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206A -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206A
KR20090093206A KR1020080018600A KR20080018600A KR20090093206A KR 20090093206 A KR20090093206 A KR 20090093206A KR 1020080018600 A KR1020080018600 A KR 1020080018600A KR 20080018600 A KR20080018600 A KR 20080018600A KR 20090093206 A KR20090093206 A KR 20090093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delay value
reference value
delay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2281B1 (ko
Inventor
오영철
김은철
김진영
박세준
이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1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2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16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 H04L7/0033Correction by de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값인 최초 기준값과 최초 기준값의 결정시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최초 기준값에 대해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으로 보정한 후 타이밍 지터가 감소된 지연값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지연값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및 상기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을 통해 최초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초 기준값을 상기 최초 기준값 결정을 위한 '마지막 측정 지연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다음 동기화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다음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Method of deciding a delay for network synchronization in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값인 최초 기준값과 최초 기준값의 결정시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최초 기준값에 대해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으로 보정한 후 타이밍 지터가 감소된 지연값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마스터(master) 및 슬레이브(slave)간의 클럭(clock)을 일치시키는 네트워크 동기화를 수행한다. 이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네트워크 동기화 과정이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이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GPS 신호의 클럭에 따라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의 네트워크 동기화를 수행한다.
그런데, 네트워크 시스템이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주로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과 같이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에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해야 한다. 즉,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경우에는 VDSL(Very high 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Ntopia 등의 전용선을 이용하여 들어온 신호를 실내에서 수신하는 형태이므로 GSP 신호를 수신할 수가 없으며, 전용선을 통한 신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동기화를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IEEE 1588(Precision clock synchronization protocol for networked measurement and control systems)을 통해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IEEE 1588에서는 마스터 및 슬레이브 아키텍처를 근간으로, 슬레이브 클럭을 마스터 클럭(실제로 가장 안정적이고 정확한 타임 베이스를 가짐)에 동기화시키는 방식이다.
종래의 IEEE 1588에서는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메시지 전달 시간이 완전히 대칭적이고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의 지연값이 항상 일정하다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슬레이브 클럭 오프셋을 결정한다(후술할 도 1 참조).
도 1은 종래의 IEEE 1588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는 주기적으로 'Sync' 메시지를 슬레이브로 보낸다. 슬레이브는 'Delay_Req' 메시지로 응답한다. 여기서, 'Sync' 메시지의 시간스탬프는 전송시 t1, 수신시 t2라 하고, 'Delay_Req' 메시지의 시간스탬프는 전송시 t3, 수신시 t4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IEEE 1588에서는 메시지의 전송 및 수신시 모두 클럭에 의한 시간스탬프로 처리되며, 궁극적으로 슬레이브 클럭 오프셋은 'Sync' 메시지 시간스탬프(즉, t1, t2) 및 전송시간(Ttransmission)을 통해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다. 이때, 전송시간(Ttransmission)은 물리적 네트워크 계층에서 메시지가 실제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Ttransmission=[(t4-t1)+(t3-t2)]/2
슬레이브 클럭 오프셋=t2-t1-Ttransmission
이후, 종래의 IEEE 1588은 슬레이브 클럭 오프셋을 통해 슬레이브 클럭을 마스터 클럭에 동기화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IEEE 1588은 실제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IEEE 1588은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의 메시지 전달 시간이 완전히 대칭적이고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의 지연값이 항상 일정하다라는 가정을 토대로 제안되었기 때문에, 실제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일례로,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량이나 스위치 버퍼링 등이 항상 일정하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타이밍 지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IEEE 1588을 통해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의 지연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가정하에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지연값에 포함되어 있는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종래에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위상고정루프(Phase Lock Loop: PLL)를 통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기를 맞추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는 동기를 맞추는 과정에서 위상을 소정 범위 이내로 고정시키는 경우로서, 네트워크 상에서 시간지연에 대한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키는 경우와 다르다.
