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980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980A
KR20090093980A KR1020097011887A KR20097011887A KR20090093980A KR 20090093980 A KR20090093980 A KR 20090093980A KR 1020097011887 A KR1020097011887 A KR 1020097011887A KR 20097011887 A KR20097011887 A KR 20097011887A KR 20090093980 A KR20090093980 A KR 20090093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transmit power
timeslot
packet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865B1 (ko
Inventor
구현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9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할당된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되, 상기 전송 전력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어떤 전송 전력 파라미터로 할당되지 않으면 설정값(default value)이고,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상기 이동국에 의해 이미 사용 중이면 현재값인 단계, 및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과 같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은 유럽 지역의 무선 통신 수단을 표준화하려는 시스템의 하나로 개발된 이래, 전세계적으로 널리 배치되고 있다.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는 GSM이 제공하는 회선망 데이터 서비스(Circuit Data Service)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Packet Data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EDGE(Enhanced Data Rate for GSM Evolution)은 GSM에서 채용된 GMSK (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대신에 8-PSK (Phase Shift Keying)를 채용한다. EGPRS(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는 EDGE를 이용한 GPRS를 나타낸다.
GPRS/EGPRS 트래픽 전용의 물리채널은 PDCH(Packet Data Channel)이라 한다. PCCCH(Packet Common Control Channel), PDTCH(Packet Data Traffic Channel) 및 PACCH(Packet Associated Control Channel)과 같은 논리채널들이 PDCH로 맵핑된다. PCCH는 패킷 전송의 초기화에 필요한 제어 시그널링에 사용된다. PDTCH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PACCH는 전용 시그널링에 사용된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x access) 방식은 GSM/GPRS/EDGE 시스템에 적용된다. TDMA 방식에서, 셀내 각 이동국은 할당된 타임슬롯(timeslot)을 통해 회선 교환 데이터 및/또는 패킷 교환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8개 타임슬롯 중 하나가 TDMA 프레임당 이동국에게 할당될 수 있다. 타임슬롯들은 활성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고,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타임슬롯들이 별도로 할당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는 네트워크에서 이동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하고, 상향링크는 이동국에서 네트워크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GSM/GPRS/EDGE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은 셀 내에서 몇몇 사용자들간에 하나의 타임슬롯을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 하나의 사용자는 다중 타임슬롯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제어는 채널간 간섭(co-channel interference)을 완화하기 위해 필요하다. 채널간 간섭 레벨을 낮게 유지하는 것은 셀들간에 더 높은 수율(throughput)을 가져오고, 셀의 용량(capacity)을 증가시킨다. 효율적인 파워 제어는 GSM/GPRS/EDGE 시스템에 사용되는 타임슬롯들이 인접 셀의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타임슬롯에 허용 불가한 레벨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불충분한 파워 제어는 높은 에러율을 야기하거나, TBF(temporary block flow)로 알려진 무선 연결을 깨뜨릴 수 있다. 파워 제어 에러는 패킷 지연을 증가시키고, 사용자 수율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서비스 악화를 가져온다.
상향링크 전력 제어 메커니즘은 네트워크가 상향링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각 이동국에 의해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향링크 파워 제어는 각 이동국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전력을 적절한 링크 성능을 얻기에 충분한 레벨로 낮추고, 링크 수율을 희생하지 않은 채 가능한 낮은 전송 전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동국의 배터리를 불필요하게 낭비하지 않은 채 최대 링크 성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익을 제공한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새로운 타임슬롯이 할당되거나 사용되는 타임슬롯이 갱신될 때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기술적 해결 방법]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할당된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되, 상기 전송 전력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어떤 전송 전력 파라미터로 할당되지 않으면 설정값(default value)이고,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상기 이동국에 의해 이미 사용 중이면 현재값인 단계, 및 다음 식으로부터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전력 Pup 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여기서, C0 는 전력 오프셋(power offset), CCH 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 r은 시스템 파라미터, L은 상기 이동국에서 정규화된 수신 신호 레벨, PMAX 는 셀에서 최대 허용 전송 전력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 이동국이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이동국이 현재 셀을 떠나 새로운 셀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새로운 셀에서 패킷 교환(packet-switched)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무선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타임슬롯에 관한 정버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어떤 전송 전력 파라미터로 할당되지 않으면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다음 식으로부터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전력 Pup 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여기서, C0 는 전력 오프셋(power offset), CCH 는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 r은 시스템 파라미터, L은 상기 이동국에서 정규화된 수신 신호 레벨, PMAX 는 셀에서 최대 허용 전송 전력이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이동국은 전송 파워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전송 전력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RF부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할당된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되, 상기 전송 전력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어떤 전송 전력 파라미터로 할당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값이고,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상기 이동국에 의해 이미 사용 중이면 현재값이고, 및 다음 식으로부터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전력 Pup 을 결정한다.
