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591A - 가상 공간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가상 공간 이동장치 및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가상 공간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가상 공간 이동장치 및이를 위한 기록매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591A
KR20090093591A KR1020080019197A KR20080019197A KR20090093591A KR 20090093591 A KR20090093591 A KR 20090093591A KR 1020080019197 A KR1020080019197 A KR 1020080019197A KR 20080019197 A KR20080019197 A KR 20080019197A KR 20090093591 A KR20090093591 A KR 20090093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formation
recognition
virtual
sens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438B1 (ko
Inventor
최명렬
장승운
김진철
Original Assignee
장승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운 filed Critical 장승운
Priority to KR102008001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438B1/ko
Priority to PCT/KR2009/000981 priority patent/WO2009108022A2/ko
Priority to US12/920,318 priority patent/US20110006883A1/en
Publication of KR20090093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공간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가상 공간 이동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물리적 작업공간 상에 상기 물품 입출고에 따른 가상의 작업공간 영역을 구분하는 가상선을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구비하고, 상기 가상선 양측에 복수의 인식 센서를 일정 간격으로 매립하여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작업공간을 이동하고 있는 센서인식 리더의 가상선 통과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안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1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고,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2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공간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가상 공간 이동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irtual Area, Virtual Area Mov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상기 작업공간을 이동하고 있는 센서인식 리더의 가상선 통과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안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1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고,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2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정한 물리적 공간이 존재할 때, 사람은 이러한 공간을 일정한 구분선 등의 방법으로 인지할 수 있으나, 지게차, 운송차량 등의 장비나 장치가 이러한 공간을 인지하기 위하여 무선을 이용한 삼각측정법이나, 고정형 작업경로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삼각측정법은 정확도에 비례하여 기하급수적으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고정형 작업경로는 일시에 많은 작업이 몰리는 환경에서 작업 처리가 난해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매립된 인식 센서로부터 리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1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1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하는 진출 확인수단과,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2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2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하는 진입 확인수단을 구비하는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물리적 작업공간 상에 상기 물품 입출고에 따른 가상의 작업공간 영역을 구분하는 가상선을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구비하고, 상기 가상선 양측에 복수의 인식 센서를 일정 간격으로 매립하여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작업공간을 이동하고 있는 센서인식 리더의 가상선 통과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안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1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고,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2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 방법은, 상기 확인결과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RIFD 리더가 부착된 이동장치-지게차, 또는 운송차량-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에서 출고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 방법은,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 방법은, 상기 확인결과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RIFD 리더가 부착된 이동장치-지게차, 또는 운송차량-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입고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정보와 제2 센서 정보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홀수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짝수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짝수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홀수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0'(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0'으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1'(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1'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1'(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1'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0'(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0'으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TRUE'(또는 'TRU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FALSE'(또는 'FALS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FALSE'(또는 'FALS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TRUE'(또는 'TRU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술한 가상 공간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물리적 작업공간 상에 상기 물품 입출고에 따른 가상의 작업공간 영역을 구분하는 가상선을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구비하고, 상기 가상선 양측에 복수의 인식 센서를 매립하고,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안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1 센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2 센서 정보를 저장된 공간을 이동하는 가상 공간 이동장치는,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매립된 인식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순차적으로 리딩하는 센서인식 리더와, 복수의 입출고 대상 물품에 구비된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리딩하는 RFID 리더와, 상기 센서인식 리더를 통해 순차적으로 리딩되는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또는 순차적으로 리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판독하여 확인된 물품 입고 정보, 또는 물품 출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RFID 리더를 통해 리딩되는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 이동장치는, 상기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1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되면,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1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되면,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하는 처리모듈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RFID 리더로부터 리딩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확인하고,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RFID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에서 출고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2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되면,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2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되면,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RFID 리더로부터 리딩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확인하고,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RFID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입고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인식 리더는, 작업공간 바닥에 매립된 인식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하도록 상기 작업공간 바닥 방향으로 지향된 하나 이상의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물리적 작업공간 상에 상기 물품 입출고에 따른 가상의 작업공간 영역을 구분하는 가상선을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구비하고, 상기 가상선 양측에 복수의 인식 센서를 매립하고,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안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1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고,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2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여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매립된 인식 센서로부터 리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1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1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하는 진출 확인수단과,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2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2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하는 진입 확인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통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즉,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단은 이하 실시예에 도시되는 시스템 상에 구비되는 서버(또는 단말) 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 구성부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능 구성부의 연합일 수 있다. 