따라서,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마스터 클럭과 슬레이브 클럭 사이의 시간지연을 측정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의 시간지연에 대한 타이밍 지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값인 최초 기준값과 최초 기준값의 결정시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최초 기준값에 대해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으로 보정한 후 타이밍 지터가 감소된 지연값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지연값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및 상기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을 통해 최초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초 기준값을 상기 최초 기준값 결정을 위한 '마지막 측정 지연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다음 동기화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다음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지연값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및 상기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을 통해 최초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초 기준값을 상기 최초 기준값 결정을 위한 '마지막 측정 지연값'과 비교한 후, 상기 최초 기준값 및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차이값을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다음 동기화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다음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상기 마스터 및 상기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을 통해 최초 기준값을 결정하는 기능; 상기 최초 기준값을 상기 최초 기준값 결정을 위한 '마지막 측정 지연값'과 비교하는 기능;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기능; 및 다음 동기화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다음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상기 마스터 및 상기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을 통해 최초 기준값을 결정하는 기능; 상기 최초 기준값을 상기 최초 기준값 결정을 위한 '마지막 측정 지연값'과 비교한 후, 상기 최초 기준값 및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차이값을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과 비교하는 기능;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기능; 및 다음 동기화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다음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의 시간지연에 존재하는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IEEE 1588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도 4a는 VDSL의 경우에,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에 대한 일실시예 그래프,
도 4b는 상기 도 4a에 대해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결정된 지연값에 대한 일실시예 그래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IEEE 1588을 통해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려는 임의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마스터(master) 및 슬레이브(slave)간 시간지연에 존재하는 타이밍 지터(timing jitter)를 감소시키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indoor WiBro System)'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 한정되어 설명되더라도 임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실제적으로 IEEE 1588을 통해 마스터 및 슬레이브 간에 형성된 네트워크(예를 들어, VDSL, FTTH, Ntopia 등)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켜야 한다. 즉,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IEEE 1588을 통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해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 시간지연의 타이밍 지터가 감소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량이 거의 없는 실제 지연값을 추출해야한다.
이를 위해,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두 단계를 통해 실제 지연값에 대해 오차범위 내에서 지연값을 설정한다.
먼저,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산술평균값'(이하 "최초 기준값"이라 함)이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가 많아질수록 타이밍 지터에 의한 가변적 특성이 감소되면서 실제 지연값으로 수렴되는 특성을 이용한다. 이때,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근사적으로 실제 지연값에 근접하도록 최초 기준값을 설정하는데, 실험을 통해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를 미리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최초 기준값을 하기와 같이 미리 설정한다. 즉, 최초 기준값은 'N개(1번째부터 N번째까지)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이 추출되는 경우에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D[n](n=1, 2, 3,… ,N)은 측정 지연값의 샘플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초 기준값은 실험을 통해 미리 결정된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일례로,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 적용된 네트워크가 VDSL인 경우에, 실험을 통해 미리 결정된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는 '30000'으로 설정된다.
특히, 최초 기준값은 시간 자체를 의미하는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즉, N)가 커질수록 신뢰성이 커지는 반면 계산시간이 많이 소모된다.
일례로,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 적용된 네트워크가 VDSL인 경우에,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가 '300'으로 결정되는 경우와 '30000'으로 결정되는 경우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300'으로 결정되는 경우는 '30000'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비해,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이 기준값을 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빠른 반면에, 그 기준값이 가지는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그 기준값을 실제 지연값에 대해 오차범위 내로 수렴시키기 위해,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를 늘려가면서 해당 기준값을 찾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결국,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300'으로 결정되는 경우와 같이 최초부터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를 낮게 설정하면, 궁극적으로 실제 지연값에 대해 오차범위 내로 수렴하는 기준값을 결정하기 위한 탐색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시간이 오래 걸린다.
