 20090094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ban
urban design
city
design
differenti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명구
Original Assignee
임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구 filed Critical 임명구
Priority to KR1020080019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4633A/en
Publication of KR2009009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6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method for city planning is provided to produce an optimized city design through the logical calculation in a difficult and complex city plan. One of differentiated city planning target places for which the change of usage is enabled is selected from the group of the differentiated city planning target places at random(204). The optimized city elements are arranged(205),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total of the city elements exceeds the reference of the preset planning index(206). If the total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of the planning index,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arrangement of the city elements is in a convergence state that has no change(208).

Description

도시설계방법{the method of city planning}The method of city planning}

본 발명은 논리적인 연산의 반복으로 도시설계를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은 단위로 규칙적으로 나누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서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한 후,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가장 적합한 도시구성요소를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배치 가능한 도시구성요소와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를 둘러싸는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에 배치된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여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가장 적합한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되도록 하는 논리 연산을 무수히 반복하여 더 이상 그 배치가 변화지 않는 수렴된 상태가 최종 도시설계안이 되도록 한 도시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urban design by repeating logical operations, and randomly selects on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from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cluster 100' regularly divided into small units. After selection, an urban configuration that can be placed in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in order to place the most suitable urban element in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The element and the randomly selected differentiated city are evaluated by evalu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ity elements arranged in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that surrounds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The layout is no longer changed by counting the number of logical operations that will ensure that the city component best fits the design site '(example 101). The converging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ign method shown so that the end shown designs.

없슴None

도시설계과정은 다양한 도시 요소들의 요구사항을 조율하고 이를 최적으로 배치하는 과정으로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과 문제해결을 위한 갈등과 수없이 반복되는 대안제시와 평가의 피드백 과정이 수반되는 고도의 정신노동이다.The urban design process is the process of coordinating the requirements of various urban elements and optimally arranging them. Highly mental labor is accompanied by highly specialized knowledge and conflict resolution for problem solving, as well as repeated feedback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 presentations and evaluations. to be.

또한 도시설계과정에서는 다양한 변수와 변수들 간의 복잡성 그리고 문제를 풀기위해 소요되는 시간 또한 많이 걸리기 때문에 최상 또는 최적 또는 완벽하기 보다는 대체로 문제점이 없는 무난한 도시설계안을 만들어 내는데 만족했다.Also, in the urban design process, various variables, the complexity between variables and the time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were taken a lot, so that they were satisfied to produce a generally good urban design plan without problems rather than the best, optimal or perfect.

또한 도시설계에 소요되는 시간 외에 도시설계 인력의 인건비와 도시설계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비용과 그 기회비용 등을 감안하였을 때 보다 경제적인 도시설계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In addition to the time required for urban design, a more economical urban design method is needed, considering the labor costs of urban design manpower, the training cost for training urban design experts, and the opportunity cost.

특히 도시설계과정은 사람의 경험과 지식 그리고 영감을 가지고 대안제시->평가의 과정을 무수히 반복해서 얻어지는 휴리스틱한 문제해결방법이기 때문에 그 결과물이 항상 최적이라고 확언하기는 힘들다.In particular, the urban design process is a heuristic problem-solving method obtain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suggestion-> evaluation with human experience, knowledge, and inspiration, so it is hard to confirm that the result is always optimal.

따라서 시간적 비용, 인적 비용을 절감하고 그리고 도시설계안에 대한 최적 설계안을 도출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설계방법이 요구되었다.Therefore, a new urban design method was required to reduce time and human costs and to derive the optimal design plan for urban design.

사람의 경험과 지식을 대신하여 논리적인 연산을 통해 도시설계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도시설계 대상지를 일정한 크기의 다각형으로 규칙적으로 나누어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를 만들고, 상기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각각에 위치정보 값 또는 좌표 값을 부여하고, 상기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각각에 도시설계 시 고려되어야할 정보를 포함한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를 만든다.Instead of human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urban design target is regularly divided into polygons of a certain size so as to derive an urban design plan through a logical operation to create a 'differentiated set of urban design target sites' 100, and the' differential Assign a location information value or a coordinate value to each of the 'designated urban design targets', and create a 'differentiated set of differentiated urban design targets' 100 including information to be considered in urban design in each of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targets'. .

그리고 상기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서 하나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를 무작위로 선택한다(예 101).In addition, on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is randomly selected from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100 (example 101).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가장 적합한 도시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배치가능한 각각의 도시구성요소’(예 도3의 소스 부분)들과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 주변에 있는 다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평가하여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가장 평가점수가 높은 최적의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되도록 하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 수행하여 더 이상 그 배치가 변화하지 않는 수렴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Each city that can be disposed in the randomized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so as to place the most suitable urban component in the randomized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Component '(eg, the source portion of FIG. 3) and the city components of other'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around the 'randomly chosen differential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Repeatedly repeating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optimal urban elements having the highest evaluation scores in the 'randomly selected different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so that the arrangement is not changed any more. Let it be a solution to a problem.

