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956A - 언어 학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언어 학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956A
KR20090090956A KR1020080016592A KR20080016592A KR20090090956A KR 20090090956 A KR20090090956 A KR 20090090956A KR 1020080016592 A KR1020080016592 A KR 1020080016592A KR 20080016592 A KR20080016592 A KR 20080016592A KR 20090090956 A KR20090090956 A KR 20090090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sentence
learner
word
asso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743B1 (ko
Inventor
최정임
Original Assignee
최정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임 filed Critical 최정임
Priority to KR102008001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74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은, 학습자가 학습할 제2 언어 문장을 기습득한 제1 언어 문장으로 표현하여 언어를 학습하는 방법으로서, 제2 언어의 문장 단어를 제1 언어의 단어로 1 대 1 매칭시키는 제1 매칭단계와, 제1 단계에서,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단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제2 언어의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를 제2 언어 또는 특수부호로 1 대 1 매칭시키는 제2 매칭단계와, 1 대 1 매칭되는 제1 언어의 단어 또는 특수부호를 제2 언어의 문장 배열 순서로 배열시키는 연상문장을 생성하는 연상문장 생성단계 및 연상문장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연상문장을 표시하는 연상문장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연상문장이 학습자가 학습하려는 제2 언어의 어순과 동일하게 배열되고 학습자가 기습득한 제1 언어 및 특수부호로 제2 언어가 표혐됨으로써, 기존에 사용할 수 있는 제1 언어를 사용하여 쉽게 제2 언어를 자연스럽게 연상할 수 있어 획기적인 언어학습 성취를 달성할 수 있다.
언어학습, 학습자 단말기, 모국어, 외국어

Description

언어 학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learning language}
본 발명은 학습자가 숙지한 언어로 표현되며, 외국어의 시제, 및 연결어(접속사나 전치사)와 같이 숙지한 언어로 표현되지 못하는 경우 이를 대체하는 부호로 구성되는 문장(연상문장)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외국어에 익숙하지 않은 학습자로 하여금 외국어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킴은 물론, 약속 부호를 포함하는 연상문장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연상활동을 통하여 외국어 문장으로 사고하며 말하게 하는 음성중심 학습을 유도함으로써 문자로 쓰여진 외국어 문장에 의존하여 단순한 암기와 읽기를 반복하는 문자중심 학습을 탈피하도록 하는 연상문장을 이용한 언어학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국어의 학습은 단어에서 문장에 이르기까지 문자로 기록된 외국어 단어와 문장을 보며 반복하여 읽고 암기하여 말하는 방법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대다수의 학습자는 문자로 기록된 외국어의 문장과, 그에 대한 번역문을 번갈아 참조하여 외국어를 학습하는 문자중심학습 방법에 의존해 왔다.
이 학습방법의 외국어 학습자는 문자를 벗어난 상황에서는 외국어를 사용(말 하기. 작문)하기가 무척 어렵다. 그 이유로서 단순암기와 문장이해의 문자중심 학습방법은 외국어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르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사고능력을 수반하는 말하기능력과 작문능력을 향상시키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자국어 어순과 외국어와 어순 사이에 차이가 큰 경우(예: 한국어와 영어)에 발생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외국어 학습방법이 개발되지 않아 이 경우의 구별된 외국어 학습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학습자는 외국어에 대하여 충분한 어휘를 학습하더라도 그 알고 있는 어휘를 이용하여 외국어 어순의 문장을 만드는데 큰 어려움이 있으므로 말하기 능력과 작문 능력을 향상시키기가 무척 어렵다.
듣기와 독해의 경우에도 외국어를 청취 하거나 문장을 읽은 후, 이를 자국어(예를 들어 한국어)로 다시 해석하여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외국어와 자국어의 두 언어 사이에 어순차이, 상호 호환되지 않는 어휘, 문법, 시제, 상용어법 등에 큰 차이가 없는 경우(예 한국어와 일본어)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두 언어 사이에 어순, 상호 호환이 어려운 어휘, 문법, 시제, 상용어법에 차이가 큰 경우(예: 한국어와 영어)에 학습자는 외국어를 듣거나 읽는 순간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국어의 어휘 어순, 문법, 시제, 상용어법으로 바꾸어 해석하여 학습하려고 하게 됨으로써 학습자에게 혼란감과 어려움을 주게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이 잘 알고 있는 언어를 외국어 학습에 적용하지 못하게 되고, 외국어를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가 숙지하고 있는 제1 언어와 다양한 약속부호를 포함하여 학습하려고 하는 제2 언어와 1 대 1 매칭되게 표현되는 연상문장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연상활동을 통하여 외국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언어 학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상기의 제안된 연상문장에 외국어 어순, 상호호환이 어려운 어휘, 문법, 시제, 상용어법을 포함하여, 그 연상문장을 통하여 제2 언어를 바로 받아들이게 함으로써 두 언어 사이에 존재하는 어순, 시제 및 상용어법이 동일하지 않음으로 인한 학습자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효과적인 독해와 듣기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를 학습자가 숙지한 제1 언어를 이용해서 표현할 때,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의 어휘와 미리 약정된 부호로 바꾼 시제, 상용어법 및 연결어를 네트워크를 통해 이를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어휘와 약정된 부호에 맞는 어휘를 스스로 연상할 수 있도록 돕는 연상문장을 이용한 언어학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자로 기록된 제2 언어인 외국어 문장을 보지 않는 상태에서 제안된 연상문장을 이용하여 연상활동을 통하여 제2 언어를 표현하게 함으로써 일반적인 문자중심의 외국어 학습의 한계점인 외국어로 사고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여 궁극적으로 사고력 수반을 필수 조건으로 하는 말하기능 력과 작문능력 향상 방안이 되는 언어학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자로 기록된 문장에 의존하지 않고 연상문장을 보며 소리내어 말함으로써 외국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음성중심 언어학습(전인류의 모국어 학습법)이 가능하도록 창안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문자에 의존하여 학습한 결과 문자로 기록된 외국어 문장을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제2 언어를 표현(말하기와 작문)하기가 지극히 어려운 문자중심 