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254A -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휴대용단말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멀티미디어제공방법 및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휴대용단말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멀티미디어제공방법 및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254A
KR20090084254A KR1020080010315A KR20080010315A KR20090084254A KR 20090084254 A KR20090084254 A KR 20090084254A KR 1020080010315 A KR1020080010315 A KR 1020080010315A KR 20080010315 A KR20080010315 A KR 20080010315A KR 20090084254 A KR20090084254 A KR 20090084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age file
sound source
multimedia pack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095B1 (ko
Inventor
함승철
Original Assignee
(주)오디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디즌 filed Critical (주)오디즌
Priority to KR102008001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0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3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o authorised us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음반 앨범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을 통한 음반(멀티미디어 파일)의 제공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요청하여 수신받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멀티 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음악의 원곡 음원 데이터와; 상기 음악을 표시하는 기본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가 음원의 종류(악기 종류 및 음성)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 데이터로 구성된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 그리고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디스플레이될 기본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의 취향에 따른 맞춤형 앨범이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80010315
온라인, 앨범, 음반, 멀티채널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휴대용 단말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및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Handy-Terminal and Storage-Media saving a packaged file of multimedia, System offering a packaged file of multimedia, Method of offering a multimedia and Method of playing a packaged file of multimedia}
본 발명은 전자 음반 앨범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을 통한 음반(멀티미디어 파일)의 제공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반 또는 앨범의 거래라 함은, 오프라인 상에서 CD, 자기 테입 등의 저장매체에 음원 파일이 저장되어, 상기 저장매체를 오프라인 상에서 거래하는 것이 전통적인 개녕이었다.
그러나, 인터넷 망의 급속한 발달,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단말기)의 다변화, 특히 휴대폰의 기능 확대와 성능 발달을 계기로, 최근에는 음악 파일에 대한 정보료를 지불하고, 상기 음악 파일을 청취하거나, 다운받아 저장하는 형태의 거래가 발달하였다.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한 음반 거래의 경우, 대부분 곡당 비용을 지불하고, 이에 해당하는 원음 파일을 수신하여 단말기에 저장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제공되는 원음 파일은 일률적인 파일이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변형된 형태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음원 파일이 곡당으로 나뉘어서 제공되므로, 소장가치가 있는 고급스런 온라인 음반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음원 파일을 타인에게 선물하고자 하는 경우, 선물에 담기 의미를 음원 파일 자체에 표현하지 못하고 부가적인 메일 서비스 등을 이용해야하므로, 그 가치가 저하되고, 사용자도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서비스 또는 모바일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온라인 음반을 앨범단위로 구성하고, 멀티채널 음원을 포함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음악 앨범을 재생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신이 구입하는 온라인 음반에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텍스트 및 UCC 등의 동영상을 첨가하여 자신만의 맞춤 앨범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반의 재생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부가 데이터 제공 및 앨범의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음반의 구입 후 지속적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악의 원곡 음원 데이터와; 상기 음악을 표시하는 기본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로 구성된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는,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가 음원의 종류(악기 종류 및 음성)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에는,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디스플레이될 기본 동영상 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는 USB 메모리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음악의 원곡 음원 데이터와; 상기 음악을 표시하는 기본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로 구성된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는,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가 음원의 종류(악기 종류 및 음성)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에는,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디스플레이될 기본 동영상 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요청하여 수신받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멀티 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음악의 원곡 음원 데이터와; 상기 음악을 표시하는 기본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가 음원의 종류(악기 종류 및 음성)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 데이터로 구성된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 그리고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디스플레이될 기본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동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고유번호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복제를 제한하는 DRM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디스플레이될 자막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막 데이터는 복수 개의 언어로 각각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서비스 제공요청에 따라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단말기에 전송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송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제공방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에 편집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B2) 상기 (B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서비스 제공 요 청에 상기 편집요청이 포함된 경우, 상기 단말기로 편집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B3) 상기 (B2) 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편집 