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406A -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406A
KR20090092406A KR1020080017636A KR20080017636A KR20090092406A KR 20090092406 A KR20090092406 A KR 20090092406A KR 1020080017636 A KR1020080017636 A KR 1020080017636A KR 20080017636 A KR20080017636 A KR 20080017636A KR 20090092406 A KR20090092406 A KR 20090092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video
ta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281B1 (ko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김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철 filed Critical 김동철
Priority to KR1020080017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2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선호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쇼핑몰에 접속하는 구매자들의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시키기 위한 구매자정보생성모듈; 및 상기 동영상물이 등록된 동영상DB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품태그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태그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에 대해서 코딩처리하여, 상기 상품태그별로 상품구매코드를 생성시켜 쇼핑몰에 제공하는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 상기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대상으로 구매자시스템으로부터 선주문 조건에 대한 검색을 요청받고,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구매상품선주문모듈; 상기 구매상품선주문모듈을 통해 구매가 이루어진 상품에 대해 결제정보를 생성시키는 결제처리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구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다양한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선호 상품들에 대한 선주문 검색을 통해서 표시되는 상품구매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들로 하여금 선호하는 상품의 선택 및 구매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URCHASING INFORMATION BASED ON GOODS TAG}
본 발명은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Tag)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를 제공시키기 위한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쇼핑몰(Shopping Mall)의 웹페이지(Web Page) 상에서 고객들로 하여금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다양한 상품들에 대한 상품구매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서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 통신망(이하 "네트워크 통신망"이라 한다.)을 통해 웹페이지(Web Page) 상에서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쇼핑몰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이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한 대부분의 상품구매수단은 상기 쇼핑몰에 구비된 웹페이지를 통해서 다양한 상품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형태는 상기 쇼핑몰 운영자 또는 상기 쇼핑몰에 입점(入店)한 업주들로부터 판매상품을 소정의 판매사이트(Site)에 업로드(Up Load)시켜서, 상품의 구매 및 결제처리 프로세스를 거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품판매수단에 포함되는 상품구매정보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위주로 제공되는 것이 대부분에 해당되어, 이는 고객들에게 충분한 상품정보가 전달이 되지 않아서 구매결정에 어려운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전문가들이 제작한 동영상물 또는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 즉, UCC(User Creadted Contents) 동영상물(이하 "동영상물"이라 한다.)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품광고를 행하고는 있으나, 이는 1종류의 한정된 광고상품 아이템(Item)에 불과할 정도로 판매상품이 단순하고, 역시 판매상품에 대한 구매정보가 미흡하여 고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Tag)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상품태그에 상품구매정보를 생성시켜 줌으로써, 고객들로 하여금 상기 동영상물을 시청하면서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다양한 상품들에 대해 구매결정시에 명확한 상품구매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선호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쇼핑몰에 접속하는 구매자들의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시키기 위한 구매자정보생성모듈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영상물이 등록된 동영상DB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품태그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태그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에 대해서 코딩처리하여, 상기 상품태그별로 상품구매코드를 생성시켜 쇼핑몰에 제공하는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대상으로 구매자시스템으로부터 선주문 조건에 대한 검색을 요청받고,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구매상품선주문모듈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매상품선주문모듈을 통해 구매가 이루어진 상품에 대해 결제정보를 생성시키는 결제처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선호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구매자시스템으로부터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되는 