학습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언어학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 언어 문장에 포함되는 어휘의 어순에 완전히 1 대 1 매칭될 수 있는 어휘의 어순을 가진 연상문장을 생성하여 외국어 어휘의 어순으로 문장 만들기를 연상하고 실습하게 함으로써, 상기한 예로서 학습자가 기습득한 제1 언어와 학습하려는 제2 언어의 어순상의 차이가 큰 경우에 충분한 어휘를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이 올바른 문장 만들기에 느끼는 어려움을 해소하도록 하여, 제2 언어 문장 만들기 능력을 반드시 수반하는 말하기능력과 작문능력향상에 효과적인 언어학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숙지한 제1 언어로 표현되는 연상문장을 배경 이미지, 및 동영상과 결합하고 이를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연상효과를 극대화하는 연상문장을 이용한 언어학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은, 학습자가 학습할 제2 언어 문장을 기습득 한 제1 언어 문장으로 표현하여 언어를 학습하는 방법으로서, 제2 언어의 문장 단어를 제1 언어의 단어로 1 대 1 매칭시키는 제1 매칭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단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언어의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를 제2 언어 또는 특수부호로 1 대 1 매칭시키는 제2 매칭단계; 상기 1 대 1 매칭되는 제1 언어의 단어 또는 특수부호를 상기 제2 언어의 문장 배열 순서로 배열시키는 연상문장을 생성하는 연상문장 생성단계; 및 상기 연상문장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연상문장을 표시하는 연상문장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연상문장은 학습자가 학습하려는 제2 언어의 어순과 동일하게 배열되고 학습자가 기습득한 제1 언어 및 특수부호로 제2 언어가 표혐됨으로써, 기존에 사용할 수 있는 제1 언어를 보면서 제2 언어를 자연스럽게 연상하게 하여 사고하며 말하기나 쓰기를 학습하게 하여 사고능력을 반드시 수반하는 제2 언어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쉽게 성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연상문장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연상문장을 보면서, 학습자가 제2 언어 문장으로 입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제2 언어 문장과 상기 연상문장에 대응되는 제2 언어 문장을 비교하는 문장 비교단계; 및 상기 문장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언어학습시 사용자가 틀린 부분이나 강조되어야 할 부분을 학습자가 명확하고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매칭단계에서, 상기 제2 언어 문장에, 명사의 성별을 나타 내는 성별표시, 단수가 주어인 경우 현재동사의 식별표시, 복수명사를 나타내는 식별표시, 관계대명사 및 부정관사가 있는 경우, 이를 동일하게 매칭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언어와 제2 언어와의 사이에 1 대 1 매칭이 불가능한 부분, 예를 들어 명사에 성별을 구분하는 경우, 단수주어의 경우 동사의 현재시제를 표시하는 경우, 인칭에 따른 관사나 동사의 변형 식별을 표시하는 경우, 복수명사를 표시하는 경우, 관계대명사와 같은 연결어를 표현하는 경우나, 부정관사의 경우 등과 같은 경우에도 제2 언어를 그 어순과 동일하게 제1 언어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매칭단계에서, 제2 언어의 전치사를 제1 언어로 매칭시킬 수 없는 경우에, 특수부호를 상기 전치사와 매칭시키고 상기 전치사의 의미를 가지는 제1 언어의 단어를 상기 특수부호와 연계하여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언어와 제2 언어와의 사이에 1 대 1 매칭이 불가능한 부분인 전치사의 경우에도 제2 언어를 제1 언어와 특수부호를 사용하여 제2 언어의 어순과 동일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단계는, 소리 또는 문자로 입력된다.
이로써, 언어 학습에 있어 문자 또는 소리로 연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고하기, 말하기, 쓰기, 듣기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장치는, 학습자가 학습할 제2 언어 문장을 기습득한 제1 언어 문장으로 표현하여 언어를 학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2 언어 문장 데이터 및, 이와 대응되는 제1 언어 및 연상문 장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연상 문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학습자에 의하여 제2 언어 문장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제2 언어 문장과 상기 제2 언어 문장을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상문장은, 제2 언어의 문장 단어를 제1 언어의 단어로 1 대 1 매칭되고, 제1 언어로 제2 언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언어의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를 제2 언어 또는 특수부호로 1 대 1 매칭되며, 1 대 1 매칭된 제1 언어의 단어 또는 특수부호를 상기 제2 언어의 문장 배열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연상문장은 학습자가 학습하려는 제2 언어의 어순과 동일하게 배열되고 학습자가 기습득한 제1 언어 및 특수부호로 제2 언어가 표혐됨으로써, 기존에 사용할 수 있는 제1 언어를 보면서 제2 언어를 자연스럽게 연상할 수 있으며, 제1 언어와 제2 언어와의 사이에 1 대 1 매칭이 불가능한 부분인 전치사의 경우에도 제2 언어를 제1 언어와 특수부호를 사용하여 제2 언어의 어순과 동일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어, 학습자는 제2 언어의 어휘만 알고 있더라도 자연스럽게 올바른 제2 언어 문장을 만드는 능력을 형성할 수 있어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2 언어 문장과 연상문장에 대응되는 제2 언어 문장을 비교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학습자는 즉각적으로 자신이 어느 부분이 틀렸는지를 파단할 수 있어 학습의욕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상 문장은, 상기 제2 언어 문자에, 명사의 성별을 나타내는 성별표시, 단수가 주어인 경우 현재동사의 식별표시, 인칭에 따른 관사나 동사의 변형식별표시, 복수명사를 나타내는 식별표시, 관계대명사 및 부정관사가 있는 경우, 이와 동일하게 매칭된다.
여기서, 상기 연상 문장은, 제2 언어의 전치사를 제1 언어로 매칭시킬 수 없는 경우에, 특수부호로 상기 전치사와 매칭되고, 상기 전치사의 의미를 가지는 제1 언어의 단어를 상기 특수부호와 연계하여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언어와 제2 언어와의 사이에 1 대 1 매칭이 불가능한 부분인 전치사의 경우에도 제2 언어를 제1 언어와 특수부호를 사용하여 제2 언어의 어순, 문법 및 상용어법과 동일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제1 언어와 제2 언어 사이에 어순, 문법, 시제 및 상용어법의 차이가 큰 경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됨으로써 제2 언어학습 효과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상기 연상문장과 대응되는 소리, 그림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파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연상문장과 미디어파일을 결합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언어 학습시 사고하기, 듣기, 쓰기 및 말하기를 동시에 연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지 않은 제2 언어 문장이 입력되면, 연상문장을 생성한다.
