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477A - 필터 - Google Patents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477A
KR20090080477A KR1020090003648A KR20090003648A KR20090080477A KR 20090080477 A KR20090080477 A KR 20090080477A KR 1020090003648 A KR1020090003648 A KR 1020090003648A KR 20090003648 A KR20090003648 A KR 20090003648A KR 20090080477 A KR20090080477 A KR 20090080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nonwoven fabric
hydrophilic
mel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나카무라
쇼지 가와노
신이치 도쿠도메
Original Assignee
칫소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1516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41526B2/ja
Application filed by 칫소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칫소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47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분리 성능을 가지는 필터로서, 수계(水系) 액체의 여과 조작에 있어서의 에어록이나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을 해소하고, 통수(通水) 불량과 기포 발생의 문제를 개선한 폴리올레핀 극세 섬유 부직포를 여과재로 하는 주로 시트형 또는 카트리지형의 필터를 제공한다. 친수제(親水劑)가 용융 블렌딩된 260℃ 이하의 온도로 용융(溶融) 방사(紡絲) 가능한 적어도 1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고, 또한 평균 섬유 직경이 0.1~10.0㎛의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여과재 중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필터이다.
필터, 시트형, 카트리지형, 친수제, 극세 섬유, 여과재

Description

필터{FILTER}
본 발명은, 수계(水系) 액체의 여과에 사용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수계 액체의 결과 조작에 있어서의 에어록이나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을 해소하고, 통수(通水) 불량과 기포 발생의 문제를 개선한 폴리올레핀 극세 섬유 부직포를 여과재로 하는 주로 시트형 또는 카트리지형의 필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수계 액체란, 물을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현탁물 함유 액체이다.
종래의, 입경이 0.1~수㎛의 미립자 등을 100% 가깝게 여과하는 폴리올레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여과재로서는, 멜트 블로우(melt-blow) 방사법(放射法)에 의해 제조된 폴리올레핀 극세 섬유 부직포를 가열 캘린더 롤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밀착가압 처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여과재는 미소한 흐름 구멍 직경을 갖고, 또한 소재인 폴리올레핀 자체가 소수성(疏水性)이므로, 수계 액체와의 친화성이 나쁘고, 수계 액체를 여과했을 때 에어록이나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이라는 통수 불량의 문제를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에어록]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는 그 자체가 발수성(撥水性)이므로 통수성 이 좋지 않으며, 특히 흐름 구멍 직경이 0.1~수㎛ 레벨의 높은 분리 성능을 가지는 필터에서 현저하다. 이것은, 필터의 미세한 구멍에 물이 흘러들어 가지 않으므로 일어나는 현상이며, 에어록이라고 한다. 에어록이 생기면, 필터의 미세한 구멍은 충분히 사용되지 않아, 일부의 구멍으로부터만 물이 흐르므로, 본래 필터가 가지는 여과 면적보다 작은 범위에서 여과가 행해진다. 이 때, 여과압은 통상보다 커지게 되고, 더 미세한 구멍일수록 물이 쉽게 흐르지 않는, 즉 더 큰 구멍으로부터 물이 흐르고 있으므로, 분리 성능도 뒤떨어진다.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한 필터를 사용하면, 여과압 변동 등의 어떠한 이유로 필터의 구멍에 체류한 에어가 빠지는 경우가 있고, 이 에어를 마이크로 버블이라고 한다.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은 액을 기포가 되게 하여 제품의 불량율이 높아져, 특히 도료나 도금액 등의 여과에서는 문제가 생긴다. 에어록과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의 본질적인 원인은 부직포에 체류하는 에어가 원인이다. 단, 에어록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아도, 통수성이나 여과 정밀도가 만족되는 경우가 있지만, 마이크로 버블은 미량인 체류 에어가 문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보다 완전한 해소가 필요하다.
마이크로 버블도 에어록 마찬가지로, 흐름 구멍 직경이 0.1~수㎛ 레벨의 높은 분리 성능을 가지는 필터에 있어서 발생이 현저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버블이 문제로 되는 공정에서는, 높은 분리 성능을 가지는 필터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 방지와 높은 분리 성능의 양쪽을 구비한 필터가 요구되고 있다.