구매자들의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시키기 위한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을 거친 구매자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대상으로 선호상품에 대한 선주문 조건의 입력에 따른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상품태그에 대한 데이터를 상품구매정보생성DB로부터 제공받아서, 이를 검색시키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가 포함된 동영상물의 동영상물제목 리스트를 웹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물제목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영상물을 선택하여 재생시키고,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에 대한 상품구매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웹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품구매정보가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구매상품이면, 결제정보를 생성시켜 결제처리를 수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실시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구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다양한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선호 상품들에 대한 선주문 검색을 통해서 표시되는 상품구매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들로 하여금 선호하는 상품의 선택 및 구매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별로 고유한 구매정보를 코딩(Coding)하여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시킨 일실시사례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물에 포함된 선주문한 상품의 태그를 검색한 결과에 의해 동영상물의 제목을 화면부에 디스플레이시킨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있어서, 동영상물의 상품태그에 구매정보가 코딩되어 상품구매정보가 생성된 것을 화면부의 웹페이지의 팝업창에 디스플레이시킨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생성시켜서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사례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사례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구매자정보생성모듈 12 : 구매자인증부
14 : 구매자정보생성DB 22 : 동영상DB
24 : 상품구매정보생성DB 30 : 상품태그추출부
40 : 구매정보코딩(Coding)부 50 : 동영상화일형식변환부
60 : 구매상품선주문모듈 62 : 선주문조건입력부
64 : 구매상품검색부 66 : 상품구매정보표시부
70 : 결제처리모듈 72 : 결제정보생성부
74 : 결제정보생성DB 80 : 시스템제어부
90 : 인터페이스부 100 : 운영자시스템
101, 401 : 화면부 200 :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
300, 300-1~300-n : 쇼핑몰 400 : 구매자시스템
501, 701 : 동영상물 502, 901-903 : 상품태그
503 : 상품구매정보 504 : 상품구매코드
600 : 웹페이지 601 : 동영상물제목
602 : 상품보기버튼 700 : 동영상재생기
702 : 화면프레임 800 : 팝업창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과 작용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서 설명되어 지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기술구성 및 작용들이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어 지는 각 도면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쇼핑몰(300)을 운영 및 관리하는 운영자시스템(100)을 비롯하여, 웹서버(Web Sever)에 구비되며, 상기 쇼핑몰(300)에 접속하여 선호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자시스템(400) 및 상기 쇼핑몰(300)에 상품구매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매자정보생성모듈(10),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200), 구매상품선주문모듈(60), 결제처리모듈(70), 시스템제어부(80), 인터페이스부(90) 등을 포함한 통합적인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쇼핑몰(300)은 웹페이지(600)를 가지고 있고, 인터넷상에서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쇼핑몰들(300-1 내지 300-n)을 온라인 상에서 가상의 점포(店鋪)에 입점(入店)시켜서 구성되며, 이들 상기 쇼핑몰(300)과 운영자시스템(100), 구매자시스템(400) 상호간에는 인터페이스부(90)을 통해서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접속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제어부(8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운영자시스템(100) 및 구매자시스템(400)은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화면부(101)(401)가 구비된 PC 또는 휴대용 이동단말기(이하 "정보단말기"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상기 정보단말기에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를 비롯하여, 휴대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정보의 전송과 수신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단말기들을 더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핵심적인 기술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동영상물(501)(701)에 포함된 상품태그(502)(901-903)를 기반으로 하여 구매자가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503)를 쇼핑몰(300)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물(501)(701)에 존재하는 선호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쇼핑몰(300)에 접속하는 구매자들의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수단으로 인증시키기 위한 구매자정보생성모듈(10)이 구성된다.
