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024A - 진동칫솔 - Google Patents

진동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024A
KR20090080024A KR1020090057320A KR20090057320A KR20090080024A KR 20090080024 A KR20090080024 A KR 20090080024A KR 1020090057320 A KR1020090057320 A KR 1020090057320A KR 20090057320 A KR20090057320 A KR 20090057320A KR 20090080024 A KR20090080024 A KR 20090080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oothbrush
battery
switch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식
Original Assignee
김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식 filed Critical 김한식
Publication of KR2009008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source of radiation, e.g. UV, IR, LASER, X-ray for irradiating the teeth and associat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형 모터를 이용한 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진동을 갖는 진동칫솔로 잇몸을 자극을 주어 잇몸 마사지효과를 보게 되며 진동기능으로 칫솔질을 하게 되면 칫솔질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뿐만 아니라 초소형 모터를 채택함으로써 칫솔의 크기가 변동 없이 진동칫솔의 기능을 갖게 되며 또한 쉽게 건전지 교환이 가능하며 무엇보다 아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진동칫솔, 전동칫솔

Description

진동칫솔{Vibration toothbrush}
본 발명은 진동기능을 갖는 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 시장에는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기술의 전동 칫솔이 고가에 거래가 되고 있으며 많이 보편화 되어 있다. 전동칫솔의 경우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큰 모터를 사용하고 또한 오래 사용하고 충전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칫솔의 손잡이가 전체적인 칫솔기능의 모양보다 매우 크며 불편해 보인다. 뿐만 아니라 매우 고가이어서 서민층에게서는 사용하기가 부담스럽다.
칫솔질은 하루 세 번 이상은 반드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질이 좋고 값이 싼 칫솔은 반드시 필요하다. 다행히 칫솔은 그 모양이 단순하기 때문에 아주 저렴하게 만들 수 있지만 일부 전동 칫솔의 경우 너무 터무니없이 비싼 경우가 많다. 또한, 칫솔의 경우 브러시가 마모되면 교체를 하여 주어야 하는데 그 주기가 대부분은 2개월에서 3개월이 적당하다. 비록 브러시가 마모되어 칫솔을 교체하는 것이지만 2개월 내지 3개월을 상용하면 칫솔의 손잡이 각 부분에도 이물질 등이 끼어 아무리 잘 씻어도 오래된 느낌을 지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고가의 칫솔 등은 브러시만 교체가 가능하여 전동칫솔의 취약부분인 손잡이 부분의 이음매 등에는 이물 질 등이 잘 끼어있어 위생상 좋지않다.
본 발명은 브러시가 마모되면 진동칫솔 전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값싼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며 건전지 한 번 삽입으로 2개월 내지 3개월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진동 칫솔을 구성하는 것과, 칫솔을 정성껏 오래 하시는 분들의 경우 소비된 건전지를 쉽게 교환이 가능하여야 하며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면서도 종래의 수동칫솔과 비슷한 가격대를 갖는 진동 칫솔을 구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결점을 찾기 위하여 칫솔의 손잡이 부분에 구성 홈을 만들고 미리 건전지와, 진동모터와, 스위치와, 자외선LED등을 일체와 시켜 진동체를 구비하여 칫솔의 구성 홈에 끼워 넣기만 하면 진동칫솔이 되는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며 칫솔모가 마모되면 진동칫솔 전체를 교환하여도 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진동체는 다시 사용하고 진동체구성 홈을 갖는 칫솔만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저렴하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초소형 진동모터를 구비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적어서 건전지만으로 2개월 남짓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칫솔은 그 값이 매우 저렴하여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진동칫솔이며 건전지의 충전 없이 1회 사용시간이 3분으로 하루 3번 사용할 경우 2개월 남짓 사용할 수 있어 충전에 따른 번거로움이 없고 건전지의 교 환도 쉽게 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부담없이 사용할 수가 있는 진동 기능이 있는 칫솔이다.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구성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 도 3에서 일체화된 진동체모듈수단(10)의 모양은 일반건전지의 원형의 모양처럼 틀에 전지수단(58)을 조립할 수 있도록 마련된 건전지구성홈(11)에는 전지수단(58)이 삽입 및 착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원모양으로 되어있고 건전지구성홈(11)이 길게 길이에 따라 구성이 되어 전지수단(58)이 두 개 들어갈 수 있도록 구비되며 때에 따라서는 전지수단(58)이 1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며 그 양끝 부에 스위치박스부(12)와 진동모터구성박스부(20)가 위치하여 구성되며 스위치박스부(12)는 전체적인 원형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 스위치박스구성홈(14)이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 쉽게 스위치수단(40)을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위치박스부(12)와 건전지구성홈(11)의 사이에는 턱(13)이 져서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의 끝단(53)이 밀착되는 것으로 하여 이물질이 쉽게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진동모터구성박스부(20)에는 진동모터구성홈(21)과 전압단자구성홈(22)및 LED구성홈(23), LED조립구성홈(24)이 구성되는바 진동모터구성홈(21)에는 진동모터수단(44)을 조립 고정하는 수단이고 전압단자구성홈(22)은 플러스전압단자(34)를 고정하는 수단이며 LED구성홈(23),LED조립구성홈(24)은 자외선LED수단(47)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구비된 것이다. 