복잡하고 난해한 도시설계를 논리적인 계산에 의해 최적의 도시설계안을 만들어 낼 수 있다.Complex and difficult urban design can be produced by logical calculation of the optimal urban design.

본 발명은 도시설계 대상지를 일정한 크기의 다각형으로 규칙적으로 나누고, 각각 나누어진 다각형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에 위치정보 값 또는 좌표 값을 부여하고, 상기 각각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에 도시설계 시 고려되어야할 정보를 포함한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서 The present invention regularly divides an urban design destination into polygons of a predetermined size, assigns location information values or coordinate values to the 'differential urban design destinations' of the divided polygons, and assigns them to the respective 'differential urban design destinations'. In the 'differentiated set of urban design destinations' (1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considered in urban design

상기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서 도시구성요소 변경이 가능한 하나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를 무작위로 선택하는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무작위 선택 단계’(204);A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random selection step' 204 for randomly selecting on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that is capable of changing urban elements in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area 100';

이어서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가장 적합한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배치가능한 각각의 도시구성요소’(예 도3의 소스 부분)와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 주변에 있는 다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들 간의 관계를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 값’(예 도3)에 따라 평가하여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도시구성요소를 배치하는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치 단계’(205);Subsequently, each of the 'positionabl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example 101) can be arranged such that the most suitable urban elements can be disposed in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example 101).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components' (eg, the source portion of FIG. 3) and other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around the' randomly chosen differential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An 'optimal city component placement step' 205 for arranging the city elements having the best evaluation by evaluat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value' (example FIG. 3);

이어서 앞선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치 단계’(105)에서 선정된 도시구성요소가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배치되어 상기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서의 상기 배치된 동일 도시구성요소의 총합이 사전에 정해진 계획지표(202, 도2) 기준을 초과하였는지 아니면 초과하지 않았는지 판단하는 ‘계획지표 비교판단 단계’(206);Subsequently, the city elements selected in the previous 'optimal urban element arrangement step' 105 are placed in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and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 A 'plan indicator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206 that determines whether the total of the arranged same city elements in 100 has exceeded or did not exceed a predetermined plan indicator 202 (FIG. 2) criterion;

상기 ‘계획지표 비교판단 단계’(206)에서 계획지표(202, 도2) 기준을 초과하였으면 상기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서 상기 배치된 도시구성요소와 동일한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된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중 주변에 있는 다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들 간의 관계를 평가한 평가값이 가장 낮은 ‘미분된 열등 도시설계 대상지’를 찾는 ‘미분된 열등 도시설계 대상지 선정 단계’(207)를 실행하고, 다시 상기 ‘미분된 열등 도시설계 대상지’에 최적의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되도록 상기 단계인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치 단계’(205)를 실행하거나;If the criteria for the planning indicators 202 (FIG. 2) are exceeded in the 'planning indicator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206, the same urban elements as the arranged urban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target area 100'. Selection of 'Differential Inferior Urban Design Destination' which finds 'Differential Inferior Urban Design Destination' with the lowest evaluation value that evalu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Differential Urban Design Destinations' in the surrounding 'Differential Urban Design Destinations' Execute step '207', and then execute the 'optimal city component arrangement step' 205 such that the optimal city component is placed on the 'differentiated inferior urban design destination';

또는 상기 ‘계획지표 비교판단 단계’(206)에서 계획지표(도2, 202)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더 이상 배치에 변화가 없는 수렴상태가 되었는지 판단하는 ‘ 수렴 판단 단계’(208)를 실행하고, 상기 ‘수렴 판단 단계’(208)에서 수렴이 안 되었으면 다시 상기 단계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무작위 선택 단계’(204)를 실행하거나 상기 ‘수렴 판단 단계’(208)에서 수렴이 되었으면 프로세스를 종료(209)하여 도시설계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설계방법을 도면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lternatively, if the plan indicator (FIG. 2, 202) has not exceeded the criteria of the plan indicator comparison step 206, the convergence judgment step 208 determines whether the arrangement is in a converged state with no change in arrangement. If it is not converged in the 'convergence determination step' 208, it executes the step of 'differentiating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step 204 or if it is converged in the 'convergence determination step' 208, the process The urba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urban design process to end (20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drawings as follows.

도시설계에 있어서 가장 주된 내용은 도시를 구성하는 도시구성요소들을 어디에 얼마만큼 배치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속된다. In urban design, the main contents belong to the problem of where and how much to arrange the city elements constituting the city.