여기서, 여기서, C0 는 전력 오프셋(power offset), CCH 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 r은 시스템 파라미터, L은 상기 이동국에서 정규화된 수신 신호 레벨, PMAX 는 셀에서 최대 허용 전송 전력이다.
[유리한 효과]
이동국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타임슬롯을 할당받거나 기존의 파워 및/또는 TA을 갱신할 때, 해당하는 타임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동국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기반의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국(10; Mobile Station, MS)은 사용자가 가지고 다니는 통신 장비를 의미하며, UE(User Equipment),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은 BTS(22, Base Transceiver Station)와 BSC(24, Base Station Controller)를 포함한다. BTS(22)는 하나의 셀 영역 내의 이동국(10)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고, 이동국(10)과의 동기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BSC(24)는 적어도 하나의 BTS(22)를 MSC(Mobile Switching Center; 30)와 인터페이스시킨다. 기지국(20)은 BSS(base station subsystem), node-B, 및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으로 불릴 수 있다.
MSC(30)는 GMSC(Gateway MSC, 60)를 통해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65)이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과 같은 이종 망과 기지국(20) 간을 접속시킨다.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40)는 임시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MSC(30) 서비스 영역에서 모든 이동국(10)의 로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HLR(Home Location Register, 50)는 홈 네트워크의 모든 가입자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70)은 가입자들의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를 담당한다.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80)는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로 패킷을 라우팅하여, PDN(Public Data Network, 85)과 같은 외부 패킷 데이터망과 인터페이스한다.
TBF(Temporary Block Flow)는 기본적인 물리적 서브채널상으로 RLC(Radio Link Control) PDU(Protocol Data Unit)의 단방향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2개의 MAC(Medium Access Control) 개체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인 연결이다. TBF는 패킷 아이들 모드(packet idle mode)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패킷 아이들 모드에서 패킷 데이터 물리채널 상의 어떤 무선 자원도 이동국에 할당되지 않는다. 패킷 전송 모드(acket transfer mode)에서 적어도 하나의 TBF가 제공된다. 패킷 전송 모드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킷 데이터 물리 채널상의 무선 자원이 이동국에 할당된다. MAC-아이들 상태(MAC-idle state)는 어떤 기본적인 물리적 서브채널이 할당되지 않은 MAC 제어 개체(MAC-control-entity)를 말한다. TFI(Temporary Flow Identity)는 네트워크에 의해 각 TBF에 할당된다. 이동국은 TFI 값은 TBF들에 사용되는 모든 PDCH(Packet Data Channel)들 상에서 동일한 방향(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서 동시다발적(concurrent) TBF들 중에 고유한 것으로 가정한다. 동일한 TFI 값은 같은 방향에서 다른 PDCH들상의 TBF들과 다른 방향에서 TBF들에 동시다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이동국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동국(50)은 프로세서(processor, 51), 메모리(memory, 52), RF부(RF unit, 53),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5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 55)을 포함한다.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이동국 구동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일반적인 파일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54)는 이동국의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는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F부(53)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radio signal)을 송신수신한다.
프로세서(51)는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메모리는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서(51)는 상기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전송 전력을 결정한다. RF부는 상기 결정된 전송 파워를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는 이동국에서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상향링크 접속이라 할 수 있으며,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접속이라고 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이동국은 무선 접속을 위해 패킷 채널 요청(Packet Channel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낸다(S110). 패킷 채널 요청 메시지는 무선 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라 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에 무선자원(radio resource)의 할당을 요청한다. 패킷 채널 요청 메시지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이나 PRACH(Packet Random Access Channel)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EGPRS를 지원한다면, 패킷 채널 요청 메시지는 EGPRS 채널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이동국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으면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여 패킷 채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에 대해 네트워크로부터 이동국이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하면 랜덤 액세스 실패(Random Access Failure)가 된다.