건전지구성홈(11)의 바닥에 구비된 전류단자구성홈(29)은 마이넌스전류단자(31)를 고정하는 수단이며 탄성체수단(37)과 일체화된 마이너스전압단자(36)와 스위치수단(40)의 스위치단자(42), 스위치단자(43)을 통하여 플러스전압단자(34)와 전기적인 회로가 구성되며 스위치수단(40)의 스위치버튼(41)의 조작으로 스위치단자(42)와 스위치단자(43)를 on/off시켜 전기적인 회로를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스전압단자(34)와 일체 된 플러스단자(35)와 마이넌스전류단자(31)에 일체 된 마이너스단자(32)가 출력단으로 플러스단자(35)는 플러스단자이며 마이너스단자(32)는 마이너스단자로 사용되지만 전지수단(55)을 거꾸로 집어넣었을 경우는 반대의 경우가 되어 진동모터수단(44)은 역회전으로 동작이 되지만 극성을 정확하게 해 주어야 하는 자외선LED수단(47)은 동작을 하지 못하게 된다. 진동체모듈수단(10)의 외형은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태를 갖출 수 있으나 바람직한 방법은 원형에 가깝게 하여야 공간을 줄일 수 있어 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바 본 출원서에서는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태로 구 비할 수 있음도 밝혀둔다. 도 3, 도 4, 도 5에서와 같이 각 부품을 조립하고 건전지구성홈(11)에 전지수단(58)를 삽입하고 스위치박스부(12)의 외부에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의 내부구성홈(55)을 끼워넣고 끝단(53)이 턱(13)에 밀착되도록 하여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의 탄성력으로 인해 턱(13)과 끝단(53)의 사이로는 물을 포함하여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는 것으로 하며 자외선LED수단(47), 진동모터수단(44), 스위치수단(40), 전지수단(58)이 일체화된 틀에 구비되며 전기적, 전자적 회로수단으로 컨트롤 되며 그 구성이 가늘고 원형의 틀에 삽입되기 좋도록 원형에 가깝게 구비된 진동체모듈수단(10)을 같게 되었다.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칫솔수단(60)의 구성은 칫솔목(61)과 칫솔머리(62)칫솔대(63)로 구비되는 것은 수동 칫솔과 크기나 모양이 다를 바가 없지만 칫솔대(63)의 내부에 진동체모듈수단(1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조립홈(65)을 구비하고 그 끝에 지름이 약간 더 큰 조립홈(64)을 두어 진동체모듈수단(10)의 구성중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의 칫솔대조립부(51)가 꽉 끼게 조립되도록 하여 물을 포함하여 이물질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며 방수방지턱수단(66)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며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의 방수방지턱(54)에 밀착이 되는 것으로 하여 방수기능이 완비되는 것이다. 조립홈끝단부위(67)는 조립홈(65)의 끝단 부이며 면이 깨끗하고 투명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진동체모듈수단(10)의 자외선LED수단(47)의 자외선수단이 칫솔목(61)을 거쳐 칫솔머리(62)부 위까지 조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9에서 스위치누름부(52)를 눌러 주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자외선LED수단(47)과 진동모터수단(44)이 작동되어 자외선이 조사되고 진동이 일어나므로 진동 칫솔질을 하면 되는 것이다. 칫솔질이 끝나면 스위치누름부(52)를 눌러 주는 것으로 작동을 멈출 수 있으며 본 구성에서 스위치수단(40)을 2단 이상으로 하여 자외선LED수단(47)과 진동모터수단(44)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자외선LED수단(47), 진동모터수단(44)중 제조할 때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개는 빼고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을 밝혀둔다. 자외선 LED수단은 산업화가 되어 시중에 소형이 유통되고 있어 본 발명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다만 아직까지는 가격이 고가인 것이 단점이다. 진동모터수단(44)은 휴대폰의 진동모터의 수급으로 인해 수많은 종류가 넘쳐나 모두 적용시켜 사용이 가능하고 그 가격이 매우 저렴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스위치수단(40)또한 소형 전자기기들의 발달로 인해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소형화되어 있어 역시 본 발명에 적용이 매우 쉽고 가격이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진동칫솔을 아주 저렴하게 제조하여 시판할 수 있으므로 모든 사람들이 질이 좋은 진동칫솔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진동칫솔의 진동체모듈수단(10)의 각 부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스위치수단(40), 진동모터수단(44), 자외선LED수단(47)등을 일부 각 조립시켜 내부조립상황을 미리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각 부품이 조립된 진동체모듈수단(10)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건전지구성홈(11)에 전지수단(58)을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스위치누름부(52)에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을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
도 5에 a는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의 단면 사시도.
도 6은 칫솔수단(60)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칫솔대(63)를 일부 절단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진동체모듈수단(10)을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칫솔수단(60)의 절단면을 도시하지 않고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진동체모듈수단(10) 건전지구성홈(11)
스위치박스부(12) 턱(13)
스위치박스구성홈(14) 진동모터구성박스부(20)
진동모터구성홈(21) 전압단자구성홈(22)
LED구성홈(23) LED조립구성홈(24)
전류단자구성홈(29) 조립단자(30)
마이넌스전류단자(31) 마이너스단자(32)
플러스전압단자(34) 플러스단자(35)
마이너스전압단자(36) 탄성체수단(37)
스위치수단(40) 스위치버튼(41)
스위치단자(42) 스위치단자(43)
진동모터수단(44) 단자(45)
단자(46) 자외선LED수단(47)
단자(48) 단자(49)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 칫솔대조립부(51)
스위치누름부(52) 끝단(53)
방수방지턱(54) 내부구성홈(55)
전지수단(58)
칫솔수단(60) 칫솔목(61)
칫솔머리(62) 칫솔대(63)
조립홈(64) 조립홈(65)
방수방지턱수단(66) 조립홈끝단부위(67)