또한, 이하 실시예에 도시되는 서버(또는 단말)은 편의상 본 발명의 진보적인 기술적 특징을 이루기 위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능 구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상기 서버(또는 단말) 내에 도시되는 기능 구성부는 상술된 수단과 매칭되어 각 기능 구성부의 역할과 기능 및 해당 서버(또는 단말) 운용자(또는 운용기관)에 따라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서버(또는 단말)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복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물리적 작업공간 상에 상기 물품 입출고에 따른 가상의 작업공간 영역을 구분하는 가상선을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구비하고, 상기 가상선 양측에 복수의 인식 센서(105)를 일정 간격으로 매립(또는 부착)하고,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이동하고 있는 이동장치(예컨대, 지게차, 또는 운송차량)의 하단부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가 상기 가상선 통과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 작업공간 안쪽에 매립(또는 부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105)에 제1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고,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또는 부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105)에 제2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한 한 후,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구비한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상에서 상기 가상선 근처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리딩되는 두개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선을 통과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상기 이동장치의 진입/진출(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의 입고/출고)를 자동 인식하는 가상 공간관리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공간관리를 위해 복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물리적 작업공간 바닥에 상기 물품 입출고에 따른 가상의 작업공간 영역을 구분하는 폐쇄형 가상선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가상 작업공간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선 양측에 복수의 인식 센서(105)를 쌍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매립(또는 부착)한 후,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 작업공간 안쪽에 매립(또는 부착)된 복수의 인식 센서(105)에 제1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고,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또는 부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105)에 제2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안쪽에 매립(또는 부착)된 복수의 인식 센서(105)는 모두 동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일관되게 저장되고, 상기 가상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또는 부착)된 복수의 인식 센서(105)는 모두 상기 제1 센서 정보와 쌍을 이루는 동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일관되게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홀수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짝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짝수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홀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0'(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0'으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1'(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1'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1'(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1'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0'(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0'으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TRUE'(또는 'TRU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FALSE'(또는 'FALS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FALSE'(또는 'FALS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TRUE'(또는 'TRU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 센서(105)는 ISO 18000 시리즈 무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무선통신하고, RFID 코드 체계에 따른 센서 정보(=RFID 코드)를 구비한 RFID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이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 센서(105)는 호핑(Hopping) 신호,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상기 센서 정보를 포함하여 무선 송출하는 무선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 센서(105)는 센서 정보를 기 설정된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여 도시한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또는 컬러 코드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광학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사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 센서(105)는 센서 정보를 자기화하여 기록한 자기띠(Magnetic Stripe), 자기발생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에서 작업하고 있는 이동장치(예컨대, 지게차, 또는 운송차량)는 하단부(예컨대, 상기 이동장치에서 가상선 양측에 매립(또는 부착)된 인식 센서(105)를 리딩할 수 있도록 위치)에 하나 이상의 센서인식 리더(100)(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 센서(105)가 상기 RFID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ISO 18000 시리즈 무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인식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리딩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이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 센서(105)가 무선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상기 무선 센서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 센서(105)가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상기 광학 센서를 광학 스캔하여 인식하는 바코드 리더, 2차원 바코드 리더, 컬러 코드 리더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사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 센서(105)가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바닦면에 접촉하여 상기 자기띠로부터 리딩하는 자기인식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자기발생장치가 발생하는 자장을 인식하는 자장 리더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상에서 이동 중, 상기 가상선 근처에 접근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통해 상기 가상선 양측에 매립(또는 부착)된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가 리딩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가 리딩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가 리딩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가 리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진출하지 않고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경우,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부터 아직 출고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로 진출하여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경우,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부터 출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진입하지 않고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경우,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부터 아직 입고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로 진입하여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경우,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입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장치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인식 리더(100)는 작업공간 바닥에 매립(또는 부착)된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1 내지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하도록 상기 작업공간 바닥 방향으로 지향된 하나 이상의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하나 이상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265)를 리딩하여 인식하는 하나 이상의 RFID 리더(25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 내지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정보(예컨대,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리딩되는 제1 센서 정보 내지 제2 센서 정보, 또는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되는 RIFD 코드 정보)를 통신망(예컨대, 무선 통신망,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이동장치의 가상 작업공간 진입/진출(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의 입고/출고)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인식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 내지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정보(예컨대,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리딩되는 제1 센서 정보 내지 제2 센서 정보, 또는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되는 RIFD 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장치의 가상 작업공간 진입/진출(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의 입고/출고) 여부를 확인하는 처리모듈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가상 공간관리 개념에 따라 가상 작업공간을 구분하는 가상선 양측에 쌍을 이루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복수의 인식 센서(105)와 상기 가상 작업공간을 이동하는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와 RFID 리더(250)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장치의 가상 작업공간 진입/진출(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가상 작업공간 입고/출고)를 인식하는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2에서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구비한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상에서 상기 가상선 근처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리딩되는 두개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선을 통과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상기 이동장치의 진입/진출(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의 입고/출고)를 자동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 또는 기능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정보처리 장치(205)"라고 한다.