상기 인증수단에는 쇼핑몰(300)에 접속하는 구매자들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아이디(ID), 패스워드, 이름, 주민등록번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인증을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동영상물(501)(701)이 등록된 동영상DB(22)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품태그(502)(901-903)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태그(502)(901-903)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503)에 대해서 코딩(Coding)처리하여, 상기 상품태그별(502)(901-903)로 상품구매코드(504)를 생성시켜 쇼핑몰(300)에 제공하는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2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200)에 포함된 상품태그(502)(901-903)를 대상으로 구매자시스템(400)으로부터 선주문 조건에 대한 검색을 요청받고,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502)(903)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503)를 표시하여 주는 구매상품선주문모듈(6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매상품선주문모듈(60)을 통해 구매가 이루어진 상품에 대해 결제정보를 생성시키는 결제처리모듈(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200)에 대한 그 일실시 사례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품구매생성모듈(200)은 동영상DB(22)에 등록된 상기 동영상물(501)(701)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품태그((502)(901-903)를 추출하는 상품태그추출부(3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품태그(502)(901-903)는 동영상물(501)(701)에 존재하는 상품단위로 부여하되, 상기 쇼핑몰(300)에서 상품판매가 가능한 상품들을 기준으로 선정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동영상물(501)(701)의 제목이 봄나들이, 우리 아기 돌잔치 등이 나타나 있고, 여기서 상기 "봄나들이"에 존재하는 상품태그(502)(901-903)에 포함되는 상품명으로는 가방, 신발, 진주목걸이 등과 같이 상품태그(502)(901-903)가 부여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추출된 상품태그(502)(901-903)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503)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필드(Field)에 해당되는 아이템(Item)별로 부호, 문자, 숫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시킨 코드(Code)들의 조합에 의한 코딩(Coding)처리를 하여, 상기 상품태그(502)(901-903)별로 고유한 상품구매코드(504)를 생성시키는 상품구매정보코딩부(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품태그(502)(901-903)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503)에는 상품명을 비롯하여, 상품의 판매금액, 색상, 재질,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 반품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조사항으로, 상기 동영상물(501)(701) "봄나들이"에 존재하는 상품태그(502)(901-903) 중에서 상품명 가방에 생성된 고유한 상품구매코드(504)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동영상물(501)(701)의 제목에 해당되는 "봄나들이"의 코드인 A01을 비롯하여, 상품태그(502)(901-903)에 해당되는 "가방"의 코드는 01, "판매금액(가격)"에 해당되는 코드는 03, "색상" 검정색에 해당되는 코드는 01, "제조사" (주)00패션에 해당되는 코드는 V01이며, 이들이 조합되어 코딩(Coding)된 상품구매코드(504)는 A01-01-03-01-V01로 생성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물(501)(701)을 비롯하여, 상품태그(Tag)(502)(901-903), 상품구매정보(503)에는 부호, 문자, 숫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시킨 코드(Code)들의 조합에 의한 코딩(Coding)처리를 하여, 고유한 식별코드(Code)를 부여시켜 데이터베이스부(20)에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생성된 상품구매코드(504)를 등록시키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B)로 이루어진 상품구매정보생성DB(24)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상품구매코드(504)가 포함된 동영상물(501)(701)을 동영상재생기(700)(예를 들면; 미디어플레이어 등)를 통해서 재생시키기 위한 화일형식을 변환시키는 동영상화일형식변환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동영상화일변환부(50)는 동영상 재생기(700)에서 동영상물(501)(701)이 재생이 가능한 화일형식 즉, 예를 들면 avi, mov, mpeg, asf, rm, mpg, wmv, dat 등과 같은 다양한 형식의 동영상 화일로 변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영상물(501)(701)에 포함된 상품태그(Tag)(502)(901-903)의 추출 및 상품구매정보(503)의 코딩(Coding)을 비롯하여, 상기 동영상물(501)(701)물에 대한 화일의 형식변환은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화일형식변환부(50)에서 화일형식이 변환된 동영상물(501)(701)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쇼핑몰(Shopping Mall)(300)(300-1 내지 300-n)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품구매정보(503)가 시스템제어부(80)를 통해서 인터페이스부(90)를 거쳐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쇼핑몰(300)에 제공되는 기술 및 상기 고객들이 소유한 정보단말기에 동영상물(501)(701)이 전송되어 동영상재생기(700)로 재생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 구매상품선주문모듈(60)에 대한 그 일실시 사례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매상품선주문모듈(60)은 쇼핑몰(300)에 접속시키기 위해 구매자인증부(12)를 통해 인증을 거친 구매자시스템(400)으로부터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200)에 포함된 상품태그(502)(901-903)를 대상으로 선호상품에 대한 선주문 조건을 입력받는 선주문구매조건입력부(62)가 구성된다.