에어록이나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이라는 통수 불량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필터를 에탄올이나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에 담그고, 필터 전체를 알코올로 적시고, 그 후에 수계 액체로 치환하는 방법이 있다. 이 알코올 처리에 의해, 통수 시의 에어록은 볼 수 없게 되지만, 치환이 불충분하면 알코올이 여과 라인에 혼입되어, 공업용도에 있어서는 생산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제품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무전해 도금에서는 비록 미량이라도 알코올의 혼입이 도금 품질에 주는 영향이 크므로, 상기한 알코올 치환의 방법은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통수 불량을 해소하는 다른 수단으로서는, 물과의 친화성이 강한 수지로 부직포를 제작하고, 필터로 사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물과의 친화성이 강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수지로서는 물과의 친화성이 강한 편이지만,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물과의 친화성이 강한 수지의 상당수는, 고온의 물이나 산 및 염기 수용액에 의해 분해되거나 하는 등, 내용액성이 뒤떨어지는 것이 많아, 이들 액체의 여과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폴리올레핀 부직포를 사용한 필터의 통수 불량을 해소하는 다른 수단으로서, 폴리올레핀 부직포를 친수화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고, 그 방법으로서는, 친수화 오일제 중에 부직포를 함침(含浸)하는 딥핑(dipping ) 방식, 친수화 오일제를 부직포에 분무하는 스프레이 방식, 친수화 오일제를 그라비아 롤에 의해 도포하는 그라비아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어느 방식에 있어서도 부직포화 후에 친수화 처리가 행해지므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하나 하나에 균일하게 친수화 오일제를 도포하는 것은 곤란하고, 또한 부직포 내부까지 친수화 오일제가 침투하지 않아,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친수화 오일제 농도의 불균형이 생기기 쉽다. 또한, 계면활성제 등을 물로 희석하고, 소정 농도로 조정하여 친수화 처리를 행하지만, 폴리올레핀 부직포 등은 원래 소수성 부직포이므로, 물로 희석된 친수화 오일제와 부직포의 친화성이 약하고, 특히 고속으로의 친수화 처리에서는 부직포 표면에 도포 불균일이 생기고 쉽고, 상기 친수화 오일제가 부착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발수(潑水)로 되는 개소가 발생하기 쉽다. 이같이 하여 얻어진 도포 불균일이 많은 폴리올레핀 부직포를 필터에 사용해도, 친수화가 불충분한 것은 명백하고, 에어록이나 마이크로 버블을 완전히 없앨 수 없다. 또한, 알코올과 마찬가지로 계면활성제가 액에 혼입될 가능성도 높다
폴리올레핀의 부직포를 친수화하기 위해, 친수제를 용융 혼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참조). 그러나, 극세 섬유 부직포를 얻을 수 있는 멜트 블로우 방식 등의 직접 방사법(放射法)에 있어서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1998-71327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분리 성능을 가지는 필터로서, 수계 액체의 여과 조 작에 있어서의 에어록이나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을 해소하고, 통수 불량과 기포 발생의 문제를 개선한 폴리올레핀 극세 섬유 부직포를 여과재로 하는 주로 시트형 또는 카트리지형의 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친수제가 용융 블렌딩된 260℃ 이하의 온도로 용융 방사 가능한 적어도 1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고, 또한 평균 섬유 직경이 0.1~10.0㎛의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여과재 중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필터에 의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게 되어, 이러한 사항을 감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가진다.
(1) 친수제(親水劑)가 용융 블렌딩된 260℃ 이하의 온도로 용융 방사 가능한 적어도 1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고, 또한 평균 섬유 직경이 0.1~10.0㎛의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여과재 중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필터.
(2) 상기 극세 섬유의 제법이 멜트 블로우(melt-blow) 방식인 (1)에 기재된 필터.
(3) 평균 흐름 구멍 직경(ASTM F316-86)이 0.1~10.0㎛인 (1) 또는 (2)에 기재된 필터.
(4) 친수제는, 분자 내에 친수 부분과 소수(疏水) 부분을 동시에 가지는 양성 물질이며, 소수 부분에 직쇄형(直鎖形) 또는 분기형의 알킬기를 가지는 물질인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5) 친수제는 R1 - (OCH2 CH2)n - OH의 화학식
{단, R1은, 탄소 원자수가 22 내지 40의 직쇄(直鎖) 또는 분기형의 알킬기이다. n은 2~10의 수이다.}
으로 표현되는 알킬폴리옥시에틸렌알코올인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6)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분자량 강하제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7)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8)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멜트매스플로레이트(MFR: JIS K 7210 (ISO 1133에 대응), 시험 온도 230℃, 공칭(公稱) 하중 2.16kg)가 1000~3000 (g/10 min)인,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9)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멜트매스플로레이트(MFR:JIS K 7210(ISO 1133에 대응), 시험 온도 230℃, 공칭 하중 2.16 kg) 50~100의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화학식 CH3 (CH2) 29 - (OCH2 CH2 ) 2.5 - OH {단,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수 2.5는 평균적인 값}의 친수제를 0.5~10.0 중량%, 및 힌다드히드록실아민에스테르계 화합물인 분자량 강하제를 0.01~0.10 중량% 함유하 는, (1), (2) 및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10) 극세 섬유는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 섬유인,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11) 극세 섬유는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조성물 섬유의 혼합 섬유인,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12) 시트 필터인 상기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13) 카트리지 필터인 상기 (1)~(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14) 1층 이상의 상기 친수성 부직포와 전(前) 여과층과 액 상류측 스페이서와 액 하류측 스페이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동시에 플리츠(pleats)형으로 절곡한, 통형의 카트리지 필터인 (13)에 기재된 필터.
