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287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정보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정보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287A
KR20090088287A KR1020080015044A KR20080015044A KR20090088287A KR 20090088287 A KR20090088287 A KR 20090088287A KR 1020080015044 A KR1020080015044 A KR 1020080015044A KR 20080015044 A KR20080015044 A KR 20080015044A KR 20090088287 A KR20090088287 A KR 20090088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message
frame configura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034B1 (ko
Inventor
오창윤
설지윤
노원일
임근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8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5MAP-de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정보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H-FDD(Half Duplex -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전송하는 과정과,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상기 오프셋 값과 (k-1)번째 프레임에서의 오프셋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프셋 변경분(offset change)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광대역 무선접속, 프레임 구성정보, 시작 오프셋, H-FDD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정보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LING FR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트래픽 특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동시 지원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특성의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서비스 특성에 따른 상향 및 하향 링크 전송의 연속성을 고려한 듀플렉싱 방식이 요구된다.
상기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듀플렉싱 방식은 시 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과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기(예 : 기지국(BS: Base Station))는 TDD 방식과 FDD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사용하 여 수신기(예 : 단말(MS: Mobile Station))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과 단말은 전이중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FDD : Full 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 또는 반이중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H-FDD : Half 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이 F-FDD를 사용할 경우, 기본적으로 F-FDD 단말 뿐만 아니라 H-FDD 단말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기지국은 F-FDD 방식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은 H-FDD 방식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1은 TDD 방식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0)은 하향링크(DL : Downlink) 서브 프레임(110)과 상향링크(UL: Uplink) 서브 프레임(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110)과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20) 사이에는 송수신 전환을 위한 송신 천이 구간(TTG: Transmit Transition Gap)이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100)과 프레임(100) 사이에는 송수신 전환을 위한 수신 천이 구간(RTG: Receive Transition Gap)이 구성된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110)은 프리앰블(Preamble) 영역(112), MAP 영역(114) 및 DL 데이터 버스트 영역(116)을 포함하고, 상기 UL 서브프레임(120)은 UL 데이터 버스트 영역(118)을 포함한다. 상기 프리앰블 영역(112)은 단말의 초기 동기 획득 및 셀 탐색을 위한 프리앰블 신호가 송신되는 영역이다. 상기 MAP 영 역(114)은 DL-MAP 메시지와 UL-MAP 메시지가 송신되는 영역이다. 상기 DL-MAP 메시지는 DL 데이터 버스트 영역(116)으로 전송되는 버스트들 각각에 대한 정보(위치, 부호화 방식 등)를 포함하고, 상기 UL-MAP 메시지는 데이터 버스트 영역(118)으로 전송되는 버스트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기지국이 상기 도 1의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면서 F-FDD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기지국은 제1주파수(제1반송파)를 이용해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110)을 연속적으로 송신하고, 제2주파수(제2반송파)를 이용해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120)을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도 F-FDD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단말이 H-FDD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자원 활용 면에서 이득을 가지지 못한다. 여기서, 상기 H-FDD 방식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대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하지 못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F-FDD 기지국은 특정 시간 동안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나, H-FDD 단말은 특정 시간 동안 송신과 수신 중 어느 하나만을 수행할 수밖에 없다.
이런 경우, 기지국은 단말들을 두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구간 동안, 기지국은 제1주파수를 이용해서 제1 그룹으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제2주파수를 이용해서 제2 그룹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다음 시간구간 동안, 기지국은 제1주파수를 이용해서 제2 그룹으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제2주파수를 이용해서 제1 그룹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프레임 구조가 정의되어야 하며, 아울러 단말은 해당 그룹의 프레임 구성 상태를 알 수 있어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로 프레임 구성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H-FDD 단말을 수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로 프레임 구성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FDD 단말을 수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정보 전송에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H-FDD 단말을 수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프레임 구성정보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프레임 구성정보를 빠르게 검출하고 복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H-FDD(Half Duplex -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전송하는 과정과,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상기 오프셋 값과 (k-1)번째 프레임에서의 오프셋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프셋 변경분(offset change)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H-FDD(Half Duplex -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MAP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실패 시,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메시지를 이용해서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프레임 구성정보 변경여부를 나타내는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H-FDD 단말들을 두 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MAP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실패 시,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메시지를 이용해서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 변경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상기 오프셋 값과 (k-1)번째 프레임에서의 오프셋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프셋 증감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기와, 상기 메시지 생성기로부터의 메시지를 물리계층 인코딩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MAP메시지가 손실된 경우,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FCH메시지의 특정 필드를 디코딩하는 메시지 해석부와, 상기 특정 필드의 정보를 이용해서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프레임 구성정보 변경여부를 나타내는 변경카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기와, 상기 메시지 생성기로부터의 메시지를 물리계층 인코딩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MAP메시지가 손실된 경우,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FCH메시지의 특정 필드를 디코딩하는 메시지 해석부와, 상기 특정 필드의 정보를 이용해서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구성정보(Frame configuration IE)의 전송주기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주기에 따라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이 변경된 경우, 이번 k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변경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재전송여부를 나타내는 변경카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MAP메시지 수신을 실패한 경우, k+1번째 프레임에서 프레임 구성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내 변경카운터가 제1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가 재전송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프레임 구성정보로부터 k+2번째 프레임에서 유효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 구성정보 전송에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프레임 구성정보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프레임 구성정보를 신속히 복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H-FDD(Half 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단말을 수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이하, 본 발명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무 선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본 발명은 H-FDD를 수용하는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은 F-FDD 방식으로 통신하고, 단말은 H-FDD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기지국은 단말들을 두 개의 그룹들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H-FDD 단말 그룹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신호는 제1주파수(f1)를 이용해서 전송되고, 상향링크 신호는 제2주파수(f2)를 이용해서 전송된다.
