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820A - 연속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 깊이, 폭 조절이 가능한흙막이 벽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 Google Patents

연속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 깊이, 폭 조절이 가능한흙막이 벽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820A
KR20090085820A KR1020080011667A KR20080011667A KR20090085820A KR 20090085820 A KR20090085820 A KR 20090085820A KR 1020080011667 A KR1020080011667 A KR 1020080011667A KR 20080011667 A KR20080011667 A KR 20080011667A KR 20090085820 A KR20090085820 A KR 20090085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iron
pile
type thumb
thumb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206B1 (ko
Inventor
안영호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에어로테크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에어로테크,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에어로테크
Priority to KR102008001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2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터파기 공사에서 굴토지역과 주변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흙막이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보재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철제 흙막이판을 연결하여 토굴의 측벽을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철제 흙막이판을 결합함에 있어 결합되는 철제 흙막이판의 방향을 곡선화되게 바꿀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직선상의 공사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상의 공사 구간에서도 보다 용이하게 철제 흙막이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타 실시예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상하로 적층되게 연결하고, 상기 상하로 연결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철제 흙막이판을 끼우되, 상기 철제 흙막이판은 지보재를 상하로 설치하여 지지토록 함으로서, 깊이가 깊은 벽체 구조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철제 흙막이판, 흙막이 벽체.

Description

연속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 깊이, 폭 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벽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A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using slide rail and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각종 터파기 공사에서 굴토지역과 주변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흙막이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보재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철제 흙막이판을 연결하여 토굴의 측벽을 지지하되, 직선상의 공사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상의 공사 구간에서도 보다 용이하게 공사를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 가스관 매설 작업 등의 터파기 공사에서 행해지는 흙막이 벽체 구조로는, H-Beam을 일정간격으로 지반에 천공 작업하여 세운 후, 그 사이에 벽체용 목제 흙막이판을 적층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목재 흙막이판 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목재 흙막이판 공법은 H-Beam을 설치하기 위해 항타 장비가 필요하게 되고, 천공 및 항타 작업으로 인하여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게 되므로, 도심 등의 관체 매설 공사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되는 목재는 균일성을 보전하기 어려우며, 함수율에 따른 강도의 변화가 크며, 자체 강성이 크지 않아 휨이나 전단파괴 등이 발생하는 등 안전성에도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공사 후에는 목재 흙막이판의 철거를 원칙으로 하지만 토압으로 인해 현실적으로는 해체가 힘들어 H빔만 뽑아내게 된다. 따라서 뽑아낸 자리는 목재 배열이 엉키게 되고, 공극이 발생하여 결국은 부실시공이 생기게 되며, 또한 목재의 부식이 진행되면 지반침하의 위험까지 발생하는 결과가 초래된다.
또한 목재 흙막이판은 그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또한 하나 하나 설치에 인력이 필요하여 공사속도가 떨어지고,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목재 흙막이판 공법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딱히 대체공법이 없다는 이유로 맹목적으로 답습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 등록한 특허 제568988호(슬라이드 판넬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구조 및 그 설치공법), 실용신안등록 제389266호(슬라이드 레일식 흙막이 장치)를 기초로 하여 발명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흙막이 벽체의 구조는 굴삭기를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서, 고가의 항타 장비가 필요 없어 경제적이며, 무항타이므로 소음 및 진동의 피해가 없게 된다.
