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104A - 전송되는 기준 펄스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방식 - Google Patents

전송되는 기준 펄스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104A
KR20090086104A KR1020097012349A KR20097012349A KR20090086104A KR 20090086104 A KR20090086104 A KR 20090086104A KR 1020097012349 A KR1020097012349 A KR 1020097012349A KR 20097012349 A KR20097012349 A KR 20097012349A KR 20090086104 A KR20090086104 A KR 20090086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pulses
data
transmitted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말 에크발
종 유. 이
데이비드 조나단 줄리안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6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04B1/717Pulse-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04B1/7176Data mapping, e.g. modulation

Abstract

시그널링 방식은 가변적인 위상들을 갖는 전송되는 기준 펄스들을 이용한다. 기준 펄스들의 위상은 랜덤한 방식으로 또는 데이터 스트림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전송기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기 위해 기준 펄스들의 위상을 변조한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이러한 기술들은 코히어런트 및 비-코히어런트 수신기들을 포함하는 이종(heterogeneous) 네트워크에서 이용된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이러한 기술들은 초(ultra)-광대역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송되는 기준 펄스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방식{SIGNALING SCHEME USING TRANSMITTED REFERENCE PULSES}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또한 전송되는 기준 시그널링 방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기는 통신 매체를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기로 전송한다. 예컨대, 무선 장치는 대기(air)를 통해 이동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들을 통해서 다른 무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 매체를 통한 신호들의 전송은 일부 방식들에 있어서 수신되는 신호들의 왜곡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송기 및 수신기는 통상적으로 수신기로 하여금 왜곡되어진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데이터를 정확히 복원할 수 있게 하는 일부 형태의 인코딩/디코딩 방식을 인보크(invoke)할 것이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데이터는 시간에 따라 정해진 진폭, 위상 및 위치를 각각 갖는 신호들의 스트림으로서 인코딩될 수 있다. 예컨대, 펄스 위치 변조 방식은 시간에 따른 각 펄스의 위치가 펄스가 나타내는 특정 데이터 값에 따라 변조되는 일련의 펄스들을 전송하는 것을 수반한다. 역으로, 위상 편이 변조(phase shift keying modulation) 방식은 각 펄스의 위상이 펄스가 나타내는 특 정 데이터에 따라 변조되는 일련의 펄스들을 전송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러한 펄스들에 의해 나타내지는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서 여러 수신기 구조들이 개발되어왔다. 예컨대, 비-코히어런트 수신기는 각각의 펄스와 연관된 에너지를 간단히 검출함으로써 그 펄스와 연관된 값 또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코히어런트 수신기들은 비교적 간단하며, 상당한 양의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코히어런트 수신기의 성능은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에는 용인되지 못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코히어런트 수신기는 샘플링이 펄스들에 의해 전달되는 크기 및 위상 정보를 정확하게 도출하도록 하는 적절한 횟수들로 수신 펄스들을 샘플링함으로써 비교적 높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수신기 구조는 비교적 복잡할 수 있으며, 비교적 상당한 양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전송 기준 시그널링 방식은 완전히 코히어런트한 수신기 및 완전히 비-코히어런트한 수신기의 최대 성능들 및 복잡성들 사이의 성능 및 복잡성을 갖는 수신기 구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전송 기준 방식에 있어서, 기준 펄스는 모든 데이터 펄스와 함께 전송된다. 즉, 데이터 펄스는 시간적으로 기준 펄스에 바로 후속한다. 그 결과, 기준 및 데이터 펄스들은 통신 채널에 의해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왜곡된다. 따라서, 전송 기준 수신기는 기준 펄스를 "잡음성(noisy)" 매칭 필터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지연 상관기를 이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들과 같은 상이한 트랜시버 구조는 상이한 성능 정도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이한 양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 결과,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에는, 선택된 트랜시버 구조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절충들(tradeoffs)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 양상들에 대한 요약이 아래에서 제공된다. 편의를 위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양상" 또는 "양상들"로 간단히 여기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시그널링 방식은 가변적인 위상을 포함하는 전송되는 기준 펄스들을 이용한다. 예컨대, 전송 기준 시스템에서는, 기준 펄스들 및 연관된 데이터 펄스들을 통해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서 변조 방식이 이용된다. 또한, 기준 펄스들의 위상은 그 데이터 스트림에 따라서 혹은 다른 데이터 스트림에 따라서 랜덤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기준 펄스들의 위상의 변경은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스펙트럼 특징들을 향상시킨다. 예컨대, 기준 펄스들의 위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한 변경은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으로부터 발생하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임의의 주파수 컴포넌트들(예컨대, 스펙트럼 라인들)의 크기 및/또는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전송기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기 위해서 기준 펄스들의 위상을 변조한다. 예컨대,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서 각각의 펄스를 검출할 수 있는 코히어런트 수신기와 같은 수신기는 데이터 펄스들 및 기준 펄스들의 위상을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수신기는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 양쪽 모두의 변조와 연관된 데이터 스트림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유리하게, 이는 전송기의 전력 소모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전송기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 중복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함으로써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한다. 여기서, 상기 중복 데이터 스트림은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데이터 펄스를 변조하는 메인 데이터 스트림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는 상기 메인 데이터 스트림의 디코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중복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기의 성능 및/또는 전송기의 커버리지 영역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전송기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함으로써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은 데이터 펄스를 변조하는 메인 데이터 스트림과 상이하다. 전송기는 수신기에 추가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이러한 기술들은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에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송기는 데이터 스트림을 종래의 전송 기준 수신기와 코히어런트 수신기에 전송하기 위해서 단일 형태의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기는 코히어런트 수신기로의 전송을 위해서 추가 데이터 스트림(예컨대, 중복 데이터 스트림 또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 인코딩할 수 있다. 유리하게, 전송기는 종래의 전송 기준 수신기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코히어런트 수신기에 이러한 추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송기는 상이한 타입들의 수신기들과 통신하기 위해서 자신의 시그널링 방식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이러한 기술들은 비교적 광대역의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및 데이터 펄스들은 초(ultra)-광대역 펄스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특징들, 양상들 및 장점들이 아래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항들 및 첨부 도면들에 관하여 고려될 때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가변적인 위상을 가진 기준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간단한 블록도로 나타낸다.
도 2는 가변적인 위상을 가진 기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흐름도로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D를 포함하는 도 3은 전송되는 기준 신호들의 몇몇 간단한 예들을 나타낸다.
도 4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들을 생성하는 장치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간단한 블록도로 나타낸다.
도 5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흐름도로 나타낸다.
도 6은 이종 통신 시스템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간단한 도면으로 나타낸 다.
도 7은 전송된 신호를 복조하는 장치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간단한 블록도로 나타낸다.
도 8은 전송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흐름도로 나타낸다.
도 9는 전송된 기준 신호를 복조하는 장치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간단한 블록도로 나타낸다.
도 10은 전송된 기준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흐름도로 나타낸다.
도 11은 전송된 기준 신호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복조하는 장치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간단한 블록도로 나타낸다.
도 12는 전송된 기준 신호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복조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흐름도로 나타낸다.
도 13은 전송기 장치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간단한 블록도로 나타낸다.
도 14는 수신기 장치의 몇몇 예시적인 양상들을 간단한 블록도로 나타낸다.