먼저,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를 살펴보면, 제1 그룹을 위한 제1하향링크 구간(200)과 제2 그룹을 위한 제2 하향링크 구간(20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하향링크 구간(200)의 앞에는 프리앰블이 구성되고, 연이어 제1 그룹을 위한 MAP메시지가 구성되며, 나머지 영역은 제1 그룹의 하향링크 버스트들을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하향링크 구간(202)의 앞에는 제2 그룹을 위한 MAP메시지가 구성되고, 나머지 영역은 제2 그룹의 하향링크 버스트들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1 하향링크 구간과 상기 제2 하향링크 구간 사이에는 동작 전환을 위한 갭(gap)이 구성되고, i번째 하향링크 프레임과 i+1번째 하향링크 프레임 사이에도 동작 전환을 위한 갭이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향링크 프레임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제2 그룹을 위한 제1 상향링크 구간(204)이 구성되고, 연이어 제1 그룹을 위한 제2 상향링크 구간(206)이 구성된다. 이때, 제1 상향링크 구간(204)과 상기 제2 상향링크 구간(206) 사이에는 동작 전환을 위한 갭이 구성되고, i번째 상향링크 프레임과 i+1번째 상향링크 프레임 사이에도 동작 전환을 위한 갭이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기지국은 프레임의 제1 구간동안 제1주파수(f1)를 이용해서 제1 그룹으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제2주파수(f2)를 이용해서 제2 그룹으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제2 구간동안, 기지국은 제1주파수를 이용해서 제2 그룹으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제2주파수를 이용해서 제1 그룹으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도 3은 제1 그룹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제1구간동안 제1 그룹의 단말들은 제1주파수(f1)를 이용해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프레임의 제2구간동안 제2주파수(f2)를 이용해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들은 제1 하향링크 구간(200) 동안 수신모드로 동작하고, TTG 구간동안 동작모드를 송신모드로 전환하며, 제2 상향링크 구간(206) 동안 송신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상기 제2 상향링크 구간(206) 종료후, RTG 구간동안 동작모드를 수신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제1 그룹의 경우 기존 TDD단말과 동작이 동일하며, 따라서 프레임 구조를 단말에게 알려주기 위해 새로운 시그널링을 정의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현재 정의되어 있는 DL-MAP 메시지의 OFDMA심볼 개수(Number of OFDMA symbol)를 통해 제1 하향링크 구간(200)의 OFDMA 심볼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L-MAP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할당시작시간(ALLOCATION START TIME)과 OFDMA심볼개수(Number of OFDMA symbol)를 통해 현재 프레임의 상향링크 맵이 적용되는 상향링크 구간의 시작 시점과 해당 상향링크 구간의 OFDMA 심볼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제1 그룹의 단말들이 DL-MAP와 UL-MAP을 통해 프레임 구성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와 같은 프레임 구성정보를 획득한 단말은 도 3과 같은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언제 송신모드에서 수신모드로 혹은 수신모드에서 송신모드로 전환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도 5는 제2 그룹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룹의 단말들은 프리앰블 수신 후, TTG구간동안 송신모드로 전환하고, 제1상향링크 구간(204) 동안 송신모드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제1상향링크 구간(204) 종료후, RTG구간동안 수신모드로 전환하고, 제2 하향링크 구간(202) 동안 수신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기지국은 프리앰블로부터 그룹2 MAP메시지가 전송되는 OFDMA심볼 사이의 오프셋(OFDMA SYMBOL OFFSET) 값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 즉, 제2그룹에 속하는 단말의 경우, 상기 오프셋 정보를 알아야만 도 5와 같은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제2 그룹의 단말들이 프레임 구성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그룹2 MAP메시지의 전송이 시작되는 오프셋 값을 수신한 제2그룹의 단말들은 그룹2의 DL-MAP메시지의 OFDMA 심볼 개수(Number of OFDMA Symbol) 값을 통해 제2 하향링크 구간이 시작되고 끝나는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또한, 그룹2의 UL-MAP메시지의 할당시작시간(Allocation Start Time)을 통해서 해당 상향링크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 수 있고, UL-MAP메시지의 OFDMA 심볼 개수(Number of OFDMA Symbol) 값을 통해서 해당 상향링크 구간의 OFDMA 심볼 개수를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2 MAP메시지의 전송시점을 알려주기 위한 오프셋 정보를 매 프레임 전송할 경우, 제2그룹과 제1그룹의 하향링크 구간과 상향링크 구간을 이상적으로 매 프레임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오프셋 정보를 매 프레임마다 전송할 경우 시그널링 오버헤드 부담이 있으므로, 상기 오프셋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수 주기로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오프셋 정보는 그룹2 MAP메시지뿐만 아니라 그룹1 MAP메시지에서도 전송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 그룹2 MAP메시지를 통해 상기 오프셋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왜냐하면, 그룹2의 하향링크 구간과 상향링크 구간을 매 프레임마다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제1그룹에 해당하는 단말이 제2그룹으로 스위칭될 경우 제2그룹의 프레임 구성정보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그룹1 MAP메시지에서도 상기 오프셋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오프셋 정보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FCH(Frame Control Header)메시지를 이용해서 오프셋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FCH메시지는 각 그룹의 MAP메시지가 전송되기 전 해당 MAP메시지의 복호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매 프레임 전송된다. 특히, 상기 FCH메시지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 4비트의 예비 영역(Reserved)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예비 영역이 4비트이면 16가지의 오프셋 값을 표현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FCH메시지의 일 예를 보여준다.
