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716A -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측정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측정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716A
KR20090080716A KR1020080006627A KR20080006627A KR20090080716A KR 20090080716 A KR20090080716 A KR 20090080716A KR 1020080006627 A KR1020080006627 A KR 1020080006627A KR 20080006627 A KR20080006627 A KR 20080006627A KR 20090080716 A KR20090080716 A KR 20090080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error
change information
kinetic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621B1 (ko
Inventor
원용관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6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621B1/ko
Priority to EP09703964.8A priority patent/EP2241883A4/en
Priority to PCT/KR2009/000308 priority patent/WO2009093840A2/ko
Priority to US12/863,985 priority patent/US8725427B2/en
Publication of KR2009008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4Corrective measures, e.g. error detection, compensation for temperature or hematocrit, calib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4Investigating sediment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5Investigating sediment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in blood
    • G01N2015/055Investigating sediment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in blood for hematocrite determ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 대상의 카이네틱(Kinetic)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물질의 특징(농도, 함량 또는 함유량 등)에 대한 카이네틱 변화 정보,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와 제2 물질의 특징값 간의 상관관계 및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과 상기 제1 물질의 특징에 대한 측정 오차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을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물질의 특징에 대한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제1 함수를 이용하여 제2 물질의 특징값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 및 미리 결정된 제2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추정 오차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물질의 간섭현상이 포함되어 측정된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으로부터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추정 오차를 가감하여 제1 대상의 특징에 대한 측정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측정 오차의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
카이네틱, 상관관계 함수, 오차보정, 혈당, 헤마토크릿

Description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측정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The method for reducing measurement error using kinetic changing information and the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화학적 반응의 결과를 광학적 또는 전기화학적 측정에 있어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카이네틱 변화 정보,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와 제2 물질의 특징값 간의 상관관계 및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과 상기 제1 물질의 측정 오차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을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물질들이 혼합되어 있는 시료에 대하여 혼합된 여러 물질들 중 측정하고자하는 목표 물질의 함유량 등을 광학적 방식 또는 전기화학적 방식으로 측정할 때, 목표 물질에 반응하는 광학 또는 전기화학 반응 결과를 측정하게 되는데, 불행히도 목표 물질의 측정에 간섭을 일으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또 다른 물질(이하, "간섭물질"이라 한다)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간섭물질에 의한 방해 현상은 목표 물질에 대한 측정 오차를 유발하 여 제품의 성능 및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종래의 방법들은 화학적 처리에 의한 간섭 물질의 사전 제거 방식을 적용하거나, 사후적으로 간섭 물질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목표 물질의 측정과 더불어 실시간으로 별도의 측정값을 얻는데 주력해 왔는데, 이는 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정확도가 떨어지고 측정 과정을 복잡하게 되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들은 대부분 실험 및 측정 과정의 개선을 통해 측정 오차를 제거하는데 중점을 두어 왔다. 