일반적인 실무에 따라, 도면들에 도시된 여러 특징들은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여러 특징들의 치수들은 명확성을 위해서 임의적으로 확장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 중 일부는 명확성을 위해서 간략화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은 제공되는 장치 또는 방법의 컴포넌트들 모두를 도시하지 는 않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 전반에 걸쳐 동일한 특징들을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양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서 설명되는 내용들은 매우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여기서 설명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및/또는 기능은 단순히 대표적인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내용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라면 여기서 설명되는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에 상관없이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양상들 중 둘 이상이 여러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여기서 설명되는 양상들 중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및/또는 방법이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서 설명되는 양상들 중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추가하거나 혹은 그를 대신하여 다른 구조 및/또는 기능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및/또는 방법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장치의 전송 섹션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장치(100)에 대한 몇몇 양상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간략한 예에 있어서, 신호 생성기(102)는 변조기(104)에 의해 변조되는 신호를 생성한다. 변조기(104)는 변조 제어기(108)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를 변조하도록 적응된다. 여기서, 제어 신호(106)는 수신기(미도시)에 전송될 데이터 스트림을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어떤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변조된 신호는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서 안테나(112)에 의해 전송하기 위해 전송기(110)에 제공된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신호 생성기(102)는 제어기(108)로부터의 위상 제어 신호(116)에 따라 상기 생성된 신호의 위상을 변조하는 변조기 기능부(114)를 포함한다. 예컨대, 신호 생성기(102)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펄스들을 생성할 수 있고, 여기서 위상 제어 신호(114)는 각각의 생성되는 기준 펄스의 위상을 제어한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전송 기준 시스템과 관련하여 몇몇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및 동작들을 기술한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되는 내용들은 다른 타입들의 데이터 전송 방식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신호들은 초-광대역(ultra-wide band)("UWB") 신호들을 포함한다. 초-광대역 신호는, 예컨대, 대략 20% 이상의 부분 대역폭을 갖거나 및/또는 대략 5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신호로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내용들은 여러 주파수 범위들 및 대역폭들을 가진 다른 타입들의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게다가, 이러한 신호들은 유선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변조된 기준 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몇몇 예시적인 동작들이 이제 도 2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편의를 위해, 도 2의 동작들(그리고, 여기서 임의의 다른 흐름도)이 특정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들이 다른 컴포넌트들과 관련하여 수행될 수 있거나 및/또는 그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블록(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 유선 장치는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서 수신기로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혹은 그렇지 않으면 그 데이터를 획득한다. 도 1에서, 데이터는 라인(118)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 제어기(108)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될 바와 같이, 데이터(118)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204)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생성기(102)는 가변적인 위상들을 가진 기준 펄스들을 생성한다. 신호 생성기(102)는 이러한 방식으로 변조된 펄스들을 생성하기 위해 여러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생성기(102)는 펄스를 생성하고, 이어서 그 펄스의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그 펄스를 처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호 생성기(102)는 적합한 위상을 갖는 각각의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게다가, 신호 생성기(102)는 상이한 타입들의 위상 변경 방식들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생성기(102)는 펄스가 2, 3, 4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위상들 중 하나를 갖도록 생성되는 n-ary 위상 변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아래의 설명에서는 180°이격된 두 위상들을 이용하는 펄스 변조 방식이 기술된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되는 내용들이 단지 두 개의 위상들만을 갖는 신호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4가지의 상이한 전송되는 기준 신호들이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에, 기준 펄스(302, 308, 312 또는 316)에 이어서 임의의 지연 기간(306) 이후에는 데이터 펄스(304, 310, 314 또는 318)가 각각 후속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펄스(302 또는 308)는 2가지의 상이한 위상들(예컨대, 극성들) 중 하나를 갖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장치(100)는 여러 목적들을 위해서 여러 방법들로 기준 펄스들을 변조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아래에서 더욱 상세 히 설명된 바와 같이, 기준 펄스들은 데이터 스트림에 따라 변조될 수 있다. 여기서, 인코더(120) 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컴포넌트가 데이터 스트림(예컨대, 데이터(118)의 메인 데이터 스트림 또는 추가 데이터 스트림)에 기초하여 위상 제어 신호(116)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준 펄스들의 변조가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기에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 있어서, 장치(100)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스펙트럼 특징들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준 펄스들을 변조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펄스의 위상은 랜덤 또는 의사-랜덤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주파수 스펙트럼은 기준 펄스의 이러한 변조가 수행되지 않는 신호가 가지는 것 만큼 임의의 주파수 컴포넌트들과 연관된 많은 피크들(peaks) 및 밸리들(valleys)을 가질 수는 없다. 즉, 기준 펄스의 변조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이러한 주파수 컴포넌트들의 크기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신호 생성기(102)는 여러 방법들로 기준 펄스를 랜덤하게 혹은 의사-랜덤하게 변조할 수 있다. 예컨대, 전송될 데이터에 따른 기준 펄스의 변조는 그 기준 펄스의 위상에 있어서 비교적 랜덤한 변경들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랜덤 신호 생성기 또는 의사-랜덤 시퀀스 생성기(122)는 기준 펄스의 변조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방법은, 예컨대, 기준 펄스가 수신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을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블록(2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기(104)는 수신기에 전송될 데이터에 따라 변조되는 데이터 펄스들을 생성한다. 여기서, 인코 더(120) 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컴포넌트가 데이터 펄스들의 변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데이터(예컨대, 데이터(118)로부터의 메인 데이터 스트림)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인코딩하거나 및/또는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여러 변조 방식들이 여기서 설명되는 내용들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을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이진수 0은 데이터 펄스(304)가 기준 펄스(302)와 동일한 위상(극성)일 때 지정될 수 있다. 역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진수 1은 데이터 펄스(314)가 기준 펄스(312)와 상이한 위상(극성)을 가질 때 지정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3D는 기준 펄스(308 또는 316)의 위상(극성)이 반전될 때 유사한 관계를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장치(100)는 펄스 위치 변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진수 0 또는 이진수 1을 나타내기 위해 지연(306)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이진수 0은 데이터 펄스가 제 1 시간 기간만큼 이후에 연관된 기준 신호에 후속할 때 지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진수 1은 데이터 펄스가 제 1 시간 기간과는 다른 제 2 시간 기간만큼 이후에 기준 신호에 후속할 때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조 방식에 있어서, 기준 및 데이터 펄스들의 상대적인 위상들(극성들)은 데이터 펄스들의 변조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준 펄스의 위상(극성)의 변조는 코히어런트 수신기에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기준 펄스의 위상의 변조가 데이터 펄스의 위상의 변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3A는 기준 펄스 의 정해진 위상(예컨대, 양의 극성)에 대해 이진수 0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3B는 기준 펄스의 다른 위상(예컨대, 음의 극성)에 대해 이진수 1을 나타낼 수 있다. 역으로, 도 3C는 양의 위상에 대해 이진수 1을 나타낼 수 있는 반면에, 도 3D는 음의 위상에 대해 이진수 1을 나타낸다. 이러한 관계들은 종래의 전송 기준 수신기 및 코히어런트 수신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방식에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지연 상관기를 이용하는 종래의 전송 기준 수신기에 있어서, 도 3A 및 도 3B의 파형들은 구별될 수 없을 수 있다. 즉, 종래의 지연 상관기는 단지 펄스들의 상대적인 위상들을 검출할 수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A 및 도 3B의 펄스들 간의 상대적인 위상들이 동일하고 또한 도 3C 및 도 3D의 펄스들 간의 상대적인 위상들이 동일하기 때문에, 지연 상관기는 정해진 쌍의 파형들 중 어느 하나에서 데이터 펄스 변조를 정확하게 디코딩할 것이다. 즉, 도 3A 또는 도 3B의 형태의 파형을 통한 이진수 0의 전송은 지연 상관기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지연 상관기의 예시적인 동작들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이 도 9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코히어런트 수신기는 도 3A 및 도 3B의 파형들을 구별할 수 있거나 또는 도 3C 및 도 3D의 파형들을 구별할 수 있다. 예컨대, 코히어런트 수신기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서 각 펄스의 실제 위상을 검출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그 결과, 코히어런트 수신기는 기준 펄스들의 위상 변조에 의해서(예컨대, 도 3A 또는 도 3B의 파형을 전송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 인코 딩된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
유리하게, 이러한 변조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으로써, 기준 펄스의 위상에 있어서의 변경이 데이터 펄스의 위상에 있어서의 상응하는 변경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데이터 펄스 변조를 전달하는 기준 및 데이터 펄스들 간의 상대적인 위상(극성)이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전송되는 기준 신호는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는 임의의 종래의 전송 기준 수신기들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코히어런트 수신기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은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 다양한 방법들로 인코딩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기준 펄스의 위상 또는 데이터 펄스의 위상은 데이터 비트를 직접 나타낼 수 있다. 기준 펄스들을 사용하는 예가 후속한다. 그러나, 데이터 펄스를 사용하는 유사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추가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이진수 0은 기준 펄스의 양의 위상(극성)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3A의 파형은 데이터 펄스의 상대적인 위상에 의해 정의되는 메인 데이터 스트림 내의 이진수 0과 함께 이러한 이진수 0을 전달하기 위해서 전송된다. 역으로, 도 3C의 파형은 데이터 펄스의 상대적인 위상에 의해 정의되는 메인 데이터 스트림 내의 이진수 1과 함께 이러한 이진수 0을 전달하기 위해 전송된다.