Syntax Size(bit) Notes
Used subchannel bitmap 6 Bit#0:Subchannel group 0 Bit#1:Subchannel group 1 Bit#2:Subchannel group 2 Bit#3:Subchannel group 3 Bit#4:Subchannel group 4 Bit#5:Subchannel group 5
Reserved 1 Shall be set to zero
Repetition_Coding_Indicator 2 0b00: No repetition coding on DL-MAP 0b01:Repetition coding of 2 used on DL-MAP 0b10:Repetition coding of 4 used on DL-MAP 0b11:Repetition coding of 6 used on DL-MAP
Coding_Indication 3 0b000: CC encoding used on DL-MAP 0b001: BTC encoding used on DL-MAP 0b010: CTC encoding used on DL-MAP 0b011: ZT encoding used on DL-MAP 0b100: CC encoding with optional interleaver 0b101: LDPC encoding used on DL-MAP 0b110 to 0b111: Reserved
DL-MAP Length 8
Group 2 offset 4
다음으로, 시스템 파라미터를 방송하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ion)메시지를 통해 오프셋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메시지를 통해 0000∼1111이 나타내는 오프셋 값을 TLV(Type/Length/Value)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DCD메시지에 포함되는 TLV는 하기 표 2와 같다.
Type Length Value Scope
xx x Group 2 offset in H-FDD mode H-FDD frame configuration
한편, 상기 FCH메시지와 DCD메시지를 동시에 운용할 경우, 기지국은 DCD메시지를 통해 그룹2의 오프셋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또한 FCH메시지를 통해 매 프레임마다 그룹2의 오프셋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예는 4비트를 이용해서 오프셋 값을 표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그것은 하나의 예일 뿐 오프셋 정보의 비트수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0000부터 1111까지의 각 값에 대한 오프셋 정보의 매핑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000은 프레임 시작 프리앰블로부터 시작하여 10 OFDMA심볼을 오프셋 값으로 가지고, 0001은 11 OFDMA심볼을 오프셋으로 가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의 범위는 10 OFDMA심볼로부터 25 OFDMA심볼이 된다. 다른 예로, 증가 단위를 2개의 OFDMA심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0000은 10 OFDMA 심볼을 오프셋 값으로 가지며, 0001은 12 OFDMA심볼을 오프셋 값으로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는 IE(Information Element), 예를 들어 프레임 구성 IE(Frame Configuration IE)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 구성 IE를 매 프레임 전송할 경우,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야기되므로, 소정 주기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구성 IE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레임 구성 IE의 전송 주기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예 : DCD)를 통해 알려줘야 한다. 상기 프레임 구성 IE의 전송 주기를 알려줄 경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포함되는 TLV는 하기 표 3과 같다.
Type Length Value Scope
xx x Fr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period H-FDD frame configuration
이때, 프레임 구성 IE의 전송 주기는, 프레임 번호와 연관지어 쉽게 연산할 수 있는 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프레임 번호의 마지막 세자리가 주기로 나누어 떨어지는 프레임에서 오프셋 정보가 전송된다고 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 번호의 마지막 세자리를 상기 전송주기로 모듈로(modulo)연산하여 0이 되는 프레임에서 상기 오프셋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주기가 4라면, 프레임 번호의 마지막 세자리를 4로 모듈로 연산하여 0이 되는 프레임에서 상기 오프셋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단말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프레임 구성 IE의 전송주기를 획득한다. 그런데, 상기 단말이 상기 프레임 구성 IE가 전송되는 MAP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 본 발명은 FCH메시지의 예비 영역(4비트)을 이용해서 이전 주기의 오프셋 대비 이번 주기의 오프셋 변경분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이전 주기의 오프셋 대비 변경이 없을 경우 '0000'을 설정한다. 이전 주기의 오프셋 대비 증가하는 경우, 첫 번째 비트를 1로 설정하고 나머지 3비트에 증가분 값을 설정한다. 이전 주기의 오프셋 대비 감소하는 경우, 첫 번째 비트를 0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3비트에 감소분 값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단말이 프레임 구성 IE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다음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FCH메시지를 통해 프레임 구성 정보를 복구할 수 있다.
도 7은 주기적으로 프레임 구성 IE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4 프레임 주기로 프레임 구성 IE가 전송된다. 이때, 프레임 구성정보가 k+8번째 프레임에서 변경된다고 가정하면, k번째 프레임에서는 현재 적용중인 프레임 구성정보를 프레임 구성 IE를 통해 전송하고, k+4번째 프레임에서는 변경될 프레임 구성정보를 프레임 구성 IE를 통해 전송한다. 이때, k+5번째 프레임, k+6번째 프레임, k+7번째 프레임에서는 FCH메시지를 통해 변경된 오프셋 값의 증감분만 알려준다.
상기와 같이, FCH메시지를 통해 변경된 오프셋 값의 증감분을 알려줄 경우, 단말이 해당 주기에서 MAP메시지(프레임 구성 IE)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이후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FCH메시지의 오프셋 값 증감분을 통해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4는 변경된 오프셋 값의 증감분을 알려주기 위한 FCH메시지의 일 예를 보여준다.
