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005A -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005A
KR20090090005A KR1020080015212A KR20080015212A KR20090090005A KR 20090090005 A KR20090090005 A KR 20090090005A KR 1020080015212 A KR1020080015212 A KR 1020080015212A KR 20080015212 A KR20080015212 A KR 20080015212A KR 20090090005 A KR20090090005 A KR 2009009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te
maintenance
tag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보성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5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0005A/ko
Publication of KR2009009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00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해 현장 및 자재창고에 불출된 자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자재의 과잉 소모를 방지하고, 폐자재 발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항공기의 생산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자재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등록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재 정보를 운영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 연결되어 자재 정보를 입력 및 요구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자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 현장 작업에 필요한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 출력부;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자재 관련 정보를 외부 시스템과 실시간 연동시키는 실시간 연동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는 자재기본정보 DB, 자재입고 DB, 자재관리 DB, 자재사용 DB, 태그출력 데이터베이스 및 처리현황 DB를 포함한다.
자재관리, 현장, 항공기, 데이터베이스, QCM, ERP

Description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ield materials management system for manufacturing and repairing aeropla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자재를 관리하는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의 생산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서, 효율적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항공기의 생산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별도의 현장 자재관리 프로그램이 없고, 현물 확인을 통하여 자재 상태를 파악하는 수준이며, 관련부서와의 정보 공유는 유선이나 메일 또는 직접 자재 확인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자재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흩어져있는 시스템마다 일일이 확인해야만 했고, 개인 자재 관리는, 예를 들면, 액셀 파일을 통하여 관리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기에 따른 자재관리용 태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자재시간관리 태그(Tag: 10)를 수기로 기록 관리하고 있고, 이에 따라 자재시간관리 태그(10)의 분실 및 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에 있어서, 통합품질정보시스템(QCM: Quality Chain Management)(24) 또는 전사적자원관리(ERP) SAP R/3(25) 등의 시스템에 의해 자재창고(22) 내의 자재 관리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QCM(24)은 자동차/중공업/전기/전자/화학 등 다양한 업종에서 제조물책임(PL)법에 대응하고 글로벌 경쟁 차원에서 사전예방품질확보체제를 갖출 수 있도록 개발/생산/구매/고객관리/판매 등 기업구조 전반에 걸쳐 다양한 품질정보를 통합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말한다. 또한, ERP SAP R/3(25)에서, SAP는 ERP(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 벤더 이름으로서 R3라고 불리는 ERP 프로그램을 모듈별로 판매하는 기업이며, R3의 경우는 ABAP이라는 언어로 작성된다.
그런데, 항공기의 생산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서 자재(21)가 자재 창고(22)가 입고된 후 생산 현장(23)으로 출고될 경우, 사용자 단말(26)은 QCM(24) 또는 ERP(25) 등에 접근 및 조회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현장 자재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자재정보 오류로 인해 생산을 지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재담당자마다 개인파일로 관리하 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기에 의한 태그(Tag)를 수시 확인하기 때문에 자재 소요량 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자재에 대한 신속한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문제 발생 시점이 되어서야 후속 조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폐기 자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재료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주 재고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현장 재고량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 수 없고, 결품을 감안하여 자재를 확보함으로써 자재창고/현장재고를 과다하게 보유할 수 있으며, 또한, 자재의 사용을 자재마다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재 사용량 변동이 확인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자재신청 누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납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3개월 평균치로만 자재의 소요를 판단함으로써 대당 소요량(QPS)을 알 수 없거나, 현물이 없는 유령 자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자재보관 위치 파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자재 담당자가 자재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재의 시효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이에 따라 항공기의 생산 및 유지 보수에 있어서 자재의 품질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항 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해 현장 및 자재창고에 불출된 자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시간으로 자재의 모든 상태와 현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근 및 조회가 가능한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재 입고/출고 시 바코드(Bar Code) 시스템 또는 RFID 시스템을 적용하고, 태그(Tag)를 발행함으로써 자재의 모든 정보 내용을 관리할 수 있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통합품질정보 시스템(QCM) 또는 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ERP SAP R/3)과 실시간 연동시킬 수 있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항공기의 생산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자재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등록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재 정보를 운영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자재 정보를 입력 및 요구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자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 현장 작업에 필요한 시간 태그(Time Tag)와 자재정보 태그를 생성하여 발행하는 태그 출력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자재 관련 정보를 외부 시스템과 실시간 연동시키는 