과거의 전통적인 도시설계방법은 인간의 경험과 지식으로 최선의 결과를 찾아가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도시설계를 풀어나갔다. Traditional urban design methods of the past have solved urban design in a heuristic way that seeks the best results with human experience and knowledge.

즉 종래의 도시설계 방법은 선험적 지식으로 ‘대안제시->평가’의 피드백 과정 또는 ‘이럴땐 이렇게 하라’ 하는 결정론적 사고방법인 하향식(top-down) 문제해결 방법으로 최선의 도시설계안으로 수렴해가는 과정으로 도시설계와 같은 복잡한 문제를 풀어나갈 때는 최적의 도시설계안을 만드는데 그 방법이 적합하지 않다.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urban design method is a priori knowledge, which converges to the best urban design method through a top-down problem solving method, which is a deterministic way of thinking of alternative presentation-> evaluation or a deterministic way of thinking like this. When solving complex problems such as urban design as a process, the method is not suitable for making an optimal urban design plan.

오히려 작은 단위의 문제해결의 집합이 전체 문제를 해결하는 상향식(bottom-up) 문제해법이 복잡한 도시설계 문제에서 적합할 수 있다. Rather, a bottom-up problem solution where a small set of problem solving solves the entire problem may be suitable for complex urban design problems.

즉 도시설계의 핵심인 도시를 구성하는 도시구성요소의 배치는 인근 도시구성요소에 따라 결정되는 재귀적 특성이 있으므로 본 발명은 작은 단위의 도시설계 대상지에 최적의 도시구성요소 배치하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함으로써 전체 도시설계가 되도록 하는 새로운 도시설계방법이다.That is,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city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ity, which is the core of urban design, has a recursive characteristic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eighboring city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repeats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optimal city components in a small unit of urban design site. It is a new urban design method that makes the whole city design by doing so.

위와 같은 새로운 도시설계방법을 도1과 같이 간단한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소규모 가상의 도시설계 대상지에 도시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도시구성요소인 주거지역, 녹지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을 도 2의 계획지표 범위 안에서 배치하도록 하였다. In order to explain the new urban design method as described above with a simple model as shown in FIG. 1, the representative urban elements constituting the city in a small virtual urban design site, the residential area, the green area, the commercial area, and the industrial area of FIG. Placed within the surface range.

상기 도2의 계획지표는 도시를 구성하는 각각의 용도지역 면적에 따라 도시설계가 바뀌고 도시의 성격이 결정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도시설계자가 사전에 계획지표 값을 정하도록 한다.The planning index of FIG. 2 is a very important part in which the urban desig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rea of each use area constituting the c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re determined so that the city designer can determine the planning index value in advance.

그리고 발명된 도시설계방법을 도1과 같이 간단한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가상의 도시설계 대상지는 정방형의 다각형으로 규칙적으로 나누었다.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ed urban design method with a simple model as shown in FIG. 1, the virtual urban design site is regularly divided into square polygons.

또한 상기 정방형 이외에 다양한 다각형으로 나눌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quare may be divided into various polygons.

또한 상기 다각형의 크기 또한 다양한 크기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polygon can also be of various sizes.

상기 도시설계모형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들은 동일한 환경을 갖는 평지로 가정하였으며, 최외각에는 용도가 변경되지 않는 녹지지역을 배치하여 도시설계 대상지의 경계로 삼았다.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of the urban design model were assumed to be flat lands with the same environment, and the green area where the use was not changed was placed at the outermost part as a boundary of the urban design destinations.

그리고 수개로 나누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에는 도시 용도지역 배치에 영향을 주는 산, 장애물, 강, 문화재, 철도시설이 적절히 배치되도록 하였으며, 이들의 용도변경은 불가능하도록 하고, 나머지 공지부분에 계획지표만큼 도시구성요소를 배치하는 일례의 도시설계모형이다.In addition,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site' divided into several areas was designed to properly arrange mountains, obstacles, rivers, cultural properties, and railway facilities that affect the urban use area layout. An example urban design model in which urban elements are arranged as planned indicators.

도1은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 관한 것으로 도시설계 대상지를 일정한 크기의 다각형으로 규칙적으로 나누고, 각각 나누어진 다각형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에 행렬과 같이 위치정보 값을 부여하거나 또는 좌표 값을 부여하여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자신의 위치와 주변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와의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1 relates to a 'different set of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100, which regularly divides an urban design destination into polygon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values such as matrices in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of each divided polygon. Or by assigning a coordinate value to easily determin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and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도1의 사례에서는 도시설계 대상지를 정사각형으로 규칙적으로 나누었으며, 이를 정삼각형, 정육각형 등으로도 규칙적으로 나눌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1, the urban design target area is regularly divided into squares, and it may be regularly divided into equilateral triangles and regular hexagons.