역으로, 추가 데이터 스트림의 이진수 1은 기준 펄스의 음의 위상(극성)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3B 및 도 3D의 파형들은 데이터 펄스의 상대적인 위상에 의해 정의되는 메인 데이터 스트림 내의 이진수 0 또는 이진수 1 각각과 함께 이러한 이진수 1을 전달하기 위해 전송된다.
이러한 관계들의 예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코히어런트 수신기의 경우에, 추가 데이터 스트림과 연관된 비트가 우측 열에 목록화되어 있다. 역으로, 데이터 펄스의 상대적인 위상과 연관된 비트가 좌측 열에 목록화되어 있다. 표 1은 또한 종래의 전송 기준("TR") 수신기가 단지 데이터 펄스의 상대적인 위상과 연관된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것을 나타낸다.
신호 코히어런트 수신기 TR 수신기
도 3A 00 0
도 3B 01 0
도 3C 10 1
도 3D 11 1
표 1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후속하는 기준 펄스들 또는 후속하는 데이터 펄스들의 상대적인 위상들(극성들)은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하나의 기준 펄스로부터 다른 기준 펄스까지 위상(극성)의 무변경은 이진수 0를 나타낼 수 있다. 역으로, 하나의 기준 펄스로부터 다음 기준 펄스까지의 위상(극성)의 변경은 이진수 1을 나타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데이터 펄스의 위상(극성)은 데이터 펄스 변조 동안에 상대적인 기준-데이터 펄스 위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기준 펄스의 위상(극성)의 변경에 응하여 반전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변조에 대한 특정 예가 도 3에 도시된 기준 펄스들을 참조하여 처리될 것이다. 도 3A의 파형(이전 상태)으로부터 도 3C의 파형(현재 상태)으 로의 전환은 추가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이진수 0를 나타낼 수 있다. 게다가, 데이터 펄스의 변조와 연관된 데이터 비트의 현재 상태는 도 3C에서 펄스들(312 및 314) 간의 이위상(out-of-phase) 관계로 인해 이진수 1을 나타낼 수 있다.
역으로, 도 3A의 파형(이전 상태)으로부터 도 3B의 파형(현재 상태)으로의 전환은 추가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이진수 1을 나타낼 수 있다. 게다가, 데이터 펄스의 변조와 연관된 데이터 비트의 현재 상태는 도 3B에서 펄스들(308 및 310) 간의 동위상(in-phase) 관계로 인해 이진수 0을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에 따라 펄스들을 변조하기 위해 다른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컨볼루셔널 인코딩 방식 또는 어떤 다른 타입의 인코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위의 방식들 중 임의의 방식이 n-ary 변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그 n-ary 변조 방식에서는 2, 3 또는 그 이상의 값들이 신호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게다가, 하나보다 많은 변조 방식이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블록(208)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기(110)(도 1)는 변조된 기준 및 데이터 펄스들을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서 수신기에 전송한다. 따라서, 신호 생성기(102)는 위상 제어 신호(116)에 의해 변조될 수 있는 기준 펄스들을 계속해서 생성하고, 변조기(104)는 데이터 제어 신호(106)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 펄스들을 계속해서 변조한다.
변조된 신호들의 전송 및 수신에 대한 몇몇 예들의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이 도 4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다루어질 것이다. 도 4는 여기서 설명되는 내용들에 따라 전송되는 기준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적응되는 장치(400)의 몇몇 양상들을 나타낸다. 도 5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들을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몇몇 동작들을 나타낸다.
도 5의 블록(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는 무선 장치가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혹은 무선 장치가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의 일예로서, 일부 경우들(예컨대, 인접한 무선 장치의 상응하는 성능들을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무선 장치는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항상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적합한 성능들을 가진 제 2 무선 장치가 제 1 무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추가 데이터 스트림이 제 2 무선 장치에 쉽게 이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무선 장치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서 기준 및 데이터 펄스들의 실제 위상을 결정할 수 있는 코히어런트 수신기 또는 어떤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는, 제 1 무선 장치의 통신 모듈(402)이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는 제 2 무선 장치가 상기 제 1 무선 장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무선 장치는 단지 이러한 제 2 무선 장치가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할 위치에 있을 때 추가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위에 설명된 두 가지 예들에 있어서, 제 1 무선 장치는 계속해서 혹은 선택적으로 확장된 서비스 영역(예컨대,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통해) 또는 추가 서비스들(예컨대,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통해)과 같은 성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무선 장치(606)와 연관된 무선 커버리지 영역들(602 및 604)(점선 타원형으로 도시되었음)의 두 가지 간단한 예들을 나타낸다. 아래에서 설명될 일예에 있어서, 무선 장치(606)의 초-광대역 트랜시버(608)의 커버리지 영역은 커버리지 영역(602)에 의해 도시된 범위로 제한된다. 아래에서 설명될 다른 예에 있어서, 트랜시버(608)의 커버리지 영역은 커버리지 영역(604)에 의해 도시된 범위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예에서는, 단지 무선 장치(610)만이 커버리지 영역(602) 내에 있다. 역으로, 제 2 예에서는, 무선 장치(610) 및 무선 장치(612)가 커버리지 영역(604) 내에 있다.