이와 같은 기술들은 측정 과정에 관여되는 각종 재료들의 질적 향상을 통하여 오차를 줄이고자 함으로써 측정 오차를 제거하는 공정이 복잡하며, 상기 공정을 수행하는 제품을 제작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989-0014308(1989년 10월 5일 출원)에는 "혈당측정기의 측정오차 보상방법 및 광원조절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혈당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변색되지 않은 혈당시험지로 광을 발사하고 반사광으로 측정오차를 검출하는 측정오차 검출루틴과, 혈당 농도에 따라 변색된 혈당시험지의 반사광의 값과 상기 측정오차 검출루틴에서 검출한 측정오차를 연산하여 보상하는 혈당측정기의 측정오차 보상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오차 보정을 위해 측정오차 검출루틴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별도의 측정오차를 검출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측정값의 시간적 변화를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혈당시험지가 갖는 색깔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오차를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2006-0025890(2006년 3월 21일 출원)에는 “적혈구의 용적률 간섭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용 테스트스트립”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헤마토크릿을 결정하는 적혈구 내부의 물질에서 얻어낸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기존에 신호감소량을 보상해주는 방식을 제공하는데, 별도의 전극을 구성하고 생리적 샘플 내의 혈구와 반응하여 혈구의 농도에 상응하는 전하를 발생시키는 혈구 간섭 보정제가 포함되어 적혈구 내부의 물질에서 얻어낸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기존의 신호감소량을 보상해주는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복잡한 전극 구조 및 별도의 보정제를 포함하는 등 제조 및 측정 과정의 복잡함을 수반하며, 측정값의 시간적 변화 특성을 이용한 오차 보정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미국특허 제5,708,247호 및 제5,951,836호(발명의 명칭 : Disposable Glucose Test Strips,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king Same)과 미국특허 제6,241,862호(발명의 명칭 : Disposable Test Strips With Integrated Reagent/Blood Separation Layer) 공보에는 적혈구 용적률에 대한 간섭효과를 줄이기 위해 비전도성 물질을 전극계에 도입하는 기술로써 스크린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카본 페이스트 전극 시스템에 관한 제조방법과 전극계 표면 위에 고정화된 시약/혈액 분리 층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본 종래 기술 역시 전극의 구조 및 별도의 물질의 적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측정값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카이네틱의 변화에 근거한 오차 보정의 기술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종래 기술 중 박막형 전기화학적 효소전극 이용한 상용화된 제품으로 YSI 2300 STAT PLUS (Yellow Spring Instrument,Inc.)가 있는데, 이 기술의 특징은 효소 박막, 외부 박막, 내부 박막의 3종의 전극을 갖는데 분석물질과 반응하는 효소물질을 박막형으로 제조하고, 박막 내부와 외부에 각각 기능성 고분자 박막을 제작 조합하여 적혈구 및 단백질 등의 전극 표면에의 흡착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박막형 효소전극은 헤마토크릿 간섭효과를 혁신적으로 제거할 수 있지만, 세가지 박막을 전극계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공정과 높은 비용을 수반하게 되며, 혈액 소모량이 많고 반응 응답시간이 길어진다. 본 종래 기술 역시 효소 전극을 이용하여 오차를 줄이고자 하는 것으로 측정 대상 물질의 카이네틱 변화를 근거로 한 오차 보정 기술은 포함하지 않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출원번호 2006-7003547 (발명의 명칭: 전기화학적 성질 분석 방법 및 분석 장치, 출원일자: 2006년02월21일)은 분석종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분석종-독립(analyte-independent)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종-의존(analyte-dependent) 신호를 보정하는 기술로써, 관찰된 분석종-독립 전위 감쇄에 기초하여 보정되지 않은 분석종-의존 신호를 보정하여 보정된 분석종-의존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분석종 또는 매개체의 산화 또는 환원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저위 또는 전류가 두 개의 셀 전극 사이에서 발생되고, 이에 의하여 두 전극 사이의 분석종 또는 매개체의 화학적 전위 기울기를 형성한다. 기울기가 생성된 후, 적용된 전위 또는 전류를 중단시키면 발생되게 되는 화학적 전위 기울기의 완화(relaxation)로부터 분석종-독립(analyte-independent) 신호를 얻으며, 분석종-독립 신호는 전위 또는 전류를 적용하는 동안 얻어진 분석종-의존 신호를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종래 기술은 전위를 공급한 상태와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얻어진 신호를 이용하여 보정을 도모하는 것으로서, 전위를 공급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하는 오차 보정 기술을 포함하지 않고 있다.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출원번호 2003-0036804 (발명의 명칭: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 출원일자: 2003년06월09일)는 혈액의 적혈구용적률(Hematocrit) 차에 의한 의존 성향을 감소시켜 적혈구용적률(hematocrit)의 양에 따른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는 감응막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으로, 바이오센서 구조에 추가되는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 간섭 물질로 인한 오차를 줄이는 기술을 개시하였으며, 대상 물질에 대한 측정값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카이네틱의 변화를 이용한 오차 보정의 기술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섭 물질의 사전 제거를 통하여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화학적 처리 및 이를 위한 특별한 구조를 이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측정 대상의 카이네틱 신호에 대한 신호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간섭 물질이 목표 물질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사후적으로 보정함으로써, 목표 물질의 측정값에 대한 오차를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섭 물질에 의한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추가적인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오차 제거를 하기 위한 별도의 측정 과정 및 관여 기기의 특별한 구조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의 측정 과정 및 구조를 유지하되 단순히 