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633A -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633A
KR20090079633A KR1020080005758A KR20080005758A KR20090079633A KR 20090079633 A KR20090079633 A KR 20090079633A KR 1020080005758 A KR1020080005758 A KR 1020080005758A KR 20080005758 A KR20080005758 A KR 20080005758A KR 20090079633 A KR20090079633 A KR 20090079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alid
stored
area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541B1 (ko
Inventor
장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5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으로서, (a)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손떨림 정보를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하여 메모리의 제 1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손떨림 정보를 셔터 스피드 정보와 조합하는 단계; (c)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와 손떨림 보정가능값을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과 비교된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지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 결과, 촬영된 이미지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될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의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될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의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유효한 영상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Method for grouping efficient image in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순간의 손떨림 데이터를 획득하여 유효한 영상 및 유효하지 않은 영상으로 분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영상을 받아들이는 CCD&COMS 소자(미도시)를 이용하여 DSP(미도시)에서 영상에 관련된 처리를 거친 후 메모리 카드로 들어가 저장된다.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할 때 반 셔터 상황에서 AF(Auto focusing) 모터를 구동시켜 초점을 잡는다. 또는 AF 과정 없이 진행되기도 한다. 이렇게 두 경우로 받아들인 영상이 DSP 내부를 거쳐 화질 개선이나 기타 영상 처리 기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현재 우리가 이용하고 있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진다.
지금까지 사용되어지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유효 판단 없이 모든 영상 데이터를 저장 매체인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 최근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CCD&COMS 소자의 발전으로 많은 픽셀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들은 큰 사이즈의 영상을 얻고자 한다. 이로써 메모리 카드의 크기가 커진다 하여도 항상 저장 매체의 메모리 공간은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효한 영상과 유효하지 않은 영상을 미리 분류하여 저장해 두고 사후에 필요에 따라 유효한 영상만을 검색하거나 유효하지 않은 영상만을 검색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촬영된 이미지 자체에 대한 영상 정보만으로 손떨림 유효한 이미지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를 판단하다 보니, 촬영 조건(셔터 스피드, 피사체의 형상, 촬영 장소의 밝기)에 대한 고려 없이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여 유효성 판단에 대한 신뢰성이 낮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영상 촬영 시에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유효한 영상 및 유효하지 않은 영상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으로서,
(a)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손떨림 정보를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하여 메모리의 제 1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손떨림 정보를 셔터 스피드 정보와 조합하는 단계;
(c)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와 손떨림 보정가능값을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과 비교된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지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 결과, 촬영된 이미지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될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의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될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의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이미지가 촬영되는 순간의 손떨림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의 제 1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의 제 2 영역은 유효하지 않은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하지 않은 폴더이며, 상기 메모리의 제 3 영역은 유효한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한 폴더이다.
한편,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가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가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에 있는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으로서,
(a) 손떨림을 보정하는 단계;
(b)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손떨림 정보를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하여 메모리의 제 1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손떨림 정보를 셔터 스피드 정보와 조합하는 단계;
(d)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와 손떨림 보정가능값을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과 비교된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판단 결과, 촬영된 이미지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될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의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될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의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은 셔터 스피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은 촬영된 피사체 대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한편,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이미지가 촬영되는 순간의 손떨림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의 제1 영역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은 유효하지 않은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하지 않은 폴더이며,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은 유효한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한 폴더이다.
한편,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가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가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에 있는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메모리의 제 2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는 삭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촬영 시에 가속도 센서로부터 손떨림 정보를 획득하여 촬영된 영상을 유효한 영상 및 유효하지 않은 영상으로 분류함으로써 사용자의 저장 선택 과정에 의해 유효한 이미지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를 손쉽게 분류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손쉽게 메모리 폴더를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기능-선택 버튼(15), 촬영-정보 표시부(16), 뷰파인더(17a), 기능-블록 버튼(18), 플래시-광량 센서(19), 렌즈부(20),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모드 다이얼(14)은, 각종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컴퓨터 연결 모드, 및 시스템 설정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기능-선택 버튼(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촬영-정보 표시부(16)는 촬영과 관련된 각 기능의 정보가 표시된다. 기능-블록 버튼(18)은 촬영-정보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된 각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스피커(SP), 전원 버튼(31),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디스플레이 패널(LCD)(35), 노출보정/삭제 버튼(36), 엔터/재생 버튼(37), 메뉴/OK 버튼(38),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상향-이동 버튼(40up), 우향-이동 버튼(40ri), 하향-이동 버튼(40lo), 및 좌향-이동 버튼(40le), 대표-음성 버튼(42), 재생모드(Playback) 버튼(42)이 있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두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 되며, 세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자동 포커싱 동작이 완료된 때에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노출보정/삭제 버튼(36)은 디지털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빛의 양을 조절하거나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삭제 버튼으로 사용된다.