또한 그 구조에 있어서도, 지보재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철제 흙막이판을 연결하여 토굴의 측벽을 지지토록 함으로서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단하면서 토압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켜 대형 토굴 공사 등에도 보다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철제 흙막이판을 결합함에 있어 결합되는 철제 흙막이판의 방향을 곡선 방향으로도 바꿀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직선상의 공사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상의 공사 구간에서도 보다 용이하게 철제 흙막이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상하로 적층되게 연결하고, 상기 상하로 연결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철제 흙막이판을 끼우되, 상기 철제 흙막이판은 지보재를 상하로 설치하여 지지토록 함으로서, 깊이가 깊은 벽체 구조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판넬을 이용하여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양측면에 복수의 레일 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앞쪽 면에 가이 드 레일이 형성되어, 토굴 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양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과;
상기 양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의 가이드 레일에 각각 결합되어 양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관의 크기나 모양에 상관없이 하역과 조립이 자유로운 지보재와;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의 복수의 레일 홈 중 바깥쪽 레일 홈에 양측부가 삽입되어 토굴의 측벽 중 상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안쪽 레일 홈에 양측부가 삽입되어 토굴의 측벽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베이스 철제 흙막이판으로 이루어지는 흙막이 벽체 구조로서,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 양측면에 형성된 레일홈의 내주면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레일홈에 끼워지는 철제 흙막이판의 양측단부는 그 외주면을 원형으로 하여, 쌍방이 관절 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서도 용이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타 실시예로서,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 양측면에 형성된 레일홈 측면에 철제 흙막이판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굴절형 연결말뚝를 결합하고, 상기 굴절형 연결말뚝 측면에 상기 철제 흙막이판을 결합토록 구성함으로서, 이 역시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서도 용이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상하로 적층되게 연결하고, 상기 적층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철제 흙막이판을 끼우되, 상기 철제 흙막이판은 지보재를 상하로 설치하여 지지토록 함으로서, 깊이가 깊은 벽체 구조도 용 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 구조는, 토굴을 판 상태에서 지보재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철제 흙막이판을 연결하여 토굴의 측벽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항타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되어 도심 등의 관체 매설 공사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 지보재, 철제 흙막이판 등을 더블 슬라이딩(2겹) 구조로 상호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대형 토굴 공사에도 설치 및 해제 작업이 간단하고 안전하여 최소의 인원으로 보다 신속하면서도 안정성 있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양쪽 철제 흙막이판 사이에 지보재 부재의 롤링 바디가 레일에 닿는 면적을 크게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토압에 대한 강도가 증가되어 지보재의 부재수를 줄이고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철제 흙막이판을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일체 제작할 경우에 차수성도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철제 흙막이판이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해체 작업시에 하측에 위치되는 철제 흙막이판부터 분리하고, 나중에 상측 철제 흙막이판을 분리할 수 있게 되어, 벽체 구조 해체 작업 또는 매설 작업 중 원하지 않게 토굴의 상측이 무너져서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끼워지는 철제 흙막이판의 설치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수가 있어 직선 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상의 구간에서도 공사가 가능한 이점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상하로 적층되게 연결하는 경우에는 깊이가 깊은 벽체 구조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그 시공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굴착이 완료된 후 지하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외부 거푸집을 설치해야만 하나, 본 발명의 경우는 기 시공된 철제 흙막이판으로 거푸집 역할을 대신 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철제 흙막이 판을 이용하여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굴착부의 양측면에 복수의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을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레일 홈 (11), (12)과 가이드 레일(14)이 형성되어, 굴착부 내의 양측 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양측면의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과
상기 양측면에 시공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가이드 레일(14)에 설치되어 양측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며, 설치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따라 상,하 자유롭게 이동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지하 구조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시공이 가능한 지보재(20)와
상기 시공된 지보재(20)에 연결되어, 굴착부의 폭에 따라 자유자재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재(25)와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의 복수의 레일 홈 중 바깥쪽 레일 홈에 철제 흙막이판(30, 31, 32)이 삽입되어 흙막이 벽체의 상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안쪽 레일 홈에도 철제 흙막이 판이 삽입되어 벽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여러 개의 철제 흙막이판(30, 31, 32)과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 양측면에 형성된 레일홈(11)(12)의 내주면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레일홈(11)(12)에 끼워지는 철제 흙막이판(30)의 양측단부(30b)는 그 외주면을 원형으로 하여, 쌍방이 관절 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서도 용이하게 철제 흙막이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타 실시예로서,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 양측면에 형성된 레일홈(11)(12) 측면에 철제 흙막이판(30)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굴절형 연결말뚝(40)를 결합하고, 상기 굴절형 연결말뚝(40) 측면에 상기 철제 흙막이판(30)을 결합토록 구성함으로서, 이 역시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서도 용이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을 적층되게 연결하고, 상기 상하로 연결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철제 흙막이판(30)을 끼우되, 상기 철제 흙막이판(30)은 지보재(20)를 상하로 설치하여 지지토록 할 수도 있는바,
상기에 있어서, 상단에 위치하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하방 돌기(15)를 하단에 위치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상방 통공(16)에 끼워 넣고, 슬라이 드형 엄지말뚝의 상,하단에 형성된 관통구멍(17)(18)을 통하여 고정핀(19)으로 고정토록 하였다.