상기 구매자인증부(12)는 언급한 바와 같이 인증수단을 이용하여 쇼핑몰(300)에 접속하는 구매자들의 신원을 인증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상품태그(502)(901-903)에 대한 데이터를 상품구매정보생성DB((24)로부터 제공받아서, 이를 소정의 검색엔진으로 검색을 수행시키는 구매상품검색부(64)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502)(901-903)가 포함된 동영상물(501)(701)의 동영상물제목(601) 리스트 및 상기 상품태그(502)(903)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503)를 웹페이지(600) 상에 표시시켜 주는 상품구매정보표시부(66)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영상물제목(601)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영상물(501)(701)을 선택시키고, 상기 선택시킨 동영상물(501)(701)에 해당되는 상품보기버튼(602)을 클릭(Click)시켜 줌으로써, 소정의 동영상재생기(700)를 로딩(Loading)시켜 상기 동영상물(501)(701)을 재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물(501)(701)의 로딩에 따라 상기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상품태그(502)(901-903)가 동영상재생기(700)의 화면프레임(702) 상에 표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화면프레임(702) 상에 상품태그(502)(901-903)가 표시되어 지는 소정의 설정시간 동안에 상기 화면프레임(702)을 일시정지시켜 주도록 시스템제어부(80)을 통해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품태그(502)(901-903)에 대해서는 고객(구매자)들에게 잘 인식시킬 수 있도록 깜박거리게 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Highlight) 등과 같은 별도의 표시수단을 부가시켜 주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 상품태그(502)(901-903)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503)의 디스플레이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매자시스템(400)에 구비된 화면부(401)를 통해서 쇼핑몰(3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600) 상에 팝업창(800) 또는 풍선 도움말창을 로딩시켜서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상품구매정보(503)의 확인이 끝나고 동영상재생기(700)의 재생버튼을 눌러줌으로써, 상기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또 다른 상품태그(502 )(901-903) 및 이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503)의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상품구매정보(503)에는 상품명을 비롯하여, 상품의 판매금액, 색상, 재질,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 반품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상품구매정보(503)가 구매자시스템(400)으로부터 요청된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구매상품이면, 결제정보를 생성시켜 결제정보생성DB(74)에 등록에 이어서 그에 다른 결제처리를 수행시키는 결제정보생성부(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제정보생성DB(74)에 등록되는 데이터로는 구매자시스템(400)으로부터 인증수단을 거쳐서 쇼핑몰(300)에 접속된 구매자들의 신상정보에 관련된 이름을 비롯하여, 생년월일시, 주소, 전화번호 등이 포함되고, 또한 상품구매정보(503)에 관련된 상품명을 비롯하여, 상품의 판매금액, 색상, 재질,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 반품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구매자정보생성DB(14)를 비롯하여, 동영상DB(22) 및 상품구매정보생성DB(24), 결제정보생성DB(74)는 앞에서 언급된 데이터베이스부(D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DB)는 웹서버에 구비된 하드디스크(Hard disk)를 비롯하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인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상품구매정보 생성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생성시켜서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사례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물(501)(701)에 포함된 상품태그(Tag)(502)(901-903)에 상품구매코드(504)를 생성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동영상물(501)(701)에 존재하는 상품단위로 상품태그(Tag)(502)(901-903)를 부여하여(S501), 동영상DB(22)에 등록시키는 단계(S50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품태그(502)(901-903)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영상물(501)(701)에 존재하는 상품을 기준으로 구성하되, 쇼핑몰(300)에서 상품판매가 가능한 상품단위로 부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동영상DB(22)에 등록된 상기 동영상물(501)(701)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품태그(502)(901-903)를 추출시키는 단계(S50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상품태그(502)(901-903)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503)에 대해서 코딩(Coding)처리시키는 단계(S50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코딩된 상품태그(502)(901-903)별로 고유한 상품구매코드(504)를 생성시켜(S504), 상품구매정보생성DB(24)에 등록시키는 단계(S507)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품태그(502)(901-903)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503)에는 상품의 판매금액, 색상, 재질,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 반품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동영상물(501)(701)을 비롯하여, 상품태그(Tag)(502)(901-903), 상품구매정보(503)에는 고유한 식별코드(Code)를 부여시켜 데이터베이스부(20)에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품구매코드(504)가 포함된 동영상물(501)(701)을 동영상재생기(700)로 재생시키기 위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동영상 화일형식으로 변환시키는 단계(S5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일형식을 변환시키는 단계(S505)에 이어서, 상기 화일형식이 변환된 동영상물(501)(701)을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쇼핑몰(300)에 전송시키는 단계(S50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사례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물(501)(701)에 포함된 상품태그(502)(901-903)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503)를 쇼핑몰(300)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동영상물(501)(701)에 존재하는 선호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구매자시스템(400)으로부터 온라인 쇼핑몰(300)에 접속(S701)되는 구매자들의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시키기 위한 단계(S702)가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인증을 거친 구매자시스템(400)으로부터 웹페이지(600)를 통해 상기 동영상물(501)(701)에 포함된 상품태그(502)(901-903)를 대상으로 선호상품에 대한 선주문 조건을 입력시키고, 선주문 조건에 따른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S703)가 구비된다.