본 도면2에서 상기 정보처리 장치(205)는 편의상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255)과 무선 통신망(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외부 장치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정보처리 장치(205)는 상기 물리적 작업공간(또는 상기 가상선을 물리적 작업공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가상 작업공간)을 이동하는 각 인식장치에 구비된 처리모듈(260) 형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물리적 작업공간(또는 상기 가상선을 물리적 작업공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가상 작업공간)에 구비된 물품에 대한 입출고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관리 서버(200)에 구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은, 물리적 작업공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가상 작업공간을 구분하는 가상선 양측에 쌍을 이루어 일정 간격으로 매립(또는 부착)된 복수의 인식 센서(105)와, 상기 가상 작업공간을 이동하는 이동장치의 하단부(예컨대, 상기 이동장치에서 가상선 양측에 매립(또는 부착)된 인식 센서(105)를 리딩할 수 있도록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하는 센서인식 리더(100)와,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예컨대, EPC 코드, ISO 코드)를 리딩하는 RFID 리더(250)와,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 내지 RFID 리더(250)를 통해 리딩된 정보(예컨대,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리딩되는 인식 센서 정보(예컨대, 제1 센서 정보 내지 제2 센서 정보), 또는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되는 RIFD 코드 정보)를 무선 통신망,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모듈(255)과, 상기 통신모듈(255)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 중 순차적으로 인식된 인식 센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상기 이동장치의 진입/진출을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 중 RFID 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입고/출고를 확인하는 정보처리 장치(20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처리 장치(205)와 연계하여 상기 물리적 작업공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물품 입출고를 관리하는 중앙관리 서버(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을 참조 및/또는 응용하여 상기 정보처리 장치(205)가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처리모듈(260) 형태로 구현되는 실시 방법, 또는 상기 정보처리 장치(205)가 상기 중앙관리 서버(200)의 기능 구성요소로 구현되는 되는 실시 방법 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물리적 작업공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물품 입출고를 관리하는 중앙관리 서버(200)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인식 센서(105)는 물리적 작업공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가상 작업공간을 구분하는 가상선 양측에 쌍을 이루어 일정 간격으로 매립(또는 부착)된 RFID태그(또는 장치)로서,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가상 작업공간 내에 구비된 복수의 인식 센서(105)는 모두 동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일관되게 저장되고,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가상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또는 부착)된 복수의 인식 센서(105)는 모두 상기 제1 센서 정보와 쌍을 이루는 동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일관되게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홀수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짝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짝수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홀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0'(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0'으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1'(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1'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1'(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1'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0'(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0'으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TRUE'(또는 'TRU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FALSE'(또는 'FALS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FALSE'(또는 'FALS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TRUE'(또는 'TRU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 센서(105)는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 송수신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매립(또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을 이동하는 이동장치의 하단부(예컨대, 상기 이동장치에서 가상선 양측에 매립(또는 부착)된 인식 센서(105)를 리딩할 수 있도록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매립(또는 부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1 내지 제2 센서 정보를 주기적으로 리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 대한 상세한 기능 구성을 도면3에 도시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265)로부터 RFID 코드 정보를 인식하지 않고,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매립(또는 부착)된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1 내지 제2 센서 정보를 주기적으로 리딩하기 위해 상기 작업공간 바닥 방향으로 지향된 하나 이상의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와 상기 이동장치의 물품 적재공간 사이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상기 물품 적재공간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무선 주파수 차단막(예컨대, 전도성 물질, 또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그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진출하지 않고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경우,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부터 아직 출고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로 진출하여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경우,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부터 출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진입하지 않고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경우,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부터 아직 입고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로 진입하여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경우,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입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리더(250)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예컨대, EPC 코드, ISO 코드)를 리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RFID 리더(250)가 상기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예컨대, EPC 코드, ISO 코드)를 리딩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통신모듈(255)은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제1 센서 정보 내지 제2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리딩된 제1 센서 정보 내지 제2 센서 정보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인식 센서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 장치(205)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255)은 상기 RFID 리더(250)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가 리딩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리딩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 장치(205)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 장치(205)에 구비된 상기 이동장치의 진입/진출 확인 기능(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입고/출고 확인 기능)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처리모듈(260)에 구비되고, 상기 처리모듈(260)에서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 내지 RFID 리더(250)와 연계하여 상기 이동장치의 진입/진출 확인 정보(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입고/출고 확인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처리모듈(260)과 연동하여 상기 이동장치의 진입/진출 확인 정보(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입고/출고 확인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처리 장치(205)는, 무선 