데이터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된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B4) 상기 (B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상기 편집요청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된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a) 제작자 서버로부터 전송된 기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b)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본 데이터에는, 음악의 원곡 음원 데이터와;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가 음원의 종류(악기 종류 및 음성)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 데이터로 구성된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기본 데이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고유번호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복제를 제한하는 DRM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편집데이터를 상기 기본 패키지 파일에 부가하여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저장 또는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편집데이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편집데이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데이터를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편집데이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동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Ⅱ) 사용자로부터 온라인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Ⅲ) 상기 온라인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전송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와; (Ⅳ)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Ⅲ) 단계는, (Ⅲ1)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Ⅲ2)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앨범 고유번호를 전송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Ⅲ3) 상기 앨범 고유번호에 따라, 해당 앨범에 대한 전송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Ⅳ) 단계는, (Ⅳ1) 상기 전송 데이터가 부가 데이터인 경우, 상기 부가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과 함께 재생하는 단계와; (Ⅳ2) 상기 전송 데이터가 갱신 데이터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상기 갱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단계; 그리고 (Ⅳ3) 상기 갱신된 멀티미디어 패키 지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제공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 멀티채널 음원, 각종 이미지, 각종 동영상 및 텍스트 등 다양하면서도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컨텐츠가 포함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맞춤형 온라인 음반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가 포함되므로, 하나의 음반을 자신이 사용시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부가 데이터 제공 및 앨범의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음반의 구입 후 지속적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가 구입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 대하여 A/S가 지원되므로 사용자의 제품(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이 증가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멀티미디어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 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제작자(20)로부터 기본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이때, 상기 기본 데이터라 함은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구성하는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제외하고, 음반 제작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구조를 도 2와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라 함은 쉬운 예로, 다운로드 되어 저장되는 음반 앨범의 한 종류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음반 앨범의 음악이 담기 파일로써, 이에 더불어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수록된 파일을 말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원곡의 음원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라 함은 음반회사에서 제작한 원음 데이터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음원 파일은 *.wav, *.mp3와 같은 확장자명을 가진다.
상기 wav 확장자는 모노 또는 스테레오로 제작된 음악CD의 기본적인 포맷이고, 상기 mp3 확장자는 wav 확장자를 갖는 음원 파일을 컴퓨터나 재생 전용기기인 mp3 플레이어에서 구현 가능하도록 변형한 저하된 압축 포맷을 나타낸다.
즉, 대부분의 음원 파일들은 상기와 같은 확장자를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는 기본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기본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앨범과 관련된 이미지 파일로, 앨범의 자켓사진 또는 가수의 사진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 기본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시 디스플레이되거나, 사용자가 이를 따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는 기본 동영상 이미지가 포함된다. 상기 기본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 역시 제작자(20)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로, 해당 앨범 또는 곡의 뮤직비디오 영상 또는 콘서트 영상 등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는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를 구성하는 음원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각각 따로 저장한 데이터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연주되는 각 악기별로 분류된 음원과 가수의 음성이 담긴 음원으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보컬, 리듬 멜로디 등과 같은 분류로 나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는 상기 제작자(20)로부터 각각 따로 녹음된 음원 데이터의 묶으므로 상기 제작자(2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잇고, 다르게는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원곡 원음 데이터로부터 상기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생성하 는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130203호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고, 이를 인용하여 첨부하면, "상기 멀티채널 음원파일로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멀티채널음원파일제공서버는 상기 선택된 각 음원파일을 스팩트럼 분석을 이용하여 해당 음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부분들의 음질을 보정한다.
상기 기존의 음원파일에서 각 해당음원의 채널파일을 추출하는 경우, 기존의 WAV파형분석은 추출이 정교하지 않아 기술적으로 의미가 없었으나, 스팩트럼 분석을 이용하는 방법은 음원의 시간, 주파수 대역, 에너지의 수준(db)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어 보다 정교한 분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음원파일이 선택되어 상기 음원파일을 구성하는 각 해당음원을 추출한다고 가정해 보기로 한다.
상기 음원파일은 리듬을 주는 악기가 포함되는 리듬부와, 멜로디를 주는 악기가 포함되는 멜로디부와, 목소리가 저장되는 보컬부로 구성된다.
이 경우, 리듬을 주는 악기 리듬부는 해당음의 특정한 패턴이 있어, 상기 멀티채널음원파일제공서버는 상기 해당음의 특정패턴을 파악하여 각 해당 음원을 추출한다. 그리고 보컬부는 스테레오 음원에서 모노로 존재하고 있으며, 상기 멀티채널음원파일제공서버는 상기 스테레오 음원에서 모노로 존재하는 모노채널(Center channel)을 추출하고, 해당음의 에너지레벨 측정을 통하여 음성부위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음원파일제공서버는 상기의 추출된 '리듬부'와 상기 추출된 '보컬부'를 제외한 부분을 멜로디부로 추출한다.