상기에 있어, 지보재는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결합된 부분에 롤러가 구비되는 롤링 바디와, 상기 양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각각 결합된 롤링 바디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는 상기 지보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리미트 핀이 설치된다.
상기 롤링 바디는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 방향으로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복수개를 상호 조립하여 상기 양쪽 롤링 바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3 내지 도5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과 철제 흙막이판의 결합부위에 대한 확대 분해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 구조는, 양측면에 복수의 레일 홈(11,12)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앞쪽 면에 가이드 레일(14)이 형성되어, 토굴 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양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과;
상기 양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가이드 레일(14)에 각각 결합되어 양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보재(20)와;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복수의 레일 홈(11,12) 중 바깥쪽 레일 홈(12)에 양측부가 삽입되어 토굴의 측벽 중 상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안쪽 레일 홈(11)에 양측부가 삽입되어 토굴의 측벽 중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철제 흙막이판(30,31,32)으로 구성된다.
도8은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막대 구조로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 상기 철제 흙막이판(30)의 양측부가 결합되는 레일 홈(11,12)이 형성된다. 여기, 도6에서는 2개의 레일 홈(11,12)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전면에는 대략 'T' 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지보재(20)가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14)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하단부는 토굴의 하부에 용이하게 박혀서 고정될 수 있도록 뾰족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와 도10은 상기 지보재(20)의 롤링 바디(21) 및 연결 부재(25)가 각각 도시된 도면으로서, 상기 지보재(20)는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의 가이드레일(14)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결합된 부분에 롤러(22)가 구비되는 롤링 바디(21)와, 상기 양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각각 결합된 롤링 바디(2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5)로 구성된다.
상기 롤링 바디(21)는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 방향으로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재(25)가 결합되는 부분에 플랜지부(21a)가 형성되고, 상 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결합되는 부분에 가이드 결합부(2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결합부(21b)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용이하게 상하 이동되도록 롤러(2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 부재(25)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상의 블록 구조로 형성되고, 복수개를 상호 조립하여 상기 양쪽 롤링 바디(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바디부(25a)의 양측에 볼트홀을 갖는 플랜지부(25b)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지보재(20)는 도7을 참고하면,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수평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결합되는 리미트 핀(29)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도11은 상기 철제 흙막이판(30)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상기 철제 흙막이판(31,32)은 도1내지 도5에서와 같이 상하 2매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그 구조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철제 흙막이판(30)은 플레이트(30a)와, 이 플레이트(30a)의 양측면에 'T'자 구조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레일 홈(11,12)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양측 단부(30b)와, 상기 플레이트(30a)의 하단부에 뾰족한 모양으로 형성된 엔드부(30c)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이라 할 수 있는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과 철제 흙막이판(30)의 결합부위에 대하여 설명하는 바이다.