통신망(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255)과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 또는 상기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채널(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통신부(210)(또는 통신수단)와, 상기 통신부(210)와 연계하여 상기 통신모듈(255)로부터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215)(또는 정보 수신수단)와, 상기 수신된 인식 센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동종의 인식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되었는지, 또는 이종의 인식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되었는지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220)(또는 정보 확인수단)와, 상기 인식 센서 정보의 확인결과,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동종의 인식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구비한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이종의 인식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구비한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하는 진입 확인부(225)(또는 진입 확인수단)와, 상기 인식 센서 정보의 확인결과,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동종의 인식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구비한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진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이종의 인식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구비한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확인하는 진출 확인부(230)(또는 진출 확인수단)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망(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IEEE 802.11a/b/g/n/p , IEEE 802.16, IEEE 802.15 등)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255)과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 또는 상기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채널(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255)에서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215)는 상기 통신부(210)와 연계하여 상기 통신모듈(255)로부터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255)에서 상기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RFID 코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215)는 상기 통신부(210)와 연계하여 상기 통신모듈(255)로부터 상기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RFID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255)에서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와, 상기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RFID 코드 정보를 통합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215)는 상기 통신부(210)와 연계하여 상기 통신모듈(255)로부터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와 상기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RFID 코드 정보를 통합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215)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255)에서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확인부(220)는 상기 수신된 인식 센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동종의 인식 센서 정보(예컨대, 제1 센서 정보 리딩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 리딩, 또는 제2 센서 정보 리딩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 리딩)가 순차적으로 리딩되었는지, 또는 이종의 인식 센서 정보(예컨대, 제1 센서 정보 리딩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 리딩, 또는 제2 센서 정보 리딩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 리딩)가 순차적으로 리딩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확인부(220)의 확인결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진입 확인부(225)는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진입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정보 확인부(220)의 확인결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진입 확인부(225)는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로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확인부(220)의 확인결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진출 확인부(230)는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진출하지 않고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정보 확인부(220)의 확인결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진출 확인부(230)는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로 진출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처리 장치(205)는,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수신부(215)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가 확인되면,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공간으로 입고된 것으로 확인하는 입고 확인부(235)(또는 입고 확인수단)와,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진출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수신부(215)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가 확인되면,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공간으로부터 출고된 것으로 확인하는 출고 확인부(240)(또는 출고 확인수단)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입 확인부(225)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입고 확인부(235)는 상기 정보 수신부(215)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결과 상기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가 확인되면,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공간으로 입고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출 확인부(230)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진출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고 확인부(240)는 상기 정보 수신부(215)를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결과 상기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가 확인되면,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공간으로부터 출고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처리 장치(205)는,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진입 확인 정보를 상기 중앙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입고된 것이 확인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입고 확인 정보를 상기 중앙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진출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진출 확인 정보를 상기 중앙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출고된 것이 확인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출고 확인 정보를 상기 중앙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245)(또는 정보 전송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입 확인부(225)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245)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진입 확인 정보를 상기 중앙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진입 확인 정보는, 상기 이동장치 식별정보(예컨대,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 내지 팔레트 식별정보(예컨대,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와 가상 작업공간 정보(예컨대, 작업 가상공간 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출 확인부(230)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진출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245)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진출 확인 정보를 상기 중앙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진출 확인 정보는, 상기 이동장치 식별정보(예컨대,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 내지 팔레트 식별정보(예컨대,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와 가상 작업공간 정보(예컨대, 작업 가상공간 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고 확인부(235)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입고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245)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입고 확인 정보를 상기 