상기 멀티채널음원파일제공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보컬과 반주 이외에 원하는 부분, 즉 악기, 리듬, 멜로디등의 고유 음원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멀티채널음원파일제공서버는 상기 추출된 각 부분들의 음질을 보정한다. 상기 음질보정 단계는 DeEsser, 패라메트릭 이퀄라이저, Declicker, DeNoiser, 마스터링DSP, EQ, COMP, Limiter 등을 이용하여 클릭 노이즈를 제거하고, 화이트 노이즈 효과로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멀티채널음원파일제공서버는 상기 보정된 추출 부분들 마다 각각 하나의 채널파일을 분배하여 멀티채널로 정립하여 인코딩한다.
상기 인코딩 단계에서는 상기 추출되어 하나의 채널파일을 분배받은 해당음과 함께 해당음원의 서비스 측면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음원제작자가 의도하는 이미지 및 가사, 숨겨진 소리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채널파일을 할당하여 함께 인코딩한다.
인코딩 단계에서는 컴퓨터, 온라인, 모바일 등에서 용량을 축소하고, 압축을 실시하며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도록 하는 코딩 작업이 수행된다.
상기 별도의 채널파일은 해당 음원파일의 마지막 채널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널파일은 단순한 음원 재생시에는 재생되지 않으나, 해당 채널파일을 인지하는 재생기에서는 이미지, 가사, 가수의 숨겨진 목소리 등이 디스플레이되어 다양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다."과 같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는 자막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자막데이터는 노래 가사를 나타내는 자막으로, 국내 가사를 영어 또는 기타 외국어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외국곡의 경우 외국어 가사를 국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자막 데이터는 다국어 자막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는 앨범 고유번호(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고유번호와 같은 의미임) 및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복제 및 전송을 제한하는 DRM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유번호는 사용자가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단말 상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접속해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DRM 정보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사용자가 무단 복제 또는 배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용화된 다양한 DRM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부가 이미지 파일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이미지 파일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사용자 맞춤형의 디지털 음반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자신의 사진 또는 선호하는 이미지 등) 이미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 포함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는 부가 동영상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부가 동영상 데이터 역시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로, 최근 유행하는 UCC, 기타 개인 제작 동영상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부가 동영상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시 배경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고, 이를 따로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는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텍스트 데이터 역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선물 등을 목적으로 구매/ 제작되는 경우, 구매자가 글을 쓸 수 있고, 이를 수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물론,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선물 등의 목적 이외에 사용자가 개인적인 메모 등을 남기기 위한 데이터로도 활용 가능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분류될 수 있다. 그 하나는 음반 제작자(20)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이고, 다른 하나는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이며, 또 다른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이다.
상기 제작자(20)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기본 데이터'라고 칭하고, 원곡 음원 데이터, 기본 이미지 데이터, 기본 동영상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가 이에 속한다. 물론, 상기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는 제작자(20)에 의해 제작되어 제공되는 경우에 한하여 기본 데이터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기본 데이터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합하여 '기본 패키지 파일'이라 칭하고, 원곡 음원 데이터, 기본 이미지 데이터, 기본 동영상 데이터,자막 데이터,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 및 앨범 고유번호 및 DRM 정보가 이에 속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접속된 단말(30,60)의 요청에 의해, 상기 기본 데이터와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여 단말(30,60)로 전송하는 부분이다.
물론, 이때, 결재 등의 과정이 포함되나, 이는 일반적인 온라인 결재 방법들에 따르므로 이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지는 않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여 단말(30,60)로 전송할 수도 있으나, 상기 단말(30,60)에 기본 패키지 파일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30,60) 상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에서 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는데, PC와 같은 단말(30)의 경우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60)의 경우, 기지국(AP)(50)을 통한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MP3 플레이어 또는 PMP와 같은 온라인 연결이 불가능한 휴대용 단말(40)의 경우, PC와 같은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PC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전달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및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은 제작자(20)로부터 제공된 기본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10, S112).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접속한 단말(30)이 서비스 제공 요청을 하면(S120),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S122).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편집 요청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24).
상기 편집요청이라 함은,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 부가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또는 부가 동영상 데이터 등의 사용자 제공의 데이터를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를 말한다.
만약,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편집 요청이 포함되었다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상기 단말(30)에 편집데이터를 요청한다(S126).
그리고, 상기 단말(30)로부터 수신되는 편집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한다(S128, S130, S132, S134).
즉, 상기 편집 데이터 요청이란, 상기 단말 상에 사용자가 추가하여 할 데이터의 목록을 다스플레이하고, 각각의 항목에 대한 추가 파일을 업로드 시키도록 요청함을 말한다.