(15) 상기 스페이서는 긴 섬유 부직포인 카트리지 필터인 (14)에 기재된 필터.
본 발명에 의해, 높은 분리 성능을 가지고, 수계 액체의 여과 조작에 있어서의 에어록이나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을 해소하고, 통수 불량과 기포 발생의 문제를 개선한 폴리올레핀 극세 섬유 부직포를 여과재로 하는 주로 시트형 또는 카트리지형의 필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필터는, 폴리올레핀에 친수제가 용융 블렌딩된 260℃ 이하의 온도 로 용융 방사 가능한 적어도 1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용융 방사하여 얻어지고, 또한 평균 섬유 직경이 0.1~10.0㎛의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하, 극세 섬유 부직포라고 함)를 여과재 중 적어도 일부에 사용하여 얻어진다. 상기 부직포를 여과재 중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필터는 폴리올레핀의 우수한 내용제성을 가지면서, 수계 액체에의 강한 친화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차적인 문제가 생기지 않으므로, 에어록이나 마이크로 버블의 문제의 해결이 가능하다.
[폴리올레핀]
본 발명의 필터의 여과재에 사용되는 극세 섬유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단독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형(直鎖形)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4-메틸펜텐-1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이하, 폴리프로필렌류라고 총칭함)가 적당한 용융 점성(粘性)을 가지므로 친수제의 용융 브랜드가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을 사용하여 섬유를 구성한 경우에는, 폴리올레핀의 특징인, 내약품성이나 연소시의 유해 가스의 발생이 없다는 특성도 물론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류의 멜트매스플로레이트(melt mass-flow rate; JIS K 7210, 시험 온도 230℃, 공칭(公稱) 하중 2.16kg, 이하 MFR이라고 함)는 1 내지 2000(g/10min)이다. MFR이 상기한 범위 내이면, 극세 섬유의 제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멜트 블로우법에 있어서, 비교적 저온에서 방사할 수 있어, 친수제와 균일하게 블렌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MFR이 바람직하게는 5~500(g/10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 00의 폴리프로필렌류는, 입수(入手)가 용이하며, 형상이 균일한 펠릿 때문에 취급도 용이하며 친수제와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친수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친수제는, 용융 블렌딩 시에 용이하게 열분해되지 않아 휘발하지 않는 계면활성제 등의 친수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류로 대표되는 아니온계 화합물, 지방족 아민염류로 대표되는 카티온계 화합물, 에톡실 지방족 알코콜로 대표되는 비(非)이온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분자 내에 친수 부분과 소수(疏水) 부분을 동시에 가지는 양성 물질이며, 소수 부분에 직쇄형 또는 분기형의 알킬기를 가지는 친수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에톡실 지방족 알코올, 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골격에 폴리알킬렌옥사이드쇄(鎖)를 가지는 기가 결합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친수제의 성분은 분자 내에 친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동시에 가지지만, 소수성인 폴리올레핀 수지에 용융 블렌딩되면, 친수제 성분의 친수 부분은 수지 내부로부터 외부로 서서히 이동한다. 친수제 성분의 친수 부분이 수지의 표면, 즉 극세 섬유의 표면으로 나오면, 친수제 성분의 소수 부분은 폴리올레핀과의 친화성이 강하기 때문에 폴리올레핀의 내부에 머물고, 극세 섬유의 표면은 친수제 성분의 친수 부분에 의해 덮힌다. 따라서, 극세 섬유 하나 하나가 친수성을 나타내고, 친수제는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오지 않는 구조로 된다. 친수제의 소수 부분이 알킬기이면, 폴리올레핀과의 친화성이 보다 강해지므로, 친수제가 폴리올레핀으로부터 더욱 쉽게 떨어져 나오지 않는 구조로 된다.
상기한 친수제 중에도, 국제 공개 제02/042530호 팜플렛에 기재된, 이하의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다.