이로써, 기존에 저장되지 않은 언어나 데이터도 학습자가 계속하여 입력하여 학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가 학습할 제2 언어 문장을 기습득한 제1 언어 문장으로 표현하여 언어를 학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2 언어 문장 데이터 및, 이와 대응되는 제1 언어 및 연상문장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 학습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서비스부, 및 데이터베이스 및 웹서비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및 원격지에서 상기 서버의 웹서비스부에 연결되며, 학습자에 의하여 제2 언어 문장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연상문장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제2 언어 문장과 기저장된 제2 언어 문장을 비교하여 정답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연상문장은, 제2 언어의 문장 단어를 제1 언어의 단어로 1 대 1 매칭되고, 제1 언어로 제2 언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언어의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를 제2 언어 또는 특수부호로 1 대 1 매칭되며, 1 대 1 매칭된 제1 언어의 단어 또는 특수부호를 상기 제2 언어의 문장 배열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학습자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자신의 컴퓨터나 어학기기와 같은 단말기로 제2 언어를 학습할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할 수 있는 제1 언어 및 특수부호를 이용하여 제2 언어를 쉽게 연상하면서 배울 수 있으므로 제2 언어의 습득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상 문장은, 상기 제2 언어 문자에, 명사의 성별을 나타내는 성별표시, 단수가 주어인 경우 현재동사의 식별표시, 인칭에 따른 관사나 동사의 변형식별표시, 복수명사를 나타내는 식별표시, 관계대명사 및 부정관사가 있는 경우, 이와 동일하게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상 문장은, 제2 언어의 전치사를 제1 언어로 매칭시킬 수 없는 경우에, 특수부호로 상기 전치사와 매칭되고, 상기 전치사의 의미를 가지는 제1 언어의 단어를 상기 특수부호와 연계하여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언어와 제2 언어와의 사이에 1 대 1 매칭이 불가능한 부분인 전치사의 경우에도 제2 언어를 제1 언어와 특수부호를 사용하여 제2 언어의 어순과 동일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영어 학습 효과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상기 연상문장과 대응되는 소리, 그림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파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상문장과 미디어파일을 결합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듣기, 말하기 및 쓰기를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용이하면서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지 않은 제2 언어 문장이 입력되면, 연상문장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학습자가 배우고자 하는 제2 언어를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학습자가 기 습득하고 있는 제1 언어 및 특수부호로 형성되는 연상문장이 생성되고, 이를 통하여 제2 언어를 연상하면서 배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상문장은 학습자가 학습하려는 제2 언어의 어순과 동일하게 배열되고 학습자가 기습득한 제1 언어 및 특수부호로 제2 언어가 표혐됨으로써, 기존에 사용할 수 있는 제1 언어를 사용하여 쉽게 제2 언어를 자연스럽게 연상할 수 있어 획기적인 언어학습 성취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언어학습시 사용자가 틀린 부분이나 강조되어야 할 부분을 학습자가 명확하고 즉각 확인할 수 있어 언어 습득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언어와 제2 언어와의 사이에 1 대 1 매칭이 불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에 의하여 제2 언어를 완벽하게 제1 언어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언어 학습시 사고하기, 듣기, 쓰기 및 말하기 중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연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해 갈 수 있어 기존 장치나 시스템에서 학습하려고 하는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연상문장을 생성하여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사이에 문법, 시제 및 상용어법의 차이가 큰 경우(예를 들어, 한국어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및 중국어 등)에 학습자들이 느끼는 혼란감과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제2 언어 문장 만들기를 통한 외국어 학습을 하게 하여 문장 만들기 능력을 반드시 수반하는 말하기와 쓰기 학습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자로 기록된 제2 언어인 외국어 문장을 보지 않는 상태에서 제안된 연상문장을 이용하여 연상활동을 통하여 제2 언어를 표현하게 함으로써 일반적인 문자중심의 외국어 학습의 한계점인 외국어로 사고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여 궁극적으로 사고력 수반을 필수조건으로 하는 말하기 능력과 작문 능력을 단시간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문자로 기록된 문장에 의존하지 않고 연상문장을 보며 소리내어 말함으로써 외국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음성중심 언어학습(전인류의 모국어 학습법)이 가능하게 되어, 일반적으로 문자에 의존하여 학습한 결과 문자로 기록된 외국어 문장을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제2 언어를 표현(말하기와 작문)하기가 지극히 어려운 문자중심 학습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하여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언어 문장에 포함되는 어휘의 어순에 완전히 1 대 1 매칭될 수 있는 어휘의 어순을 가진 연상문장을 생성하여 외국어 어휘의 어순으로 문장 만들기를 연상하고 실습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는 제2 언어의 어휘만 알고 있으면 어순이 올바른 제2 언어 문장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연상문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연상문장을 이용하여 제2 언어를 습득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장치(10)는, 학습 컨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103), 학습자에게 연상문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05), 학습자에 의하여 문장이 입력되는 입력부(107)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01)를 포함한다.
데이터 베이스부(103)는 상기한 학습 컨텐츠가 미리 저장되며, 학습 컨텐츠로는 학습자가 학습하려고 하는 제2 언어 문장 데이터, 학습자가 기습득한 제1 언어 문장 데이터, 제2 언어 문장 데이터를 제1 언어 또는 특수부호로 표현되는 연상문장 및 문자에 따른 소리, 그림 및 영상파일을 포함하는 미디어파일이 저장된다.
여기서, 제2 언어는 협소하게는 제2 외국어가 될 수 있으며 학습자가 기습득하지 않은 즉 배우려고 하는 언어로 정의되며, 제1 언어는 모국어를 포함하여 학습자가 기습득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로 정의된다. 즉, 제1 언어는 모국어 이외의 외국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학습자가 언어 학습 장치(100)로 제2 언어를 학습하려고 할 때 제1 언어 및 제2 언어를 입력부(107)에 의하여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연상문장은 제2 언어가 제1 언어로 표현되는 문장으로서, 이로써 학습자가 기존에 구사가능한 제1 언어를 사용하여 학습하려고 하는 언어를 친숙하면서도 연상문장을 통하여 제2 언어를 연상하면서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제2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부(107)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습득한 제1 언어 및 학습하려고 하는 제2 언어가 입력되며, 제시되는 연상문장을 보고 제2 언어를 연상하여 이를 입력하여 그 정답여부를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입 력부(107)는 키보드와 같이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하여 학습자의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언어에 대하여 쓰기 및 말하기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5)는 데이터베이스부(103)에 기저장된 연상문장을 학습자에게 표시하여 연상문장을 통하여 제2 언어를 자연스럽게 연상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05)에는 문자뿐만 아니라 제2 언어에 대한 음성이나 영상도 출력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01)는 상기의 데이터 베이스부(103), 입력부(107) 및 디스플레이부(105)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데이터 베이스부(103)에 기저장된 제2 언어와 이에 대응되는(번역) 제1 언어와 연상문장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05)로 표시하고, 입력부(107)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2 언어 문장과 기저장된 제2 언어 문장이 동일한지 비교하여 학습자에게 입력한 문장이 맞는지 틀리는지 디스플레이부(105)를 통하여 표시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부(105)로 연상문장을 표시할 때 이에 대응되는 소리, 그림 또는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 입력이 키보드에 의한 입력이 아닌 음성에 의한 입력인 경우 제어부(101)는 입력되는 음성을 분석하여 제2 언어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학습자에게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언어 학습 장치(100)에 의하여, 학습자는 친숙하면서 자연스런 제1 언어를 이용하여 제2 언어를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연상문장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 학습자가 학습하려는 제2 언어 문장의 각 단어에 대응되는 제1 언어 단어로 1 대 1 매칭시킨다.
