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829A -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829A
KR20090090829A KR1020080016319A KR20080016319A KR20090090829A KR 20090090829 A KR20090090829 A KR 20090090829A KR 1020080016319 A KR1020080016319 A KR 1020080016319A KR 20080016319 A KR20080016319 A KR 20080016319A KR 20090090829 A KR20090090829 A KR 20090090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ble light
image sensor
center
communic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674B1 (ko
Inventor
이경우
정대광
최정석
신홍석
신동재
박성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6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Brush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skin or scalp

Abstract

가시광 통신(Visible Communication) 시스템에서 트래킹(Tracking) 방법에 있어서, 기기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가이딩 빔(Guiding Beam)을 방출하여 기기간 지향각을 맞추는 과정과, 상기 기기간 링크를 연결하여 상기 기기간 데이터 통신 준비를 완료하는 과정과, 수신된 광이 수광부의 중심을 벗어나지 않는지를 측정하는 과정과, 중심이 벗어난 경우, 송수신부의 각도 조절을 위한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수신된 광이 상기 수광부의 중심에 오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중심이 벗어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상기 수신된 광이 상기 수광부의 중심에 오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시광, 트래킹, 각도 조절

Description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장치 및 방법{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트래킹(Tracking)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 산업 자원부에서는 2015년까지 현재의 조명 대신에 LED(Light Emitting Diode)가 그 자리를 대신 할 것이라고 예고하고 있다. LED의 발광 효율이 개선되고 가격이 떨어짐에 따라 휴대기기, 디스플레이, 자동차, 신호등, 광고판 등의 특수 조명 시장뿐만 아니라 형광등 백열등과 같은 일반 조명 시장에서도 LED가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특히 백색 LED의 발광 효율은 이미 백열등을 추월하였으며 형광등보다도 우수한 제품들이 출현하고 있다.
LED(Light Emitting Diode)의 발광 효율이 개선되고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휴대기기, 디스플레이, 자동차, 신호등, 광고판 등의 특수 조명 시장뿐만 아니라 형광등 백열등과 같은 일반 조명 시장에서도 LED가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RF(Radio Frequency) 대역 주파수 고갈, 여러 무선 통신 기술 간의 혼선 가능성, 통신의 보안성 요구 증대, 4G 무선 기술의 초고속 유비쿼터 스(Ubiquitous) 통신 환경 도래 등으로 인하여 RF 기술과 상호 보완적인 광 무선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가시광 LED를 이용한 가시광 무선 통신에 대한 연구가 여러 기업 및 연구소 등에서 진행되고 있다.
현재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사용하고 있는 가정이나 사무실 및 공공장소의 조명등은 향후 성능이 좋고 수명이 긴 LED로 대체될 것이다. 조명등으로 사용되는 LED에 인가하는 전류를 변조하면 조명 LED를 통신용 광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광원 없이 조명 LED만으로 방송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진다.
이처럼 눈에 보이는 빛을 이용해서 정보를 전달하는 가시광 통신은 그 사용 대역이 넓고 전파 통신과는 달리 규제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통신 링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감성(示感性)이 있으며, 보안 측면에서도 신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시광 통신은 조명 기능과 통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조명기를 사용하여 조명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가시광 통신 송수신기로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단거리 가시광 통신의 방법으로는 적외선을 이용한 방식과 카메라의 플래쉬(Flash)와 수광소자(Photo Detector)를 이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가시광 통신에서 단말기 간의 통신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의 (a)에서와 같이 기존의 단말기에 적외선 포트나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어서 별도의 추가 구성이 필요 없이 적외선 통신이나 가시광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시광 통신의 경우, 가시광의 지향각이 좁아서 사용자가 통신 중에도 제1 기기와 제2 기기 사이에 송수신부를 항상 주의하여 지향해야만 한다. 