실시간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자재의 기본정보를 제공하는 자재기본정보 DB; 상기 자재창고로 입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자재입고 DB; 현장에 보유중인 모든 자재에 대한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자재관리 DB; 상기 자재창고로부터 출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자재사용 DB; 상기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의 출력 정보가 저장되는 태그출력 DB; 및 현장에 불출되어 상기 자재가 소진 또는 폐기될 때까지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처리현황 D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재의 기본정보는, 프로젝트명(Project), 자재코드(Stock No), 단위, 스펙(Specification: SPEC), 자재설명(Description: DESC) 및 규모(Dimension: DI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태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태그에 고유의 바코드를 부여하는 바코드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바코드와 자재 코드(Stock No) 스펙(Specification: SPEC) 및 자재설명(Description: DESC)이 함께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실시간 연동부는 시효관련 및 연장주기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품질정보(QCM)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회사 내의 자재기본정보를 제공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SAP R/3) 시스템과 연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항공기의 생산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자재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등록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재 정보를 운영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자재 정보를 입력 및 요구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자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 현장 작업에 필요한 시간 태그(Time Tag)와 자재정보 태그로 이루어진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생성하여 발행하는 RFID 태그 출력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자재 관련 정보를 외부 시스템과 실시간 연동시키는 실시간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자재의 기본정보를 제공하는 자재기본정보 DB; 상기 자재창고로 입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자재입고 DB; 현장에 보유중인 모든 자재에 대한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자재관리 DB; 상기 자재창고로부터 출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자재사용 DB; 상기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의 출력 정보가 저장되는 태그출력 DB; 및 현장에 불출되어 상기 자재가 소진 또는 폐기될 때까지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처리현황 D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RFID 태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자재 정보를 RFID 태그에 저장하며, 상기 RFID 태그가 부착되는 자재로부터 원거리에서 자재 정보를 판독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FID 시스템은, 상기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에 대한 정보 가 저장되고, 상기 자재에 부착되는 RFID 태그;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경유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Read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FID 태그에 등록된 자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상기 자재의 위치 및 흐름 상황에 대한 주요 내용을 무선으로 처리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방법은, a)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자재에 대한 자재기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자재기본정보에 따라 현물 수령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자재입고 단계; c) 현장 또는 자재창고에 보유중인 자재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자재관리 단계; d) 상기 자재창고로부터 현장으로 출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자재사용 단계; 및 e) 상기 자재에 대해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해 현장 및 자재창고에 불출된 자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자재의 과잉 소모를 방지하고, 폐자재 발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자재의 모든 상태와 현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용이하게 접근 및 조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재 입고/출고 시 바코드(Bar Code) 시스템 또는 RFID 시스템을 적용하고, 태그(Tag)를 발행함으로써 자재의 모든 정보 내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합품질정보 시스템(QCM) 또는 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ERP SAP R/3)과 실시간 연동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실시간(Real Time)으로 자재의 모든 상태와 현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누구나 쉽게 접근 및 조회가 가능하도록 웹(WEB) 기반으로 구현된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자재(110), 자재창고(120), 생산현장(130), 통합품질정보 시스템(QCM)(140), 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ERP SAP R/3)(150), 사용자 단말(160), 바코드 시스템(200) 및 현장 자재관리 서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 자재관리 서버(300)는 DB 관리부(310), 태그 출력부(320), 데이터베이스(330) 및 실시간 연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재(110)가 자재창고(120)로 입고된 후, 생산현장(130)으로 출고될 경우, 현장 자재관리 서버(300) 내의 복수의 데이터베이스(330)는 항공기의 생산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자재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등록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330)는, 상기 자재의 기본정보를 제공하는 자재기본정보 DB, 상기 자재창고로 입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자재입고 DB; 현장에 보유중인 모든 자재에 대한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자재관리 DB, 상기 자재창고로부터 출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자재사용 DB, 상기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의 출력 정보가 저장되는 태그출력 DB, 및 현장에 불출되어 상기 자재가 소진 또는 폐기될 때까지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처리현황 DB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330)는, 상기 자재의 과잉 및 부족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생산계획 대비 창고재고, 현장재고 및 대당 소요량(QPS)을 기준으로 자재의 재고량을 판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소요량현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330)는 업무별, 담당별, 직책별 사용자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관리 D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재의 기본정보는, 프로젝트명(Project), 자재코드(Stock No), 단위, 스펙(Specification: SPEC), 자재설명(Description: DESC) 및 규모(Dimension: DIM)로 이루어진다.