그리고 각각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에 도시설계 시 고려되어야할 정보를 갖은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를 만든다.In each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a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with information to be considered in urban design is created.

상기 정보는 지형정보, 지질정보, 용도정보, 지가정보, 역사정보, 사회정보, 자연환경정보 등 도시설계 시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들 정보는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치 단계’(205)에서 ‘도시구성요소간 선호도 값’(도3, 203)을 부여하여 평가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includes a variety of information that can be considered in urban design, such as topographic information, geological information, usage information, land price information, historical information, social information, and natur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se information are referred to as 'optimal urban component arrangement step' ( In 205, 'preferred values between city elements' (Figs. 3 and 203) can be given and used as evaluation elements.

도1의 사례를 예를 들면 가로 5번째, 세로 3번째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는 장애물이 배치된 상태이며, 가로 3번째, 세로 5번째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는 산이 배치된 상태이며, 가로 3번째, 세로 3번째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는 공지 상태이다.For example, the 5th and 3rd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are placed in the state of obstacles, and the 3rd and 5th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are located in the mountains. The third, horizontal, and third vertically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are in a known state.

보다 자세한 발명된 도시설계방법을 도4와 같이 시계열적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ore detailed invention of the urban design method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in time series flow as shown in FIG.

발명된 도시설계방법의 시작은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집합체에서 용도변경이 가능한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 하는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무작위 선택 단계’(204)로서 도시구성요소 변경이 가능한 하나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를, 즉 용도변경이 불가능한 산, 장애물, 철도, 강, 문화 재, 최외각 녹지부분을 제외한 부분, 즉 상기 가상의 모형에서는 공지에 해당하는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를 무작위로 하나를 선택하는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무작위 선택 단계’(204)를 실행한다.The start of the invented urban design method is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site random selection step' 204, which randomly selects one of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that can be repurposed from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site assembly. One possibl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site', that is, a part except for mountains, obstacles, railroads, rivers, cultural properties, and the outermost green areas that cannot be repurposed, that is, the 'differential city' A 'differentiated urban design site random selection step' 204 of randomly selecting one design site 'is performed.

상기 공지부분에 사전에 무작위로 배치 가능한 도시구성요소(예 도3의 소스 부분)를 임의로 배치해 둘 수도 있다.Randomly arranged city components (source part of FIG. 3) may be arbitrarily arranged in the known part in advance.

그리고 이어서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가장 적합한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배치가능한 각각의 도시구성요소’(예 도3의 소스 부분)와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 주변에 있는 다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들 간의 관계를 평가하여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도시구성요소를 배치하는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치 단계’(205)를 실행한다.Each of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Example 101) can be placed in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Example 101) so that the most suitable urban elements can be arranged in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Example 101). Is best evaluated by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 urban components " (e.g. source portion of FIG. 3) and other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around the 'randomly chosen differential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To execute the 'optimal city component arrangement step' 205 to place the city component received.

상기 도시설계모형에서는 도시구성요소는 도3과 같이 주거지역, 녹지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산, 강, 철도, 장애물, 문화재이며, 배치가능 도시구성요소는 도2의 계획지표 그리고 도3의 소스 부분과 같이 주거지역, 녹지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이다.In the urban design model, urban elements are residential areas, green areas, commercial areas, industrial areas, mountains, rivers, railroads, obstacles, and cultural assets as shown in FIG. Like the source part of the city, it is a residential area, a green area, a commercial area, and an industrial area.

또한 계획지표와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 값’의 항목과 값은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tems and values of the planning indicators and 'preferred values between the city ele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배치가능한 각각의 도시구성요소’(예 도3의 소스 부분)와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 주변에 있는 다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들 간의 관계를 평가하는 방법은 도 3과 같이 사전에 정해진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 값’과 상기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평가한다.'Each urban element that can be disposed' (example source part of FIG. 3) and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to the 'randomly selected differential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around is evalu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ferred value between city elements'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ity elements as shown in FIG. 3.

상기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 값’은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도3의 ‘소스’에 해당하는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될 때 도3의 ‘타겟’에 해당하는 인접한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를 숫자 값으로 표시한 것으로 양수는 긍정의 의미를 갖으며, 음수는 부정의미를 갖거나 또는 값의 차이에 따라 긍정과 부정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사전에 정해진 값을 가지고 평가를 하게 된다.The 'preferred value between the city elements' is displayed in the 'target' of FIG. 3 when the city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ource' of FIG. 3 is disposed at the 'differential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Preference is expressed as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the prefere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neighboring city elements. Positive numbers have a positive meaning, negative numbers have a negative meaning or can express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value. Evaluate with a predetermined value.