Syntax Size(bit) Notes
Used subchannel bitmap 6 Bit#0:Subchannel group 0 Bit#1:Subchannel group 1 Bit#2:Subchannel group 2 Bit#3:Subchannel group 3 Bit#4:Subchannel group 4 Bit#5:Subchannel group 5
Reserved 1 Shall be set to zero
Repetition_Coding_Indicator 2 0b00: No repetition coding on DL-MAP 0b01:Repetition coding of 2 used on DL-MAP 0b10:Repetition coding of 4 used on DL-MAP 0b11:Repetition coding of 6 used on DL-MAP
Coding_Indication 3 0b000: CC encoding used on DL-MAP 0b001: BTC encoding used on DL-MAP 0b010: CTC encoding used on DL-MAP 0b011: ZT encoding used on DL-MAP 0b100: CC encoding with optional interleaver 0b101: LDPC encoding used on DL-MAP 0b110 to 0b111: Reserved
DL-MAP Length 8
Offset delta information 4
상기와 같이 FCH메시지를 통해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하는 방법 외에,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를 한시적으로 반복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프레임 구성 IE를 한시적으로 반복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4 프레임 주기로 프레임 구성 IE가 전송된다. 이때, 프레임 구성정보가 k+8번째 프레임에서 변경된다고 가정하면, k번째 프레임에서는 현재 적용중인 프레임 구성정보를 프레임 구성 IE를 통해 전송하고, k+4번째 프레임에서는 변경될 프레임 구성정보를 프레임 구성 IE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k+5번째 프레임, k+6번째 프레임, k+7번째 프레임에서도 상기 변경될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를 반복해서 전송한다. 즉, 만일 단말이 k+4번째 프레임에서 MAP메시지(프레임 구성 IE)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이후 프레임들(k+5번째 프레임 내지 k+7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MAP메시지를 통해 변경된 프레임 구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도 7의 방법은 프레임 구성 IE를 소정 주기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프레임 구성정보 복구 방안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프레임 구성 IE를 매 프레임마다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프레임 구성 IE를 매 프레임 전송하는 경우 FCH메시지를 통해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그룹에 속한 단말이 k번째 프레임의 MAP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면(901단계), k+2번째 프레임에 대한 그룹2의 시작 오프셋을 획득할 수가 없다(903단계). 이런 경우, 상기 단말은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FCH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오프셋 증감분(offset delta)을 획득한다(905단계). 여기서, 상기 오프셋 증감분(offset delta)은 k번째 프레임에서 전송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과 k-1번째 프레임에서 전송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의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FCH메시지내의 오프셋 증감분을 이용해서 k+2번째 프레임에 대한 그룹2의 시작 오프셋을 복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FCH는 예를 들어 상기 표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그룹2의 시작 오프셋을 프레임 구성 IE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프레임 구성 IE에 그룹1의 종료 시점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왜냐하면, 그룹1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그룹2의 시작 시점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그룹1의 종료 시점과 그룹2의 시작 시점을 모두 상기 프레임 구성 IE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상, k번째 프레임에서 제2그룹에 속한 단말이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한 MAP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FCH메시지의 오프셋 증감분(offset delta)을 이용해서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하는 방안을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로, FCH메시지를 이용해서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알려주고, 단말은 FCH메시지를 통해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만 검출할 수도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FCH메시지를 통해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그룹에 속한 단말이 k번째 프레임의 MAP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면(1001단계), k+2번째 프레임에 대한 그룹2의 시작 오프셋을 획득할 수가 없다(1003단계). 이런 경우, 상기 단말은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FCH메시지를 디코딩해서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나타내는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를 확인한다(1005단계). 예를 들어, k번째 프레임에서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변경카운터는 '1' 값을 가지고,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변경카운터는 '0' 값을 가진다. 즉, FCH메시지의 4비트의 예비비트들중 1비트를 이용해서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변경카운터를 이용해서 k번째 프레임에서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한다(1007단계). 이때, 변경카운터가 '1'일 경우, k번째 프레임에서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단말은 k+번째 프레임 혹은 그 이후 프레임에서 그룹1의 MAP메시지를 수신하여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를 획득한다(1011단계). 반면, 변경카운터가 '0'일 경우,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단말은 k+1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MAP메시지를 정상적으로 디코딩한다(1009단계).
상술한 내용을 근거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은 1101단계에서 이번 프레임 번호(frame number)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1103단계에서 이번 프레임이 프레임 구성정보 전송 프레임인지 판단한다.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수 주기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전송주기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DCD메시지)를 통해 단말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 전송 프레임이면, 상기 기지국은 1105단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frame configuration IE)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1107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프레임 구성 IE를 포함하는 MAP메시지를 이번 프레임에서 전송한다.
만일, 프레임 구성정보 전송 프레임이 아니면, 상기 기지국은 1109단계에서 이전 주기의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과 이번 주기의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의 차이(오프셋 증감분)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1111단계에서 상기 오프셋 증감분 정보(offset delta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메시지(예 : FCH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1111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FCH메시지를 이번 프레임에서 전송한다.
