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160A - 구멍 난 탄두 - Google Patents

구멍 난 탄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160A
KR20090087160A KR1020080012435A KR20080012435A KR20090087160A KR 20090087160 A KR20090087160 A KR 20090087160A KR 1020080012435 A KR1020080012435 A KR 1020080012435A KR 20080012435 A KR20080012435 A KR 20080012435A KR 20090087160 A KR20090087160 A KR 20090087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head
air
barrel
hol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선
Original Assignee
이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선 filed Critical 이창선
Priority to KR102008001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7160A/ko
Publication of KR20090087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32Range-reducing or range-increasing arrangements; Fall-retarding means
    • F42B10/34Tubular projec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32Range-reducing or range-increasing arrangements; Fall-retarding means
    • F42B10/38Range-increasing arrangements
    • F42B10/42Streamlined project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멍 난 탄두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총포의 가장 중심적인 성능인 정확성과 사정거리 증대를 위하여 탄두의 중심축을 따라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구멍을 판 탄두에 관한 것이다.
현제의 거의 모든 포신이나 총신으로부터 발사되는 탄두가 우향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되어 나선형 비행을 이룸에 따라 유효사거리가 감소되는 결점이 있다. 탄두의 회전은 총신이나 포신에 인위적으로 강선을 만들어 넣어서 인위적으로 유도하여 생기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두의 회전을 유도하는 총신이나 포신의 강선(트위스트 홈)을 없앤 총에서 사용할 것을 전제로 탄두의 회전을 없애고 직사적 성향을 강화하기 위하여 구조를 개량한 탄두에 관한 것이다.
포, 총, 총신, 총열, 포열, 포신, 탄두, 구멍