중앙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입고 확인 정보는, 상기 이동장치 식별정보(예컨대,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 내지 팔레트 식별정보(예컨대,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와 가상 작업공간 정보(예컨대, 작업 가상공간 ID 정보) 및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고 확인부(240)에 의해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출고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245)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출고 확인 정보를 상기 중앙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출고 확인 정보는, 상기 이동장치 식별정보(예컨대,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 내지 팔레트 식별정보(예컨대,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와 가상 작업공간 정보(예컨대, 작업 가상공간 ID 정보) 및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센서인식 리더(100)와 인식 센서(10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와 작업공간 바닥면의 설정된 가상선 양측에 매립(또는 부착)된 인식 센서(105)에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인식 센서(105)가 RFID 센서이고,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가 RFID 리더인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와 인식 센서(105)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식 센서(105)가 무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실시 방법, 또는 상기 인식 센서(105)가 광학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바코드 리더 또는 2차원 바코드 리더 또는 컬러 코드 리더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실시 방법, 또는 상기 인식 센서(105)가 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자기인식장치 또는 자장 리더를 포함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인식 센서(105)는 RF칩과 안테나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당업자의 의도 내지 주파수 영역(또는 주파수 변조 방식)에 따라, 상기 RF칩은 소정의 논리소자와 메모리 소자가 구비된 간단한 RF칩부터 비접촉식 IC카드용 IC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인식 센서(105)의 기능구성은 인식 센서(105)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MCU(MicroController Unit) 블록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인식 센서(105)의 기능구성이 본 도면3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인식 센서(105)는 센서인식 리더(100)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대의 무선 주파수 신호(전파)를 송수신하는(또는 에너지원(전원)을 공급받는) 역할을 수행하는 안테나부(355)와, 소정의 인식 센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75)와, 클럭 발생부(360)와, 전원부(365)와, 명령어 검출부(370)와, 엔코더부(380)와, 변조 절차부(385) 및 변조 스위치부(390)로 구성되는데, 상기 인식 센서(105)의 메모리부(375)는 EPC(Electronic Product Code) 및/또는 U-코드 및/또는 ISO/IEC 15963 및/또는 당업자의 의도(또는 적용분야)에 따른 임의의 코드값을 포함하는 인식 센서 정보를 미리 정의된 메모리 구조에 따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365)는 수동형 인식 센서(105)의 경우 상기 안테나부(355)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소정의 전압치를 갖는 소정의 전원을 생성하거나, 능동형 인식 센서(105)의 경우 소정의 전원을 충전하여 저장하며, 상기 전원은 상기 인식 센서(105) 전체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클럭 발생부(360)는 상기 안테나부(355)로부터 입력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반으로 소정의 클럭을 발생하고, 상기 명령어 검출부(370)는 상기 안테나부(355)로부터 입력된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소정의 명령어를 검출하는데, 상기 클럭과 상기 명령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375)로부터 소정의 인식 센서 정보가 추출되어 상기 엔코더부(380)로 제공된다. 상기 엔코더부(380)에 의해 엔코딩된 상기 인식 센서 정보는 상기 변조 절차부(385)에 의한 소정의 변조 절차에 기반으로 상기 변조 스위치부(390)에 의해 변조되어 상기 안테나부(355)를 통해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375)는 읽기전용 메모리(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및/또는 읽기/쓰기 메모리(예컨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한 번 쓰고 여러 번 읽기(Write Once Read Many: WORM) 메모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인식 센서(105)를 향해 소정의 전파를 방출하거나 또는 받아들이는 전자회로와, 상기 전자회로와 연계하여 상기 인식 센서(105)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출 및/또는 받아들이는 안테나와,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수신되는 신호(Signal)를 판독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추출 및 검증(Check)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상기 안테나부(325)(예컨대, 지향성 안테타)를 통해 방출(송출)할 무선 주파수 신호를 위한 발진부(310)와 상기 안테나부(325)를 통해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송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15)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안테나부를 통해 방출(송출)하기 위해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320) 및 상기 안테나부(325)를 통해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피크(Peak)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검출된 피크를 정형화(Shaping)하는 정형부(345) 및/또는 상기 피크를 증폭(Amplifying)하는 증폭부(340) 및/또는 상기 피크를 필터링(Filtering)하는 필터부(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15)는 상기 피크(예컨대, 정형화 및/또는 증폭 및/또는 필터링된 피크)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판독(해독)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와 인식 센서(105) 간 무선 주파수 신호 송수신은 진폭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주파수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위상 변조(Phase Shift Keying; PSK)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조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와 인식 센서(105) 간 무선 주파수 신호 송수신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를 위한 정보를 리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 상의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가상선 양측에 쌍을 이루어 매립(또는 부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순차적으로 리딩하고,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리더(250)에서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하나 이상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리딩한 후, 상기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 내지 RFID 코드 정보를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 상의 정보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가상 공간관리를 위한 정보를 리딩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 이외에 상기 정보처리 장치가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처리모듈 형태로 구현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 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는 작업공간 바닥면 상의 가상선 양측에 쌍을 이루어 매립(또는 부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가 리딩되는지 확인한다(400).
만약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가 리딩되는 것이 확인되면(405),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순차적으로 리딩한다(4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무선 주파수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인식 센서(105)로부터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단위 시간 동안 동시에 리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단위 시간 동안 동종의 인식 센서 정보가 동시에 리딩되는 경우, 상기 동종의 인식 센서 정보가 먼저 수신되는 것으로 처리하고, 다음 단위 시간 내에 동종의 인식 센서 정보와 이종의 센서 정보가 혼합하여 리딩되는 경우, 이전 단위 시간에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와 다른 이종의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은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리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무선 통신망(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 전송한다(415).
또한,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상기 RFID 리더(250)는 상기 이동장치의 적재공간에 적재된 물품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가 리딩되는지 확인한다(420).