Claims (4)

  1. 일체화된 진동체모듈수단(10)의 모양은 일반건전지의 원형의 모양처럼 틀에 전지수단(58)을 조립할 수 있도록 마련된 건전지구성홈(11)에는 전지수단(58)이 삽입 및 착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원모양으로 되어있고 건전지구성홈(11)이 길게 길이에 따라 구성이 되며 그 하단에 전류단자구성홈(29)이 구비되고 건전지구성홈(11)은 전지수단(58)이 두 개 들어갈 수 있도록 구비되며 때에 따라서는 전지수단(58)이 1개 이상이 들어갈 수 있는 공 간부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며 그 양끝 부에 스위치박스부(12)와 진동모터구성박스부(20)가 위치하여 구성되며 스위치박스부(12)는 전체적인 원형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 스위치박스구성홈(14)이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 쉽게 스위치수단(40)을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위치박스부(12)와 건전지구성홈(11)의 사이에는 턱(13)이 져서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의 끝단(53)이 밀착되는 것으로 하며 진동모터구성박스부(20)에는 진동모터구성홈(21)과 전압단자구성홈(22)및 LED구성홈(23), LED조립구성홈(24)이 구성되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2. 진동모터구성홈(21)에는 진동모터수단(44)을 조립하고 전압단자구성홈(22)은 플러스전압단자(34)를 조립하며 LED구성홈(23),LED조립구성홈(24)은 자외선LED수단(47)을 조립하며 건전지구성홈(11)의 바닥에 구비된 전류단자구성홈(29)은 마이넌스전류단자(31)를 조립하고 탄성체수단(37)과 일체화된 마이너스전압단자(36)와 스위치수단(40)의 스위치단자(42), 스위치단자(43)을 통하여 플러스전압단자(34)와 전기적인 회로가 구성되며 각 부품을 조립하고 건전지구성홈(11)에 전지수단(58)를 삽입하고 스위치박스부(12)의 외부에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의 내부구성홈(55)을 끼워넣고 끝단(53)이 턱(13)에 밀착되도록 하여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의 탄성력으로 인해 턱(13)과 끝단(53)의 사이로는 물을 포함하여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는 것으로 하며 자외선LED수단(47), 진동모터수단(44), 스위치수단(40), 전지수단(58)이 일체화된 틀에 구비되며 전기적, 전자적 회로수단으로 컨트롤 되며 그 구성이 가늘고 원형의 틀에 삽입되기 좋도록 원형에 가깝게 구비된 진동체모듈수단(10)을 구성하여 스위치수단(40)의 스위치버튼(41)의 조작으로 스위치단자(42)와 스위치단자(43)를 on/off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3. 진동체모듈수단(10)의 외형은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태를 구비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4. 칫솔수단(60)의 구성은 칫솔목(61)과 칫솔머리(62)칫솔대(63)로 구비되는 것은 수동 칫솔과 크기나 모양이 다를 바가 없지만 칫솔대(63)의 내부에 진동체모듈수단(1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조립홈(65)을 구비하고 그 끝에 지름이 약간 더 큰 조립홈(64)을 두어 진동체모듈수단(10)의 구성중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의 칫솔대조립부(51)가 꽉 끼게 조립되도록 하여 물을 포함하여 이물질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며 방수방지턱수단(66)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며 탄성체보호커버수단(50) 의 방수방지턱(54)에 밀착이 되는 것으로 하여 방수기능이 있는 것으로 하고 조립홈끝단부위(67)는 조립홈(65)의 끝단 부이며 면이 깨끗하고 투명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진동체모듈수단(10)의 자외선LED수단(47)의 자외선수단이 칫솔목(61)을 거쳐 칫솔머리(62)부 위까지 조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진동칫솔.
KR1020090057320A 2009-04-26 2009-06-25 진동칫솔 KR20090080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284 2009-04-26
KR20090036284 2009-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024A true KR20090080024A (ko) 2009-07-23