무선 장치(610)는 초-광대역 전송 기준 트랜시버(614)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트랜시버(614)는 완전히 코히어런트하지는 않은 어떤 다른 타입의 수신기나 지연 상관기를 구현한다. 그로 인해서, 무선 장치(610)는 전송되는 무선 신호에 코딩된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무선 장치(606)로부터 수신하기에 적절한 컴포넌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무선 장치(612)의 초-광대역 트랜시버(616)는 코히어런트 수신기(618)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선 장치(612)는 무선 장치(606)로부터의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 인코딩된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예에서, 무선 장치(606)의 통신 모듈(620)(예컨대, 도 4의 모듈(424))은 커버리지 영역(602) 내의 임의의 무선 장치들과 통신하려 시도한다. 이 경우에는, 무선 장치(610)가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할 수 없다는 결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무선 장치(606)는 자신의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통해 추가 데이터 스트림 을 제공하지 않기로 선택할 수 있다. 즉, 트랜시버(608)는 데이터 펄스의 변조를 단지 포함하는 종래의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역으로, 제 2 예에서, 통신 모듈(620)은 커버리지 영역(604) 내의 임의의 무선 장치와 통신하려 시도한다. 이 경우에, 무선 장치(612) 내의 통신 모듈(622)은 무선 장치(612)가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장치(606)는 자신의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통해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은 무선 장치(610)가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그 전송되는 기준 신호에 인코딩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블록(504)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는 수신기(예컨대, 수신기(618))에 전송될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생성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획득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송 기준 시그널링 방식은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데이터 펄스들을 변조함으로써 데이터 스트림(예컨대, 메인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는 그 메인 데이터 스트림을 나타내는 인입 데이터(404)를 도시한다.
또한, 여기서 고려되는 바와 같은 전송 기준 시그널링 방식은 기준 펄스들 및/또는 데이터 펄스들을 변조함으로써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이러한 추가 데이터 스트림은 메인 데이터 스트림과는 상이한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나타내는 임의의(optional) 인입 데이터(406)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장 치(400)는 적절한 수신기가 그 장치(40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면 데이터(406)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활용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하나의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하는 것이 간단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일부 구현들은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변조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방식에 따라 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블록(50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가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하는 경우에, 인코더(408)는 기준 펄스 및 선택적으로는 데이터 펄스를 변조하는데 사용될 데이터에 따라 인코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코딩 동작에 기초하여, 펄스 위상 제어기(410)는 펄스 생성기(414)에 의해 생성되는 기준 펄스들의 위상을 제어하는 기준 위상 제어 신호(412)를 생성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 데이터 스트림은 메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중복을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에는, 인코더(408)가 기준 펄스를 변조하기 위해 데이터(404)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수신기는 메인 데이터 스트림의 디코딩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복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수신기의 성능 및/또는 전송기의 커버리지 영역이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의 사용을 통해서 전송기와 코히어런트 수신기 간에 더 큰 커버리지 영역이 설정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심지어 수신되는 펄스들이 전송기와 수신기 간의 더 긴 거리로 인해 더 큰 왜곡을 포함할지라도 그 수신기는 그 수신되는 펄스로부터 데이터를 정확히 추출할 수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6의 간단한 예를 참조하면, 무선 장치(612)는 더 큰 커버리지 영역(604)을 통해 무선 장치(606)로부터 신호들을 신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무선 장치(602)는 단지 더 작은 커버리지 영역(602)을 통해 무선 장치(606)로부터 신호들을 신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스트림이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때, 인코더(408)는 기준 펄스를 변조하기 위해서 데이터(406)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송기는 추가 데이터 서비스들을 코히어런트 수신기에 제공하기 위해서 제 2 스트림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전송기는 메인 데이터 스트림을 통해 기본적인 오디오 방송을 전송할 수 있는 동시에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통해 오디오 방송에 대한 개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송 기준 수신기는 기본적인 오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반면에, 코히어런트 수신기는 개선된 오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508)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생성기(414)에 의해 생성되는 기준 펄스는 지연 회로(416)에 제공된다. 데이터 펄스의 펄스 위치 변조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도 4에 미도시)에서는, 지연 회로(416)에 의해 제공되는 지연이 전송될 데이터에 따라 변조될 수 있다.
블록(51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는 지연된 기준 펄스로부터 데이터 펄스를 도출한다. 예컨대, 지연된 기준 펄스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서 전송될 데이터에 의해 변조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인코더(408)는 데이터(404)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418)를 생성할 수 있다. 게다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데이터 펄스의 위상(극성)은 기준 펄스의 변조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로 인해, 인코더(408)는 추가 데이터 스트림에 기초하여 디지털 신호(418)를 변경할 수 있다. 게다가,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전송될 데이터 비트들은 데이터 신호(418)를 제공하기 위해서 확산 코드 생성기에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의 예에 있어서, 곱셈기(420)는 데이터 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송될 인코딩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418)(예컨대, +1 또는 -1)와 지연된 기준 펄스를 곱한다. 대안적으로는, 둘 이상의 위상들을 이용하는 PSK(phase shift keying)의 경우에(M=2,3,4 등을 갖는 M-PSK) 전송될 데이터(확산 코드 생성기에 의한 출력)로 상기 지연된 펄스를 변조하기 위해서 위상 시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블록(5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산기(422)는 데이터 펄스와 함께 본래 기준 펄스를 장치(100)의 출력 경로에 연결한다. 따라서, 그 펄스들은 성형 필터(예컨대, 대역통과 필터)(424)에 제공되고(블록(514)), 통신 매체를 통한 전송을 위해서 필요시에 처리된다(블록 516).
이제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전송된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여러 양상들이 다루어질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비교적 높은 레벨의 수신기 컴포넌트들 및 동작들에 관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종래의 전송되는 기준 수신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코히어런트 수신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7에서, 장치(700)는 전송된 신호를 처리한다. 장치(700)는 안테나(704) 를 통해 통신 매체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702)를 구비한다. 그 수신되는 신호는 복조기(706)에 제공되고, 그 복조기(706)는 그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데이터 스트림(708)을 추출한다. 게다가, 복조기(706)는 그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임의의(optional) 데이터 스트림(710)을 추출할 수 있다.
도 8은 전송된 기준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서 수행될 수 있는 몇몇 동작들을 나타낸다. 여기서, 수신기(702)는 기준 펄스를 수신하고(블록 802), 임의의 지연 기간 이후에(블록 804), 데이터 펄스를 수신한다(블록 806).
블록(8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조기(706)는 수신되는 펄스들을 복조함으로써 데이터 스트림(708) 및 선택적으로 데이터 스트림(710)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스트림(708)은 예컨대 전송된 기준 신호의 데이터 펄스로부터 도출되는 상술된 메인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데이터 스트림(710)은 예컨대 전송된 기준 신호의 기준 펄스들 및/또는 데이터 펄스들로부터 도출되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전송된 기준 신호의 위상 변조 데이터 펄스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하도록 적응된 장치(900)를 더 상세히 나타낸다. 여기서, 수신되는 신호들(902)은 대역통과 필터("BPF")(904)에 의해 필터링되고, 이어서 사실상 데이터 펄스를 복조하는, 곱셈기(908) 및 지연 회로(906)를 구비한 지연 상관기에 의해 처리된다.
장치(900)의 예시적인 동작들이 도 10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블록(100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되는 기준 펄스는 지연 회로(906)의 입력에 제공된다. 블록(1004)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 회로(906)는 적절한 기준 펄스-데이터 펄스 지연에 따라 기준 펄스를 지연시킨다. 그 결과, 상응하는 데이터 펄스가 수신될 때(블록 1006), 그 데이터 펄스는 지연된 기준 펄스가 곱셈기(908)의 다른 입력에 제공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곱셈기(908)의 입력에 제공될 것이다(블록 1008).
여기서, 지연된 기준 펄스는 데이터 펄스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매칭 필터를 제공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데이터 복원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각의 펄스에 대한 다수의 펄스들이 전송될 수 있다(예컨대,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따라서, 다수의 펄스들의 전송을 수용하도록 수신 처리에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는, 이러한 펄스들에 대한 채널의 영향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수 개의 수신되는 기준 펄스들이 평균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효과적인 매칭 필터의 특징들이 향상될 수 있다.