먼저, 도3과 같이 슬라이드형 엄지말뚝 양측면에 형성된 레일홈(11)(12)의 내주면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레일홈에 끼워지는 철제 흙막이판의 양측 단부(30b)는 그 외주면을 원형으로 하여, 쌍방이 관절 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서도 용이하게 벽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결합부위가 관절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일정 각도 한도 내에서 철제 흙막이판의 설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수가 있어 곡선 구간에서도 매우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4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 양측면에 형성된 레일홈(11)(12) 측면에 철제 흙막이판의 설치 방향을 바꿀수 있는 굴절형 연결말뚝(40)를 별도로 결합하고, 상기 굴절형 연결말뚝(40)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41)(42)에 상기 철제 흙막이판(30)의 양측 단부(30b)을 결합토록 구성하면, 이 또한 일정 각도 한도 내에서 철제 흙막이판의 설치 방향을 바꿀 수 있어 곡선 구간에서 매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레일홈(11)(12)에는 굴절형 연결말뚝(40)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돌기(43)(44)가 끼워지고, 상기 굴절형 연결말뚝(40)의 타측면에 형성된 레일홈(41)(42)에는 철제 흙막이판(30)의 양측단부(30b)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도5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 양측면에 형성된 레일홈(11)(12)의 내주면을 각지게 형성하고, 상기 레일홈(11)(12)에 끼워지는 철제 흙막이판의 양측 단부(30b)의 외주면 또한 각지게 형성토록 하여도 직선구간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도12 내지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을 상하로 적층되게 연결하고, 상기 상하로 연결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철제 흙막이판(30)을 끼우되, 상기 철제 흙막이판(30)은 지보재(20)를 상하로 설치하여 지지토록 하였다.
상기에 있어서, 상단에 위치하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하방 돌기(15)를 하단에 위치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상방 통공(16)에 끼워 넣고,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의 상,하단에 형성된 관통구멍(17)(18)을 통하여 고정핀(19)으로 고정토록 함으로서, 깊이가 깊은 벽체구조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벽체 구조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굴삭 장비를 이용하여 배관(P) 등을 시공할 토굴을 원하는 깊이만큼 파낸다.
이와 같이 토굴을 판 상태에서 한쪽 토굴면에 철제 흙막이판(30)을 기대듯이 세우고, 양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과 지보재(20)가 연결되어 대략 'H'자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기존에 세워진 철제 흙막이판(30)에 연결한다.
반대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바깥쪽 레일에 또 다른 철제 흙막이판(30)을 삽입하고, 기 세워진 조립된 'H'자 구조물의 반대쪽에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지보재(20)가 조립된 'H'자 구조물을 똑같은 방법으로 삽입한다.
이후, 일정 간격으로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지보재(20)가 조립된 'H'자 구조물을 토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한 후에 슬라이드 형 엄지말뚝(10)과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각각 철제 흙막이판(30)을 삽입한다.
굴착과 동시에 바깥쪽 레일홈(12)에 끼워진 철제 흙막이판(32)을 밀어넣고 지정된 깊이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안쪽 레일홈(11)을 따라 또 다른 철제 흙막이판(31)을 삽입한다. 똑 같은 방법으로 굴착과 동시에 철제 흙막이판(31)을 밀어넣고 원하는 깊이까지 토굴 작업을 시행한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바깥쪽 레일 홈(11)에 철제 흙막이판(31)을 삽입하여 토굴의 측벽 상부를 지지하고, 나중에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안쪽 레일 홈(12)에 다른 철제 흙막이판(32)을 설치하여 토굴의 측면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보재(20)는 그 양쪽에 롤러(2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자유롭게 상하 조정이 가능함과 아울러, 특정 위치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7에서와 같이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리미트 핀(29)을 꽂아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 지보재(20), 철제 흙막이판(31,32)을 이용하여 일정한 깊이와 넓이를 갖는 토굴을 지지하면서 도6에서와 같이 배관(P) 등을 삽입하여 공사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관 등을 설치한 다음, 토굴을 매설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 구조를 분해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철제 흙막이판(31,32) 중 하측에 위치되는 철제 흙막이판(31)을 상기 슬라 이드형 엄지말뚝(10)에서 먼저 분리해낸 다음, 상측에 위치되는 철제 흙막이판(32)을 제거하는 순서로 해체 작업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측 철제 흙막이판(31)을 먼저 제거하고 나중에 상측 철제 흙막이판(32)을 제거하는 이유는 하측의 철제 흙막이판(31)을 먼저 제거함으로써 토굴의 하부부터 매설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토굴의 상측이 무너져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굴착이 완료된 후 지하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외부 거푸집을 설치해야만 하나, 본 발명의 경우는 도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 시공된 철제 흙막이판으로 거푸집(50) 역할을 대신 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잇점도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흙막이 벽체 구조는 토굴을 판 상태에서 지보재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에 철제 흙막이판을 연결하여 토굴의 측벽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항타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되어 도심안에서 행해지는 관체 매설 공사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충분하다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의 평면도.