Family

ID=4129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320A KR20090080024A (ko) 2009-04-26 2009-06-25 진동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00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276A2 (ko) * 2010-07-30 2012-02-02 주식회사 프로케어 전동칫솔, 칫솔모 조립체, 칫솔모 조립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276A2 (ko) * 2010-07-30 2012-02-02 주식회사 프로케어 전동칫솔, 칫솔모 조립체, 칫솔모 조립체의 제조방법
WO2012015276A3 (ko) * 2010-07-30 2012-05-31 주식회사 프로케어 전동칫솔, 칫솔모 조립체, 칫솔모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209525B1 (ko) 2010-07-30 2012-12-07 주식회사 프로케어 전동칫솔
CN103096833A (zh) * 2010-07-30 2013-05-08 株式会社普罗凯尔 电动牙刷、刷毛组件以及刷毛组件的制造方法
CN103096833B (zh) * 2010-07-30 2015-06-24 株式会社普罗凯尔 电动牙刷、刷毛组件以及刷毛组件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23145A3 (en) Electric toothbrush comprising an electrically powered element
KR20150061559A (ko) 기계칫솔
KR20090080024A (ko) 진동칫솔
CN103494434B (zh) 可限力牙刷
CN203852444U (zh) 电动牙刷
CN109223232A (zh) 一种u形自动牙刷组件
CN202277395U (zh) 一种有关电子振动的牙刷装置
CN211156423U (zh) 一种具有摇动关机功能的智能电动牙刷
KR20090129843A (ko) 치간솔 저장부가 구비된 치간칫솔
CN113786261A (zh) 一种牙刷电动辅助装置
KR200401783Y1 (ko) 전동 칫솔
CN110755168A (zh) 一种具有摇动关机功能的智能电动牙刷
CN201164169Y (zh) 紫外线消毒牙刷
CN201189217Y (zh) 电动牙刷
KR20090080026A (ko) 진동칫솔
CN201353218Y (zh) 电动牙刷
CN212281738U (zh) 一种新型电动牙刷
CN104398312A (zh) 电动牙刷
KR20090080028A (ko) 진동칫솔
CN204147136U (zh) 电动牙刷
KR200348376Y1 (ko) 타이머가 내장된 전동치솔
KR200273169Y1 (ko) 오토칫솔
CN214340760U (zh) 震动式定时提醒刷牙手柄
CN215915011U (zh) 一种牙刷电动辅助装置
CN210095973U (zh) 一种u形自动牙刷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