실제적으로, '300'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기준값을 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순수 지연값에 대해 오차범위 내로 수렴하는 기준값을 탐색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총시간은, '30000'으로 결정되는 경우의 총시간보다 오래 걸린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 적용되는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는, 시스템의 오버헤드가 증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험을 통해 최대한 많은 수로 최초부터 결정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즉, 상기 [수학식 2]에서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샘플 'D[N]')의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최초 기준값이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에 대해 오차범위 이상으로 크거나 작은 경우에, '최초 기준값을 오차범위 내로 보정하기 위한 값'(이하 "보정값"이라 함)에 따라 조절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보정값은 최초 기준값이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에 대한 변화범위를 '20㎲' 이내로 줄일 수 있도록 실험을 통해 미리 설정된다. 이는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이 최초 기준값이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에 대한 변화범위를 20㎲ 이내로 줄일 수 있다면, 휴대인터넷 표준안에 제시된 허용범위 이내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보정값은 네트워크 특성에 따라 상이한 값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VDSL 또는 FTTH의 경우에는 보정값이 0.1㎲로 설정되고, Ntopia의 경우에는 1㎲로 설정된다. 즉, VDSL 또는 FTTH의 경우에는 보정값이 0.1㎲ 이상이면,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의 변화범위가 20㎲를 초과한다. 반면, Ntopia의 경우에는 보정값이 1㎲ 이내에 있으면,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의 변화범위가 20㎲를 초과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최초 기준값 및 보정값을 미리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한다. 즉,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최초 기준값에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최초 기준값이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보다 크면, 최초 기준값이 크게 설정된 것이므로 보정값 만큼 감소시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결정한다. 이와 반대로,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최초 기준값이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보다 작으면, 최초 기준값이 작게 설정된 것이므로 보정값 만큼 증가시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의 설정시에는,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 간의 차이가 보정값보다 큰 경우에 해당한다.
그와 반대의 경우(즉,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 간의 차이가 보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면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는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 간의 차이가 보정값보다 작은데도 불구하고 최초 기준값에 대해 보정값 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 오차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지연값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최초 기준값에 대해 보정값 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키지 않고, 최초 기준값 자체를 그대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결정한다.
한편,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이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결정된 지연값을 다음 동기화 과정을 위한 기준값으로 설정한다. 일례로,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은 'N번째 최초 기준값' 및 'N번째 측정 지연값'을 비교하여 'N번째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지연값'이 설정되면, 'N번째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지연값'을 다음 동기화 과정을 위한 기준값 즉, N+1번째 기준값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최초 기준값 이후에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각각의 기준값'(이하 "다음 기준값"이라 통칭함)을 바로 이전 네트워크 동기를 위해 결정된 지연값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최초 기준값의 설정방식(상기 [수학식 2] 참조) 및 다음 기준값의 설정방식이 각각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하나, 최초 기준값 또는 다음 기준값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결정하는 과정이 동일하게 수행한다.
이에,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최초 기준값을 이용한 과정에 대한 설명에 한정되었더라도 다음 기준값을 이용한 과정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다음 기준값을 이용한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타이밍 지터가 감소된 지연값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한다.
먼저,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샘플수에 따라 추출된 측정 지연값을 이용하여 최초 기준값을 결정한다(S201). 즉,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마스터 클럭 및 슬레이브 클럭의 차이를 계산하여 추출한 각각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에 대해 산술평균을 계산하여 최초 기준값을 결정한다.
이후,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결정한다(S202 내지 S204).
즉,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최초 기준값'이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S202), '최초 기준값'에서 보정값 만큼 감소시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결정한다(즉, 지연값='최초 기준값'-보정값)(S203).
또한,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최초 기준값'이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보다 작은 경우에(S202), '최초 기준값'에서 보정값 만큼 증가시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결정한다(즉, 지연값='최초 기준값'+보정값)(S204).