네트워크는 패킷 채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패킷 상향링크 할당(Packet Uplink Assignment) 메시지를 보낸다(S120).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는 이동국의 무선 접속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의 응답이다.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는 PCCCH(Packet Common Control Channel) 또는 PACCH(Packet Associated Control Channel)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는 이동국이 상향링크 전송에 필요한 무선자원(radio resourc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GSM/GPRS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자원은 타임슬롯(timeslot)이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자원은 무선블록(radio block) 단위가 될 수 있다. GPRS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레임(frame)은 8개의 타임슬롯으로 구성되고, 무선 블록은 서로 다른 프레임에 속하는 4개의 연속된(consecutive) 타임슬롯으로 이루어진다.
타임슬롯 할당에 관한 정보외에도 이동국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서는 각 할당된 타임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해야 한다. 이동국에서 각 상향링크 PDCH(Packet Data Channel)에서의 전송 전력 Pup은 다음 식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C0 는 전력 오프셋(power offset), CCH 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 r은 시스템 파라미터, L은 이동국에서 정규화된 수신 신호 레벨, PMAX 는 셀에서 최대 허용 전송 전력이다. CCH 는 채널 특정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전력 오프셋 C0 는 상수이고, GSM 900은 39dBm으로 설정되고, DCS 1800 및 PCS 1900은 36 dB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시스템 파라미터 r는 PBCCH(packet broadcast control channel) 상으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되거나 선택적으로 RLC 제어 메시지를 통해 이동국에 보내질 수 있다.
시스템 파라미터 r과 전력 오프셋 C0을 미리 알고 있을때, 전력 제어 파라미터 CCH를 결정한다면, 이동국은 해당하는 타임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Pup을 계산할 수 있다.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는 이동국이 상향링크 전송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에 관한 정보외에 타임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에 포함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구할 수 있다. 문제는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에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각 타임슬롯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정의할 것인지가 전송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필요하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정의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은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를 통해 타임슬롯을 할당받으면, 할당받은 타임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값(default value)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값은 영(zero)으로 할 수 있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값으로 취함으로써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를 받으면 할당된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을 계산하여, 이를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은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현재의 패킷 전송 모드 이전의 패킷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말한다. 즉 이전에 패킷 전송 모드로 있다가, 패킷 아이들 모드로 들어간 후 다시 현재의 패킷 전송 모드가 된 경우에서 이전 패킷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라 한다. 이동국은 해당하는 타임슬롯에 대해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출력 전력을 계산한다. 만약 이동국이 전원을 켠 후 최초로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타임슬롯을 최초로 할당받은 경우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국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정의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에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설정값을 전력 제어 파라미터로 결정하여, 전송 전력을 구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타임슬롯을 할당할 때마다 각 단말로 개별적으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보낼 필요가 없이 각 단말이 자동으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어 스케줄링이 간단해지고, 셀 전체의 전력 제어가 용이하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이동국은 무선 접속을 위해 패킷 채널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낸다(S210). 네트워크는 패킷 채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다중 TBF 상향링크 할당(Multiple TBF Uplink Assignment) 메시지를 보낸다(S220). 다중 TBF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는 PACCH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와 달리 다중 TBF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는 다중 TBF를 이동국에 할당한다. 다중 TBF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는 각 TBF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타임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다중 TBF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를 통해 직접적으로 주어지지 않은 경우 전송 전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은 다중 TBF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를 통해 타임슬롯을 할당받으면, 할당받은 타임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값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값은 영(zero)으로 할 수 있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값으로 취함으로써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를 받으면 할당된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을 계산하여, 이를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은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현재의 패킷 전송 모드 이전의 패킷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말한다. 이동국은 해당하는 타임슬롯에 대해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출력 전력을 계산한다.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국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정의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패킷 전송 모드에서 이동국은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S310). 패킷 전송 모드 중에 네트워크는 패킷 파워 제어/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메시지를 보내 이동국의 파워 및/또는 TA를 갱신할 수 있다(S320). TA는 이동국에서의 전파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기지국으로의 송신 타이밍을 앞당기는데 사용되는 값이라 할 수 있다. 패킷 파워 제어/타이밍 어드밴스 메시지는 PACCH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패킷 파워 제어/타이밍 어드밴스 메시지를 통해 TA만을 갱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가 TA만을 보내주는 경우이다. TA가 갱신된 경우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을 구한다.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현재 패킷 전송 모드에서 해당하는 타임슬롯이 사용하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즉, 현재는 패킷 전송 모드 상태이므로 이전의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각 타임슬롯에는 이전에 사용했던 전송 전력 파라미터가 있다. 이 사용하던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을 구한다. 만약, 이전 전송 전력 파라미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할 수 있다.