검출된 데이터 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적분기(910)가 곱해진 신호를 적분한다. 여기서, 적분기(910)의 동작은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타이밍 제어기(912)가 각각의 데이터 펄스만을 검출하기 위해 적합한 시간들에서 적분기(910)를 턴 온 및 턴 오프시키는데 사용되는 제어 신호(914)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검출된 펄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916)에 직접 제공되고, 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916)는 검출된 펄스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920)로 변환한다(블록 1010). 여기서, 타이밍 제어기(912)는 적합한 시간 에 적분기(91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916)를 적합한 시간들에서 턴 온 및 턴 오프시키는데 사용되는 제어 신호(918)를 생성할 수 있다. 필요하지 않을 때는 상기 변환기(916)를 턴 오프시킴으로써, 장치(9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적합한 시간들에서 제어 신호들(914 및 918)을 생성하기 위해 전송기와 수신기 간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한 여러 메커니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송기는 때때로 타이밍 신호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는, 적분기(910)와 변환기(916) 사이에 피크 검출기(미도시)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변환기(916)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920)를 제공하기 위해서 검출된 피크들(예컨대, 양 및 음의 피크들)을 간단히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컨대, 정확한 타이밍 정보가 적분기(910) 및/또는 변환기(916)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피크들의 타이밍이 통지되지 않거나 혹은 높은 확실성을 통해 통지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타이밍 제어기(912)가 훨씬 덜 정확할 수 있거나, 혹은,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코히어런트 수신기(1102)를 포함하는 장치(1100)의 몇몇 양상들을 나타낸다. 수신기(1102)는 안테나(1106)를 통해 통신 매체로부터 전송된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적응되는 입력 스테이지(1104)를 구비한다. 수신기(1102)는 또한 각각의 수신되는 펄스로부터 위상 및 다른 정보를 추출하도록 적응되는 데이터 복원 모듈(1108)을 구비한다. 그 데이터 복원 모듈(1108)은 수신되는 전송된 기준 신호로부터 데이터 스트림(들)을 사실상 복조하기 위해서 디코더(1112)와 관련하여 동작한다. 그 결과, 위에서 설명된 장치(900)와는 대조적으로, 장치(1100)는 전송된 기준 신호에 인코딩되어진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복원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장치(1100)의 예시적인 동작들이 도 12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다루어질 것이다.
블록(120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100)는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전송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1110)을 구비한다. 예컨대, 전송기의 커버리지 영역에 들어갔을 때, 통신 모듈(1110)은 장치(1100)가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하길 원한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역으로, 그 통신 모듈이 유사한 방식으로 전송기로부터의 질의에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예컨대 블록(502) 및 도 6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동작들과 상보적일 수 있다. 즉, 통신 모듈(1110)은 통신 모듈(622)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들(1204 및 120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복원 모듈(1108)은 위상 정보 및 다른 관련 정보(예컨대, 진폭)를 검출하기 위해서 수신된 기준 펄스를 처리한다. 예컨대, 데이터 복원 모듈(1108)은 비교적 높은 레이트로 펄스를 샘플링할 수 있으며, 예컨대 펄스의 위상을 결정하기 위해서 그 샘플링된 최종 데이터를 매칭 필터를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수신기(1102)는 통신 매체(예컨대, 채널)에 관한 정보를 습득(learning)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수신기(1102)는 매칭 필터를 생성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블록들(1208 및 121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복원 모듈(1108)은 위상 정보 및 다른 관련 정보(예컨대, 진폭)를 검출하기 위해서 수신된 데이터 펄스를 처리한다. 이러한 검출 동작은 블록(1206)의 동작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블록(121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1112)는 메인 데이터 스트림(1118)을 도출하기 위해서 데이터 펄스에 관한 정보(1114)를 디코딩하고, 또한, 적용가능한 경우에는, 추가 데이터 스트림(1120)을 도출하기 위해서 기준 펄스에 관한 정보(1116)를 디코딩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 데이터 스트림은 중복 데이터 스트림 또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디코더(1112)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데이터를 또한 검증할 수 있는 다른 컴포넌트들에 신호들(1118 및 1120)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의 경우에, 데이터(1118)는 수신된 데이터의 값에 대한 최종 결정을 제공하기 위해서 데이터(1120)에 비교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내용들은 위에서 상세히 언급된 것들 이외의 매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여기서 설명된 내용들은 상이한 대역폭들, 신호 타입들(예컨대, 모양들), 또는 변조 방식들을 활용하여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내용들에 따라 구성된 장치는 여기서 상세히 설명된 것들 이외의 회로들을 포함한 다양한 회로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내용들은 다양한 장치들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여기서 고려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전화기(예컨대, 셀룰러 전화기), PDA(personal data assistant), 엔터테인먼트 장치(예컨대, 뮤직 또는 비디오 장치), 헤드셋, 마이크로폰, 바이오메트릭 센서(예컨대, 심장 박동 모니터, 만보계(pedometer), EKG 장치 등), 사용자 I/O 장치(예컨대, 와치(watch), 원격 제어부 등), 타이어 압력 모니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통신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장치들은 상이한 전력 및 데이터 필요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 여기서 설명된 내용들은 저전력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예컨대, 낮은 듀티 사이클 펄스들의 사용을 통해서). 게다가, 이러한 내용은 비교적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포함한 여러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하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예컨대, 높은 대역폭 펄스들을 처리하도록 적응된 회로의 사용을 통해).
여기서 설명된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을 참조하면, 장치(1300)는 위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102, 120, 104 및 114, 110 및 402)에 상응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1302, 1304, 1306, 1308, 및 1310)을 구비한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장치(1400)는 위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702, 706, 1108, 1114, 및 1110)에 상응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1402, 1404, 1406, 1408 및 1410)을 구비한다. 도 13 및 도 14는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이러한 컴포넌트들이 적합한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은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를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점선 박스로 도시된 컴포넌트들은 선택적이다.
게다가, 도 13 및 도 14에 의해 도시된 컴포넌트들 및 기능부들뿐만 아니라 여기서 설명된 다른 컴포넌트들 및 기능부들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또한 여기서 설명된 상응하는 구조를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생성을 위한 수단은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인코딩을 위한 수단은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고, 변조를 위한 수단을 변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전송을 위한 수단은 전송기를 포함할 수 있고, 결정을 위한 수단을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인보킹을 위한 수단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수신을 위한 수단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복조를 위한 수단은 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고, 검출을 위한 수단은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고, 디코딩을 위한 수단은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고, 및 통신을 위한 수단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있어서, 이러한 수단들 중 하나 이상은 도 13 및 도 14의 프로세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이라면 정보 및 신호들이 여러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기술 및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컨대, 위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 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이라면 또한 여기에 기재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여러 기술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하드웨어, 명령들을 포함하는 여러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여기서는 편 의상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지칭될 수 있음),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백히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을 통해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상기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벗어남을 야기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여기에 기재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여러 기술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장치, 이산적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적인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사용하여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치들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설명된 처리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나 체계는 예시적인 해결방법의 예라는 것을 알게 된다. 설계 선호도에 기초하여, 처리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나 체계가 재배열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유지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여러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샘플 순서로 제공하지만, 제공되는 특정 순서나 체계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설명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결합을 통해 즉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예컨대, 실행가능 명령들 및 관련 데이터를 포함함) 및 다른 데이터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제거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해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데이터 메모리에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예컨대, 코드)를 판독하고 그 정보를 상기 저장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예컨대 컴퓨터/프로세서(여기서는 편의상 "프로세서"로 지칭될 수 있음)와 같은 머신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기기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기기 내에서 이산적인 컴포넌트들로 존재할 수 있다.