상기 상품태그(502)(901-903)는 동영상물(501)(701)에 존재하는 상품단위로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상품태그(502)(901-903)에 대한 데이터를 상품구매정보생성DB((24)로부터 제공받아서(S711), 이를 소정의 검색엔진으로 검색시키는 단계(S704)가 구비된다.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502)(901-903)가 포함된 동영상물(501)(701)의 동영상물제목(601) 리스트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웹페이지(600)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S70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물제목(601)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영상물(501)(701)의 선택에 이어서, 상품보기버튼(602)을 클릭(Click)시켜 줌으로써 동영상재생기(700)를 로딩시켜 상기 동영상물(501)(701)을 재생시키고(S706),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502)(901-903)에 대한 상품구매정보(503)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S707)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품구매정보(503)의 디스플레이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매자시스템(400)에 구비된 화면부(401)를 통해서 쇼핑몰(3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600) 상에 팝업창(800) 또는 풍선 도움말창을 로딩(Loading)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상품구매정보(503)에는 상품명을 비롯하여, 상품의 판매금액, 색상, 재질,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 반품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웹페이지(6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품구매정보(503)가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구매상품이면(S708), 결제정보를 생성시켜 결제처리를 수행시키는 단계(S7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결제정보의 생성단계(S709)에 이어서, 생성된 결제정보를 등록시키는 결제정보생성DB(7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은 고객들로 하여금 동영상물을 시청하면서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다양한 상품들에 대한 상품구매정보를 명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써, 온라인 쇼핑몰에서 고객들이 선호하는 상품의 구매를 유용하게 하는 등의 산업상 이용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Claims (11)

  1.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선호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쇼핑몰에 접속하는 구매자들의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시키기 위한 구매자정보생성모듈; 및
    상기 동영상물이 등록된 동영상DB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품태그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태그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에 대해서 코딩처리하여, 상기 상품태그별로 상품구매코드를 생성시켜 쇼핑몰에 제공하는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
    상기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대상으로 구매자시스템으로부터 선주문 조건에 대한 검색을 요청받고,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구매상품선주문모듈;
    상기 구매상품선주문모듈을 통해 구매가 이루어진 상품에 대해 결제정보를 생성시키는 결제처리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생성모듈은 동영상DB에 등록된 상기 동영상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품태그를 추출하는 상품태그추출부;
    상기 추출된 상품태그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에 대해서 코딩처리하여, 상기 상품태그별로 고유한 상품구매코드를 생성시키는 상품구매정보코딩부;
    상기 생성된 상품구매코드를 등록시키는 상품구매정보생성DB; 및
    상기 상품구매코드가 포함된 동영상물을 재생시키기 위해 화일형식을 변환시키는 동영상화일형식변환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상품선주문모듈은 쇼핑몰에 접속시키기 위해 구매자인증부를 통해 인증을 거친 구매자시스템으로부터 상품구매정보생성모듈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대상으로 선호상품에 대한 선주문 조건을 입력받는 선주문구매조건입력부;
    상기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상품태그에 대한 데이터를 상품구매정보생성DB로부터 제공받아서, 이를 검색시키는 구매상품검색부;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가 포함된 동영상물의 동영상물제목 리스트 및 상기 상품태그에 연동되는 상품구매정보를 웹페이지 상에 표시시켜 주는 상품구매정보표시부;
    상기 상품구매정보가 구매자시스템으로부터 요청된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구매상품이면, 결제정보를 생성시켜 결제처리를 수행시키는 결제정보생성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태그는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상품단위로 부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물, 상품태그, 상품구매정보에는 부호, 문자, 숫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시킨 코드들의 조합에 의한 고유한 식별코드를 부여시킨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정보는 웹페이지 상에 팝업창 또는 풍선 도움말창을 로딩시켜서 디스플레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7.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선주문한 상품에 대해 상품구매정보를 쇼핑몰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선호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구매자시스템으로부터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되는 구매자들의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시키기 위한 단계;