R1 - (친수성 올리고머)
R1은, 탄소 원자수가 22에서 40의 직쇄 또는 분기형의 알킬기이다. 또한, 친수성 올리고머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알코올, 초산비닐 유래의 단일 또는 올리고머 단위로 이루어지고, 그 단위가 2~1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의 예로서는,
R1 - (OCH2 CH2 )n - OH
로 표현되는 구조의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n은 2~10의 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CH3 (CH2) 29 - (OCH2 CH2 ) 2.5 - OH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수 2.5는 평균적인 값)
에 의해 표현되는 에톡실지방족 알코올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친수제는, 단독이라도, 복수 종류 혼합해도 사용할 수 있다.
친수제의 첨가량은, 사용할 친수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방사의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이면 상한은 없다. 친수제의 첨가량은,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해서 0.05~2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10.0 중량%이다. 첨가량이 이 범위 내이면, 충분한 친수성이 발현되고, 또한 극세 섬유를 안정적으로 방사할 수 있다.
[분자량 강하제]
본 발명에 있어서, 극세 섬유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친수제의 열분해나 휘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260℃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 방사 가능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수지를 용융시켜 방사하는 방법으로 극세 섬유를 얻는 경우, 수지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수지의 용융 점도를 내릴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류를 예로 들면, 널리 일반적이며,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입 가능하며 펠릿 형상이 양호한 수지의 상당수는 MFR이 100 이하로 낮기 때문에, 다시 고온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다. 그 가열 온도는 친수제의 휘발 또는 분해 온도에 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때는 수지에 대해 분자량 강하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 강하제를 사용한 쪽이, 친수제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 방사가 가능하다. 또한, 당연히 열량이 내려가므로, 유틸리티 비용의 개선이나 작업 환경의 개선으로 된다.
분자량 강하제로서는, 벤조일페록사이드, 메틸-에틸케톤페록사이드, 시클로헥사논페록사이드로 대표되도록 한 유기 과산화물계의 화합물이나, 힌다드히드록실아민에스테르계의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 하게 수지의 분자량을 컨트롤할 수 있는 힌다드히드록실아민에스테르계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힌다드히드록실아민에스테르계의 화합물의 상당수는, 상온에서의 반응성은 부족하고, 고온으로 되어 처음으로 분자량 강하의 작용을 나타내므로, 필터 제작 후에 미반응물이 반응하여 수지를 열화시키거나 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그 구조로부터 특징적인 광 안정제로서의 기능은 방사 후에도 발현된다.
힌다드히드록실아민에스테르계의 화합물로서는, 국제 공개 제2006/027327호 팜플렛의 12~14 페이지에 기재된 N0.1 ~ No.34의 화학 구조식을 가지는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극세 섬유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있어서의 힌다드히드록실아민에스테르계 분자량 강하제(유효 성분)의 첨가량은, 사용하는 폴리올레핀의 MFR 등에 따라 적당히 변경되지만, MFR이 50~100(g/10min)의 경우, 0.01~0.10 중량%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하여, 친수제나 분자량 강하제 이외에도 각종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증점 분기제, 그 외의 각종 개량제 등도 필요에 따라 배합해도 된다.
[폴리올레핀 조성물]
본 발명에 있어서, 극세 섬유 방사용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에 친수제, 필요에 따라 분자량 강하제 등의 첨가제를 가하여 텀블러 믹서, 고속 믹서 등을 사용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친수제의 열분해나 휘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26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250℃의 온도에서 극세 섬유를 용융 방사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용융 방사하여 얻어지는 극세 섬유 또는 극세 섬유 부직포의 MFR은, 바람직하게는 1000~3000(g/10min)인 것이 기준으로 된다.
[극세 섬유 및 극세 섬유 부직포]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극세 섬유 부직포는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극세 섬유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용융 방사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면, 어느 제법이라도 상관없다. 특히, 방사 공정과 부직포화 공정을 1공정에서 행하는, 멜트 블로우법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멜트 블로우법이란, 수지를 고온 고압 공기와 함께 분사하여 개섬(開纖) 배열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비교적 용이하게 섬유 직경이 수㎛ 이하의 극세 섬유가 얻어지고, 얻어진 부직포도 치밀(緻密)하므로, 본 발명에 적합하다. 또한, 생산성, 제조 비용 등의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극세 섬유의 구조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 단일 폴리올레핀수지 섬유라도, 2성분 이상의 폴리올레핀 수지와의 복합 섬유라도 된다. 또한, 원료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상이한 단일 섬유끼리의 혼합 섬유나, 단일 섬유와 복합 섬유의 혼합 섬유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복합 섬유의 복합 구조는, 초심형(
Figure 112009002873317-PAT00001
; sheath core type), 병렬형, 해도형(海島型) 등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이 외에, 상이한 형 단면 구조, 분할형 구조, 중공형(中空型) 구조를 가지는 복합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심형 복합 섬유의 경우는 초(
Figure 112009002873317-PAT00002
) 측 즉 캡슐 측의 수지에만 친수제를 혼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극세 섬유의 섬유 직경은, 그 평균값이 0.1~10.0㎛가 바람직하고, 0.5~3.5㎛가 보다 바람직하다. 섬유 직경이 이 범위 내이면, 방사(紡絲) 시에 고온을 인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섬유의 강도가 충분해 쉽게 끊어지지 않고, 후에 필터로 했을 때 섬유가 탈락하는 등의 문제도 쉽게 일어나지 않아, 필터로 했을 때의 여과 정밀도도 양호하다.