이는 사용자가 통신하고자 하는 타 단말기 송수신부나 가시광 엑세스 포인트 송수신부의 수광부에 정확히 보내고자 하는 가시광을 지향하여야만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사용자의 손 떨림이나 부주의로 인해 가시광이 단말기의 송신부로부터 이탈하여 타 단말기의 수신부로 지향이 정확히 지향 되지 못하는 경우, 도 1의 (b)와 같이 제1 기기의 지향각이 제2 기기의 지향각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도 2는 기존의 실내 가시광 통신에서 실내에 고정된 기기와 단말기 간의 통신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실내의 천정에 설치된 LED 조명으로 구성된 송신부와 엑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는 수광부로 구성된 고정된 기기와 단말기로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실내에 고정된 기기의 지향각이 실내 전체를 포함한다 하더라도, 단말기의 지향각이 고정된 기기의 엑세스 포인트에 맞추어지지 않으면 가시광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손 떨림이나 부주의로 인해 단말기의 지향각의 범위가 송신부로부터 이탈하여 타 단말기 또는 고정된 기기의 수신부로 정확히 지향되지 못하는 경우, 통신이 두절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센서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지향각 측정 센서 없이, 수신되는 가시광의 위치에 따라서 송수신부의 각도를 조절해 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가시광 통신(Visible Communication) 시스템에서 트래킹(Tracking) 방법에 있어서, 기기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가이딩 빔(Guiding Beam)을 방출하여 기기간 지향각을 맞추는 과정과, 상기 기기간 링크를 연결하여 상기 기기간 데이터 통신 준비를 완료하는 과정과, 수신된 가시광이 수광부의 중심을 벗어나지 않는지를 측정하는 과정과, 중심이 벗어난 경우, 송수신부의 각도 조절을 위한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수신된 가시광이 상기 수광부의 중심에 오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중심이 벗어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상기 수신된 가시광이 상기 수광부의 중심에 오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가시광 통신(Visible Communication) 시스템에서 트래킹(Tracking) 장치에 있어서, 기기와 기기 사이에 전송되는 가시광을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검출하여 상기 가시광의 가장 밝은 부분을 추출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상기 기기와 기기 사이에 전송되는 가시광을 직접 송수신하는 수송수신부와, 상기 가시광의 정확한 송수신을 위해 송수신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터(Mo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가 장착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센서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지향각 측정 센서 없이, 수신되는 가시광의 위치에 따라서 송수신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통신 도중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손떨림, 부주의로 인한 링크 손실을 최소화하여 보다 편리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가 특정 조명의 영역 내에서의 통신 중에도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손 떨림이나 부주의로 인해 단말기의 지향각의 범위가 송신부로부터 이탈하여 타 단말기 또는 고정된 기기의 수신부로 정확히 지향되지 못하는 경우, 통신이 두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가 장착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센서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지향각 측정 센서 없이, 수신되는 가시광의 위치에 따라서 송수신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통신 도중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손떨림, 부주의로 인한 링크 손실을 최소화하여 보다 편리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와 흐름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에서 단말기 간의 가시광 통신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먼저 도 3의 (a)에서 제1 기기에서 제2 기기로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향각을 맞추게 된다. 도 3의 (b)에서 두 기기 간 지향각이 정확히 지향이 되면, 통신 링크가 성립되고 통신이 시작된다. 여기서 통신 중에 사용자가 손 떨림이나 부주의로 제1 기기의 지향성이 흐트러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도 3의 (c)에서와 같이 제1 기기 송수신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를 이용하여 제2 기기의 송수신부 위치를 파악하여 제1 기기의 송수신부를 제2 기기 쪽으로 향하도록 각도가 조절된다. 제1 기기와 제2 기기 모두가 이동단말기인 도 3과는 달리, 고정된 기기와 단말기 간의 가시광 통신을 하기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에서 실내에 고정된 기기와 단말기 간의 가시광 통신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실내의 천정에 설치된 LED 조명으로 구성된 송신부와 엑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는 수광부로 구성된 고정된 기기와 단말기로 구성된다.
도 4 또한 도 3과 마찬가지로 두 기기 간 지향각이 정확히 지향이 되면, 통신 링크가 성립되고 통신이 시작된다. 여기서 통신 중에 사용자가 손떨림이나 부주의로 단말기의 지향성이 흐트러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도 3의 (c)에서와 같 이 고정된 기기의 수광 가능 지역 내에서 단말기가 이동을 하여도 단말기의 송수신부에서 고정된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송수신부를 고정된 기기 쪽으로 향하도록 각도가 조절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기들의 수광부에 광량 센싱을 위한 이미지 센서 회로와 송수신부를 정확히 지향하기 위한 모터가 장착된다.