만약, 제 122 단계에서 수신한 서비스 제공요청에 편집요청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이는 사용자의 부가적인 데이터 추가 없이, 기본 패키지 파일을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로 설정함을 의미하므로, 기본 데이터에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선택적) 및 앨범 고유번호/DRM 정보를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한다(S134).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생성된 이후에는, 상기 단말(30)에 전송 정보를 요청한다(S136). 상기 전송정보라 함은, 생성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어디로 전송할 것이지 여부와 어떤 형태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 등의 전송에 관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를 다른 단말기로 선물할 것이지, 아니면, 자신의 단말기로 전송할 것이지 여부 등을 말한다.
상기 요청신호를 수신한 단말(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송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하고(S138, S140), 상기 전송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상기 전송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전송한다(S142, S144).
도 3에서 case1 은 자신의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수신받는 경우를 말하고, case2 는 타인에게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기본 패키지 파일에 부가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부가 동영상 데이터를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완성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10)가 제작자(20)로부터 기본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기본 데이터를 저장한다(S210, S212).
이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접속된 단말(30)로부터의 서비스제공 요청이 있으면(S220, S222), 기본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여 이를 상기 단말(30)로 전송한다(S224).
상기 기본 패키지 파일이라 함은 기본 데이터에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선택적) 및 앨범 고유번호/DRM 정보를 추가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기본 패키지 파일을 수신한 단말(30)은(S226),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로부터 제공받아 기 저장된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228).
그리고 상기 편집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필요한 추가적인 데이터(부가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부가 동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230).
상기 추가적인 데이터를 입력받은 상기 단말(30)은, 상기 기본 패키지 파일과 상기 추가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한다(S232).
그리고, 생성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단말에 저장하거나 또는 다른 단말(단말' 또는 단말'')로 전송한다(S234).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단말에서 재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단말 상에서 재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재생명령이 입력되면(S300),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재생 명령에 온라인 서비스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310).
만약,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재생 명령에 온라인 서비스 요청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재생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재생한다(S320).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재생한다는 의미는, 원곡 음원을 재생할지 또는 멀티 채널 음원 데이터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재생할지 또는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종류 등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음향과 화면을 재생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재생명령에 온라인 서비스 요청이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온라인 접속을 한다(S330).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앨범 고유번호를 전송한다(S340).
상기 앨범 고유번호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상기 앨범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인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전송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하여, 전송된 전송 데이터를 단말이 수신한다(S350).
이때, 상기 전송 데이터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재생시에 부가적으로 재생되는 데이터로, 예를 들면 해당 가수의 최근 동향 또는 해당 음반에 대한 소식 또는 해당 팬클럽 게시판의 글 등 다양한 컨텐츠가 이에 해당 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업데이트에 관한 갱신 정보로, 예를들면, 새로운 재킷 사진 또는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 음질이 개선된 원곡 음원 데이터 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전송 데이터가 부가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에 부가하여 재생한다(S360).
한편, 상기 전송 데이터가 갱신 데이터인 경우, 상기 갱신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업데이트(갱신)한다(S370). 물론, 갱신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갱신이라 함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상에 손상된 데이터가 있는경우 상기 손상된 데이터의 재전송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갱신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재생한다(S380).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전자 음반 앨범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을 통한 음반(멀티미디어 파일)의 제공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의 취향에 따른 맞춤형 앨범이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멀티미디어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비스 제공 서버 20 : 제작자
30 : 단말 1 40 : 단말 2
50 ; AP 60 : 단말 3

Claims (35)

  1. 음악의 원곡 음원 데이터와;
    상기 음악을 표시하는 기본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로 구성된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는,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가 음원의 종류(악기 종류 및 음성)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는,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디스플레이될 기본 동영상 데이터가 더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USB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요청하여 수신받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멀티 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음악의 원곡 음원 데이터와;
    상기 음악을 표시하는 기본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가 음원의 종류(악기 종류 및 음성)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 데이터로 구성된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 그리고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디스플레이될 기본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 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동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고유번호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복제를 제한하는 DRM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디스플레이될 자막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막 데이터는 복수 개의 언어로 각각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12. (A)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서비스 제공요청에 따라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단말기에 전송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송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에 편집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B2) 상기 (B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상기 편집요청이 포함된 경우, 상기 단말기로 편집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B3) 상기 (B2) 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편집 데이터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된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B4) 상기 (B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상기 편집요청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된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음악의 원곡 음원 데이터와;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가 음원의 종류(악기 종류 및 음성)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 데이터로 구성된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고유번호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복제를 제한하는 DRM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동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디스플레이될 자막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막 데이터는 복수 개의 언어로 각각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20. (a) 제작자 서버로부터 전송된 기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b)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데이터는,