Description

구멍 난 탄두 {the warhead with the air hole}
본 발명은 총포로부터 발사되는 탄두에 관한 것으로, 탄두의 중앙에 탄두의 비행방향과 나란하게 직선형 구멍(e, f, j)을 만들어 유효사거리와 정확성을 증대시킨 탄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두는 자체로 사용되고 존재하기 보다는 총에 장전되어 발사되는 것이므로 총과 깊은 관계를 가진다. 인마살상용으로 제조되는 총포의 경우 살상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총열의 내면에 다수의 강선(트위스트 홈)을 형성시켜 총신을 통과하는 탄두에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서 살상의 기능을 증대시켜왔다.
이와 같이 총열을 통과하는 탄두가 강선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탄두가 목표물을 통과하면서도 계속적으로 회전(k)하게 되어 목표물에 심한 상처를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강선에 의한 탄두의 회전은 인마 살상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반대급부적으로 탄두의 유효사거리를 단축시키고 총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총열을 통과한 탄두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원심력에 의하여 탄두 가 점점 커다란 동심원(k)을 그리며 진행하게 되며(도6과 도7), 이로 인하여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총포의 유효사거리가 짧아지고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참고로 M16 소총의 유효사거리는 460M, K1 소총 및 K2 소총의 유효사거리는 400M로 제한되었다.
과거의 소총이 탄두의 회전에 기술력을 발휘한데 반하여 본 발명은 탄두의 회전력 소거에 역점을 두고 있다.
화약 가스의 힘으로 발사되는 총포의 탄두는 총기 내부의 작은 흠이나 미세한 먼지, 탄두 자체의 미세한 구조 불균형성 등에 의하여 힘의 편향성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즉 화약 가스가 탄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완벽한 좌우 동형을 이루며 추진력을 발휘하기가 불가능하며 미세한 차이를 수반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발사되는 탄두는 늘 회전할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적극적인 회전방지책을 쓰지 않으면 탄두는 대체로 회전하면서 날아가게 되고, 회전은 사정거리의 축소와 정확성의 감소로 이어진다.
위와 같이 탄두의 회전은 총열의 내부구조와 탄두의 구조가 서로 연관되어 발생된다. 그러므로 탄두의 회전을 막기 위해선 탄두의 구조뿐만 아니라 총열의 내부구조도 바꾸어 주어야한다.
즉 총열의 내면에 있는 다수의 강선(트위스트 홈)을 없애야 한다. 이를 위하 여 총열에 관한 특허 출원을 따로 준비 중에 있음을 밝힌다.
본 발명에서는 탄두의 구조적 개선에 관한 것으로 한정한다. 본 발명은 탄두의 회전을 방지하여 총의 사정거리를 극대화하고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안된 구멍(e, f, j) 난 탄두에 관한 것이다.
첫째 탄두의 중앙에 공기가 흐르도록 구멍을 만든다.
둘째 총신이나 포신에서 회전을 유도하던 강선(트위스트 홈)을 없애야 한다.
두 번째 해결책은 탄두의 문제가 아니고 총기의 내부구조 변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다루지 않는다. 이 문제를 위해서 총기 내부구조가 변화된 소총을 이미 고안하고 있으며 특허를 출원할 예정임을 이미 밝힌바 있다.
여기서 언급되는 구멍 난 탄두(도1과 도2)는 사용되는 총포의 내면이 이미 교정되어, 강선(트위스트 홈)이 없는 것을 전재로 하며, 강선이 있는 총포에서 사용할 경우는 효과가 제한된다.
구멍 난 탄두는 비행이 안정되어지므로 서 사정거리가 멀어지고 정확도가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정교한 정확도는 불필요한 시민의 피해를 줄이고 범인들만 정확하게 응징되어야 하는 경찰관들이 사용하는 총의 탄두에 주로 사용활 수 있을 것이며, 유효 사정거리가 멀어지므로 군인들에게도 유리하다.
특히 커다란 탄두가 장착되며 탄두 내부에 화약이 장착되지 않는 대공포에도 유리하다. 탄두의 중앙이 비어있어 직경이 커지므로 목표물에 커다란 타격을 줄 수 있으며, 탄두가 가벼워지므로 비행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이다.
회전하지 않는 탄두는 사람이 맞았을 경우에도, 회전하는 탄두보다 부상 부위가 작아진다. 전투력은 상당부분 상실하게 되겠지만, 환부가 탄두 크기 이상으로 커지는 것이 아니다. 때로는 부상 이전 상태로 호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대방을 사망시키지 않아도 되는 경찰관이나 평화 시 전투가 아닌 경계위주의 근무가 대부분인 군인들에게 권할만하다.
모든 비행체는 배행방향과 나란한 구멍, 즉 공기 유통 경로가 있을 때 안정된 비행을 한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비행기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성능을 요구하는 전투기에 응용되어지고 있다. 현제 미국 등 선진국에서 생산되는 많은 전투기(F15, F16, F22 등등)가 운전석 밑에서부터 꼬리부분까지 길고 커다란 공기 유통 구멍을 만들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구멍 난 탄두도 같은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탄두의 정중앙에 공기가 통과하는 구멍(e, f, j)을 만들어서 탄두의 비행을 안정되게 함으로서 총의 사정거리를 늘리고 정확성을 증가시킨 것이다.
총포에서 발사되어 공기 중을 비행하는 탄두는 늘 회전할 가능성을 가지게 되며 적극적인 방지 수단이 없으면 회전하기 마련이다. 탄두의 회전은 그 회전력에 비례하여 큰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어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도6과 도7).
도6과 도7은 종래의 강선이 있는 총포에서 발사된 탄두가 비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회전력이 클수록 동심원이 빠르게 커진다. 이러한 동심원을 그리는 탄두의 비행은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사정거리의 축소로 이어지며 목표물에서 많이 벗어나는 부정확으로 이어진다.
구멍 난 탄두는 탄두 내부에 공기의 유통 경로(d)를 만듦으로서 탄두가 발사되는 총열의 축으로부터 동심원을 그리며 멀어지는 운동을 하는 작용을 줄이게 되어 정확도를 증가시키며, 탄두의 비행 시 정면에서 받는 공기의 저항부분이 줄어들어서 사정거리가 멀어진다.
본 발명품인 구멍 난 탄두 중에서 다각형 구멍 탄두(도4)의 경우는 다각의 모서리 부분에 공기가 더 많이 흐르게 되어 탄두의 회전을 막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공기가 탄두 구멍의 면과 각에 따라 차등적으로 흐름에 따라 탄두의 회전을 막게 된다.
구멍 난 탄두는 과거의 탄두와는 달리 두 개로 구성된다. 첫째는 날아가는 탄두(b)이고 둘째는 탄두에 구멍이 있으므로 탄두가 탄피에 결합되어 있을 때 화약이 탄두의 구멍으로 새지 않도록 막아주는 부가물(c)이다. 부가물은 탄두가 발사 후 총열을 벗어난 후 공기의 저항에 의하여 지상으로 떨어진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탄두보다는 구멍 난 탄두가 가볍고 비행이 안정되어 멀리 날아가며 목표물에 쉽게 적중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구멍 난 탄두의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
도3은 원형 구멍을 뚫은 탄두의 정면도
도4는 사각형 구멍을 뚫은 탄두의 정면도
탄두의 정 중앙에 사각형의 공기 유통로가 생겨서 회전을 막아주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도5는 회전하지 않는 탄두 비행의 측면도
탄두가 약한 포물선을 그린다.
도6은 탄두가 회전하는 경우, M16, K1, K2 등 소총의 탄두가 총열을 중심으로,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나선형으로 멀어지는 비행을 하는 것의 측면도.
탄두의 중심축과 총열의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도7은 탄두가 회전하는 경우, 탄두가 날아가는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
탄두는 점점 총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탄피
b...........구멍 난 탄두
c...........부가물
d...........공기의 유통 경로
e...........탄두의 중앙에 낸 원형 구멍
f...........탄두의 중앙에 낸 사각형 구멍
g...........총열의 중심선
h...........회전하지 않는 탄두의 비행선
i...........회전하는 탄두의 비행선
j...........탄두의 구멍
k...........회전하는 탄두의 비행선
l...........총구