DB 관리부(310)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자재 정보를 운영 및 관리한다.
태그 출력부(320)는 현장 작업에 필요한 시간 태그(Time Tag)와 자재정보 태그를 생성하여 발행한다.
실시간 연동부(3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30)에서 관리되는 자재 관련 정보를 외부 시스템과 실시간 연동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연동부(340)는 시효관련 및 연장주기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품질정보(QCM) 시스템(140)과 연동하거나 회사 내의 자재기본정보를 제공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SAP R/3)(150) 시스템과 연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10)에 연결되어 상기 자재 정보를 입력 및 요구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상기 자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바코드 시스템(200)은 상기 태그 출력부(320)에서 출력되는 태그에 고유의 바코드를 부여하며, 이때, 상기 바코드와 자재 코드(Stock No), 스펙(Specification: SPEC) 및 자재설명(Description: DESC)이 함께 기재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자재 입고/출고 시 자재에 고유의 바코드를 부여하는 바코드 시스템(200)을 도입하고, 또한, 자재의 모든 정보 내용이 담긴 각종 태그, 예를 들면, 입고 태그, 연장 태그, 시효만료 태그, 시간 태그를 발행할 수 있는 전용 프린터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시효관련 및 연장주기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품질정보(QCM) 시스템(140)과 연동하거나 회사 내의 자재기본정보를 제공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SAP R/3)(150) 시스템과 연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ERP 시스템인 SAP R/3(150)에서는 자재 마스터로부터 자재를 접수하여, 수입 검사를 거친 후 자재를 입고한다. 만일, 시효 연장 의뢰가 있을 경우 시효를 연장한 후, 자재를 출고하게 되며,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 입고하기 위해서 Pick Ticket을 발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상기 ERP 시스템인 SAP R/3(150)과 연동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서버(300)는 상기 SAP R/3(150)의 자재 마스터로부터 자재기본정보를 획득하며(S310), 또한, Pick Ticket에 따라 현물을 수령한다(S32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재신청 접수화면에 접수된 자재를 확인한 후, 체크박스에 체크를 하고 자재를 신청하면, 바로 Pick Ticket이 발행되는데, SAP R/3 ID를 가지고 있는 담당자만 Pick Ticket을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자재기본정보에 따라 현물 수령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 하여 관리하며(S330), 이후, 현장 또는 자재창고에 보유중인 자재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게 되는데(S340), 이때, 상기 관리중인 자재의 시효연장 의뢰에 대응하여 자재의 시효를 연장할 수 있으며(S350), 상기 시효 관련 정보 및 연장 주기 정보는 통합품질정보(QCM) 시스템과 연동하여 획득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상기 시효가 연장된 자재는 실험실(LABS: 170)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자재창고로부터 현장으로 출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며(S360), 이후, 상기 자재에 대해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를 발행한다(S370). 다음으로, 자재 분할수를 입력하여 재고를 분할할 수 있으며(S380), 후속적으로, 상기 출력되는 태그에 고유의 바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업무별, 담당별 및 직책별로 사번 및 이름을 등록하고 각 사용자별 자재사용, 자재입고, 재고관리, 생산기술, 생산관리, 관리자 권한 등을 설정할 수 있다(S390).