한편,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다음 동기화시에, 상기와 같이 결정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다음 기준값으로 설정한다(S205). 이때,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다음 기준값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지연값 설정시, 도 2에서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의 비교결과 뿐만 아니라,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에 대한 차이값과 보정값의 비교결과를 더 고려하여 오차 발생을 감소시킨다. 도 2에 중첩되는 도 3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도 2의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우선,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을 비교한 후(S301),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에 대한 차이값이 보정값보다 크거나 같으면(S302, S303),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결정한다(S304, S306).
이때,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결정시, '최초 기준값'이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보다 크거나 같으면(S301), '최초 기준값'을 보정값 만큼 감소시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결정한다(즉, 지연값='최초 기준값'―보정값)(S304). 그리고,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결정시, '최초 기준값'이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보다 작으면(S301), '최초 기준값'을 보정값 만큼 증가시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결정한다(즉, 지연값='최초 기준값'+보정값)(S306).
한편, 옥내용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을 비교한 후(S301), '최초 기준값' 및 '최초 기준값에 대응된 측정 지연값'에 대한 차이값이 보정값보다 작으면(S302, S303), '최초 기준값'을 그대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결정한다(즉, 지연값='최초 기준값')(S305).
도 4a는 VDSL의 경우에,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에 대한 일실시예 그래프이다. 여기서,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는 3×104개이고, 보정값은 0.1㎲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지연값은 2㎳ 이상의 변화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시간지연에 대한 타이밍 지터가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 4b는 상기 도 4a에 대해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결정된 지연값에 대한 일실시예 그래프이다. 여기서, 최초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는, N=10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를 9000개 이상인 경우에 대해 최초 기준값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의 변화범위가 20㎲(즉, 0.02㎳)를 초과하지 않아 휴대인터넷 표준안에 제시된 허용범위 이내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를 9000개 이하인 경우에 대해 최초 기준값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의 변화범위가 40㎲(즉, 0.04㎳)를 초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b에서는 '측정 지연값의 샘플수'를 N=900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네트워크 시스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지연값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및 상기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을 통해 최초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초 기준값을 상기 최초 기준값 결정을 위한 '마지막 측정 지연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다음 동기화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다음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
  2. 네트워크 시스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간의 지연값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및 상기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을 통해 최초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초 기준값을 상기 최초 기준값 결정을 위한 '마지막 측정 지연값'과 비교한 후, 상기 최초 기준값 및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차이값을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다음 동기화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다음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최초 기준값이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최초 기준값에서 상기 보정값 만큼 감소시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최초 기준값이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보다 작으면, 상기 최초 기준값에서 상기 보정값 만큼 증가시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최초 기준값이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최초 기준값 및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차이값이 상기 보정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최초 기준값에서 상기 보정값 만큼 감소시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최초 기준값이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보다 작고, 상기 최초 기준값 및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차이값이 상기 보정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최초 기준값에서 상기 보정값 만큼 증가시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최초 기준값 및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비교결과에 무관하게 상기 최초 기준값 및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차이값이 상기 보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최초 기준값을 그대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기준값은,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샘플수에 따라 추출된 측정 지연값들에 대한 산술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최초 기준값이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에 대한 오차범위를 20㎲이내로 줄일 수 있도록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은,
    IEEE 1588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지연값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 방법.