도2는 타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의 평면도.
도3은 슬라이드형 엄지말뚝과 철제 흙막이판의 결합부위에 대한 확대 분해 평면도.
도4는 타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로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과 철제 흙막이판의 결합부위에 대한 확대 분해 평면도.
도5는 타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로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과 철제 흙막이판의 결합부위에 대한 확대 분해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벽체 구조를 정면에서 본 내부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의 벽체 구조를 측면에서 본 내부 구성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보재의 롤링 바디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보재의 연결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제 흙막이판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해당하는 벽체구조로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상하로 연결한 상태에서 철제 흙막이판이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13은 도12에 도시된 벽체구조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14의 (가)는 도12 내지 도13에 있어 상부에 위치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의 정면 도이며, (나)는 측면도..
도15는 도14에 해당하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이 상하로 연결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16은 도13에 표현된 A 부분의 개략 확대 단면도.
도17은 철제 흙막이판이 거푸집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슬라이드형 엄지말뚝 11, 12 : 레일 홈
14 : 가이드 레일 15 : 돌기 16 : 통공
17,18 : 관통구멍 19: 고정핀 20 : 지보재
21 : 롤링 바디 22 : 롤러 25 : 연결 부재 29 : 리미트 핀 30, 31, 32 : 철제 흙막이판
30b : 철제 흙막이판의 양측 단부 40 : 굴절형 연결말뚝

Claims (7)

  1. 철제 흙막이 판을 이용하여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굴착부의 양측면에 복수의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을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레일 홈 (11),(12)과 가이드 레일(14)이 형성되어, 굴착부 내의 양측 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양측면의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과
    상기 양측면에 시공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가이드 레일(14)에 설치되어 양측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며, 설치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따라 상,하 자유롭게 이동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지하 구조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시공이 가능한 지보재(20)와
    상기 시공된 지보재(20)에 연결되어, 굴착부의 폭에 따라 자유자재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재(25)와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의 복수의 레일 홈 중 바깥쪽 레일 홈에 철제 흙막이판(30, 31, 32)이 삽입되어 흙막이 벽체의 상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안쪽 레일 홈에도 철제 흙막이 판이 삽입되어 벽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여러 개의 철제 흙막이판(30, 31, 32)과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 양측면에 형성된 레일홈(11)(12)의 내주면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레일홈(11)(12)에 끼워지는 철제 흙막이판(30)의 양측단부(30b)는 그 외주면을 원형으로 하여, 쌍방이 관절 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서도 용이하게 철제 흙막이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 구조.