또한, 상기 자재사용 단계(S360)에서 출고된 자재는, 예를 들면, 자재 워밍업, 본딩 작업 및 경화 등의 공정을 수행하는 생산 현장(130)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이 웹(WEB)상에 구현된 초기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의 초기화면(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의 생산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화면(610)을 나타내며, 좌측에는 자재와 관련된 메뉴 항목(6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자재의 기본정보를 입력 할 수 있는 자료입력 화면을 제공하며, 신규 프로젝트 또는 수정 발생시 신규 화면이나 수정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자재정보 및 기타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담당자별 권한을 설정할 수 있고, 현장에 재고상황을 알 수 있도록 재고관리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개별 자재의 사용량, 사용일, 시간 등을 알 수 있도록 자재사용 실적 화면을 제공하며, 경영계획 반영 및 역추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자재 이력에 대해 누적 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제한적인 ERP 시스템인 SAP/R3과 연동하여 창고 재고를 알 수 있도록 창고 재고파악 화면을 제공하며, 프로젝트별, 자재별, 년도별, 월별, 일별 조회 가능하도록 자재조회 기능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QCM 시스템과 실시간 연동됨으로써, 시효일자 및 연장주기 조회기능 화면을 제공하며, 문제점을 보유한 자재를 사전에 필터링할 수 있도록 알람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원클릭으로 시효연장 의뢰가 가능하도록 시효연장관리 화면을 제공하며, 자재발주량, 입고시기, 검사 등을 알 수 있도록 자재입고 예정 스케줄 확인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모든 데이터는 액셀(Excel)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환경유해물질(MSDS)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의 메뉴 항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의 메뉴 항목(600)은 크게 현장 자재관리 항목(610) 및 사용자 관리 항목(620)을 포함한다.
현장 자재관리 항목(610)은 자재기본정보(610-1), 자재입고(610-2), 자재관리(610-3), 자재사용(61-4), 태그출력(610-5), 처리현황(610-6), SAP 재고현황(610-7), SAP 입고현황(610-8), SAP 출고현황(610-9) 및 소요량현황(610-10)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8a 내지 도 8j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관리 항목(620)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바코드 및 태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바코드(710) 및 태그(720)를 나타내며, 자재에 대해 태그(720)를 발행하며, 상기 태그마다 바코드(710)가 부여된다. 예를 들면, 자재코드(Stock No)가 801082000450인 자재에 대해 BF0001-00179라는 바코드(710)가 부여된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자재 코드(Stock No)를 클릭하면, 자재관리 화면으로 이동하며, 상기 자재에 대한 상세 조회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기본정보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기본정보(610-1)의 선택에 따라 자재기본정보 화면(810-1)이 제공되며, 자재기본정보 기능은 프로젝트명(Project), 자재 코드(Stock No), 단위, 스펙(Spec), 자재설명(DESC) 및 규격(DIM) 등 자재의 기본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자재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조회를 하려면 바코드에서 해당 자재코드(Stock No)를 클릭하면 후술할 자재관리 화면으로 이동하며, 자재의 현 상태를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입고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입고(610-2)의 선택에 따라 자재입고 화면(810-2)이 제공되며, 자재 입고 기능은 창고로 입고되는 자재를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며, 예를 들면, 자재가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 입고가 되면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가 자동으로 생성되며, 이때, 모든 태그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 번호가 부여된다.
다음으로, 도 10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관리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관리(610-3)의 선택에 따라 자재관리 화면(810-3)이 제공되며, 자재관리에 의해 현장에 보유중인 모든 자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집약하여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재관리 기능에 의해. 날짜별 시효관리가 가능하며, 보관 상태, 시효관련 정보, 자재 상태, 시효의뢰 상태, 시효 연장의뢰, 검사 결과 등 주로 자재관리 화면에서 모든 조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QCM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연동되며, 이때, 자재관리 기능은 이상이 발생된 자재에 대해서는 빨간색 점멸을 하여 알려주는 알람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도면부호 A로 도시된 시효연장의뢰는 전술한 QCM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연동이 되며,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서 모든 자재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오고 입력되기 때문에 한 화면에서 원클릭으로 간단히 시효연장을 의뢰할 수 있다. 따라서 QCM 서버에 접속한 후 최종 시효연장의뢰 화면에서 자재의 기본정보 및 모든 정보내용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QCM 서버에 따로 접속할 필요 없이 시효연장 진행 상황이 실시간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되고 필요시에 성적서를 프린터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QCM 서버에 접속하여 시효연장 진행 상황을 모든 자재마다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도 11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사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사용(610-4)의 선택에 따라 자재사용 화면(810-4)이 제공되며, 이때, 자재 사용에 의해 창고로부터 불출된 자재를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코드 번호가 자재에 이미 부여됨으로써, 작업자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창고재고 및 가용재고의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작업자들도 자재의 재고 유무를 별도의 조회 없이 볼 수가 있으며, 자재 사용에 대한 이력은 누적 관리된다.