만약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가 리딩되는 것이 확인되면(425), 상기 RFID 리더(250)는 상기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리딩하고(430), 상기 리딩된 RFID 코드 정보가 이전 단위 시간에 리딩된 RFID 코드 정보와 변화된 것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4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태그(265)로부터 상기 리딩된 RFID 코드 정보가 이전 단위 시간 동안 리딩된 RFID 코드 정보에 대비하여 변화되었다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적재공간에 신규 물품이 추가 적재되거나, 또는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이 하역된 것이다.
만약 상기 리딩된 RFID 코드 정보가 이전 단위 시간에 리딩된 RFID 코드 정보와 변화된 것이 존재하면(440), 상기 통신모듈을 상기 RFID 리더(250)를 통해 리딩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무선 통신망(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 전송한다(445).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를 위한 정보를 리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 상의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가상선 양측에 쌍을 이루어 매립(또는 부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순차적으로 리딩하고,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리더(250)에서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하나 이상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리딩한 후, 상기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와 RFID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 상의 정보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가상 공간관리를 위한 정보를 리딩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 이외에 상기 정보처리 장치가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처리모듈 형태로 구현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 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는 작업공간 바닥면 상의 가상선 양측에 쌍을 이루어 매립(또는 부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가 리딩되는지 확인한다(500).
만약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가 리딩되는 것이 확인되면(505),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105)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순차적으로 리딩한다(5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무선 주파수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인식 센서(105)로부터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단위 시간 동안 동시에 리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는 단위 시간 동안 동종의 인식 센서 정보가 동시에 리딩되는 경우, 상기 동종의 인식 센서 정보가 먼저 수신되는 것으로 처리하고, 다음 단위 시간 내에 동종의 인식 센서 정보와 이종의 센서 정보가 혼합하여 리딩되는 경우, 이전 단위 시간에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와 다른 이종의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상기 RFID 리더(250)는 상기 이동장치의 적재공간에 적재된 물품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가 리딩되는지 확인한다(520).
만약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가 리딩되는 것이 확인되지 않으면(525),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와 RFID 코드 미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고(530), 상기 생성된 정보를 무선 통신망(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 전송한다(545).
반면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가 리딩되는 것이 확인되면(525), 상기 RFID 리더(250)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265)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리딩하고(535), 상기 센서인식 리더(1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와 RFID 리더(250)로부터 리딩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고(540), 상기 생성된 정보를 무선 통신망(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 전송한다(545).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 상의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와 RFID 리더(250)에 의해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와 RFID 코드 정보가 상기 도면4 또는 도면5에 도시된 정보를 리딩하는 과정을 통해 정보처리 장치로 전송되면,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서 상기 리딩된 인식 센서 정보와 RFID 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상기 이동장치의 진입/진출(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의 입고/출고)를 인식하여 상기 가상 공간을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가상 공간관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6에서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정보처리 장치를 편의상 "장치"라고 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상기 도면4 또는 도면5에 도시된 정보를 리딩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로부터 인식 센서 정보와 RFID 코드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600).
만약 상기 정보가 수신된 것이 확인되면(605),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된 RIFD 센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상기 이동장치의 진입/진출 여부를 확인한다(6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된 인식 센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동종의 인식 센서 정보(예컨대, 제1 센서 정보 리딩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 리딩, 또는 제2 센서 정보 리딩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 리딩)가 순차적으로 리딩되었는지, 또는 이종의 인식 센서 정보(예컨대, 제1 센서 정보 리딩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 리딩, 또는 제2 센서 정보 리딩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 리딩)가 순차적으로 리딩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진입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확인결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로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진출하지 않고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확인결과 상기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100)에서 상기 인식 센서(105)로부터 상기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상 작업공간 외부로 진출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615),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를 확인한다(620).
만약 상기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가 확인되면(625),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를 확인하고(630), 상기 확인된 RFID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입고 확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리 서버로 전송한다(635)
여기서,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입고 확인 정보는, 상기 이동장치 식별정보(예컨대,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 내지 팔레트 식별정보(예컨대,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와 가상 작업공간 정보(예컨대, 작업 가상공간 ID 정보) 및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가 확인되지 않으면(625), 상기 장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이동장치의 진입 확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리 서버로 전송한다(640)
여기서,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진입 확인 정보는, 상기 이동장치 식별정보(예컨대,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 내지 팔레트 식별정보(예컨대,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와 가상 작업공간 정보(예컨대, 작업 가상공간 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 작업공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이 확인되면(645),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를 확인한다(650).