또한 상기 선호도 값은 도시설계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며, 사용자 별로 각기 다른 값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ference value has a great influence on urban design, and different values may be used for each user.

일례로서 도1의 가상의 도시설계 대상지에서 왼쪽상단을 기준으로 각각 네 번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에 적합한 도시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를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As an example, an evaluation for determining urban elements suitable for the fourth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respectively, based o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virtual urban design destination of FIG. 1 is as follows.

상기 가상의 도시설계 대상지 왼쪽상단을 기준으로 각각 네 번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는 현재 공지상태로 이 곳에 가장 적합한 도시구성요소를 배치하기 위한 평가에서 각각 ‘주거지역’, ‘공업지역’, ‘상업지역’, ‘녹지지역’이 들어올 때 거리 값을 고려한 주변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 값’의 합이 가장 큰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되도록 한다.The fourth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is based on the upper left of the virtual urban design destination, and is currently known in the evaluation state to place the most suitable urban elements therein, 'residential area', 'industrial area', When the 'commercial area' and the 'green area' enter, the city element having the largest sum of the preference values between the surrounding 'city elements' considering the distance value is arranged.

상기 거리 값에 대한 고려는 평가대상 도시구성요소가 멀어짐에 따라 거리의 제곱만큼 그 영향력이 감소하므로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 값’에 이격된 거리 값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한다.The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value is a value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distance value spaced apart from the 'preferred value between the city elements' as the influence decreases as the square of the distance as the city component to be evaluated increases.

만약 상기 가상의 도시설계 대상지 왼쪽상단을 기준으로 각각 네 번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주거지역이 들어온다면 평가값은 도3의 선호도 값에 따라 ‘소스’에 해당하는 주거지역과 ‘타겟’에 해당되는 왼쪽상단기준으로 가로1번째 세로1번째 녹지와의 선호도 값을 거리의 제곱으로 나눈 값)+(도3의 선호도 값에 따라 ‘소스’에 해당하는 주거지역과 ‘타겟’에 해당되는 왼쪽상단기준으로 가로1번째 세로2번째 녹지와의 선호도 값을 거리의 제곱으로 나눈 값)+............+(도3의 선호도 값에 따라 ‘소스’에 해당하는 주거지역과 ‘타겟 ’에 해당되는 왼쪽상단기준으로 가로9번째 세로9번째 녹지와의 선호도 값을 거리의 제곱으로 나눈 값)의 총합을 주거지역이 배치될 경우의 평가값 총합으로 하고, If the residential area enters the fourth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based on the upper left of the virtual urban design destination, the evaluation value is a residential area corresponding to 'sourc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value of FIG. And the target value of the first vertical green space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distance, based on the upper left corner corresponding to the 'target' + (the residential area corresponding to the 'source' and the 'target' according to the preference value of FIG. 'Preference value with horizontal first and second green space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distance based on the upper left corner corresponding to' + ............ + (according to the preference value of FIG. The sum of the preferences of the residential area corresponding to the source and the ninth horizontal and ninth green space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distance, based o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target. With

그리고 상기 가상의 도시설계 대상지 왼쪽상단을 기준으로 각각 네 번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녹지지역이 들어온다면 평가값은 (도3의 선호도 값에 따라 ‘소스’에 해당하는 녹지지역과 ‘타겟’에 해당되는 왼쪽상단기준으로 가로1번째 세로1번째 녹지와의 선호도 값을 거리의 제곱으로 나눈 값)+(도3의 선호도 값에 따라 ‘소스’에 해당하는 녹지지역과 ‘타겟’에 해당되는 왼쪽상단기준으로 가로1번째 세로2번째 녹지와의 선호도 값을 거리의 제곱으로 나눈 값)+............+(도3의 선호도 값에 따라 ‘소스’에 해당하는 녹지지역과 ‘타겟’에 해당되는 왼쪽상단기준으로 가로9번째 세로9번째 녹지와의 선호도 값을 거리의 제곱으로 나눈 값)의 총합을 녹지지역이 배치될 경우의 평가값 총합으로 하고, And if the green area enters the fourth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respectively, based on the upper left of the virtual urban design destination, the evaluation value is (green space corresponding to 'sourc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value of FIG. 3). Green area corresponding to 'source' divided by square of distance divided by first squared first green area horizontally divided by distance squared based on region and 'top' corresponding to 'target' + The target value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distance di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green spaces horizontally, based on the upper left corner corresponding to 'target' + ............ + (according to the preference value of FIG. 3) Evaluation value when the green area is placed by adding up the sum of the preference values between the ninth horizontal and ninth green areas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distance, based on the top left of the green area corresponding to 'source' and 'target'. In total,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상기 가상의 도시설계 대상지 왼쪽상단을 기준으로 각각 네 번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공업지역이 들어 왔을 때의 평가값 총합, In the same way, based on the upper left of the imaginary urban design site, the sum of evaluation values when the industrial area enters the fourth 'differentiated urban design site' (Example 101),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상기 가상의 도시설계 대상지 왼쪽상단을 기준으로 각각 네 번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공업지역이 들어 왔을 때 평가값 총합 중 가장 평가점수가 높은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되도록 한다.In the same way, when the industrial area enters the fourth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based on the upper left of the virtual urban design destination, the city component having the highest evaluation score among the total evaluation values is arranged. Be sure to