상술한 도 11은 기지국이 설정 주기에 따른 해당 프레임(예를 들어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전송하고, 다음 프레임(k+1번째 프레임)에서 오프셋의 차등값을 FCH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 기지국은 임의적으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도 11의 동작이 동일하게 적용될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임의의 k번째 프레임에서 변경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은 다음 프레임(k+1번째 프레임)에서 변경전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과 변경후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의 차등분을 FCH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k번째 프레임에서 MAP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k+1번째 프레임에서 FCH메시지를 수신하여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기지국은 기본적으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아울러 그룹2의 시작 오프셋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도 11의 동작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상술한 도 11의 기지국 동작에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1201단계에서 이번 프레임(k번째 프레임)의 번호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1203단계에서 이번 프레임이 프레임 구성정보 수신 프레임인지 판단한다.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 수신 프레임이 아니면, 상기 단말은 1223단계로 진행하여 일반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수 주기로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주기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DCD메시지)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 수신 프레임이면, 상기 단말은 1205단계로 진행하여 이번 프레임의 MAP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이때, 상기 MAP메시지는 프레임 구성 IE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207단계에서 상기 MAP메시지의 디코딩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MAP메시지의 디코딩이 성공된 경우, 상기 단말은 1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AP메시지내 프레임 구성정보(그룹2의 시작 오프셋 포함)를 획득한다. 이후 단말은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이후 그룹2 MAP메시지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MAP메시지의 디코딩이 실패된 경우, 상기 단말은 1211단계로 진행하여 프레임 구성정보 획득을 실패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1213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k+1번째 프레임)까지 대기한다. 상기 다음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1215단계로 진행하여 FCH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1217단계에서 상기 FCH메시지의 디코딩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FCH메시지의 디코딩이 실패된 경우, 상기 단말은 다음 프레임(k+2번째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1213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상기 FCH메시지의 디코딩이 성공된 경우, 상기 단말은 12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FCH메시지로부터 이전 주기의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과 이번 주기의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의 차이(오프셋 증감분)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1221단계에서 상기 오프셋 증감분을 이용해서 프레임 구성정보(그룹2의 시작 오프셋)를 복구한다. 이후, 단말은 이렇게 복구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이후 그룹2의 MAP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은 1301단계에서 이번 프레임 번호(frame number)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1303단계에서 이번 프레임이 프레임 구성정보 전송 프레임인지 판단한다.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개수 주기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전송주기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DCD메시지)를 통해 단말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 전송 프레임이면, 상기 기지국은 1305단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frame configuration IE)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1307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프레임 구성 IE를 포함하는 MAP메시지를 이번 프레임에서 전송한다.
만일, 프레임 구성정보 전송 프레임이 아니면, 상기 기지국은 1309단계에서 이번 주기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1311단계로 진행하여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나타내는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변경카운터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예 : FCH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카운터는 '1'로 설정될 수 있고,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경카운터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313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FCH메시지를 이번 프레임에서 전송한다.
상술한 도 13은 기지국이 설정 주기에 따른 해당 프레임(예를 들어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전송하고, 다음 프레임(k+1번째 프레임)에서 변경카운터를 FCH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 기지국은 임의적으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도 11의 동작이 동일하게 적용될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임의의 k번째 프레임에서 변경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은 다음 프레임(k+1번째 프레임)에서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 = 1)를 FCH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k번째 프레임에서 MAP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k+1번째 프레임에서 FCH메시지(변경카운터 포함)를 수신함으로써, 이전 프레임(k번째 프레임)에서 변경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이 전송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기지국은 기본적으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아울러 그룹2의 시작 오프셋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도 13의 동작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상술한 도 13의 기지국 동작에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1401단계에서 이번 프레임(k번째 프레임)의 번호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1403단계에서 이번 프레임이 프레임 구성정보 수신 프레임인지 판단한다.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 수신 프레임이 아니면, 상기 단말은 1423단계로 진행하여 일반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개수 주기로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주기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DCD메시지)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 수신 프레임이면, 상기 단말은 1405단계로 진행하여 이번 프레임의 MAP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이때, 상기 MAP메시지는 프레임 구성 IE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407단계에서 상기 MAP메시지의 디코딩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MAP메시지의 디코딩이 성공된 경우, 상기 단말은 1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AP메시지내 프레임 구성정보(그룹2의 시작 오프셋 포함)를 획득한다. 이후 단말은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이후 그룹2 MAP메시지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MAP메시지의 디코딩이 실패된 경우, 상기 단말은 1411단계로 진행하여 프레임 구성정보 획득을 실패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1413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k+1번째 프레임)까지 대기한다. 상기 다음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1415단계로 진행하여 FCH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1417단계에서 상기 FCH메시지의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 값을 확인하고, 상기 변경카운터 값으로부터 프레임 구성정보(그룹2의 시작 오프셋)가 변경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변경카운터 값이 '1'일 경우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변경카운터 값이 '0'일 경우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1421단계로 진행하여 이전 주기의 프레임 구성정보(그룹2의 시작 오프셋)를 그대로 유지하고, 이번 프레임(k+1번째 프레임)의 그룹2 MAP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반면,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은 1419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프레임(k+2번째 프레임 혹은 그 이상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그룹2의 MAP메시지로부터 그룹1의 프레임 구성정보(그룹1의 종료시점 혹은 그룹2의 시작 오프셋)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로부터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한다. 이후, 단말은 이렇게 복구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이용해서 이후 그룹2의 MAP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제어부(1500), 메시지 생성부(1502), 부호화기(1504), OFDM변조기(1506),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1508), RF송신기(1510), RF수신기(1512),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514), OFDM복조기(1510), 복호화기(1518), 메시지 해석기(1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500)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500)는 제어메시지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메시지 생성부(1502)로 제공하고, 메시지 해석부(1520)로부터의 제어정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1502)는 상기 제어부(1500)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들을 가지고 메시지(MAC management message)를 생성하여 물리계층의 부호화기(1504)로 전달한다.