엔터/재생 버튼(37)은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재생 모드에서의 정지 또는 재생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된다.
메뉴/OK 버튼(38)은 모드 다이얼(14)에서 선택된 모드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상향-이동 버튼(40up), 우향-이동 버튼(40ri), 하향-이동 버튼(40lo), 및 좌향-이동 버튼(40le)도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재생모드 버튼(42)은 마지막 촬영된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음성 정보를 확인하고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입사측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20)와 필터부(41)를 포함한 광학계(10)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10)의 렌즈부(20)는 줌 렌즈(ZL), 포커스 렌즈(FL), 및 보상 렌즈(CL)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도 2의 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도 2의 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1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112)가 렌즈 구동부(1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ZL)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도 2의 39w)이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이와 같은 특성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112)는 광학계(10)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줌 렌즈(ZL)의 위치에 대한 화각(θ)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줌 렌즈(ZL)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FL)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θ)은 포커스 렌즈(FL)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보상 렌즈(CL)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여기서, 지정 노출 모드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의 회전각이 달라진다. 지정 노출 모드란, 피사 영역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 영역이 디지털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표시된 지정 검출 영역에 일치되면, 이 지정 검출 영역의 평균 휘도에 대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노광량을 설정하는 모드를 말한다.
광학계(10)의 필터부(41)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 통과 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10)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는 타이밍 회로(1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 Digital Converter) 소자(1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는 CDS-ADC 소자(1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카메라는 손떨림을 보정하는 시스템을 구비한다. 손떨림을 보정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본원의 관심 사항이 아니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원에 관한 카메라는 가속도 센서(120)를 구비한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카메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속도 센서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또한 본원의 관심 사항이 아니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속도 센서(120)는 카메라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마이크로 제어기(112)로 전달하게 된다.
마이크로제어기(1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도 2의 33) 및 플래시 대기 램프(도 2의 34)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도 1의 13), 모드 다이얼(도 1의 14), 기능-선택 버튼(도 1의 15), 기능-블록 버튼(도 1의 18), 모니터 버튼(도 2의 32), 확인/삭제 버튼(도 2의 36), 엔터/재생 버튼(도 2의 37), 메뉴 버튼(도 2의 38), 광각-줌 버튼(도 2의 39w), 망원-줌 버튼(도 2의 39t), 상향-이동 버튼(도 2의 40up), 우향-이동 버튼(도 2의 40ri), 하향-이동 버튼(도 2의 40lo), 및 좌향-이동 버튼(도 2의 40le)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1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1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0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115)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1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 즉 표시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1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1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1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플래시(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112)와 플래시 제어기(111)를 통하여 구동된다.
마이크로 제어기(112)는 메모리 카드(115)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촬영할 이미지 또는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를 유효한 이미지 및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분류하여 메모리 카드(115)에 저장함으로써 메모리 카드(115)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메모리 카드(115)는 3개의 영역으로 분리된다. 메모리 카드(115)의 제 1 영역에는 촬영된 이미지가 저장되고, 메모리 카드(115)의 제 2 영 역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분류 제어 동작에 의해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가 저장되고, 메모리 카드(115)의 제3 영역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분류 제어 동작에 의해 유효한 이미지가 저장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S201)가 수행된다. 즉, 피사체를 촬영한 후에 촬영된 이미지에 대하여 유효성 여부를 사후에 판단하게 된다.
이때 이미지가 촬영되는 순간에 가속도 센서(120)에 의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거나 고정대에 지지되어 있는 카메라의 움직임이 감지된다. 감지된 손떨림 정보(본원에서는 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른 모든 정보를 편의상 '손떨림 정보'라고 지칭한다)는 가속도 센서(120)로부터 DSP(107)로 보내져서 손떨림 정보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태그에 기록한다. 일반적으로 촬영된 이미지 파일은 더미(Dummy) 부분에 해당하는 태크, 헤더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태그 부분에 사용자 정보나 기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비공개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영상 데이터의 부가적인 내용을 삽입함으로써 검색 및 비교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태그 부분에 촬영될 이미지의 손떨림 정보를 삽입한다.
손떨림 정보가 이미지 파일의 태그 부분에 기록된 이후, 촬영된 이미지는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일시적으로 DRAM(104)에 저장되었다가, 메모리 카드(115)의 제1 영역으로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115)의 여유 공간 확보를 위해, 메모리 카드(115)의 제1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를 불러오게 되고, 마이크로 제어기(112)는 촬영된 이미지의 태그 부분에 기록된 손떨림 정보와 이미지를 촬영한 순간의 셔터 스피드에 대한 정보를 조합 또는 연산하게 조합 또는 연산된 정보를 생성한다(S204).