가시광 통신의 향상을 위한 트래킹(Tracking) 시스템의 구성을 위하여 각 기기에서는 수신 받는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가시광이 중앙에 위치해 있는지 주변으로 벗어나 있는지를 파악하는 기능을 카메라에 장착된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에서 하게 된다. 수신되는 가시광이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주변으로 벗어나 있다면, 송수신부에 장착된 모터가 송수신부를 기울여서 수신 받는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가시광을 센서의 중앙 부분에 가시광이 맺히도록 해준다. 가시광의 위치를 구별하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를 각각 하기의 실시 예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의 내부 구성도로서, 카메라 센서의 감지 위치에 따른 트래킹 수행을 나타내었다. 도 5의 (a)는 CCD 또는 CMOS 센서에 맺히는 가시광이 가장자리로 벗어났을 경우를 나타내었고, 도 5의(b)는 CCD 또는 CMOS 센서에 맺히는 가시광이 센서 가운데 부분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먼저 도 5의 (a)를 살펴보면, 제1 기기(53)의 카메라의 CCD 또는 CMOS 센서(505)에 맺히는 가시광의 가장 밝은 영역을 검출하여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저장된 가시광의 가장 밝은 영역이 가장자리로 벗어났을 경우, 지향각의 각도 가 올바르지 않게 되고, 제1 기기(53)의 송신부(TX, 507)를 통하여 제2 기기(51)의 수신부(RX, 503)로 정보가 전송되지 않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가시광이 센서의 가장자리로 벗어나는 정도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2 기기(51)에서 제1 기기(53)로 정보를 전송할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2 기기(51)의 카메라의 CCD 또는 CMOS 센서(505)에 맺히는 가시광의 가장 밝은 영역이 가장자리로 벗어났을 경우, 정보가 전송되지 않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 5의 (b)는 제1 기기(53)의 카메라의 CCD 또는 CMOS 센서(505)에서 맺히는 가시광의 가장 밝은 부분이 가장자리로 벗어났을 경우, CCD 또는 CMOS 센서(505)에서는 가시광의 가장 밝은 영역의 위치를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검출한다. 그리고 송수신부의 각도 조절을 위한 모터(509)를 이용하여 송수신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가장자리로 벗어난 가시광의 가장 밝은 영역이 센서 가운데 영역으로 올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의 내부 구성도로서, 도 6은 도 5에서 설명된 카메라의 CCD 또는 CMOS 센서(605) 주변에 다수의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611)를 배열하여, 센서(605)의 가장 자리로 가시광이 전달되어 배열된 포토다이오드(611) 중 특정 포토다이오드(611)에 가시광의 수신 정도가 강해 질 경우, 송수신부의 각도 조절을 위한 모터(609)를 이용하여 송수신부의 각도를 조절한다. 포토다이오드(611) 이외에 같은 기능을 하는 측광 센서 등을 CCD 또는 CMOS 센서(605) 주변에 배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포토다이오드(611) 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의 (a)를 살펴보면, 제1 기기(63)의 카메라의 CCD 또는 CMOS 센서(605)에 맺히는 가시광의 가장 밝은 부분이 가장자리로 벗어났을 경우, 지향각의 각도가 올바르지 않게 되고, 제1 기기(63)의 송신부(TX, 607)를 통하여 제2 기기(61)의 수신부(603)로 정보가 전송되지 않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반면, 가시광의 가장 밝은 부분이 이동한 부분에 배열되어 있는 포토다이오드(611)의 가시광 수신 정도는 강해진다. 수신 정도가 강해진 포토다이오드(611)의 배열 위치를 파악하여 가시광의 가장 밝은 부분이 CCD 또는 CMOS 센서(605)의 가운데로 이동한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b)는 포토다이오드(611)를 이용하여 가시광의 가장 밝은 부분이 CCD 또는 CMOS 센서(605)의 가운데로 이동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1 기기(63)의 카메라의 CCD 또는 CMOS 센서(605)에 맺히는 상의 가장 밝은 부분이 가장자리로 벗어났을 경우, 광 수신 정도가 강해진 포토다이오드(611)의 배열 위치를 파악하여 송수신부의 각도 조절을 위한 모터(509)를 이용하여 송수신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가장자리로 벗어난 가시광의 가장 밝은 영역이 센서 가운데 부분으로 올 수 있도록 한다. 도 5와 도 6의 구성도를 참조하여 트래킹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중 트래킹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701단계에서 먼저 제1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이딩 빔(Guiding Beam)을 발생시켜 제2 기기의 위치를 찾는다. 가이딩 빔은 가시광 통신 을 하기 위해 제2 기기의 위치를 찾는 용도로만 쓰이며, 어떠한 데이터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703단계에서 제1 기기와 제2 기기의 지향각이 맞추어질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두 기기간 지향각이 맞추어지면 705단계에서 두 기기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링크를 연결한다. 707단계에서는 정보가 전송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광부의 중심부분을 벗어나지 않는지 측정한다.