패킷 파워 제어/타이밍 어드밴스 메시지를 통해 파워만을 갱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가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보내주는 경우이다. 이때는 수신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
패킷 파워 제어/타이밍 어드밴스 메시지를 통해 일부분의 타임슬롯에 대해서만 파워를 갱신할 수 있다. 전송 전력 파라미터가 주어지는 일부분의 타임슬롯에 대해서는 주어진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 전송 전력 파라미터가 주어지지 않는 나머지 타임슬롯에 대해서는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
패킷 파워 제어/타이밍 어드밴스 메시지를 통해 파워 및 TA를 모두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주어지지 않는 타임슬롯에 대해서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
이동국은 얻어진 전송 전력과 갱신된 파워 및 또는 TA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S330).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패킷 전송 모드에서 이동국은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S410). 패킷 전송 모드 중에 네트워크는 패킷 상향링크 ACK(Acknowledgment)/NACK(Non-Acknowledgment) 메시지를 보내 이동국의 파워 및/또는 TA를 갱신할 수 있다(S420). 패킷 상향링크 ACK/NACK 메시지는 수신한 RLC(Radio Link Control) 데이터 블록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네트워크에서 이동국으로 보내는 메시지로, PACCH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패킷 상향링크 ACK/NACK 메시지에는 파워 및/또는 TA가 포함되어, 파워 및/또는 TA를 갱신할 수 있다.
패킷 상향링크 ACK/NACK 메시지를 통해 파워만을 갱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가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보내주는 경우이다. 이때는 수신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
패킷 상향링크 ACK/NACK 메시지를 통해 일부분의 타임슬롯에 대해서만 파워를 갱신할 수 있다. 전송 전력 파라미터가 주어지는 일부분의 타임슬롯에 대해서는 주어진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 전송 전력 파라미터가 주어지지 않는 나머지 타임슬롯에 대해서는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
패킷 상향링크 ACK/NACK 메시지를 통해 파워 및 TA를 모두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주어지지 않는 타임슬롯에 대해서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
이동국은 얻어진 전송 전력과 갱신된 파워 및/또는 TA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S430).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패킷 전송 모드에서 이동국은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S510). 패킷 전송 모드 중에 네트워크는 패킷 타임슬롯 재설정 메시지를 보내 상향링크 타임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S520). 패킷 타임슬롯 재설정 메시지는 PACCH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패킷 타임슬롯 재설정 메시지는 이동국이 상향링크 전송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에 관한 정보 외에 타임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에 포함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구할 수 있다. 패킷 타임슬롯 재설정 메시지에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타임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정의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은 패킷 타임슬롯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타임슬롯을 할당받으면, 할당받은 타임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값은 영으로 할 수 있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취함으로써 패킷 타임슬롯 재설정 메시지를 받으면 할당된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을 계산하여, 이를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은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할당된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2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제1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현재 패킷 전송 모드에서 해당하는 타임슬롯이 사용하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즉, 할당받은 타임슬롯이 현재 패킷 전송 모드 상태에서 한번이라도 사용한 적이 있다면 이때 사용한 전송 전력 파라미터가 제1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된다. 제2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현재의 패킷 전송 모드 이전의 패킷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말한다. 즉 이전에 패킷 전송 모드로 있다가, 패킷 아이들 모드로 들어간 후 다시 현재의 패킷 전송 모드가 된 경우에서 이전 패킷 전송 모드에서 사용하던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제2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된다. 이동국은 제1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우선 순위를 두어, 제1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있으면 이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구할 수 있다. 제1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없고 제2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있으면, 제2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구할 수 있다. 제1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제2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모두 없으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국은 제1 이전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제2 이전 전력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만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구할 수 있다.