다음으로, 도 12는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태그출력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태그출력(610-5)의 선택에 따라 태그출력 화면(810-5)이 제공되며, 태그 출력에 의해 작업에 필요한 시간 태그(Time Tag)와 자재정보 태그를 발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처리현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처리현황(610-6)의 선택에 따라 처리현황 화면(810-6)이 제공되며, 처리현황에 의해 현장에서 불출되어 자재가 소진 또는 폐기될 때까지의 모든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는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SAP 재고현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SAP 재고현황(610-7)의 선택에 따라 SAP 재고현황 화면(810-7)이 제공되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ERP SAP/R3 시스템과 실시간 연동되며, SAP 재고현황에 의해 자재의 발주상태, 수량, 시효일, 저장 위치 연장횟수, 입고예 정일 등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들은 접근이 제한되어져 있는 SAP 재고현황을 쉽게 알 수 있고, 필요한 사항들만 열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는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SAP 입고현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SAP 입고현황(610-8)의 선택에 따라 SAP 입고현황 화면(810-8)이 제공되며, 이때, SAP 입고현황에 의해 SAP에서 관리되는 모든 품목의 입고 현황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재코드(Stock No), 바코드, 프로젝트명(Project) 또는 스펙(Spec) 중에서 어느 한 가지만 알고 있어도 모든 SAP 입고현황 정보를 알 수가 있으며, 조회기간을 원하는 년, 월, 일로 조정함으로써 조회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6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SAP 출고현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SAP 출고현황(610-9)의 선택에 따라 SAP 출고현황 화면(810-9)이 제공되며, 이때, SAP 출고현황에 의해 SAP에서 관리되는 모든 품목의 출고 현황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재코드(Stock No), 바코드(Barcode), 프로젝트명(Project) 또는 스펙(Spec) 중에서 어느 한 가지만 알고 있어도 모든 SAP 출고현황 정보를 알 수가 있으며, 조회기간을 원하는 년, 월, 일로 조정함으로써 조회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7a는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소요량현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7b는 도 17a의 소요량현황 화면에서 QPS 조회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소요량현황(610-10)의 선택에 따라 소요량 현황 화면(810-10)이 제공되며, 이때, 소요량 현황에 의해 생산계획 대비 창고재고, 현장재고, 대당 소요량(QPS)을 기준으로 자재의 재고량을 판단하여 과잉 공급자재 및 부족자재를 사전에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자재코드(Stock No), 프로젝트명(Project) 또는 스펙(Spec) 중에서 어느 한가지만을 입력하면 자재의 과잉 및 부족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재코드(Stock No)가 "8040S2000510"인 자재에 대한 현장재고가 96이고 창고재고가 1152로서, 전체 재고는 1248을 나타내며, 자재의 과잉 및 부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B로 도시된 대당 소요량(QPS) 조회를 선택할 경우, 도 17b에서 도면부호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젝트별, Assembly별, Part별 및 자재코드(Stock No)별 조회가 가능하며, 1대당 들어가는 자재의 종류와 양 등을 알 수 있으며, 이때, 고유 권한자인 담당 엔지니어 외에는 수정이 불가하며, 만일 Revision되거나 변경사항이 생길 시 모든 데이터는 누적 관리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현장 작업자가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서 필요한 자재를 신청하면, 자재신청 접수화면에 실시간으로 신청자의 사번, 성명, 프로젝트, 자재품목, 신청수량 등이 표시되고, 현재의 창고재고 및 현장재고를 포함한 재고량 등을 참고자료로 보여줌으로써 자재 지원 여부를 바로 판단할 수 있고, 이때, 자재 정보가 누적 관리됨으로써 프로젝트 별, 자재별 작업자별 사용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가 있다.
한편, 도 18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사용자 관리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항목 중에서 사용자 관리 항목(Admin: 620)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관리 화면(820)이 제공된다.