상기 부호화기(1504)는 상기 메시지 생성부(1502)로부터의 데이터(또는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 :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따라 부호(coding) 및 변조(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OFDM변조기(1506)는 상기 부호화기(1504)로부터의 데이터를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샘플데이터(OFDM심볼)를 출력한다. DAC(1508)는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RF송신기(1510)는 상기 DAC(1508)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1주파수(f1 : 하향링크 캐리어)를 이용해서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RF수신기(151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제2주파수(f2 : 상향링크 캐리어)를 이용해서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은 F-FDD 방식을 사용하므로, 상기 제1주파수를 이용해서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동시에 제2주파수를 이용해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DC(1514)은 상기 RF수신기(1512)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OFDM복조기(1516)는 상기 ADC(1514)에서 출력되는 샘플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복호화기(1518)는 상기 OFDM복조기(1516)로부터의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버스트 단위로 정렬하고, 각 버스트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하여 출력한다.
메시지 해석부(1520)는 상기 복호화기(1518)로부터의 데이터에서 소정 단위의 패킷(예 : MAC PDU)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패킷에 대해 헤더 및 에러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헤더 검사를 통해 제어메시지라고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 해석부(1520)는 규정된 규격에 따라 제어메시지를 해석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500)로 제공한다. 즉, 상기 메시지 해석부(1520)는 수신되는 제어메시지에서 각종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1500)로 전달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500)는 프로토콜 제어부로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1502), 상기 메시지 해석부(152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메시지 생성부(1502), 상기 메시지 해석부(15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이들 모두를 제어부(15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 상기 제어부(15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 15의 구성에 근거한 기지국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시지 생성부(1502)는 소정 주기로 DCD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DCD메시지는 본 발명에 따라 프레임 구성정보의 전송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주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개수 주기로 결정될 수 있으며, 프레임 번호와 연관지어 쉽게 연산되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만일, 프레임 구성정보가 매 프레임마다 전송된다면,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의 전송주기를 단말로 알려줄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메시지 생성부(1502)는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의 전송주기로 프레임 구성 IE(그룹2의 시작 오프셋 포함)을 생성한다. 상기 프레임 구성 IE는 MAP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요소(IE : information element)이다.
또한, 상기 메시지 생성부(1502)는 프레임 구성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프레임일 경우,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할 수 있는 정보(offset delta) 혹은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정보(change counter)를 포함하는 FCH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할 수 있는 정보는, 이전 주기의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과 이번 주기의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프셋 증감분 정보(offset delta information)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정보는, 이번 주기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이 변경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 정보이다.
한편, 상기 메시지 생성부(1502)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리계층부에서 물리계층 인코딩되어 단말로 송신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제어부(1600), 메시지 생성부(1602), 부호화기(1604), OFDM변조기(1606),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1608), RF처리부(1610),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612), OFDM복조기(1614), 복호화기(1616), 메시지 해석기(1618), 듀플렉싱 제어기(1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600)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600)는 제어메시지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메시지 생성부(1602)로 제공하고, 메시지 해석부(1618)로부터의 제어정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1602)는 상기 제어부(1600)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들을 가지고 메시지(MAC management message)를 생성하여 물리계층의 부호화기(1604)로 전달한다.
상기 부호화기(1604)는 상기 메시지 생성부(1602)로부터의 데이터(또는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 :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따라 부호(coding) 및 변조(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OFDM변조기(1606)는 상기 부호화기(1604)로부터의 데이터를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샘플데이터(OFDM심볼)를 출력한다. DAC(1608)는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듀플렉싱 제어기(1620)는 상기 제어부(1600)의 제어하에 듀플렉싱을 제어한다. 즉, 상기 듀플렉싱 제어기(1620)는 송수신 모드를 결정하고, 모드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모드 스위칭 신호를 RF처리부(1610)로 제공한다. RF처리부(1610)는 상기 듀플렉싱 제어기(1620)의 제어하에 송수신 모드 전환을 수행한다. 이때, 송신모드로 전환될 경우, 상기 RF처리부(1610)를 캐리어를 제2주파수로 설정하고, 상기 DAC(1608)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제2주파수(f2 : 상향링크 캐리어)를 이용해서 RF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반면, 수신모드로 전환될 경우, 상기 RF처리부(1610)는 캐리어를 제1주파수로 설정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제1주파수(f1 : 하향링크 캐리어)를 이용해서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이 H-FDD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ADC(1612)는 상기 RF처리부(1610)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OFDM복조기(1614)는 상기 ADC(1612)에서 출력되는 샘플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복호화기(1616)는 상기 OFDM복조기(1614)로부터의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버스트 단위로 정렬하고, 각 버스트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하여 출력한다.
메시지 해석부(1618)는 상기 복호화기(1616)로부터의 데이터에서 소정 단위의 패킷(예 : MAC PDU)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패킷에 대해 헤더 및 에러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헤더 검사를 통해 제어메시지라고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 해석부(618)는 규정된 규격에 따라 제어메시지를 해석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600)로 제공한다.
상기 도 16의 구성에 근거한 단말(그룹2의 단말)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시지 해석부(1618)는 수신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DCD메시지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DCD메시지로부터 프레임 구성정보의 전송주기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1600)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0)는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의 전송주기에 따라 프레임 구성정보의 수신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해석부(1618)는 수신되는 MAP메시지 해석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6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의 전송주기에 따른 해당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MAP메시지는 프레임 구성 IE(그룹2의 시작 오프셋 포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0)는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의 전송주기로 수신되는 프레임 구성 IE의 정보를 이용해서 프레임 구성정보의 주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의 전송주기에 따른 해당 프레임(k번째 프레임)에서 MAP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부(1600)는 다음 프레임(k+1번째 프레임)에 수신되는 FCH메시지를 기다린다.