기재된 양상들에 대한 앞선 설명은 어떤 당업자라도 본 발명을 구현하거나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제공되었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여러 변경들이 당업자 에게는 쉽게 자명할 것이며, 여기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양상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된 양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여기서 설명된 원리들 및 새로운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로 제공되어야 한다.

Claims (86)

  1. 기준 펄스들(reference pulses) 및 연관된 데이터 펄스들을 포함하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가변적인 위상들을 갖는 기준 펄스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펄스들이 상기 데이터 펄스들로부터 데이터를 도출(derive)하는데 사용되도록 적응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인 위상들은 가변적인 극성들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및 데이터 펄스들이 통신 채널에 의해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왜곡되도록 하기 위해서 통신 매체를 통해 기준 펄스를 전송하고 이어서 임의의 지연 기간 이후에 연관된 데이터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들은 랜덤하게 변경되거나 또는 의사-랜덤 시퀀스에 따라 변경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들은 대략 20% 이상의 부분 대역폭을 갖거나 또는 대략 5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초(ultra)-광대역 펄스들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들은 상기 기준 및 데이터 펄스들의 전송과 연관된 스펙트럼 특징들을 향상시키도록 변경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펄스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전송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들을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incremental data redundancy)을 상기 기준 펄스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은 컨볼루셔널 인코딩(convolutional encoding)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상기 데이터 펄스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코히어런트 수신기(coherent receiver)가 전송기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면, 상기 인코딩을 인보크(invok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은 전송기의 커버리지 영역을 증가시키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스트림(additional data stream)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기준 펄스들에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은 컨볼루셔널 인코딩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데이터 펄스들에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전송기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면, 상기 인코딩을 인보크(invok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전송 기준 수신기(transmitted reference receiver)가 전송되는 기준 및 데이터 펄스들로부터 메인 데이터 스트림(main data stream)을 복조하고;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적어도 전송되는 기준 펄스들로부터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복조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헤드셋, 마이크로폰, 바이오메트릭 센서, 심장 박동 모니터, 만보계(pedometer), EKG 장치, 사용자 I/O 장치, 와치(watch), 원격 제어부, 및 타이어 압력 모니터를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되는,
    기준 신호 제공 방법.
  19. 기준 펄스들 및 연관된 데이터 펄스들을 포함하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변적인 위상들을 갖는 기준 펄스들을 생성하도록 적응된 신호 생성기; 및
    상기 기준 펄스들이 상기 데이터 펄스들로부터 데이터를 도출하는데 사용되도록 적응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전송하도록 적응된 전송기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인 위상들은 가변적인 극성들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기는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들을 랜덤하게 변경하거나 또는 의사-랜덤 시퀀스에 따라 변경하도록 또한 적응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들은 대략 20% 이상의 부분 대역폭을 갖거나 또는 대략 5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초(ultra)-광대역 펄스들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전송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들을 변조하도록 적응된 변조기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24. 제 19항에 있어서,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기준 펄스들에 인코딩하도록 적응된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데이터 펄스들에 인코딩하도록 또한 적응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전송기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 하도록 적응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만약 상기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면, 상기 인코더가 상기 인코딩을 수행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27. 제 19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기준 펄스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도록 적응된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데이터 펄스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도록 또한 적응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전송기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적응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만약 상기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면, 상기 인코더가 상기 인코딩을 수행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3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헤드셋, 마이크로폰, 바이오메트릭 센서, 심장 박동 모니터, 만보계(pedometer), EKG 장치, 사용자 I/O 장치, 와치(watch), 원격 제어부, 및 타이어 압력 모니터를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에서 구현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31. 기준 펄스들 및 연관된 데이터 펄스들을 포함하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변적인 위상들을 갖는 기준 펄스들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기준 펄스들이 상기 데이터 펄스들로부터 데이터를 도출하는데 사용되도록 적응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인 위상들은 가변적인 극성들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들은 랜덤하게 변경되거나 또는 의사-랜덤 시퀀스에 따라 변경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들은 대략 20% 이상의 부분 대역폭을 갖거나 또는 대략 5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초(ultra)-광대역 펄스들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35.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펄스들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전송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들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36. 제 31항에 있어서,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상기 기준 펄스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상기 데이터 펄스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38. 제 36항에 있어서,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전송 수단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만약 상기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면, 상기 인코 딩을 인보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39. 제 31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기준 펄스들에 인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데이터 펄스들에 인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41. 제 39항에 있어서,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전송 수단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만약 상기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면, 상기 인코딩을 인보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4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헤드셋, 마이크로폰, 바이오메트릭 센서, 심장 박동 모니터, 만보계(pedometer), EKG 장치, 사용자 I/O 장치, 와치(watch), 원 격 제어부, 및 타이어 압력 모니터를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에서 구현되는,
    기준 신호 제공 장치.
  43. 기준 펄스들 및 연관된 데이터 펄스들을 포함하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가변적인 위상들을 갖는 기준 펄스들을 생성하고;
    상기 기준 펄스들이 상기 데이터 펄스들로부터 데이터를 도출하는데 사용되도록 적응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44. 기준 펄스들 및 연관된 데이터 펄스들을 포함하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변적인 위상들을 갖는 기준 펄스들을 생성하고;
    상기 기준 펄스들이 상기 데이터 펄스들로부터 데이터를 도출하는데 사용되도록 적응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전송하도록 적응되는,
    프로세서.
  45.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포함하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의 변경들에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의 변경들은 극성의 변경들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47.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기준 펄스를 수신하고 이어서 임의의 지연 기간 이후에 연관된 데이터 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48.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한 변경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49.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는 대략 20% 이상의 부분 대역폭을 갖거나 또는 대략 5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초(ultra)-광대역 신호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50.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기준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52. 제 50항에 있어서,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디코딩을 수행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53.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갖는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전송기의 성능을 인보크하기 위해서 상기 전송기와 통신하는 단 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54.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기준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56. 제 54항에 있어서, 코히어런트 수신기가 상기 디코딩을 수행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57.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갖는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전송기의 성능을 인보크하기 위해서 상기 전송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58.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헤드셋, 마이크로폰, 바이오메트릭 센서, 심장 박동 모니터, 만보계(pedometer), EKG 장치, 사용자 I/O 장치, 와치(watch), 원격 제어부, 및 타이어 압력 모니터를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되는,
    기준 신호 처리 방법.
  59.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포함하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수신하도록 적응된 수신기; 및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의 변경들에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복조하도록 적응된 복조기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60.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의 변경들은 극성의 변경들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61.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기는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한 변경들을 검출하도록 또한 적응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62.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는 대략 20% 이상의 부분 대역폭을 갖거나 또는 대략 5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초(ultra)-광대역 신호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63.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기준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도록 적응된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도록 또한 적응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65.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코히어런트 수신기에서 구현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66.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갖는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전송기의 성능을 인보크하기 위해서 상기 전송기와 통신하도록 적응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67.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기준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도록 적응된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68.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도록 또한 적응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69.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코히어런트 수신기에서 구현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70.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갖는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전송기의 성능을 인보크하기 위해서 상기 전송기와 통신하도록 적응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71.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헤드셋, 마이크로폰, 바이오메트릭 센서, 심장 박동 모니터, 만보계(pedometer), EKG 장치, 사용자 I/O 장치, 와치(watch), 원격 제어부, 및 타이어 압력 모니터를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에서 구현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72.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포함하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의 변경들에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73.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의 변경들은 극성의 변경들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74.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조 수단은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한 변경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75.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는 대략 20% 이상의 부분 대역폭을 갖거나 또는 대략 5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초(ultra)-광대역 신호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76.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조 수단은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기준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77.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78.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코히어런트 수신기에서 구현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79.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적인 데이터 중복을 갖는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전송기의 성능을 인보크하기 위해서 상기 전송기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80.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조 수단은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기준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81.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펄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82.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코히어런트 수신기에서 구현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83.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데이터 스트림을 갖는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전송기의 성능을 인보크하기 위해서 상기 전송기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84.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헤드셋, 마이크로폰, 바이오메트릭 센서, 심장 박동 모니터, 만보계(pedometer), EKG 장치, 사용자 I/O 장치, 와치(watch), 원격 제어부, 및 타이어 압력 모니터를 포함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에서 구현되는,
    기준 신호 처리 장치.