  2. 철제 흙막이 판을 이용하여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굴착부의 양측면에 복수의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을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레일 홈 (11),(12)과 가이드 레일(14)이 형성되어, 굴착부 내의 양측 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양측면의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과
    상기 양측면에 시공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가이드 레일(14)에 설치되어 양측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며, 설치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을 따라 상,하 자유롭게 이동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지하 구조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시공이 가능한 지보재(20)와
    상기 시공된 지보재(20)에 연결되어, 굴착부의 폭에 따라 자유자재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재(25)와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의 복수의 레일 홈 중 바깥쪽 레일 홈에 철제 흙막이판(30, 31, 32)이 삽입되어 흙막이 벽체의 상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안쪽 레일 홈에도 철제 흙막이 판이 삽입되어 벽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여러 개의 철제 흙막이판(30, 31, 32)과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 양측면에 형성된 레일홈(11)(12) 측면에 철제 흙막이판(30)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굴절형 연결말뚝(40)를 결합하고, 상기 굴절형 연결말뚝(40) 측면에 상기 철제 흙막이판(30)을 결합토록 구성함으로서,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서도 용이하게 철제 흙막이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슬 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형 연결말뚝(4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막대 구조로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끼움돌기(43)(44)를 형성하고 타측면에 레일홈(41)(42)을 형성토록 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부재(25)에 연결되어 사용하는 롤링바디(21)는 굴착 배면의 응력(토압,수압,상재하중 포함) 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 시키고, 굴착 시 시공되는 지보재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굴착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을 상하로 연결하고 상기 상하로 연결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철제 흙막이판(30)을 끼우되 철제 흙막이판(30)은 지보재(20)을 상하로 설치하여 지지토록 하여 어떠한 깊이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단에 위치하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하방 돌기(15)를 하단에 위치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상방 통공(16)에 끼워 넣고,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의 상,하단에 형성된 관통구멍(17)(18)을 통하여 고정핀(19)으 로 고정토록 하여 하부에 설치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까지 같이 해체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 구조.
  7. 굴삭 장비를 이용하여 시공할 토굴을 원하는 깊이만큼 파내는 공정;
    토굴을 판 상태에서 한쪽 토굴면에 철제 흙막이판(30)을 기대듯이 세우고, 양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과 지보재(20)가 연결되어 대략 'H'자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기존에 세워진 철제 흙막이판(30)에 연결하는 공정;
    반대쪽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의 바깥쪽 레일에 또 다른 철제 흙막이판(30)을 삽입하고, 이미 세워진 조립된 'H'자 구조물의 반대쪽에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지보재(20)가 조립된 'H'자 구조물을 똑같은 방법으로 삽입하는 공정;
    이후, 일정 간격으로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지보재(20)가 조립된 'H' 자 구조물을 토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한 후에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과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각각 철제 흙막이판(30)을 삽입하 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 양측면에 형성된 레일홈(11)(12) 측면에 굴절형 연결말뚝(40)를 결합하고, 상기 굴절형 연결말뚝(40) 측면에 상기 철제 흙막이판(30)을 결합토록 하는 공정;
    굴착과 동시에 바깥쪽 레일홈(12)에 끼워진 철제 흙막이판(32)을 밀어넣고 지정된 깊이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안쪽 레일홈(11)을 따라 또 다른 철제 흙막이판(31)을 삽입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굴착과 동시에 철제 흙막이판(31)을 밀어넣고 원하는 깊이까지 토굴 작업을 시행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 ‘)을 상하로 연결하고 상기 상하로 연결된 슬라이드형 엄지말뚝(10’)에 철제 흙막이판(30)을 끼우도록 하여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슬라이드형 엄지말뚝식 흙막이 벽체 구조의 시공방법.