2)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차이로 인하여, 제2 언어를 제1 언어로 1 대 1 매칭이 안되는 제2 언어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를 제2 언어 또는 특수 부호로 1 대 1 매칭시킨다.
3) 이와 같이 매칭된 제1 언어 및 특수문자를 제2 언어의 어순과 동일하게 배열한다.
4) 만일, 제2 언어 문장에 관용어구가 포함되는 경우, 관용어구 전체를 미리 준비된 연상문장으로 변경한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부(103)에는 관용어구 전체에 대해 미리 작성된 연상문장이 저장된다.
5)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단수, 및 복수 표현방법이 상이한 경우, 제2 언어의 단수, 및 복수 표현방법을 제1 언어의 어휘 뒷부분에 부가한다.
6) 제2 언어가 명사의 성별을 구분하는 경우 이를 나타내는 성별표시, 단수가 주어인 경우 현재동사의 식별표시, 관계대명사 등과 같은 연결어, 관사 및 부정관사가 있는 경우 이를 동일하게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제2 언어의 어휘가 "villagers" 인 경우, 연상문장은 "마을주민s"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온라인 강사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생성된 연상문장의 표현 및 오류에 대한 수정이 있어도 무방하다.
연상문장은 학습자가 친숙하게 숙지하고 있는 언어, 예를 들어 모국어를 중심으로 제2 언어를 기술한 문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학습자는 제2 언어를 학습하기 위해 제2 언어를 구성하는 최소한의 어휘만을 숙지하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순과 어휘가 상이하여 제2 언어를 학습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수많은 학습자가 친숙한 제1 언어를 토대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도 2는 연상문장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언어가 한국어이고 제2 언어가 영어인 경우, 연상문장은 제2 언어인 영어의 문장 "There was a severe drought"을
"거기엔 a 심한 가뭄이 있었다 " 고 표현한다.
즉, 특수부호 ''는 '있었다'의 be동사와 시제 표현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2 언어로 시제를 매칭시킬 수 없는 경우 특수부호 ''를 제1 언어의 어순에 매칭시키고 과거를 의미하는 제1 언어로 표시하면서 밑줄로 표시하여 ' 있었다' 에 대한 과거형 어휘가 표시되어야 할 자리임을 나타내어 특수부호와 연계시킨다.
이때, 학습자는 부호 ''로 표기된 영역에 대해 적정한 be동사의 과거형 표현을 연상해야 하며, 문장 뒤에 표시된 " 있었다 "를 참조하여 연상할 수 있다.
또한, 단수를 나타내는 부정관사 "a"는 한국어에는 없는 표현이므로 관사 "a"는 연상문장에 그대로 남겨둔다.
따라서, 학습자는 제1 언어를 위주로 표현되는 연상문장을 통해 제2 언어를 반복하며 말하고 쓸 수 있도록 훈련되며, 제2 언어를 학습하기 위해 제2 언어로 된 문장 전체를 암기하거나 읽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Figure 112008500974805-PAT00001
상기의 그림을 참조하여 연상문장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시 설명한다.
특수부호 ''는 '예상중이다'의 be동사와 시제표현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2 언어로 시제를 매칭시킬 수 없는 경우 특수부호 ''를 제1 언어의 어순에 매칭시키고 현재형을 의미하는 제1 언어로 표시하면서 밑줄로 표시하여 '중이다'에 대한 현재 진행형 어휘가 표시되어야 할 자리임을 나타내어 특수부호와 연계시킨다. 이때, 학습자는 be 동사의 현재표현을 연상해야 하며, 문장뒤에 표시된 '중이다'를 참조하여 연상할 수 있다.
또한, 특수부호 ''는 제2 언어의 전치사 'of'와 1 대 1로 매칭되는 제1 언어가 없으므로, 특수부호 ''를 전치사 'of'의 어순에 1 대 1로 매칭시키고 전치사 'of'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 ''를 'of'와 연계시켜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전치사 'in'의 어순에 1 대 1로 매칭되게 특수부호 ''를 매칭시키고 'in'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 '안의'를 'of'와 연계시켜 표시한다.
여기서 제2 언어의 정관사 'the'는 연상문장에서 '그'로 표현하고, 명사의 복수형을 나타내는 'seasons' 및 'years'의 's'는 연상문장에서 동일하게 표현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부(103)에 연상문장이 기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부(107)를 통하여 제2 언어가 입력되면 제어부(101)는 데이터 베이스부(103)에 이와 동일한 문장이 있는 지 검색하고 없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연상문장으로 생성하여 학습 컨텐츠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어 학습 장치(100)는 연상문장 및 제2 언어 순차로 재생하며,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경우(또는 학습자가 연상문장을 통해 학습하는 시기)에 연상문장에 대한 제2 언어의 음성을 재생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신이 연상한 제2 언어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원어민 발음을 청취할 수 있으므로 제2 언어로 말하기와 듣기를 함께 학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언어란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대상이므로 영어, 일어, 중국어 및 기타 다양한 국가의 언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대상이 한국어 일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를 각각 제1 언어와 제 2언어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순서는 학습자의 국적 및 숙지하고 있는 언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영어 이외의 언어에 대하여 생성된 연상문장을 간략하게 나타낸다.
1)제1 언어의 어절 수와 그에 해당되는 제 2 언어의 어절 수가 달라서 구별이 필요한 경우 연상문장에서는 각 연상단어를 /로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예 1) 제 1 언어가 한국어 이고 제 2 언어가 중국어 인 경우 연상문장은
연상문장:
Figure 112008500974805-PAT00043
2) 연상단어 상단에 필요한 경우, 악센트나 음의 고저( 중국어의 경우 사성)를(
Figure 112008500974805-PAT00044
)의 기호로 나타내어 표현한다.
Figure 112008500974805-PAT00002
3) 제1 언어의 어휘는 한 형태의 단어로 표현되는데 제 2 언어에서는 발음, 인칭, 성, 수, 격 등에 다라 단어의 일부가 변하여 다르게 표현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경우, 제 1 언어뒷부분에 변화되는 제2 언어의 변화되는 부분을 부가하여 연상문장을 만든다.
연상문장 우리는 먹었다 많은 사과s.
제 2언어 We ate many apples.