  85.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포함하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수신하고;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의 변경들에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복조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86.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포함하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기준 펄스들 및 데이터 펄스들을 수신하고;
    상기 기준 펄스들의 위상의 변경들에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복조하도록 적응되는,
    프로세서.
KR1020097012349A 2006-11-15 2007-11-12 전송되는 기준 펄스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방식 KR200900861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60,310 2006-11-15
US11/560,310 US20080112512A1 (en) 2006-11-15 2006-11-15 Transmitted reference signaling sche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104A true KR20090086104A (ko) 2009-08-10

Family

ID=3929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349A KR20090086104A (ko) 2006-11-15 2007-11-12 전송되는 기준 펄스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방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80112512A1 (ko)
EP (1) EP2082487A2 (ko)
JP (1) JP2010510719A (ko)
KR (1) KR20090086104A (ko)
CN (1) CN101536331A (ko)
TW (1) TWI378659B (ko)
WO (1) WO20080610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9307A1 (en) * 2007-05-07 2008-11-13 Decawave Limited Very High Data Rate Communications System
US8023571B2 (en) * 2008-04-15 2011-09-20 Hong Nie Impulse ultra-wideb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693216B1 (en) * 2009-02-24 2010-04-06 Daniel A. Katz Modulating transmission timing for data communications
EP2234279B1 (en) * 2009-03-24 2012-07-25 Nokia Corporation Pulse control of radio transmission
CN102859890B (zh) * 2010-01-11 2015-08-05 三星电子株式会社 超宽带通信装置和方法
US8744275B2 (en) * 2011-03-05 2014-06-03 LGS Innovation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sensitivity optical detection
CN104425037B (zh) * 2013-08-19 2019-07-12 恩智浦美国有限公司 可重配置电路及其解码器
US9001250B2 (en) * 2013-09-11 2015-04-07 Omni Vis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image data from an image sensor
US9699689B2 (en) * 2013-10-18 2017-07-04 Daniel A. Katz Communication of plain information during channel access
CN109412642B (zh) * 2018-10-10 2021-05-18 华中科技大学 一种信号调制、解调方法及跳相调制、解调单元
US10944538B2 (en) * 2019-05-08 2021-03-09 Bae Systems Plc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communication signals
GB2583744B (en) * 2019-05-08 2023-05-03 Bae Systems Plc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communication signals
CN111835380B (zh) * 2020-07-30 2021-07-02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跳相扩频调制的通信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6051B1 (en) * 1984-12-03 2003-08-12 Time Domain Corporation Pulse-responsive dipole antenna
US20030016157A1 (en) * 1984-12-03 2003-01-23 Fullerton Larry W. Time domain radio transmission system
US5952956A (en) * 1984-12-03 1999-09-14 Time Domain Corporation Time domain radio transmission system
USRE39759E1 (en) * 1984-12-03 2007-08-07 Time Domain Corporation Time domain radio transmission system
US5812081A (en) * 1984-12-03 1998-09-22 Time Domain Systems, Inc. Time domain radio transmission system
US6882301B2 (en) * 1986-06-03 2005-04-19 Time Domain Corporation Time domain radio transmission system
US7030806B2 (en) * 1988-05-10 2006-04-18 Time Domain Corporation Time domain radio transmission system
US5832035A (en) * 1994-09-20 1998-11-03 Time Domain Corporation Fast locking mechanism for channelized ultrawide-band communications
US5677927A (en) * 1994-09-20 1997-10-14 Pulson Communications Corporation Ultra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5764696A (en) * 1995-06-02 1998-06-09 Time Domain Corporation Chiral and dual polarization techniques for an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system
DE19716958A1 (de) * 1997-04-17 1998-10-22 Zbigniew Rybczynski Optisches Abbildungssystem
US5852630A (en) * 1997-07-17 1998-12-22 Globespan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RADSL transceiver warm start activation procedure with precoding
US6091374A (en) * 1997-09-09 2000-07-18 Time Domain Corporation Ultra-wideband magnetic antenna
US5907427A (en) * 1997-10-24 1999-05-25 Time Domain Corporation Photonic band gap device and method using a periodicity defect region to increase photonic signal delay
US6504483B1 (en) * 1998-03-23 2003-01-07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mpulse radio technology to track and monitor animals
US6133876A (en) * 1998-03-23 2000-10-17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by impulse radio
US6512455B2 (en) * 1999-09-27 2003-01-28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ssets, objects, people and animals utilizing impulse radio
US6111536A (en) * 1998-05-26 2000-08-29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ance measurement by inphase and quadrature signals in a radio system
US6577691B2 (en) * 1998-09-03 2003-06-10 Time Domain Corporation Precision timing generator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6539213B1 (en) * 1999-06-14 2003-03-25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ulse radio power control
US6177903B1 (en) * 1999-06-14 2001-01-23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rusion detection using a time domain radar array
US6218979B1 (en) * 1999-06-14 2001-04-17 Time Domain Corporation Wide area time domain radar array
US6421389B1 (en) * 1999-07-16 2002-07-16 Time Domain Corporation Baseband signal converter for a wideband impulse radio receiver
US6492904B2 (en) * 1999-09-27 2002-12-10 Time Domai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timing among ultrawideband transmissions
US6351652B1 (en) * 1999-10-26 2002-02-26 Time Domain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tilizing impulse radio
US6763057B1 (en) * 1999-12-09 2004-07-13 Time Domain Corporation Vector mod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deband impulse radio communications
US7027493B2 (en) * 2000-01-19 2006-04-11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dium wide band communications by impluse radio
US7027425B1 (en) * 2000-02-11 2006-04-11 Alereon, Inc. Impulse radio virtual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method
US6906625B1 (en) * 2000-02-24 2005-06-14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assimilation and functionality control based on positioning information obtained by impulse radio techniques
US6937667B1 (en) * 2000-03-29 2005-08-30 Time Domain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ip modulation in an impuls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6556621B1 (en) * 2000-03-29 2003-04-29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for fast lock and acquisition of ultra-wideband signals
US6700538B1 (en) * 2000-03-29 2004-03-02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separation distance between impulse radios using impulse signal amplitude
US6538615B1 (en) * 2000-05-19 2003-03-25 Time Domain Corporation Semi-coaxial horn antenna
US6354946B1 (en) * 2000-09-20 2002-03-12 Time Domain Corporation Impulse radio interactive wireless gaming system and method
US6845253B1 (en) * 2000-09-27 2005-01-18 Time Domai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antenna apparatus
US6560463B1 (en) * 2000-09-29 2003-05-06 Pulse-Link, Inc. Communication system
US6914949B2 (en) * 2000-10-13 2005-07-05 Time Domai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otential interference in an impulse radio
US6750757B1 (en) * 2000-10-23 2004-06-15 Time Doma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uggage handling
US6778603B1 (en) * 2000-11-08 2004-08-17 Time Doma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ulse train with specifiable spectral response characteristics