이러한 사용자 관리 기능은 사용자의 업무별, 담당별 및 직책별 권한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으며, 신규 인원 등록 및 삭제,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권한을 설정함으로써 여러 가지 발생될 수 있는 오류에 대해서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 관리자는 사용자의 업무별, 담당별 및 직책별로 사번 및 이름을 등록하고 각 사용자별 자재사용, 자재입고, 재고관리, 생산기술, 생산관리, 관리자 권한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현장 자재관리 서버(300), 사용자 단말(160) 및 RFID 시스템(400)을 포함하며, 이때, RFID 시스템(400)은 RFID 태그(410), 안테나(420) 및 RFID 리더(430)를 포함할 수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은 소형 전자 칩을 이용해 자재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로서, 구체적으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수 cm에서 수십 m에 떨어져 있는 자재(110)에 부착된 RFID 태그(410)를 인식하여 RFID 태그(410)로부터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RFID 시스템(400)은 자재(110)에 붙이 는 RFID 태그(410)에 생산, 유통, 보관 및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자체 안테나(420)를 갖추고 있으며, RFID 리더(430)로 하여금 상기 정보를 읽고, 통신망과 연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의 현장 자재관리 서버(300)와 통합하여 사용된다.
전술한 전자식별 기술인 바코드 시스템과는 달리 RFID 시스템(400)은 원거리에서 직접적이 접촉 없이 그 자체의 통신 능력을 가지고 있어 인터넷 등 네트워크와의 통합이 가능하고 매우 다양한 응용 가능성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칩이 내장되어 있어서 전술한 바코드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RFID 시스템(400)에서, RFID 태그(410)를 부착한 자재(110)가 RFID 리더(430)의 인식 범위에 놓이게 되면 RFID 리더(430)는 RFID 태그(410)에게 질문(interrogation)을 보내고, RFID 태그(410)는 RFID 태그(410)가 부착되는 자재의 자재 코드 등의 정보를 RFID 리더(430)에 보내기 위해 RFID 리더(430)와 통신하게 된다. 상기 RFID 리더(430)는 네트워크를 통하거나 직접 미들웨어와 통신하면서 미들웨어의 제어를 받아 RFID 태그(410)로부터 태그 ID 및 관련 정보를 읽어 미들웨어에 제공한다.
한편,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PD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단말기(500)는 도 19의 RFID 시스템(400)에서 RFID 태그에 등록된 자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자재의 위치 및 흐름 상황과 주요 내용을 특정 위치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 고, 모든 업무를 무선으로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 불출된 자재의 이력관리, 예를 들면, 시효 주기, 시효 일자, 노출 횟수, 노출 시간, 자재 재고량 등을 비롯하여 자재의 발주 및 입고되는 모든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재의 선점과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웹(Web) 버전으로 개발되어 필요한 시스템과 언제든지 연동 및 연계가 가능하며, 현재 QCM 및 SAP/R3과 연동 및 연계가 되며, 바코드(Barcode)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기에 따른 자재관리용 태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이 웹(WEB)상에 구현된 초기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의 메뉴 항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바코드 및 태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기본정보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입고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관리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자재사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태그출력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처리현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SAP 재고현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SAP 입고현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SAP 출고현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도 6의 메뉴 항목의 현장자재관리 항목 중에서 소요량현황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소요량현황 화면에서 QPS 조회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6의 메뉴 항목의 사용자 관리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PD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10: 자재 120: 자재창고
130: 생산현장 140: 통합품질정보시스템(QCM)
150: 전사적자원관리(ERP) 시스템(SAP R/3)
160: 사용자 단말 200: 바코드 시스템
300: 현장 자재관리 서버 310: DB 관리부
320: 태그 출력부 330: 데이터베이스
340: 실시간 연동부 600: 메뉴 항목
610: 현장 자재관리 항목 620: 사용자 관리 항목
610-1: 자재기본정보 610-2: 자재입고
610-3: 자재관리 610-4: 자재사용
610-5: 태그출력 610-6: 처리현황
610-7: SAP 재고현황 610-8: SAP 입고현황
610-9: SAP 출고현황 610-10: 소요량현황

Claims (26)

  1. 항공기의 생산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자재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등록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재 정보를 운영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자재 정보를 입력 및 요구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자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
    현장 작업에 필요한 시간 태그(Time Tag)와 자재정보 태그를 생성하여 발행하는 태그 출력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자재 관련 정보를 외부 시스템과 실시간 연동시키는 실시간 연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자재의 기본정보를 제공하는 자재기본정보 DB;
    상기 자재창고로 입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자재입고 DB;
    현장에 보유중인 모든 자재에 대한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자재관리 DB;
    상기 자재창고로부터 출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자재사용 DB;
    상기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의 출력 정보가 저장되는 태그출력 DB; 및
    현장에 불출되어 상기 자재가 소진 또는 폐기될 때까지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처리현황 DB