만약, 수신되는 가시광이 수광부의 중심부분을 벗어날 경우, 709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되는 가시광이 수광부의 중심부분으로 오도록 기기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송수신부의 각도를 조정하고, 다시 707단계로 이동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수신되는 가시광이 수광부의 중심부분에 있다면, 711단계로 진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713단계에서 정보의 송수신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707단계에서 713단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센서에 감지되는 가시광의 위치에 따라 단계별로 나누어 다르게 대응할 수도 있다. 센서의 내부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방법과 센서 주변에 포토다이오드를 배치하는 방법 두 가지로 나누어 하기의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센서를 이용한 트래킹과 사용자 경고 메시지 송출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살펴보면,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정보 송수신을 사용자가 시작 할 경우, 이미지 센싱 기술을 활용하여 센서에 맺힌 가시광에서 특정 주파수나 특정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빛이나 특정 파장의 빛 또는 특정 색 온도의 빛과 같은 가시 광이 센서에 감지 될 경우, 데이터 신호로 인지한다. 가시광의 감지는 CCD 또는 CMOS 센서 내부의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의 주변 경계 부분을 제1 경계 지역(805), 지2 경계 지역(803)으로 나누어서 감지된 가시광(807)의 위치가 제1 경계 지역(805)에 들어오게 되면 트래킹 시스템이 송수신부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를 구동하여 맺힌 가시광(807)의 위치를 중앙 부분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트래킹 시스템이 작동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시광(807)의 위치가 제2 경계 지역(803)으로 들어오게 되면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여 사용자가 트래킹 시스템의 기울임의 한계치에 도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더 벗어날 경우 통신이 두절 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사용자는 경고 메시지를 인지하여 다시 자신의 기기의 송수신부를 통신하고자 하는 기기의 송수신부 방향으로 정확히 지향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트래킹과 사용자 경고 메시지 송출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카메라 센서(901) 주변에 포토다이오드(903)를 배치하여 트래킹 시스템을 작동 할 경우 메시지 송출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통신을 시작하게 되면 카메라 센서(901) 주변의 포토다이오드(903)들은 특정 파장 및 주파수의 광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시광(905)만을 감지하기 시작하는데 특정 파장의 상(905)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부주의나 손 떨림으로 인해 수신된 신호가 중심으로부터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트래킹 시스템이 송수신부에 장착된 모터를 구동하여 송수신부를 기울여서 신호의 가시광(905)이 카메라 센서(901)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트래킹 시스템의 기울임의 한계치에 도달 하였는데도 계속적으로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기기의 송수신부를 자의적으로 조절하여 송수신하고자 하는 기기의 송수신부 방향으로 정확히 지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장치 및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가시광 통신에서 단말기 간의 가시광 통신을 위한 예시도
도 2는 기존의 실내 가시광 통신에서 실내에 고정된 기기와 단말기 간의 가시광 통신을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에서 단말기 간의 가시광 통신을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에서 실내에 고정된 기기와 단말기 간의 가시광 통신을 위한 예시도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중 트래킹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센서를 이용한 트래킹과 사용자 경고 메시지 송출을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트래킹과 사용자 경고 메시지 송출을 위한 예시도

Claims (9)

  1. 가시광 통신(Visible Communication) 시스템에서 트래킹(Tracking) 방법에 있어서,
    제 1기기에서 제2 기기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가이딩 빔(Guiding Beam)을 방출하여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 사이의 지향각을 맞추는 과정과,
    상기 제1 기기에서 상기 제2 기기로 링크를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 준비를 완료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기에서 송신되어 상기 제2 기기로 수신되는 가시광이 상기 제2 기기의 이미지 센서 중심에 위치해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상기 가시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 중심에 오도록 상기 제1 기기 또는 상기 제2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 중심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을 통하여 상기 제1 기기에서 상기 제2 기기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 중심에 오도록 상기 제1 기기 또는 제2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이 상기 제2 기기의 이미지 센서 중심에 위치해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내부에 배열된 다수의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에서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센서 내부에 배열된 상기 다수의 포토다이오드 중 특정 포토다이오드의 반응에 의해 상기 이미지 센서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내부의 포토다이오드의 반응은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 내부의 포토다이오드의 인식 한계 범위에 도달하면 통신 두절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이 상기 제2 기기의 이미지 센서 중심에 위치해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주변에 배열된 다수의 측광 센서에서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주변에 배열된 상기 다수의 측광 센서 중 특정 측광 센서의 반응에 의해 상기 이미지 센서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주변에 배열된 다수의 측광 센서의 반응은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 주변에 배열된 다수의 측광 센서의 인식 한계 범위에 도달하면 통신 두절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방법.