극세 섬유의 섬유 직경이 작을 수록, 섬유가 형성하는 공극(空隙)이 작아지므로 필터로 했을 때 평균 흐름 구멍 직경과 여과 정밀도는 미소하게 된다. 한편, 섬유 직경이 작아질 수록, 통액(通液)에 필요로 하는 압력은 증대하고,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어록이나 마이크로 버블 발생의 원인으로 되는 체류 에어가 발생할 확률은 높아진다. 따라서, 구성하는 극세 섬유의 섬유 직경이 작아져 평균 흐름 구멍 직경과 여과 정밀도가 미소한 필터일 수록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극세 섬유 부직포의 웨이트 즉 중량의 범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의 공정으로서, 캘린더 가공이나 플리츠 가공을 행하는 것을 생각하면 3 내지 5OOg/m2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5 내지 2OOg/m2가 조작성의 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극세 섬유 부직포의 통기성의 범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부직포 중량 13g/m2의 경우는 5~4Ocm3/cm2/s, 4Og/m2의 경우는 3~2 Ocm3/cm2/s가 바람직하다. 이들 범위 내이면, 부직포의 후가공이 용이하며, 핀홀 등의 결함이 쉽게 생기지 않아, 얻어지는 필터의 여과 정밀도도 양호하다.
[여과재]
본 발명에 있어서, 극세 섬유 부직포는 방사 후에 여열(余熱)로 섬유 교점이 접착되므로, 그대로도 필터의 여과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외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캘린더 가공, 즉 한쌍의 가열 롤로 밀착가압하여 여과재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캘린더 가공 외에도, 가열 공기에 의해 용적 축소화 또는 다층화하는 에어스루 방식과 같은 다른 방법으로 부직포를 2차 가공할 수도 있다.
[시트 필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여과재를 적당한 크기로 커팅하여 시트 필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트 필터로서 사용되는 여과재의 평균 흐름 구멍 직경(ASTM F316-86)은 0.1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흐름 구멍 직경이 상기한 범위 내이면 생산이 용이하며, 여과 정밀도도 충분하다. 극세 섬유 부직포가, 방사 후에 10.0㎛ 이상의 평균 흐름 구멍 직경을 나타내는 경우라도, 다층으로 하거나 상기한 2차 가공을 행함으로써,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평균 흐름 구멍 직경이 5.0㎛를 초과하도록 한 러프한 필터는, 원래 친수제가 없어도 충분히 통수 가능하므로 에어록은 일어나지 않지만, 국소(局所)에 미량인 체류 에어를 유지하고 마이크로 버블 발생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본 발명을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 방지에 사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 필터]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극세 섬유 부직포는 카트리지 필터의 여과재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그 때, 극세 섬유 부직포는 방사 후 적당한 사이즈로 커팅된 후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캘린더 가공과 같이 2차 가공되어도 되고, 상기한 시트 필터를 사용해도 된다. 카트리지 필터로서는, 부직포를 코어에 감아 꺼내 다층 구조로 한 뎁스(depth) 타입이나 주름형으로 절곡된(즉 플리츠(pleats) 가공한) 부직포를 원통형으로 가공한 플리츠 타입이 본 발명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필터는 비교적 고압손(高壓損)의 필터로 되므로, 보다 여과 면적이 넓어지는 플리츠 타입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여과 면적이 넓은 필터일 수록 통수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극세 섬유 부직포를 플리츠 타입의 카트리지 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 극세 섬유 부직포는 단층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개 층 동시에 플리츠 가공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여과 조작 중인 극세 섬유 부직포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그 상류에 전(前) 여과층을 형성해도 된다. 