상기 평가는 평가방법 그리고 평가범위 그리고 평가요소 등은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The evaluation may be carried out with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evaluation method, the evaluation range and the evaluation element.

이어서 앞선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치 단계’에서 선정된 도시구성요소가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배치되어 상기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서의 상기 배치된 도시구성요소와 동일한 도시구성요소의 총합이 도2(202)처럼 사전에 정해진 계획지표의 기준을 초과하였는지 아니면 초과하지 않았는지 판단하는 ‘계획지표 비교판단 단계’(206)를 실행한다.Subsequently, the city components selected in the previous 'optimal urban component arrangement step' are placed in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target site' (Example 101), and the 'differential collection of differentiated urban design target sites' 100 is used. Execute the 'plan indicator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206,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sum of the city components that are identical to the arranged city components of the group has exceeded or did not exceed the criteria of the predetermined plan indicator as shown in FIG. do.

상기 계획지표(도2, 202)의 도시구성요소의 종류와 값 등은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The types and values of the city elements of the planning indicators (FIGS. 2 and 202)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implemented.

상기 ‘계획지표 비교판단 단계’(206)에서 계획지표기준을 초과하였으면 상기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서 상기 배치된 도시구성요소와 동일한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된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중 생존력이 낮은, 즉 평가값 총합이 가장 낮은 ‘미분된 열등 도시설계 대상지’를 찾는 ‘미분된 열등 도시설계 대상지 선정 단계’(207)를 실행하고 다시 상기 ‘미분된 열등 도시설계 대상지’에 최적의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되도록 상기 단계인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 치 단계’(204)를 실행하거나;If the plan indicator criteria are exceeded in the 'plan indicator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206, the 'differentiated city' in which the same city elements as the arranged city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target area 100' is arranged. 'Differential Inferior Urban Design Target Selection Step' (207), which finds the 'Differential Inferior Urban Design Target Site' with the lowest viability, that is, the lowest total value of the evaluation targets, is executed. Execute the above-described 'optimal urban component placement step' 204 such that the optimal urban component is placed in the 'broadcasting system';

또는 상기 ‘계획지표 비교판단 단계’(206)에서 계획지표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더 이상 배치에 변화가 없는 수렴이 되었는지 판단하는 ‘수렴 판단 단계’(208)를 실행하고 상기 ‘수렴 판단 단계’(208)에서 수렴이 안되었으면 다시 상기 단계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무작위 선택 단계’(204)를 실행하거나 상기 ‘수렴 판단 단계’(208)에서 수렴이 되었으면 프로세스를 종료(209)하여 도시설계 프로세스를 마친다.Alternatively, if the plan indicator criteria have not been exceeded in the 'plan indicator comparison decision step' 206, a 'convergence judgment step' 208 is executed to determine whether convergence has no change in arrangement; If it is not converged at step 208, the step `` random selection of differentiated urban design target sites '' 204 is executed again or if the process is converged at the convergence determination step 208, the process is terminated (209). Finish the process.

그리고 상기 '수렴 판단 단계‘(208)에서 더 이상 배치에 변화가 없는 수렴상태는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갯수를 감안하여 일정 횟수이상 더 이상 배치의 변화가 없는 상태를 수렴되었다고 판단한다. In addition, in the 'convergence determination step' 208, the converged state where there is no change in the arrangement is determined to have converged the state where the arrangement does not change any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differential urban design target sites'.

이상 상기 도시설계 방법은 통상 알려진 프로그램 제작 방법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작할 수 있다.The urban design method can be produced as 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 known program production method.

도1은 발명된 도시설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모형이다.1 is a virtual model for explaining the invention design method.

도2는 발명된 도시설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계획지표이다.2 is a plan index for explaining the invention urban design method.

도3은 발명된 도시설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 값’이다.3 is a 'preferred value between city elements' for explaining the invention design method.