카이네틱 변화 신호만을 취득한 후, 미리 만들어진 함수를 이용하여 목표 물질의 측정값에 대한 오차를 제거하는 간단하고 매우 효율적인 오차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물질에 대한 특징값의 측정에 있어 시간적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제1 함수를 이용하여 제2 물질의 특징값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 및 미리 결정된 제2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추정 오차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질의 추정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물질의 간섭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측정한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함수는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과 시간에 따른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함수는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과 상기 제1 물질의 측정 오차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획득하는 카이네틱정보획득부;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제1 함수를 이용하여 제2 물질의 특징값을 추정하는 특징값추정부;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 및 미리 결정된 제2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추정 오차를 획득하는 추정오차획득부; 및 상기 제1 물질의 추정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물질의 간섭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측정한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을 보정하는 특징값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오차 보정 장치는 일실시예로 혈당측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물질은 혈액속에 포함된 글루코스(혈당)이고, 상기 제2 물질은 상기 혈액속에 포함된 적혈구로,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은 농도로 헤마토크릿(Hematocrit)을 나타내고,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는 상기 글루코스 농도 측정에 있어 측정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광학 또는 전기화학 방식으로 혈액 내의 혈당의 양 또는 농도를 측정하 고자 할 경우 혈액 내의 적혈구에 의하여 측정이 방해를 받게 되는데, 실제 동일한 혈당값을 갖는 혈액일지라도 적혈구용적률(Hematocrit)에 따라 혈당 측정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혈당 측정치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카이네틱 변화정보는 카이네틱 곡선으로 나타나며, 이 카이네틱 변화 정보로부터 헤마토크릿을 추정하고, 추정된 헤마토크릿 값과 별도로 구해진 헤마토크릿과 혈당 측정 오차 간의 상관관계 함수를 이용하여 오차를 추정하고, 최종적으로 구해진 혈당값에 추정 오차를 반영하여 오차를 보정하게 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방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는 복잡한 과정 및 기기의 구조를 이용한 간섭 물질의 사전 제거 방식을 통하여 측정 오차를 줄이는 방식이 아니고, 간섭 물질이 목표 물질의 특징값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소프트웨어적 프로그램에 의한 신호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사후적으로 보정함으로써, 목표 물질의 측정값에 대한 오차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는 별도의 공정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화학물을 부가하거나 기기 및 부품의 구조를 변형하거나 오차 제거를 위한 별도의 측정을 하지 않고, 목표 물질의 특징값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손쉽게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획득한 후, 미리 만들어진 함수를 이용하여 목표 물질의 측정값에 대한 오차를 간단하고 매우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는 간섭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사전 과정이 불필요하고, 간섭 현상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측정 과정에 요구되는 화학적 첨가 또는 매개물의 개선 또는 추가가 불필요하며, 측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보강을 피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측정 기기의 가격을 낮춰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과 동시에 기존의 제품들에 있어서도 화학물, 매개물 또는 기기의 변경 없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변경만으로 본 고안 기술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실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카이네틱(변화)란 광학 또는 전기화학방식으로 시료 내부의 특정 화학물질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 시간적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광학적 색깔의 변화 또는 전기화학적 전류나 전압의 변화를 의미한다.
특징값이란 대상 물질에 대하여 원하는 정보를 수치화한 값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정 물질의 농도, 함유량 또는 함량비율 등을 말한다.
목표 물질이란 최종적으로 측정의 대상이 되는 물질로, 예를 들면 혈액내의 혈당(글루코오스)을 들 수 있다.
간섭 물질이란 목표물질의 특징값을 측정하는 과정에 특징값의 측정을 방해하여 오차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물질로, 예를 들면 혈당 측정에 있어 간섭을 일으키는 혈액내의 적혈구를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이네틱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광학방식을 이용하여 화학물질의 혼합물에서 목표 물질의 농도, 함유량 또는 함량비율 등(이하 "특징값"이라 한다)을 측정하는 경우, 목표 물질과 반응하는 결과는 색깔의 강도 변화로 측정되게 되는데, 색깔의 변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강도가 점진적으로 변하게 되고, 일정 시간 후 또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최종적으로 측정된 색깔의 강도를 근거로 목표 물질의 특징값을 산출한다.