만약 상기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가 확인되면(655),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를 확인하고(660), 상기 확인된 RFID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출고 확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리 서버로 전송한다(665)
여기서,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물품에 대한 출고 확인 정보는, 상기 이동장치 식별정보(예컨대,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 내지 팔레트 식별정보(예컨대,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와 가상 작업공간 정보(예컨대, 작업 가상공간 ID 정보) 및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RFID 코드 정보(또는 RFID 코드 정보의 리딩 여부)가 확인되지 않으면(655), 상기 장치는 상기 가상 작업공간에 대한 이동장치의 진출 확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리 서버로 전송한다(670)
여기서,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진출 확인 정보는, 상기 이동장치 식별정보(예컨대, 이동장치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 내지 팔레트 식별정보(예컨대,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에 구비된 RFID 태그 정보)와 가상 작업공간 정보(예컨대, 작업 가상공간 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물리적 작업공간 상에 상기 물품 입출고에 따른 가상의 작업공간 영역을 구분하는 가상선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 작업공간을 구분하는 가상선 양측에 쌍을 이루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복수의 인식 센서와 상기 가상 작업공간을 이동하는 이동장치에 구비된 센서인식 리더와 물품 인식용 RFID 리더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장치의 가상 작업공간 진입/진출 여부를 자동 인식하여 관리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장치에 적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가상 작업공간 입고/출고를 자동 인식하여 관리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센서인식 리더와 인식 센서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를 위한 정보를 리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를 위한 정보를 리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상 공간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센서인식 리더 105 : 인식 센서

Claims (13)

  1. 복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물리적 작업공간 상에 상기 물품 입출고에 따른 가상의 작업공간 영역을 구분하는 가상선을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구비하고, 상기 가상선 양측에 복수의 인식 센서를 일정 간격으로 매립하여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을 이동하고 있는 센서인식 리더의 가상선 통과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안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1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고,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2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결과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RIFD 리더가 부착된 이동장치-지게차, 또는 운송차량-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에서 출고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서 제2 센서 정보를 리딩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를 리딩하면,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결과 상기 센서인식 리더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RIFD 리더가 부착된 이동장치-지게차, 또는 운송차량-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동장치에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입고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정보와 제2 센서 정보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홀수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짝수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짝수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홀수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0'(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0'으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1'(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1'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1'(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1'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0'(또는 상기 센서인식 리더에 구비된 정보와 비트연산을 통해 '0'으로 산출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TRUE'(또는 'TRU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FALSE'(또는 'FALS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센서 정보가 'FALSE'(또는 'FALS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2 센서 정보는 'TRUE'(또는 'TRUE'로 인식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관리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복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물리적 작업공간 상에 상기 물품 입출고에 따른 가상의 작업공간 영역을 구분하는 가상선을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구비하고, 상기 가상선 양측에 복수의 인식 센서를 매립하고,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안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1 센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2 센서 정보를 저장된 공간을 이동하는 가상 공간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매립된 인식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순차적으로 리딩하는 센서인식 리더;
    복수의 입출고 대상 물품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리딩하는 RFID 리더;
    상기 센서인식 리더를 통해 순차적으로 리딩되는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또는 순차적으로 리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판독하여 확인된 물품 입고 정보, 또는 물품 출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RFID 리더를 통해 리딩되는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이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1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되면,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1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되면,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하는 처리모듈;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이동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RFID 리더로부터 리딩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확인하고,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RFID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에서 출고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이동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2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되면,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2 센서 정보가 리딩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리딩되면,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이동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RFID 리더로부터 리딩된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를 확인하고, 하나 이상의 RFID 코드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RFID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이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입고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이동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인식 리더는,
    작업공간 바닥에 매립된 인식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하도록 상기 작업공간 바닥 방향으로 지향된 하나 이상의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 이동장치.
  13. 복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물리적 작업공간 상에 상기 물품 입출고에 따른 가상의 작업공간 영역을 구분하는 가상선을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구비하고, 상기 가상선 양측에 복수의 인식 센서를 매립하고,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안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1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고,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 바깥쪽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에 제2 센서 정보를 일관되게 저장하여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 바닥에 매립된 인식 센서로부터 리딩된 하나 이상의 인식 센서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1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동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1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이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하는 진출 확인수단;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2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동종의 제2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인식 센서 정보 중 제2 센서 정보가 수신된 후 이종의 제1 센서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인식 센서 정보를 리딩한 가상 공간 이동장치가 상기 가상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하는 진입 확인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관리 시스템.