도4는 발명된 도시설계방법의 시계열적 순서도이다.4 is a time series flow chart of the invention design metho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 'A collection of differentiated urban design sites'

101.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101. 'Differentiated Urban Design Site'

200. 발명된 도시설계방법의 시계열적 순서도200. Time Series Flowchart of Invented Urban Design Method

201. ‘프로세스 시작’201. ‘Start the process’

202. ‘계획지표 값’202. 'Planned Indicator Value'

203.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 값’203. 'Preference values between urban components'

204.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무작위 선택 단계’204. 'Random Selection of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205. ‘최적 도시구성요소 선정 단계’205. 'Steps for selecting the optimal city component'

206. ‘계획지표 비교 판단 단계’206. 'Planning indicator comparison judgment stage'

207. ‘미분된 열등 도시설계 대상지 선정 단계’207. 'Selection of Differential Inferior Urban Design Destinations'

208. ‘수렴 판단 단계’208. 'Convergence judgment stage'

209. ‘프로세스 종료’209. 'End Process'

Claims (5)

논리적 연산의 무수한 반복으로 도시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도시설계 시 고려되어야할 정보를 포함한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서 도시구성요소 변경이 가능한 하나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를 무작위로 선택하는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무작위 선택 단계'(204);A 'differentiated urban design site' capable of changing urban elements is selected from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site collection' 100 including information to be considered in urban design so that urban design can be done with countless iterations of logical operations. 'Differentiated urban design object random selection step' 204 for randomly selecting; 이어서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가장 적합한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배치가능한 각각의 도시구성요소'(예 도3의 소스 부분)와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 주변에 있는 다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들 간의 관계를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 값'(203)에 따라 평가하여 그 평가값이 가장 좋은 도시구성요소를 배치하는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치 단계'(205);Subsequently, each of the 'positionabl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example 101) can be arranged such that the most suitable urban elements can be disposed in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example 101).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components' (eg, the source portion of FIG. 3) and other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around the' randomly chosen differential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An 'optimal urban component arrangement step' 205 for evaluat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value' 203 and arranging the city component having the best evaluation value; 이어서 앞선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치 단계'(205)에서 선정된 도시구성요소가 상기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배치되어 상기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서의 상기 배치된 도시구성요소와 동일한 도시구성요소의 총합이 사전에 정해진 계획지표(202)의 기준을 초과하였는지 아니면 초과하지 않았는지 판단하는 '계획지표 비교판단 단계'(206);Subsequently, the city elements selected in the previous 'optimal urban element arrangement step' 205 are disposed in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and the 'differential collection of urban design destinations' ( A 'plan indicator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206,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sum of the city elements identical to the arranged city elements in 100 has exceeded or does not exceed the criteria of the predetermined plan indicator 202; 상기 '계획지표 비교판단 단계'(206)에서 계획지표(202) 기준을 초과하였으면 상기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에서 상기 배치된 도시구성요소와 동일한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된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중 가장 평가값이 낮은, 즉 열등한 미분된 동일용도 도시설계 대상지를 찾는 '미분된 열등 도시설계 대상지 선정 단계'(207)를 실행하고, 다시 상기 '미분된 열등 도시설계 대상지'에 최적의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되도록 상기 단계인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치 단계'(205)를 실행하거나;If the plan indicator 202 criteria are exceeded in the 'plan indicator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206, 'the city component identical to the arranged city elements is disposed in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target site 100 'is disposed' 'Differential inferior urban design target site selection step' 207, which finds the lowest differentiated urban design target site, that is, inferior differentiated same-use urban design target, is executed. Execute the above-described 'optimal urban component placement step' 205 such that the optimal urban component is arranged at '; 또는 상기 '계획지표 비교판단 단계'(206)에서 계획지표(202)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더 이상 배치에 변화가 없는 수렴상태가 되었는지 판단하는 '수렴 판단 단계'(208)를 실행하고, 상기 '수렴 판단 단계'(208)에서 수렴이 안 되었으면 다시 상기 단계인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 무작위 선택 단계'(204)를 실행하거나 상기 '수렴 판단 단계'(208)에서 수렴이 되었으면 도시설계 프로세스를 종료(209)하는 프로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설계방법Alternatively, if the plan indicator comparison step 206 does not exceed the criteria of the plan indicator 202, a convergence judgment step 208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arrangement is in a converged state where there is no change in the arrangement. If it is not converged in the 'convergence determination step' 208, the step 'running the randomized urban design target selection step' 204 is executed again, or if it is converged in the 'convergence determination step' 208, the urban design process is performed. Urban design method comprising the process of terminating (209) 청구항 1에서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의 집합체'(100)는 도시설계 대상지를 일정한 크기의 다각형으로 규칙적으로 나누고, 각각 나누어진 다각형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에 위치정보 값 또는 좌표 값을 부여하고, 상기 각각의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는 도시설계 시 고려되어야할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설계방법.In claim 1,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target area 100' is regularly divided into a polygon of a predetermined size, and each of the divided polygon 'differential urban design target' is given a location information value or coordinate value. And each of the 'differentiated urban design destinations'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to be considered in urban design. 청구항 1의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치 단계'(205)에서 평가값 계산은 '무작위로 선택된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에 101)에 배치가능한 도시구성요소와 상기 '무작위로 선택된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 주변에 있는 각각의 도시구성요소와의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 값'(도3)을 각각의 도시구성요소와의 이격거리의 제곱으로 나눈 값의 총합을 평가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설계방법In the 'optimal urban component placement step' 205 of claim 1,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on is based on the 'randomly selected differential urban design destination' (101) and the 'randomly selected urban design destination' (Example 101) The evaluation value is a sum of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preference value between city elements' (Fig. 3) with each city element in the vicinity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distance from each city element. Urba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서 계획지표는 상기 '계획지표 판단 단계'(206)에서 배치가능한 각각의 도시구성요소의 수량의 최대값 또는 면적의 최대값을 지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설계방법.The urban desig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ning index designates a maximum value or a maximum value of the area of each city element that can be arranged in the 'planning index determination step' (206). 청구항 1에서 '도시구성요소들 간의 선호도 값'(도3)은 '최적 도시구성요소 배치 단계'(205)에서 '무작위로 선택되어진 미분된 도시설계 대상지'(예 101)에 주변 도시구성요소와의 관계에 따라 가장 적합한 도시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도록 배치가능 도시구성요소(도3의 소스부분)와 주변 도시구성요소(도3의 타겟부분)간의 선호 값을 숫자로 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설계방법.The 'preferred value between city elements' (FIG. 3) in FIG. 1 is defined as the 'different urban design destinations selected randomly' in the 'optimal city element arrangement step' 205 (example 101).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of the city compon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erical value of the preferred value between the positionable urban component (source portion of Figure 3) and the surrounding urban component (target portion of Figure 3) so that the most suitable urban component can be arranged Design method.
KR1020080019702A 2008-03-03 2008-03-03 The method of city planning KR200900946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02A KR20090094633A (en) 2008-03-03 2008-03-03 The method of city plan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02A KR20090094633A (en) 2008-03-03 2008-03-03 The method of city plan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633A true KR20090094633A (en) 2009-09-08