예 2) < 프랑스어 travailler(일하다)의 인칭에 따른 변화표 >
Figure 112008500974805-PAT00003
프랑스어: travaille travailles travaille travaille travaillons travaillez
연상단어: 일하다e 일하다es, 일하다e, 일하다e, 일하다ons, 일하다ez
예 3) <독일어 Kommen( 오다) 의 인칭 에 따른 변화표>
Figure 112008500974805-PAT00004
독일어 komme kommst kommt kommen
연상단어 오다e 오다st 오다t 오다en
4) 제1 언어에는 한 단어로 표현되지만 제2 언어에서는 함께 수반되는 어휘의 성이나 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되는 경우, 제1 언어의 어휘에 남성을 나타내는 m 여성을 나타내는 f, 중성을 나타내는 n, 복수를 나타내는 pl를 덧붙여 연상단어를 만든다.
예) 나의m, 나의f, 나의n, 나의pl
프랑스어 소유격 나의 인칭에 따른 변화 중 나의m, 나의f, 나의pl.
Figure 112008500974805-PAT00005
예2) < 스페인어의 인칭과 성에 다른 정관사 변화>
Figure 112008500974805-PAT00006
보기 그m 아버지 그m 은행 그mpl 아버지s 그mpl 은행s
el padre el banco los padres los bancos
그f 어머니 그f 집 그fpl 어머니 그fpl 집s
la madre la mesa las madre las mesas
5) 제1 언어에서는 생략 가능한 어휘이지만 제2 언어에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어휘는 제2 언어의 일부 혹은 부분 그대로를 연상단어로 만든다.
예)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의 부정관사
영어 a, an, 프랑스어 un, une, des, 독어 ein, eine, ein
스페인어 un, una, unos, unas
6) 제1 언어에서는 한가지 형태의 단어로 사용되나 제2 언어에서는 인칭 성, 격, 수에 다라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는 경우, 제1 언어의 어휘에 약속된 부호와 상기의 m, f, n, pl와 격을 나타내는 약속부호: 1격(주격)을 나타내는 i , 2격(여격)을 나타내는ii, 3격(소유격)을 나타내는 iii, 4격(목적격)을 나타내는 iv를 정하여 상기의 i, ii, iii, iv 를 함께 덧붙여서 만든다.
Figure 112008500974805-PAT00007
Figure 112008500974805-PAT00008
※ 남성, 중성 명사의 단수 2격에서는 명사 뒤에 -s나 -es가 붙는다
7) 제 1 언어에서는 한 가지 형태의 단어로 표현되지만 제 2 언어에서는 인칭, 성 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되는 경우 ....... 약속부호( ●) 와 연상단 어를 만든다.
<영어 be 동사 의 경우> 문장의 예
나는● 배가고프다.
I am hungry.
무엇 ● 너 하는중이니?
What are you doing?
sein 동사란 영어의 be 동사에 해당하는 것으로 be 동사가 주어의 인칭에 따라서 am, are, is 로 각기 다른 것처럼 독일어의 sein 동사 역시 주어의 인칭에 따라 각기 다른 꼴을 취한다.
Figure 112008500974805-PAT00009
8) 제1 언어에는 전혀 사용되지 않으나 제2 언어에서는 성이나 수에 달라서 꼭 사용되어야할 어휘는 성을 나타내는 말을 m, f, n, pl 연상단어로 사용한다.
9) 제1 언어 문장속의 순서와 제2 언어의 문장속의 단어의 순서가 바뀔 경우 말순서 바꿈표시 선을 연상문장 속에 넣어 활용할 수 있다
그녀는 찾는다a 를 문수.
Ella busca a Munsu.
이를 정리하여, 각 언어별로 연상문장의 예를 보이도록 한다.
< 독일어 >
1. 은mi 선생님 ● 키가크다.
Der Lehrer ist
Figure 112008500974805-PAT00045
.
2. 이 자동차 의mii 선생님 ● 파랗다.
Das Auto des lehrer ist blau.
3. 이것은● 하나의m 탁자다.
Das ist ein Tisch.
4. 이사람은● 하나의f 여성이다.
Das ist eine Frau.
5. 얼마나 오래 걸리나t 그것 프랑크푸르트까지?
Wie lange dauert es bis Frankfurt?
6. 나는 일어난다e 7 시 위로.
Ich stehe um sieben Uhr auf.
( I stand up at 7 o'clock.)
7. 영어 공부하기는 ● 아니다 쉬운.
English zu studieren ist nicht leicht.
8. 제발, 갑니까ter 기차 프랑크푸르트?
Bitte,
Figure 112008500974805-PAT00046
dieser Zug nach Frankfurt?
<프랑스어>
1. 그녀는 n'● 아니다 큰e. 그녀는● 작다e.
Non, elle n'est pas grande. Elle est petite.
2. 이것은' ● 하나의 풍선이다.
C'est un ballon.
3. 이것은' ● 하나의e 라디오다.
C'est une radio.
4. 나는'가진다i 선물 를 위한.
J'ai cadeau pour toi.
5. 너는 n' ● 아니다 그f 사진 위에.
Tu n'es pas sur la photo.
6. 이것은 '● 이자벨이다 그f 딸 나의f 숙모.
C'est Isabelle, la fille de ma tante.
7. 그 모자 뒤에 그f 젊은 아가씨.
Derriere le chapeau de la jeune fille!
8. 너는 가진다s 몇몇m 치즈, 몇몇'물 미네랄, 몇몇m 우유, & 몇몇s 과일s.
Tu as du fromage, d'leau
Figure 112008500974805-PAT00047
, du lait, et des fruits.
9. 우리는● 그 정원 안에 있다.
Nous sommes dans le jardin.
<중국어>
1. 그들/역시/모두/아주/바쁘다.
他們 也 都
Figure 112008500974805-PAT00061
忙。
2. 나/역시/없다/ 돈.
我 也 沒有 錢。
3. 당신/갑니까/안/갑니까?
Figure 112008500974805-PAT00062
去 不 去?
4. 내/ 친구/의/ 책/아주/많다.
我 朋友 的 書
Figure 112008500974805-PAT00063
多。
5. 그/가르친다/우리에게/중국어.
他 敎 我們 中文。
6. 당신/ 봅니까/ 무슨/ 신문?
Figure 112008500974805-PAT00064
看 什
Figure 112008500974805-PAT00065
報?
7. 하지마시오/ 가다.
不要 去。
8. 오늘/입니까/ 며칠?
今天 是
Figure 112008500974805-PAT00066
Figure 112008500974805-PAT00067
?
9. 이/권/새로운/책은/깨끗하다, 저/권/ 헌/것/ 아니다/깨끗한.
這 本 新 書 干淨 那 本
Figure 112008500974805-PAT00068
的 不 干淨。
<스페인어>
1. 무엇 보다a 당신?