    상기 인증을 거친 구매자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대상으로 선호상품에 대한 선주문 조건의 입력에 따른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상품태그에 대한 데이터를 상품구매정보생성DB로부터 제공받아서, 이를 검색시키는 단계;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가 포함된 동영상물의 동영상물제목 리스트를 웹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상기 동영상물제목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영상물을 선택하여 재생시키고, 상기 검색된 상품태그에 대한 상품구매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품구매정보가 선주문 조건에 매칭되는 구매상품이면, 결제정보를 생성시켜 결제처리를 수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태그는 동영상물에 존재하는 상품단위로 부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물, 상품태그, 상품구매정보에는 부호, 문자, 숫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시킨 코드들의 조합에 의한 고유한 식별코드를 부여시킨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정보의 디스플레이는 웹페이지 상에 팝업창 또는 풍선 도움말창을 통해 로딩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의 생성단계에 이어서, 생성된 결제정보를 등록시키는 결제정보생성DB;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 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방법.
KR1020080017636A 2008-02-27 2008-02-27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2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636A KR100962281B1 (ko) 2008-02-27 2008-02-27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636A KR100962281B1 (ko) 2008-02-27 2008-02-27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406A true KR20090092406A (ko) 2009-09-01
KR100962281B1 KR100962281B1 (ko) 2010-06-11

Family

ID=4130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636A KR100962281B1 (ko) 2008-02-27 2008-02-27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2138A2 (en) * 2011-05-20 2012-11-29 Project J Corporation System for selling products based on product collections represented in vide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2138A2 (en) * 2011-05-20 2012-11-29 Project J Corporation System for selling products based on product collections represented in video
WO2012162138A3 (en) * 2011-05-20 2013-02-14 Project J Corporation System for selling products based on product collections represented in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281B1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906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JP6522081B2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電子商取引方法、及び電子商取引プログラム
US975429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US20130173402A1 (en) Techniques for facilitating on-line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relating to the sale of goods and merchandise
US20120265635A1 (en) Social network recommendation polling
CN103503013A (zh) 以与储值令牌相关的视频创建个性化体验的方法和系统
JP2014029643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391565A (zh) 用于使用动作触摸物体及其显示器编码介质的系统和方法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JP200120243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90094938A (ko)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에 근거한 선호상품의 구매방법및 시스템
KR100962281B1 (ko)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상품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46247B1 (ko) 물리적으로 판독 가능하며 실물체에 인쇄된 식별 기호를참조하여 가상 물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1546A (ko) 동영상물에 포함된 상품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상품구매정보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04213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18709A (ko) 영상/상품 매칭 판매 페이지를 이용한 상거래 제공 방법
KR20210022171A (ko) 영상/상품 매칭 판매 운영 방법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KR20070094355A (ko) 사용자 제작 콘텐츠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94356A (ko) 동영상 기반 상품 정보 제공 거래 방법
KR20210018711A (ko) 상품 판매를 위한 영상/상품 매칭 판매 페이지 제공 방법
KR20210018706A (ko) 판매자 기반의 영상/상품 매칭 판매 주소 정보를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KR20210018704A (ko) 등록자 기반의 영상/상품 매칭 판매 주소 정보를 이용한 상거래 제공 방법
KR20210018705A (ko) 등록자 기반의 상거래를 위한 영상/상품 매칭 판매 주소 정보 공유 방법
KR20210022169A (ko) 영상/상품 매칭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