전 여과층은 극세 섬유 부직포에 비해 여과 효율이 낮은 것을 사용하여, 단계적인 여과가 행해지도록 하는 편이, 필터 전체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여과재의 상하, 즉 여과 시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스판 본드 부직포 등의 긴 섬유 부직포나 네트를 적층하면, 주름 간의 상류측 스페이서 및/또는 하류측 스페이서로서 기 능하여, 주름끼리의 접촉에 의한 통액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스페이서로서 스판 본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부직포 중량은 10~1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이 상기한 범위 내이면, 부직포의 두께가 충분해 스페이서로서의 역할을 완수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의 소재로서는 극세 섬유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플리츠 가공시, 절곡 직전에 극세 섬유 부직포를 가열하거나, 절곡 후에 가열하거나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친수 성분을 이겨서 넣은 극세 섬유 부직포는, 표면이 미끄러지기 쉽다. 또한, 캘린더 가공된 극세 섬유 부직포는 경질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친수성분의 함유량에 따라서는, 극세 섬유 부직포 표면의 평활성과, 극세 섬유 부직포 자체가 강성(剛性)이기 때문에, 극세 섬유 부직포는 플리츠 가공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때는 절곡 직전에 극세 섬유 부직포를 가열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절곡 후에 가열하면, 플리츠 형상의 유지성이 양호해진다. 가열 온도는 모두 유리 전이점으로부터 융점의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플리츠 가공된 극세 섬유 부직포를 단층으로, 또는 그것을 포함한 적층체로, 그 양단을 접착하여 원통형으로 성형한다. 접착 방법은, 히트실법, 초음파 접착법 등의 열융착법의 이용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원통형으로 한 극세 섬유 부직포 단층 또는 그것을 포함한 적층체의 중앙부에 다공성 원통형의 코어를 배치하거나, 또는 외측에 다공성 원통형의 외통 을 배치하고, 그 양 단부에 캡을 접착함으로써 카트리지 필터를 얻을 수 있다. 코어를 사용할 것인지 외통을 사용할 것인지는, 압력이 걸리는 방향에 따라서 정해지고,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여과를 행하는 통상 타입의 필터 카트리지로 하는 경우는 코어를 사용하고, 반대 방향의 여과를 행하는 타입의 경우는 외통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역(逆)세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코어와 외통의 양자를 병용해도 된다. 이 때 사용하는 코어, 외통, 캡의 소재로서는, 임의의 수지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캡의 소재로서는, 특히, 극세 섬유 부직포와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극세 섬유 부직포와 상용성(相溶性)이 좋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을 접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캡의 접착면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접착시키는 방법이나, 캡에 용융한 수지를 흘려 넣어 접착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평균 섬유 직경: 시험편의 임의인 위치를 전자 현미경으로 사진 촬영을 행하고, 1매의 사진에 약 20개의 섬유의 직경을 측정하고, 이들을 5매 이상의 위치에 대하여 행하고, 합계 100개 이상의 섬유 직경을 평균하여 구하였다.
(2) 중량: 부직포의 임의 5개소로부터 25cm×25cm 사이즈의 시험편을 커팅한 후, 각 시험편의 중량을 전자 천칭에 의해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1m2당의 중량으로 환산하여 중량으로 하였다. 단위g/m2.
(3) 통기성: JIS-L-1096 (ISO 9237에 대응)에 의해 정해지는 통기성 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했다. 그리고, 시험기는 프라지르(fragile)형 시험기를 사용하였다. 단위 cm3/cm2/s.
(4) 평균 흐름 구멍 직경(㎛) : ASTM F316-86에 따라, Perm-Poro meter (POROUS MATERIALS INC. 제조)에 의해 측정하였다.
(5) 여과 정밀도: 순환식 여과 성능 시험기의 하우징에 카트리지 필터를 장착하고, 펌프로 유량을 조절하여 통수 순환시킨다. 다음에, 순환하고 있는 물에 AC파인 테스트 더스트를 매분 3g으로 연속 첨가하고, 첨가 개시로부터 5분 후에 원액과 여과액을 채취하고, 각각의 액에 포함되는 입자의 수를 광산란식 입자 검출기를 사용하여 계측하여 포집 효율을 산출하였다. 포집 효율이 99.9% 이상을 나타내는 최소 입경을 여과 정밀도로 하였다. 그리고, 통수 순환시의 유량은, 시트 필터로 매분 5OOOcm3, 카트리지 필터로 매분 6OOOOcm3로 조절하였다.