Figure 112008500974805-PAT00055
mira Vd?
2. 나는 보다a 을m 긴의자.
Yo mira el
Figure 112008500974805-PAT00056
.
3. 누가 사는가a 을f 펜?
Quien compra la pluma?
4. 나는 가진다go 나의 책, 너는 가진다es 을m 너의것.
Yo tengo mi libro,
Figure 112008500974805-PAT00057
tienes el tuyo.
5. 아니다 ● 하나의a 분필
No es una tiza.
6. 아닙니까 ●어려운 하나의a 언어 외국의a?
No es
Figure 112008500974805-PAT00058
una lengua extranjera?
7. 나의 집은 있다
Figure 112008500974805-PAT00059
멀리 그 학교 로부터 .
Mi casa
Figure 112008500974805-PAT00060
lejos de la esculela.
한편, 데이터 베이스부(103)에는 제1언어, 제2언어, 및 연상문장 이외에도, 배경 이미지나 동영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경 이미지나 동영상은 연상문장의 줄거리와 관련된 것으로 연상문장이 배경 이미지나 동영상 위에 포개져서 표시될 수 있다. 이는 학습자가 연상문장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이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경 이미지를 보고 부호를 대체할 제2 언어를 쉽게 유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01)는 상기의 연상문장을 생성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1 언어, 제2 언어 및 기타 1 대 1 매칭이 되지 않는 전치사나 시제에 대한 특수 부호 를 이용하여 연상문장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자동 또는 미리 만들어진 연상문장을 배경 이미지, 및 동영상과 결합한다. 결합된 파일은 wma, mpeg, avi, 및 기타 학습 장치(10)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라면 어떤 포맷이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해서 제1 언어가 한국어 제2 언어가 영어인 경우에 연상문장을 이용하여 언어 학습 장치(10)를 통한 언어학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학습자 언어 학습 장치(10)에는 "# 그 마을주민s은 봤다 at 서로 & 흔들었다 그들의 머리s"로 표현된 연상문장이 표시되며, 연상문장이 표시됨과 동시에 또는 연상문장이 표시된 뒤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 10분)이 지난 뒤 연상문장에 대한 제2 언어를 표시한다.
연상문장 "# 그 마을주민s은 봤다 at 서로 & 흔들었다 그들의 머리s"를 제2 언어로 표현하면, "But the villagers looked at each other and shook their heads"이다.
여기서, 연상문장의 #은 접속사 "but"을 나타내고, "&"는 접속사 "and"를 나타내며, 제1 언어인 한국어에는 없는 단수 복수 표현인 "s"가 "마을주민", 및 "머리"에 부가된다.
또한, 그 아래에 기재된 연상문장 "그래서 소년은 잃었다 모든 그의 양 & 돌아왔다 back 그 마을 우는 중"은 제2언어로 표기하면 "So the boy all his sheep and came back to the village, crying"로 표기되며, 부호 는 밑줄을 그어 마을 와 관련성을 갖는 것임을 암시한다.
여기서, 연상문장에 적용되는 부호 ▲, ●, , 및 는 제2 언어의 의미를 가지는 제1 언어와 연계되는 경우 밑줄이 표시되고( , ),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독으로 표기된(▲,●)다. 물론 연상문장의 전후에 관련을 가지는 어휘나 문구가 존재하더라도 학습자 스스로가 연결어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호에 밑줄을 표기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부호는 이외에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학습자와 미리 약속되어야 한다. 또한, 연상문장은 시제나 조동사를 표현하기 위해 타 어휘와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wouldn't를 붉은 색상의 wo't로 표기하고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러한 표기는 제2언어를 약어로 표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2 언어 학습시 학습자에게 친숙하면서 숙달된 제1 언어 및 특수부호를 사용하여 생성된 연상문장을 보며, 제2 언어를 학습하는 경우 학습속도고 획기적으로 빠르게 되며,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200)은, 학습자 단말기(210)와 서버(230)를 포함하며, 학습자 단말기(210)는 디스플레이부(211) 및 입력부(213)를 포함하며, 서버(230)는 웹서비스부(235), 제어부(231) 및 데이터 베이스부(233)를 포함한다.
학습자 단말기(210)는 원격지에서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언어 학습 콘텐츠를 받아 언어를 학습하는 기기로서, 이의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부(211) 및 입력부(213)는 상기한 언어 학습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05) 및 입력부(107)와 그 기능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30)는 원격지에서 학습자 단말기(210)로 언어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일 구성요소인 데이터 베이스부(233)는 상기의 언어 학습 장치(100)의 데이터 베이스부(103)와 그 기능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30)의 웹서비스부(235)는 학습자 단말기(210)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학습자의 로그-인 및 로그-아웃을 처리하며, 학습자로 하여금 제1 언어 및 제2 언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웹서비스부(235)는 학습자로 하여금 연상문장과 제2 언어의 표시순서,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가 연상문장을 위한 배경 이미지나 동영상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웹서비스부(235)는 학습자가 제2 언어로 작성된 문장의 재생음(원어민 발음) 청취 여부를 선택받고 이를 제어부(231)로 통보한다. 학습자가 재생음 청취를 원하는 경우, 제어부(231)는 는 연상문장과 제2 언어의 재생음을 결합하고, 이를 학습자 단말기(210)로 제공한다.
여기서, 데이터 베이스부(233)에 기저장된 연상문장은 상기의 언어 학습 장치(10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제어부(231)는 학습자 단말기의 입력부(213)를 통하여 인터넷망을 거 쳐 수신되는 제2 언어가 데이터 베이스부(233)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이에 대한 연상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학습자가 학습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저장 및 단말기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1)는 연상문장과 연관되는 음성이나 배경 또는 영상을 결합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제어부(231)에 의해 연상문장과 배경이미지가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면에는 양떼를 나타내는 배경 이미지와, 양치기 소년에 대한 제2 언어 문장("So the boy all his sheep and came back to the village, crying")이 결합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부호 " "에 해당하는 전치사는 박스(box) 테두리로 강조함으로써 학습자가 부호를 대치할 연결어를 더욱 쉽게 추론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연상문장 내의 "마을 " 에도 " "에 밑줄을 표기하여 학습자가 전치사 "to"와 연계하여 유추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배경이미지로서 양의 이미지를 배치해 놓았으나, 동화(예를 들어 이솝우화의 "양치기 소년")에 포함되는 삽화로 대체하거나, 동화를 표현하기 위한 동영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사항은 앞서 설명한 언어 학습 장치(1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로써, 학습자는 학원이나 학교에 직접 갈 필요없이 원격지에서 제1 언어를 위주로 형성된 연상문장을 통해 읽기, 듣기, 및 말하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자신이 숙지하고 있는 언어를 기준으로 타국의 언어를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본적으로 서버측에서 언어학습 콘텐츠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므로 양질의 학습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은, 먼저 제2 언어의 문장 단어를 제1 언어의 단어로 1 대 1 매칭시키는 제1 매칭단계를 거친다(S110)). 이로써, 학습자가 기습득한 언어로 제2 언어를 연상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산문장을 만드는 기초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이후, 제1 매칭단계(S110)에서 모든 제2 언어의 문장 단어가 제1 언어로 1 대 1 매칭되는지 판단하고(S120), 모든 제2 언어의 문장 단어가 제1 언어로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매칭된 제1 언어의 단어를 제2 언어의 어순과 동일하게 배열하여 연상문장을 생성한다(S140).