여기서, 손떨림 정보를 셔터 스피드와 조합하거나 연산하는 이유는 셔터 스피드가 빠를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손떨림을 보상할 수 있고 셔터 스피드가 느릴 경우에는 작은 손떨림에도 이미지가 현저하게 불명확하게 되기 때문이다.
셔터 스피드와 조합 또는 연산된 손떨림 정보는 이미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손떨림 보정가능값과 비교된다(S206).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비교 결과 촬영된 이미지의 조합 연산된 손떨림 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비교하게 된다(S208). 만약 조합 연산된 손떨림 정보가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의 오류가 보정이 가능한 설정치 이하인 경우, 마이크로 제어기(112)는 촬영된 이미지에 흔들림(손떨림)이 없다고 판단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한다(S210).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는 바로 유효한 이미지로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저장 여부 판단 단계(S220)를 거치게 되어 저장 여부가 결정된다.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여(S220a),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된 경우,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115)의 제1 영역에서 제3 영역으로 즉, 유효한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S222).
메모리 카드(115)의 제3 영역 즉, 유효한 폴더에 저장된 유효한 이미지는 이후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촬영된 이미지가 단계(S208, S210)에 의해 유효한 이미지로 판단되었음에 불구하고 사용자가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지 여부에 있어서(S220a), 유효한 이미지로서 저장하지 않는 것(즉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으로 선택할 경우, 촬영된 이미지는,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115)의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S224).
한편, 단계(S208)에서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비교 결과 셔터 스피드와 조합되어 연산된 손떨림 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를 초과한 경우, 마이크로 제어기(112)는 촬영된 이미지에 흔들림(손떨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한다(S212).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는 바로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저장 여부 판단 단계(S220)를 거치게 되어 저장 여부가 결정된다.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유효하지 않 은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여(S220b), 흔들림이 발생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115)의 제 1 영역에서 제 3 영역으로 즉, 유효한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S222).
여기서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카드(115)의 제 3 영역 즉, 유효한 폴더에 저장된 유효한 이미지는 이후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촬영된 이미지가 단계(S208, S212)에 의해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판단되었고 사용자도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할 지 여부에 있어서(S220b),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것으로 선택할 경우, 촬영된 이미지는,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115)의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S224).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2 영역과 제 3 영역에 각각 저장된 이미지의 파일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선택되어 그 선택된 이미지는 메모리 카드(115)의 유효한 폴더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로 유효한 이미지에 대한 폴더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115)의 제 2 영역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삭제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손떨림 보정가능값은 셔터 스피드를 고려하여 별도의 손떨림 보정 과정에 의해 보정이 가능한 손떨림(카메라의 움직임)의 수준에 관한 정보로 서, 이는 셔터 스피드에 따라 다르게 정해지거나, 피사체의 대상에 따라 다르게 정해지거나, 이미지 촬영 당시의 밝기에 따라 다르게 정해지며, 이들의 대응관계는 실험에 의해 정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손떨림 보정 기능을 작동시킨 후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유효한 이미지 또는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한 방법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동된 단계(S300) 후에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S301)가 수행된다. 즉, 손떨림을 보정한 후에 피사체를 촬영하고 나서 손떨림 보정을 사전에 했음에도 불구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대하여 유효성 여부를 사후에 다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이미지가 촬영되는 순간에 가속도 센서(120)에 의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거나 고정대에 지지되어 있는 카메라의 움직임이 감지된다. 감지된 손떨림 정보는 가속도 센서(120)로부터 DSP(107)로 보내져서 손떨림 정보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태그에 기록한다.
손떨림 정보가 이미지 파일의 태그 부분에 기록된 이후, 촬영된 이미지는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일시적으로 DRAM(104)에 저장되었다가, 메모리 카드(115)의 제 1 영역으로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115)의 여유 공간 확보를 위해, 메모리 카드(115)의 제 1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를 불러오게 되고, 마이크로 제어 기(112)는 촬영된 이미지의 태그 부분에 기록된 손떨림 정보와 이미지를 촬영한 순간의 셔터 스피드에 대한 정보를 조합 또는 연산하게 조합 또는 연산된 정보를 생성한다(S304).
셔터 스피드와 조합 또는 연산된 손떨림 정보는 기 저장되어 있는 손떨림 보정가능값과 비교된다(S306).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비교 결과 촬영된 이미지의 조합 연산된 손떨림 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비교하게 된다(S308). 만약 조합 연산된 손떨림 정보가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의 오류가 보정이 가능한 설정치 이하인 경우, 마이크로 제어기(112)는 촬영된 이미지에 흔들림(손떨림)이 없다고 판단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한다(S310).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는 바로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저장 여부 판단 단계(S320)를 거치게 되어 저장 여부가 결정된다.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선택)하여(S320a),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선택)된 경우,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115)의 제 1 영역에서 제 3 영역으로 즉, 유효한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S322).