    를 포함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의 기본정보는, 프로젝트명(Project), 자재코드(Stock No), 단위, 스펙(Specification: SPEC), 자재설명(Description: DESC) 및 규모(Dimension: DI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태그에 고유의 바코드를 부여하는 바코드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바코드와 자재 코드(Stock No) 스펙(Specification: SPEC) 및 자재설명(Description: DESC)이 함께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와 함께 기재된 해당 자재 코드(Stock No)를 클릭하면 자재관리 화면으로 이동하며, 상기 자재에 대한 상세 조회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관리 DB는 날짜별 시효를 관리하며, 보관상태, 시효관련 정보, 자재상태, 시효의뢰상태, 시효 연장의뢰, 검사결과에 대한 모든 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관리 DB는 이상이 발생된 자재에 대해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관리 DB는 시효연장 의뢰시, 통합품질정보(QCM) 서버에 따로 접속할 필요 없이 시효연장 진행 상황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사용 DB는 작업자가 자재의 재고유무를 별도의 조회 없이 확인하도록 창고재고 및 가용재고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사용 DB는 자재 사용에 대한 이력관리를 누적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의 과잉 및 부족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생산계획 대비 창고재고, 현장재고 및 대당 소요량(QPS)을 기준으로 자재의 재고량을 판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소요량현황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당 소요량(QPS)은 각각의 프로젝트별, Assembly별, Part별 및 자재코드(Stock No)별러 조회가 가능하며, 항공기 1대당 들어가는 자재의 종류와 양을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연동부는 시효관련 및 연장주기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품질정보(QCM)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회사 내의 자재기본정보를 제공하는 전사적자원관 리(ERP SAP R/3) 시스템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ERP SAP/R3 시스템과 실시간 연동되며, 자재의 발주상태, 수량, 시효일, 저장 위치, 연장횟수, 입고 예정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SAP 자재현황 DB;
    상기 ERP SAP/R3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모든 자재 품목의 입고 현황 정보가 저장되는 SAP 입고현황 DB; 및
    상기 ERP SAP/R3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모든 자재 품목의 출고 현황 정보가 저장되는 SAP 출고현황 DB
    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SAP 입고현황 DB는 자재코드(Stock No), 바코드(Bar Code), 프로젝트명(Project) 및 스펙(SPEC) 중에서 어느 한 가지만 알고 있어도 모든 입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SAP 출고현황 DB는 자재코드(Stock No), 바코드(Bar Code), 프로젝트 명(Project) 및 스펙(SPEC) 중에서 어느 한 가지만 알고 있어도 모든 출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SAP 입고현황 DB 및 상기 SAP 출고현황 DB는 각각의 입고 또는 출고 조회기간을 원하는 년, 월, 일로 조정하여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는, 업무별, 담당별, 직책별 사용자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 DB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18. 항공기의 생산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자재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등록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재 정보를 운영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자재 정보를 입력 및 요구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자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사용자 단 말;
    현장 작업에 필요한 시간 태그(Time Tag)와 자재정보 태그로 이루어진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생성하여 발행하는 RFID 태그 출력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자재 관련 정보를 외부 시스템과 실시간 연동시키는 실시간 연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자재의 기본정보를 제공하는 자재기본정보 DB;
    상기 자재창고로 입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자재입고 DB;
    현장에 보유중인 모든 자재에 대한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자재관리 DB;
    상기 자재창고로부터 출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자재사용 DB;
    상기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의 출력 정보가 저장되는 태그출력 DB; 및
    현장에 불출되어 상기 자재가 소진 또는 폐기될 때까지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처리현황 DB
    를 포함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자재 정보를 RFID 태그에 저장하며, 상기 RFID 태그가 부착되는 자재로부터 원거리에서 자재 정보를 판독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은,
    상기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자재에 부착되는 RFID 태그;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경유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Reader)
    를 포함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 등록된 자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상기 자재의 위치 및 흐름 상황에 대한 주요 내용을 무선으로 처리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22. a)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자재에 대한 자재기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자재기본정보에 따라 현물 수령된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여 관 리하는 자재입고 단계;
    c) 현장 또는 자재창고에 보유중인 자재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자재관리 단계;
    d) 상기 자재창고로부터 현장으로 출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자재사용 단계; 및
    e) 상기 자재에 대해 시간 태그와 자재정보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출력되는 태그에 고유의 바코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전사적자원관리(ERP SAP R/3) 시스템과 연동하여 회사 내의 자재기본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관리중인 자재의 시효연장 의뢰에 대응하여 자재의 시효를 연장하는 시효연장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시효 관련 정보 및 연장 주기 정보는 통합품질정보(QCM) 시스템과 연동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방법.