(6) 에어록과 마이크로 버블 발생의 확인: 순환식 여과 성능 시험기의 하우징에 필터를 장착하고, 펌프로 유량을 조절하여 통수 순환시킨다. 이 때의 필터 전후의 압력차를 압력 손실 A라고 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10분간 통수 순환시켰을 때, 순환식 여과 성능 시험기의 탱크에 하우징 2차 측의 배관으로부터 기포를 육안관찰 확인할 수 있으면,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이 있는 것으로서 ×, 확인할 수 없으면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이 없는 것으로 하여 ○으로 하였다. 다음에, 한 번 필터를 분리하고, 필터를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침지한다. 알코올 침지된 필터를 재차 하우징에 장착하고, 펌프로 유량을 조절하여 통수 순환시킨다. 이 때의 필터 전후의 압력차를 압력 손실 B라고 한다. 압력비= A/B가 1.05 미만이면 에어록이 없는 것으로 하여 ◎, 1.05 이상 1.1 미만이면 ○, 1.1 이상이면 ×로 하였다. 그리고, 통수 순환시의 유량은, 시트 필터로 매분 5OOOcm3, 카트리지 필터로 매분 6OOOOcm3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단독 중합체, MFR: 75, 상품명 SA08, 일본 폴리프로필렌사 제조)에 대하여, 화학식 CH3(CH2)29 (OCH2 CH2)2.5 OH에 의해 표현되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친수제(지바사 제조 Irugasurf-HL560, 유효 성분 60 중량%)가 3.0 중량%, 유효 성분으로서 힌다드히드록실아민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자량 강하제(지바사 제조 Irugatec-CR76, 유효 성분 3.3 중량%)가 1.0 중량%로 되도록 첨가하고, 멜트 블로우용 방사 노즐(홀 직경 0.3mm, 1.0mm 피치, 501홀)로부터, 방사 온도 250℃로 압출하고, 360℃의 가열 공기를 사용하여 멜트 블로우 방사했다. 가열 공기의 압력, 토출량, 부직포 반출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중량 13g/m2의 부직포(A), 및 중량 40g/m2의 부직포(B)의 2종류의 부직포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부직포(A) 2매와 부직포(B) 1매를 적층하고, 롤 온도 120℃의 캘린더 롤에 의해 밀착가압 처리하고,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극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필터를 얻었다. 이것 을, 직경 142mm의 원형으로 잘라내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친수제(지바사 제조 Irugasurf-HL560)가 5.0 중량%, 분자량 강하제(지바사 제조 Irugatec-CR76)가 0.5 중량%, 방사 온도 230℃로 압출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방사하여, 중량 50g/m2의 부직포(A)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부직포(A)를 롤 온도 120℃의 캘린더 롤에 의해 밀착가압 처리하고,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극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필터를 얻었다. 이것을, 직경 142mm의 원형으로 잘라내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방사 온도를 200℃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시트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친수제(지바사 제조 Irugasurf-HL560)의 첨가량을 5.0 중량%, 분자량 강하제(지바사 제조 Irugatec-CR76)의 첨가량을 0.5 중량%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트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2종류의 수지를 초심형 복합 섬유로 할 수 있는 멜트 블로우용 복합 방사 노 즐을 사용하여, 심(芯) 측에 폴리프로필렌(단독 중합체, MFR:75, 상품명 SA08, 일본 폴리프로필렌사 제조), 초(
Figure 112009002873317-PAT00003
) 측 즉 캡슐 측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MFR:61, 상품명 PS4916, 일본 폴리프로필렌사 제조)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양쪽에, 친수제(지바사 제조 Irugasurf-HL560)가 3.0 중량%, 분자량 강하제(지바사 제조 Irugatec-CR76)가 1.0 중량%로 되도록 첨가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트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심(芯) 측의 폴리프로필렌에 친수제(지바사 제조 Irugasurf-HL560)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시트 필터를 제작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노즐 구멍이 2종류인 수지를 구멍의 교대 위치로부터 압출하도록 배치된 멜트 블로우용 혼합 섬유 방사 노즐을 사용하여, 2종류의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단독 중합체, MFR:75, 상품명 SA08, 일본 폴리프로사 제조)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MFR:61, 상품명 PS4916, 일본 폴리프로사 제조)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양쪽에, 친수제(지바사 제조 Irugasurf-HL560)가 3.0 중량%, 분자량 강하제(지바사 제조 Irugatec-CR76)가 1.0 중량%로 되도록 첨가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트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폴리프로필렌(단독 중합체, MFR:1800, 파우더형, 상품명 PP3546G, 엑슨모빌 사 제조)을 사용하고, 분자량 강하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트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분자량 강하제로서 과산화물 2, 5-디메틸-2, 5-지(t부틸페록시)헥산(니치유사 제조 파헥사 25B)을 0.03 중량%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트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친수제로서 알킬술폰산염(산요 가세이 고교샤 제조 케미스타트 3033N)을 2중량%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트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친수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트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0과 비교하면, 에어록과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친수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시트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과 비교하 면,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240mm 폭으로 커팅하여 3층으로 적층하고, 또한 상하의 층에 폴리프로필렌 스판 본드 부직포(중량 40g/m2, RN2040, 이데미츠 유니테크사 제조)를 각 1층 적층하고, 폭 10mm의 플리츠 가공을 행하고, 플리츠 주름 120산(山)으로 절단하고, 시트의 끝끼리를 접착 실링하여 원통형상으로 한 후, 내측에 코어, 외측에 외통을 배치하고, 그 양단에 캡을 접착시킴으로써 내경 28mm, 외경 70mm, 길이 250mm의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2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실시예 3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실시예 4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 으로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실시예 5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실시예 6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실시예 7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실시예 8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9)
실시예 9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 으로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실시예 10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20과 비교하면, 에어록과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
비교예 2에서 얻은 시트 필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카트리지 필터를 제작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과 비교하면,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록과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 회피가 불가결한 필터, 특히 도료나 도금액용 필터에 적합하다.