이동국은 얻어진 전송 전력과 할당된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S530).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국은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S610). 패킷 전송 모드 중에 네트워크는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를 보내 상향링크 타임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S620). 즉,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는 패킷 채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아닌 패킷 데이터 전송 중에 네트워크에서 이동국으로 보내져, 새로운 타임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할당된 타임슬롯에 대한 전송 전력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동국은 얻어진 전송 전력과 할당된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S630).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는 핸드오버 동안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9을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이동국으로 PACCH 상으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S710).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이동국에게 현재 셀을 떠나 새로운 셀로 변경을 명령하는 메시지이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새로운 셀에서 패킷 교환 서비스(packet-switched service)를 위해 할당된 무선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국은 할당된 타임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주어지지 않으면, 설정값으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이동국은 설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구한다.
이동국은 핸드오버 액세스(handover access)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S720). 핸드오버 액세스 메시지는 이동국이 이전 셀을 떠나 새로운 셀로 도착함을 네트워크가 인식하는 데 사용된다. 핸드오버 액세스 매시지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서 할당된 상향링크 TBF와 연관된 PACCH 상으로 보내진다.
셀이 변경되면 전송 전력 파라미터가 변경되어야 한다. 전송 전력 파라미터는 경로 감쇄(path loss)에 민감하고, 경로 감쇄는 이동국과 네트워크간 거리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핸드오버 동안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통해 타임슬롯만 할당되고, 별도의 전송 전력 파라미터가 주어지지 않으면, 설정값으로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전송 전력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되, 상기 전송 전력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어떤 전송 전력 파라미터로 할당되지 않으면 설정값(default value)이고,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상기 이동국에 의해 이미 사용 중이면 현재값인 단계; 및
    다음 식으로부터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전력 Pup 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여기서, 여기서, C0 는 전력 오프셋(power offset), CCH 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 r은 시스템 파라미터, L은 상기 이동국에서 정규화된 수신 신호 레벨, PMAX 는 셀에서 최대 허용 전송 전력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채널 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채널은 PDCH(packet data channel)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파라미터는 PBCCH(packet broadcast control channel) 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을 할당하는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에 대한 어떤 전력 제어 파라미터없이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을 할당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는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패킷 상향링크 할당(packet uplink assignment) 메시지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는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다중 TBF(temporary block flow)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인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는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패킷 타임슬롯 재설정(packet timeslot reconfigure) 메시지인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는 네트워크가 상기 이동국이 현재 셀을 떠나 새로운 셀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 메시지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를 갱신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를 갱신하고, 수신한 RLC(radio link control) 데이터 블록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0인 방법.
  1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 이동국이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이동국이 현재 셀을 떠나 새로운 셀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새로운 셀에서 패킷 교환(packet-switched)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무선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타임슬롯에 관한 정버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어떤 전송 전력 파라미터로 할당되지 않으면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다음 식으로부터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전력 Pup 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여기서, 여기서, C0 는 전력 오프셋(power offset), CCH 는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 r은 시스템 파라미터, L은 상기 이동국에서 정규화된 수신 신호 레벨, PMAX 는 셀에서 최대 허용 전송 전력이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현재 셀을 떠나 상기 새로운 셀로 도착함을 네트워크가 인식하도록 하는 핸드오버 액세스(handover access)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0인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PACCH(packet associated control channel) 상으로 수신되는 방법.
  17. 이동국에 있어서,
    전송 파워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전송 전력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RF부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할당된 타임슬롯의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결정하되, 상기 전송 전력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어떤 전송 전력 파라미터로 할당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값이고,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이 상기 이동국에 의해 이미 사용 중이면 현재값이고; 및
    다음 식으로부터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 전력 Pup 을 결정하는 이동국.
    여기서, 여기서, C0 는 전력 오프셋(power offset), CCH 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 r은 시스템 파라미터, L은 상기 이동국에서 정규화된 수신 신호 레벨, PMAX 는 셀에서 최대 허용 전송 전력이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는 핸드오버 동안 결정되는 이동국.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은 8개의 타임슬롯을 포함하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프레임의 일부인 이동국.