Claims (1)

  1. 비행의 안정성을 위해서, 탄두의 중앙에 비행방향과 나란하게 원형(e) 또는 다각형(f)의 공기구멍을 만든 총포의 탄두.
KR1020080012435A 2008-02-12 2008-02-12 구멍 난 탄두 KR20090087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435A KR20090087160A (ko) 2008-02-12 2008-02-12 구멍 난 탄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435A KR20090087160A (ko) 2008-02-12 2008-02-12 구멍 난 탄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160A true KR20090087160A (ko) 2009-08-17

Family

ID=4120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435A KR20090087160A (ko) 2008-02-12 2008-02-12 구멍 난 탄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71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57A1 (ko) * 2016-10-28 2018-05-03 주식회사 두레텍 탄환면 유체유입로를 구비한 탄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57A1 (ko) * 2016-10-28 2018-05-03 주식회사 두레텍 탄환면 유체유입로를 구비한 탄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269160A (en) Bullet with improved ballistics
US9261319B1 (en) Flash suppressor for firearm
US5116224A (en) Devel small arms bullet
RU2535366C1 (ru) Пуля, снабженная направляющей воздух выемкой
US9719762B2 (en) Cartridges and bullets
WO2007058573A2 (en) Method of increasing the range of a subcalibre shell and subcalibre shells with long range
ES2930873T3 (es) Proyectil de fragmentación mejorado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US20160313100A1 (en) Ammunition for providing a multilayer flowering upon impact
US8893421B2 (en) Duckbill style spreader attachment for a shotgun
US2234165A (en) Projectile
KR20090087160A (ko) 구멍 난 탄두
US9103640B2 (en)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ispersion of projectiles
EP1552241A2 (fr) Projectile de munition pour arme a feu
JP2008256230A (ja) 玩具銃用弾丸
US8794156B1 (en) Safety projectile for firearms
RU2478906C2 (ru) Пистолетный патрон
RU2659289C1 (ru) Патрон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KR20090087159A (ko) 주름을 세긴 탄두
RU2244246C2 (ru) Бронебойная пуля
RU2357195C1 (ru) Бронебойная пуля
US20190033046A1 (en) Small-arms ammunition with non-brass casing and non-lead projectile
RU2462685C1 (ru) Многоэлементный патрон староверова (варианты)
RU2560231C2 (ru) Пуля-2
RU2559657C1 (ru) Ракетная часть реактивного снаряда
RU2349869C1 (ru) Пулевой снаряд для охотничьих ружей с гладкими стволами и "парадокс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