전기화학방식을 이용하여 화학물질의 혼합물에서 목표 물질의 특징값을 측정하는 경우, 목표 물질과 반응하는 결과는 전기적 신호인 전류나 전압의 변화로 측정되게 되는데,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신호가 점진적으로 변하게 되고, 일정 시간 후 또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최종적으로 측정된 전기적 신호의 값을 근거로 목표 물질의 특징값을 산출한다.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화학물질들이 상호 반응하여 나타나는 광학적 또는 전기적 측정값을 카이네틱(Kinetic)이라 하며, 상기 측정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카이네틱의 변화(Kinetic change)라 하는데, 카이네틱은 흔히 카이네틱 변화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상기 카이네틱 변화는 도 1과 같이 카이네틱 곡선(Kinetic curve)으로 표현될 수 있다. 광학 방식의 경우 카이네틱을 반사도(%R, Reflectance)라고 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이네틱은 광학적 또는 전기적 측정값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다른 방법을 이용한 측정값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혼합물에 포함된 목표 물질의 측정값은 시간에 따라 다양한 형태, 즉 다양한 카이네틱 변화를 가지면서 감소한다. 상기 카이네틱 변화는 혼합물에 포함된 간섭 물질의 특징값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간섭 물질의 특징값이 큰 경우에는 카이네틱 변화가 완만하고, 간섭 물질의 특징값이 작은 경우에는 카이네틱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간섭 물질의 특징값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지는 카이네틱 변화를 이용하여 간섭 물질의 특징값을 추정하고, 간섭 물질의 특징값과 목표 물질의 오차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목표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측정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섭 물질의 농도와 목표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측정 오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간섭 물질의 간섭에 의한 측정 오차의 크기는 간섭 물질의 특징값에 따라 달 라지며, 간섭 물질의 영향을 제거한 상태에서 목표 물질의 정확한 측정값에 대하여 가산적 또는 감소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간섭 물질의 특징값과 측정 오차의 크기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게 되며, 도 2는 상기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하나의 실시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간섭 물질의 특징값(도 2에서는 "농도"로 표현됨)이 작은 경우에는 목표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측정 오차가 양의 값을 가지게 되고(가산적 오차), 간섭 물질의 특징값이 큰 경우에는 상기 측정 오차가 음의 값을 가지게 된다(감소적 오차). 여기서 측정 오차는 간섭 물질이 포함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측정한 목표 물질의 특징값과 간섭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목표 물질의 특징값과의 차이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간섭 물질의 농도에 따른 오차 분포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다른 경향을 가지는 간섭 물질의 농도에 따른 오차 분포를 포함한다.
따라서, 간섭 물질의 특징값과 목표 물질의 측정 오차와의 상관관계를 수학적 또는 논리적 규칙 등으로 표현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간섭 물질의 특징값을 알 수 있다면, 상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목표 물질의 측정 오차를 구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오차를 이용하여 간섭 물질에 의하여 오차가 포함된 목표 물질의 특징값을 보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오차 제거 장치는 카이네틱정보획득부(310), 특징값추정부(320), 추정오차획득부(330) 및 특징값보정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카이네틱정보획득부(310)는 목표 물질의 측정 과정에서 카이네틱을 획득하고, 상기 카이네틱의 시간에 따른 변화(이하, “카이네틱 변화”라 한다)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특징값추정부(320)는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 및 기 결정된 제1 함수("g"로 표현되는 함수)를 이용하여 간섭 물질의 특징값을 추정한다. 별도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제1 함수 g는 카이네틱 곡선과 특징값 간의 상관 관계를 수학적 또는 논리적으로 나타내는 함수로써 상기 오차 보정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정오차획득부(330)는 추정된 간섭 물질의 특징값 및 기 결정된 제2 함수("f"로 표현되는 함수)를 이용하여 목표 물질의 추정 오차를 획득한다. 상기 제2 함수 f는 간섭 물질의 특징값과 목표 물질의 추정 오차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수학적 또는 논리적 방법을 이용하여 미리 결정되어 상기 오차 보정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섭 물질의 간섭에 의한 목표 물질의 측정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상관관계 함수 f와 g를 구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함수 f와 g를 구하는 방법에 관한 일실시예는 후술한다.
상기 특징값보정부(340)는 상기 추정오차획득부(330)에서 획득한 상기 목표 물질의 추정 오차를 이용하여 간섭 물질의 간섭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획득한 상기 목표 물질의 특징값을 보정한다.
이하에서 상기 오차 보정 장치에 포함되는 카이네틱정보획득부(310), 특징값 추정부(320), 추정오차획득부(330) 및 특징값보정부(340)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오차 보정 방법을 기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것처럼,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물질의 특징값을 추정할 수 있고, 간섭 현상이 제거된 환경에서 측정된 목표 물질의 정확한 특징값과 간섭 현상이 포함된 환경에서 측정된 상기 목표 물질의 특징값 간의 오차와 상기 간섭 물질의 특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고 있다면, 상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목표 물질의 측정 오차를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오차를 간섭 현상이 포함된 환경에서 측정한 목표 물질의 특징값에 반영하면 간섭 현상이 제거된 특징값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기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차 보정 방법을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 기호는 좌우변의 값이 유사함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이용되는 함수들 및 값들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오차가 포함되지 않은 목표 물질의 정확한 특징값을 T, 오차가 포함된 목표 물질의 측정된 특징값을 M이라 하면 오차 D = M - T로 정의된다. 카이네틱 곡선(또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을 K, 간섭 물질의 특징값을 d라 하면 간섭 물질의 특징값과 카이네틱 곡선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 함수 g는 d = g(K)로 표현되며, 간섭 물질의 특징값과 목표 물질의 측정 오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2 함수 f는 D = f(d)로 나타난다.