Family

ID=4129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702A KR20090094633A (en) 2008-03-03 2008-03-03 The method of city plan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463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76B1 (en) * 2010-04-19 2010-10-07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ethod for scenic road designation
KR101036228B1 (en) * 2010-04-19 2011-05-20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Vr evaluation system for scenic ro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76B1 (en) * 2010-04-19 2010-10-07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ethod for scenic road designation
KR101036228B1 (en) * 2010-04-19 2011-05-20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Vr evaluation system for scenic ro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lmendinger et al. The fluid scales and scope of UK spatial planning
CN106157155B (en) Social media information propagation visualization analysis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p metaphor
Manley et al. A heuristic model of bounded route choice in urban areas
CN104933661B (en) A kind of non-crowd&#39;s equilibrium evacuation method for claiming escape way of public building
Togelius et al. Controllable procedural map generation via multiobjective evolution
Brusis The politics of legitimation in post-soviet Eurasia
CN102901500A (en) Aircraft optimal path 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mixed probability A star and agent
CN103473388A (en) System and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utomatic layout of flow chart
CN108257103A (en) Occlusion culling method, apparatus, processor and the terminal of scene of game
Isebor Derivative-free optimization for generalized oil field development
Tang et al. A multi-objective evolutionary method for dynamic airspace re-sectorization using sectors clipping and similarities
Xia et al. Delineating early warning zones in rapidly growing metropolitan areas by integrating a multiscale urban growth model with biogeography-based optimization
CN106482737B (en) Indoor wireless terminal positioning accuracy guarantees and track correcting method
CN105787977A (en) Building vector boundary simplification method
CN102855387A (en) Two-dimensional space multi-route planning method based on niche particle swarms
CN101840202A (en) Functional block intelligent wiring method in modeling of control system
CN105631143A (en)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aying scheme of tile
KR20090094633A (en) The method of city planning
CN109992873B (en) Installation design method of station guide mark
CN103714384B (en) Layout method based on Move Mode sequence and the integrated circuit of heredity taboo
CN103679301A (en) Complex terrain-based optimal path searching method
Donnellan Modeling the rise of the city: Early urban networks in Southern Italy
CN102542084B (en) Network status emulation method and equipment utilizing same
Huang et al. A pedestrian-centric design strategy: melding reactive scripting with multi-agent simulation
Carpio-Pinedo et al. New urban forms, diversity, and computational design: Exploring the open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