KR1020080011667A 2008-02-05 2008-02-05 연속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 깊이, 폭 조절이 가능한흙막이 벽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KR10097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67A KR100977206B1 (ko) 2008-02-05 2008-02-05 연속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 깊이, 폭 조절이 가능한흙막이 벽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67A KR100977206B1 (ko) 2008-02-05 2008-02-05 연속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 깊이, 폭 조절이 가능한흙막이 벽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820A true KR20090085820A (ko) 2009-08-10
KR100977206B1 KR100977206B1 (ko) 2010-08-20

Family

ID=4120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667A KR100977206B1 (ko) 2008-02-05 2008-02-05 연속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 깊이, 폭 조절이 가능한흙막이 벽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20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699A1 (ko) * 2011-04-22 2012-10-26 (주)동림건설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KR20180027314A (ko) * 2016-09-06 2018-03-14 (주)한국에어로테크 해체가 용이하도록 다단의 흙막이벽을 서로 다른레일에 배치하는 흙막이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및 해체방법
CN108060619A (zh) * 2017-11-28 2018-05-22 安徽徽风新型合成材料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型土工格室
KR101866792B1 (ko) * 2018-01-15 2018-06-12 전상훈 흙막이 구조물
KR101877407B1 (ko) * 2018-01-10 2018-08-09 (주)명덕건설 가설 흙막이 구조물
CN108457663A (zh) * 2018-04-09 2018-08-28 成都利拓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城市管囊建造的移动式支护护盾
US10209002B2 (en) 2016-03-07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il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10565685A (zh) * 2019-10-08 2019-12-13 岳阳市公路桥梁基建总公司 一种可无级让压装配式挡土墙支护体系及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859B1 (ko) 2018-04-13 2018-09-18 김운석 복합적 터파기 영역의 가설 흙막이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01A (ja) * 1995-06-20 1997-01-07 Hirohiko Kikuchi 簡易土留装置
JPH10114945A (ja) 1997-08-29 1998-05-06 Hirohiko Kikuchi 簡易土留装置
KR100566721B1 (ko) 2005-11-14 2006-04-05 김영순 조립식 흙막이 장치
KR20070118828A (ko) * 2006-06-13 2007-12-18 이더테크놀로지(주) 트랜치 굴착용 조립식 흙막이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699A1 (ko) * 2011-04-22 2012-10-26 (주)동림건설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US10209002B2 (en) 2016-03-07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il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80027314A (ko) * 2016-09-06 2018-03-14 (주)한국에어로테크 해체가 용이하도록 다단의 흙막이벽을 서로 다른레일에 배치하는 흙막이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및 해체방법
CN108060619A (zh) * 2017-11-28 2018-05-22 安徽徽风新型合成材料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型土工格室
CN108060619B (zh) * 2017-11-28 2020-07-10 安徽徽风新型合成材料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型土工格室
KR101877407B1 (ko) * 2018-01-10 2018-08-09 (주)명덕건설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866792B1 (ko) * 2018-01-15 2018-06-12 전상훈 흙막이 구조물
CN108457663A (zh) * 2018-04-09 2018-08-28 成都利拓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城市管囊建造的移动式支护护盾
CN108457663B (zh) * 2018-04-09 2023-08-29 成都利拓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城市管囊建造的移动式支护护盾
CN110565685A (zh) * 2019-10-08 2019-12-13 岳阳市公路桥梁基建总公司 一种可无级让压装配式挡土墙支护体系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206B1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206B1 (ko) 연속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 깊이, 폭 조절이 가능한흙막이 벽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KR101094827B1 (ko)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WO2017048056A1 (ko) 가시설용 차수식 흙막이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KR100967497B1 (ko)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KR101171040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조립식 간이 흙막이 시공 방법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KR20120119570A (ko)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KR101474338B1 (ko) 가시설용 접이식 흙막이 구조체와 그 시공법
KR101862208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
KR101414155B1 (ko) 선반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흙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101993A (ko) 흙막이 구조물 설치방법
KR101677236B1 (ko) 2중 강판 토류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KR20110052321A (ko) 흙막이용 강관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KR200389266Y1 (ko) 슬라이드 레일식 흙막이 장치
KR20080025219A (ko)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KR101219445B1 (ko) 지중 벽체 시공방법
KR20210088850A (ko)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KR200389267Y1 (ko) 박스형 흙막이 장치
CN101153492B (zh) 水平骨架结构和利用该水平骨架结构的地下围护工法
KR20120088929A (ko) 간이 흙막이 구조
KR20090102596A (ko)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KR100568988B1 (ko) 슬라이드 판넬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구조 및 그 설치공법
KR101899859B1 (ko) 복합적 터파기 영역의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251096B1 (ko) 얕은 지하층을 갖는 건물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KR200396174Y1 (ko)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강재 토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