따라서, 상기 메시지 해석부(1618)는 상기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된 FCH메시지를 디코딩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6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FCH메시지의 특정 필드는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할 수 있는 정보(offset delta) 혹은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정보(change counter)가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할 수 있는 정보는, 이전 주기의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과 이번 주기의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프셋 증감분 정보(offset delta information)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정보는, 이번 주기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이 변경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0)는 상기 오프셋 증감분 정보를 이용해서 프레임 구성정보(그룹2의 시작 오프셋)를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0)는 상기 변경카운터를 이용해서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1600)는 이후 프레임(k+2번째 프레임 혹은 그 이상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그룹1의 MAP메시지로부터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그룹1의 종료시점 혹은 그룹2의 시작 오프셋)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로부터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한다.
이상에서는 프레임 K 에서 그룹2의 시작오프셋(Group #2 start offset) 정보가 전송되었을 경우, 프레임 K+1 의 FCH메시지의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를 통해서 이전 프레임인 프레임 K 에서 그룹2의 시작오프셋 정보가 전송되었음을 확인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이하, 상술한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를 프레임 구성 IE(frame configuration IE)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변경카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프레임 K 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Group #2 start offset)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1701단계).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그룹2의시작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정보 메시지(예 : frame configuration IE)를 MAP메시지를 통해서 전송한다(1703단계). 여기서,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은 프레임 K+2 또는 그 이후의 프레임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 K+2 에서 적용된다고 가정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프레임 K+1 에서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 구성정보 메시지를 재전송한다(1705단계). 이때,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 메시지(frame configuration IE)는 프레임 구성정보의 재전송여부를 나타내는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필드를 포함한다. 프레임 구성정보가 재전송되는 경우, 상기 변경카운터는 예를 들어 '1'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 변경카운터가 '1'로 설정될 경우, 단말은 프레임 K+1 에서 수신된 프레임 구성 IE(frame configuration IE)을 이전 프레임 K 에서의 프레임 구성 IE(frame configuration IE)로 인식할 수 있다. 즉, 프레임 구성 IE가 재전송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런 경우, 단말은 상기 프레임 구성 IE(frame configuration IE)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의 유효 프레임을 프레임 k+3 이 아니라, 프레임 K+2 로 인식한다.
이와 같이, 변경카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를 전송할 경우, 프레임 K 에서 MAP메시지 수신에 실패하여 상기 frame configuration IE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단말에게 프레임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frame configuration IE 가 재전송 정보임을 알려 줌으로써, 단말은 상기 그룹2 시작 오프셋의 유효 프레임을 프레임 K+2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지국은 프레임 K+2부터 변경된 그룹2의시작 오프셋을 바탕으로 그룹2의 MAP메시지를 전송한다(1707단계).
한편, 상술한 도 17의 실시예는 변경카운터가 프레임 구성 IIE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변경카운터는 FCH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변경카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그룹에 속하는 단말이 프레임 K에서 MAP메시지 수신을 실패한다(1801단계). 그러면, 상기 단말은 프레임 K 에서 프레임 구성정보(Group #2 start offset)를 포함하는 frame configuration IE 가 전송되었는지 확인 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K+1번째 프레임의 MAP메시지를 기다린다.
즉, 상기 단말은 프레임 K+1 에서 MAP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MAP메시지에 frame configuration IE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1803단계).
상기 frame configuration IE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frame configuration IE 내에 포함되어 있는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가 '1' 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1805단계),
만일, 상기 변경카운터가 '1'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단말은 프레임 K+1 에서 수신된 frame configuration IE를 이전 프레임 K 에서의 frame configuration IE의 재전송으로 인식한다(1807단계).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frame configuration IE의 그룹2 시작 오프셋이 프레임 K+3 이 아닌 프레임 K+2부터 유효함을 인식한다.
반면, 프레임 K+1 에서 frame configuration IE 가 수신되었지만, 상기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가 '0' 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은 해당 프레임 구성정보(그룹2의 시작오프셋 등)가 이번 프레임 K+1 에서 처음으로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다(1811단계).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frame configuration IE의 그룹2 시작 오프셋이 프레임 K+3부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프레임 K+2 에서는 이전 프레임의 그룹2 시작 오프셋을 이용해서 그룹2의 MAP메시지를 수신한다.
한편, 프레임 K+1 에서frame configuration IE 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단말은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전 프레임의 그룹2 시작 오프셋을 이용해서 프레임 K+2의 그룹2 MAP메시지를 디코딩한다(1809단계).
상술한 도 18의 실시예는 변경카운터가 MAP메시지에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변경카운터는 FCH메시지에 포함될수도 있다.
상기 변경카운터를 포함한frame configuration IE의 일예는 하기 표 5와 같다.