US6748040B1 (en) * 2000-11-09 2004-06-08 Time Doma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ng synchron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07244B2 (en) * 2000-12-14 2005-06-14 Pulse-Link, Inc. Hand-off between ultra-wideband cell sites
US6519464B1 (en) * 2000-12-14 2003-02-11 Pulse-Link, Inc. Use of third party ultra wideband devices to establish geo-positional data
US6937674B2 (en) * 2000-12-14 2005-08-30 Pulse-Link, Inc. Mapping radio-frequency noise in an ultra-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US6593886B2 (en) * 2001-01-02 2003-07-15 Time Domain Corporation Planar loop antenna
US6437756B1 (en) * 2001-01-02 2002-08-20 Time Domain Corporation Single element antenna apparatus
US6670909B2 (en) * 2001-01-16 2003-12-30 Time Domain Corporation Ultra-wideband smart sensor interface network and method
US6667724B2 (en) * 2001-02-26 2003-12-23 Time Domain Corporation Impulse radar antenna array and method
US6937639B2 (en) * 2001-04-16 2005-08-30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pulses in time using a code that provides spectral shaping
US6512488B2 (en) * 2001-05-15 2003-01-28 Time Domain Corporation Apparatus for establishing signal coupling between a signal line and an antenna structure
US6763282B2 (en) * 2001-06-04 2004-07-13 Time Domain Cor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robot
US6717992B2 (en) * 2001-06-13 2004-04-06 Time Doma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time spaced signals
US6762712B2 (en) * 2001-07-26 2004-07-13 Time Domain Corporation First-arriving-pulse detec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7230980B2 (en) * 2001-09-17 2007-06-12 Time Doma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ulse radio transceiver calibration
US6677796B2 (en) * 2001-09-20 2004-01-13 Time Domai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recision time delays
US6759948B2 (en) * 2001-09-21 2004-07-06 Time Domain Corporation Railroad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rain accidents
US6760387B2 (en) * 2001-09-21 2004-07-06 Time Domain Corp. Impulse radio receiver and method for finding angular offset of an impulse radio transmitter
US20030108133A1 (en) * 2001-10-11 2003-06-12 Richards James L.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received signal-to-noise ratio in a transmit reference ultra-wideband system
EP1451901A4 (en) * 2001-11-09 2006-07-12 Pulse Link Inc ULTRA BROADBAND ANTENNA ARRAY
US6919838B2 (en) * 2001-11-09 2005-07-19 Pulse-Link, Inc. Ultra-wideband imaging system
US6774859B2 (en) * 2001-11-13 2004-08-10 Time Domain Corporation Ultra wideband antenna having frequency selectivity
US6912240B2 (en) * 2001-11-26 2005-06-28 Time Doma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large number of codes having desirable correlation properties
US7099367B2 (en) * 2002-06-14 2006-08-29 Time Doma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RF signals to baseband
US6782048B2 (en) * 2002-06-21 2004-08-24 Pulse-Link, Inc. Ultra-wideband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network
US7099368B2 (en) * 2002-06-21 2006-08-29 Pulse-Link, Inc. Ultra-wideband communication through a wire medium
US7027483B2 (en) * 2002-06-21 2006-04-11 Pulse-Link, Inc. Ultra-wideband communication through local power lines
US7167525B2 (en) * 2002-06-21 2007-01-23 Pulse-Link, Inc. Ultra-wideband communication through twisted-pair wire media
US6895034B2 (en) * 2002-07-02 2005-05-17 Pulse-Link, Inc. Ultra-wideband pulse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6917248B2 (en) * 2002-07-18 2005-07-12 Sige Semiconductor Inc. Broad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supporting improved phase noise
US7190729B2 (en) * 2002-07-26 2007-03-13 Alereon, Inc. Ultra-wideband high data-rate communications
US7206334B2 (en) * 2002-07-26 2007-04-17 Alereon, Inc. Ultra-wideband high data-rat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6836226B2 (en) * 2002-11-12 2004-12-28 Pulse-Link, Inc. Ultra-wideband pulse modulation system and method
US7190722B2 (en) * 2003-03-03 2007-03-13 Pulse-Link, Inc. Ultra-wideband pulse modulation system and method
US7818037B2 (en) * 2003-09-19 2010-10-19 Radeum, Inc. Techniques for wirelessly controlling push-to-talk operation of half-duplex wireless device
US7020224B2 (en) * 2003-09-30 2006-03-28 Pulse—LINK, Inc. Ultra-wideband correlating receiver
US7046618B2 (en) * 2003-11-25 2006-05-16 Pulse-Link, Inc. Bridge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239277B2 (en) * 2004-04-12 2007-07-03 Time Domai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xtensible position location
US7046187B2 (en) * 2004-08-06 2006-05-16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protection of a resource
US7079627B2 (en) * 2004-10-13 2006-07-18 Bce Inc. Emergency call handling in a voice-over-packet environment
US7256727B2 (en) * 2005-01-07 2007-08-14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adiating RF waveforms using discontinues associated with a utility transmission line
US7729407B2 (en) * 2005-01-21 2010-06-01 Renesas Technology Corp. Single-pulse and multi-pulse transmitted reference impulse radio systems with energy detecting receivers
US7388927B2 (en) * 2005-03-07 2008-06-1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ary modulation of signals for coherent and differentially coherent receivers
US20080247442A1 (en) * 2005-07-18 2008-10-09 Orlik Philip V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odulating and Demodulating Signals Compatible with Multiple Receiver Types and Designed for Improved Receiver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20851A1 (en) 2010-01-28
TWI378659B (en) 2012-12-01
CN101536331A (zh) 2009-09-16
WO2008061057A2 (en) 2008-05-22
WO2008061057A3 (en) 2008-07-10
EP2082487A2 (en) 2009-07-29
TW200838170A (en) 2008-09-16
US20080112512A1 (en) 2008-05-15
JP2010510719A (ja)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6104A (ko) 전송되는 기준 펄스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방식
US9252834B2 (en) Low power long range transmitter
CN108234376A (zh) 无线数据通信方法及装置
US20100278214A1 (en) Pulse-level interleaving for UWB systems
US20050069059A1 (en) Ultra-wideband correlating receiver
EA031912B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амплитудно-временная и фазовая модуляция
JPH07202855A (ja) データ送信装置
JP2002198860A (ja) 高速データ伝送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
WO2002031988A2 (en) Ultra wide bandwidth noise cancellation mechanism and method
CN101584170A (zh) 利用受限通带的用于人体通信的系统和方法
CN101714959B (zh) 模拟/数字信号复合传输发射机和接收机
JPH09172393A (ja) 短いバースト性ダイレクト取得、ダイレクトシーケンス拡張スペクトル・レシーバ
JP2007524267A (ja) 並列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040455B (zh) 调制无线通信网络中的位序列的方法和调制器
CN1969467B (zh) 用于在无线通信网络中调制比特序列的方法与系统
JP2017519468A (ja) 無線通信
US20090003484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hybrid modulation
JP3940134B2 (ja) Dpsk方式のuwb送受信方法及び装置
JP391763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機、無線受信機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210328840A1 (en) All digital non-conventional chaotic communication systems for resilient communications and signaling
US9059790B2 (en)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0507415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rror rates in multi-band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systems
JP2008072625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20070140317A1 (en) Differential phase modulated multi-b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Kreiser et al. Improvements of IEEE 802.15. 4a for non-coherent energy detection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