따라서 새롭게 공급된 시료에서 획득된 카이네틱 변화정보로부터 추정된 간섭 물질의 특징값은 d' = g(K)로 정의되고, 목표 물질의 추정 오차 D' = f(d') = f{g(K)} ≒ D로 정의되며, 목표 물질의 보정된 특징값 C = M - D' ≒ M - D = T을 획득할 수 있다.
즉, 간섭 물질의 특징값과 카이네틱 곡선 간의 상관관계 함수 g(K)와 간섭 물질의 특징값과 목표 물질의 측정 오차의 상관관계 함수 f(d)를 수학적 또는 논리적 규칙 등의 방법으로 미리 알고 있다면, 새롭게 공급된 시료 내에 존재하는 목표 물질에 대하여 간섭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추정치(d')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추정 오차(D')를 구할 수 있으며, 간섭 현상에 의한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측정값(M)에서 추정 오차(D')를 빼면 정확한 특징값(T)에 근사한 값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오차 보정 장치와 도 4에 도시된 오차 제거 방법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기 오차 제거 방법을 기술한다. 먼저 카이네틱정보획득부(310)는 측정을 하고자 하는 목표 물질(이하, "제1 물질"이라 한다)에 대한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획득한다(S410).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는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특징값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이며, 카이네틱 곡선으로 나타내게 된다.
이어지는 특징값추정부(320)는 상기 제1 물질의 측정에서 획득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제1 함수 g를 이용하여 간섭 물질(이하, "제2 물질"이라 한다)의 특징값 d'를 추정한다(S420).
그 다음에 이어지는 추정오차획득부(330)는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 및 미리 결정된 제2 함수 f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응하는 추정 오차를 획득하고(S430), 특징값보정부(340)는 상기 추정 오차를 이용하여 제1 물질에 대하여 측정된 특징값을 보정한다(S440).
상기 두개의 상관관계 함수인 제1 함수 g와 제2 함수 f를 구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각각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정의된 Eg 및 Ef를 각각 최소로 하는 어떤 함수도 가능하다.
Figure 112008005277069-PAT00001
(여기서, i는 각 혼합물 샘플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며, d(i)는 정확하게 측정된 제2 물질의 특징값이고, d'(i)=g{K(i)}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함수 g에 의하여 추정된 제2 물질의 특징값이다. 즉, Eg는 제2 물질에 대한 오차의 누적을 나타낸다)
Figure 112008005277069-PAT00002
(여기서, i는 각 혼합물 샘플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며, D(i)는 측정 기기에 의하여 발생된 제1 물질에 대한 정확한 측정 오차이고, f{d‘(i)}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근거로 제1 함수 g를 이용하여 추정한 제2 물질의 추정치 d'와 제2 함수 f를 이용하여 얻은 제1 물질의 추정 오차이다. 즉, Ef는 정확한 값과 추정값의 차이로 정의되는 제1 물질에 대한 오차의 누적을 나타낸다).
상기 두 수학식은 다수의 많은 샘플에 대하여 정확한 값과 추정값과의 차이를 누적한 값(이하 “총합 오차”라 한다)으로 나타나는 바, 상기 제1 함수 및 제2 함수는 모든 시료 샘플에 대하여 최소화를 만족하는 함수가 된다. 이들을 최소화하기 위한 함수들은 이들을 구하기 위한 수학적 또는 논리적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Eg 및 Ef의 절대적 최소값의 차이는 발생할 수 있다. 즉, 어떤 방법으로 두 함수를 구하느냐에 따라 오차 보정의 정교함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두개의 함수를 구하였든 이러한 함수를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차 보정 방법의 특징은 (1) 사전에 확보한 많은 측정 데이터로부터 카이네틱 변화와 제2 물질 특징값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 함수 g(K)를 구하고, (2) 역시 사전에 확보한 많은 측정 데이터로부터 제2 물질에 대한 특징값과 제1 물질의 추정 오차값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 f(d)를 구하고, (3) 새로운 혼합물 시료에 대하여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측정 요구가 발생할 경우, 이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K를 확보하고 함수 g(K)에 의해 제2 물질의 특징값 d'를 추정하고, (4) 추정된 제2 물질의 특징값 d'와 제2 함수 f에 의한 제1 물질의 추정 오차 D'=f(d')을 구하여, (5) 간섭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측정한 제1 물질의 특징값 M으로부터 추정 오차 f(d')의 값을 빼서 간섭현상에 의한 오차를 보정한 제1 물질의 특징값 C를 구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 되며,이 과정에서 두개의 상관관계 함수 g(K) 및 f(x) 함수를 이용한다는 점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를 혈당 측정에 이용하는 일실시예를 기술한다.