상기 단계 (S140)에서 생성된 연상문장을 학습자에게 표시하고(S150), 학습자에 의하여 제2 언어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60), 학습자에 의하여 문장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제2 언어와 기저장된 또는 생성된 제2 언어와 비교하여(S170) 학습자의 입력이 정답인지 확인한다. 확인된 결과를 학습자에게 표시함으로써(S180)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학습자의 학습성취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매칭단계(S110)에서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단어가 모두 1 대 1 매칭되지 않는 경우, 즉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문법적 또는 표현적 차이에 의하여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언어의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를 제2 언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특수 부호로 1 대 1로 매칭하는 제2 매칭단계를 거친다(S130).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매칭 단계(S110)(S130)를 거쳐, 제2 언어의 단어가 제 1 언어, 제2 언어 및 특수 부호로 매칭되면 이후, 매칭된 단어를 제2 언어의 어순과 동일하게 배열하여 연상문장을 생성하고(S140), 단계 S140, S150, S160, S170 및 S180을 거쳐 학습자가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 매칭단계에서, 제2 언어 문장에 명사의 성별을 나타내는 성별표시, 단수가 주어인 경우 현재동사의 식별표시, 인칭에 따른 관사나 동사의 변형식별표시, 복수명사를 나타내는 식별표시, 관계대명사 및 부정관사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동일하게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독일어의 경우에는 명사의 성별을 표시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명사 식별표시를 그대로 연상문장에 사용하며, 단수가 주어인 경우나 복수명사를 나타내는 경우 영어에서는 동사에 's'나 'es' 등의 식별표시를 사용하는데 이를 그대로 사용하며, 영어에서 관계대명사 'who'나 'which' 같은 경우 그대로 사용하며 부정관사 'a'나 'an'도 그대로 사용한다.
한편, 제2 언어의 전치사나 시제가 제1 언어와 달라 이를 제1 언어와 1 대 1로 매칭시킬 수 없는 경우, 특수 부호를 사용하여 제1 언어의 전치사나 시제와 매칭시키고 전치사나 시제의 의미를 가지는 제1 언어의 단어를 특수문자와 연계하여 연상문장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2 언어(영어)가 'There was a severe drought'인 경우 연상문장은 '거기엔 a 심한 가뭄이 있었다 " 로 생성된다. 즉, 특수부호 " "는 제1 언어의 시제를 나타내는 'was'의 위치에 1 대 1 매칭시키고 과거시제의 의미를 나타내는 ' 있었다 '를 상기 특수 부호와 연계하여 밑줄이나 굵게 표시한다.
또한,
제2 언어가 'I have worked at Microsoft for 3 years.'인 경우
연상문장은 '나는 have 일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3년s 동안.'
로 생성된다.
이때 제1 언어와 제2 언어에서 시제표현이 다른 경우, 제1 언어의 시제를 나타내는 조동사(본 예에서는 'have')는 제2 언어의 조동사를 그대로 사용하여 연상문장을 생성한다.
또한, 특수 부호가 여럿이 있는 경우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특수 부호와 연계되는 의미단어는 동일한 표시구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언어의 전치사 'at'과 1 대 1로 매칭되는 제1 언어가 없으므로, 특수부호 ''를 전치사 'at'의 어순에 1 대 1로 매칭시키고 전치사 'at'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 '에서'를 'at'과 연계시켜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전치사 'for'의 어순에 1 대 1로 매칭되게 특수부호 ''를 매칭시키고 'for'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 '동안'을 'for'와 연계시켜 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문법적 또는 표현적 구성이 전혀 상이하더라도 모든 단어와 단어를 1 대 1로 매칭시켜 연상문장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에게 쉽게 이해되는 제1 언어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제2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 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연상문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언어를 학습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언어를 학습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언어 학습 장치 101, 231 : 제어부
103, 233 : 데이터 베이스부 105, 211 : 디스플레이부
107, 213 : 입력부 200 : 언어 학습 시스템
210 : 학습자 단말기 230 : 서버
235 : 웹서비스부

Claims (16)

  1. 학습자가 학습할 제2 언어 문장을 기습득한 제1 언어 문장으로 표현하여 언어를 학습하는 방법으로서,
    제2 언어의 문장 단어를 제1 언어의 단어로 1 대 1 매칭시키는 제1 매칭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단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언어의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를 제2 언어 또는 특수부호로 1 대 1 매칭시키는 제2 매칭단계;
    상기 1 대 1 매칭되는 제1 언어의 단어 또는 특수부호를 상기 제2 언어의 문장 배열 순서로 배열시키는 연상문장을 생성하는 연상문장 생성단계; 및
    상기 연상문장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연상문장을 표시하는 연상문장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언어 학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상문장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연상문장을 보면서, 학습자가 제2 언어 문장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입력 판단단계;
    상기 입력 판단단계에서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된 제2 언어 문장과 상기 연상문장에 대응되는 제2 언어 문장을 비교하는 문장 비교단계; 및
    상기 문장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칭단계에서,
    상기 제2 언어 문장에, 명사의 성별을 나타내는 성별표시, 단수가 주어인 경우 현재동사의 식별표시, 인칭에 따른 관사와 동사의 변형식별표시, 복수명사를 나타내는 식별표시, 관계대명사 및 부정관사가 있는 경우, 이를 동일하게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칭단계에서,
    제2 언어의 전치사나 시제를 제1 언어로 매칭시킬 수 없는 경우에, 특수부호를 상기 전치사 또는 시제와 매칭시키고 상기 전치사나 시제의 의미를 가지는 제1 언어의 단어를 상기 특수부호와 연계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는,
    소리 또는 문자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6. 학습자가 학습할 제2 언어 문장을 기습득한 제1 언어 문장으로 표현하여 언어를 학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2 언어 문장 데이터 및, 이와 대응되는 제1 언어 및 연상문장 데이터 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연상 문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학습자에 의하여 제2 언어 문장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제2 언어 문장과 상기 제2 언어 문장을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상문장은, 제2 언어의 문장 단어를 제1 언어의 단어로 1 대 1 매칭되고, 제1 언어로 제2 언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언어의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를 제2 언어 또는 특수부호로 1 대 1 매칭되며, 1 대 1 매칭된 제1 언어의 단어 또는 특수부호를 상기 제2 언어의 문장 배열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2 언어 문장과 연상문장에 대응되는 제2 언어 문장을 비교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상 문장은,
    상기 제2 언어 문자에, 명사의 성별을 나타내는 성별표시, 단수가 주어인 경우 현재동사의 식별표시, 인칭에 따른 관사와 동사의 변형 식별표시, 복수명사를 나타내는 식별표시, 관계대명사 및 부정관사가 있는 경우, 이와 동일하게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상 문장은,