KR1020080019197A 2008-02-29 2008-02-29 가상 공간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가상 공간 이동장치 및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026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197A KR101026438B1 (ko) 2008-02-29 2008-02-29 가상 공간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가상 공간 이동장치 및이를 위한 기록매체
PCT/KR2009/000981 WO2009108022A2 (ko) 2008-02-29 2009-02-27 가상공간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2/920,318 US20110006883A1 (en) 2008-02-29 2009-02-27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rtual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197A KR101026438B1 (ko) 2008-02-29 2008-02-29 가상 공간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가상 공간 이동장치 및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591A true KR20090093591A (ko) 2009-09-02
KR101026438B1 KR101026438B1 (ko) 2011-04-07

Family

ID=4101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197A KR101026438B1 (ko) 2008-02-29 2008-02-29 가상 공간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가상 공간 이동장치 및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06883A1 (ko)
KR (1) KR101026438B1 (ko)
WO (1) WO20091080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7306B (zh) * 2012-03-01 2016-08-10 上海宏曲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rfid的指定路线现场管理防止乱倾倒方法
US9331964B2 (en) * 2013-02-26 2016-05-03 Creating Revolution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virtual bucket to transfer electronic data
US20150046557A1 (en) * 2013-02-10 2015-02-12 Einar Rosenber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virtual bucket to transfer electronic data
US20140351364A1 (en) * 2013-02-26 2014-11-27 Einar Rosenber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virtual bucket to transfer electronic data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4838A (en) * 1976-12-29 1978-11-07 Science Accessories Corporation Apparatus for position determination
JP3330710B2 (ja) * 1993-12-30 2002-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ロボットの位置検知および制御装置
US5963134A (en) * 1997-07-24 1999-10-05 Checkpoint Systems, Inc. Inventory system using articles with RFID tags
JP2000255714A (ja) 1999-03-08 2000-09-19 Toshiba Corp 物品管理システム
JP2001225915A (ja) * 2000-02-09 2001-08-21 Hitachi Ltd 商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商品情報記憶媒体
US6600418B2 (en) * 2000-12-12 2003-07-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bject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KR20030080436A (ko) * 2002-04-08 200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로봇의 위치측정 장치 및 방법
US6671651B2 (en) * 2002-04-26 2003-12-30 Sensable Technologies, Inc. 3-D selection and manipulation with a multiple dimension haptic interface
KR100478452B1 (ko) * 2002-06-12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로봇의 위치 및 방향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04210430A (ja) * 2002-12-27 2004-07-29 Sumika Logistics (West) Co Ltd 倉庫における荷物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EP1719086B1 (en) * 2004-01-27 2013-03-27 Richard Harry Turn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tracking of objects within a defined area
US20050246661A1 (en) * 2004-04-30 2005-11-03 Udo Klein Associating physical items with recorded information
US20070045018A1 (en) * 2005-08-25 2007-03-01 Carter Scott J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ed vehicles near a restricted region
US20070115124A1 (en) * 2005-11-21 2007-05-24 Cyril Brignone Determining a state for object identified by an RFID tag
US20070187496A1 (en) * 2006-02-10 2007-08-16 Andersen Scott P Inventory tracking system and method
JP2007219730A (ja) 2006-02-15 2007-08-30 Rengo Co Ltd アクティブ型rfidタグ、搬送用収納器、搬送用車両、倉庫および物流管理システム
US7842004B2 (en) * 2007-10-31 2010-11-30 Codman & Shurtleff, Inc. Wireless pressure setting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8022A2 (ko) 2009-09-03
KR101026438B1 (ko) 2011-04-07
US20110006883A1 (en) 2011-01-13
WO2009108022A3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9495B2 (en) System and method to identify multiple RFID tags
US6662068B1 (en) Real time total asset visibility system
US8207825B2 (en) RFID reader with receiver clock derived from transmitter output
CN102246187B (zh) 具有低频功率辅助的物品级uhf rfid标签的系统和方法
KR100486754B1 (ko) 데이터 충돌을 방지한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 시스템 및데이터 충돌 방지 방법
US11030429B2 (en) Multipurpose RFID transponder and a system for reading it
US9661401B2 (en) Locating a backscatter-based transponder
US9026041B2 (en) Portable radio-frequency repeater
US10671822B1 (en) Multipurpose RFID transponder and a system for reading it
US7839276B2 (en) Secure self scan
US20080068174A1 (en) Rfid system with distributed transmitters
JP2008527464A (ja) 識別タグ、識別方法及び識別リーダ
WO2004032027A1 (en) System and method to identify multiple rf tags
KR101026438B1 (ko) 가상 공간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가상 공간 이동장치 및이를 위한 기록매체
US11790191B2 (en) Multipurpose RFID transponder and a system for reading it
WO2009082619A1 (en) Voice over rfid
GB2568915A (en) Reshaping interrogation range
JP2013004054A (ja) アクティブrfid通信制御方法及びrfid無線機器
KR102465523B1 (ko) 가시광 인식을 이용한 rfid의 크로스 리딩 회피 장치 및 방법
KR2007004463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rfid 태그 인식시스템 및 그방법
KR20080018065A (ko) 알에프아이디 기반 분산형 유통관리 시스템
EP1451769B1 (en) Wireless data carrier for transmitting different stored status information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arameters
KR101809755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Deshmukh Review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JP2023128676A (ja) 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