상술한 내용을 좀 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 기호는 좌우변의 값이 유사함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 정확치 T, 오차 포함된 목표물질(제1 물질) 측정치 M, 간섭오차 D:
M = T + D 또는 T = M - D
* 카이네틱 곡선: K
* 간섭물질(제2 물질)의 특징값: d
* 간섭물질(제2 물질) 특징과 카이네틱 곡선 간의 상관관계 함수 g:
d = g(K)
* 간섭물질(제2 물질) 특징과 간섭치(오차) 간의 상관관계 함수 f:
D = f(d)
* 새로운 샘플에 대한 목표물질(제1 물질)의 특징 추정치 d':
d' = g(K)
* 추정 오차 D': D' = f(d') = f{g(K)} ≒ D
* 보정치 C: C = M - D' ≒ M - D = T
즉, 간섭물질의 특징과 카이네틱 곡선 간의 상관관계 함수 g(K)와 간섭물질의 특징과 오차값과의 상관관계 함수 f(d)를 수학적 또는 논리적 규칙 등의 방법으로 미리 알고 있다면, 새로운 측정 대상에 대하여 간섭물질의 특징값의 추정치(d')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추정 오차(D')를 구할 수 있게 되고, 간섭현상에 의한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측정치(M)에서 추정 오차(D')를 빼서 정확치(T)에 근사한 값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이네틱 변화 정보와 혈액에 포함된 헤마토크릿의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혈액 내의 혈당(또는 글루코스) 농도를 혈당센서와 휴대형 혈당측정기로 측정하고자 할 때, 적혈구가 간섭 물질로 작용하여 헤마토크릿(Hematocrit)에 따라 측정된 혈당값의 오차가 다르게 발생된다. 그런데, 혈액 속에 포함된 상기 적혈구의 농도에 따라 상기 혈당 측정의 카이네틱 변화 정보가 다르게 나타난다. 도 5를 참조하면, 헤마토크릿의 농도가 20%이면 시간에 따라 혈당의 농도가 서서히 감소하고, 헤마토크릿의 농도가 60%이면 시간에 따라 혈당의 농도가 빠르게 감소한다. 따라서, 동일한 혈당값을 갖는 두 혈액 시료일지라도 일정 시간에 측정되는 혈당의 값은 다르게 나타 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서로 다른 혈당값을 갖는 두개의 혈액 시료가 동일한 혈당값으로 측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헤마토크릿의 농도와 혈당에 대한 카이네틱 변화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면, 혈당의 카이네틱 변화 정보로부터 혈액속에 포함된 적혈구의 용적률을 나타내는 헤마토크릿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추정된 헤마토크릿 농도와 혈당 측정값의 오차와의 관계를 이용하면 혈당 측정값에 포함된 오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헤마토크릿의 영향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혈당센서 및 휴대형 자가 혈당측정기를 이용하여 전혈(whole blood)의 혈당 농도를 측정할 경우, 헤마토크릿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는 고가의 정밀 화학 분석기(예를들면, YSI2300)로 측정한 값에 헤마토크릿의 간섭으로 인한 오차값이 더해져서 측정되게 된다.
이 경우, 종래 기술은 헤마토크릿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측정의 매개체로 이용되는 혈당센서의 품질 및 성능 개선에 노력이 집중되었으나,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혈당 측정 오차를 간단한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보정하는 새로운 혈당 측정 장치로 구현되거나, 또는 종래의 휴대형 기기를 이용한 혈당 측정에 있어 헤마토크릿의 간섭을 보정하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여 혈당측정에 대한 오차 보정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동일한 혈당센서를 사용하는 상용 제품과의 비교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기술한다.