[표 1]
Figure 112009002873317-PAT00004
[표 2]
Figure 112009002873317-PAT00005

Claims (15)

  1. 친수제(親水劑)가 용융 블렌딩된 260℃ 이하의 온도로 용융 방사 가능한 적어도 1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고, 또한 평균 섬유 직경이 0.1~10.0㎛의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여과재 중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 섬유의 제법이 멜트 블로우(melt-blow)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균 흐름 구멍 직경(ASTM F316-86)이 0.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제는, 분자 내에 친수 부분과 소수(疏水) 부분을 동시에 가지는 양성 물질이며, 소수 부분에 직쇄형(直鎖形) 또는 분기형의 알킬기를 가지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제는 R1 - (OCH2 CH2)n - OH의 화학식
    {단, R1은, 탄소 원자수가 22 내지 40의 직쇄(直鎖) 또는 분기형의 알킬기이다. n은 2~10의 수이다}
    으로 표현되는 알킬폴리옥시에틸렌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분자량 강하제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멜트매스플로레이트(MFR: JIS K 7210 (ISO 1133에 대응), 시험 온도 230℃, 공칭(公稱) 하중 2.16kg)가 1000~3000 (g/10 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9. 제1항, 제2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멜트매스플로레이트(MFR:JIS K 7210(ISO 1133에 대응), 시험 온도 230℃, 공칭 하중 2.16 kg) 50~100의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화학식 CH3 (CH2) 29 - (OCH2 CH2 ) 2.5 - OH {단,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수 2.5는 평균적인 값}의 친수제를 0.5~10.0 중량%, 및 힌다드히드록실아민에스테르계 화합물인 분자량 강하제를 0.01~0.1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 섬유는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 섬유는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조성물 섬유의 혼합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시트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카트리지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1층 이상의 상기 친수성 부직포와 전(前) 여과층과 액 상류측 스페이서와 액 하류측 스페이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동시에 플리츠(pleats)형으로 절곡한 통형의 카트리지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긴 섬유 부직포인 카트리지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KR1020090003648A 2008-01-21 2009-01-16 필터 KR200900804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10069 2008-01-21
JPJP-P-2008-010069 2008-01-21
JPJP-P-2008-315161 2008-12-11
JP2008315161A JP5141526B2 (ja) 2008-01-21 2008-12-11 フィルタ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477A true KR20090080477A (ko) 2009-07-24

Family

ID=4129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648A KR20090080477A (ko) 2008-01-21 2009-01-16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04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901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US10766000B2 (en) Nanofiber for filter medium, filter medium comprising sam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filter unit comprising same
JP5579169B2 (ja) 複合膜支持体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膜
JP5141526B2 (ja) フィルター
CN109219475B (zh) 过滤器集合体、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过滤器模块
CN110997119B (zh) 过滤器滤材、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过滤器单元
JP6390612B2 (ja) 混繊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43050B2 (ja) 液体濾過用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ー
CN110087754B (zh) 过滤器滤材、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过滤器单元
US11207644B2 (en) Filter medium with improved backwashing durabilit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ilter unit comprising same
KR102064920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EP3201382B1 (en) Filter media containing a styrene-copolymer
KR20090080477A (ko) 필터
JP4839709B2 (ja) 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030057A1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09454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119477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400732B1 (ko)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20230096549A (ko) 열접착성 섬유웹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열접착성 섬유웹
KR20120078147A (ko) 액체 여과용 원통상 심층필터
JPH11165009A (ja) 液体用フィルター材および放電加工機用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