KR1020097011887A 2007-03-20 2008-03-1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KR101030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159 2007-03-20
KR20070027159 2007-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980A true KR20090093980A (ko) 2009-09-02
KR101030865B1 KR101030865B1 (ko) 2011-04-25

Family

ID=3976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887A KR101030865B1 (ko) 2007-03-20 2008-03-1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840232B2 (ko)
EP (1) EP2100394B1 (ko)
JP (1) JP5517625B2 (ko)
KR (1) KR101030865B1 (ko)
CN (1) CN101578790B (ko)
AT (1) ATE543272T1 (ko)
BR (1) BRPI0806738A2 (ko)
CA (1) CA2674572C (ko)
TW (1) TWI362191B (ko)
WO (1) WO2008114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304B1 (ko) * 2008-11-20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셀 경계에서의 서비스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155078B2 (en) * 2012-04-19 2015-10-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receiver timing advance provisioning
JP2014093628A (ja) * 2012-11-02 2014-05-19 Ntt Docomo Inc 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CN110049539A (zh) * 2018-01-16 2019-07-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功率控制参数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24031359A1 (en) * 2022-08-09 2024-02-15 Zte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22117C2 (ru) * 1998-04-08 2004-01-20 Нокиа Мобайл Фоунс Лтд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передачи отдельных частей радиопередачи
US6285886B1 (en) * 1999-07-08 2001-09-0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for a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multiple traffic channels per subscriber
US6754506B2 (en) * 2000-06-13 2004-06-22 At&T Wireless Services, Inc. TDM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enhanced power control
JP4574805B2 (ja) * 2000-06-30 2010-11-0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電力制御方法
US6560463B1 (en) * 2000-09-29 2003-05-06 Pulse-Link, Inc. Communication system
US6996415B2 (en) 2001-04-20 2006-02-07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n a reverse link channel
US6952591B2 (en) 2001-11-20 2005-10-04 Lucent Technologies Inc. Uplink power control algorithm
US7133689B2 (en) * 2002-09-12 2006-11-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downlink outer loop power to control target SIR
KR100964669B1 (ko) * 2003-05-10 201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 패킷 데이터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US7050412B2 (en) * 2003-06-23 2006-05-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measurement value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7373168B1 (en) * 2005-01-12 2008-05-13 The Aerospace Corporation Power controlled fading communication channel system
KR101241884B1 (ko) * 2006-04-10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결정 방법
KR101253167B1 (ko) * 2006-08-1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상향링크 출력 전력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2191B (en) 2012-04-11
WO2008114987A1 (en) 2008-09-25
CN101578790B (zh) 2012-10-31
BRPI0806738A2 (pt) 2011-09-13
TW200845623A (en) 2008-11-16
CA2674572C (en) 2012-11-27
US20080233993A1 (en) 2008-09-25
EP2100394B1 (en) 2012-01-25
EP2100394A1 (en) 2009-09-16
ATE543272T1 (de) 2012-02-15
CN101578790A (zh) 2009-11-11
US7840232B2 (en) 2010-11-23
JP5517625B2 (ja) 2014-06-11
KR101030865B1 (ko) 2011-04-25
EP2100394A4 (en) 2010-08-25
JP2010514250A (ja) 2010-04-30
CA2674572A1 (en)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3193B1 (e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and device, and discontinuous transmission method
EP1949562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 measurement report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7894390B2 (en) User equipment for communicating data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7848279B2 (en) User equipment
EP2078342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random access channel message and response mess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70374702A1 (en)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random access
JP5273200B2 (ja) 上りリンクシグナリング情報の通信
US20090046641A1 (en) Long term evolution medium access control procedures
EP1248476A1 (en) Packet 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891818B1 (en) Method in the selection of a transfer window, and a mobile station
US20020080758A1 (en) Method of reporting radio access capacity information from a mobile station to a mobile radio network in packet mode
KR10103086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CN108352939B (zh) 用于确定延长时段的通信设备、核心网络节点及其方法
KR20100034666A (ko) 비정상적 상황을 처리하는 이동국
KR20090102524A (ko) Egprs2 시스템에서 셀 정보 전송 방법
EP1734703A1 (en) Fast time slot allocation in GPRS networks
KR20080029399A (ko) 무선 통신 접속 방법 및 경합 해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