먼저, 본 실험과 관련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에 대한 설명이다. 도 6은 전혈(Whole blood) 시료 샘플들에 대하여 헤마토크릿 정밀값(d), YSI2300에 의한 혈당 정밀값(T), 본 발명에 의한 헤마토크릿 추정치(d') 및 보정된 혈당값 추정치(C), 상기 추정치들의 오차값, 동일 혈당 센서를 사용하는 상용제품 혈당기기의 측정값 및 이에 대한 오차값을 포함하는 테이블이고, 도 7은 헤마토크릿의 농도가 혈당 측정시 일으키는 간섭 현상을 도시하는 그래프로, 헤마토크릿 농도가 낮은 경 우 양성적(Positive) 오차를 유발하고, 높은 경우 음성적(Negative) 오차를 일으키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근거: Richard F. Louie et al,“Point-of-Care Glucose Testing: Effects of Critical Care Variables, Influence of Reference Instruments, and aModular Glucose Meter Design”, Arch. Pathol. Lab. Med, Vol. 124, February 200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기존 상용 제품에 의한 헤마토크릿의 농도별 (a) 오차 분포 및 (b) 정규화한 오차 분포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9는 각 혈액 샘플에 대하여 기준장비인 YSI2300에 의한 정밀 혈당값(X-축의 ‘실제값’)과 휴대형에 의한 측정치 및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혈당 계산치(Y-축의 ‘측정값’)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우상향 대각선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혈액 샘플에 대해서는 오차가 없음을 나타낸다. 즉, 우상향 대각선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우수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를 위한 실험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무작위적인 다수의 환자로부터 헤마토크릿 농도 및 혈당값이 각각 낮은 경우, 중간인 경우 및 높은 경우의 조합을 제공하는 27명을 임의로 선택하고, 이들의 각 혈액에 대하여 다음의 4가지 값을 측정하였다.
제1 값은 병원의 임상 병리실에서 사용되는 헤마토크릿 정밀 측정 장비로 측정된 혈액 내의 헤마토크릿 농도이다.
제2 값은 혈당 측정에 대한 기준 장비로 사용되는 정밀 측정 장치(YSI2300)를 이용하여 측정된 혈액 내의 혈당값이다.
제3 값은 시중에 이미 판매되고 있는 상용제품(즉, 혈당센서 및 이와 정합되는 측정기)을 이용하여 측정된 혈액 내의 혈당값이다. 이때, 혈당센서 자체의 불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재현성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3번의 측정을 통해 얻은 값 중 측정기의 값이 중간값이 되는 경우를 취하였다. 즉, 본 비교 실험에 있어서 혈당 센서 자체의 재현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3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3개의 측정 결과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사한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에서 상용 제품 측정기의 값이 중간인 경우의 측정 결과를 선택한 것이다.
제4 값은 종래의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3 값을 측정하는 과정에 해당 측정기로부터 수집된 카이네틱의 변화 정보이다. 카이네틱 정보는 매 0.5초 마다 측정하고, 총 13초를 측정하였다.
상기 3개의 측정 값(YSI2300 측정값, 헤마토크릿 농도, 상용제품 측정값)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한 헤마토크릿 추정치 및 혈당 추정치와 그들의 오차값들이 도 6에 도시된 테이블에 나타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추정값과 종래 상용 제품의 측정값에 대한 RMSE(Root-Mean- Squared-Error)는 5.32476과 8.9148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한 혈당값 계산 오차가 전반적으로 기존의 사용 제품보다 오차가 적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a)는 도 6에 도시된 테이블에 대하여 헤마토크릿의 농도별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종래 제품에 의한 혈당 측정의 오차를 도시한 것이며, 대략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오차 분포가 음(-) 또는 양(+)의 값으로 치우치지 않으나 종래 제품은 음성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도 8의 (b)는 그림 도 8의 (a)에 도식된 결과를 음성 또는 양성적 경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차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나타나도록 정규화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 및 (b)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한 혈당의 추정값과 종래 제품의 측정값들은 도 2 및 도 7에 나타난 음성적(Negative) 또는 양성적(Pos itive) 오차 발생 현상이 제거되었음을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오차가 더 적음을 보여 본 발명에서 고안한 방법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테이블과 도 8에 나타난 오차 분포를 또 다른 형식으로 도식한 그림이다. 상기 도면에서 우상향 대각선은 측정값(Y-축)이 정밀측정값(X-축)과 동일함을 나타내며, 우상향 대각선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혈액 샘플에 대해서는 오차가 없음을 나타낸다. 즉, 우상향 대각선에 위치할수록 우수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고안한 방법으로 추정한 혈당값은 기존 상용 제품보다 우상향 대각선에 근접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방법의 효과를 입증해 주는 하나의 실험 결과이다.