  6. 가시광 통신(Visible Communication) 시스템에서 트래킹(Tracking) 장치에 있어서,
    기기와 기기 사이에 전송되는 가시광이 중앙에 위치해 있는지 주변으로 벗어나 있는지를 파악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상기 기기와 기기 사이에 전송되는 가시광을 직접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가시광의 정확한 송수신을 위해 송수신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터(Mo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맺히는 가시광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송수신부에 장착되어 송수신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주변에 배열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 주변으로 상기 가시광이 위치 할 경우, 상기 가시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 주변으로 벗어났음을 알리는 측광 센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장치.
KR1020080016319A 2008-02-22 2008-02-22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장치 및 방법 KR101461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319A KR101461674B1 (ko) 2008-02-22 2008-02-22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319A KR101461674B1 (ko) 2008-02-22 2008-02-22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829A true KR20090090829A (ko) 2009-08-26
KR101461674B1 KR101461674B1 (ko) 2014-11-14

Family

ID=4120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319A KR101461674B1 (ko) 2008-02-22 2008-02-22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6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6194A (zh) * 2014-01-16 2015-07-2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可见光通信的自适应多点追踪方法与装置
CN112650385A (zh) * 2019-10-10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Ar设备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及ar设备
WO2022013534A1 (en) * 2020-07-14 2022-01-20 Playbrush Ltd Toothbrush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5899A (ja) * 2003-01-29 2004-08-19 Microsignal Kk 空間光通信システム
JP2006319881A (ja) * 2005-05-16 2006-11-24 Canon Inc 光空間通信方式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6194A (zh) * 2014-01-16 2015-07-2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可见光通信的自适应多点追踪方法与装置
CN104796194B (zh) * 2014-01-16 2017-08-2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可见光通信的自适应多点追踪方法与装置
CN112650385A (zh) * 2019-10-10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Ar设备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及ar设备
WO2022013534A1 (en) * 2020-07-14 2022-01-20 Playbrush Ltd Toothbrush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674B1 (ko)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4086B2 (en) Method for setting power control initial value using indication light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and transmission/receiv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56194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KR101612126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모드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US8805202B2 (en) System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single light source
US90489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optical link
RU2607468C2 (ru) Выбор источника света
KR101479783B1 (ko) 가시광 통신에서 역반사기를 이용한 통신 링크 정렬 방법 및 장치
KR101056081B1 (ko) 단일 광원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05086388A1 (ja) 可視光送受信機付き携帯電話端末
US9668319B2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61674B1 (ko)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장치 및 방법
EP0465604B1 (en) Infrared network entry per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476404B1 (ko) ToF 모듈 및 그 ToF 모듈을 이용한 피사체 인식장치
CN113412589B (zh) 用于经由光信号通信的方法和系统
US20200083955A1 (en) Determining position via multiple cameras and vlc technology
US2005008236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visually indicating failur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s
CN110324083B (zh) 光通信网络接收器
JP3694155B2 (ja) 光送受信装置
JP6414508B2 (ja) 車載機
KR101417891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KR102640920B1 (ko) 다중 타겟의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700063B2 (en) Appliance remote control
CN113328800B (zh) 一种空间光通信全向接收方法和设备
JP2004173090A (ja) 光到来方向検出装置及び光無線受信装置
JP2000115081A (ja) 光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