    제2 언어의 전치사나 시제를 제1 언어로 매칭시킬 수 없는 경우에, 특수부호로 상기 전치사나 시제와 매칭되고, 상기 전치사나 시제의 의미를 가지는 제1 언어의 단어를 상기 특수부호와 연계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상기 연상문장과 대응되는 소리, 그림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파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연상문장과 미디어파일을 결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지 않은 제2 언어 문장이 입력되면, 연상문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12. 학습자가 학습할 제2 언어 문장을 기습득한 제1 언어 문장으로 표현하여 언 어를 학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2 언어 문장 데이터 및, 이와 대응되는 제1 언어 및 연상문장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 학습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서비스부, 및 데이터베이스 및 웹서비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및
    원격지에서 상기 서버의 웹서비스부에 연결되며, 학습자에 의하여 제2 언어 문장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연상문장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제2 언어 문장과 기저장된 제2 언어 문장을 비교하여 정답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연상문장은, 제2 언어의 문장 단어를 제1 언어의 단어로 1 대 1 매칭되고, 제1 언어로 제2 언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언어의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를 제2 언어 또는 특수부호로 1 대 1 매칭되며, 1 대 1 매칭된 제1 언어의 단어 또는 특수부호를 상기 제2 언어의 문장 배열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상 문장은,
    상기 제2 언어 문자에, 명사의 성별을 나타내는 성별표시, 단수가 주어인 경우 현재동사의 식별표시, 인칭에 따른 관사와 동사의 변형 식별 표시, 복수명사를 나타내는 식별표시, 관계대명사 및 부정관사가 있는 경우, 이와 동일하게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상 문장은,
    제2 언어의 전치사나 시제를 제1 언어로 매칭시킬 수 없는 경우에, 특수부호로 상기 전치사나 시제와 매칭되고, 상기 전치사나 시제의 의미를 가지는 제1 언어의 단어를 상기 특수부호와 연계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상기 연상문장과 대응되는 소리, 그림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파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상문장과 미디어파일을 결합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지 않은 제2 언어 문장이 입력되면, 연상문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KR1020080016592A 2008-02-21 2008-02-21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KR101018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592A KR101018743B1 (ko) 2008-02-21 2008-02-21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592A KR101018743B1 (ko) 2008-02-21 2008-02-21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716A Division KR100996939B1 (ko) 2009-11-09 2009-11-09 언어 학습장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956A true KR20090090956A (ko) 2009-08-26
KR101018743B1 KR101018743B1 (ko) 2011-03-04

Family

ID=4120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592A KR101018743B1 (ko) 2008-02-21 2008-02-21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242B1 (ko) * 2011-10-21 2014-07-08 김성기 대표 단어를 바탕으로 한 유추 방법을 통한 어학 학습 방법
WO2020218908A1 (ko) * 2019-04-26 2020-10-29 김정태 외국어 말하기용 동사 학습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42B1 (ko) * 2011-07-28 2013-06-24 홍성호 외국어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472A (ko) * 1997-01-31 1998-10-15 윤희영 직독직해 방식의 영문 독해방법
JP2001183971A (ja) 1999-10-14 2001-07-06 Tadatoshi Okubo 外国語学習教材及び外国語学習器具並びに外国語学習装置及び外国語学習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0276754Y1 (ko) 2002-01-21 2002-05-25 최용석 외국인의 언어 인식 구조에 따른 외국어 학습 교재
KR100593757B1 (ko) * 2005-02-14 2006-06-30 유혜경 외국어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는 외국어 학습장치 및 이를이용한 온라인 외국어 학습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242B1 (ko) * 2011-10-21 2014-07-08 김성기 대표 단어를 바탕으로 한 유추 방법을 통한 어학 학습 방법
WO2020218908A1 (ko) * 2019-04-26 2020-10-29 김정태 외국어 말하기용 동사 학습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743B1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wn et al. Listening myths: Applying second language research to classroom teaching
Richards Key issues in language teaching
Lems et al. Building literacy with English language learners: Insights from linguistics
Lems et al. Teaching reading to English language learners: Insights from linguistics
Vaish Translanguaging pedagogy for simultaneous biliterates struggling to read in English
Khiyabani et al. Using multimedia in teaching vocabulary in high school classes
Korat et al. E-books as a support for young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the case of Hebrew-speaking children
Chen et al. Translanguaging multimodal pedagogy in French pronunciation instruction: Vis-à-vis students’ spontaneous translanguaging
Ray A progymnasmata for our time: Adapting classical exercises to teach translingual style
Sari Difficulties and strategies in learning English: An analysis of students from English and non-English education department in Indonesia
Lhamo The use of TED talk videos to improve ESL speaking skills of Bhutanese sixth-graders
KR101018743B1 (ko)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Lertola Subtitling new media: Audiovisual translation and second language vocabulary acquisition
ABDULLAH KAMAL An exploration of social, cultural and contextual elements surrounding struggling readers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in the Malaysian classroom
Sanchez et al. Principled practice for drama and theater arts with multilingual learners
Liu et al. Literacy and deaf students in Taiwan: Issues, practic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art II
KR100996939B1 (ko) 언어 학습장치 제어방법
Willis What do Teachers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Believe about Teaching Chinese Literacy to English Speakers?
Ilmiah et al. Developing task-based learning materials in teaching speaking for the tenth graders
Thaler Pandemic Literature: What It Is, Why It Should Be Taught and How
Gardner et al. CD-ROM multimodal affordances: Classroom interaction perspectives in the Malaysian English literacy hour
Han The Effectiveness of Using Chinese Poetry to Teach Chinese to Non-background Speakers: An Action Research Study in an Australian High School
Yang Toward a pedagogy of conventional expressions in Chinese culture
Washbourne EAL pocketbook
Selvitella THE BEST APPS FOR LEARNING AND TRANSLATING FOREIGN LANGU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