    음악의 원곡 음원 데이터와;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가 음원의 종류(악기 종류 및 음성)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 데이터로 구성된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고유번호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복제를 제한하는 DRM정보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편집데이터를 상기 기본 패키지 파일에 부가하여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저장 또는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데이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데이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데이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동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
  27. (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Ⅱ) 사용자로부터 온라인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Ⅲ) 상기 온라인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전송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와;
    (Ⅳ)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Ⅲ) 단계는,
    (Ⅲ1)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Ⅲ2)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앨범 고유번호를 전송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Ⅲ3) 상기 앨범 고유번호에 따라, 해당 앨범에 대한 전송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Ⅳ) 단계는,
    (Ⅳ1) 상기 전송 데이터가 부가 데이터인 경우, 상기 부가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과 함께 재생하는 단계와;
    (Ⅳ2) 상기 전송 데이터가 갱신 데이터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 일을 상기 갱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단계와;
    (Ⅳ3) 상기 갱신된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음악의 원곡 음원 데이터와;
    상기 원곡 음원 데이터가 음원의 종류(악기 종류 및 음성)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 데이터로 구성된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부가 동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고유번호와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복제를 제한하는 DRM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은,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멀티채널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디스플레이될 자막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막 데이터는 복수 개의 언어로 각각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KR1020080010315A 2008-01-31 2008-01-31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휴대용단말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멀티미디어제공방법 및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KR10092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15A KR100923095B1 (ko) 2008-01-31 2008-01-31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휴대용단말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멀티미디어제공방법 및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15A KR100923095B1 (ko) 2008-01-31 2008-01-31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휴대용단말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멀티미디어제공방법 및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254A true KR20090084254A (ko) 2009-08-05
KR100923095B1 KR100923095B1 (ko) 2009-10-22

Family

ID=4120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315A KR100923095B1 (ko) 2008-01-31 2008-01-31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휴대용단말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멀티미디어제공방법 및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417A1 (ko) * 2009-12-21 2011-06-30 주식회사 인코렙 미디어 편집 장치, 미디어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381A (ja) * 1997-10-16 1999-07-09 Shoichi Iida パーソナル記録媒体購入システム、パーソナル記録媒体購入方法及びパーソナル記録媒体購入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460229B1 (ko) * 2002-07-12 2004-12-08 주식회사 레인콤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그래픽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 및삽입된 그래픽 데이터의 재생 방법
KR100595256B1 (ko) * 2004-06-24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작곡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이용한 작곡방법 및 작곡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이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417A1 (ko) * 2009-12-21 2011-06-30 주식회사 인코렙 미디어 편집 장치, 미디어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KR101218801B1 (ko) * 2009-12-21 2013-01-18 주식회사 인코렙 미디어 편집 장치, 미디어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095B1 (ko)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7084A (en) Karaoke system and contents storage medium therefor
CN101582277B (zh) 电子装置、内容再现方法和服务器装置
US9230552B2 (en) Advanced encoding of music files
US200801203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New Title that Incorporates a Preexisting Title
US200801203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to be Used in a Presentation on a Device
US200801203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User Generated Data Pertaining to Sequential Content
US201101673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an information unit to provide navigation features on a device
US201101613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lating a first title with a second title
US20080119953A1 (en) Device and System for Utilizing an Information Unit to Present Content and Metadata on a Device
US20090022015A1 (en) Media Playable with Selectable Performers
US20020188461A1 (en) Recording apparatus
US8105158B2 (en) Game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online game using UCC and game server therefor
CN107680571A (zh) 一种歌曲伴奏方法、装置、设备和介质
WO2001057705A1 (en) The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files combined with advertisements over the internet
CN101208951A (zh) 创建标准化列表并维护一致性
WO2006027957A1 (ja) 記録媒体、記録装置、記録方法、データ出力装置、データ出力方法およびデータ配布・流通システム
KR100923095B1 (ko)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휴대용단말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멀티미디어제공방법 및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US63272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programming selections from compact disk players
Singer et al. Key Changes: The 10 Times Technology Transformed the Music Industry
JP3294526B2 (ja) カラオケ装置
McCourt Recorded music
KR100294169B1 (ko) 저장 매체와 암호키를 이용한 음악파일 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100740490B1 (ko)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
KR20010095701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라오케 서비스 방법
JPH06308982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