syntax size(bits) note
frame configuration IE{ 4
Extended2 DIUC 4 Frame configuration IE
length 8
Chnage counter
Group #2 start offset
}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TDD 방식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H-FDD 단말 그룹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1 그룹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그룹의 단말들이 DL-MAP와 UL-MAP을 통해 프레임 구성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2 그룹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그룹의 단말들이 프레임 구성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주기적으로 프레임 구성 IE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프레임 구성 IE를 한시적으로 반복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프레임 구성 IE를 매 프레임 전송하는 경우 FCH메시지를 통해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FCH메시지를 통해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변경카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변경카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

Claims (47)

  1. H-FDD(Half Duplex -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전송하는 과정과,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상기 오프셋 값과 (k-1)번째 프레임에서의 오프셋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프셋 변경분(offset change)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은 설정 시간 주기로 혹은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이 변경될때마다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주기를 포함하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주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오프셋 값 전송 과정은,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frame configuration IE(Information Element))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구성 IE를 포함하는 MAP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증감분 전송 과정은,
    상기 오프셋 변경분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오프셋 변경분을 포함하는 FCH(Frame Control Header)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FCH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H-FDD(Half Duplex -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MAP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실패 시,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메시지를 이용해서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Frame configuration 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상기 오프셋 값과 (k-1)번째 프레임에서의 오프셋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프셋 변경분(offset change)을 포함하는 FCH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하는 과정은,
    상기 k+1번째 프레임에서 FCH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FCH메시지로부터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상기 오프셋 값과 상기 (k-1)번째 프레임에서의 오프셋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프셋 변경분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오프셋 변경분을 이용해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복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설정 시간 주기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될때마다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주기는 DCD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주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프레임 구성정보 변경여부를 나타내는 변경카운터(change counter)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은 설정 시간 주기로 혹은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이 변경될때마다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주기를 포함하는 DCD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주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카운터 전송 과정은,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 변경여부에 따라 변경카운터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변경카운터 값이 설정된 FCH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FCH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H-FDD 단말들을 두 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MAP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실패 시,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메시지를 이용해서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 변경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Frame configuration 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k+1번째 프레임에서 FCH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FCH메시지로부터 변경카운터 값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카운터 값에 따라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k+1번째 프레임의 그룹2 MAP메시지를 정상적으로 디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된 경우, k+1번째 프레임 혹은 그 이후 프레임에서 그룹1의 MAP메시지를 디코딩하고, 상기 그룹1의 MAP메시지로부터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설정 시간 주기로 혹은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될때마다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주기를 포함하는 DCD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주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상기 오프셋 값과 (k-1)번째 프레임에서의 오프셋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프셋 증감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기와,
    상기 메시지 생성기로부터의 메시지를 물리계층 인코딩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은 설정 시간 주기로 혹은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갑이 변경될때마다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기는, 상기 설정시간 주기를 포함하는 DCD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 주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MAP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증감분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FCH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MAP메시지가 손실된 경우,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FCH메시지의 특정 필드를 디코딩하는 메시지 해석부와,
    상기 특정 필드의 정보를 이용해서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를 복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필드에는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상기 오프셋 값과 (k-1)번째 프레임에서의 오프셋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프셋 변경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MAP메시지는 설정 시간 주기로 혹은 프레임 구성정보가 변경될때마다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해석부는, 수신된 DCD메시지를 해석하여 상기 설정 주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 주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k번째 프레임에서의 프레임 구성정보 변경여부를 나타내는 변경카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기와,
    상기 메시지 생성기로부터의 메시지를 물리계층 인코딩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MAP메시지가 손실된 경우,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FCH메시지의 특정 필드를 디코딩하는 메시지 해석부와,
    상기 특정 필드의 정보를 이용해서 그룹2의 프레임 구성정보의 변경여부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이 변경된 경우, 이번 k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변경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재전송여부를 나타내는 변경카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MAP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그룹2의 시작 오프셋은 k+2 번째 프레임부터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H-FDD 단말들을 2개의 그룹들로 그룹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k번째 프레임에서 MAP메시지 수신을 실패한 경우, k+1번째 프레임에서 프레임 구성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내 변경카운터가 제1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가 재전송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프레임 구성정보로부터 k+2번째 프레임에서 유효한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는 MAP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k+1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그룹2의 시작 오프셋 값이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카운터가 제2값으로 설정된 경우, k+1번째 프레임에서 수신된 프레임 구성정보를 새로운 프레임 구성정보로 판단하고, 상기 프레임 구성정보의 유효 프레임을 k+3번째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20080015044A 2008-02-14 2008-02-1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정보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KR101481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698 2008-02-14
KR20080013698 2008-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287A true KR20090088287A (ko) 2009-08-19
KR101481034B1 KR101481034B1 (ko) 2015-01-15

Family

ID=4120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5044A KR101481034B1 (ko) 2008-02-14 2008-02-1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정보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0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2433A2 (ko) * 2009-11-19 201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방법
US10560938B2 (en) 2011-03-23 2020-02-11 Lg Electronics Inc. Retransmission method for dynamic subframe set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095B1 (ko) * 2004-12-27 201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a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자동 재전송 요구지원 방법
KR100770865B1 (ko) * 2005-04-25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162212B1 (ko) * 2006-03-02 2012-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통한 통신 방법 및 그를위한 프레임 구조
KR100941052B1 (ko) * 2006-07-07 2010-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메시지 양을감소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2433A2 (ko) * 2009-11-19 201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방법
WO2011062433A3 (ko) * 2009-11-19 2011-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방법
US10560938B2 (en) 2011-03-23 2020-02-11 Lg Electronics Inc. Retransmission method for dynamic subframe set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034B1 (ko)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227B2 (en)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928679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레인징 장치 및 방법
KR100948550B1 (ko)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RU2387101C2 (ru) Канал скоростной пейджинговой связи с уменьшенной вероятностью потери пейджингового сообщения
CN109983823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46434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정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0474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ransmission overhead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65096B2 (en) Methods and systems of improved success rate for decoding downlink map and uplink map IES in mobile WIMAX mobile
KR20090078715A (ko) 서브맵을 이용한 통신방법
KR101007026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서킷모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KR10099140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 방법
CN110870237A (zh) 基于数据块的传输
EP3745634A1 (en)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09010631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US2020031485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l/ul format determination within a subframe
KR101481034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정보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KR20110044286A (k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무선 스테이션들 및 그에 대한 시스템
KR2008008158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KR20110138802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 채널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951579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US88486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or anonymously allocated bandwidth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36399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04846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80103382A (ko)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맵 구조를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32825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