메모리 카드(115)의 제3 영역 즉, 유효한 폴더에 저장된 유효한 이미지는 이후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촬영된 이미지가 단계(S308, S310)에 의해 유효한 이미지로 판단되었음에 불구하고 사용자가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지 여부에 있어서(S320a),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하지 않는 것(즉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으로 선택할 경우, 촬영된 이미지는,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115)의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S324).
한편, 단계(S308)에서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비교 결과 셔터 스피드와 조합되어 연산된 손떨림 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를 초과한 경우, 마이크로 제어기(112)는 촬영된 이미지에 흔들림(손떨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한다(S312).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는 바로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저장 여부 판단 단계(S320)를 거치게 되어 저장 여부가 결정된다.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여(S320b), 흔들림이 발생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115)의 제 1 영역에서 제 3 영역으로 즉, 유효한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S322).
여기서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카드(115)의 제 3 영역 즉, 유효한 폴더에 저장된 유효한 이미지는 이후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촬영된 이미지가 단계(S308, S312)에 의해 유효하지 이미지로 판단되 었고 사용자도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할 지 여부에 있어서(S320b),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것으로 선택할 경우, 촬영된 이미지는, 마이크로 제어기(1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115)의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S324).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2 영역과 제 3 영역에 각각 저장된 이미지의 파일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선택되어 그 선택된 이미지는 메모리 카드(115)의 유효한 폴더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로 유효한 이미지에 대한 폴더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의해 선택되어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115)의 제2 영역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삭제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손떨림 보정가능값은 스피드 속도를 고려하여 별도의 손떨림 보정 과정에 의해 보정이 가능한 손떨림(카메라의 움직임)의 수준에 관한 정보로서, 이는 셔터 스피드에 따라 다르게 정해지거나, 피사체의 대상에 따라 다르게 정해지거나, 이미지 촬영 당시의 밝기에 따라 다르게 정해지며, 이들의 대응관계는 실험에 의해 정해진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기술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입사측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Claims (12)

  1.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으로서,
    (a)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손떨림 정보를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하여 메모리의 제 1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손떨림 정보를 셔터 스피드 정보와 조합하는 단계;
    (c)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와 손떨림 보정가능값을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과 비교된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지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 결과, 촬영된 이미지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될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의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될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의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이미지가 촬영되는 순간의 손떨림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의 제 1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 2 영역은 유효하지 않은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하지 않은 폴더이며, 상기 메모리의 제 3 영역은 유효한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한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가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가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에 있는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6.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으로서,
    (a) 손떨림을 보정하는 단계;
    (b)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손떨림 정보를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하여 메모리의 제 1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손떨림 정보를 셔터 스피드 정보와 조합하는 단계;
    (d)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와 손떨림 보정가능값을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과 비교된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판단 결과, 촬영된 이미지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될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의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하기로 판단될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의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은 셔터 스피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은 촬영된 피사체 대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이미지가 촬영되는 순간의 손떨림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의 제1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은 유효하지 않은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하지 않은 폴더이며,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은 유효한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한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가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조합된 상기 손떨림 정보가 상기 손떨림 보정가능값의 범위에 있는 경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유효한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메모리의 제 2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는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KR1020080005758A 2008-01-18 2008-01-18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KR10143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58A KR101431541B1 (ko) 2008-01-18 2008-01-18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58A KR101431541B1 (ko) 2008-01-18 2008-01-18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33A true KR20090079633A (ko) 2009-07-22
KR101431541B1 KR101431541B1 (ko) 2014-08-19

Family

ID=4129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758A KR101431541B1 (ko) 2008-01-18 2008-01-18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5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998B1 (ko) * 2003-02-10 2006-02-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영 상태가 부적절하였음을 알려주는 디지털 카메라의제어방법
JP2005099162A (ja) 2003-09-22 2005-04-14 Sharp Corp 静止画撮像装置
KR100673952B1 (ko) * 2004-10-20 2007-01-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JP4305434B2 (ja) * 2005-09-14 2009-07-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541B1 (ko)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KR100530746B1 (ko) 촬영 상태가 부적절하였음을 알려주는 디지털 카메라 및그 제어방법
KR100503039B1 (ko) 사용자가 쉽게 증명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지털카메라의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100627048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KR101086409B1 (ko)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75454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using duplex thumbnail mode
US200600922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hot pixels in a digital camera
US2005024318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20060054523A (ko) 이미지 회전 장치 및 방법
US20180262691A1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5025479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20100101391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27047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파일관리방법
KR100929390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적응형 메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562405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수정 방법
KR100627049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 영상에 객체를 합성하는 장치 및방법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JP5157528B2 (ja) 撮影装置
KR100673952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KR101431541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KR10115667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20090102431A (ko) 영상의 흔들림 정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JP2007101877A (ja) 撮影装置
KR20090077486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039105A (ja) 音声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5