KR1020080015212A 2008-02-20 2008-02-20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Ceased KR20090090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212A KR20090090005A (ko) 2008-02-20 2008-02-20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212A KR20090090005A (ko) 2008-02-20 2008-02-20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005A true KR20090090005A (ko) 2009-08-25

Family

ID=4120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212A Ceased KR20090090005A (ko) 2008-02-20 2008-02-20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000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85B1 (ko) * 2012-03-08 2013-11-26 최귀덕 정보화 프로그램의 정보 입력 및 조회 방법
CN106408251A (zh) * 2016-08-31 2017-02-15 合肥市正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办公用品维修及报废管理系统
CN110322190A (zh) * 2019-05-28 2019-10-11 唐山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基于sap的钢铁行业内部往来业务订单自动创建的方法
CN112508151A (zh) * 2020-11-09 2021-03-16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整体爬升钢平台模架构件的重复使用方法
KR20210109094A (ko) 2020-02-26 2021-09-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무인 자재지급 시스템
CN113420850A (zh) * 2021-08-09 2021-09-21 马建明 一种基于rfid标签的工具管理系统及方法
CN116835188A (zh) * 2023-06-19 2023-10-03 伟速达(中国)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物料拉动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85B1 (ko) * 2012-03-08 2013-11-26 최귀덕 정보화 프로그램의 정보 입력 및 조회 방법
CN106408251A (zh) * 2016-08-31 2017-02-15 合肥市正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办公用品维修及报废管理系统
CN110322190A (zh) * 2019-05-28 2019-10-11 唐山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基于sap的钢铁行业内部往来业务订单自动创建的方法
KR20210109094A (ko) 2020-02-26 2021-09-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무인 자재지급 시스템
CN112508151A (zh) * 2020-11-09 2021-03-16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整体爬升钢平台模架构件的重复使用方法
CN113420850A (zh) * 2021-08-09 2021-09-21 马建明 一种基于rfid标签的工具管理系统及方法
CN116835188A (zh) * 2023-06-19 2023-10-03 伟速达(中国)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物料拉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8511B1 (en) Dynamic product tracking system using RFID
JP5072863B2 (ja) 予備部品の在庫管理
US7482931B2 (en) Product flow based auto-ID infrastructure
KR20090090005A (ko)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Apiyo et al. Role of ICT tools in supply chain performance
Liu et al. Applications of RFID technology for improving production efficiency in an integrated-circuit packaging house
Zadorozhnyi et al. Innovation management and automated accounting in the chaotic storage logistics
Bottani Reengineering, simulation and data analysis of an RFID system
KR20220163757A (ko) 스마트 공장 관리 시스템
Cheng et al. Applying RFID for cutting tool supply chain management
Jose et al. Real time asset tracking in field services using barcode system: a case study
Tomaskova Optimization of production processes using BPMN and archimate
US8423429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device for providing an advanced material management center
KR20080009882A (ko) 의약품 업무관리를 위한 erp 시스템
Gnoni et al. A scenario analysis for evaluating RFID investments in pallet management
Choudhary et al. Study about the types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for supply chain management
CN1395202A (zh) 具有最佳化管理流程的仓储系统
Lampe et al. RFID in movable asset management
Hoberg Supply chain and big data
Rizzi et al. Reengineering and simulation of an RFID manufacturing system
Jones Logistics in Global Supply Chain Engineering
Savino et al. SCOR model based on RFID e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module on ERP
Hoberg Supply Chain and Big Data
Gil et al. Intelligent construction components for integrating product design, delivery process, and life-cycle performance
KR20230070981A (ko) 공장의 스마트 운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6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2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