이상의 비교 실험 결과에 서 볼 수 있듯이, 카이네틱 변화 정보로부터 헤마토크릿을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측정기의 오차를 보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종래의 상용 제품의 측정 오차를 줄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이네틱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섭 물질의 농도와 목표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측정 오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제거 장치의 기능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이네틱 변화 정보와 혈액 내의 헤마토크릿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마토크릿 추정치, 혈당 추정치 및 상기 추정치들의 오차값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마토크릿의 농도별 양성적 또는 음성적 오차 분포 경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마토크릿 농도별 오차 분포 및 정규화한 오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차 분포와 종래 방법의 오차 분포를 비교하는 그래프.

Claims (13)

  1.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제1 함수를 이용하여 제2 물질의 특징값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 및 미리 결정된 제2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추정 오차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질의 추정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물질의 간섭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측정한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는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특징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수는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과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수는 아래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Eg 값을 최소로 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08005277069-PAT00003
    (여기서, i는 각 혼합물 샘플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며, d(i)는 정확하게 측정된 제2 물질의 특징값이고, d'(i)=g{K(i)}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함수 g에 의하여 추정된 제2 물질의 특징값이다. 즉, Eg는 제2 물질에 대한 오차의 누적을 나타낸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수는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과 상기 제1 물질의 측정 오차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수는 아래의 수학식 2로 정의되는 Ef 값을 최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08005277069-PAT00004
    (여기서, i는 각 혼합물 샘플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며, D(i)는 측정 기기에 의하여 발생된 제1 물질에 대한 정확한 측정 오차이고, f{d‘(i)}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근거로 제1 함수 g를 이용하여 추정한 제2 물질의 추정치 d'와 제2 함수 f를 이용하여 얻은 제1 물질의 추정 오차이다. 즉, Ef는 정확한 값과 추정값의 차이로 정의되는 제1 물질에 대한 오차의 누적을 나타낸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은 혈액속에 포함된 글루코스(혈당)이고, 상기 제2 물질은 상기 혈액속에 포함된 적혈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값은 농도이고,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는 상기 글루코스 농도에 대한 측정값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법.
  8.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획득하는 카이네틱정보획득부;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제1 함수를 이용하여 제2 물질의 특징값을 추정하는 특징값추정부;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 및 미리 결정된 제2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에 대한 추정 오차를 획득하는 추정오차획득부; 및
    상기 제1 물질의 추정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물질의 간섭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측정한 상기 제1 물질의 특징값을 보정하는 특징값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수는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과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수는 상기 제2 물질의 특징값과 상기 제1 물질의 측정 오차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은 혈액속에 포함된 글루코스(혈당)이고, 상기 제2 물질은 상기 혈액속에 포함된 적혈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값은 농도이고, 상기 카이네틱 변화 정보는 상기 글루코스 농도에 대한 측정값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오차 보정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80006627A 2008-01-22 2008-01-22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측정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0967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27A KR100967621B1 (ko) 2008-01-22 2008-01-22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측정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
EP09703964.8A EP2241883A4 (en) 2008-01-22 2009-01-21 METHOD AND DEVICE FOR ASS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MATERIALS USING INFORMATION ABOUT KINETIC CHANGES
PCT/KR2009/000308 WO2009093840A2 (ko) 2008-01-22 2009-01-21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측정목표물질의 특징값 추정방법 및 장치
US12/863,985 US8725427B2 (en) 2008-01-22 2009-01-21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features of target materials by using kinetic change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27A KR100967621B1 (ko) 2008-01-22 2008-01-22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측정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16A true KR20090080716A (ko) 2009-07-27
KR100967621B1 KR100967621B1 (ko) 2010-07-05

Family

ID=4129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627A KR100967621B1 (ko) 2008-01-22 2008-01-22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측정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6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5372B1 (en) 2000-02-02 2002-11-05 Lifescan, Inc. Electrochemical methods and devices for use in the determination of hematocrit corrected analyte concentrations
KR100586832B1 (ko) * 2004-08-27 2006-06-08 주식회사 인포피아 바이오센서의 시료반응결과 측정장치
US7254432B2 (en) 2005-08-17 2007-08-07 Orsense Ltd. Method and device for non-invasive measurements of blood parame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621B1 (ko) 201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48306A1 (en) Slope-Based Compensation
US10921278B2 (en) Slope-based compensation including secondary output signals
JP6002274B2 (ja) 信号調整を持つバイオセンサシステム
JP2012511160A5 (ko)
RU2009101335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змерения анализируемого вещества в пробе
JP6494813B2 (ja) 分析物濃度決定のシステム誤差補償
US87254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features of target materials by using kinetic change information
KR100967621B1 (ko)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측정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1079790B1 (ko) 카이네틱 변화 정보를 이용한 측정목표물질의 특징값 추정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