  11. 프로세서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상기 마스터 및 상기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을 통해 최초 기준값을 결정하는 기능;
    상기 최초 기준값을 상기 최초 기준값 결정을 위한 '마지막 측정 지연값'과 비교하는 기능;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기능; 및
    다음 동기화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다음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프로세서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상기 마스터 및 상기 슬레이브간의 측정 지연값의 샘플들에 대한 평균을 통해 최초 기준값을 결정하는 기능;
    상기 최초 기준값을 상기 최초 기준값 결정을 위한 '마지막 측정 지연값'과 비교한 후, 상기 최초 기준값 및 상기 '마지막 측정 지연값'의 차이값을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보정값과 비교하는 기능;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보정값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설정하는 기능; 및
    다음 동기화시, 상기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을 다음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018600A 2008-02-28 2008-02-28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방법 KR100952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600A KR100952281B1 (ko) 2008-02-28 2008-02-28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600A KR100952281B1 (ko) 2008-02-28 2008-02-28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206A true KR20090093206A (ko) 2009-09-02
KR100952281B1 KR100952281B1 (ko) 2010-04-12

Family

ID=4130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600A KR100952281B1 (ko) 2008-02-28 2008-02-28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2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05B1 (ko) * 2010-02-19 2012-02-24 주식회사 쿠오핀 비동기식 이더넷 네트워크에서의 동기화장치 및 그 방법
KR101135235B1 (ko) * 2010-04-08 2012-04-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 시스템에서의 동적 클럭 드리프트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1323128B1 (ko) * 2012-03-13 2013-10-30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마스터의 발신 메시지 개수 자동 조절을 통한 시간 동기화 장치 및 방법
CN104243242A (zh) * 2014-09-26 2014-12-24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抖动算法反应网络拥塞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746B1 (ko) 2013-10-31 2019-11-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인터넷 전화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공유 서비스 오류 방지를 위한 장치와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992A (ko) * 1999-12-09 2001-07-02 김덕중 비동기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동기 방법
KR101218916B1 (ko) * 2006-04-27 2013-01-0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센서 네트워크 시간동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05B1 (ko) * 2010-02-19 2012-02-24 주식회사 쿠오핀 비동기식 이더넷 네트워크에서의 동기화장치 및 그 방법
KR101135235B1 (ko) * 2010-04-08 2012-04-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 시스템에서의 동적 클럭 드리프트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1323128B1 (ko) * 2012-03-13 2013-10-30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마스터의 발신 메시지 개수 자동 조절을 통한 시간 동기화 장치 및 방법
US8849937B2 (en) 2012-03-13 2014-09-30 Dasan Network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ime synchronization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sending message count of master
CN104243242A (zh) * 2014-09-26 2014-12-24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抖动算法反应网络拥塞的方法
CN104243242B (zh) * 2014-09-26 2017-11-17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抖动算法反应网络拥塞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281B1 (ko) 201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1652B2 (en) Ranging scalable time stamp data synchronization
CN111668800B (zh) 基于无线通信和绝对时刻的线路差动保护同步方法和系统
EP3624389B1 (en) Wireless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for wireless device
US84518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plink frame synchronization in a subscriber station
US9344981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clock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351437B2 (en) Stereo bit clock tuning
US20130191486A1 (en) Time control apparatus, time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7071270A1 (zh) 一种本地时钟调整方法、授时方法及装置
KR100952281B1 (ko)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동기를 위한 지연값 설정방법
US11965971B2 (en) Systems for timestamping events on edge devices
WO2001050674A1 (en) Synchronization in packet-switched telecommunications system
CA27916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urate clock synchronization through interaction between communication layers and sub-layers for communication systems
US20140241381A1 (en) Time control device, tim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7028034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lock drift mitigation with snoop-based ranging
WO2021077289A1 (zh) 一种同步方法及设备
CN107395307B (zh) 一种时钟同步方法和设备
US20100197228A1 (en) Clock synchronization method for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70085330A1 (en) Faster synchronization time and better master selection based on dynamic accuracy information in a network of ieee 1588 clocks
JP4468182B2 (ja) 全地球測位衛星の探索及び捕捉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11526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タイミング同期方法
KR102064575B1 (ko) 디바이스 간의 시각 동기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7483402A (zh) 一种时钟同步方法和设备
KR101019170B1 (ko) 네트워크 동기 시스템에서 최초 기준값 설정 방법 및 장치
US11860688B1 (en) Network generated precision time
EP3179274B1 (en) Method and associated time manager for managing time relation between system times of different remot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